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4356B1 - 원두커피 볶음기 - Google Patents

원두커피 볶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4356B1
KR100264356B1 KR1019980004099A KR19980004099A KR100264356B1 KR 100264356 B1 KR100264356 B1 KR 100264356B1 KR 1019980004099 A KR1019980004099 A KR 1019980004099A KR 19980004099 A KR19980004099 A KR 19980004099A KR 100264356 B1 KR100264356 B1 KR 100264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duct
plate
coffee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9691A (ko
Inventor
송유진
Original Assignee
송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진 filed Critical 송유진
Priority to KR101998000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356B1/ko
Priority to US09/132,383 priority patent/US5890418A/en
Priority to CA002252689A priority patent/CA2252689A1/en
Priority to US09/201,339 priority patent/US6112644A/en
Priority to JP11032106A priority patent/JP3049037B2/ja
Publication of KR19990069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centrifug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두커피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는 밑판(10b)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칸막이판(10a)이 형성되며, 칸막이판(10a)의 하방에 모터(15)가 설치되고, 상방에 공기 유도공(20a)을 갖는 안치부(20)가 설치되며, 모터축(16)의 상단부에 팬(21)이 설치되고, 안치부(20)의 상단에는 히터상판(26)과 히터하판(27)이 설치되며, 양판 사이에 히터코일(25)이 설치되어 히터 엣세이(24)를 이루고, 덕트 연결부(18)에는 램프 스위치(12)와 타이머(13)가 설치된 몸체(30)와; 열풍 분출기(31)가 지지환판(30a)에 끼워지고, 외주면에 사선방향으로 분출공(31a)이 형성된 볶음통(30)과; 안내덕트(43)가 설치된 볶음통(30)에 결합되는 뚜껑(40)과; 상부가 안내덕트(43)에 하부가 칸막이판(10a)의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덕트(50)로 이루어 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원주형의 열풍 분출기(31)에 분출공(31b)이 형성되어 강한 와류를 형성하여 열풍이 골고루 원두에 접촉시켜 볶음성능이 뛰어나고 원두의 껍질 게거가 용이하며, 볶음기 내부에 발생된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재사용함으로서 전력 소모를 30∼40% 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소형으로 외관이 심플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시에 소음이 적고, 부품이 적어 고장이 적으며 조립 분해가 용이하고 제품의 포장 운반이 용이하며, 제조원가가 종래보다 절감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원두커피 볶음기
본 발명은 열풍으로 원두커피를 볶을 수 있는 원두 볶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 분출기에서 강한 와류가 발생되어 분출기나 볶음통 사이의 간격 내에서 생원두나 팝콘 등을 골고루 볶을 수 있고, 폐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다시 덕트를 통해 볶음통 내부로 순환하여 전력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원두커피 볶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원두커피와 원두분쇄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가 있고, 이중에서 원두커피는 맛과 향이 좋기 때문에, 유럽지역 등에서 커피를 마시는 인구의 90%정도가 공장에서 구어 포장판매하는 원두커피를 고가에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원두커피를 즐기는 가정은 대부분 분쇄기구(Coffee grinder or mill)를 보유하고 있다. 가정에서 생원두를 직접구워 원두커피로 가공하면 신선한 맛과 향을 손실없이 즐길 수 있을뿐만 아니라 생두와 가공원두의 가격차이가 1대 3내지 5배임을 감안하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진공 포장된 원두 커피라 할지라도 공장도 로부터 6개월이상 보관이 불가능 하지만, 생두의 경우는 수확후 1∼2년 장기 보관한 생두가 숙성이 잘되기 때문에 최고의 맛을 즐길수 있다. 그러므로, 생두를 밀봉하여 보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생두의 보관이 편리하고, 1일 사용량이 최대 20잔분인 1회에 약 160g을 볶아 음용할 수 있는 가정용 볶음기가 필요한 시기이나, 현재에는 전세계적으로 상품화된 가정용 커피 원두 볶음기가 없는 실정이다.
종래에 열풍으로 원두커피를 볶는 볶음기는 본 출원인이 1996년에 기출원한 특허출원 제 6276호로, 이와 같은 종래의 볶음기는 와류의 발생이 볶음품질을 좌우하나 와류가 볶음통의 바닥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와류가 강하지 않았고, 전력소모가 약1300∼1400W로 많이 소요되었으며, 와류 발생을 위해 모터를 약 11,000ppm으로 고속회전 시켜야 했기에 팬의 소음이 컸고, 볶음통이 분리형의 유리로 되어 있어 기기의 밀폐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상용자가 취급시 주의를 요하였고, 부품의 수가 많고 제조 원가가 높아 직접 조립 작업 및 수출, 판매, 포장, 운반이 불편하였던 문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정용 커피 볶음기로 최대용량 160g(유럽인 기준 20잔, 미국인 기준 26잔)을 원활히 볶아내기 위해서 볶음통의 중앙에 상부가 돔형인 원주형상의 열풍 분출기로 강한 와류를 발생하여 볶음성능이 향상되고 껍질제거가 용이하며, 안내덕트와 손잡이덕트로 유도된 순환열을 사용하여 전력소모를 종래보다 30∼40%정도 줄일 수 있고, 소형이면서 외관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소음이 작고, 제조원가가 종래 보다 30∼40%수준으로 저렴한 원두커피 볶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a : 칸막이판
10b : 밑판 10c : 공기 유입공
11 : 써머 스타트 12 : 램프 스위치
13 : 타이머 13a : 노브
15 : 모터 16 : 모터축
17 : 고무발 18 : 덕트 연결부
20 : 안치부 20a : 공기 유도공
20b : 히터 안착턱 21 : 팬
24 : 히터 엣세이 25 : 히터코일
26 : 히터상판 26a : 지지 스프링
27 : 히터하판 27a : 하부 유도공
30 : 볶음통 30a : 지지환판
31 : 열풍 분출기 31a : 분출공
31b : 돔 40 : 뚜껑
43 : 안내덕트 50 : 손잡이덕트
51 : 배출구 52 : 공기 유입공
53 : 걸음망 53a : 걸림돌기
54 : 걸림턱 55 : 요철부
56 : 안전 걸음망 60 : 전자기파 차단철판
61 : 소음방지 스폰지 70 : 코드선 롤부재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일측에 덕트 연결부(18)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저면에는 공기 유입공(10c)을 갖는 밑판(10b)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18)측이 경사진 칸막이판(10a)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판(10a)의 저면에는 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10a)의 상방으로 공기 유도공(20a)과 히터 안착턱(20b)을 갖는 안치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안치부(20)의 저면을 상방으로 관통하는 모터축(16)의 상단부에 팬(21)이 설치되고, 상기 안치부(20)의 상단에는 지지 스프링(26a)을 갖는 히터상판(26)과 하부 유도공(27a)을 갖는 히터하판(27)이 설치되며, 양판 사이에는 히터코일(25)이 설치되는 히터 엣세이(24)를 이루고, 상기 덕트 연결부(18)에는 램프 스위치(12)와 노브(13a)를 갖는 타이머(13)가 설치된 몸체(10)와; 하단부에 지지환판(30a)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저면이 개구된 열풍 분출기(31)가 상기 지지환판(30a)에 끼워져 절곡된 하단부가 상기 지지환판(30a)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분출기(31)의 외주면에 사선방향으로 분출공(31a)이 형성된 볶음통(30)과; 상기 볶음통(30)의 상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뚜껑(40)과; 상기 뚜껑(40)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안내덕트(43)와; 상단이 상기 안내덕트(43)에 연통되게 하여 원두커피를 볶을 수 있도록 폐열을 순환시키고, 하단이 상기 칸막이판(10a)의 경사부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덕트(50)로 이루어져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 원두커피 볶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몸체(10)와 볶음통(30)과 뚜껑(40), 안내덕트(43) 및 손잡이덕트(50)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몸체(10)는 일측에 덕트 연결부(18)가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이고, 저면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공(10c)이 형성된 밑판(10b)이 형성되며, 상기 밑판(10b) 하단은 스커트 형상을 하고 미끄러져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고무발(17)이 설치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코드선을 자동으로 감을수 있도록 코드선 롤부재(16)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18)측에 경사면을 갖는 칸막이판(10a)이 형성되어, 상부에 발열부가 설치되는 안치부(20)가 형성되고 하부에 비내열 부품인 전기부품이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판(10a)의 저면에는 기계적 소음을 차폐하기 위한 소음방지 스폰지(61)와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전자기파 차단철판(60)에 지지되는 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15)에 연결된 모터축(16)이 상기 칸막이판(10a)과 안치부(20)의 전면을 관통하며, 상기 모터축(16)의 단부에는 상기 모터(1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하는 팬(21)이 축설치 되고, 상기 안치부(20)의 저면에 폐열과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도공(20a)이 형성되며, 상기 안치부(20)의 상단에 가열된 공기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지지 스프링(26a)이 형성된 히터상판(26)과 하부 유도공(27a)이 형성된 히터하판(27)이 설치되고, 상기 히터상판(26)과 히터하판(27)의 사이에 히터코일(25)이 설치되는 히터 엣세이(24)를 이루며, 상판 칸막이판(10a)에 폐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히터코일(25)에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써머 스타트(11)가 설치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18)의 외측에서 식별가능케 램프 스위치(12)와 노브(13a)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13a)에는 타이머(13)가 연결되어 내장된 것이다.
또한, 볶음통(30)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 이고, 하단 내측에 지지환판(30a)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환판(30a)의 중심부에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의 열풍 분출기(31)의 하단이 끼워지고, 상기 열풍 분출기(31)의 상면이 가열된 공기의 축열공간이 충분하도록 돔(31b)형상을 갖으며, 상기 열풍 분출기(31)의 하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지지환판(30a)의 저면에 밀착되게 용접되고, 상기 열풍 분출기(31)의 외주에 사선방향으로 약 60°각을 갖는 분출공(21b)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풍 분출기(31) 볶음통(30)의 중앙부에 돌출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출공(31a)은 일정간격의 16구 이상이고, 경상각이 약 60。각도이며, 분출간극이 1.6∼1.8㎜이고, 사선길이가 14∼16㎜인 입출구를 갖는다.
또한, 뚜껑(40)은 하방이 개구된 반구형으로 안내덕트(43)에 스크류로 밀착 고정하여 저면이 상기 볶음통(30)의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그리고, 안내덕트(43)는 상기 뚜껑(40)과 손잡이덕트(50)에 연통되도록, 상기 뚜껑(40)과 스크류로 밀착결합되고, 외측에 생원두가 구어지면서 발생하는 연기가 배출되는 배출구(51)가 다수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안치부(20)의 하단에 공기 유입공(20a)이 있고, 팬(21)이 하단에서 회전하여 송풍하며, 히터 안착턱(20b)에 히터 엣세이(24)가 놓여지고, 지지 스프링(26a)에 의해 스크류의 고정없이 히터 엣세이(24)가 안치부(20)에서 볶음통(30)의 지지환판(30a)과 맞닫아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덕트(50)는 재질이 열경화성 수지인 패놀로서 230℃ 이상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상단이 상기 안내덕트(43)와 연통되고 상기 볶음통(30)에 스크류로 밀착 고정되며, 하단이 몸체(10)의 상단과 결합되고, 외측에 신선한 외부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공기 유입공(52)이 다수개 형성되며, 내측 상단에 걸림턱(54)이 형성되어 걸음망(53)의 걸림돌기(53a)가 걸려 고정되고, 내측 하단에 상기 걸음망(53)보다 작은 메쉬를 갖는 안전 걸음망(56)이 설치되며, 외부 양측면에 파지가 용이하도록 요철부(41)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도 열경화성 수지인 폐놀로 성형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나누어질 수 있게 칸막이판(10a)이 일체로 형성되고, 폐열이 하단부에 있는 모터(15), 타이머(13), 램프 스위치 (12) 및 전기배선 등에 볶음통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원두커피 볶음기를 사용하여 생원두나 콩 등을 볶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뚜껑(40)을 열고 볶음통(30) 내부에 생원두를 투입한다. 이때, 투입되는 생원두는 열풍 분출기(31)에 형성된 돔(31a)의 높이까지 넣는다. 그러면 볶음통(30) 내부에 투입되는 생원두의 양은 약160g 정도가 된다. 그리고, 덕트 연결부(18)에 설치된 노브(13a)를 조작하여 필요 볶음상태에 따라 적절한 시간이 설정되게 한다. 즉, 노브(13a)의 전면에 카프치노, 에스 프레소 등을 만들기 위해 약 10분 정도 가열하는 "아주검게", 일반 커피를 만들기 위해 약 8분 정도 가열되는 "검게", 연한 모카 커피를 만들기 위해 약 7분정도 가열되는 "보통" 및 약 5분정도 가열되는 "약"이라는 문자가 표시되어, 전원이 인가되면 타이머(13)가 생원두의 가열 시간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열시간이 정해지면 히터코일(25)에 전원이 공급되어 가열되고, 램프 스위치(12)에는 불이 들어와 히터코일(25)이 작동하고 있음을 알려주며, 모터(15)의 작동에 의해 팬(21)이 회전하여 공기가 열풍 분출기(31) 내부로 상승하게 된다. 즉, 손잡이덕트(50)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5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손잡이덕트(50)내부로 이동된 후 칸막이판(10a)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되어 안치부(20)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 유도공(20a)으로 유입된다. 이때, 모터(15)는 8,000∼10,000rpm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기계적 소음을 흡수하기 위해 소음방지 스폰지(61)에서 소음을 흡수하고, 전자기파 차단철판(60)에서 전자기파를 차단해 준다.
그리고,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공기는 팬(21)에 의해 열풍 분출기(31)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승하는 유입공기는 히터하판(27)의 하부 유입공(27a)을 통해 상부로 이동하여 히터코일(25)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뜨거운 공기는 히터상판(26)의 외측을 통해 열풍 분출기(31)의 저면으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풍 분출기(31)의 내측으로 유입된 가열된 공기는 열풍 분출기(31)의 분출공(31a)을 통해 공기가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때, 분출공(31b)이 열풍 분출기(31)의 외주에 상하로 약 60。정도 경사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기가 나오면서 강한 와류를 형성하게 된다. 와류의 열풍은 볶음통(30)의 벽에 부딪치며 돌기가 형성되면서 커피원두를 회전 상승이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뜨거운 와류공기는 볶음통(30) 내부에 있는 생원두를 회전 및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전체가 골고루 볶아지게 한다. 그리고, 열풍 분출기(31)의 상단이 돔(31b)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생원두가 열풍 분출기(31)의 상방으로 올라간 원두는 용이하게 돔(31b)의 표면을 따라 흘러 내리게 되고, 가열된 뜨거운 공기의 축열 공간이 충분하여 뜨거운 공기가 열풍 분출기(31)의 밖으로 빠져 나기지 않고 돔(31b)의 상단에 일시 머물게 함으로서 열,공기의 혼합율이 상승하고 낮은 전력을 이용하여 생원두를 볶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볶음통(30) 내에서 생원두가 회전 및 상하운동을 하면서 서로간에 마찰이 일어나기 때문에 생원두의 껍질이 벗겨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벗겨진 껍질은 팬(21)의 회전력으로 상승하는 돌기 와류공기에 의해 상방으로 날린 후에 손잡이덕트(50) 하부의 상단에 설치된 걸음망(53)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원두가 볶음통(30)에서 볶아지면서 발생하는 연기 등은 상방으로 날리다가 손잡이덕트(50)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안치부(20)에서 발생된 따뜻한 공기는 볶음통(30)에서 생원두를 볶은 후에 폐열이 된다. 그리고, 이 폐열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뚜껑(40)저면을 따라 손잡이덕트(50)를 타고 내려가면서 공기 유입공(5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혼합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때, 혼합비는 폐열이 약 80%정도이고 외부 유입공기가 약 20%정도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폐열과 혼합된 공기는 약 120℃정도로 칸막이판(10a)의 경사면을 따라 다시 안치부(20)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 유도공(20a)을 통해 다시 유입된다. 또한, 열풍 분출기(31)는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 가열공기와 미가열공기가 내부에서 혼합이 용이하고 가열공기의 축적도 된다. 이와 같은 혼합공기는 다시 히터 엣세이(24)와 팬(21)에 의해 계속 순환하면서 볶음통(30)에 열풍을 가해 원두가 잘볶아지게 한다.
또한, 몸체(10)의 하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10c)을 따라 본체의 하단으로 유입된 공기는 모터(15)를 냉각 시킨다.
그리고, 생원두 볶음기의 내부 규정온도는 약 200℃∼220℃인데 써머 스타트(11)가 설치되어, 만약 온도가 220℃를 넘게 되면 상기 써머 스타트(11)가 작동하여 히터코일(2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팬(21)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가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잔열만 가기고 생원두를 볶게 된다. 그런후에, 폐열 온도가 규정온도인 120℃이하로 떨어지면 히터코일(25)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규정온도인 약 200℃∼220℃가 되게 한다.
그리고, 타이머(18)가 규정시간에 달하면 히터코일(25)의 전원이 차단되지만, 모터(15)와 팬(21)은 계속 전원이 공급되어 공기 유입공(52)을 통해 찬공기만 손잡이덕트(50)를 통해 몸체(10)에 유입된 후 볶음통(30) 내부의 뜨거워진 원두를 식히고, 아울러 손잡이덕트(50)도 냉각되게 한다. 이와 같은 냉각시간은 약 3분정도 타이머(13)에 설정되어 있고, 3분후에 타이머(13)가 꺼지면 모터(15)에 공급되는 전원도 차단되어 팬(21)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생원두 볶음기의 작동으로 생원두가 알맞게 볶아지면, 뚜껑(40)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 뚜껑(40)이 볶음통(30)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그리고, 손잡이덕트(50)에 설치된 걸음망(53)의 손잡이(53b)를 파지하여 걸음망(53)을 들어 올린 후에 내부에 쌓인 원두의 껍질을 버린다.
그리고, 손잡이덕트(50)의 외측을 파지 한후에 원두 볶음기를 기울리면 볶음통(30) 내부에 들어 있는 볶아진 원두가 쏟아지게 된다. 이때, 손잡이덕트(50)의 외부 양측면에는 요출부(5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잡은손이 미끄러 지는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다시 걸음망(53)을 손잡이덕트(50)에 삽입시키면 손잡이덕트(5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54)에 걸음망(53)의 걸림돌기(53a)가 걸려 고정된다. 그런후에 뚜껑(40)과 손잡이덕트(50) 상부를 볶음통(30)과 손잡이덕트(50) 하부에 결합시키면 된다.
또한, 걸음망(53)이 볶음기의 정위치에 놓이지 않거나 분리된 후에 볶음기가 작동된 경우, 볶아진 생원두 껍질의 크기가 매우 작아 걸음망(53)을 통과한 경우, 걸음망(53)의 하방에 설치된 메쉬가 작은 안전 걸음망(56)에 의해 원두 껍질이 몸체(10)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그리고, 볶음기를 사용한 후에 가정용 소켓에서 전원 코드선을 분리 시키면, 전원 코드선이 자동으로 코드선 롤부재(17)에 감기게 된다.
또한, 볶음기를 이용하여 팝콘 등을 튀기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뚜껑(40)을 열고 볶음통(30) 내부로 팝콘의 재료인 옥수수 알맹이를 집어 넣는다. 그리고, 약 1분정도 뚜껑을 닫은체로 히터 엣세이(24)를 작동 시켜 열풍에 의해 팝콘 등이 튀겨 지게 한다. 이와 같이 약 1분이 지나 옥수수가 튀겨지는 소리가 들리기 시작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40)에 결합된 손잡이덕트(50) 상부를 회전시켜 손잡이덕트(50) 상부가 손잡이덕트(50) 하부를 밀폐하지 않고 타측으로 향하게 한다. 그러면, 복음통(30)내에서 열풍에 의해 팝콘 등이 튀겨 지면서, 튀겨진 팝콘은 상방으로 날린후에, 뚜껑(40)의 저면에 부딪히고 충돌을 반복하다가 뚜껑(40)의 안내덕트(43)을 통해 손잡이덕트(50)밖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상기에서, 히터 엣세이(24)의 용량이 폐열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차 충분히 옥수수알이 가열된 후에는 미열로도 옥수수를 볶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볶음기는 뚜껑(40)이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원두와 팝콘 뿐만 아니라 피넛츠나 콩 등도 용이하게 볶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볶음통(30)의 중앙부에 돌출 원주형인 열풍 분출기(31)의 외측에 사선 방향으로 다수개의 분출공(31a)이 형성되어 강력한 와류가 형성이 되고, 이 와류는 볶음통(30)벽에 부딪혀 돌기바람이 형성되어 원두가 상승운동하여 회전이동 함으로 볶음성능이 뛰어나고 원두의 껍질 게거 능력이 우수하며, 볶음기 내부에 발생된 폐열을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하여 재사용함으로서 전력 소모를 30∼40%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소형으로 외관이 심플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사용시에 소음이 적고, 팝콘 옥수수도 간편히 튀길 수 있으며, 부품이 적어 고장이 적고 조립작업이 용이하며, 제품의 포장 운반이 간편하고, 제조원가가 종래보다 30∼40%로 절감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일측에 덕트 연결부(18)가 돌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저면에는 공기 유입공(10c)을 갖는 밑판(10b)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덕트 연결부(18)측이 경사진 칸막이판(10a)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판(10a)의 저면에는 모터(15)가 설치되고, 상기 칸막이판(10a)의 상방으로 공기 유도공(20a)과 히터 안착턱(20b)을 갖는 안치부(20)가 설치되며, 상기 안치부(20)의 저면을 상방으로 관통하는 모터축(16)의 상단부에 팬(21)이 설치되고, 상기 안치부(20)의 상단에는 지지 스프링(26a)을 갖는 히터상판(26)과 하부 유도공(27a)을 갖는 히터하판(27)이 설치되며, 양판 사이에는 히터코일(25)이 설치되는 히터 엣세이(24)를 이루고, 상기 덕트 연결부(18)에는 램프 스위치(12)와 노브(13a)를 갖는 타이머(13)가 설치된 몸체(10);
    하단부에 지지환판(30a)이 형성되고, 원통형으로 저면이 개구된 열풍 분출기(31)가 상기 지지환판(30a)에 끼워져 절곡된 하단부가 상기 지지환판(30a)의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열풍 분출기(31)의 외주면에 사선방향으로 분출공(31a)이 형성된 볶음통(30);
    상기 볶음통(30)의 상방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반구형상의 뚜껑(40)과; 상기 뚜껑(40)과 연통되게 결합되는 안내덕트(43);
    상단이 상기 안내덕트(43)에 연통되게 하여 원두커피를 볶을 수 있도록 폐열을 순환시키고, 하단이 상기 칸막이판(10a)의 경사부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덕트(50)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덕트(50)의 상단에는 걸림턱(53a)이 형성되어, 걸음망(53)의 걸림돌기(54)가 상기 걸림턱(53a)에 걸려 고정되며, 하단에는 안전 걸음망(5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덕트(50)의 외측에는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 유입공(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10a)에는 폐열의 온도를 측정하는 써머 스타트(11)를 설치하여 일정온도가 유지되게 상기 히터(35)에 공급되는 전원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분출기(31) 분출공(31a)은 중앙부에 돌출 원주형으로 일정간격의 16구 이상의 형성되고, 60°각도의 사선으로 공기 분출간극이 1.6∼1.8㎜, 사선길이가 14∼16㎜이며, 상부는 열풍의 충진 및 순환을 원할히 하도록 돔(31b)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과 함께 조립된 상기 안내덕트(43)의 외측에는 연기가 나갈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밑판(10b) 하단은 스커트형상이고, 전원코드선을 자동으로 감을 수 있는 코드선 롤부재(70)가 설치되며, 미끄럼 방지를 위해 내측에 고무발(1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덕트(50)와 덕트 연결부(18)의 외부 양측면에는 파지가 용이하게 요철부(5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엣세이(24)는 하단이 상기 히터 안착턱(20b)에 놓여 고정되고 상단의 지지 스프링(26a)이 지지환판(30a)과 맞대어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5)의 기계적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소음방지 스폰지(61)와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해 전자기 차단철판(60)이 외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두커피 볶음기.
KR1019980004099A 1998-02-12 1998-02-12 원두커피 볶음기 KR100264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99A KR100264356B1 (ko) 1998-02-12 1998-02-12 원두커피 볶음기
US09/132,383 US5890418A (en) 1998-02-12 1998-08-11 Coffee bean roaster
CA002252689A CA2252689A1 (en) 1998-02-12 1998-11-03 Coffee bean roaster
US09/201,339 US6112644A (en) 1998-02-12 1998-11-30 Coffee bean roaster
JP11032106A JP3049037B2 (ja) 1998-02-12 1999-02-10 コ―ヒ―生豆焙煎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99A KR100264356B1 (ko) 1998-02-12 1998-02-12 원두커피 볶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691A KR19990069691A (ko) 1999-09-06
KR100264356B1 true KR100264356B1 (ko) 2000-08-16

Family

ID=1953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099A KR100264356B1 (ko) 1998-02-12 1998-02-12 원두커피 볶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90418A (ko)
JP (1) JP3049037B2 (ko)
KR (1) KR1002643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462A (ko) * 2000-11-24 2002-05-30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4835B1 (ko) 2007-05-22 2008-02-18 안상경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158A (ko) * 1998-12-12 1999-03-25 김종기 커피 로스터
EP1034707A1 (en) * 1999-03-10 2000-09-13 Eugene Song Coffee bean roaster
US6173506B1 (en) 1999-04-29 2001-01-16 Premark Wb Holdings, Inc. Roaster
US6195912B1 (en) * 1999-04-30 2001-03-06 Hearthware Home Products Inc.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6436457B1 (en) 1999-06-01 2002-08-20 Mojocoffee Co. Microwave coffee roasting devices
KR20010077553A (ko) * 2000-02-03 2001-08-20 장태균 가열온도 조절기능을 갖춘 가열장치
US6573483B1 (en) * 2000-03-15 2003-06-03 The Holmes Group, Inc. Programmable slow-cooker appliance
US6439861B1 (en) * 2000-11-22 2002-08-27 Sen-Yuan Shieh Blower machine with an inherent air flow heat dissipation structure
US6558726B2 (en) 2001-09-28 2003-05-06 The Metal Ware Corporation Coffee bean roasting apparatus
US20050072018A1 (en) * 2001-10-10 2005-04-07 Joseph Behm Small-batch coffee bean roaster and counter-top oven appliance
US7360481B2 (en) * 2002-05-02 2008-04-22 Hearthware Home Products, Inc. Coffee roaster having an apparatus for increasing airflow in a roasting chamber
US20030127455A1 (en) * 2002-10-16 2003-07-10 Mr. Glen T. Poss, Gtpgroup Apparatus and proces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ing a combination of microwave, conduction, convection, and latent steam
KR100531834B1 (ko) * 2004-04-06 200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흡입가이드를 구비한 배기식 의류 건조기
US20060042472A1 (en) * 2004-08-24 2006-03-02 Shore Angela M Popcorn popper
US8200520B2 (en) 2007-10-03 2012-06-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automated confirmations of meetings
IT1393389B1 (it) * 2008-10-24 2012-04-20 Bar System Europ Srl Apparecchiatura per la tostatura di chicchi di caffe' e semi commestibili in genere
US20120085242A1 (en) * 2010-10-06 2012-04-12 Union Industries (Hk) Ltd Halogen popcorn maker with stirring arm
GB2484983A (en) 2010-11-01 2012-05-02 Ikawa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CN104116055B (zh) * 2014-06-27 2016-04-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爆米花机
US11311144B2 (en) * 2015-06-03 2022-04-26 Calico Cottage, Inc. Roasting and glazing apparatus
JP6719055B2 (ja) * 2016-12-05 2020-07-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風式焙煎機
WO2018132583A1 (en) * 2017-01-12 2018-07-19 Ia Collaborative Ventures, Llc - Series Kelvin Small batch roaster
CN111632832B (zh) * 2020-05-28 2021-08-20 安徽昭日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蔬菜干燥风选装置
KR102585729B1 (ko) * 2021-02-03 2023-10-05 김원곤 열기류 순환식 원두 로스팅 장치
KR20230080594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칼디커피랩 플루다이즈드 방식의 전기식 커피 로스터
TWI820654B (zh) * 2022-03-28 2023-11-01 智易能系統股份有限公司 咖啡豆浮風烘焙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603A (en) * 1979-08-17 1981-06-09 Moore Iii Thomas J Coffee roaster
US4325191A (en) * 1980-05-16 1982-04-20 Advance Company Limited Coffee roaster
US4425720A (en) * 1981-03-05 1984-01-17 Elevitch Franklin R Coffee roaster
US4484064A (en) * 1982-07-26 1984-11-20 Murray Jerome L Coffee roaster
US4494314A (en) * 1983-11-28 1985-01-22 Gell Jr Harold A Coffee roaster
CS314585A1 (en) * 1984-05-17 1988-02-15 Anatolij M Ing Chadzijski Objemovy element a formovaci agregat pro jeho vyrobu
DE3677072D1 (de) * 1985-06-25 1991-02-28 Sanden Corp Kaffeeroester.
JPH01215271A (ja) * 1988-02-19 1989-08-29 Potsuka Corp: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US5269072A (en) * 1992-05-22 1993-12-14 Felknor International Coffee roaster
US5359788A (en) * 1993-12-22 1994-11-01 Gell Jr Harold A Coffee roaster
US5564331A (en) * 1994-11-03 1996-10-15 Imex Corporation Ltd.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US5609097A (en) * 1995-04-24 1997-03-11 Newnan; Brian D. Coffee bean roaster with visual display column
US5735194A (en) * 1997-01-03 1998-04-07 Cochran; David M. Apparatus for separating chaff and roasting coffee and cocoa bea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462A (ko) * 2000-11-24 2002-05-30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04835B1 (ko) 2007-05-22 2008-02-18 안상경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90418A (en) 1999-04-06
JPH11276139A (ja) 1999-10-12
JP3049037B2 (ja) 2000-06-05
KR19990069691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35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CA1086971A (en) Portable corn popper
US5269072A (en) Coffee roaster
US4484064A (en) Coffee roaster
US6460451B1 (en) Popcorn maker
US5481962A (en) Countertop puffing oven for pelletized foodstuffs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20090044287A (ko) 커피 로스터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US6112644A (en) Coffee bean roaster
USRE37238E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1638824B1 (ko) 커피 생원두 로스팅머신 및 그 운용방법
EP1034707A1 (en) Coffee bean roaster
US3023691A (en) Coffee maker
KR101427002B1 (ko) 튀김장치
KR970002157B1 (ko) 커피 생원두 볶음기
KR101754984B1 (ko) 생두 로스팅용 제연기
KR016311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0135197B1 (ko) 커피 원두 볶음기
KR200223740Y1 (ko) 커피메이커의 생두 볶음부 구조
JPS6145838Y2 (ko)
JP3006349U (ja) 遠赤外線チューブヒーターを設置したオーブン調理器
WO2006071137A2 (fr) Dispositif pour preparer le cafe 'hot sand'
KR20230022299A (ko) 커피 콩을 로스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0279152A (ja) 焙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