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1868A -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1868A
KR20090071868A KR1020070139799A KR20070139799A KR20090071868A KR 20090071868 A KR20090071868 A KR 20090071868A KR 1020070139799 A KR1020070139799 A KR 1020070139799A KR 20070139799 A KR20070139799 A KR 20070139799A KR 20090071868 A KR20090071868 A KR 20090071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vacuum chamber
cooling
drum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경
Original Assignee
안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경 filed Critical 안상경
Priority to KR1020070139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1868A/ko
Publication of KR20090071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8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킴과 아울러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공대상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유입부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밀폐를 위하여 유입부 및 배출구에 개폐수단과 도어가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히터가 설치되는 진공챔버와, 진공챔버 내측에 제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진공챔버의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가열드럼과,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여 진공챔버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진공챔버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로부터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진공챔버의 하측에 제 2 모터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냉각드럼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이송 및 투입 등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이 분리된 공간에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에 대한 가열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진공챔버, 히터, 가열드럼, 진공공급수단, 냉각드럼

Description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VACUUM TYPE ROASTER HAVING A COOLER}
본 발명은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고,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함과 아울러 향의 보존성이 뛰어나며, 가공대상물의 냉각 효율이 뛰어난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은 필수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볶음 공정이 필요한 가공대상물이다. 이들 중에서 커피는 원두 커피와 원두분쇄 커피 및 인스턴트 커피가 있으며, 이들 중에서 원두 커피는 커피 열매인 생두를 볶아서 빻은 분말을 타서 마시는 커피로서, 맛과 향이 뛰어나서 보통 정제 처리하여 제품화한 일반 커피와는 다른 맛의 커피를 즐길 수 있다.
이러한, 원두 커피는 생두를 고온에서 볶을 때 비로소 맛과 향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두에서는 향과 맛을 전혀 느낄 수 없다. 따라서, 원두 커피의 맛은 원두 의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근본적으로 생두를 볶는 과정에서 좌우되므로 생두의 볶는 절차 및 기술이 매우 중요하며, 이로 인해 생두를 뛰어난 향과 맛을 가지도록 볶기 위한 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커피 생두를 볶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피 생두 볶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피 생두 볶음 장치(10)는 상부에 깔때기 형상의 주입구(11a)가 마련되는 본체(11)와, 본체(1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주입구(11a)를 통해 생두가 내측으로 공급되는 회전드럼(12)과, 회전드럼(12)을 회전시키는 모터(13)와, 본체(11) 내측으로 열을 공급하여 회전드럼(12)의 저면을 가열시키는 버너(1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커피 생두 볶음 장치(10)는 생두가 주입구(11a)를 통해서 회전드럼(12) 내측으로 공급되면, 모터(1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12) 내측의 생두를 버너(14)로부터 공급되는 열로 가열하여 볶게 되며, 이 때 생두의 볶음 과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은 본체(11) 상측에 마련되는 배기관(11b)을 통해서 소연기(15)를 통과함으로써 재연소되어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피 생두 볶음 장치는 버너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회전드럼의 일부분, 특히 저면에 집중될 뿐만 아니라 회전드럼의 저면에서도 가열 온도가 불균일함으로써 회전드럼 내측의 생두를 균일하게 볶지 못하며, 이로 인해 커피 향의 질을 저하시키고, 심지어는 열의 집중으로 인한 급속 가열로 인해서 커피 생두의 겉부분만 과도하게 볶이기 때문에 커피 오일의 생성이 증가함으로써 커피 오일의 산화로 인하여 커피 향의 질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버너의 가열만으로는 회전드럼 내의 생두를 원하는 온도에서 균일하게 볶을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얻을 수 없어서 일정한 품질의 원두 커피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커피 향이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커피 향의 보존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생두를 볶기 위해 공급되는 열의 소모가 심하여 열효율이 저하됨으로써 생두의 볶음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로 인해 비경제적이며, 생두의 볶음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등의 발생량이 증가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시키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후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커피 생두는 볶음 공정 후 냉각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볶음 장치에 냉각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볶음 공정을 마치고 나서 냉각 공정을 거 치게 될 경우 볶음 공정을 마친 커피 생두의 이송 및 투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피 생두의 볶음 및 냉각 공정을 수행하는 일체의 장치를 개발할 경우 볶음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냉각 공정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냉각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을 마친 공간을 볶음 공정을 위해 다시 가열시킴으로써 열효율의 저하 및 가공 시간의 증가를 초래하는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상기의 문제점들은 커피 생두를 볶는 장치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키는 공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이 분리된 공간에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에 대한 가열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며,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함과 아울러 가공대상물이 볶음 또는 건조 공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가공대상물이 냉각을 위한 공기에 접하는 기회를 증대시킴으로써 균일하고도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는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킴과 아울러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공대상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유입 부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밀폐를 위하여 유입부 및 배출구에 개폐수단과 도어가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히터가 설치되는 진공챔버와, 진공챔버 내측에 제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진공챔버의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가열드럼과,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여 진공챔버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진공챔버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로부터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진공챔버의 하측에 제 2 모터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냉각드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이송 및 투입 등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이 분리된 공간에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에 대한 가열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고,
둘째,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이러한 가공대상물이 볶음 또는 건조 공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특히, 커피 생두의 경우 내.외부의 균일한 볶음으로 인하여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품질을 가진 원두 커피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하며,
셋째, 가공대상물이 냉각을 위한 공기에 접하는 기회를 증대시킴으로써 균일하고도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진공챔버에 가열드럼이 회전하도록 설치됨과 아울러 진공공급수단에 의해 진공챔버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에서 히터의 가열에 의해 가열드럼 내의 가공대상물에 대한 볶음 또는 건조 공정을 실시하고, 진공챔버의 하측에 냉각드럼을 설치함으로써 가열드럼으로부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가공대상물에 대한 냉각 공정을 실시한다. 따라서,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100)는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킴과 아울러 냉각시키는 장 치로서, 진공챔버(110)와, 진공챔버(11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열드럼(120)과, 진공챔버(110)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공급수단(130)과, 진공챔버(110)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40)와, 이송부(140)로부터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냉각드럼(150)을 포함한다.
진공챔버(110)는 가공대상물이 유입되기 위해 상단이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유입부(111)의 끝단이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일측에 가공대상물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112)가 형성되며, 내부의 밀폐를 위하여 유입부(111)에 밸브 등과 같은 개폐수단(113)이 설치됨과 아울러 배출구(112)에 개폐를 위한 도어(114)가 설치된다.
진공챔버(110)는 내측에 가열드럼(120)이 설치되는데, 가열드럼(120)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가열드럼(120) 주위에 히터(115)가 설치된다.
가열드럼(120)은 진공챔버(110) 내측에 설치되어 진공챔버(110) 외측에 설치된 제 1 모터(121)의 회전축에 연결됨으로써 제 1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진공챔버(110) 내에서 회전시 지지되도록 베어링을 가지는 회전지지부(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진공챔버(110)의 배출구(112)를 향하는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유입부(111)의 끝단이 개방측을 통해 내측으로 설치됨으로써 유입부(111)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공급된다.
가열드럼(120)은 내측의 가공대상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고, 정회전시 가공대상물이 개방측을 통해서 외측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역회전시 가공대상물이 진공챔버(110)의 배출구(112)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주면을 따 라 제 1 이송스크루(123)가 마련된다. 즉, 제 1 이송스크루(123)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가열드럼(120) 내측에 위치하는 가공대상물을 개방측으로 이송시키거나 폐쇄된 측으로 이송시킨다.
진공공급수단(130)은 진공공급라인(131)을 통해서 진공챔버(110)에 진공을 공급하고, 진공챔버(110)가 원하는 정도로 진공 상태에 도달하면 이러한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진공의 공급을 중단함과 아울러 진공공급라인(131)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132)를 차단시킴으로써 진공챔버(110)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시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송부(140)는 깔대기 형상의 입구(141)가 진공챔버(110)의 배출구(112)측에 위치함으로써 배출구(112)를 통해 가공대상물이 유입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출구(142)가 냉각드럼(150) 내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가공대상물이 냉각드럼(150)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냉각드럼(150)은 진공챔버(110)의 하측에 일체를 이루는 본체(161)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본체(161)에 설치되는 제 2 모터(151)의 회전축이 연결됨으로써 제 2 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며, 본체(161) 내측에 마련됨과 아울러 베어링을 가지는 회전지지부(152)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이송부(140)에 의해 진공챔버(110)의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이 개방된 측을 통해서 내측으로 공급된다.
냉각드럼(150)은 내측의 가공대상물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 및 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냉각 효율을 높이고, 정회전시 가공대상물이 개방측으로 이동하지 않도 록 함과 아울러 역회전시 가공대상물이 배출을 위하여 개방측으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 2 이송스크루(153)가 내주면을 따라 마련된다. 즉, 제 2 이송스크루(153)는 그 회전방향에 따라 냉각드럼(150) 내측에 위치하는 가공대상물을 개방측으로 이송시키거나 폐쇄된 측으로 이송시킨다.
냉각드럼(150)의 개방측에 냉각드럼(150)으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외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덕트(162)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드럼(150)은 내측에 가공대상물로부터 떨어져 나온 분쇄물 또는 먼지 등과 같이 부유하는 파티클과 가공대상물의 열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기덕트(154)가 내측에 설치된다.
배기덕트(154)는 흡입측이 냉각드럼(150) 내측에 설치되고, 공기흡입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냉각드럼(150) 내측의 공기를 파티클, 열기와 함께 흡입하여 배출시키는데, 파티클의 효율적인 배출을 위하여 일측, 즉 흡입측이 계단식으로 형성되고, 단마다 흡입구(155)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유입부(111)를 통해 가열드럼(120)으로 가공대상물을 공급한 다음 개폐수단(113) 및 도어(114)를 닫음으로써 진공챔버(110)를 밀폐시키고, 진공공급수단(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진공챔버(110)를 진공상태로 만든다. 이 때, 진공챔버(110)가 원하는 진공상태에 도달하면 차단밸브(132)를 닫아서 진공챔버(110)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히터(115) 및 제 1 모터(121)의 구동에 의해 가열드럼(120) 내측의 가공대상물이 위치를 계속적으로 바꾸어서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이 때, 제 1 이송스크루(123)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은 가열드럼(120)의 폐쇄된 측으로의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이 가열드럼(120)의 개방측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가공대상물에 대한 볶음 또는 건조 공정을 정해진 온도 및 시간 동안 진행하여 이를 마치면 개폐수단(113)이나 차단밸브(132), 또는 별도로 마련되는 진공해제수단 등의 개방에 의해 진공챔버(110) 내측의 진공을 해제하고, 도어(114)를 개방함과 아울러 제 1 모터(12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제 1 이송스크루(123)가 가열드럼(120) 내측의 가공대상물을 배출구(112) 측으로 이송시킨다.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은 이송부(140)에 의해 냉각드럼(150)으로 이동되고, 제 2 모터(151)의 구동에 의해 냉각드럼(150)과 제 2 이송스크루(153)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이 냉각드럼(150)의 폐쇄된 측을 향한 계속적인 이동에 의해 냉각을 위한 공기에 접촉되는 기회가 증가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각드럼(150)의 개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냉각드럼(150) 내측에 설치된 배기덕트(154)의 흡입구(155)를 통해서 냉각드럼(150) 내측에 부유하는 파티클과 같은 이물질과 내부 열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가공대상물의 품질을 높이도록 한다.
냉각드럼(150) 내에서 냉각을 마친 가공대상물은 제 2 모터(151)의 역회전에 의해 제 2 이송스크루(153)에 의해 냉각드럼(150)의 개방측을 통해서 배출되어 이 송덕트(162)를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생두나 콩, 보리, 쌀 등의 곡물은 물론 각종 허브 또는 녹차잎, 장미잎 등의 차잎 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을 인 시튜(in-situ)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공대상물의 이송 및 투입 등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볶음 또는 건조 공정과 냉각 공정이 가열드럼과 냉각드럼에서와 같이 분리된 공간에서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공간에 대한 가열 및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 1 이송스크루를 가지는 가열드럼의 회전에 의해 가공대상물을 균일하게 볶거나 건조되도록 하고, 진공챔버의 진공상태로 인해 가공대상물이 볶음 또는 건조 공정에서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향의 보존성을 증대시키며, 특히, 커피 생두의 경우 내.외부의 균일한 볶음으로 인하여 커피 오일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하여 커피의 맛과 향의 질을 높이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커피 향의 재현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동일한 품질을 가진 원두 커피의 제조를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가열드럼을 히터에 의해 가열시킴으로써 기존의 전도나 열풍 접촉 등에 의한 가공에 비하여 열효율이 증대되어 가공대상물의 볶음 또는 건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가공을 위하여 가스나 유류 등의 원료를 연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그 밖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등의 발생량을 줄임으로써 환경 오염을 방지한다.
그리고, 가공대상물이 제 2 이송스크루를 가지는 냉각드럼의 회전에 의해 냉각을 위한 공기에 접하는 기회를 증대시킴으로써 균일하고도 효율적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피 생두 볶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진공챔버 111 : 유입부
112 : 배출구 113 : 개폐수단
114 : 도어 115 : 히터
116 : 단열재 120 : 가열드럼
121 : 제 1 모터 122 : 회전지지부
123 : 제 1 이송스크루 130 : 진공공급수단
131 : 진공공급라인 132 : 차단밸브
140 : 이송부 141 : 입구
142 : 출구 150 : 냉각드럼
151 : 제 2 모터 152 : 회전지지부
153 : 제 2 이송스크루 154 : 배기덕트
155 : 흡입구 161 : 본체
162 : 이송덕트

Claims (5)

  1. 가공대상물을 볶거나 건조시킴과 아울러 냉각시키는 장치로서,
    가공대상물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유입부 및 배출구가 각각 마련되고, 밀폐를 위하여 상기 유입부 및 상기 배출구에 개폐수단과 도어가 각각 설치되며, 내측에 히터가 설치되는 진공챔버와,
    상기 진공챔버 내측에 제 1 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진공챔버의 유입부를 통해서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는 가열드럼과,
    상기 진공챔버에 진공을 공급하여 상기 진공챔버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진공공급수단과,
    상기 진공챔버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가공대상물을 하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로부터 가공대상물이 내측으로 공급되며, 상기 진공챔버의 하측에 제 2 모터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냉각드럼
    을 포함하는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드럼은,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가공대상물을 개방측으로 이송시키거나 폐쇄된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이송스크루가 내주 면을 따라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은,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가공대상물을 개방측으로 이송시키거나 폐쇄된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이송스크루가 내주면을 따라 마련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드럼은,
    내측에 부유하는 파티클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덕트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는,
    일측이 계단식으로 형성되고, 단마다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KR1020070139799A 2007-12-28 2007-12-28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KR200900718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99A KR20090071868A (ko) 2007-12-28 2007-12-28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799A KR20090071868A (ko) 2007-12-28 2007-12-28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868A true KR20090071868A (ko) 2009-07-02

Family

ID=4132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799A KR20090071868A (ko) 2007-12-28 2007-12-28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18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58B1 (ko) * 2010-11-09 2013-03-18 고적균 커피 생원두 가공장치
WO2017048052A1 (ko) * 2015-09-18 2017-03-23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CN109107873A (zh) * 2018-08-08 2019-01-01 安徽省新旭堂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加工用筛选式干燥装置
US10674756B2 (en) 2015-09-18 2020-06-09 Kyoung Hoon Kang Vacuum type roas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458B1 (ko) * 2010-11-09 2013-03-18 고적균 커피 생원두 가공장치
WO2017048052A1 (ko) * 2015-09-18 2017-03-23 강경훈 진공식 로스터
US10674756B2 (en) 2015-09-18 2020-06-09 Kyoung Hoon Kang Vacuum type roaster
CN109107873A (zh) * 2018-08-08 2019-01-01 安徽省新旭堂茶业有限公司 一种茶叶加工用筛选式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35B1 (ko) 진공식 볶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039638B2 (en) Apparatus for drying and/or roasting beans or nibs
KR101874849B1 (ko) 회전식 분말 건조장치
US10448663B2 (en) Coffee roaster
KR20090071868A (ko) 냉각수단을 가지는 진공식 볶음 장치
CN103504453A (zh) 具热气回收的咖啡豆烘培机结构及其加热模块
KR100907684B1 (ko) 열풍식 커피 로스터
KR101718663B1 (ko) 볶음장치를 구비한 열풍식 고추 건조장치
JP6538269B2 (ja) 真空式ロースター
EP2106228A1 (en) Method for roasting coffee beans and coffee bean roaster using the same
WO1992012643A1 (en) A method for the drying and roasting of coffee and cocoa beans
KR101961559B1 (ko) 스티어러가 내부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파와 열풍에 의한 커피로스팅방법
TWM530043U (zh) 烘豆機
KR200401815Y1 (ko) 고춧가루 및 곡물가루 건조기
KR20090039917A (ko) 자동 덖음기
KR101244458B1 (ko) 커피 생원두 가공장치
JP2004081168A (ja) 茶葉加熱処理装置
JP5052766B2 (ja) 粉粒物質の蒸気加熱殺菌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用いた殺菌方法
CN213020700U (zh) 一种有机肥料电加热烘干换热装置
JP3809109B2 (ja) 茶葉の蒸熱処理装置
OA18836A (en) Apparatus for drying and/or roasting beans or nibs.
WO2005025340A1 (ja) 粉粒体用ロースター
JP2020178662A (ja) 茶葉の加工装置
KR102174365B1 (ko) 곡물볶음장치
KR20130121570A (ko)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