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089B1 -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 Google Patents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8089B1
KR101758089B1 KR1020157005191A KR20157005191A KR101758089B1 KR 101758089 B1 KR101758089 B1 KR 101758089B1 KR 1020157005191 A KR1020157005191 A KR 1020157005191A KR 20157005191 A KR20157005191 A KR 20157005191A KR 101758089 B1 KR101758089 B1 KR 101758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convex portion
diameter
rubber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480A (ko
Inventor
마사카즈 오사다
리밍 양
충 젠 쉬에
류지 카지와라
Original Assignee
트윈스 코퍼레이션
마사카즈 오사다
리밍 양
충 젠 쉬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4355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580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트윈스 코퍼레이션, 마사카즈 오사다, 리밍 양, 충 젠 쉬에 filed Critical 트윈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3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8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8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03Zone lacing, i.e. whereby different zones of the footwear have different lacing tightening degrees, using one or a plurality of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2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made from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CBRAIDING OR MANUFACTURE OF LACE, INCLUDING BOBBIN-NET OR CARBONISED LACE; BRAIDING MACHINES; BRAID; LACE
    • D04C1/00Braid or lace, e.g. pillow-lace;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4C1/06Braid or lace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D04C1/12Cords, lines, or tow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3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 Y10T24/3787Drawstring, laced-fastener, or separate essential cooperating device therefor having elastic segment in la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 기술에서의 볼록부를 갖는 끈은 모두 탄성 고무 코어를 가지고 있지만, 볼록부의 양단 부분과 중심부분에 대응하는 고무 부분의 신축 상태에 차이가 있었다. 즉, 같은 탄성 코어에도 신축이 격렬한 부분과 전혀 신축하지 않는 부분이 공존하고, 그 경계 영역에 높은 변형이 축적되어 변형이 한계에 도달하면 결국 파열되기에 이른다. 고무와 같은 비교적 약한 소재에 변형이 축적되는 것과 같은 동작을 요구하는 점에서 이 기술에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끈은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축방향 장력의 대소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화하는 볼록부를 갖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CORD PROVIDED WITH A TUBULAR CORD BODY}
본 발명은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신발 끈과 같이 고정을 위해 구멍 통과가 필요한 끈과 관련하여,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선형(線狀) 소재를 중심으로 되는 코어로 하고, 그 코어의 외주를 섬유로 덮어 형성된 끈으로서, 외주의 섬유 부분에는 끈 신발 등의 관통 구멍에 일단 통과한 후에는 그 구멍에 걸리는 볼록부를 엮어 마련함으로써, 연결하지 않아도 느슨해지지 않는 끈에 대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끈 신발의 관통 구멍에 일단 통과할 수 있는 다음에는 그 구멍에 걸리도록 엮여진 볼록부의 작동 원리는, 그 끈에 가해지는 장력에 따라 자유 자재로 그 직경 을 변화시키는 볼록부의 구조에 있다. 즉, 상기 끈은 코어로서의 고무와 이 코어로 되는 고무에 양단이 고정되고, 그 중심이 고정되지 않는 비탄성(가요성) 볼록부를 복수개 엮어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코어로 되는 고무에 장력을 주는 것으로 고무는 신장되고, 따라서 고무의 양단 간 거리가 늘어나므로 이에 끼워진 볼록부의 중심부분은 평탄화하여 그 지름은 작아진다.
또한, 그 장력이 사라지면 고무는 다시 원래 길이로 돌아오고, 따라서 볼록부의 양단간 거리는 원 상태로 돌아오므로 볼록부는 다시 원래의 볼록부 형상으로 복원되고, 그 지름은 커진다.
이렇게 하여 볼록부의 평탄화와 복원, 즉 볼록부의 지름의 대소를 끈에 대해 미치는 장력에 의해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끈 통과시에는 볼록부를 평탄화하여 직경을 작게 하여 구멍에 통과하기 쉽도록 하고, 끈 통과가 종료한 때에는 끈에 대한 장력을 작게 하는 것으로 볼록부를 복원하여 직경을 크게 하여, 연결하지 않아도 느슨해지지 않는 신발 끈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록부를 구비한 끈에 대한 선행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3493002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비탄성 볼록부의 양단을 코어로 되는 고무에 고정하기 때문에 볼록부의 양단과 고정관계에 있는 고무 부분은 끈에 높은 장력이 걸려도 늘려지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볼록부는 비탄성의 섬유를 엮은 것이고, 이 고무 부분은 역으로 비탄성 섬유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볼록부의 중심부분에 대응하는 고무 부분은 끈으로 반복하여 높은 장력이 가해질 때마다 신축을 반복한다.
즉, 같은 탄성 코어에 있어서도 신축이 격렬한 부분과 전혀 신축하지 않는 부분이 공존하고, 그 경계 영역에 높은 변형이 축적되어 변형이 한계에 도달하면 최종적으로는 파열하기에 이른다. 고무와 같은 비교적 약한 소재에 변형이 축적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필수로 하는 점에서 이 기술에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축방향 장력의 대소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화하는 볼록부를 가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등을 제안한다.
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해, 파열되기 어렵고 또한 연결하지 않아도 느슨해지거나 헐거워지지 않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우수한 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끈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끈에 축방향 장력을 가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끈을 신발 끈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끈을 바지 끈으로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끈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2의 끈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실시예 3의 끈의 측면 단면도,
도 8은 실시예 4의 끈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실시예 5의 끈의 측면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6의 끈 본체의 엮어 짜인 부분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끈의 좌우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끈을 고무 튜브 형태로 구성한 경우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와 청구항의 상호 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실시예 1은 주로 청구항 1에 대응한다. 실시예 2는 주로 청구항 2에 대응한다. 실시예 3은 주로 청구항 3에 대응한다. 실시예 4는 주로 청구항 4에 대응한다. 실시예 5는 주로 청구항 5에 대응한다. 실시예 6은 주로 청구항 6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 실시 예 1 >>
< 개요 >
도 1은 본 발명의 끈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배치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축방향 장력의 대소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화하는 볼록부를 갖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끈 본체에 강한 장력을 반복하여 가해도 파열되거나 하는 등이 어려운 끈을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여기서 도 1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끈의 디자인은 정면도에서 좌우로만 연속되는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끈의 좌우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구성 >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0100)은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배치되는 볼록부를 갖는 튜브형 끈 본체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는 「중심부분」(0101)과 「끝부분」(0102)을 반복함으로써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예의 축방향 장력을 가한 상태의 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축방향 장력을 가함으로써 볼록부 부분의 지름은 수축하도록 변화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가해져온 장력이 제거되면 끈 본체가 수축함에 따라 다시 볼록부 부분의 직경이 팽창하도록 변화한다.
본 실시예의 끈의 「볼록부」에 관해서, 「간격을 두고 반복하여 배치」된다는 것은, 볼록부가 끈 상에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상태인 것을 가리키고 있다. 복수개의 볼록부는 각각의 중심부분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 간격이 균일할 필요는 없다. 즉, 볼록부는 중심부분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무작위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으며, 그 간격은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과 발을 고정하는 경우나, 바지와 허리를 고정하는 경우 등, 당해 구성을 취하는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이용 목적이 다른 다양한 경우에 대응한 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록부에 대해 「자신에게 가해지는 축방향 장력의 대소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화한다」라는 것은, 구체적으로는 축방향 장력이 클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되고, 당해 장력이 약해질수록 작아진 지름이 되돌아가도록 커지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여기서, 도 5는 본 실시예의 끈을 고정시키기 위한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의 처리 순서는 다음의 단계로 구성된다. 처음에 단계 S0501은 끈에 축방향 장력을 가하여 볼록부의 지름이 작아지도록 수축시킨다. 다음 단계 S0502는 장력을 가한 상태 그대로 끈을 끈 구멍에 통과시킨다. 다음에 단계 S0503은 끈 구멍을 통과한 끈의 길이가 고정관계의 유지에 적합한 길이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한 길이로 되어 있지 않으면 단계 S0502의 작업을 반복하여 계속 끈을 끈 구멍에 통과시키는 작업을 한다. 바람직한 길이라고 판단되면 단계 S0504로 이행한다. 단계 S0504는 끈에 가해진 축방향 장력을 약화시켜, 볼록부의 지름이 커지도록 팽창시킨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마지막으로 끈을 묶는 작업을 거치지 않고, 볼록부를 끈 구멍에 거는 것으로 고정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끈이 가지는 「볼록부」란, 끈 중 아무런 축방향 장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 하에서, 볼록부가 없는 부분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가지고 있는 부분을 가리키고 있다. 즉, 볼록부는 끈 본체의 일부로서 당연히 끈 본체와 마찬가지로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끈이 신축하는 성질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신축성 소재로는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며, 이러한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끈 전체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단면을 갖는 고무 튜브 형태로 구성하여도 되고, 이러한 소재와 폴리 에스테르나 나일론, 아크릴, 폴리 우레탄 등의 비 신축성 소재를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전체를 신축성 소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내부에 예를 들면 구형(球狀)의 넓은 공간을 만들어서 볼록부의 중심부분을 축소하는 것이 쉽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어느 것으로 하여도 끈 본체 전체가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부의 끝부분에 대해서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내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넓게 잡는 본 구성을 취함으로써, 축방향 장력을 가하는 것으로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끈 전체가 신축하기 때문에, 끈의 각 부분에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되고, 끈 본체에 강한 장력을 반복하여 가해도 잘 파열되지 않는 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효과 >
상기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끈 본체에 강한 장력을 가해도 볼록부 형상을 유지한 채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종래 기술이 안고 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2 >>
< 개요 >
도 6은 본 실시예의 끈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끈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신축성 소재가 고무상(rubber狀) 소재와 비 신축성의 일반적인 소재의 편입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끈에 대해 별로 부하를 주지 않고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
< 기능적 구성 >
본 실시예의 끈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도 1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끈과 공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신축성 소재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고무상 소재」는, 고무와 같이 신축성이 뛰어난 실 형상의 소재인 것을 의미하고, 축방향에 대해 힘을 부가함으로써 좋은 신장 효과를 생기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에서 「고무상」은 어디까지나 소재의 성질을 나타내는 표현으로서, 대상으로 되는 소재로 고무 자체를 배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따라서 천연 고무나 합성 고무 등의 종류를 불문하고, 고무 자체도 여기서 말하는 「고무상 소재」에 당연히 포함된다. 고무상 소재를 편입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끈에 대해 축방향 장력을 가한 경우, 작은 힘으로 충분히 늘일 수 있게 된다.
「비 신축성의 일반적인 소재」란, 상기 고무상 소재와의 비교에 있어서 신축성이 부족한 섬유소재를 가리킨다. 즉, 「비 신축성」은 「신축성이 부족한」것을 의미하는 기술 용어로서, 「신축성을 갖지 않는」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비 신축성의 일반적인 소재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폴리에스테르나 나일론, 아크릴, 폴리 우레탄 등의 섬유 소재를 들 수 있다. 선밀도가 높은 섬유 소재인 이들 일반적인 소재를 편입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튼튼하고 파열되기 어려운 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고무상 소재 만으로는 성형이 어려운 다양한 형상의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무상 소재와 일반적인 소재는, 서로 엮어 짜임으로써 본 실시예의 신축성 소재를 구성한다. 여기서 말하는 「엮어 짜임(또는 편입)」이란, 고무상 소재와 일반적인 소재를 서로 교차하도록 엮어 가는 방법 전반적인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고무상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장점과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장점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고무상 소재는 튼튼한 일반적인 소재와 엮어 짜임으로써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강한 축방향 장력이 가해져도 줄어들거나 파열되기 어렵게 되고, 일반적인 소재도 고무상 소재와 엮어 짜임으로써, 과다한 부하가 걸리는 일 없이 축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엮어 짜일 때 각 소재를 교차하는 타이밍이나 사용하는 각 소재의 분량은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즉, 고무상 소재와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비율은 1 : 1로 균등하게 하여도 좋고, 1 : 5 및 1 : 7 등과 같이 일반적인 소재를 고무상 소재보다 많이 사용하는 비율로 하여도 좋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끈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에 족한 정도로 충분한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고무상 소재와 일반적인 소재의 비율을 1 : 7 전후 정도로 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진 끈 본체를 엮어 짜는 것에 의해 구성하는 본 실시예의 끈에 있어서, 끈 본체에 설치되는 볼록부의 형성 방법을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볼록부는 끈에 축방향 장력을 가할 때에 지름의 크기가 변화 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끈의 기능을 엮어 짜는 구조하에서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 부분에 대해서는 축 방향 장력에 의한 지름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끈의 다른 부분에 비해서 엮는 법을 느슨하게 하는 등 끈을 엮어 짜는데 부분적으로 느슨함과 급함(緩急)을 주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엮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볼록부 부분을 신축 가능하도록 굽혀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끈 본체에서 볼록부의 중심부분과 끝부분에서 개별적으로 엮어 짠 소재를 꿰매어 잇는 것이 아니라, 일련의 고무상 소재 및 일반적인 소재 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효과 >
일반적인 소재를 사용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채택한 본 실시예에 의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 외에, 끈이 튼튼하고 찢어지기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섬유상의 일반적인 소재가 관통 구멍과의 저항을 완화시켜 미끄러지기 쉽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 실시 예 3 >>
< 개요 >
도 7은 본 실시예의 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끈과 같지만, 끈 본체의 튜브형 구조에 의해 구성되는 중심의 「관부분」(0703)에 비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볼록부의 코어를 구성하고, 볼록부의 지름 변화에 따른 볼록부 양단 거리의 변화에 추종하도록 「볼록부 대응부분」(0704)에서 둥글게 뭉쳐진 「중심 끈」(070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끈을 반복하여 사용한 결과 끈 본체의 볼록부 부분이 복원하기 힘들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기능적 구성 >
본 실시예의 끈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도 1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끈과 공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중심 끈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중심 끈」은 볼록부의 지름 변화에 따른 볼록부 양단 거리의 변화에 추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볼록부 대응부분에서 둥글게 뭉쳐져 볼록부의 코어를 구성하고 있다. 「볼록부의 지름 변화에 따른 볼록부 양단 거리의 변화」란, 끈 본체에 대해 크고 작은 축방향 장력이 가해짐으로써 볼록부의 지름 변화가 생기고, 상기 지름 변화에 대응하도록 볼록부의 양단 거리도 변화하는 본 발명의 끈 특징을 지칭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추종하는 기능」은, 예컨대, 상기 볼록부의 양단 거리가 짧아지면 중심 끈의 후술하는 둥글게 뭉쳐진 부분이 더욱 수축하도록 둥글게 되고, 양단 거리가 넓어지면 중심 끈의 둥글게 뭉혀진 부분이 신장되는 기능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여기서, 중심 끈 중 둥글게 뭉쳐진 부분은 끈 본체의 볼록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 하에서는, 끈 본체를 구성하는 신축성 소재는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동안에는, 중심 끈의 볼록부 대응부분을 따르도록 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볼록부 대응부분이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안쪽에 코어로서 기능하는 중심 끈을 가짐으로써, 상기 볼록부는 반복 사용에도 견딜 정도의 단단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중심 끈을 볼록부의 코어로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당해 볼록부 대응부분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게 해둘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볼록부의 코어로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중심 끈은 각각의 볼록부 대응부분을 연결, 예를 들면 끈의 단부 등에서 끈과 고정되어 있는 끈 형태 구조를 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심 끈은 끈을 신축시키기 위해 기능시킬 필요는 없으므로, 신축성 소재를 이용할 필요는 없고, 비 신축성 소재로 되어 있으면 된다. 즉, 끈 본체에 축방향의 장력을 가하여 신축시키는 경우에도, 중심 끈은 상기 고무상 소재처럼 신축 하지 않는다. 중심 끈은 끈 본체 보다도 약간 긴 길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둥글게 뭉쳐진 부분」은, 예를 들면 나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구성을 취함으로써, 끈을 반복해 신축하여 사용하여도 상기 둥글게 뭉쳐진 부분이 얽혀 볼록부의 복원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 효과 >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끈을 반복 사용한 결과 끈 본체의 볼록부 부분이 복원되기 힘들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실시 예 4 >>
< 개요 >
도 8은 본 실시예의 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끈과 같지만, 끈 본체의 「볼록부 중심부분」(0801)은 축방향 장력이 0인 상태에서 「볼록부의 끝부분」(0802)의 직경(W2)의 1.5배 이상의 직경(W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볼록부의 형상에 관한 특징을 구비함으로써, 끈이 관통 구멍에 걸리기 쉽게 될 뿐만 아니라, 길이를 조정할 때 끈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 기능적 구성 >
본 실시예의 끈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도면 등을 이용해 설명한 끈과 공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볼록부의 직경의 크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축방향 장력이 0인 상태」란, 끈을 당기는 힘이 생기지 않은 상태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의 중심부분은 양 단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 볼록부를 관통 구멍에 걸리게 함으로써 고정 수단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볼록부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직경은 양단 부분은 물론 관통 구멍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반면에,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지름이 지나치게 커지면 끈 전체 형상의 밸런스가 무너져 이용자에게 주는 미감을 해치게 된다. 그뿐만 아니라 끈이 관통 구멍을 통과하게 하려면, 볼록부의 중간부분의 직경을 작게 하여 끈 전체의 직경을 평탄화 하기 위해 과도한 축방향 장력을 가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끈은 일상 생활에서 남녀노소가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고정수단 또는 결속수단으로서 이용되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힘이 약한 노인이나 아이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작은 축방향 장력에 의해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지름이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볼록부는 관통 구멍에 걸리기 쉬우며, 또한 작은 축방향 장력으로 끈 전체가 평탄화될 수 있는 직경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끈 본체의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직경을 7 mm, 양단부분의 직경을 4 mm로 하는 본 발명의 끈을 준비한 결과, 특별히 큰 축방향 장력을 가하지 않고 볼록부의 지름이 줄어들고 끈 본체가 평탄화되었다.
< 효과 >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끈이 관통 구멍에 걸리기 쉽게 될 뿐만 아니라, 길이를 조정할 때 끈의 움직임을 매끄럽게 할 수 있게 된다.
<< 실시 예 5 >>
< 개요 >
도 9는 본 실시예의 끈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끈과 마찬가지이지만, 끈 본체의 「볼록부의 중심부분」(0901)은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볼록부의 끝부분」(0902)의 직경(W4)의 1.3배 이하인 직경(W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관통구멍에 걸리는 일 없이 매끄럽게 끈을 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기능적 구성 >
본 실시예의 끈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도 1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끈과 공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끈 본체에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볼록부의 지름의 크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란, 끈 본체를 인장한 상태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지름은 축방향 장력이 0인 상태에 비해 작아지게 되고, 이 볼록부가 관통 구멍에 걸리는 일 없이 통과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따라서 볼록부가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관통 구멍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으로 될 필요가 있다.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도 관통 구멍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작은 직경」이란, 궁극적으로는 볼록부의 양단 부분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끈은 끈 본체에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튜브모양으로 되어 있다. 즉, 튜브 안쪽에 유휴 부분이 있으므로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직경이 양단 부분의 직경 보다 약간 커도 관통 구멍을 통과할 때에 볼록부 부분이 튜브 안쪽의 유휴 부분을 향해 수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단 부분의 지름과 같은 지름 정도의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끈 본체의 볼록부의 중심부분의 직경을 7mm, 끝부분의 직경을 4mm로 하는 본 발명의 끈을 준비하여, 지름 4mm의 관통 구멍을 통과하도록 축방향 장력을 가하는 경우, 볼록부의 지름이 5mm 정도인 상태에서도 관통 구멍을 통과할 수 있었다.
< 효과 >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관통 구멍에 대해 걸리는 일 없이 매끄럽게 끈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실시 예 6 >>
< 개요 >
도 10은 본 실시예의 끈 본체의 엮어 짜인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도면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끈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끈과 같지만, 끈 본체의 상기 엮어 짜임이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를 가지고 엮어 짜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매끄럽게 끈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 기능적 구성 >
본 실시예의 끈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실시예 1의 도 1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끈과 공통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인 끈 본체의 짜임 각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 10에 나타낸 바 같이, 「엮어 짜임(또는 편입)이 축방향에 대하여 대략 45도 각도를 가지고 짜여져 있다」는 것은, 고무상 소재와 일반적인 소재가 대략 45도 각도가 되도록 엮어 짜여져 있는 상태인 것을 가리키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끈 본체를 관통 구멍에 통과시킬 때에는 가급적 끈 본체가 관통 구멍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걸리는 문제는 볼록부 지름의 크기 외에도 볼록부의 표면 형상에 따라서도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록부의 표면 형상이 매끄러운 모양일수록 관통 구멍을 통과할 때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여기에서 각 소재를 엮어 짤 때의 각도가 느슨하면 느슨할 수록 짜임 자체가 느슨하게 되고, 그 결과로 끈은 관통 구멍에 걸리기 쉬워 진다. 한편, 상기 각도가 예리할수록 끈 본체의 지름이 작아지므로 관통 구멍에 걸기 위한 볼록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강한 축방향 장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볼록부의 직경을 작게 하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고무상 소재와 일반 소재가 각각 대략 45도 각도로 짜여진 짜임에 의해 형성된 끈 본체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끈을 이용한 결과, 상기 폐해가 생기지 않고, 매끄럽게 관통 구멍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 효과 >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끈에 의해, 실시예 1의 효과에 더하여 매끄럽게 끈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100 · · · 끈
0101 · · · 볼록부의 중심부분
0102 · · · 볼록부의 끝부분
0103 · · · 단부
0200 · · · 끈
0201 · · · 볼록부의 중심부분
0202 · · · 볼록부의 끝부분
0701 · · · 볼록부의 중심부분
0702 · · · 볼록부의 끝부분
0703 · · · 관부분
0704 · · · 볼록부 대응부분
0705 · · · 중심 끈
1201 · · · 볼록부의 중심부분
1202 · · · 볼록부의 끝부분

Claims (6)

  1.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고, 자신에게 가해지는 축방향 장력의 대소에 따라 지름의 크기가 변화하는 볼록부를 가지는 신축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신축성 소재는 고무상 소재와 비 신축성인 일반적인 소재를 엮어 짜는 것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끈 본체의 상기 볼록부는 축방향 장력이 0인 상태에서 볼록부가 없는 부분의 끈 본체의 직경의 1.5배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끈 본체의 상기 볼록부는 축방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볼록부가 없는 부분의 끈 본체 직경의 1.3배 이하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5. 청구항 2에 있어서,
    끈 본체의 상기 엮어 짜임은, 축방향에 대해서 약 45도의 각도를 가지고 엮어 짜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내부는 볼록부가 없는 부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끈.
KR1020157005191A 2012-07-04 2012-11-01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KR101758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0880A JP5079926B1 (ja) 2012-07-04 2012-07-04 チューブ状ひも本体を備えたひも
JPJP-P-2012-150880 2012-07-04
PCT/JP2012/078395 WO2014006774A1 (ja) 2012-07-04 2012-11-01 チューブ状ひも本体を備えたひも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51A Division KR101541883B1 (ko) 2012-07-04 2012-11-01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480A KR20150038480A (ko) 2015-04-08
KR101758089B1 true KR101758089B1 (ko) 2017-07-21

Family

ID=4743551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51A KR101541883B1 (ko) 2012-07-04 2012-11-01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KR1020157005191A KR101758089B1 (ko) 2012-07-04 2012-11-01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851A KR101541883B1 (ko) 2012-07-04 2012-11-01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8832913B2 (ko)
EP (2) EP2749678B1 (ko)
JP (1) JP5079926B1 (ko)
KR (2) KR101541883B1 (ko)
CN (2) CN104905484A (ko)
AU (1) AU2012384367B2 (ko)
BR (1) BR112014032369B1 (ko)
CA (1) CA2856284C (ko)
CL (1) CL2014003124A1 (ko)
CO (1) CO7170130A2 (ko)
CU (1) CU20150001A7 (ko)
ES (1) ES2704466T3 (ko)
HK (1) HK1210579A1 (ko)
IN (1) IN2014DN03299A (ko)
MX (1) MX355640B (ko)
MY (2) MY166060A (ko)
PL (1) PL2749678T3 (ko)
RU (2) RU2604179C2 (ko)
SG (1) SG11201403067XA (ko)
TW (1) TWI491781B (ko)
WO (1) WO2014006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0675B2 (en) 2012-02-06 2014-10-07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thereof
US9538802B2 (en) 2012-02-06 2017-01-10 Hickies, Inc. Fastening devices and methods
JP5079926B1 (ja) * 2012-07-04 2012-11-21 株式会社ツインズ チューブ状ひも本体を備えたひも
US20150047159A1 (en) * 2013-08-15 2015-02-19 Ping-Kun Lin Slip-resistant shoelace
FR3027494B1 (fr) * 2014-10-28 2017-09-15 Sylvain Creton Lacet de chaussure
CN104389211A (zh) * 2014-11-25 2015-03-04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复合绳
JP2016158818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ツインズ 革靴および靴紐
US20160295970A1 (en) * 2015-04-07 2016-10-13 Matthew Michael Aguirre Shoelace Interfaces Providing Selective Malleability
US9888744B2 (en) * 2015-04-17 2018-02-13 John Cogliandro Slip resistant shoelace
US11033078B2 (en) * 2015-04-17 2021-06-15 Intelligent Innovation LLC Slip resistant shoelace and cord
US9675137B2 (en) * 2015-09-08 2017-06-13 Steve Wu Elastic coreless rope belt
WO2017174774A1 (de) 2016-04-08 2017-10-12 Teufelberger Fiber Rope Gmbh Kern-mantel-seil
TWM529401U (zh) * 2016-06-07 2016-10-01 San Dai Entpr Co Ltd 鞋帶結構改良
JP6689182B2 (ja) * 2016-12-12 2020-04-28 山三商事株式会社 靴紐及び靴
JP6157766B1 (ja) * 2017-01-24 2017-07-05 株式会社ツインズ こぶ付紐用の先端固定具
USD859807S1 (en) 2017-05-04 2019-09-17 Correct Motion Inc. Laces
JP2019007106A (ja) * 2017-06-26 2019-01-17 日本ソリッド株式会社 伸縮性紐
JP7006907B2 (ja) * 2017-08-17 2022-01-24 山三商事株式会社 靴紐及び靴
EP3703528A4 (en) 2017-10-31 2020-12-09 Correct Motion Inc. LACES
DE102017129826B4 (de) 2017-12-13 2020-06-18 geronimo GmbH Schnürsenkel mit Längenmessskala
DE112018007127T5 (de) * 2018-02-20 2020-11-05 Lg Electronics Inc. Anzeigevorrichtung
JP6425364B1 (ja) 2018-05-31 2018-11-21 株式会社ツインズ 弾性変形可能な組紐
CN116369621A (zh) * 2018-08-31 2023-07-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带凹口的线轴的自动系带鞋类马达
JP6498834B1 (ja) 2018-11-07 2019-04-10 株式会社ツインズ 弾性変形可能な紐
CN109515735A (zh) * 2019-01-23 2019-03-26 建湖县鑫源绳带有限公司 一种机场行李车网套
GB2588776A (en) * 2019-11-05 2021-05-12 Tsai Chung Shun Flexible band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fixing mouth thereof
CN111194969B (zh) * 2020-01-17 2021-05-07 福建省足友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童鞋
US11839266B2 (en) * 2020-06-08 2023-12-12 BriTemp IP Holdco LLC Footwear laces and method for tightening footwear lac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002B1 (ko) 1969-10-11 1974-01-24
JPS4899444A (ko) * 1972-03-31 1973-12-15
JPS53122453U (ko) * 1977-02-22 1978-09-29
JPS54116455A (en) * 1978-02-24 1979-09-10 Tadashi Inoue Fancy string and production
JPS5621862A (en) 1979-07-30 1981-02-28 Nec Corp Ink jet head and method of its manufacturing
US4423539A (en) * 1982-01-04 1984-01-03 Edward I. Greenberg Plastic laces for running shoes
US4694541A (en) * 1986-07-23 1987-09-22 Skyba Helmut K Elastic tie-down with rope adjustment means
US5023982A (en) * 1990-01-16 1991-06-18 Mehan Charles T Shoe lace for athletic shoes
BR7500020U (pt) * 1995-01-05 1997-03-25 Papeete Comercio E Representac Disposiçao construtiva em atacador para calçados
DE29608971U1 (de) * 1996-05-20 1996-08-22 Teufelberger Ges.M.B.H., Wels Seil für die Mitnahme und Weitergabe von Papierbahnen bei der Herstellung von Papier und Kartonagen auf Papiermaschinen
CN2335416Y (zh) * 1998-02-13 1999-09-01 郑伟 一种螺旋免系鞋带
JP3160573B2 (ja) 1998-06-24 2001-04-25 積水樹脂株式会社 タイルの施工方法および施工具
CN1147630C (zh) * 1999-04-14 2004-04-28 奎斯特技术公司 拉曳-张紧弹性绳索
CN2438353Y (zh) * 2000-07-28 2001-07-11 周龙交 变比传控式鞋带自动系解互动的鞋子
FR2820003A1 (fr) * 2001-02-01 2002-08-02 Pierre Georges Petroff Lacets elastiques torsades
US7331269B2 (en) * 2001-07-02 2008-02-19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items with a flexible member
GB2411570A (en) * 2004-03-05 2005-09-07 David Iddon Elastic lacing system
RU45904U1 (ru) * 2005-02-22 2005-06-10 Пахомов Валерий Михайлович Шнурок для обуви
FR2894115B1 (fr) * 2005-12-06 2008-08-22 Sylvain Creton Lacet de chaussure extensible autobloquant
US8302522B2 (en) * 2009-04-27 2012-11-06 Marquez Transtech Ltée Composite material, composite part and methods for making such
GB2474866B8 (en) * 2009-10-29 2013-04-10 Xiros Ltd Knot slip resistant woven cord
JP3160573U (ja) * 2010-03-23 2010-07-01 猛美 小林 靴紐及びそれを備えた靴
KR20110108642A (ko) * 2010-03-29 2011-10-06 신강희 자동 결속형 신발끈
CN201668041U (zh) * 2010-04-30 2010-12-15 刘子绎 一种免系鞋带
CN201683150U (zh) * 2010-04-30 2010-12-29 李扬德 一种免系鞋带
US8910554B2 (en) * 2010-08-05 2014-12-16 Gosen Co., Ltd. Protective sleeve for motor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FR2971676B1 (fr) * 2011-02-17 2015-05-29 Distrisud Lacet pour chaussure a oeillets
CN104486961B (zh) * 2012-03-30 2016-08-31 米格尔·A·冈萨雷斯 具有锥形突出部分的弹性绳带
JP5079926B1 (ja) * 2012-07-04 2012-11-21 株式会社ツインズ チューブ状ひも本体を備えたひ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07392A1 (en) 2014-01-09
HK1210579A1 (en) 2016-04-29
BR112014032369B1 (pt) 2022-01-25
CA2856284A1 (en) 2014-01-09
CN103519500A (zh) 2014-01-22
EP2749678A1 (en) 2014-07-02
MX355640B (es) 2018-04-25
WO2014006774A1 (ja) 2014-01-09
JP5079926B1 (ja) 2012-11-21
MY166060A (en) 2018-05-22
EP3473761B1 (en) 2023-01-25
CU20150001A7 (es) 2015-03-30
MY178984A (en) 2020-10-26
RU2604179C2 (ru) 2016-12-10
EP3473761A1 (en) 2019-04-24
TWI491781B (zh) 2015-07-11
KR20150038480A (ko) 2015-04-08
RU2672028C1 (ru) 2018-11-08
RU2015101982A (ru) 2016-08-20
CN103519500B (zh) 2015-08-05
EP2749678B1 (en) 2018-10-24
PL2749678T3 (pl) 2019-06-28
US8832913B2 (en) 2014-09-16
NZ702896A (en) 2015-11-27
TW201402907A (zh) 2014-01-16
SG11201403067XA (en) 2014-09-26
KR20140041892A (ko) 2014-04-04
ES2704466T3 (es) 2019-03-18
EP2749678A4 (en) 2015-04-22
BR112014032369A2 (pt) 2017-06-27
AU2012384367A1 (en) 2014-09-04
KR101541883B1 (ko) 2015-08-04
MX2015000015A (es) 2015-08-14
CO7170130A2 (es) 2015-01-28
CN104905484A (zh) 2015-09-16
JP2014012909A (ja) 2014-01-23
CL2014003124A1 (es) 2015-08-28
IN2014DN03299A (ko) 2015-06-26
AU2012384367B2 (en) 2014-12-18
CA2856284C (en)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089B1 (ko) 튜브형 끈 본체를 구비한 끈
JP5392519B1 (ja) チューブ状ひも本体を備えた固定ひも
US8967600B2 (en) Safety lany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49922A1 (en) Fiber-reinforced synthetic sheets for prosthetic heart valve leaflets
WO2020095465A1 (ja) 弾性変形可能な紐
JP4771759B2 (ja) ゴム紐及びこれを用いた衣料品
JP6664310B2 (ja)
AU2016101551A4 (en) Fastening lace comprising tubular lace body
JP5383456B2 (ja) 細巾織物及び細巾織物の製造方法
JP3201813U (ja) 芯を有しない弾性組紐バンド
JP5077957B2 (ja) 気柱テント
JP2020147854A (ja) 弾性変形可能な紐
JP6866972B2 (ja) 腰ベルト
JP2023128576A (ja) 立体構造材
JP3104407U (ja) 伸縮性を有する丸打又は平打の組紐
JP2022031396A (ja) 靴紐及び靴
JP2020076181A (ja) 弾性変形可能な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