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920B1 -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 Google Patents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920B1
KR102366920B1 KR1020200116152A KR20200116152A KR102366920B1 KR 102366920 B1 KR102366920 B1 KR 102366920B1 KR 1020200116152 A KR1020200116152 A KR 1020200116152A KR 20200116152 A KR20200116152 A KR 20200116152A KR 102366920 B1 KR102366920 B1 KR 10236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ood
downward
cov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일식
Original Assignee
신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식 filed Critical 신일식
Priority to KR1020200116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47J37/0652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 화덕통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켜 뒤집지 않아도 겉과 속이 골고루 조리됨은 물론, 최소의 연료로 단시간 내에 음식물을 조리하여 회전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온도 조절, 팬 작동, 물 공급 및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15)이 구비되고,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화구(112)가 구비되는 버너(111)를 수용하는 본체(110)와, 원통형 벽체(121) 상단으로 그릴(10)이 안착되도록 단턱(122)이 구비되고, 중앙으로 버너의 화구(112)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돌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벽체와 지지돌부를 연결하고 물을 수용하는 바닥부(124)에는 물 공급 및 배수하는 물 공급관(126)과 배수구(125)가 구비되는 화덕통(120)과, 상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방향 회전되게 결합되어 화덕통(120)의 상부를 오픈/폐쇄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승되는 열기를 하향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열 확산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열 확산판(130)외측에는 화덕통의 열기 및 가스,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141)을 갖는 덮개(140)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140)에는 화덕통(120) 내부의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열 순환기(15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A direct heating roaster}
본 발명은 음식물을 조리함에 있어, 화덕통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켜 뒤집지 않아도 겉과 속이 골고루 조리됨은 물론, 최소의 연료로 단시간 내에 음식물을 조리하여 회전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직화구이(조리기)는 화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사용하는 조리용구를 직화구이기라 한다.
종래의 직화구기에는 석쇠 또는 그릴이 주를 이루며, 꼬챙이도 직화구이용 조리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직화구이기는 음식물의 표면을 급격하게 익힘으로써, 음식물이 가지는 고유의 즙, 향 등이 외부로 배출됨이 차단되어 음식물의 섭취 식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특히 육류나 어류와 같이 자체 지방을 가지는 음식물 조리에서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직화구이의 장점은 간접화기에서는 얻을 수 없는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화구이는 직화로 음식물의 표면을 익힐 때 발생하는 냄새, 연기 및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즙 등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주변이 개방되지 않은 장소 즉, 건물 내부나 특히 아파트와 같은 주거밀집 실내에서는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직화구이기는 조리시 음식물(육류, 어류 등)의 기름기가 화덕통의 표면으로 낙하되어 연기가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고, 화기가 음식물로 직접 닿아 겉은 타고 속은 덜 익혀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겉은 타고 속이 덜 익혀지므로 반복적으로 음식물을 뒤집어 줘야하는 번거로움과 연료비가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되며, 특히 식당업 종사자에게는 회전율이 저하되어 경제적 손실을 주기 마련이다.
또한, 음식물 조리시 기름이 낙하되는 낙차에 의해 물과 마찰시 파동에 의한 오물이 음식물로 튀어 음식물 고유의 맛이 변질되는 문제는 해결할 수 가 없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4681호(2005. 12. 21 등록)
본 발명은 종래의 음식물 조리기 구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화덕통 내에서 고온의 열을 빠른 속도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음식물이 타는 문제를 방지함과 아울러 조리되는 음식물로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로 순환되는 열기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음식물을 뒤집지 않아도 겉과 속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음식물 조리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에 의한 연료를 절감함은 물론 단시간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높은 회전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는, 온도 조절, 팬 작동, 물 공급 및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되고,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 화구가 구비되는 버너를 수용하는 본체와, 원통형 벽체 상단으로 그릴이 안착되도록 단턱이 구비되고, 중앙으로 버너의 화구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벽체와 지지돌부를 연결하고 물을 수용하는 바닥부에는 물 공급 및 배수하는 물 공급관과 배수구가 구비되는 화덕통과, 상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방향 회전되게 결합되어 화덕통의 상부를 오픈/폐쇄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승되는 열기를 하향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열 확산판이 구비되고, 외측에는 화덕통의 열기 및 가스,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을 갖는 덮개; 를 포함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덮개로 열 순환기를 구비하되, 상기 열 순환기는 덮개의 상부로 설치되는 구동을 위한 모터 및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가 구비되고, 열 확산판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흡입 확산시키는 팬이 구비하여 내부의 열기를 빠른 속도로 순환 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벽체의 내주연에는 하향 순환되는 열기를 상향 유도하는 열 상승 안내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안내판에는 음식물 조리시 낙하되는 기름기등이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형성하여 하향되는 열기는 재 상승시켜 순환시키고 낙하되는 기름의 단차를 주어 기름과 물의 접촉에 따라 발생되는 파동을 최소화 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열 확산판의 내주연에는 열을 하향 확산되게 유도하면서 하향 속도가 증대되도록 열 유도부가 구비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에 의하면 화덕통의 내부 온도에 따라 열기를 상하 방향으로 빠른 속도로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함으로써, 연료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와 높은 회전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특히 음식물을 뒤집지 않아도 겉과 속이 골고루 익힐 수 있고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의 낙하시 파동에 의한 오물이 음식물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음식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 1실시예의 음식물 조리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열 확산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에의 음식물 조리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100)는, 크게 본체(110)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화덕통(120)과, 덮개(140) 및 덮개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승하는 열을 하향 확산시키는 열 확산판(130)과, 화덕통(120)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는 열 순환기(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화기를 제공하는 버너(111)가 구비되고, 상기 버너에는 화구(112)가 상향 돌출되되, 화구의 상단으로 화염이 발산되는 화염 분출공(11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화구(112)의 돌출 정도는 그릴(10)을 통과하여 상단에 구비된 열 순환기(150)로 근접하게 구비되어 화구의 상단에 구비된 화염 분출공(112a)에서 발산되는 화염을 바로 흡입하여 확산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에는 화덕통(120)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과 물을 배수하는 배관이 구비된다.
또한, 조리기(100)를 작동시키는 제어유닛(115)가 구비되되, 제어유닛의 구성으로는 하기에서 설명할 열 순환기(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115a)와, 버너(111)의 작동 및 온도 조절을 위한 작동스위치(115b)와,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물을 공급하는 공급레버(115c)와, 물을 배수하는 배수레버(115d)로 구비된다.
한편, 화덕통(120)은 원통형의 벽체(121)가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단은 그릴(10)이 안착을 위한 단턱(12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화구(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화구(112)를 지지하는 지지돌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와 지지돌부를 연결하면서 공급된 물이 수납되는 바닥부(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24)에는 물 배수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바닥부(123) 보다 함몰되도록 수로(12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124)는 수로(124a)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로(124a)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본체 내부의 배관과 연통되는 배수구(125)가 구비되고, 물을 공급하는 배관과 연결된 물 공급관(126)이 구비되어 물을 공급 및 배수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화덕통(120)의 단턱(122)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그릴(10)은 중앙은 상기 화구(112)가 관통 돌출되도록 화구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릴(10)은 화구(112)가 삽입되는 중앙부를 높게 구성하고 외측은 중앙보다 높이가 낮도록 경사지게 구성하여 조리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외측으로 하향되게 흐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덮개(140)는 일측부가 본체(110)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덮개(140)의 일부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 등이 배출되도록 배출공(14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140)의 내측에는 상향되는 열기를 하향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열 확산판(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덮개 및 열 확산판(130)에는 상승되는 열기를 흡입하여 빠른 속도록 하향 시킬 수 있는 열 순환기(150)가 구비된다.
상기 열 확산판(130)은 덮개(1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모터(M1)와, 내부의 온도에 따라 팬의 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M2)와, 열 확산판(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이 모터 및 감속기어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팬(151)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덮개(140)에는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예)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100)는, 크게 본체(110)와,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화덕통(120)과, 덮개(140) 및 덮개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승하는 열을 하향 확산시키는 열 확산판(130)과, 화덕통(120) 내부의 열기를 순환시키는 열 순환기(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 및 덮개(140) 그리고 열 순환기(150)의 상세한 설명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화덕통(120)은 원통형의 벽체(121)가 수직으로 구비되며, 상단은 그릴(10)이 안착을 위한 단턱(122)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화구(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화구(112)를 지지하는 지지돌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와 지지돌부를 연결하면서 공급된 물이 수납되는 바닥부(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124)에는 물 배수시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바닥부(123) 보다 함몰되도록 수로(124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124)는 수로(124a)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로(124a)에는 물이 배출되도록 본체 내부의 배관과 연통되는 배수구(125)가 구비되고, 물을 공급하는 배관과 연결된 물 공급관(126)이 구비되어 물을 공급 및 배수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화덕통(120)의 단턱(122)에 안착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그릴(10)은 중앙은 상기 화구(112)가 관통 돌출되도록 화구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크게 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벽체(121)의 내주연에는 하향 순환되는 열기를 상향 유도하는 열 상승 안내판(129)이 더 구비되며, 상기 안내판(129)에는 음식물 조리시 낙하되는 기름이 배출되도록 배출공(129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판(129)은 열기가 내측으로 유도되도록 내측으로 굴곡된 호 형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열 순환기(150)에 의해 흡입되어 열 확산판(130)을 통해 하향 유도되는 열기가 상기 호 형상으로 형성된 안내판(129)을 통해 상승 유도되어 그릴에 조리되는 음식물의 바닥면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릴을 따라 경사지게 흐르는 기름이 상기 안내판(129)으로 낙하되어 배출공(129a)을 통해 바닥부(124)에 저장된 물로 낙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그릴에서 낙하되는 기름의 바닥부의 물로 직접 낙하되어 것을 안내판(129)에서 한번 걸려지게 함으로써, 낙차에 따른 파동을 줄여 음식물로 오물이 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열 확산판(130)의 내주연에는 열을 하향 확산되게 유도하면서 하향 속도가 증대되도록 열 유도부(131)가 구비되되, 상기 열 유도부(131)는 음각 홈을 형성하여 열기를 하향 안내하는 열 유도홈(131a)이 원주상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거나, 상부를 시작으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이루어진 열 유도판(131b)이 원주상 등간격으로 구비되며 이외에 다른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열 순환기(150)의 팬(151)으로 흡입되는 열기가 열 확산판(130)으로 퍼지되, 이때 퍼지는 열기가 열 유도홈(131a) 내지 열 유도판(131b)에 의해 빠른 속도로 하향 유도된다.
특히, 상기 열 유도홈(131a) 및 열 유도판(131b)은 열기가 회오리로 하향되어 속도가 증대 될 수 있도록 시작점과 끝점이 경사지는 방사선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화덕통(120)의 내부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S1)가 구비되며, 감지된 온도는 디스프레이창으로 표시됨은 물론 감지 온도에 따라 버너의 화력조절 및 열 순환기의 속도조절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를 오픈한 상태에서 그릴(10)의 상단으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고기류, 생선류, 야채류 등)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덮개를 닫은 후, 제어유닛(115)의 물 공급레버(115c)를 작동시켜 물 공급관을 통해 바닥부(124)에 물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스의치(115a)를 조작하여 버너(111)를 작동시면 그릴(10)보다 돌출된 화구(112)를 통해 화염이 화염홀을 통해 공급된다.
이와 같이 화덕통(120)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면 온도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창으로 표시되고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열 순환기(150)가 작동하여 팬(151)에 의해 열기가 흡입 열 확산판(130)으로 퍼져 하향 확산된다.
특히, 하향되는 열기는 열 유도부(131)에 의해 빠른 속도로 하향 유도되며, 하향 유도된 열기는 화덕통(120)에 구비된 안내판(129)을 따라 상승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온의 열기를 화덕통(120) 내부에서 상하로 계속 순환시켜줌으로써, 하향되는 열기와 상향되는 열기에 의하여 음식물의 상단 및 하단 측부, 즉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 조리된다.
또한, 조리시 발생되는 기름은 바닥부(124)에 저장된 물로 직접 낙하되지 않고 안내판(129)으로 1차 낙하후, 배수공(129a)을 통해 2차 낙하되어 낙차를 줄여줌으로써, 낙차에 의한 파동이 음식물로 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화덕통(12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기름이 그릴에서 직접 낙하되도라도, 바닥부(124)의 물로 직접 낙하되므로 조리에 따라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모든 작동수단을 정지한 상태에서 물 배수레버(115)를 작동시켜 바닥부(124)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고 그릴과 화덕통을 세척을 하면된다.
이때, 세척에 따른 오물은 화덕통 바닥부가 수로(124a)로 갈수록 경사지게 이루어져 효율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는 열기를 상하 방향으로 계속하여 순환시켜 음식물을 조리하기 때문에 음식물이 타는 것을 방지되며, 특히 육류 조리시 뒤집지 않아도 음식물이 타지 않고 겉과 속이 골고르 익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내부의 온도에 따라 열기가 순환되는 속도이 조절되므로 조리에 따른 연료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단시간 내에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어 식당업종에서 높은 회전율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음식물 조리기 110: 본체
111: 버너 112: 화구
120: 화덕통 121: 벽체
123: 지지돌부 124a: 수로
125: 배수구 126: 물 공급관
129: 안내판 129a: 배출공
130: 열 확산판 131: 열 유도부
131a: 열 유도홈 131b: 열 유도판
140: 덮개 150: 열 순환기
M1: 모터 M2: 감속기어

Claims (6)

  1. 온도 조절, 팬 작동, 물 공급 및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15)이 구비되고, 그릴(10)을 통과하여 상단에 구비된 열 순환기(150)와 근접하게 돌출된 화구(112)가 구비되는 버너(111)를 수용하는 본체(110)와,
    원통형 벽체(121) 상단으로 그릴(10)이 안착되도록 단턱(122)이 구비되고, 중앙으로 버너의 화구(112)가 관통되어 지지되는 지지돌부(123)가 구비되며, 상기 벽체와 지지돌부를 연결하고 물을 수용하는 바닥부(124)에는 물 공급 및 배수하는 물 공급관(126)과 배수구(125)가 구비되는 화덕통(120);을 포함하고,
    상기 원통형 벽체(121)의 내주연에는 하향 순환되는 열기를 상향 유도하는 열 상승 안내판(129)이 더 구비되되, 상기 안내판(129)에는 음식물 조리시 낙하되는 기름기를 하향 배출되도록 배출공(129a)이 형성며,
    상기 본체의 일단부와 일방향 회전되게 결합되어 화덕통(120)의 상부를 오픈/폐쇄하는 것으로, 내측에는 상승되는 열기를 하향 확산되도록 유도하는 열 확산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열 확산판(130)외측에는 화덕통의 열기 및 가스,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141)을 갖는 덮개(14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140)에는 화덕통(120)의 내부 열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열 순환기(150)가 구비되되,
    상기 열 순환기(150)는 덮개(140)의 상부로 설치되는 구동을 위한 모터(M1) 및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기어(M2)와, 열 확산판(130)의 내측으로 상기 모터 및 감속기어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흡입 확산시키는 팬(1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확산판(130)의 내주연에는 열을 하향 확산되게 유도하면서 하향 속도가 증대되도록 열 유도부(13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유도부(131)는 음각 홈을 형성하여 열기를 하향 안내하는 열 유도홈(131a)이 원주상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유도부(131)는 상부를 시작으로 하단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이루어진 열 유도판(131b)이 원주상 등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KR1020200116152A 2020-09-10 2020-09-10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KR10236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52A KR102366920B1 (ko) 2020-09-10 2020-09-10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52A KR102366920B1 (ko) 2020-09-10 2020-09-10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920B1 true KR102366920B1 (ko) 2022-02-23

Family

ID=8049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52A KR102366920B1 (ko) 2020-09-10 2020-09-10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92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90U (ko) * 1999-03-15 1999-06-25 유상근 휴대용가스바베큐용구이기
KR200404681Y1 (ko) 2005-10-04 2005-12-27 이신근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KR20090127849A (ko) * 2009-08-31 2009-12-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US20110139140A1 (en) * 2006-09-01 2011-06-16 Nieco Corporation Broiler, conveyor oven, and toaster system with pressurized air guide for heat and flames
KR20110006552U (ko) * 2009-12-23 2011-06-29 김정식 개선된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60106361A (ko) * 2015-03-02 2016-09-12 김덕우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101722329B1 (ko) * 2015-10-05 2017-03-31 (주)성원산업 복합조리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190U (ko) * 1999-03-15 1999-06-25 유상근 휴대용가스바베큐용구이기
KR200404681Y1 (ko) 2005-10-04 2005-12-27 이신근 직화조리가 가능한 이중냄비
US20110139140A1 (en) * 2006-09-01 2011-06-16 Nieco Corporation Broiler, conveyor oven, and toaster system with pressurized air guide for heat and flames
KR20090127849A (ko) * 2009-08-31 2009-12-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KR20110006552U (ko) * 2009-12-23 2011-06-29 김정식 개선된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60106361A (ko) * 2015-03-02 2016-09-12 김덕우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KR101722329B1 (ko) * 2015-10-05 2017-03-31 (주)성원산업 복합조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US6143341A (en) Convection based cooking method with flow of combined heated air and steam
US8733235B1 (en) Multifunctional cooker system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2328873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102366920B1 (ko) 열기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기
CN208640481U (zh) 一种多层高效陶瓷烧烤炉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KR100794911B1 (ko) 전기프라이팬의 공기순환 분사구조
KR100809851B1 (ko) 구이기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2056542B1 (ko) 무화염 숯불구이장치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230542Y1 (ko) 숯불 고기 구이기의 숯불 온도 자동 조절장치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0170543Y1 (ko) 구이기 구조
KR200492753Y1 (ko) 보조 용기가 구비된 직화 구이기
US2088074A (en) Cooking utensil
KR200225766Y1 (ko) 고기구이팬의 기름배출 유도장치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