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61Y1 -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 Google Patents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61Y1
KR200488961Y1 KR2020180004718U KR20180004718U KR200488961Y1 KR 200488961 Y1 KR200488961 Y1 KR 200488961Y1 KR 2020180004718 U KR2020180004718 U KR 2020180004718U KR 20180004718 U KR20180004718 U KR 20180004718U KR 200488961 Y1 KR200488961 Y1 KR 200488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stirrer
stir
roasting apparatus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7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뚜레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뚜레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뚜레반
Priority to KR20201800047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08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with stirring, vibrating or gr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가열판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볶음솥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볶음솥 내부의 곡물을 교반해주는 교반기와,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과, 상기 볶음솥을 받쳐주면서 상기 구동수단을 수용하고 있는 하부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기에는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제1 자석과 홈통 및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곡물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Grain roasting apparatus with metal removing means}
본 고안은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가열판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볶음솥과, 상기 회전축에 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볶음솥 내부의 곡물을 교반해주는 교반기와,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과, 상기 볶음솥를 받쳐주면서 상기 구동수단을 수용하고 있는 하부통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기에는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제1 자석과 홈통 및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곡물 볶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 볶음장치(또는 로스터)이라 함은 쌀, 보리, 밀, 현미, 보리, 흑미, 통밀, 서리태, 땅콩, 옥수수, 기장, 조, 율무, 참깨, 들깨 등과 같은 곡물들을 가열하여 볶아내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곡물 볶음장치로 볶아낸 곡물들은 각종 곡물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종래에도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22048호(1999년 06월 25일)에는, 원통형 볶음용기의 바닥면에 고정열판과 곡물을 교반해 주는 회전날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날개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축과 구동모터가 상기 고정열판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곡물 볶음솥이 소개되어 있고, 또한 특허등록 제10-0295589호(2001년 05월 02일)에는 솥 내부에서 곡물이 타지 않도록 교반해 주는 주걱이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볶음솥이 소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곡물 볶음장치는 대체로 바닥면에 가열수단에 구비되어 있는 원통형 볶음솥과, 상기 볶음솥 내부에 설치되어 곡물들이 타지 않도록 교반해주는 회전날개 또는 주걱(이하, ‘교반기’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교반기는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대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볶음용기의 바닥면에 곡물이 눌어붙지 않도록 상기 바닥면을 계속 긁어주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미세한 금속물질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높다. 그리고 상기 곡물 속에도 혹시 미세한 철편이나 못, 농기구 조각 등의 금속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만일 이러한 금속물질이 그대로 곡물가공식품 속으로 유입될 경우, 인체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렇다고 상기 교반기에서 금속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교반기의 재질을 목재 등으로 구성할 경우, 상기 볶음솥의 바닥면을 효과적으로 긁어주지 못할 뿐 아니라, 마모가 심해서 교반기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참고로 상기 곡물 볶음장치와 유사한 장치로서 곡물 분쇄장치의 경우, 곡물 속으로 유입될 수 있는 쇳가루나 철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들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등록 제20-0219282호(2001년 01월 27일)에는, 밀, 쌀, 콩, 팥, 고추 등 잡곡이나 농산물을 고속으로 분쇄하여 분말화 시킬 수 있고, 분쇄중인 곡물에 포함된 쇠가루 등의 금속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곡물 분쇄장치가 소개되어 있고, 특허등록 제10-0936166호(2010년 01월 04일)에는, 덩어리 상태의 고추가루를 부드러운 입자로 잘게 분리되게 함과 동시에 고추가루에 미세하게 함유된 금속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양질의 위생적인 고춧가루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고추 분쇄기가 소개되어 있다.
실용신안공개 제20-1999-0022048호(1999년 06월 25일) 특허등록 제10-0295589호(2001년 05월 02일) 실용신안등록 제20-0219282호(2001년 01월 27일) 특허등록 제10-0936166호(2010년 01월 04일)
이에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각종 곡물을 볶아내는 곡물 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한 철편이나 상기 곡물들을 볶는 과정에서 볶음솥 자체의 마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금속물질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곡물 볶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볶음장치는, 가열판 중앙에 회전축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볶음솥과, 상기 회전축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볶음솥 내부의 곡물을 저어주는 교반기와, 상기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과, 상기 볶음솥을 받쳐주면서 상기 구동수단을 수용하고 있는 하부통체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교반기가 서로 평행하는 하변과 상변을 갖는 납작한 판막대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변이 상기 볶음솥의 가열판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변은 회전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뒤로 누운 모양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변과 인접한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자석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변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8102061777-utm00001
’형상의 홈통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홈통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볶음장치는, 교반기의 하변이 상기 볶음솥의 가열판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변은 뒤로 비스듬히 누운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교반기가 회전할 때 그 하변이 상기 가열판 위에 눌어붙은 곡물을 효과적으로 긁어주고, 또한 상기 교반기의 상면을 타고 뒤로 용이하게 넘어간다.
이때, 상기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을 상기 제1 자석이 일차적으로 붙잡아 주고, 상기 제1 자석을 통과한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은 상기 제2 자석이 다시 제거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먹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곡물 볶음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교반기(20)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상기 교반기(20)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을 실시하는데 꼭 필요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공지기술에 속하거나, 종래기술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곡물 볶음장치는, 첨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볶음솥(10)과, 상기 볶음솥(10) 내부의 곡물을 저어주는 교반기(20)와, 상기 교반기(20)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30)과, 상기 볶음솥(10)을 받쳐주는 하부통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볶음솥(10)은 상면에 개방된 원통형 용기 형상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가열판(11)에는 가열수단(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가열판(11)의 중앙에서는 회전축(12)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수단은 통상적인 전열기구일 수도 있고, 통상적인 가스버너 일 수도 있다.
상기 볶음솥(10)의 둘레벽 하단에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곡물배출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곡물배출구(13)에는 각각 슬라이딩 도어(1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볶음솥(10)의 상면에는 덮개(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중 하나인 상기 교반기(20)는, 상기 회전축(12)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볶음솥(10) 내부의 곡물을 저어주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납작한 판 막대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평행하는 하변(20a)과 상변(20b)을 갖는다.
상기 교반기(20)는 하변(20a)이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변(20b)은 회전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뒤로 비스듬히 누운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교반기(20)의 하변(20a)은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 위에 눌어붙은 곡물을 효과적으로 긁어주고, 또한 상기 교반기(20)가 회전할 때 곡물들이 상기 교반기(20)의 상변(20b) 뒤로 용이하게 넘어간다.
상기 교반기(20)의 상변(20b)과 인접한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자석(21)이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교반기(20)를 타고 곡물들이 상변(20b) 뒤로 넘어 갈 때 상기 곡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을 상기 제1 자석(21)이 일차적으로 붙잡아 준다.
또한, 상기 교반기(20)의 상변(20b)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8102061777-utm00002
’형상의 홈통(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통(22)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자석(23)이 부착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교반기(20)의 상변(20b) 뒤로 넘어간 곡물들은 상기 홈통(22) 속으로 떨어지고, 이때 상기 제1 자석(21)이 미처 잡아내지 못한 미세철편이나 금속물질은 상기 제2 자석(23)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홈통(22) 속으로 떨어진 곡물은 상기 교반기(20)가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홈통(22)의 가장자리 쪽으로 밀려나온 다음,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 위로 다시 떨어진다.
상기 홈통(22)의 일측에는 날개판(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날개판(24)이 고정볼트(25)에 의해서 상기 교반기(20)의 후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기(20)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상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양쪽으로 한 개씩 두 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회전축(12)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20)를 회전시켜 주는 것으로 통상적인 구동모터로 이루어 질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하부통체(40)는 상기 볶음솥(10)을 받쳐주면서 상기 가열판(11)을 가열하는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구동수단(30)을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기 교반기(20)를 회전시켜 주는 회전축(12)과 구동수단(30)이 모두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 하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볶음솥(10)과 상기 하부통체(40)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체결수단(15)에 의해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볶음솥(10)과 하부통체(40)가 서로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 청소나 보수 등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통체(40)의 일측에는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을 가열하는 가열수단(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과 상기 구동수단(30)을 제어하는 제어부(50)가 설치되어 있다.
10; 볶음솥 11; 가열판
12; 회전축 13; 곡물배출구
14; 슬라이딩 도어 15; 체결수단
20,20a,20b; 교반기 21; 제1 자석
22; 홈통 23; 제2 자석
24; 날개판 25; 고정볼트
30; 구동수단 40; 하부통체
50; 제어부

Claims (5)

  1. 가열판(11) 중앙에 회전축(12)이 설치되어 있는 원통형 볶음솥(10)와, 상기 회전축(12)에 지지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볶음솥(10) 내부의 곡물을 저어주는 교반기(20)와, 상기 회전축(12)을 통하여 상기 교반기(20)를 교반시켜 주는 구동수단(30)과, 상기 볶음솥(10)을 받쳐주면서 상기 구동수단(30)을 수용하고 있는 하부통체(40)로 이루어지는 곡물 볶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20)는, 서로 평행하는 하변(20a)과 상변(20b)을 갖는 납작한 판막대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변(20a)이 상기 볶음솥(10)의 가열판(11)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변(20b)은 회전방향의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뒤로 누운 모양으로 배치되며, 상기 상변(20b)과 인접한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자석(21)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상변(20b)의 후방에는 길이방향으로 ‘
    Figure 112019502358940-utm00008
    ’형상의 홈통(22)이 설치되어 있으 며, 상기 홈통(22)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자석(23)이 부착 되어 있고, 상기 홈통(22)의 일측에는 날개판(24)이 설치되어 있으며 , 상기 날개판(24)은 고정볼트(25)에 의해서 상기 교반기(20)의 후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20)는 상기 회전축(12)을 중심 으로 서로 대칭하도록 양쪽으로 한 개씩 두 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볶음솥(10)의 둘레벽 하단에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곡물배출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곡물배출구(13)에는 각각 슬라이딩 도어(14)가 설치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5.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볶음솥(10)과 상기 하부통체(40)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바깥둘레면에 설치된 체결수단(15)에 의해서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
KR2020180004718U 2018-10-17 2018-10-17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KR200488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18U KR200488961Y1 (ko) 2018-10-17 2018-10-17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718U KR200488961Y1 (ko) 2018-10-17 2018-10-17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61Y1 true KR200488961Y1 (ko) 2019-08-20

Family

ID=6776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718U KR200488961Y1 (ko) 2018-10-17 2018-10-17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61Y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28U (ko) * 1998-04-23 1998-07-25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19990022048U (ko) 1999-02-09 1999-06-25 강두석 곡물깨볶음솥
KR200219282Y1 (ko) 2000-10-21 2001-04-02 이규호 곡물 분쇄장치
KR100295589B1 (ko) 1999-01-27 2001-07-03 최종진 볶음솥
JP2007007284A (ja) * 2005-07-01 2007-01-18 Higashiya Delica:Kk 加熱処理食品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熱処理食品製造方法
KR200440009Y1 (ko) * 2006-12-29 2008-05-19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사료분쇄기용 피더의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6166B1 (ko) 2008-07-07 2010-01-12 황용구 고추가루 분리기
KR101310811B1 (ko) * 2011-12-13 2013-09-25 정순철 로스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928U (ko) * 1998-04-23 1998-07-25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200188302Y1 (ko) * 1998-04-23 2000-08-01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100295589B1 (ko) 1999-01-27 2001-07-03 최종진 볶음솥
KR19990022048U (ko) 1999-02-09 1999-06-25 강두석 곡물깨볶음솥
KR200219282Y1 (ko) 2000-10-21 2001-04-02 이규호 곡물 분쇄장치
JP2007007284A (ja) * 2005-07-01 2007-01-18 Higashiya Delica:Kk 加熱処理食品製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加熱処理食品製造方法
KR200440009Y1 (ko) * 2006-12-29 2008-05-19 주식회사 암세크코리아 사료분쇄기용 피더의 금속이물질 제거장치
KR100936166B1 (ko) 2008-07-07 2010-01-12 황용구 고추가루 분리기
KR101310811B1 (ko) * 2011-12-13 2013-09-25 정순철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35005B (zh) 用于烹调食物的器具
US5632098A (en) Bean roasting system
US2006026350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dehydrated powdered food
CN109645850B (zh) 电动运行的厨用机器
US20100107893A1 (en) Food processor arrangements
US63313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ir-frying
KR20150052545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전열식 조리기구
CN110152793A (zh) 一种家用五谷杂粮磨粉装置
KR200488961Y1 (ko) 금속물질 제거수단이 설치된 곡물 볶음장치
KR101742441B1 (ko) 음식 교반기를 갖는 조리용 솥
KR20110124049A (ko) 곡물 볶음기
JP3475294B2 (ja) 米飯の連続炒め装置及び方法
JPH07100049B2 (ja) 食品の連続加熱調理機
KR101826483B1 (ko) 곡물 볶음장치
CN105795968B (zh) 磨米组件和具有其的磨米面食加工机
CN105795969B (zh) 磨盘组件和具有其的磨米面食加工机
CN204379074U (zh) 磨米组件和具有其的磨米面食加工机
KR20130105944A (ko) 다용도 볶음기
KR20200117779A (ko) 다용도 구이기
KR100847668B1 (ko) 제빵용 팥 분말의 반죽 및 교반 장치
JP2008259947A (ja) 食品用粉体混合ミキサー
EP1785075B1 (en) Machine for the heating and cooking of food products
KR101613691B1 (ko) 볶음기
CN110522054A (zh) 便于清理的果仁炒锅
CN204379076U (zh) 磨盘组件和具有其的磨米面食加工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