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26B1 -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726B1 KR102075726B1 KR1020180123724A KR20180123724A KR102075726B1 KR 102075726 B1 KR102075726 B1 KR 102075726B1 KR 1020180123724 A KR1020180123724 A KR 1020180123724A KR 20180123724 A KR20180123724 A KR 20180123724A KR 102075726 B1 KR102075726 B1 KR 1020757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unit
- heat
- coupled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항아리 형상의 조리도구 내에 만두가 놓인 조리판을 여러 층으로 쌓음으로써 다수개의 군만두를 조리할 수 있는 군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식재료가 안착되는 판 형태의 조리판과, 복수개의 조리판이 여러층으로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수납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수납부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인출구동부와, 수납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하강한 수납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수납부가 승하강할 때 통과하는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통 형상의 조리단지와, 조리단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조리단지에 제공될 공기를 가열하는 열 발생부와, 인출구동부 및 열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인출구동부 및 열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항아리 형상의 조리도구 내에 만두가 놓인 조리판을 여러 층으로 쌓음으로써 다수개의 군만두를 조리할 수 있는 군만두 조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만두는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찜을 하거나, 프라이팬에서 굽는 등 다양하게 조리할 수 있다.
이 중 군만두를 조리하는 일 방법으로는 달궈진 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른 후 만두를 넣어 적정하게 굽는 방법이 있다. 중화요리 전문점에서는 신속히 다량의 군만두를 조리하기 위해 대형 프라이팬에 다량의 식용유를 투입한 후 만두를 튀기는 방식으로 군만두를 조리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 다량의 식용유에 만두를 튀겨 조리되는 군만두는 기름진 느끼한 음식이라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이것을 섭취하지 않는 소비자가 점차 증가되고 있다.
반면, 프라이팬에 굽는 방식으로 조리되는 일본식 교자는 같은 군만두이지만 보다 고급 요리로 인식되고 있다. 기름에 튀긴 군만두는 단순히 전체가 바삭한 상태이고 기름이 많지만, 일본식 교자는 내측은 찐만두와 같이 부드러우면서 겉면은 바삭하며 담백할 정도로만 기름이 포함되기 때문에 튀긴 군만두보다 고급스러운 식감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교자와 같은 군만두가 선호되고 있으나, 이러한 군만두는 프라이팬이나 철판을 이용하여 겉면이 타지 않게 하나하나 주의하며 조리해야하기 때문에 다량의 군만두는 조리하는 것은 숙련된 요리 경험을 필요로 한다.
증기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찐만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1152903과 같이 종래에도 조리도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 다수개의 만두를 일괄적으로 조리하고 있다. 그러나, 군만두의 조리 방법은 찐만두와는 상이하기 때문에 찐만두 조리 도구가 이용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항아리 형상의 조리도구 내에 만두가 놓인 조리판을 여러 층으로 쌓음으로써 다수개의 군만두를 조리할 수 있는 군만두 조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는, 식재료가 안착되는 판 형태의 조리판과; 복수개의 상기 조리판이 여러층으로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인출구동부와; 상기 수납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하강한 상기 수납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수납부가 승하강할 때 통과하는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통 형상의 조리단지와; 상기 조리단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단지에 제공될 공기를 가열하는 열 발생부와;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가 하강될 때 상기 조리단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가 하강된 상태일 때 공기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판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일 때 상기 공기순환부에 의해 하강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열 순환구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발생부와 결합되며, 상기 조리단지의 내측까지 관통 연장되어 상기 열 발생부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단지 내측으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 전달부는 상기 조리단지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가열된 공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가 승강될 때 상기 조리단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2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열차단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강될 때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조리단지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본 발명에 의한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에 따르면,
첫째, 본 발명을 이용하면 요리실력이 숙련되지 않더라도 다량의 교자와 같은 군만두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식재료가 조리되는 동안 공기순환부에 의해 조리단지 내부 전체가 균일한 온도를 가지기 때문에 다수의 식재료가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게 된다.
셋째, 식재료가 조리되는 동안 조리단지의 개구부가 제1열차단부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조리에 이용되는 고온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넷째, 제1열차단부에 의해 개구부가 폐쇄될 때에 가열된 공기가 조리단지에 유입되기 때문에 열 손실이 최소화 되고, 안전한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다섯째, 조리가 완료된 후 수납부가 승강되면 제2열차단부가 개구부를 폐쇄하기 때문에 조리단지 내의 열이 유출되지 않아 에너지가 절약되고, 조리판을 인출하는 사용자가 고온의 공기에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의 수납부가 승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의 수납부가 하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의 사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의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가 가압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의 수납부가 하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실제 제작된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의 사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판의 사시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전달부가 가압된 상태의 부분 측단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는 식재료가 안착되는 판 형태의 조리판(200)과, 복수개의 상기 조리판(200)이 여러층으로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154)와, 상기 수납부(154)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54)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인출구동부(144)와, 상기 수납부(154)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대(142)와, 하강한 상기 수납부(154)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수납부(154)가 승하강할 때 통과하는 개구부(112)가 상부에 형성된 통 형상의 조리단지(110)와, 상기 조리단지(1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단지(110)에 제공될 공기를 가열하는 열 발생부(120)와, 상기 인출구동부(144) 및 상기 열 발생부(120)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출구동부(144) 및 상기 열 발생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18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군만두 조리장치이나, 조리판(200)에 안착할 수 있는 식재료는 군만두뿐만 아니라, 야채, 과일, 육류, 어패류 등이 될 수도 있다.
조리단지(110)는 상부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항아리 형태인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조리단지(110)는 종래 항아리와 같이 진흙으로 빗어진 토기가 될 수 있다. 토기로 제작된 조리단지(110)는 식재료의 조리를 위해 생성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열될수록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황토와 같이 고유의 향을 가진 재료를 이용하여 토기로 제작될 경우, 식재료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토기의 향기가 배어나게 되어 완성된 식재료에 새로운 풍미가 가미될 수 있게 된다.
수납부(154)는 일 측면이 개구되어 평판형의 조리판(200)을 개구된 방향에서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54)는 원활한 공기의 순환과 경량화를 위해 작은 두께의 금속 봉을 서로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인출구동부(144)는 전동기로 구성되고, 인출구동부(144)와 수납부(154)는 와이어(145)를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인출구동부(144)를 이용한 수납부(154)의 승하강은, 예를 들어, 인출구동부(14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와이어(145)가 풀림되어 수납부(154)가 하강하고, 인출구동부(14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와이어(145)가 감김되어 수납부(154)가 승강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인출구동부(144)는 지지대(142) 상부에 결합된 것으로 실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인출구동부(144)는 지면이나 조리단지(110)의 측면에 결합되고, 인출구동부(144)에서 연장된 와이어(145)가 지지대(142)의 상부를 경유한 후 수납부(154)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지지대(142)는 수납부(154)를 지지하여 수납부(154)가 바닥(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 실시예는 수납부(154)가 인출구동부(144)와 연결되어 직접적으로는 인출구동부(144)에 의해 높이가 유지되고 있으나, 인출구동부(144)는 지지대(142)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가 유지되기 때문에 수납부(154)가 지지대(142)의 지지에 의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 실시예의 지지대(142)는 조리단지(110)의 상부에 결합되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대(142)는 바닥과 같은 지면에서 직접 기립되는 것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지지대(142)는 두 개의 봉이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실시되었으나, 벽이 인접한 환경이라면 벽면에서부터 지지대(142)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실시될 수 있고, 실내 환경이라면 천장에서부터 지지대(142)가 바닥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지지대(142)는 수납부(154)를 지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개수 및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열 발생부(120)는 공기를 가열한다. 공기의 가열은 가스 연소, 연탄 연소, 숯 연소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제어기(180)는 인출구동부(144)의 정회전 및 역회전의 제어와, 열 발생부(120)의 가동여부, 조리단지(110)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한 조리단지(110) 내 온도 측정, 열 발생부(120)의 연소 강도를 제어하여 조리단지(110) 내부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기(180)는 조리시간을 확인하거나, 설정된 시간 후 자동으로 수납부(154)를 상승시키기 위한 타이머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와 같이, 제어기(180)는 조리단지(110) 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출구동부(144) 및 열 발생부(120)와 연결되어 원격지에 임의로 설치되거나, 휴대 가능한 리모컨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는 수납부(154)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154)가 하강될 때 조리단지(110)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제1열차단부(151)를 더 포함한다. 제1열차단부(151)는 수납부(154)가 조리단지(110) 내에 완전히 수납될 때 조리단지(110)의 개구부(112)를 폐쇄하여 가열된 공기가 조리단지(1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 한다. 제1열차단부(151)는 수납부(154)가 승하강할 때 함께 이동된다. 또한, 제1열차단부(151)는 개구부(112)를 기밀하게 폐쇄하기 위해 하부는 개구부(112)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부는 개구부(11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는 수납부(154)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154)가 하강된 상태일 때 공기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순환부(156)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도 4를 참조하면 조리판(200)은 상기 수납부(154)에 수납된 상태일 때 상기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하강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열 순환구(210)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가열된 공기는 상승하는 성질이 있고, 조리되기 전의 식재료에 인접한 공기는 식재료에 열을 빼앗기게 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리단지(110) 내에서 영역에 따라 공기 온도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면 모든 식재료가 동일한 시간동안 조리단지(110) 내에 위치해 있더라도 동일한 수준으로 조리되지 않을 수 있다. 공기순환부(156)는 조리단지(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킴으로써 다수의 식재료들이 균일하게 조리될 수 있게 한다.
공기순환부(156)는 회전축이 높이방향으로 고정되는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전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순환부(156)는 수납부(154)가 조리단지(11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때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제어기(18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공기순환부(156)는 제1열차단부(151)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실시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조리판(200)의 열 순환구(210)는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기능을 가지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조리판(200)은 중앙에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이동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열 순환구(210)가 관통되어 형성되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조리판(200)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미소한 크기의 열 순환구(210)들이 다수 형성되거나, 조리판(200)이 메쉬(mesh)구조인 것으로도 실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는 열 발생부(120)와 결합되며, 조리단지(110)의 내측까지 관통 연장되어 상기 열 발생부(120)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단지(110) 내측으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130)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열 발생부(120) 및 열 전달부(130)가 조리단지(110)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 실시되었다. 열 전달부(130)는 조리단지(110)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측방향으로 분사하여 배출된 공기가 조리단지(110)의 내측 벽을 따라 상승하게 한다(도 2 참조). 상승된 고온의 공기는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며, 특히 조리판(200)에 형성된 열 순환구(210)를 통과하여 조리단지(110)의 하부까지 이동하게 된다.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조리단지(110)의 하부까지 이동된 공기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조리단지(110) 내부 전체에 공기의 온도가 균일하게 형성된다.
열 전달부(130)는 조리단지(1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가열된 공기를 전달하는 특징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달부(130)는 열 발생부(120)에서 조리단지(110) 내측과 외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게 조립되고, 조리단지(11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만 열 전달부(130) 내에 형성된 열 공급로(135)가 열 발생부(120)와 연통된다. 열 전달부(130)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면 열 발생부(120)에서 가열된 공기 압력에 의해 열 전달부(130)가 조리단지(110)의 내측 방향으로 자동 이동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열 전달부(130)와 열 발생부(120)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가압되지 않을 때 열 전달부(130)가 조리단지(110)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는 수납부(154)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154)가 승강될 때 조리단지(110)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제2열차단부(152)를 더 포함한다. 제2열차단부(152)는 수납부(154)가 승강된 상태일 때 개구부(112)를 폐쇄함으로써 조리단지(110) 내부의 고온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납부(154)가 승강된 상태에서 제2열차단부(152)가 개구부(112)를 폐쇄하면 조리단지(110) 내의 공기 온도가 유지되어, 차기 식재료의 조리 시에 보다 적은 에너지로도 조리단지(110) 내부의 공기를 조리에 적합한 수준의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재료가 담긴 조리판(200)의 인출은 수납부(154)가 승강된 상태에서 실시되는데, 수납부(154)가 승강되어 있는 동안 조리단지(110)의 고온 공기가 제2열차단부(152)에 의해 조리단지(110)에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고온의 공기에 다치지 않고 안전하게 수납부(154)에서 조리판(200)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2열차단부(152)는 수납부(154)가 하강될 때 열 전달부(130)를 조리단지(1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실시예와 같이 조리단지(110)의 하부에 열 전달부(1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수납부(154)가 완전히 하강되어야 제2열차단부(152)가 열 전달부(13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수납부(154)가 완전히 하강하면 제1열차단부(151)가 개구부(112)를 폐쇄하기 때문에 열 전달부(130)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더라도 조리단지(110)에서 고온의 공기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제2열차단부(152)는 가운데가 요입되는 접시나 그릇 형상이 될 수 있다. 식재료는 조리단지(110) 내에서 고온의 공기에 의해 조리되는 동안 포함되어 있던 수분 또는 기름을 배출할 수 있고, 파편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식재료의 배출물이 수납부(154)의 하부에 위치한 제2열차단부(152)에 수용됨으로써 조리단지(110) 내부는 청결한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는 수납부(154)가 승강되었을 때 함께 승강된 제2열차단부(152)를 청소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제2열차단부(152)에 수용된 식재료의 배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만두 조리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먼저, 수납부(154)가 승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식재료가 올려진 조리판(200)을 수납부(154)에 배치한다(도 1 참조).
조리판(200)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어기(180)를 이용하여 인출구동부(144)를 제어함으로써 수납부(154)를 조리단지(110) 내측으로 하강시킨다(도 2 참조).
수납부(154)가 완전히 하강되면 제1열차단부(151)가 개구부(112)를 폐쇄하고, 제2열차단부(152)가 열 전달부(130)를 가압한다.
제2열차단부(152)에 의해 가압된 열 전달부(130)는 열 발생부(120)와 연통되어 열 발생부(120)에서 가열된 공기를 조리단지(110) 내부로 전달한다.
열 전달부(130)에서 측방향으로 배출된 고온의 공기는 조리단지(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승하며, 공기순환부(156)에 의해 다시 조리단지(110) 하부로 이동되며 순환된다.
조리단지(110) 내부 공기의 온도가 제어기(180)에 설정된 온도가 되면 제어기(180)는 열 발생부(120)의 구동을 중단시킨다.
수납부(154)의 하강 후 식재료의 완전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제어기(180)가 사용자의 입력을 받거나, 자동으로 인출구동부(144)를 수납부(154)의 승강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수납부(154)의 승강이 시작되면 제2열차단부(152)에 의한 열 전달부(130)의 가압이 해제되어 열 발생부(120)의 가열된 공기가 조리단지(110) 내부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수납부(154)가 완전히 승강되면 제2열차단부(152)가 개구부(112)를 폐쇄한다. 이때, 사용자는 수납부(154)에서 조리판(200)을 인출하여 조리가 완료된 식재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열차단부(152)에 식재료의 배출물이 담겨있다면 이때 함께 제거할 수 있다.
150도 내지 300도의 공기 내에 놓인 식재료는 식재료에 포함된 기름이 가열되어 튀김을 한 것과 같이 조리될 수 있게 된다.
만두 표면에 식용유를 적당량 바른 후 이 실시예의 조리장치에 투입하면, 만두 내에 포함된 수분에 의해 만두 내부는 찐만두와 같은 상태가 되고, 겉면은 식용유에 의해 튀긴 것과 같은 바삭한 상태가 되어 일본식 교자와 같은 군만두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조리단지 112 : 개구부
120 : 열 발생부 130 : 열 전달부
135 : 열 공급로 142 : 지지대
144 : 인출구동부 145 : 와이어
151 : 제1열차단부 152 : 제2열차단부
154 : 수납부 156 : 공기순환부
180 : 제어기 200 : 조리판
210 : 열 순환구
120 : 열 발생부 130 : 열 전달부
135 : 열 공급로 142 : 지지대
144 : 인출구동부 145 : 와이어
151 : 제1열차단부 152 : 제2열차단부
154 : 수납부 156 : 공기순환부
180 : 제어기 200 : 조리판
210 : 열 순환구
Claims (7)
- 식재료가 안착되는 판 형태의 조리판과;
복수개의 상기 조리판이 여러층으로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를 높이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인출구동부와;
상기 수납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는 지지대와;
하강한 상기 수납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수납부가 승하강할 때 통과하는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된 통 형상의 조리단지와;
상기 조리단지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조리단지에 제공될 공기를 가열하는 열 발생부와;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인출구동부 및 상기 열 발생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가 하강될 때 상기 조리단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1열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발생부와 결합되며, 상기 조리단지의 내측까지 관통 연장되어 상기 열 발생부의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단지 내측으로 전달하고, 상기 조리단지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될 때에만 가열된 공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가 하강된 상태일 때 공기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순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리판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일 때 상기 공기순환부에 의해 하강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열 순환구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납부가 승강될 때 상기 조리단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제2열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차단부는 상기 수납부가 하강될 때 상기 열 전달부를 상기 조리단지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724A KR102075726B1 (ko) | 2018-10-17 | 2018-10-17 |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23724A KR102075726B1 (ko) | 2018-10-17 | 2018-10-17 |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5726B1 true KR102075726B1 (ko) | 2020-02-10 |
Family
ID=6962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23724A KR102075726B1 (ko) | 2018-10-17 | 2018-10-17 |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72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1817A (ja) * | 2004-11-22 | 2006-06-08 | Kenji Suzuki | 加熱装置 |
KR20100004287A (ko) * | 2008-07-03 | 2010-01-13 | 홍수완 |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
KR20100092789A (ko) * | 2009-02-13 | 2010-08-23 | 문인술 | 만두 찜용 항아리 |
KR20110081492A (ko) * | 2010-01-08 | 2011-07-1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라면 조리장치 |
KR20160106361A (ko) * | 2015-03-02 | 2016-09-12 | 김덕우 |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
-
2018
- 2018-10-17 KR KR1020180123724A patent/KR1020757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41817A (ja) * | 2004-11-22 | 2006-06-08 | Kenji Suzuki | 加熱装置 |
KR20100004287A (ko) * | 2008-07-03 | 2010-01-13 | 홍수완 | 증기를 이용한 조리시스템 |
KR20100092789A (ko) * | 2009-02-13 | 2010-08-23 | 문인술 | 만두 찜용 항아리 |
KR101152903B1 (ko) | 2009-02-13 | 2012-06-05 | 문인술 | 만두 찜용 항아리 |
KR20110081492A (ko) * | 2010-01-08 | 2011-07-14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라면 조리장치 |
KR20160106361A (ko) * | 2015-03-02 | 2016-09-12 | 김덕우 | 수직형 전기 구이 그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010383A (en) | Cooking device | |
CN107981739B (zh) | 一种烤箱 | |
KR101784552B1 (ko) | 찹쌀도넛 튀김장치 | |
WO2005089183A2 (en) | No waste cooking oven with multiple cooking functions | |
KR102381053B1 (ko) | 에어프라이어 | |
CN106333515A (zh) | 具有自升降板的烹饪餐台 | |
KR101146881B1 (ko) | 튀김장치 | |
CN201675702U (zh) | 一种集合煮蛋、煎、烤、蒸、煮功能的器具 | |
JP2014217537A (ja) | 加熱調理器 | |
KR101181159B1 (ko) | 튀김장치 | |
KR100701252B1 (ko) | 고기구이테이블 | |
KR101525350B1 (ko) | 스팀 조리기 | |
KR101645564B1 (ko) | 회전 드럼식 조리기 | |
KR101209970B1 (ko) |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 |
JP2007325864A (ja) | 油揚げ装置及び油揚げ調理方法 | |
KR102075726B1 (ko) | 항아리 구조를 갖는 군만두 조리장치 | |
JP2001046242A (ja) | 家庭用オーブン、調理方法および調理装置 | |
JP5604383B2 (ja) | 加熱調理器 | |
KR102046256B1 (ko) |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식 튀김장치 | |
US2121444A (en) | Electric cooker and toaster | |
CN107969929B (zh) | 一种烤盘及应用有该烤盘的烘烤设备 | |
KR102169100B1 (ko) | 구이 테이블 | |
KR200470925Y1 (ko) | 조리기기가 구비된 가구 상판 | |
KR101671629B1 (ko) |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 |
JP2018068591A (ja) | 加熱調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