KR200256455Y1 - 커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455Y1
KR200256455Y1 KR2020010026411U KR20010026411U KR200256455Y1 KR 200256455 Y1 KR200256455 Y1 KR 200256455Y1 KR 2020010026411 U KR2020010026411 U KR 2020010026411U KR 20010026411 U KR20010026411 U KR 20010026411U KR 200256455 Y1 KR200256455 Y1 KR 200256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istributor
beans
open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흥수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이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이용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2020010026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4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455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피 콩 볶는 장치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여 콩을 볶는 과정에서 엉겨 붙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배전된 커피콩을 분쇄 및 추출을 한꺼번에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고려하고 신선한 커피추출을 할 수 있도록 한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콩 상태의 커피 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가 커피메이커의 본체(1)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의 내측 중앙부위에 설치되는 가열수단(3) 및 상기 가열수단(3)측으로 생콩을 강제로 회전이송시켜 주기 위한 판상의 교반로터(22), 상기 교반로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모터(24)와 수직으로 회전이송되는 커피껍질이 배출홈을 따라 운동됨으로써 쉽게 토출되는 배전몸체로 이루어지는 배전부(20)와,
상기, 배전부(20) 일측에 힌지(25) 결합되는 개폐문(31)은 솔레노이드(32)에 의해 개폐되도록한 개폐부(30)와, 배전이 완료된 커피 콩이 경사면(41)으로 낙하되면서 분쇄기(5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40)와,
상기 공급부(40)의 말단에 위치되는 분쇄기(51)의 회전칼날(52)이 모터(53)에 의해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커피콩을 분쇄하여 직하방의 립퍼(70)로 공급하도록 된 분쇄부(50)로 대별구성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장치{A DEVICE FOR EXTRACTING A COFFEE}
본 고안은 커피 콩 볶는 장치가 구비된 커피 메이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반로터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 내부에 수용된 커피콩이 상승 및 낙하운동되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전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여 콩을 볶는 과정에서 엉겨 붙지 않도록 함은 물론이고, 배전된 커피콩의 분쇄 및 추출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도록 하면서도 신선한 커피추출을 할 수 있도록 한 커피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두를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는 배전 방식의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방식은 강제열풍방식이나 챔버에 별도의 교반 장치를 적용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 방식에 있어서는, 교반장치를 설치하여 교반하면서 배전하도록 되어 있으나 생콩이 어느 한쪽 위치로 쏠리게 되면서 고정되어 생콩들이 완전하게 교반되지 못하여 균일하게 볶아지지 못하는 단점 및 콩이 서로 엉겨붙으면서 균일하게 볶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배전기에서 생콩의 껍질이 탈피되는 과정에 있어서는 원두와 껍질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키지 못하여 분쇄기 내부로 볶인 콩과 함께 투입되면서 콩 껍질이 섞인 상태로 분쇄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배전기의 냉각 방식에 있어서는 별도의 냉각장치를 부가설치하여 배전후 가동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과도한 소음문제가 대두되고 있었음은 물론 냉각용 모터의 회전에 의한 콩 껍질의 비산으로 인하여 기기내부가 지저분해지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었으며, 분쇄된 커피 분말이 내부로 유입되어 커피의 맛을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별도의 냉각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공회전하더라도 배전 된 콩이 같은 자리에서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경우는 볶아진 콩이 상호 엉키면서 냉각 효율을 저하시켜 냉각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따르고 있었다.
한편, 분쇄장치의 경우는 분쇄 커터에 있어서 수차례 분쇄후 칼날과 분쇄부가 지저분해져도 손쉽게 청소할 수가 없어서 기기 전체를 분해하거나 또는 분쇄기나 분쇄부 부위를 완전히 분해해야 청소가 가능한 번거로움이 따르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원통형의 배전기 내부 형상을 따라서 회전하는 판상의 배전 로터에 의해서 콩이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지속적으로 회전이송 되는 상태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균일하게 볶이도록 하는 한편, 배전기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폐부는 배전원통의 일부분을 완전개폐방식으로 채택하여 배출되는 콩이 개폐문에 끼이지 않도록 하고, 덜 볶인 콩이 분쇄기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전기의 외측벽의 하부쪽에 콩껍질 배출공을 다수 형성하여 배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콩 껍질이 회전되는 배전로터에 의해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배전원통내에 축설회전되는 판상의 로터 회전에 의해서 생콩의 이동 변위를 최대화시켜줌으로서,
가열 배전된 뜨거운 콩을 별도의 송풍기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약간의 공회전 작동만으로도 우수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필요시 송풍기를 냉각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매우 짧은 시간동안의 가동작동만으로도 생콩의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는 기기본체의 외측벽의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하여 자연냉각효과가 발휘되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송풍에 따르는 소음 및 진동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자연스럽게 해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쇄기의 전·후면 부위가 상호 분리되도록 하여 전면 또는 측면에서 손쉽게 분쇄기를 상호 분리 시켜주면서 그 내부를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피 추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커피 추출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있어서, 껍질 회수부의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있어서, 가열수단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있어서, 배전기의 껍질 회수 수단을 나타낸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에 있어서, 교반 로터의 구동력 전달 상태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있어서 분쇄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투입구 3: 히터(가열수단)
4: 온수 호스 6: 물통
7. 통풍구 20: 배전부 21: 배전기
22: 교반 로터 23: 교반 축 24: 모터
25: 힌지 26: 연결 축 27:플레이트
30: 개폐부 31: 개폐문 32: 솔레노이드
33: 연결고리 40: 공급부 41: 경사면
50: 분쇄부 51: 분쇄기 52: 회전 날개
53: 회전 모터 54: 유출구 60: 껍질 회수부
61: 껍질 배출공 62: 껍질 회수구 63: 손잡이
64: 수납구 70: 드립퍼 80: 포터
본 고안은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2)가 커피메이커본체(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수단(3)(히터) 및 상기 가열수단(3) 측으로 생콩을 강제회전이송시키는 판상의교반로터(22), 상기 교반로터 구동수단인 모터(24)로 이루어지는 배전부(20), 상기 배전부(20)의 배전기(21)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문(31)은 솔레노이노(32)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여 개폐부(30)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배전이 완료된 커피콩이 경사면(41)을 통해 낙하되면서 분쇄기(5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부(40), 상기 공급부(40)의 말단에 위치되는 분쇄기(51)의 회전칼날(52)이 회전모터(53)에 의해 회전되면서 이송공급되는 커피콩을 분쇄시켜 직하방의 드립퍼(70)로 공급하되도록 된 분쇄부(50)로 대별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투입하는 투입구(2)가 호퍼 형태로서 커피메이커 본체(1)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의 내측중단부위에는 가열수단으로 히터(3)가 내입설치되며, 상기 투입구(2)의 직하방에는 통체형의 배전기(21)가 위치된다.
상기 배전기(21)의 내측에는 모터(24)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교반축(23)을 통해 판체형의 교반로터(22)가 축설되어 배전부(20)를 이룬다.
이때 모터(24)의 축과 교반축(23)사이의 회전력은 양단부가 각각의 축상에 연결고정된 플레이트(27)를 통해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모터(24)의 가동시 수반되는 열량전달현상 배제효과를 얻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상기 배전기(21)의 일측하방부위에는 힌지(25)를 통해 개폐문(31)을 설치하고 그 타측에는 콩껍질 배출구(61)를 다수 형성하여 주되,
상기 개폐문(31)은 전후작동되는 솔레노이드(32)를 통해 자체 하중에 의해개폐작동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배전부(20)에 있어서는 사용시 먼저 히터(3)를 ON 시켜 소정온도로 가열되도록 한 상태에서 적정량의 생콩을 투입구(2)를 통해 투입함과 동시에 모터(24)의 회전력이 플레이트(27)를 통해 전달되면서 배전기(21) 내측에 축설된 교반로터(22)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회전력에 의해 투입된 생콩이 회전이송되면서 직상방에 위치된 히터(3)에 의해 전달된 열에 의해서 생콩의 볶음 작용이 실현되며 투입된 생콩은 거의 균일한 상태로 볶여지게 된다.
이때 교반로터(22)회전력에 의해 강제로 회전이송되는 과정에서 볶음 과정이 완료된 각각의 콩은 회전이송시의 충격에 의해 껍질이 자연스럽게 벗겨지게 되며, 벗겨진 콩껍질은 배전기(21)일측에 형성된 배출구(6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되고 외부로 유출된 콩껍질은 상기 배출구(61)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껍질회수통(62)에 수집되게 된다.
이 껍질 회수통(62)은 본체(1) 측면의 수납구(64)에서 입출시켜주도록 함과 동시에 껍질회수통(62)이 설치되는 부위는 투명체로 재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의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 하다.
이와같은 배전부(20)에서의 생콩볶음공정과정은 타이머등의조절수단을 통해 소정시간 동안 지속되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을 통해 배전부(20)를 이루는 배전기(21)내에서의 생콩볶음과정이 완료되면 배전기(21)일측의 개폐문(31)이 솔레노이드(32)의 후퇴동작시 자체 하중에 의해 개방되면서 배전기(21)내측의 볶은 콩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과정을 통해 볶은 콩이 낙하되는 배전기(21)의 개폐문(32)직하방에는 유출구(42)가 분쇄부(50)측에 위치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판(41)을 형성하여 공급부(40)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별개의 이송수단이 필요없이 볶은 콩이 자연스럽게 낙하 이송되면서 유출구(42)를 통해 분쇄부(5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공급부(40)를 통해 볶은콩을 공급받아 분쇄하게 되는 분쇄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에 분쇄공간이 마련된 1쌍의 분쇄통체(56, 57) 내측에 분쇄칼날(52)을 축설하여 모터(53)에 의해 고속회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분쇄통체(56)중앙에는 경사면(41)의 유출구(42)에 일치되는 유출공(56')을, 타측분쇄통체(57) 하방에는 유출구(54)를 각각 형성하여 유출공(56')을 통해 공급된 볶은콩이 분쇄칼날(52)에 의해 분쇄된 후 유출구(54)를 통해 직하방으로 낙하되도록 구성하여 이루되,
1쌍의 분쇄통체(56, 57)는 상호분리가 가능토록 하되, 일측의 분쇄통체(56)와 그에 접촉되는 경사판(41)은 상호 결합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판(41)의 전면측에는 손잡이(5)를 형성하여 통로(90) 내부에서의 외부 인출작업이 가능토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분쇄통체(56) 및 경사판(41)을 외부에서 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으로 분쇄부(50)의 청소작업 요구될 시 분쇄통체(56)를 간단히 분리 시켜준 후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커피분말이 낙하하게 되는 유출구(54)의 직하방에는드립퍼(70) 및 포터(80)를 위치시켜 주게 되며 별개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가 온수공급관(4)을 통해 드립퍼(70)로 동시공급되면서 액상의 커피가 포터(80)에 수용되게 된다.
한편, 상기 온수공급관(4)이 직결되는 물통(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체로 형성하여 이룸과 동시에 본체(1)배면의 모서리 부위에서 착탈가능한 외부조립형으로 형성함으로서 물통(6)의 잔여수량을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의 재공급 과정 및 청소과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한편 배전부(20)가 위치되는 본체(1) 외측적정부위 및 상면 적정부위에는 다수의 통풍구(7)를 형성하여 배전부(20)의 발열량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방출되는 자연냉각수단을 이루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60은 수납구(64)와 껍질회수통(62)으로 이루어지는 껍질회수부를, 80은 배전기(21)상측의 투입구(2) 개폐용개폐문을, 81은 배전기(21)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정화용 필터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통체형의 배전기 내부에 판체형의 교반로터를 축설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배전기 내면과 교반로터외단 사이에 틈이 존재치 못하도록 하면서 투입되는 생콩이 어느 한 부위에 머무르는 일이 없이 지속적으로 회전이송되면서 균일하게 볶여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게 됨은 물론 가열수단인 히터 위치로부터 배전기의 바닥면까지 생콩의 변위폭을 확보해줌으로서 생콩이 상호 엉겨붙는 일이 없이 양호한상태로 볶여지게 된다.
또한, 개페문을 솔레노이드가 적용된 완전개폐식으로 형성하여 배전이 완료된 후에도 배전기내에 볶인 콩이 남아있을 우려를 원천적으로 차단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배전기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껍질회수통의 수납부위를 투명하게 형성하여 껍질회수통에의 껍질 적재량을 사용자가 수시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껍질회수통을 기기 외측에서의 외부조립형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의 콩 껍질 회수 상태 확인이 용이토록 하는 한편, 물통 역시 기기 측면이나 뒷쪽에서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형성하여 물통을 수시로 분리시켜 간편히 청소해 주면서 항시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외부에서의 주수가 가능토록 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배전부에서 발생되는 열량의 방출수단으로 통풍구를 통한 자연냉각 방식을 채택하여 별도의 냉각 장치를 통한 강제 냉각방식에서의 소음 및 진동발생요인을 제거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생콩상태의 커피콩을 투입용 투입구(2)가 커피메이커 본체(1)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2)의 내측중단부위에는 가열수단으로 히터(3)가 내입설치되며, 상기 투입구(2)의 직하방에는 통체형의 배전기(21)가 위치되고 상기 배전기(21)내측에는 모터(24)를 통해 회전되는 교반축(23) 및 교반로터(22)를 축설하여 배전부(20)를 이루고,
    상기 배전기(21)의 일측하방에는 힌지(25)를 통해 개폐문(31)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문(31)은 솔레노이노를 통해 개폐작동되도록 하여 개폐부(30)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개폐문(31)과 대향되는 배전기(21)타측에는 다수의 배출구(61)를 형성하고, 그 직하방에는 본체(1) 배면부에 위치되는 수납구(64)를 통해 껍질회수통(62)을 설치하여 껍질회수부(60)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배전기(21)의 개폐문(32)직하방에는 유출구(42)가 분쇄부(50)측에 위치되도록 하향경사진 경사면(41)을 형성하여 자연낙하식 공급부(40)를 이루도록 하며,
    공급부(40)를 통해 공급되는 볶은 콩을 분쇄하는 분쇄부(50)는 내부에 분쇄공간이 마련됨과 동시에 상호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된 분쇄통체(56, 57)내측에 분쇄칼날(52)을 축설하여 모터(53)에 의해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분쇄통체(56)중앙에는 경사면(41)의 유출구(42)에 일치되는 유출공(56')을 타측분쇄통체(57)하방에는 유출구(54)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온수공급관(4)이 직결되는 투명체의 물통(6)은 본체(1)배면 모서리부위에서 착탈가능한 외부조립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분쇄부(50)를 이루는 상호 조립형분쇄통체(56, 57)중 일측의 분쇄통체(56)와 그에 접촉되는 경사판(41)을 상호 결합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판(41) 전면에는 손잡이(5)를 형성하여 통로(90)내부에서의 경사판(41)및 분쇄통체(56)외부 인출 작업이 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추출장치.
KR2020010026411U 2001-08-30 2001-08-30 커피 추출장치 KR2002564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11U KR200256455Y1 (ko) 2001-08-30 2001-08-30 커피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11U KR200256455Y1 (ko) 2001-08-30 2001-08-30 커피 추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846A Division KR20030018628A (ko) 2001-08-30 2001-08-30 커피 추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455Y1 true KR200256455Y1 (ko) 2001-12-13

Family

ID=7310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11U KR200256455Y1 (ko) 2001-08-30 2001-08-30 커피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4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4289A (zh) * 2022-10-24 2023-01-31 合肥茜卡咖啡食品有限公司 一种咖啡豆的焙炒配方及焙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4289A (zh) * 2022-10-24 2023-01-31 合肥茜卡咖啡食品有限公司 一种咖啡豆的焙炒配方及焙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34313A (zh) 磨豆咖啡壶机器的粉碎过滤装置
CN105816044A (zh) 粉碎磨豆的咖啡壶的工作方法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101386296B1 (ko) 생콩 파쇄 두유 제조기
KR101701463B1 (ko) 음식물찌꺼기 살균건조처리장치
KR20110045443A (ko) 전자동 커피 머신
KR102294462B1 (ko) 메주 제조용 콩 세척기 및 이를 구비한 메주 제조 장치
KR101164513B1 (ko) 식품 건조 및 분쇄장치
KR101285558B1 (ko) 커피추출장치 및 방법
KR200256455Y1 (ko) 커피 추출장치
KR20030018628A (ko) 커피 추출장치
KR200466922Y1 (ko) 정수 공급기능을 갖는 생두부 제조장치
CN207709120U (zh) 中药粉碎系统
KR200225910Y1 (ko) 전자동 커피 추출장치
KR20120128179A (ko) 커피 원두 분쇄 수단 및 드립핑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머신
JP2799874B2 (ja)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200227419Y1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CN114260056A (zh) 一种基于洁净饲料生产的多功能粉碎机
KR20010025521A (ko) 배전기를 갖는 전자동 커피 메이커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102007932B1 (ko) 물 및 원두가루공급장치
JP3016031B2 (ja) コーヒ豆の焙煎装置
KR102144546B1 (ko) 즉석조리용 맷돌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