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4287A - 커피 로스터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4287A
KR20090044287A KR1020070110320A KR20070110320A KR20090044287A KR 20090044287 A KR20090044287 A KR 20090044287A KR 1020070110320 A KR1020070110320 A KR 1020070110320A KR 20070110320 A KR20070110320 A KR 20070110320A KR 20090044287 A KR20090044287 A KR 20090044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ffee
coffee beans
main body
rotary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037B1 (ko
Inventor
이건집
Original Assignee
엔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037B1/ko
Priority to JP2008082694A priority patent/JP4643678B2/ja
Publication of KR2009004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커피콩을 볶을 수 있으며,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열을 균일하게 가하여 완성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콩껍질의 회수가 용이한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회전날개(40)가 구비되며 커피콩이 수납되는 포트(30)와,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포트(30)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내부에는 포트(30)를 가열하는 히터(20)와 상기 회전날개(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힌지결합(51)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커버(50)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30)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날개(40)가 회전됨에 따라 커피콩이 돌기(33)에 부딪쳐서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가 제공된다.
커피, 커피로스터, 포트, 구동모터, 회전축

Description

커피로스터{A coffee roaster}
본 발명은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커피콩을 볶을 수 있으며,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열을 균일하게 가하여 완성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콩껍질의 회수가 용이한 커피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콩의 원두를 볶는데 사용되는 커피로스터는 내부에 히터와 팬이 장착된 본체와, 내부에 커피콩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포트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포트의 하측면에는 상기 본체와 연통되도록 통기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트에 소정량의 커피콩을 담고 팬과 히터를 가동시키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포트 내부에 담긴 커피콩이 가열되어 볶아진다.
이때, 상기 포트 내부에 담긴 커피콩을 서로 잘 섞어서 커피콩이 타지 않고 균일하게 볶아질 수 있도록, 종래의 커피로스터는 포트의 하측면에 형성된 통기공 을 나선방향으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팬에 의해 포트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포트 내부에서 나선방향으로 선회되어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상승하여 포트의 상측에 형성된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며, 포트 내부의 커피콩은 공기에 의해 상승되면서 상호 섞이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피로스터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상승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커피콩을 섞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커피콩 전체를 나선방향으로 선회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풍량 및 풍속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팬의 용량이 커야 할 뿐 아니라 많은 양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히터의 발열량 역시 커야 하므로, 전기소모가 많을 뿐 아니라 본체의 사이즈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커피콩을 볶을 때 인체에 유해한 유기화합물과 같은 가스가 발생되므로, 실내 공간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피콩을 용이하게 순환시키면서 볶을 수 있어서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커피콩을 볶을 수 있으므로 완성품의 품질이 우수하며,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완전연소시켜서 실내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콩껍질의 회수가 용이하여 청소가 간편한 커피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회전날개(40)가 구비되며 커피콩이 수납되는 포트(30)와,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포트(30)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내부에는 포트(30)를 가열하는 히터(20)와 상기 회전날개(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힌지결합(51)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커버(50)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30)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날개(40)가 회전됨에 따라 커피콩이 돌기(33)에 부딪쳐서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기(33)는 상기 포트(30) 중앙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회전날개(40)는 상 기 돌기(33)와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트(30)에는 유입공(44)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유입공(44)을 통해 포트(30) 내부로 강제송풍시키는 팬(19)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포트(30)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히터(73)를 포함하는 가스제거장치(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트(30)의 둘레부 하단에는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콩껍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30)의 외측 둘레부에 위치되어 배출공(34)을 통해 배출되는 콩껍질이 담아지는 껍질수납통(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피콩이 채워지는 포트(30)의 저면에 돌기(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돌기(33)의 상측부를 경로로 하는 날개부(42)가 구비된 회전날개(40)의 회전에 의해 커피콩이 돌기(33)에 부딪쳐서 상부로 부유되어 순환되면서 볶아지므로, 커피콩이 균일하면서도 신속하게 볶아져서 품질이 우수한 커피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33)를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날개 부(42)를 돌기(33)와 크로스되는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커피콩이 돌기(33)와 날개부(42)에 끼이는 것이 방지되어 커피콩이 보다 효율적으로 순환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포트(30)를 가열하는 히터(20)를 포트(30)와 밀착되도록 하는 탄성가압부재(23)를 구비하여, 포트(30)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서 커피콩의 품질이 더욱 우수하다. 또한, 회전날개(40)의 기계적인 회전에 의해 커피콩이 순환하게 되므로, 종래 커피콩을 순환시킬 정도로 풍량이 불필요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피콩이 볶아질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다시 완전히 연소시킴으로써, 커피콩의 맛이 변질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포트(30)의 둘레부에 껍질수납통(60)을 설치하여 볶아진 커피콩의 콩껍질이 회전날개(4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작용하여 껍질수납통(60)에 수납되므로, 볶아진 커피콩과 콩껍질을 일일이 분리하는 작업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로스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이 고,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포트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껍질수납통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팬(19)과 히터(20) 및 구동모터(16)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수납부(11)에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내부에는 커피콩이 채워지는 포트(30)와,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축(17)에 설치되어 포트(30) 내부에 위치되며 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40)와, 상기 개구부(12)의 일측에 힌지결합(51)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커버(50)와, 상기 포트(30)의 외측부에 구비되어 포트(30)에서 배출되는 콩껍질이 수납되는 껍질수납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하면이 평면을 이루는 다각기둥 또는 다면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평단면이 원형인 수납부(11)가 형성되며, 이 수납부(11)의 상면은 개방되어 원형의 개구부(12)를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10)의 서로 대향되는 양 측면에는 본체손잡이(10a)가 구비되고, 하단부 측면에는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11)의 저면 중앙부에는 통공(1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11)의 저면의 하측부에는 구동모터(16)가 설치되고, 이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17)이 상기 통공(13)을 관통하여 직립설치된다. 또한, 수납부(11)의 저면의 하측부에는 팬모터(18)와, 이 팬모터(18)에 의해 구동되는 팬(19)이 설치된다.
상기 히터(20)는 상기 수납부(11)의 평단면보다 직경이 다소 축소되고 중앙부에 상기 회전축(17)이 관통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된 형상이며, 그 내부에 열선 이 수납된다. 이 히터(20)는 수납부(11)의 바닥면에 상기 통공(13)과 관통공(21)이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수납부(11)의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20)를 상부로 가압하는 복수개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탄성가압부재(23)가 구비되어, 히터(20)가 포트(30)의 저면과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포트(30)에 열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포트(30)는 상면이 개방되며 그 둘레부에는 플랜지(31)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수납부(11)에 수납되며, 내부에는 커피콩이 채워진다. 이때, 포트(30)의 플랜지(31)가 본체(10) 개구부(12)의 둘레부에 걸려지며, 포트(30)의 저면은 상기 히터(20)와 접촉된다. 그리고, 포트(30)의 상단 둘레부에는 포트손잡이(35)가 구비되어, 뜨겁게 가열된 포트(30)를 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이 포트(30)의 저면 중앙부에는 상기 통공(13) 및 관통공(21)과 대응되는 삽입공(3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7)이 삽입공(32)을 통해 포트(20)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포트(30)의 바닥면에는 일단이 중앙부의 삽입공(32)에 위치된 나선경로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돌기(33)가 반시계 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포트(30)의 하단부 측면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34)이 형성되며, 이 배출공(34)의 하단은 포트(30)의 바닥면과 동일평면이거나 포트(30)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콩껍질이 배출공(34)을 통해 포트(3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팬(19)은 외부의 공기를 포트(30) 내부로 강제송풍시키는데, 외부공기는 흡입구(14)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 통공(13)과 관통공(21) 및 삽입공(32)을 경유하여 포트(30) 내부로 송풍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수납부(11)의 하단부 측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기구(15)가 형성되어, 상기 포트(30) 내부에 유입된 외부공기는 배출공(34)과 배기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포트(3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된다.
상기 회전날개(40)는 중앙부가 포트(30)의 삽입공(32)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17)의 상단과 결합되는 고정부(41)와, 이 고정부(41)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수평연장 형성된 한 쌍의 날개부(42)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날개(40)의 고정부(41)에는 클러치(43)가 설치되어, 고정부(41)가 회전축(17)과 용이하게 접속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상기 회전날개(40)가 회전축(17)에 결합된 상태에서 날개부(42)는 상기 돌기(33)의 상단부와 근접되도록 형성되며, 돌기(33)와 반대방향의 나선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33)와 크로스되도록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는 생산되는 지역마다 커피콩의 크기가 달라서 날개부(42)와 돌기(33) 사이에 커피콩이 끼일 수 있는 점을 예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커피콩을 부유시켜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부(42)는 회전되면서 상기 돌기(33)와의 사이각이 항상 직각을 유지하도록 하여, 커피콩의 끼임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날개(40)의 고정부(41)의 하측에는 포트(30)의 삽입공(32)과 연통되며 측벽에는 다수개의 유입공(44)이 형성된 링 형상부재가 구비되어, 삽입공(32)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를 포트(30)의 여러 방향으로 분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부공기가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가스의 전량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서 포트(30)에 채워진 커피콩이 볶아지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일측이 본체(10) 개구부(12)의 둘레부에 힌지결합(51)되고, 타측에는 손잡이(52)와 잠금레버(53)가 형성된다. 이 잠금레버(53)는 상하 회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2a)에 삽탈된다.
상기 껍질수납통(60)은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포트(30)와 히터(20)의 둘레부에 위치되도록 본체(10) 수납부(11)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껍질수납통(60)의 상단부 내측벽이 개구되어 포트(30)의 배출공(34)을 통해 배출되는 콩껍질을 받이할 수 있도록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홈의 외측벽이 상향 연장 형성되어, 배출되는 콩껍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껍질수납통(60)의 상단에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원호 형상의 손잡이부재(62)가 구비되어, 껍질수납통(60)를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한편, 커피콩의 콩껍질은 회전날개(40)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받게 되어 배출공(34)을 통해 껍질수납통(60)으로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이 껍질수납통(60)에는 상기 수납부(11)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에 본체(10)의 배기구(15)와 연통되도록 망(61)이 형성되어, 포트(30) 내부로 유입된 공기 뿐 아니라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가스가 껍질수납통(60)의 망(61)과 배기구(15)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배기구(15)를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와 공기를 포집하여 재연소시키는 가스제거장치(70)가 구비된다. 이 가스제거장치(70)는 일측이 상기 배기구(15)와 연통되며 타측에는 연소가스배출공(72)이 형성된 케이스(71)와, 이 케이스(71) 내부에 구비되어 배기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다시 연소시키는 가스연소히터(7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스연소히터(73)는 내열성의 세라믹판(74)에 열선(75)이 감겨진 형태이며, 세라믹판(74)에는 도시안된 퓨즈와 바이메탈이 구비되어 가스연소히터(73)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전류를 차단하여 과부하를 방지한다. 또한, 케이스(71)의 외측에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커버(76)와 이 차단커버(76)와 소정간격 이격된 망 형상의 안전커버(77)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열로부터 안전하게 이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또 다른 일 측면에는 조작판(80)이 구비되는데, 이 조작판(80)은 8단계의 커피의 색상을 그대로 표시하고 있다. 이 조작판(80)에는 여러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노브(81)가 구비되고, 이 회전노브(81)가 가리키는 색상이 되도록 커피콩을 볶게 하는 컨트롤유닛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색상에 상기 회전노브(81)를 맞추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색상의 커피콩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된다. 이때, 이 컨트롤유닛은 히터(20)의 온도와 커피콩의 가열시간 및 냉각시간 등을 제어하고, 팬모터(18)의 구동 및 구동시간 등을 제어하며, 가스연소히터(73)의 작동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로스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 중 포트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 중 껍질수납통의 사시도

Claims (4)

  1. 내부에 회전날개(40)가 구비되며 커피콩이 수납되는 포트(30)와,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포트(30)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며 내부에는 포트(30)를 가열하는 히터(20)와 상기 회전날개(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6)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면 일측에 힌지결합(51)되어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커버(50)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30)의 내부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돌기(3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날개(40)가 회전됨에 따라 커피콩이 돌기(33)에 부딪쳐서 상부로 부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33)는 상기 포트(30) 중앙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회전날개(40)는 상기 돌기(33)와 반대방향으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30)에는 유입공(44)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 내부에는 외부공기를 유입공(44)을 통해 포트(30) 내부로 강제송풍시키는 팬(19)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측면에는 상기 포트(30)에서 발생되는 배출가스를 연소시키는 가스연소히터(73)를 포함하는 가스제거장치(70)가 더 구비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30)의 둘레부 하단에는 커피콩을 볶을 때 발생되는 콩껍질을 배출시키는 배출공(34)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30)의 외측 둘레부에 위치되어 배출공(34)을 통해 배출되는 콩껍질이 담아지는 껍질수납통(6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로스터.
KR1020070110320A 2007-10-31 2007-10-31 커피 로스터 KR100918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320A KR100918037B1 (ko) 2007-10-31 2007-10-31 커피 로스터
JP2008082694A JP4643678B2 (ja) 2007-10-31 2008-03-27 コーヒーロース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320A KR100918037B1 (ko) 2007-10-31 2007-10-31 커피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287A true KR20090044287A (ko) 2009-05-07
KR100918037B1 KR100918037B1 (ko) 2009-09-18

Family

ID=4077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320A KR100918037B1 (ko) 2007-10-31 2007-10-31 커피 로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43678B2 (ko)
KR (1) KR100918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59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용 제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3072B1 (ko) 2010-01-12 2011-10-12 남승국 커피 로스터
KR101181717B1 (ko) 2010-01-27 2012-09-19 홍진표 커피로스터
KR101217086B1 (ko) * 2011-02-23 2012-12-3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101217087B1 (ko) * 2011-02-23 2012-12-3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곡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101248566B1 (ko) 2011-04-19 2013-03-28 주식회사 나본 커피 머신의 생원두 로스팅 기구
KR101310352B1 (ko) 2011-08-03 2013-09-23 이현숙 커피로스터
KR101199451B1 (ko) * 2012-04-18 2012-11-12 홍진표 커피로스터
KR101678462B1 (ko) * 2014-06-16 2016-11-22 김진환 커피 로스터
CN105768141A (zh) * 2016-04-12 2016-07-20 深圳市学院派咖啡有限公司 一种智能咖啡无烟烘焙机
CN106036946B (zh) * 2016-06-03 2018-01-16 南京航空航天大学 利用余热回收系统乏汽热的果蔬片烘干系统及方法
KR101776217B1 (ko) * 2016-08-04 2017-09-06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 장치
KR101948218B1 (ko) 2017-08-02 2019-02-13 (주)비단생 오븐 및 커피 로스팅 기능을 겸한 황토가마 구조
KR102077991B1 (ko) * 2018-12-18 2020-02-17 김왕근 커피 로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957Y2 (ko) * 1987-01-30 1992-06-12
JPS6416574A (en) * 1987-07-13 1989-01-20 Takashige Sueyoshi Small-sized roasting device
JPH0272828A (ja) * 1988-03-10 1990-03-13 Isamu Miya 珈琲豆の簡易焙煎方法
JP2596608Y2 (ja) * 1993-11-12 1999-06-21 株式会社上野製作所 焙煎器
KR0131313Y1 (ko) * 1995-12-12 1998-12-01 이홍훈 커피콩 볶음기
US5950526A (en) * 1998-12-22 1999-09-14 Lundar Electric Industrial Co., Ltd. Fruit dehydrator
US7360481B2 (en) * 2002-05-02 2008-04-22 Hearthware Home Products, Inc. Coffee roaster having an apparatus for increasing airflow in a roasting chamber
KR100463341B1 (ko) * 2002-09-18 2004-12-23 송유진 원두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9959A1 (ko) * 2016-10-27 2018-05-03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용 제연기
CN109862813A (zh) * 2016-10-27 2019-06-07 特库株式会社 生豆烘焙用除烟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43678B2 (ja) 2011-03-02
JP2009106266A (ja) 2009-05-21
KR100918037B1 (ko) 200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44287A (ko) 커피 로스터
KR100264356B1 (ko) 원두커피 볶음기
KR100679674B1 (ko) 곡물볶음장치
KR101796486B1 (ko) 커피 머신
KR20090030655A (ko) 가정용 커피콩 볶음기
KR20080064951A (ko) 식품 로스터
KR20010040260A (ko) 커피 원두 볶음용 기구
CN204839220U (zh) 无油空气炸锅
KR200467579Y1 (ko) 다용도 로스팅기
KR102077991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US6112644A (en) Coffee bean roaster
KR101457054B1 (ko) 커피 로스터
KR101359355B1 (ko) 커피 로스터
KR20120054909A (ko) 커피쿨러
KR101826483B1 (ko) 곡물 볶음장치
USRE37238E1 (en) Apparatus for roasting coffee beans
KR100321351B1 (ko) 커피로스터
CN109862813B (zh) 生豆烘焙用除烟机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KR102437820B1 (ko) 커피 로스팅기
TWM499071U (zh) 直立便攜式咖啡豆烘焙機
CN215993696U (zh) 上盖及具有其的烹饪器具
KR940002154Y1 (ko) 팝콘기
CN218044825U (zh) 一种烹饪器具
CN209749770U (zh) 一种干果制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