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361A -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 Google Patents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361A
KR20160106361A KR1020150029165A KR20150029165A KR20160106361A KR 20160106361 A KR20160106361 A KR 20160106361A KR 1020150029165 A KR1020150029165 A KR 1020150029165A KR 20150029165 A KR20150029165 A KR 20150029165A KR 20160106361 A KR20160106361 A KR 20160106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electric
electric grill
heating
gril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605B1 (ko
Inventor
김덕우
김유나
Original Assignee
김덕우
김유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우, 김유나 filed Critical 김덕우
Priority to KR102015002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6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6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중 조리 대상물의 늘어 붙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되고, 조리 이후 청소가 용이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에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마련되는 종방향 개방부를 통해 조리 대상물을 세워진 상태로 수용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 외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따라 내부 열선이 발열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 vertical type electric roasting grill }
본 발명은 전기 구이 그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부재와 조리 대상물이 비접촉함으로써 조리중 조리 대상물의 늘어 붙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되고, 조리 이후 청소가 용이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에 관한 것이다.
조리 방식 중에서 구이 방식은 조리 대상물의 내부 육질이 적당한 수분을 함유하게 되면서도 표면은 바삭하게 되는 바, 요리의 식감이 개선된다.
또한, 조리 방식 중에서 구이 방식은 조리 대상물이 그을림에 의해 고유의 향을 갖게 되는 바, 요리의 풍미가 개선된다.
따라서, 식감 및 풍미를 중시하는 생선 또는 육류 요리의 상당 수가 구이 방식으로 조리되고 있다.
한편, 전통적인 구이 방식은 숯불 등의 직화로써 석쇠에 얹혀진 조리 대상물을 직접 가열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전통적 구이 방식은 구이의 참맛을 즐길 수 있는 것이었으나, 숯불 등의 직화 마련 및 취급이 쉽지 않아 일반 가정에서는 즐기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가정 내에서는 전기 구이 그릴을 이용하여 생선 또는 육류를 굽고 있다.
종래 전기 구이 그릴(A')은 등록특허 제10-1443456호(공고일 2014. 09. 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재 상하부에 가열부재가 마련되기도 하나 통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가열부재(30') 상부에 석쇠 형태 또는 팬(pan) 형태 거치부재(20')가 마련된 것으로, 가열부재(30')가 발열함에 따라 거치부재(20')에 얹혀진 생선 또는 육류 등의 조리 대상물(100)을 굽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 전기 구이 그릴은 거치부재와 조리 대상물이 접촉되므로 거치부재에 조리 대상물이 쉽게 늘어 붙어 요리의 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조리 이후 청소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전기 구이 그릴은 조리 중에 생선 또는 육류로부터 발생하는 기름 등이 가열부재로 낙하하게 되므로 조리중 상당한 연기 및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전기 구이 그릴은 생선 또는 고기를 수용할 수 있는 폭으로 제작되어 그 폭이 상당하므로 제품이 대형화될 수밖에 없어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조리중 조리 대상물의 늘어 붙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되고, 조리 이후 청소는 물론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전기 구이 그릴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전기 구이 그릴을 이용하는 경우, 조리 대상물이 쉽게 늘어 붙고,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상당하며, 청소가 번거롭고, 보관 및 운반이 곤란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은, 내부 공간에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마련되는 종방향 개방부를 통해 조리 대상물을 세워진 상태로 수용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 외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따라 내부 열선이 발열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거치부재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거치부재 내부 온도가 설정 최고치 이상일 때 그 온도 및 과열 경고 문자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을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치부재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홈을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내외부로의 공기 유동로가 되는 흡배기구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덮개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fan)을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흡배기구는, 그 내부를 거쳐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거치부재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부착되는 흡입필터, 상기 흡입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재 내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내상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바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바는, 상기 조리 대상물을 매다는 고리를 구비한다.
상기 거치부재는, 외면에 자성체가 내장된 이동블럭을 구비하고, 내면에 상기 이동블럭의 자성체와 극성이 반대인 자성체 또는 철판이 내장된 청소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하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외곽에 단열부재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관 형태로 형성되거나, 전면(前面)에 투명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석영관 히터 또는 시스 히터로 형성된다.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세로홈 내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모드선택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체가 동시 발열하거나, 어느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열선이 상기 거치부재 외면과 마주하는 전면 또는 상기 거치부재의 사이드 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은 거치부재에 종방향 개방부가 형성되어 조리 대상물이 개방부 내에 세워진 채로 매달려 거치되는 바, 조리중 조리 대상물의 늘어 붙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조리 대상물을 눕혀 거치하는 것에 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은 거치부재가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바, 거치부재의 재질 특성상 조리 이후 청소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은 가열부재가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는 바, 조리중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이 그릴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구이 그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이 그릴을 통한 조리 대상물 조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기름받이를 통한 기름 수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거치부재 내부 공기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청소블럭을 통한 거치부재 청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열부재의 열선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종래 구이 그릴을 통한 조리 대상물 조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A)은 받침대(10)와, 거치부재(20)와, 가열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는 내부 공간에 전원 공급 회로(도면상 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10) 내부 공간에 전원 공급 회로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도면상 미도시)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부품, 즉, 가열부재(30) 등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받침대(10)는 타이머(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타이머(1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타이머(12)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시간이 간단히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12)는 가열부재(30)의 발열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 바, 타이머(1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타이머(12)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타이머(12)가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타이머(12)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시간이 제어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온도조절기(1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온도조절기(1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기(13)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온도가 간단히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기(13)는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온도조절기(13)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온도조절기(13)가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온도조절기(13)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온도가 제어된다.
상기 받침대(10)는 모드선택스위치(1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모드선택스위치(14)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모드가 제어된다.
즉,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 조작에 의해 상기 가열부재(30) 전체가 동시에 발열되거나 어느 일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발열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는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가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상기 가열부재(30)의 발열 모드가 제어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외부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15)를 구비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받이(15)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배출되는 조리 대상물(100)로부터의 기름 등이 수거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온도감지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후술하는 온도표시수단(17)에서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 및 과열 경고 문자가 표시됨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의 과열이 단속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센서(16)는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6)는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온도감지센서(16)가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온도감지센서(16)가 작동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6)를 통해 감지한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가 설정 최고치 이상일 때 이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1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10)가 상기 온도감지센서(16)를 통해 감지한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가 설정 최고치 이상일 때 이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17)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의 과열 여부가 시각적으로 확인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표시수단(17)는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가 설정 최고치 이상일 때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단순한 경고 목적으로는 LED와 같은 발광체를 사용할 수 있고, 부저 등을 추가하면 청각적으로도 경고의 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표시수단(17)은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온도표시수단(17)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원 공급 회로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온도표시수단(17)이 작동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감지센서(16)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동 가능하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받침대(10)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측에 마련되는 종방향 개방부(21)를 통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세워진 상태로 수용한다.
상기 거치부재(20)가 내측에 마련되는 종방향 개방부(21)를 통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세워진 상태로 수용함으로써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눕힌 상태로 수용하는 것에 비해 상기 거치부재(20)의 폭이 감소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이 소형화된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전면(前面) 일부 또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의 전면(前面) 일부 또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됨으로써 재질의 특성상 내부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해지며, 상기 거치부재(20)의 전체가 석영과 같은 재료를 이용한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경우 재질의 특성상 상기 가열부재(30)의 가열에도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파장에서 열전달이 가능하므로 사실상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 가능하므로 표면의 오염이 쉽게 제거되어 조리 이후 청소가 용이해진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홈(2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가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홈(2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세로홈(22) 각각에 상기 가열부재(30)를 끼워 넣음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에의 상기 가열부재(30) 결합이 용이해지고, 상기 거치부재(20)상에서 상기 가열부재(30)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열부재(30)의 측면이 상기 세로홈(22)의 측벽에 접함에 따라 상기 가열부재(30) 측면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서도 상기 거치부재(20)가 가열되므로 효율적으로 열이 전달되며, 단열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가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2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덮개(23)를 덮음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가 차단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23)는 내외부로의 공기 유동로가 되는 흡배기구(23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3)는 내부 공기의 유동을 위해서 모터(도면부호 미표시)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23b)(fan)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3)가 흡배기구(23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온도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공기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덮개(23)가 팬(23b)를 구비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팬(23b) 회전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공기가 순환됨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 내상부의 열기가 상기 거치부재(20) 내하부에도 원활히 미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상단부터 하단에 이르기까지 균일하게 구워진다.
상기 흡배기구(23a)는 필터(23d)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배기구(23a)가 필터(23d)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필터(23d)에 의해 그 내부를 거쳐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이에 의해 연기 및 냄새 배출이 최소화된다.
여기서, 상기 팬(23b)은 자체의 오염을 줄이고 내부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하여 흡입구(도면상 미도시) 및 이에 부착되는 별도의 흡입필터(도면상 미도시)와, 배기구(도면상 미도시)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듈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팬(23b)이 모듈 형태로 되는 경우 상기 흡입구로 흡입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상기 흡입필터로 정화시켜 다시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내부로 내보내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23)에 구비되는 상기 팬(23b)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흡사 에어프라이어와 같은 조리모드가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공기의 유동이 다양한 양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조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20)는 개방부(21)를 가로지르는 지지바(24) 및 상기 지지바(24)와 결합하는 고리(2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가 개방부(21)를 가로지르는 지지바(24) 및 상기 지지바(24)와 결합하는 고리(25)를 구비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리(25)에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끼움에 따라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세워진 채로 매달릴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과 상기 거치부재(20)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상기 거치부재(20)에 늘어 붙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바(24)와 상기 고리(25)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25)는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거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조리 대상물(100) 일면을 받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나아가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담기는 바구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20)는 외면에 자성체(도면부호 미표시)가 내장된 이동블럭(2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면에 상기 이동블럭(26)의 자성체와 극성이 반대인 자성체(도면부호 미표시) 또는 철판(도면부호 미표시)이 내장된 청소블럭(2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가 외면에 자성체(도면부호 미표시)가 내장된 이동블럭(26)을 구비하고, 내면에 상기 이동블럭(26)의 자성체와 극성이 반대인 자성체(도면부호 미표시) 또는 철판(도면부호 미표시)이 내장된 청소블럭(27)을 구비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 외면에서 상기 이동블럭(26)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청소블럭(27)이 함께 이동하며 상기 거치부재(20) 내면이 청소된다.
따라서, 조리시에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 발생한 수분이나 기름, 파편 등으로 오염된 상기 거치부재(20)의 내면을 깨끗이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덮개(23)를 열지 않고도 조리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부재(20)는 상기 가열부재(30)의 설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수납이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그 단면 형태가 어떠한 형태로 되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도시된 장방형 사각형 외에 정방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거치부재(20)는 그 외측에 단열부재(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부재(20)가 외측에 단열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단열부재(40)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 외측으로의 열 전달이 차단되므로 상기 거치부재(20)로부터의 열 손실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재(20) 접촉으로 인한 화상 사고 발생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40)는 전면(前面)에 투명창(4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부재(40)가 전면에 투명창(4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 외측이 상기 단열부재(40)로 감싸지더라도 상기 투명창(41)을 통해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투명창(41)은 상기 거치부재(20) 내부 확인을 위한 일 예일 뿐 상기 단열부재(40) 전체를 투명한 유리관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거치부재(20) 외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따라 내부 열선(31)이 발열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간접 가열한다.
상기 가열부재(30)가 상기 거치부재(20) 외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따라 내부 열선(31)이 발열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간접 가열, 즉 상기 가열부재(30)로부터의 열이 상기 거치부재(20)를 거쳐 상기 조리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조리중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으로 인한 상기 가열부재(30)의 오염이 방지된다.
상기 가열부재(30)는 석영관 히터 또는 시스(sheath) 히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재(30)가 석영관 히터 또는 시스 히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단시간 내에 비교적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직화로써 굽는 것과 유사하게 구워진다.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거치부재(20)의 상기 세로홈(22) 각각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부재(30)가 상기 거치부재(20)의 상기 세로홈(22) 각각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20)에의 상기 가열부재(30) 결합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부재(20)상에서 상기 가열부재(3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30)는 불꽃 형태로 구부려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0)가 불꽃 형태로 구부려져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열부재(30)와 상기 거치부재(20)의 접촉 면적을 넓히게 되고, 심미감을 얻게 된다.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 조작에 따라 전체가 동시 발열하거나, 어느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0)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 조작에 따라 어느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발열하는 경우, 상기 가열부재(30) 전체가 동시에 발열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지긋이 구워지므로 마치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회전시켜가면서 굽는 바비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0)는 내부의 상기 열선(31)이 상기 거치부재(20) 외면과 마주하는 전면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재(20)의 사이드 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재(30)의 내부 열선(31)이 상기 거치부재(20)의 사이드 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열선(31)으로부터의 열이 상기 거치부재(20) 내부에서 좌우로 확산되는 효과를 갖게 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 전체가 균일하게 구워질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가열부재(30)에 접하는 상기 거치부재(20)의 유리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전달방식은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건조에도 응용 가능하다.
즉, 상기 가열부재(30) 자체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조절하지 않고 상기 거치부재(20) 주변에 늘어선 상기 가열부재(30)의 온-오프 시간 비율만을 조절하여도 고온을 얻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건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 그릴(A)을 통한 조리 대상물(100) 구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내상부에 상기 지지바(24) 및 고리(25)를 구비하는 바, 상기 고리(25)에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끼움에 따라 상기 조리 대상물(100)은 상기 거치부재(20)의 개방부(21) 내에 세워진 채로 매달려 거치된다.
따라서, 상기 거치부재(20)의 폭은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수용하는 범위에서 최소화되므로, 상기 거치부재(20)의 폭 최소화에 의해 제품이 소형화되고, 상기 거치부재(20)와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접촉이 차단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늘어 붙음이 방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20)의 외면에는 상기 가열부재(30)가 배치되는 바, 상기 가열부재(30)가 발열함에 따라 상기 거치부재(20) 내부의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가열되며 구워진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거치부재(20)가 안착되는 상기 받침대(10)에 마련되는 상기 타이머(12)에 의해 발열 시간이 제어되고, 상기 온도조절기(13)에 의해 발열 온도가 제어되며, 상기 모드선택스위치(14)에 의해 발열 모드가 제어되는 바, 상기 가열부재(30)로써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종류 또는 두께 등을 감안하여 가열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적절히 구워진다.
이때, 상기 거치부재(20)는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바, 재질의 특성상 그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구워지는 정도가 쉽게 파악되어 이에 따라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구이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덜 구워지거나 과도하게 구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만, 상기 조리 대상물(100) 전면에 인접하는 상기 거치부재(20) 내면이 오염되는 경우,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구워지는 정도의 확인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외면에 자성체가 내장된 이동블럭(26)을 구비하고, 내면에 자성체 또는 철판이 내장된 청소블럭(27)을 구비하는 바, 상기 거치부재(20) 외면에서 상기 이동블럭(26)을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청소블럭(27)이 함께 이동하며 상기 조리 대상물(100) 전면에 인접하는 상기 거치부재(20) 내면을 청소하게 되어 상기 거치부재(20) 내부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이 구워지는 정도의 확인이 용이해진다.
한편, 상기 조리 대상물(100) 구이 과정에서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는 기름 등이 배출되므로 상기 거치부재(20) 및 상기 가열부재(30)의 오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재질의 특성상 표면이 매끄러운 것이므로 상기 거치부재(20)가 오염되더라도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가열부재(30)는 상기 거치부재(20)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 대상물(100)을 간접 가열하는 바,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의 기름 등은 상기 가열부재(30)에 미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가열부재(30)의 오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된다.
다만, 상기 거치부재(20)의 하단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 하부 받침대(10)의 오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10)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15)를 구비하는 바,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이 상기 기름받이(15)에 수거되므로 상기 조리 대상물(100)로부터 배출되는 기름 등에 의한 상기 받침대(10)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조리 대상물(100) 구이 과정에서 상기 가열부재(30)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 내부가 가열될 때 열기는 대류 현상에 의해 상기 거치부재(20)의 개방부(21) 상측에 집중될 수 있어 상기 개방부(2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조리 대상물(100)의 하단부가 상단부에 비해 덜 구워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거치부재(20)는 덮개(23)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23)는 팬(23b)을 구비하는 바, 상기 팬(23b) 작동에 의해 상기 개방부(21) 내부 공기가 순환 즉, 상기 개방부(21) 상측 공기가 하측으로 강제 유동한 후 재차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개방부(2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조리 대상물(100)은 상단부는 물론 하단부까지 균일하게 구워진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A)은, 거치부재(20)에 종방향 개방부(21)가 형성되어 조리 대상물(100)이 개방부(21) 내에 세워진 채로 매달려 거치되는 바, 조리중 조리 대상물(100)의 늘어 붙음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조리 대상물(100)을 눕혀 거치하는 것에 비해 그 크기가 소형화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해지고, 거치부재(20)가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바, 거치부재(20)의 재질 특성상 조리 이후 청소가 용이하게 되며, 가열부재(30)가 조리 대상물(100)을 간접 가열하는 바, 조리중 연기 및 냄새 발생이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받침대 12 : 타이머
13 : 온도조절기 14 : 모드선택스위치
15 : 기름받이 16 : 온도감지센서
17 : 온도표시수단 20, 20' : 거치부재
21 : 개방부 22 : 세로홈
23 : 덮개 23a : 흡배기구
23b : 팬 23d : 필터
24 : 지지바 25 : 고리
26 : 이동블럭 27 : 청소블럭
30, 30' : 가열부재 31 : 열선
40 : 단열부재 41 : 투명창
100 : 조리 대상물 A, A' : 전기 구이 그릴

Claims (21)

  1. 내부 공간에 전원 공급 회로를 구비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 상부에 안착되고, 내측에 마련되는 종방향 개방부를 통해 조리 대상물을 세워진 상태로 수용하는 거치부재;
    상기 거치부재 외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의 전원 공급에 따라 내부 열선이 발열하여 상기 조리 대상물을 간접 가열하는 가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조절기; 상기 가열부재의 발열모드를 제어하는 모드선택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거치부재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한 상기 거치부재 내부 온도가 설정 최고치 이상일 때 이를 표시하는 온도표시수단: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외부로 인출 가능한 기름받이를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전면(前面)의 일부 또는 전면(全面)이 내열유리관으로 형성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외면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 개의 세로홈을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단에 개폐 가능한 덮개를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내외부로의 공기 유동로가 되는 흡배기구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모터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팬(fan)을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구는,
    그 내부를 거쳐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미세 입자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거치부재 내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 상기 흡입구에 부착되는 흡입필터, 상기 흡입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상기 거치부재 내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일체로 구비하는 모듈 형태로 형성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상기 개방부의 내상부를 가로지르는 지지바를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조리 대상물을 매다는 고리를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외면에 자성체가 내장된 이동블럭을 구비하고, 내면에 상기 이동블럭의 자성체와 극성이 반대인 자성체 또는 철판이 내장된 청소블럭을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하단이 막힌 형태로 형성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는,
    외곽에 단열부재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전체가 투명한 유리관 형태로 형성되거나, 전면(前面)에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석영관 히터 또는 시스 히터로 형성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거치부재의 세로홈 내에 각각 배치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받침대의 모드선택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체가 동시 발열하거나, 어느 일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하며 순차적으로 발열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열선이 상기 거치부재 외면과 마주하는 전면 또는 상기 거치부재의 사이드 측을 향하는 측면에 배치되는 것
    인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1020150029165A 2015-03-02 2015-03-02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101684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65A KR101684605B1 (ko) 2015-03-02 2015-03-02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165A KR101684605B1 (ko) 2015-03-02 2015-03-02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361A true KR20160106361A (ko) 2016-09-12
KR101684605B1 KR101684605B1 (ko) 2016-12-08

Family

ID=5695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165A KR101684605B1 (ko) 2015-03-02 2015-03-02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KR102075726B1 (ko) * 2018-10-17 2020-02-10 장호덕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KR102366920B1 (ko) * 2020-09-10 2022-02-23 신일식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22A (ko) * 1999-09-06 2000-04-06 박천복 전기 통구이장치
KR2011002055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음식물 구이장치
KR101196924B1 (ko) * 2012-03-15 2012-11-05 김영준 다기능 조리기기
JP2014023801A (ja) * 2012-07-30 2014-02-06 Hitachi Appliances Inc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722A (ko) * 1999-09-06 2000-04-06 박천복 전기 통구이장치
KR20110020552A (ko) *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태환자동화산업 음식물 구이장치
KR101196924B1 (ko) * 2012-03-15 2012-11-05 김영준 다기능 조리기기
JP2014023801A (ja) * 2012-07-30 2014-02-06 Hitachi Appliances Inc 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KR102075726B1 (ko) * 2018-10-17 2020-02-10 장호덕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KR102366920B1 (ko) * 2020-09-10 2022-02-23 신일식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605B1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1691B2 (en)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US4852471A (en) Semiautomatic frying machine and air filter apparatus therefor
KR101036997B1 (ko) 커피볶음기
US7205507B2 (en) Food cooking and heating apparatus
US20100089248A1 (en) Convection grill
US5107097A (en) Forced air convection oven
US11980321B2 (en) Cooking appliance with cooked food holding apparatus
CN210276928U (zh) 一种多功能烤箱
JP2009537202A (ja) 比較的小さい上方加熱手段を有する水平型トースト装置
JP2007061515A (ja) 加熱調理器
EP1514502B1 (en) Grill cooker and multipurpose cook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A3102207C (en) Indirect air flow system
KR101684605B1 (ko)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20180129592A (ko) 꼬치구이기
US7339137B1 (en) Electric grilling appliance
US9689575B2 (en) Indoor grill
KR200456048Y1 (ko) 전기튀김기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KR101865066B1 (ko) 전기식 꼬치구이기
TWI551195B (zh) Heating the conditioner
KR100915926B1 (ko) 냄새 및 연기가 나지 않는 전기 양면 그릴
KR200431719Y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면 그릴구이기
KR101745712B1 (ko) 후드 연결 친환경 렌지
JP3942427B2 (ja) 加熱調理器
CN213963069U (zh) 一种牛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