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811B1 - 로스터 - Google Patents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811B1
KR101310811B1 KR1020110133442A KR20110133442A KR101310811B1 KR 101310811 B1 KR101310811 B1 KR 101310811B1 KR 1020110133442 A KR1020110133442 A KR 1020110133442A KR 20110133442 A KR20110133442 A KR 20110133442A KR 101310811 B1 KR101310811 B1 KR 10131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posed
roasting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784A (ko
Inventor
정순철
Original Assignee
정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철 filed Critical 정순철
Priority to KR102011013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811B1/ko
Priority to CN2012105192954A priority patent/CN103156266A/zh
Publication of KR2013006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로스터가 제공된다. 상기 로스터는, 내부에 망 드럼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부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를 갖는 가열부, 및 상기 로스팅부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블로우어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내부가 통할 수 있다. 상기 로스터는 로스팅되는 대상물을 골고루 로스팅하여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로스터{ROASTER}
본 발명은 로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가열하여 로스팅에 이용하는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 로스터는 드럼에 열원을 직접 제공하여, 상기 열원에 의해 드럼 내 커피 원두를 직접 가열하여 볶는다. 그러나, 버너와 같은 열원이 커피 원두가 수용되는 드럼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드럼의 온도가 급격하게 가열되어 커피 원두가 미처 볶아지기 전에 타게 되어 커피 원두가 손상될 수 있다. 또, 열원이 열이 잘 전달되는 쪽의 커피와 열원이 잘 전달되지 않는 그 반대쪽의 커피는 열이 전달되는 정도가 달라 커피 원두가 골고루 볶아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 열원이 커피 원두를 수용한 드럼의 표면에 직접 닿기 때문에 열원의 불꽃이 조금만 커지거나 작아져도 로스팅 온도가 쉽게 높아지거나 낮아져서 커피 원두의 로스팅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의해 로스팅되는 커피 원두는 맛과 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82656호(2011.07.20.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34062허(2008.04.18.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977997호(2010.08.25.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로스팅되는 대상물을 골고루 로스팅하여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로스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스터는, 내부에 망 드럼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부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를 갖는 가열부, 및 상기 로스팅부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블로우어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내부가 통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로우어는 상기 공기를 상기 가열부에서 상기 로스팅부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터는 상기 하우징 내 상기 망 드럼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망 드럼에 연결되어 상기 망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종동 풀리, 벨트에 의해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로스팅부를 지지하는 로스팅부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로우어는 상기 로스팅부 지지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망 드럼과 내부가 통하는 투입 연결관, 상기 투입 연결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 연결관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기, 및 상기 투입 연결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기를 작동하는 투입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터는 상기 투입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망 드럼에 로스팅 할 대상물을 투입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는, 상기 로스팅할 대상물을 제공받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투입 용기, 및 상기 투입 용기와 상기 투입 연결관을 연결하는 투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 연결관은 그 내부의 상기 개폐기 위에 배치되는 내부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입관은 상기 내부 연결관 위에 상기 투입 연결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투입 연결관을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을 외부에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배출 문, 상기 제1 배출 문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출 문을 개폐하는 제1 배출 레버, 및 상기 제1 배출 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 내의 로스팅이 완료된 대상물이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 배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터는 상기 배출 가이드 아래에 배치되어 로스팅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 상기 원통형 측벽 하부면에 제공되는 망 판, 상기 망 판 위에 배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섞는 혼합축, 상기 원통형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 문, 상기 제2 배출 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출 문을 개폐하는 제2 배출 레버, 및 상기 제2 배출 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이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는 제2 배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 가이드의 바닥면은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망 판에 연결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개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냉각하는 제2 블로우어, 상기 제1 블로우어 아래의 상기 제2 블로우어 일측에 배치되는 수거통, 상기 제2 블로우어와 상기 수거통을 연결하는 제2 배관, 및 상기 수거통을 상기 몸체부 외부로 연결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는 검사 레버, 및 상기 검사레버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망 드럼 내에 배치되는 시료 채취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사 레버를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시료 채취 용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는 내부 검사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스터는, 상기 몸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스터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스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가열하여 이를 로스팅에 이용함으로써 로스팅되는 대상물을 골고루 로스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스팅되는 대상물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로스팅 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스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스터에 포함되는 망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스터에 포함되는 투입부와 투입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로스터에 의해 수행되는 로스팅을 설명하기 위한 로스팅부와 가열부의 단면도들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스터는 커피 원두, 콩, 옥수수 등 다양한 식품을 로스팅(볶거나 구음)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스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스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로스터에 포함되는 망 드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로스터에 포함되는 투입부와 투입 연결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로스터(10)는 로스팅부(100), 가열부(200), 몸체부(300), 투입부(400), 배출부(500), 제어부(600), 및 이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스팅부(100)는 하우징(110), 망 드럼(120), 구동 장치(130), 냉각팬(140), 검사 레버(150), 투입 레버(160), 투입 연결관(165), 배출 레버(170), 배출 문(175), 및 배출 가이드(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에 망 드럼(120), 구동 장치(130), 및 흡입 팬(140)이 제공되고, 하우징(110) 전면에 검사 레버(150), 투입 레버(160), 투입 연결관(165), 배출 레버(170), 배출 문(175), 및 배출 가이드(180)가 제공된다.
망 드럼(120)은 원통형의 메시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시망을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망 드럼(1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망 드럼(120) 내부의 공기가 그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메시망의 눈은 커피 원두보다 작은 크기를 갖되, 가열된 공기의 효율적인 이동과 그에 따른 열전달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망 드럼(120)의 일단은 커피 원두의 투입 및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망 드럼(120)의 타단은 회전축(135)이 통과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폐쇄될 수 있다. 망 드럼(120)의 내부면에는 날개(125)가 배치될 수 있다. 날개(125)는 커피 원두를 로스팅할 때 골고루 섞어주는 기능을 한다. 날개(125)는 커피 원두를 골고루 섞기 위해 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장치(130)는 구동 모터(131), 구동 풀리(132), 벨트(133), 종동 풀리(134), 회전축(135), 및 연결봉(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풀리(132)는 구동 모터(131)에 연결되고, 구동 모터(131)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 구동 풀리(132)는 벨트(133)에 의해 종동 풀리(134)에 연결된다. 회전축(135)은 종동 풀리(134)에 연결되어, 종동 풀리(134)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135)은 망 드럼(120)의 한쪽 면을 통과하여 망 드럼(120)의 내부로 신장한다. 회전축(135)은 그 일단에 배치된 연결봉(136)에 의해 망 드럼(120)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135)의 회전력을 망 드럼(120)에 효과적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연결봉(136)의 개수는 둘 이상일 수 있다.
구동 모터(131)는 제어부(600)의 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동 모터(131)의 동작에 의해 구동 풀리(132)가 회전하고, 이에 의해 벨트(133), 종동 풀리(134), 회전축(135), 및 연결봉(136)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축(135)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35)에 연결된 망 드럼(120)이 회전한다. 망 드럼(120)의 회전에 의해 망 드럼(120)에 제공된 커피 원두가 로스팅되는 동안 골고루 섞일 수 있고, 또 골고루 로스팅될 수 있다.
냉각팬(140)은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140)은 구동 장치(130)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한다.
검사 레버(150)에 시료 채취 용기(155)가 연결된다. 시료 채취 용기(155)는 망 드럼(120) 내부에 위치하며, 검사 레버(150)를 인출하는 것에 의해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커피 원두를 로스팅할 때 로스팅되는 커피 원두의 일부가 시료 채취 용기(155)에 담겨져 밖으로 인출됨으로써 커피 원두의 로스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투입 연결관(165)은 망 드럼(120)과 투입부(400)를 연결한다. 투입부(400)에 로스팅할 커피 원두가 제공되면, 상기 커피 원두는 투입 연결관(165)을 통해 망 드럼(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투입 연결관(165)의 중간 부분에 투입 레버(160)가 연결된다. 투입 레버(160)는 투입 연결관(165)의 꺾여진 부분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기(161)에 연결된다. 투입 레버(160)를 아래로 내리면 투입 레버(160)에 연결된 개폐기가 작동되어 투입 연결관(165) 내부가 개방되고 투입부(400)의 커피 원두가 망 드럼(120)으로 유입된다.
배출 레버(170)는 하우징(110) 전면에 제공되는 배출 문(175)에 연결된다. 배출 레버(170)를 아래로 내리면 배출 문(175)이 작동되어 망 드럼(120) 내부가 하우징(110) 외부로 개방되고, 망 드럼(120) 내의 로스팅된 커피 원두가 배출부(500)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180)는 망 드럼(120) 내의 커피 원두가 배출부(500)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로스팅부(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내부 검사경(190)과 온도 표시계(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검사경(190)을 통하여 망드럼(120)의 동작 상태와 커피 원두의 로스팅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온도 표시계(195)는 아날로그 방식으로서 제어부(600)의 디지털 온도 표시계(630)와 함께 망드럼(120) 내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가열부(200)는 로스팅부(100) 위에 배치된다. 가열부(200)와 로스팅부(100)는 서로 개방되어 그 내부가 통할 수 있다. 가열부(200)는 히터봉(210)과 공기흡입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200)의 내부와 로스팅부(100)의 내부가 서로 통하기 때문에 제1 블로우어(310)의 작동에 의해 로스터(10) 외부의 공기가 공기흡입구(220)를 통하여 가열부(200) 내로 흡입될 수 있다. 히터봉(210)은 흡입된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부(200)는 둘 이상의 히터봉(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히터봉(210)의 개수는 커피 원두의 가열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히터봉(21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망드럼(120)에 제공되고, 망드럼(120) 내의 커피 원두가 로스팅된다.
몸체부(300)는 제1 블로우어(310), 제2 블로우어(315), 수거통(320), 제1 내지 제3 배관(331, 332, 333), 로스팅부 지지대(340), 용기 받침대(350), 및 몸체 전·후문(360, 365)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0)와 로스팅부(100)는 서로 개방되어 그 내부가 통할 수 있다.
제1 블로우어(310)는 로스팅부 지지대(3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로스터(10)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제1 블로우어(310)에 의해 공기 흡입구(220)를 통하여 가열부(200) 내로 흡입된 후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망 드럼(120) 내로 제공되어 로스팅에 사용된다. 망 드럼(120) 내의 공기는 제1 블로우어(310)에 의해 몸체부(300) 하부로 보내지고, 수거통(320)과 제3 배관(3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2 블로우어(315)는 몸체부(300) 하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블로우어(315)는 제1 배관(331)을 통하여 배출부(500)의 하부면인 망 판(520)에 연결된다. 제2 블로우어(315)는 망판(520)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스팅부(100)에서 배출부(500)로 배출된, 로스팅된 커피 원두가 냉각될 수 있다. 또, 커피 원두의 껍질 및 이물질 등(이하, '원두 껍질 등'이라 함)이 제1 배관(331)을 통하여 제2 블로우어(315)로 흡입될 수 있다.
수거통(320)은 몸체부(300) 하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수거통(320)은 제2 배관(332)을 통하여 제2 블로우어(315)와 연결된다. 수거통(320)은 제2 배관(322)을 통하여 제2 블로우어(315)로 흡입된 원두 껍질 등을 수거할 수 있다. 또, 수거통(320)은 망드럼(120)으로부터 떨어지는 원두 껍질 등을 수거할 수 있다. 수거통(320)은 제3 배관(333)을 통하여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수거통(320)에 수거되는 원두 껍질 등은 제3 배관(33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 원두 껍질 등을 소정의 위치로 배출하기 위해 제3 배관(333)에 다른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로스팅부 지지대(340)는 로스팅부(100)를 지지한다. 로스팅부 지지대(340)와 로스팅부(100)는 서로 개방되어 그 내부가 통할 수 있다. 로스팅부(100)의 망 드럼(120)에서 떨어지는 원두 껍질 등이 로스팅부 지지대(340)를 통하여 수거통(320)으로 수거될 수 있다. 로스팅부 지지대(340)는 검사 문(345)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문(345)을 개방하는 것에 의해 로스팅부 지지대(340)의 내부를 볼 수 있다. 또, 검사 문(345)은 내부 검사경(346)을 포함할 수 있어, 검사 문(345)을 개방하지 않아도 내부 검사경(346)을 통하여 내부를 볼 수 있다. 또, 검사 문(345)과 내부 검사경(346)을 통하여 로스팅부 지지대(340) 내부에 배치된 제2 블로우어(315)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용기 받침대(350)는 몸체부(30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신장할 수 있다. 용기 받침대(350)는 원두 용기(355)를 지지할 수 있다. 배출부(500)에서 냉각된 커피 원두는 원두 용기(355)로 배출된 후 다른 곳으로 이송되어 보관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몸체 전문(360)과 몸체 후문(365)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 전문(360)과 몸체 후문(365)을 통하여 몸체부(300) 내부를 검사하거나, 내부에 여러 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몸체부(300)는 제1 블로우어(310), 제2 블로우어(315), 수거통(320), 및 제1 내지 제3 배관(331, 332, 333) 외에 다른 장치, 예를 들어 전기 및 전자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400)는 투입 용기(410)와 투입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입관(420)은 투입 연결관(165)에 연결된다. 투입 용기(410)에 제공되는 커피 원두는 투입관(420)과 투입 연결관(165)을 통하여 망 드럼(120)에 제공되어 로스팅된다.
투입 연결관(165) 내부의 개폐기(161) 위에 내부 연결관(166)이 제공될 수 있다. 투입관(420)은 투입 연결관(165)과 이격되도록 내부 연결관(166)위에 배치될 수 있다. 투입관(420)은 투입 연결관(165)을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167)에 의해 내부 연결관(166) 위에 고정될 수 있다. 투입관(420)이 투입 연결관(165)과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로스팅 동안 망 드럼(120)으로부터 투입 연결관(165)을 통하여 투입관(420)과 투입 용기(410)로 전달되는 열이 차단될 수 있다. 투입관(420)과 투입 용기(410)에 제공되어 있는 커피 원두가 망 드럼(120)에서 로스팅되기 전에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피 원두에 대한 편중 가열 및 이중 가열이 방지될 수 있어 로스팅 후 커피 원두는 우수한 품질을 가질 수 있다.
배출부(500)는 원통형 측벽(510), 망 판(520), 혼합축(530), 배출 레버(540), 배출 문(545), 및 배출 가이드(550)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측벽(510) 하부면에 망 판(520)이 제공되고, 망 판(520)은 제1 배관(331)에 의해 제2 블로우어(315)에 연결된다. 망 판(520)은 메시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시망의 눈은 커피 원두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다. 혼합축(530)은 회전할 수 있고, 혼합축(530)의 회전에 의해 배출부(500) 내의 커피 원두가 골고루 섞이면서 냉각될 수 있다.
배출 레버(540)는 배출 문(545)에 연결되어 있어 배출 레버(540)를 위로 올리는 것에 의해 원통형 측벽(510)이 개방되어 배출부(500) 내의 커피 원두가 원두 용기(355)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550)는 배출부(500) 내의 커피 원두가 원두 용기(355)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배출 가이드(550)는 그 바닥면에 자석을 포함하고 있어, 커피 원두 배출시 그 속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배출 가이드(550)에 부착되어 제거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어 박스(610), 제어 버튼(620), 온도 표시계(630), 온도 설정계(635), 경고음 발생기(640), 및 지지 프레임(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박스(610)는 제어 회로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 기판 등에 의해 제어 버튼(620)의 제어 명령을 로스터(10)의 각각의 장치에 전달할 수 있고, 망 드럼(120)으로부터의 온도 신호와 경고 신호를 온도 표시계(630) 및 경고음 발생기(64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버튼(620)은 구동 장치 구동 버튼, 가열부 구동 버튼, 배출부의 혼합축 구동 버튼, 제1 블로우어 구동 버튼, 제2 블로우어 구동 버튼, 및 냉각팬 구동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구동 모터(131)가 작동하여 망 드럼(120)이 회전한다. 가열부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가열부(200)의 히터 봉이 작동하여 가열부(200)로 흡입되는 공기가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망 드럼(120)에 제공되어 망 드럼(120) 내의 커피 원두가 로스팅된다. 제1 블로우어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제1 블로우어(310)가 작동하여,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가열부(200)를 통하여 망드럼(120)으로 제공된 후 몸체부(30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의 혼합축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혼합축(530)이 회전하게 되고, 제2 블로우어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제2 블로우어(315)가 작동하여, 배출부(500) 내의 커피 원두가 골고루 섞이면서 냉각된다. 냉각팬 구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냉각팬(140)이 작동하여 구동 장치(1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 구동 버튼과 냉각팬 구동 버튼을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버튼으로 할 수 있다. 이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구동 장치(130)와 냉각팬(140)이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버튼(620)에 의해 로스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신호들이 로스터(10)의 각각의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온도 표시계(630)는 망 드럼(120) 내에 제공된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에 연결되어 망 드럼(120) 내의 온도를 나타낸다. 온도 표시계(630)는 디지털 방식으로서 로스팅부(100)의 아날로그 온도 표시계(195)와 함께 망드럼(120) 내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온도 설정계(635)는 망 드럼(120) 내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로스팅이 시작되면 망 드럼(120)은 가열되어 온도 설정계(635)에 의해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한 후 그 온도에서 로스팅이 수행될 수 있다.
경고음 발생기(640)는 로스팅이 완료되면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작업자는 경고음이 발생하면 가열부(200)의 가열을 중지하고 망 드럼(120)에서 커피 원두를 배출부(500)로 배출하여 냉각시킬 수 있다. 또, 경고음 발생기(640)는 로스터(10)의 여러 장치에서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스터(10)는 로스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650)은 제어 박스(610)를 몸체부(300)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 박스(610)가 몸체부(300)와 이격되어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 박스(610)가 몸체부(300)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700)는 로스터(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700)는 예를 들어, 다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로스터(10)는 이동부(700)에 의해 소정의 위치, 예를 들어, 로스팅을 하기 위한 작업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로스터에 의해 수행되는 로스팅을 설명하기 위한 로스팅부와 가열부의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히터봉의 길이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상기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취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블로우어(310)가 작동되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220)를 통하여 가열부(200) 내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히터봉(210)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망 드럼(120) 내로 이동되어, 망 드럼(120) 내에 제공된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는데 사용된다. 망 드럼(120) 내의 공기는 로스팅부 지지대(340)를 통하여 몸체부(300) 하부로 이동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가열부(200), 로스팅부(100), 몸체부(300)는 그 내부가 서로 통하기 때문에 로스팅부 지지대(340) 내에 배치된 제1 블로우어(310)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스터(10)는 가열된 공기(열풍)를 로스팅에 이용함으로써 망 드럼(120) 내의 커피 원두를 골고루 로스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스팅되는 커피 원두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로스팅 효율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로스터 100 : 로스팅부
110 : 하우징 120 : 망 드럼
125 : 날개 130 : 구동 장치
131 : 구동 모터 132 : 구동풀리
133 : 벨트 134 : 종동풀리
135 : 회전축 136 : 연결봉
140 : 냉각팬 150 : 검사 레버
155 : 시료 채취 용기 160 : 투입 레버
161 : 개폐기 165 : 투입 연결관
166 : 내부 연결관 167 : 나사
170 : 배출 레버 180 : 배출 가이드
190 : 내부 검사경 195 : 온도 표시계
200 : 가열부 210 : 히터봉
220 : 공기 흡입구 300 : 몸체부
310 : 제1 블로우어 315 : 제2 블로우어
320 : 수거통 331, 332, 333 : 배관
340 : 로스팅부 지지대 345 : 검사 문
346 : 내부 검사경 350 : 용기 받침대
355 : 원두 용기 360, 365 : 몸체 전·후문
400 : 투입부 410 : 투입 용기
420 : 투입관 500 : 배출부
510 : 원통형 측벽 520 : 망 판
530 : 혼합축 540 : 배출 레버
545 : 배출 문 550 : 배출 가이드
600 : 제어부 610 : 제어 박스
620 : 제어 버튼 630 : 온도 표시계
635 : 온도 설정계 640 : 경고음 발생기
700 : 이동부

Claims (15)

  1. 내부에 망 드럼이 제공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로스팅부;
    상기 로스팅부 위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를 가지며,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로스팅부 아래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제1 블로우어를 포함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스팅부, 상기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서로 내부가 통하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된 상기 공기는 상기 제1 블로우어에 의해 상기 망드럼을 관통하여 상기 망 드럼의 위에서 그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다수의 히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 상기 망 드럼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망 드럼에 연결되어 상기 망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종동 풀리;
    벨트에 의해 상기 종동 풀리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로스팅부를 지지하는 로스팅부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로우어는 상기 로스팅부 지지대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연결되고, 상기 망 드럼과 내부가 통하는 투입 연결관;
    상기 투입 연결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 연결관 내부를 개폐하는 개폐기; 및
    상기 투입 연결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기를 작동하는 투입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연결관에 연결되어 상기 망 드럼에 로스팅 할 대상물을 투입하는 투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는,
    상기 로스팅할 대상물을 제공받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투입 용기; 및
    상기 투입 용기와 상기 투입 연결관을 연결하는 투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 연결관은 그 내부의 상기 개폐기 위에 배치되는 내부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투입관은 상기 내부 연결관 위에 상기 투입 연결관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투입 연결관을 관통하는 다수의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을 외부에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제1 배출 문;
    상기 제1 배출 문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배출 문을 개폐하는 제1 배출 레버; 및
    상기 제1 배출 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 내의 로스팅이 완료된 대상물이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 아래에 배치되어 로스팅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한정하는 원통형 측벽;
    상기 원통형 측벽 하부면에 제공되는 망 판;
    상기 망 판 위에 배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섞는 혼합축;
    상기 원통형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배출하는 제2 배출 문;
    상기 제2 배출 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출 문을 개폐하는 제2 배출 레버; 및
    상기 제2 배출 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이 일정한 위치로 배출되는 제2 배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 가이드의 바닥면은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대상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지지하는 용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망 판에 연결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개 배출부 내의 상기 대상물을 냉각하는 제2 블로우어;
    상기 제1 블로우어 아래의 상기 제2 블로우어 일측에 배치되는 수거통;
    상기 제2 블로우어와 상기 수거통을 연결하는 제2 배관; 및
    상기 수거통을 상기 몸체부 외부로 연결하는 제3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는 검사 레버; 및
    상기 검사레버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망 드럼 내에 배치되는 시료 채취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레버를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시료 채취 용기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스팅부는,
    상기 하우징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망 드럼 내부를 볼 수 있는 내부 검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로스터의 각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

KR1020110133442A 2011-12-13 2011-12-13 로스터 KR10131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42A KR101310811B1 (ko) 2011-12-13 2011-12-13 로스터
CN2012105192954A CN103156266A (zh) 2011-12-13 2012-12-06 烘焙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442A KR101310811B1 (ko) 2011-12-13 2011-12-13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784A KR20130066784A (ko) 2013-06-21
KR101310811B1 true KR101310811B1 (ko) 2013-09-25

Family

ID=4858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442A KR101310811B1 (ko) 2011-12-13 2011-12-13 로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811B1 (ko)
CN (1) CN1031562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55B1 (ko) * 2015-09-15 2016-10-24 이대열 회전개방형 댐퍼부가 구비된 커피 로스터기
KR101780308B1 (ko) * 2016-03-07 2017-09-20 (주)커피 리브레 커피 로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로스팅 방법
KR200488961Y1 (ko) * 2018-10-17 2019-08-20 주식회사 뚜레반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KR102294503B1 (ko) 2020-12-10 2021-09-09 (주)서정코퍼레이션 로스팅기기용 원두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두확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8141A (zh) * 2016-04-12 2016-07-20 深圳市学院派咖啡有限公司 一种智能咖啡无烟烘焙机
CN105935249A (zh) * 2016-06-28 2016-09-14 洪英玉 咖啡烘焙机
KR101776217B1 (ko) * 2016-08-04 2017-09-06 주식회사 테쿰 생두 로스팅 장치
CN106579488A (zh) * 2016-11-24 2017-04-26 周南 一种可实时监测烘焙度的咖啡烘焙机及监测方法
CN108627027A (zh) * 2017-03-20 2018-10-09 熙凯法人株式会社 咖啡原豆冷却装置
CN108542269A (zh) * 2018-04-17 2018-09-18 上海涉宇液压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电加热咖啡烘烤机
KR102113565B1 (ko) * 2018-10-11 2020-05-21 주식회사 스트롱홀드테크놀로지 로스팅 장치 및 이것의 제어 방법
CN109430910A (zh) * 2018-11-06 2019-03-08 季高 一种用于食品加工的空气能烘炒装置
KR101940210B1 (ko) * 2018-12-27 2019-01-18 (주)콩볶는사람들 자동 로스팅 시스템
KR101940209B1 (ko) * 2018-12-27 2019-01-18 (주)콩볶는사람들 자동 로스팅 시스템
CN111657515A (zh) * 2019-03-06 2020-09-15 张存续 同轴滚筒式微波材料处理腔
CN110051017A (zh) * 2019-04-27 2019-07-26 林玉琴 一种双重刮洗防淀粉残留的土豆丝甩干机
CN114403272A (zh) * 2021-12-16 2022-04-29 广东顺大食品调料有限公司 一种研磨咖啡粉的生产工艺
CN114365861B (zh) * 2021-12-29 2022-12-09 海南吉纳客咖啡有限公司 一种咖啡豆生产线设备
CN114403475B (zh) * 2021-12-30 2023-01-31 安徽省蓝御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可应对多种果蔬烘干的可调节式烘干加热脱水工艺
CN116831298B (zh) * 2023-07-06 2023-12-26 爱趣咖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多功能咖啡豆烘焙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893U (ja) * 1993-03-31 1994-12-06 アイ・シー電子工業株式会社 熱風式焙煎機
KR20080034062A (ko) * 2006-10-13 2008-04-18 송유진 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77997B1 (ko)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KR20110082656A (ko) * 2010-01-12 2011-07-20 남승국 커피 로스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7803A1 (de) * 1972-02-18 1973-08-23 Gimborn Probat Werke Roestverfahren und roestmaschine zu dessen durchfuehrung
JPS63296676A (ja) * 1987-05-29 1988-12-02 Potsuka Corp:Kk コ−ヒ−豆焙煎装置
JPH01215271A (ja) * 1988-02-19 1989-08-29 Potsuka Corp:Kk コーヒー豆焙煎装置
CA2289662A1 (en) * 1997-05-16 1998-11-26 Plf International A/S Apparatus for a heat treatment of a particular food product
ATE372684T1 (de) * 1997-11-11 2007-09-15 Group 32 Dev & Engineering Inc Röstverfahren
CN2457872Y (zh) * 2000-11-15 2001-11-07 慈霖机械股份有限公司 咖啡豆烘焙机
CN2507263Y (zh) * 2001-07-20 2002-08-28 杨家机器厂股份有限公司 自动烘焙机
CN2555641Y (zh) * 2002-06-28 2003-06-18 东莞市樟木头富立唐食品厂 一种咖啡豆烘培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4893U (ja) * 1993-03-31 1994-12-06 アイ・シー電子工業株式会社 熱風式焙煎機
KR20080034062A (ko) * 2006-10-13 2008-04-18 송유진 커피 볶음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2656A (ko) * 2010-01-12 2011-07-20 남승국 커피 로스터
KR100977997B1 (ko) * 2010-04-26 2010-08-25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커피원두 볶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955B1 (ko) * 2015-09-15 2016-10-24 이대열 회전개방형 댐퍼부가 구비된 커피 로스터기
KR101780308B1 (ko) * 2016-03-07 2017-09-20 (주)커피 리브레 커피 로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커피 로스팅 방법
KR200488961Y1 (ko) * 2018-10-17 2019-08-20 주식회사 뚜레반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KR102294503B1 (ko) 2020-12-10 2021-09-09 (주)서정코퍼레이션 로스팅기기용 원두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두확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56266A (zh) 2013-06-19
KR20130066784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811B1 (ko) 로스터
KR101073072B1 (ko) 커피 로스터
KR101217086B1 (ko) 커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100963695B1 (ko) 커피 로스터
JP2016123303A (ja) 焙煎機
KR101650736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반열풍식 커피로스터
WO2016098542A1 (ja) 飲料製造装置
KR101512789B1 (ko) 커피 원두 로스팅 드럼과 이를 가지는 로스팅 장치
WO2021169183A1 (zh) 一种咖啡豆的烘焙设备
CN219397009U (zh) 烘烤装置和料理机
CN111919861A (zh) 烘烤装置
KR101217087B1 (ko) 곡물 로스터 및 로스팅 제어방법
KR200452706Y1 (ko) 농산물용 볶음장치
KR20160106361A (ko)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TWM521901U (zh) 烘焙器
KR101363013B1 (ko) 열풍식 커피생두 샘플 로스팅 장치
KR20160131362A (ko) 곡물 로스터
JP2018064532A (ja) 焙煎装置
KR20130110134A (ko) 볶음곡물 냉각장치
TWM344743U (en) Coffee bean baking machine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CN218738481U (zh) 烘烤装置和料理机
KR101621508B1 (ko) 열풍을 이용한 곡물 볶음장치 및 방법
RU2075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бжарки кофейных зерен
CN215274566U (zh) 一种自控温电热炒药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