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835B1 -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835B1
KR100804835B1 KR1020070057706A KR20070057706A KR100804835B1 KR 100804835 B1 KR100804835 B1 KR 100804835B1 KR 1020070057706 A KR1020070057706 A KR 1020070057706A KR 20070057706 A KR20070057706 A KR 20070057706A KR 100804835 B1 KR100804835 B1 KR 100804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otating drum
roasting
vacuum chamber
proc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경
Original Assignee
안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경 filed Critical 안상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마련되고,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며, 가공대상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진공챔버와, 진공챔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진공챔버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이 볶음 또는 건조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이러한 가공대상물이 볶음 또는 건조 과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기존의 전도나 열풍 접촉 등에 의한 가공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대되어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가공을 위하여 가스나 유류 등의 원료를 연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그 밖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발생량을 줄임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며, 특히, 커피 생원두의 경우 내.외부의 균일한 볶음으로 인하여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 맛과 향의 질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품질을 가진 원두 커피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VACUUM TYPE ROASTER AND METHOD OF ROASTING THEREOF}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진공챔버 111 : 유입부
111a : 유입관 112 : 개폐수단
113 : 배출구 113a : 배출가이드
114 : 도어 114a : 도어실린더
115 : 히터고정부재 116 : 브라켓
117 : 지지롤러 118 : 스탠드
120 : 회전드럼 121 : 기어부
122 : 지지부 123 : 공급구
124 : 이송스크루 130 : 회전모터
131 : 회전축 132 : 구동기어
140 : 진공공급수단 141 : 진공공급관
141a : 진공공급구 142 : 진공발생부
150 : 히터
본 발명은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이 볶음 공정 또는 건조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함과 아울러 볶거나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특히, 커피 생원두의 경우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임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은 필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볶음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이다. 이들 중에서 커피는 원두 커피와 원두분쇄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가 있으며, 이들 중에서 원두 커피는 커피 열매인 생원두를 볶아서 빻은 분말을 타서 마시는 커피로서, 맛과 향이 뛰어나서 보통 정제 처리하여 제품화한 일반 커피와는 다른 맛의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원두 커피는 생원두를 고온에서 볶을 때 비로소 맛과 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원두에서는 향과 맛을 전혀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원두 커피의 맛은 원두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생원두를 볶는 과정에서 좌우되므로 생원두의 볶는 절차 및 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이로 인해 생원두를 뛰어난 향과 맛을 가지도록 볶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커피 생원두를 볶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진공식 볶는 장치(10)는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주입구(11a)가 마련되는 본체(11)와, 본체(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입구(11a)를 통해 생원두가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12)과,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는 모터(13)와, 본체(11) 내측으로 열을 공급하여 회전드럼(12)의 저면을 가열시키는 버너(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식 볶는 장치(10)는 생원두가 주입구(11a)를 통해서 회전드럼(12) 내측으로 공급되면, 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12) 내측의 생원두를 버너(14)로부터 공급되는 열로 가열하여 볶게 되며, 이 때 생원두의 볶음 과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본체(11) 상측에 마련되는 배기관(11b)을 통해서 소연기(15)를 통과함으로써 재연소되어 제거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10)는 버너(14)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회전드럼(12)의 일부분, 특히 저면에 집중될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12)의 저면에서도 가열 온도가 불균일함으로써 회전 드럼(12) 내측의 생원두 를 균일하게 볶지 못하며, 이로 인해 커피 향의 질을 저하시키고, 심지어는 열의 집중으로 인한 급속 가열로 인해서 커피 생원두의 겉부분만 과도하게 볶이기 때문에 커피 오일의 생성이 증가함으로써 커피 오일의 산화로 인하여 커피 향의 질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버너(14)의 가열만으로는 회전드럼(12)내의 생원두를 원하는 온도에서 균일하게 볶을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얻을 수 없어서 일정한 품질의 원두 커피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커피 향이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커피 향의 보존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생원두를 볶기 위해 공급되는 열의 소모가 심하여 열효율이 저하됨으로써 생원두의 볶음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로 인해 비경제적이며, 생원두의 볶음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후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커피 생원두의 볶는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이 볶음 공정 또는 건조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이러한 가공대상물이 볶거나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그 밖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발생량을 줄이며, 커피 생원두의 경우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키는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생원두, 곡물, 허브, 차잎 등의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마련되고,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며, 가공대상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진공챔버와, 진공챔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과,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진공챔버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피 생원두, 곡물, 허브, 차잎 등의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가공대상물을 진공챔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내측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진공챔버를 밀폐시켜서 진공화시키는 단계와, 회전드럼을 정해진 시간동안 회전 및 가열시키는 단계와,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진공챔버의 진공을 해제하고, 가공대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100)는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진공챔버(110)와, 진공챔버(1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120)과, 회전드럼(120)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30)와, 진공챔버(110)에 진공을 공급시키는 진공공급수단(140)과, 진공챔버(110)에 설치되는 히터(150)를 포함한다.
진공챔버(110)는 가공대상물, 예컨대 커피 생원두가 내측으로 유입되기 위해 일측에 깔대기 형상의 유입부(111)가 마련되고, 유입부(111)에서 진공챔버(110)까지 연결되는 유입관(111a)에 유입부(111)로부터의 가공대상물 공급을 개폐시킴과 아울러 진공챔버(110)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게이트밸브 등과 같은 개폐수단(112)이 설치되며, 하부에 볶아지거나 건조되어진 가공대상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3)가 형성되고, 배출구(113)에 밀폐 및 개방을 위한 도어(114)가 설치되며, 도어(114)의 테두리에 기밀력을 높이기 위하여 씰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된다.
진공챔버(110)는 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쿨링 장치 등의 후속 공정을 실시하는 장치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해 배출구(113) 하측에 배출가이드(113a)가 마련되며, 도어(114)를 공압 또는 유압 등으로 개폐시키기 위하 여 도어(114)에 도어실린더(114a)가 설치된다.
진공챔버(110)는 외부와의 단열을 위하여 외측이 단열재(미도시)로 감싸여지고, 회전드럼(120)의 하측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롤러(117)가 내측에 브라켓(1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드럼(12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치를 가지는 기어부(121)가 마련됨과 아울러 회전드럼(120)의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지지부(122)가 돌출 형성되고, 기어부(121)가 진공챔버(110)내에 브라켓(11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기어(132)에 기어 결합됨과 동시에 1개의 지지롤러(117)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부(122)가 2개의 지지롤러(117)에 의해 지지되며, 기어부(121) 및 지지부(122)가 구동기어(132) 및 지지롤러(117)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는 홈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드럼(120)이 지지롤러(117)에 회전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기어(13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구동기어(132) 및 지지롤러(117)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회전드럼(120)은 유입부(111)를 통해서 진공챔버(110) 내측으로 유입되는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측에 공급구(123)가 형성되고, 유입부(111)의 유입관(111a)이 공급구(123)를 통해서 내측까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드럼(120)은 회전시 공급구(123)를 통해서 공급되는 가공대상물을 폐쇄된 타측으로 이송시키도록 내주면을 따라 이송스크루(124)가 마련된다.
이송스크루(124)는 회전드럼(120) 내주면에 나선 형태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회전드럼(120)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회전드럼(120) 내측의 가공대상물을 공급구(123)의 반대측으로 이송시키며,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이 회전드럼(120)의 공급 구(123)를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함은 물론 가공대상물이 가열 부위의 빈번한 변경으로 인해 균일하게 볶아지거나 건조되도록 한다.
회전드럼(120)은 이송스크루(124)에 의해 가공대상물이 공급구(123)의 반대측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급구(123)가 하측을 향하도록 진공챔버(110)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송스크루(124)에 의해 회전드럼(120) 내에서 상승하는 가공대상물이 공급구(123) 반대측의 폐쇄된 측에 부딪혀서 일시적으로 아래로 이동하고 다시 이송스크루(124)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이동 거리 및 위치 변경을 증가시켜서 가공대상물의 일정 부위에 열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시킨다.
한편, 진공챔버(110)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20)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도록 스탠드(118)상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터(150)가 회전드럼(120) 주위를 따라 배열되도록 히터고정부재(115)에 의해 내측에 다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내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히터(150)와 회전드럼(120)간의 간격, 배열 등이 균일하도록 하여 히터(150)의 열이 회전드럼(120)에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회전모터(130)는 회전력 전달을 위해서 기어 또는 벨트 등을 사용하여 회전드럼(12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챔버(110) 내측으로 삽입된 회전축(131)이 구동기어(132)에 결합됨으로써 구동기어(132)를 통해서 기어부(121)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드럼(120)을 회전시킨다.
진공공급수단(140)은 진공챔버(110) 내측으로 진공을 공급하기 위하여 진공 챔버(110)로 삽입되어 회전드럼(120) 내측에 설치되는 진공공급관(141)과, 진공공급관(141)으로 공급되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 등과 같은 진공발생부(142)를 포함한다.
진공공급관(141)은 진공발생부(142)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을 회전드럼(120) 내측에 균일하게 공급함으로써 진공챔버(110)의 진공화를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드럼(120) 내부의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흡입력에 의해 제대로 제거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다수의 진공공급구(141a)가 형성된다.
히터(150)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데, 외부가 원적외선 세라믹으로 코팅되는 바(bar) 형태를 가짐으로써 가공대상물의 내.외부를 균일하게 가열시키며, 회전드럼(120)의 주위를 따라 위치하도록 히터고정부재(115)에 의해 진공챔버(110) 내주면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대상물 공급 단계(S10)와, 진공화 단계(S20)와, 회전 및 가열 단계(S30), 그리고 진공 해제 및 배출 단계(S4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진공식 볶는 장치(100)의 동작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겠다.
가공대상물 공급 단계(S10)는 가공대상물을 진공챔버(110)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120) 내측으로 공급하는 단계로서, 이를 위해 개폐수단(112)을 개방시킨 다음 유입부(111)에 가공대상물을 공급하면, 유입관(111a)을 통해서 진공챔버(110)내의 회전드럼(120) 내측으로 가공대상물이 공급된다.
진공화 단계(S20)는 가공대상물이 회전드럼(120) 내측으로 공급되면, 개폐수단(112)에 의해 유입부(111)가 폐쇄되도록 하여 진공챔버(110)를 밀폐시키고, 진공발생부(142)로부터 발생되는 진공이 진공공급관(141)을 통해서 회전드럼(120)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진공챔버(110) 내측을 진공화시킨다.
회전 및 가열 단계(S30)는 회전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구동기어(132)가 기어부(121)와 함께 회전드럼(12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 때,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터(150)가 구동하여 회전드럼(120)을 가열시킴으로써 회전드럼(120)내의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킨다. 이 때, 회전드럼(120) 주위로 위치하는 히터(150)가 회전드럼(120)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열을 공급하며, 회전드럼(120)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이 가열되는 부위가 수시로 변하게 됨으로써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시킨다.
회전드럼(120)은 가공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급구(123)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가공대상물은 회전드럼(12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이송스크루(124)에 의해 폐쇄된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볶아지거나 건조되어지며, 상방으로 이동하는 가공대상물은 회전드럼(120) 내측면과 충돌하여 일시적으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송스크루(124)에 의해 상방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어 공급구(123)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서 상하 이동을 반복하며, 이로 인해 가공대상물은 특정부위에 열이 집중되지 않아 균일하게 볶아지거나 건조된다.
진공 해제 및 배출 단계(S40)는 정해진 시간동안 회전드럼(120)을 회전시키 면서 가열하여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과정을 마치면, 진공공급관(141)을 통해서 역으로 진공을 해제하거나, 개폐수단(112) 또는 도어(114)의 개방에 의해 진공을 해제하거나, 진공챔버(110)에 마련되는 별도의 밸브 등과 같은 진공해제수단을 사용하여 진공챔버(110)의 진공을 해제한 다음, 도어실린더(114a)의 작동에 의해 도어(114)를 개방시켜서 배출구(113)를 통해서 볶아지거나 건조되어진 가공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배출된 가공대상물은 경우에 따라, 예컨대 볶아진 원두의 경우는 쿨링장치로 이송되어 쿨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챔버(110) 내측에 마련되는 히터(150) 및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120)에 의해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이 볶음 공정 또는 건조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아지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특히, 커피 생원두의 경우 특정 부위의 급속 가열을 억제하여 생원두의 내.외부가 균일하게 볶아짐으로써 커피 오일의 발생을 크게 감소시킴과 아울러 진공상태에서 볶음 공정이 진행됨으로써 커피 오일이 대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산화되지 않도록 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인다.
또한, 진공상태에서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게 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고, 히터(150)로부터 회전드럼(120)으로 공급되는 열의 균일성 및 히터(150)의 온도 제어가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특히, 커피 생원두의 경우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품질을 가진 원두 커피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진공챔버(110)내에서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게 됨으로써 외부로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기존의 전도나 열풍 접촉 등에 의한 가공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대되어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진공챔버(110) 내측으로 진공을 공급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파티클 등의 이물질을 흡입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키며, 가공을 위하여 가스나 유류 등의 원료를 연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그 밖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여 후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커피 생원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이 볶음 공정 또는 건조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이러한 가공대상물이 볶음 또는 건조 과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기존의 전도나 열풍 접촉 등에 의한 가공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대되어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가공을 위하여 가스나 유류 등의 원료를 연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그 밖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발생량을 줄임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하며, 특히, 커피 생원두의 경우 내.외부의 균일한 볶음으로 인하여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품질을 가진 원두 커피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가공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유입부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설치되며, 가공대상물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상기 진공챔버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드럼은,
    가공대상물의 공급을 위해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공급된 가공대상물을 폐쇄된 타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가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며, 상기 공급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진공챔버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볶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상기 회전드럼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히터가 상기 회전드럼 주위를 따라 배열되도록 내주면에 다수로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볶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공급수단은,
    상기 진공챔버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진공공급구가 형성되는 진공공급관과,
    상기 진공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부
    를 포함하는 진공식 볶는 장치.
  6.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가공대상물을 진공챔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드럼 내측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진공챔버를 밀폐시켜서 진공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회전드럼을 정해진 시간동안 회전 및 가열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진공챔버의 진공을 해제하고, 가공대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드럼을 회전 및 가열시키는 단계는,
    상기 회전드럼을 가공대상물이 공급되는 공급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가공대상물이 상기 회전드럼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이송스크루에 의해 폐쇄된 상방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볶아지거나 건조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식 볶는 방법.
  7. 삭제
KR1020070057706A 2007-05-22 2007-06-13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4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49562 2007-05-22
KR1020070049562 2007-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835B1 true KR100804835B1 (ko) 2008-02-18

Family

ID=3938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706A KR100804835B1 (ko) 2007-05-22 2007-06-13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835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149B1 (ko) 2007-12-28 2010-07-20 안상경 가공대상물의 가스 제거기
KR101222721B1 (ko) 2010-08-27 2013-01-15 박원도 진공건조장치
CN105380287A (zh) * 2015-10-26 2016-03-09 拉萨市达孜县兴农农机设备开发有限公司 高效青稞沙炒机
KR101618031B1 (ko) 2015-03-26 2016-05-10 이남석 곡물 로스팅 장치
KR101718663B1 (ko) * 2016-06-09 2017-03-21 남승화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WO2017048052A1 (ko) * 2015-09-18 2017-03-23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KR20170034332A (ko) 2015-09-18 2017-03-28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CN106617199A (zh) * 2017-01-06 2017-05-10 成都芯禾粮油食品有限公司 温控式大豆烘干机
KR101747545B1 (ko) * 2015-11-06 2017-06-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 로스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커피원두 처리 방법
CN107462028A (zh) * 2017-07-21 2017-12-12 河南科威阻燃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尘微胶囊包覆红磷阻燃剂的干燥系统及工艺
KR20180053002A (ko) 2016-11-11 2018-05-2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공정이 간소화된 진공식 커피 로스터
CN108576875A (zh) * 2018-06-06 2018-09-28 珠海经济特区金品电器有限公司 一种带抽真空功能的干果机
KR20190013209A (ko) * 2017-08-01 2019-02-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CN109998137A (zh) * 2019-04-11 2019-07-12 李效清 一种油电热风循环流化床炒锅
CN112539617A (zh) * 2020-12-08 2021-03-23 董凯辉 一种面霜配料系统
CN112568469A (zh) * 2019-09-27 2021-03-30 安徽顶呱呱食品有限公司 一种坚果烘炒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5271A (ja) * 1988-02-19 1989-08-29 Potsuka Corp: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JPH02302227A (ja) * 1989-05-17 1990-12-14 Nippon Dennetsu Co Ltd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100264356B1 (ko) 1998-02-12 2000-08-1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KR100342091B1 (ko) 2000-05-23 2002-06-2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3062A (ko) * 2001-01-26 2002-08-01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KR20060050159A (ko) * 2004-07-16 2006-05-19 주식회사 제니시스 곡물볶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15271A (ja) * 1988-02-19 1989-08-29 Potsuka Corp: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JPH02302227A (ja) * 1989-05-17 1990-12-14 Nippon Dennetsu Co Ltd コーヒメーカの焙煎装置
KR100264356B1 (ko) 1998-02-12 2000-08-1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KR100342091B1 (ko) 2000-05-23 2002-06-26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63062A (ko) * 2001-01-26 2002-08-01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KR20060050159A (ko) * 2004-07-16 2006-05-19 주식회사 제니시스 곡물볶음장치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149B1 (ko) 2007-12-28 2010-07-20 안상경 가공대상물의 가스 제거기
KR101222721B1 (ko) 2010-08-27 2013-01-15 박원도 진공건조장치
KR101618031B1 (ko) 2015-03-26 2016-05-10 이남석 곡물 로스팅 장치
KR101917924B1 (ko) * 2015-09-18 2018-11-12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JP2018515134A (ja) * 2015-09-18 2018-06-14 カン、キョン、フンKang Kyoung Hoon 真空式ロースター
WO2017048052A1 (ko) * 2015-09-18 2017-03-23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KR20170034332A (ko) 2015-09-18 2017-03-28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US10674756B2 (en) 2015-09-18 2020-06-09 Kyoung Hoon Kang Vacuum type roaster
EP3351119A4 (en) * 2015-09-18 2019-03-20 Kyoung Hoon Kang VACUUM ROASTER
CN105380287B (zh) * 2015-10-26 2017-05-17 拉萨市达孜县兴农农机设备开发有限公司 高效青稞沙炒机
CN105380287A (zh) * 2015-10-26 2016-03-09 拉萨市达孜县兴农农机设备开发有限公司 高效青稞沙炒机
KR101747545B1 (ko) * 2015-11-06 2017-06-2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즈마 처리 로스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커피원두 처리 방법
KR101718663B1 (ko) * 2016-06-09 2017-03-21 남승화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KR101864503B1 (ko) * 2016-11-11 2018-06-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공정이 간소화된 진공식 커피 로스터
KR20180053002A (ko) 2016-11-11 2018-05-21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공정이 간소화된 진공식 커피 로스터
CN106617199A (zh) * 2017-01-06 2017-05-10 成都芯禾粮油食品有限公司 温控式大豆烘干机
CN107462028A (zh) * 2017-07-21 2017-12-12 河南科威阻燃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尘微胶囊包覆红磷阻燃剂的干燥系统及工艺
KR20190013209A (ko) * 2017-08-01 2019-02-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KR102045038B1 (ko) * 2017-08-01 2019-11-1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CN108576875A (zh) * 2018-06-06 2018-09-28 珠海经济特区金品电器有限公司 一种带抽真空功能的干果机
CN109998137A (zh) * 2019-04-11 2019-07-12 李效清 一种油电热风循环流化床炒锅
CN112568469A (zh) * 2019-09-27 2021-03-30 安徽顶呱呱食品有限公司 一种坚果烘炒设备
CN112539617A (zh) * 2020-12-08 2021-03-23 董凯辉 一种面霜配料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35B1 (ko)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74849B1 (ko) 회전식 분말 건조장치
JP4330488B2 (ja) 過熱蒸気を利用した加熱処理装置
US11039638B2 (en) Apparatus for drying and/or roasting beans or nibs
JP2005325156A5 (ko)
JP2004313027A (ja) 茶葉の製造ライン
JP2006149382A (ja) 茶葉乾燥火入焙煎装置
KR101972510B1 (ko) 건조장치
JP2010203703A (ja) 乾燥装置
TW201605359A (zh) 烘豆機裝置
KR20090071868A (ko)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JP5401152B2 (ja) 回転型処理装置
JP6538269B2 (ja) 真空式ロースター
KR101961559B1 (ko) 스티어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파와 열풍에 의한 커피로스팅방법
JP2016077183A (ja) 茶葉熱風殺青装置
KR101455384B1 (ko) 자동 덖음기
KR100587767B1 (ko) 곡물 가열 및 냉각 장치
JP2004089043A (ja) 殺青装置
JP4285956B2 (ja) 茶葉加熱処理装置
KR200401815Y1 (ko)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
JP2020124151A (ja) 碾茶の乾燥装置及び乾燥方法
CN107751446A (zh) 饱和蒸汽式茶叶杀青机
JP2006160860A (ja) 連続式炭化処理装置
JP4391880B2 (ja) 茶葉加熱処理装置
JP7430318B2 (ja) 茶葉熱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