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8642A - 자동 결속형 신발끈 - Google Patents

자동 결속형 신발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8642A
KR20110108642A KR1020100027947A KR20100027947A KR20110108642A KR 20110108642 A KR20110108642 A KR 20110108642A KR 1020100027947 A KR1020100027947 A KR 1020100027947A KR 20100027947 A KR20100027947 A KR 20100027947A KR 20110108642 A KR20110108642 A KR 20110108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core
braided
density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강희
Original Assignee
신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강희 filed Critical 신강희
Priority to KR1020100027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8642A/ko
Publication of KR2011010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43C1/02Shoe lacing fastenings with elastic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2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provided with tags, buttons, or decorative tuf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신발을 결속할 수 있는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재료의 심재, 상기 심재를 포용하되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braid) 편조되는 고밀도 편조부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는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표재 및 상기 심재의 단부와 표재의 단부를 결착하는 팁이 포함되며,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형 돌출부가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신발 착용시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자동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결속형 신발끈{AUTOMATICALLY TIGHTENING SHOELACE}
본 발명은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신발을 결속할 수 있는 신발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형 돌출부가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신발 착용시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자동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의 신발끈은 자체적으로 결속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발 착용시 신발 착용자가 수작업으로 신발끈의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여 신발을 결속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의 신발은 신발끈의 매듭을 체결하는 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결속하는 것도 매우 곤란하며, 이로 인하여 소비자가 신발끈을 구비한 신발을 기피하는 현상까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된 바,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55727호(고안의 명칭 : 신발끈)에서는 신발끈의 본체부가 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신발끈 결착공에 결착된 후에 소정 압착상태를 유지하는 신발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끈은 신발끈 자체로 결속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가 수작업으로 신발끈의 매듭을 체결하여 번거롭게 신발을 결속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4257호(고안의 명칭 : 고무줄 신발끈)에서는 몸체를 고무줄로 형성하여, 신발 착용시 구두주걱을 사용하지 않고 신발을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 후에는 고무 재질의 몸체가 원상복귀되는 고무줄 신발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줄 신발끈은 고유의 탄성을 지니고 있으나, 신발끈 자체로 결속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가 수작업으로 신발끈의 매듭을 체결하여 번거롭게 신발을 결속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9654호(발명의 명칭 : 풀림이 방지되는 신발끈)에서는 신발끈의 내부에 가소성의 심이 삽입되어 상기 신발끈을 결속한 상태에서 심의 형상이 유지되므로 신발끈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끈 역시 자체로 결속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가 수작업으로 신발끈의 매듭을 체결하여 번거롭게 신발을 결속해야 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8565호(고안의 명칭 : 플라스틱 신발끈)에서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측이 파도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된 플라스틱 신발끈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7790호(고안의 명칭 : 스스로 풀리지 않는 신발끈)에서는 양측에 요철부가 형성된 신발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끈들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신발끈 자체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신발끈을 신발끈 구멍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여 실용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 링이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돌출 링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자동적으로 결속할 수 있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 상기 심재를 포용하되,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braid)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고밀도 편조부와 상기 원사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 형성되는 표재; 및 상기 심재의 단부와 표재의 단부를 결착하도록 형성되는 팁이 포함되며,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형 돌출부가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자동적으로 결속함으로써, 착용자의 편의를 대폭 증대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부분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단면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장력 인가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작용상태도
본 발명은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는 고밀도 편조부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는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표재가 고탄성 재료의 심재를 포용함으로써,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형 돌출부가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하고 있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부분절개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서 장력이 인가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가 포함된다.
고탄성을 지닌 탄성 재료로 이루어져서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탄성을 부여하는 심재(10)가 형성된다.
심재(10)를 형성하는 탄성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 천연고무, 합성고무, 또는 스판덱스와 같은 탄성사 등의 기 공지된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재질의 심재(10)가 표재(20)에 내재되어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구성된다.
단면적이 제한되는 신발끈 고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표재(20)에 내재되는 심재(10)의 가닥수에 제한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구성하기 위하여 심재(10) 1∼6 가닥, 바람직하게는 2∼6 가닥이 표재(20)의 내부에 형성된다. 심재(10) 1 가닥이 표재(20)에 내재되어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구성할 수 있으나, 상기 심재(10) 1 가닥이 포함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뻣뻣해져서 실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구성하기 위하여 표재(20)에 내재되는 심재(10)가 6 가닥을 초과하면 상기 심재(10)가 지나치게 가늘어져서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심재(10)의 가닥수가 과다하여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1∼6 가닥의 심재(10)를 고밀도 편조부와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되는 표재(20)가 포용함으로써, 탄성을 지니고 자체적으로 결속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상기 심재를 포용하되,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고밀도 편조부와 상기 원사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 형성되는 표재, 및 상기 심재의 단부와 표재의 단부를 결착하도록 형성되는 팁이 포함된다.
심재(10)를 포용하도록 통상적인 신발끈의 재료로 사용되는 기 공지된 원사가 편조되어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심재(10)보다 길게 형성되는 표재(20), 상기 심재(10)의 단부와 표재(20)의 단부를 결착하도록 형성되는 팁(30)이 형성된다.
표재(20)는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고밀도 편조부(21)와, 상기 고밀도 편조부(21)에 비하여 원사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저밀도 편조부(23)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표재(20)에서 교대로 배치되는 고밀도 편조부(21)의 직경, 길이 및 원사 밀도와 저밀도 편조부(23)의 직경, 길이 및 원사 밀도는 신발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밀도 편조부(21)와 저밀도 편조부(23)가 교대로 배치되는 표재(20)의 내부에 심재(10)가 수용되고, 상기 심재(10)의 단부와 표재(20)의 단부가 팁(30)에 의해 견고하게 결착됨으로써, 상기 심재(10)의 신축에 의거하여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23)의 형태가 변화되어 신발끈에 걸리거나 또는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양방향으로 가해지던 장력이 해제되어 심재(10)가 원래 상태로 수축되면,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21)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지만, 상기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23)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링형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링형 돌출부(25)가 신발끈 구멍에 걸려서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더 이상 풀려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반면,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져서 심재(10)가 신장되면,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21)가 어느 정도 늘어나게 되지만, 상기 링형 돌출부(25)의 직경이 대폭 감소되어 신장됨으로써 표재(20)가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직경을 지니도록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신발끈 구멍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신발을 착용하기 위하여 착용자가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양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심재(10)가 신장되면서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21)가 약간 늘어나게 되지만, 각 저밀도 편조부(23)가 수축 형성된 링형 돌출부(25)의 직경이 심하게 감소됨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직경을 지니도록 변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신발끈 구멍들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신발 개구부 전방과 신발혀를 압박하게 된다.
착용자가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최상부 신발끈 구멍에 끼워서 신발 개구부 전방과 신발혀를 적정한 압력으로 압박하게 되면, 상기 착용자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매듭을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력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착용자가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심재(10)가 수축되면서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21)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지만, 상기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23)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링형 돌출부(25)가 형성되고, 최상부 신발끈 구멍의 상부에 인접한 링형 돌출부(25)가 상기 최상부 신발끈 구멍에 걸려서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더 이상 풀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고밀도 편조부(21)로 이루어지고 양 측부가 고밀도 편조부(21)와 저밀도 편조부(23)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표재(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가 고밀도 편조부(21)로 이루어지고 양 측부가 고밀도 편조부(21)와 저밀도 편조부(23)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표재(20)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신발에 결속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외력에 의해 저밀도 편조부(23)의 직경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직경을 지니도록 변형되어 신발끈 구멍들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은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착용자의 발 크기에 맞춰서 적절한 조임 강도로 신발을 자동적으로 결속할 수 있다.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하기 위하여 자동 결속형 신발끈에 양 방향으로 외력을 가한다. 이 때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심재가 신장되면서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가 약간 늘어나게 되지만, 각 저밀도 편조부가 수축 형성된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대폭 감소됨으로써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전체적으로 거의 일정한 직경을 지니도록 변형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신발끈 구멍들에 차례로 용이하게 끼워서 신발 개구부 전방과 신발혀를 압박하게 된다.
착용자가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최상부 신발끈 구멍에 끼워서 신발 개구부 전방과 신발혀를 적정한 압력으로 압박하게 되면, 상기 착용자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자동 결속형 신발끈을 놓아서 외력을 해제한다. 상기와 같이 착용자가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외력을 해제하게 되면, 심재가 수축되면서 표재의 각 고밀도 편조부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되지만, 상기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링형 돌출부가 형성되고, 최상부 신발끈 구멍의 상부에 인접한 링형 돌출부가 상기 최상부 신발끈 구멍에 걸려서 상기 자동 결속형 신발끈이 더 이상 풀려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의 말단부를 묶어서 매듭을 체결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결속하여 신발을 착용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심재 20 : 표재
21 : 고밀도 편조부 23 : 저밀도 편조부
25 : 링형 돌출부 30 : 팁

Claims (4)

  1.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심재;
    상기 심재를 포용하되, 원사가 고밀도로 브레이드(braid)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고밀도 편조부와 상기 원사가 저밀도로 브레이드 편조되어 이루어지는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 형성되는 표재; 및
    상기 심재의 단부와 표재의 단부를 결착하도록 형성되는 팁이 포함되며,
    무장력 상태에서는 심재의 수축에 의해 표재의 각 저밀도 편조부가 볼록하게 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링형 돌출부가 신발끈 구멍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반면, 양 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면 심재의 신장에 의해 표재의 링형 돌출부의 직경이 감소되어 신발끈 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탄성사로 이루지는 군으로부터 택일되는 탄성 재료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재의 내부에 1∼6 가닥의 심재가 내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재의 중앙부가 고밀도 편조부로 이루어지고 양 측부가 고밀도 편조부와 저밀도 편조부가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속형 신발끈.
KR1020100027947A 2010-03-29 2010-03-29 자동 결속형 신발끈 KR20110108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47A KR20110108642A (ko) 2010-03-29 2010-03-29 자동 결속형 신발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947A KR20110108642A (ko) 2010-03-29 2010-03-29 자동 결속형 신발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642A true KR20110108642A (ko) 2011-10-06

Family

ID=4532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947A KR20110108642A (ko) 2010-03-29 2010-03-29 자동 결속형 신발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86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9500A (zh) * 2012-07-04 2014-01-22 株式会社龙凤 具备管状绳主体的绳
CN108402600A (zh) * 2018-05-08 2018-08-17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双色凹凸纹路一体式鞋带
KR20190085218A (ko) * 2018-01-10 2019-07-18 이수봉 풀림방지 신발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9500A (zh) * 2012-07-04 2014-01-22 株式会社龙凤 具备管状绳主体的绳
CN103519500B (zh) * 2012-07-04 2015-08-05 株式会社龙凤 具备管状绳主体的绳
CN104905484A (zh) * 2012-07-04 2015-09-16 株式会社龙凤 具备管状绳主体的绳
KR20190085218A (ko) * 2018-01-10 2019-07-18 이수봉 풀림방지 신발끈 및 그 제조방법
CN108402600A (zh) * 2018-05-08 2018-08-17 东莞百宏实业有限公司 一种双色凹凸纹路一体式鞋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4632T3 (es) Cordón elástico con porciones cónicas que sobresalen
CN106974354B (zh) 具有绳结构的鞋品
CN109862802B (zh) 具有用于拉紧和松开的环的系带系统
JP6304635B2 (ja) 編み込みアッパーを有する履物製品
CN103415657B (zh) 多材料束紧带
ES2284483T3 (es) Cordon elastico que se aprieta tirando.
EP3247238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esh structure
KR102045354B1 (ko) 파형 피쳐를 갖는 탄성 편직 구성요소,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탄성 편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
US7305996B2 (en) Elastic band
US7549201B2 (en) Elastic shoelace
TWM456105U (zh) 編織鞋面
US20100180911A1 (en) Elastic band
US11147337B2 (en) Footwear article having cord structure and convertible heel strap
KR20110108642A (ko) 자동 결속형 신발끈
JP5727770B2 (ja) 靴ひもの締付構造及び靴ひもの締付方法
JP6425364B1 (ja) 弾性変形可能な組紐
CN211021222U (zh) 一体性绑带的防松脱结构
JP3201813U (ja) 芯を有しない弾性組紐バンド
TWM593177U (zh) 一體性綁帶之防鬆脫結構
KR200497798Y1 (ko)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JP3226720U (ja) 弾性変形可能な靴紐
JP6856309B1 (ja) 靴紐
JPS6041129Y2 (ja) 運動ぐつひも
CN103381004A (zh) 鞋扣及鞋子
JP3065966U (ja) 伸縮可能な靴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