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98Y1 -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 Google Patents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98Y1
KR200497798Y1 KR2020230002160U KR20230002160U KR200497798Y1 KR 200497798 Y1 KR200497798 Y1 KR 200497798Y1 KR 2020230002160 U KR2020230002160 U KR 2020230002160U KR 20230002160 U KR20230002160 U KR 20230002160U KR 200497798 Y1 KR200497798 Y1 KR 200497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hair
fabric
col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마태오
Original Assignee
박마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마태오 filed Critical 박마태오
Priority to KR2020230002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으로서, 패브릭 재질의 패브릭부재를 신축성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로 감싼 선부재 한번 접어 두줄로 만든 뒤, 일단을 묶어 제1매듭을 형성하고, 타단을 묶어 제2매듭을 형성하고, 제1매듭이 선부재에 걸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묶거나 치장하는데 사용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Hair Tie with a Knot at each end}
본 고안은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으로서, 패브릭 재질의 패브릭부재를 신축성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로 감싼 선부재를 한번 접어 두줄로 만든 뒤, 일단을 묶어 제1매듭을 형성하고, 타단을 묶어 제2매듭을 형성하고, 제1매듭이 선부재에 걸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묶거나 치장하는데 사용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머리끈은 신축성을 가진 고탄성밴드 또는 고무줄의 양끝단에 구슬, 볼, 장식품과 같은 부재를 달아서 만들거나, 고탄성밴드 또는 고무줄자체를 머리끈으로 사용하였다.
과거부터 사람들은 머리를 묶거나 꾸미는데 다양한 종류의 머리끈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머리끈은 사용자의 머리에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긴 시간 동안 착용할 경우 머리에 압박감이나 통증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피부 건강에 문제가 있었다.
한편, 국내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70326호는 머리를 묶는데 사용하는 머리끈에 관한 것으로, 머리끈이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또 다시 머리띠를 구입해야할 필요 없이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비용의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고안 또한 끈 자체에 무늬가 들어가지 않으며, 별도의 장식물을 교체해주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머리끈의 끈 자체가 아름답고, 높은 내구성을 가진 머리끈에 대한 개발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안은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으로서, 패브릭 재질의 패브릭부재를 신축성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로 감싼 선부재를 한번 접어 두줄로 만든 뒤, 일단을 묶어 제1매듭을 형성하고, 타단을 묶어 제2매듭을 형성하고, 제1매듭이 선부재에 걸리도록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를 묶거나 치장하는데 사용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패브릭부재; 및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제1매듭; 상기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상기 제1매듭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제2매듭; 및 상기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상기 제1매듭 및 상기 제2매듭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머리끈은,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연결끈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연결끈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2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매듭은, 상기 연결끈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매듭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매듭은, 상기 연결끈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매듭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 및 2매듭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머리끈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재질이고,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인접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에 의하여 탄성부재에 탄성이 생기고, 머리카락에 상기 머리끈을 결합할 때, 머리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 사이에서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컬러패브릭;을 더 포함하고, n번째 돌기부재의 제1파트를 감싸는 컬러패브릭은 인접하는 n+1번째 돌기부재의 제2파트를 감싸서, n번째 돌기부재와 n+1번째 돌기부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컬러패브릭의 색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 각각의 색상이 상이하여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에 복수의 색상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색상의 복수의 컬러패브릭을 서로 결합하여 탄성부재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끈이 화려한 색상의 무늬를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브릭재질의 패브릭부재를 신축성 있는 탄성부재로 감싸서 선부재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끈으로 쓰기에 충분한 신축성을 지니면서도 내구성이 좋은 끈을 제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패브릭으로 돌기부재를 감싼 탄성부재를 제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된 머리끈에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과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부재로 매듭을 지어 연결끈 양 끝단에 덩어리를 형성함으로써, 머리끈의 탈부착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2매듭에 실 또는 접착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오랜기간 사용해도 매듭이 풀리지 않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2매듭에 제1,2고정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심미성을 높이고, 제1,2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의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이 머리카락과 결합했을 때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매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추가된 머리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을(1000)의 사진을 도시한다.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의 폐루프가 부각된 사진을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로 형성된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및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를 포함하는, 상기 선부재(2000);로 제조되고, 기설정된 길이의 상기 선부재(2000)의 중간을 접어, 상기 선부재(2000)가 접힌 부분에 매듭을 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기설정된 길이의 상기 선부재(2000)의 중간을 접어, 상기 선부재(2000)의 양단이 모여있는 부분에 매듭을 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상기 제1매듭(1100)과 상기 제2매듭(120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제2매듭(1200), 상기 연결끈(1300)은 전체적으로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끈(1300)이 머리카락을 감싸고, 상기 제1매듭(1100)이 상기 폐루프로 삽입하여, 상기 제1매듭(1100)이 상기 폐루프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제2매듭(1200)에 걸려 머리카락을 고정하거나, 상기 연결끈(1300)이 머리카락을 감싸고, 상기 제2매듭(1200)이 상기 폐루프로 삽입하여 상기 폐루프에 삽입되지 않은 다른 상기 제1매듭(1100)이 상기 제2매듭(1200)에 걸리며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은,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고정하거나 꾸미기 위해 사용되는 머리끈(1000)으로써, 상기 연결끈(1300),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제2매듭(12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이 물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매듭(1100)이 상기 제2매듭(1200), 상기 연결끈(1300)으로 3면이 둘러쌓인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2매듭(1200)이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연결끈(1300)으로 3면이 둘러 쌓인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결합 방식에 관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도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단일의 상기 선부재(2000)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의 제작방법은, 상기 패브릭부재(2100)를 상기 탄성부재(2200)로 감싸서 제조한 상기 선부재(2000)를 30 내지 70cm의 길이로 제작하는 단계; 제작된 상기 선부재(2000)의 양 끝단을 서로 마주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한번 접어서 상기 연결끈(13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접힌 상기 선부재(2000)의 일단을 기설정된 매듭법에 따라서 묶어 상기 제1매듭(110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작된 접힌 상기 선부재(2000)의 타단을 기설정된 매듭법에 따라서 묶어 상기 제2매듭(12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의 제작방법은, 상기 제1매듭(1100)과 상기 연결끈(1300)이 만나는 지점에 접착제 또는 실을 추가하여 상기 제1매듭(110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매듭(1200)과 상기 연결끈(1300)이 만나는 지점에 접착제 또는 실을 추가하여 상기 제2매듭(1200)의 풀림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의 제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로 형성된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및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의 제작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선부재(20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머리끈(1000)을 제작하기 위해서, 먼저 단일의 상기 선부재(2000)를 도 2A와 같이 일(一)자로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길이는 30 내지 70cm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길이는 50cm일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단계에서 배치된 상기 선부재(2000)를 반으로 접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후술할 머리끈(1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자로 배치된 상기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을 모아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선부재(2000)를 반으로 접는 단계를 수행해야한다.
도 2C는 도 2B에서 한 지점에 모인 일자로 배치된 상기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을 함께 매듭지어서 상기 제1매듭(1100)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즉, 상기 선부재(2000) 두줄을 겹쳐서 한줄처럼 잡은 상태로 매듭을 지어야 한다.
다시말해, 상기 연결끈(1300) 두줄을 한 개의 끈처럼 취급하여 매듭을 지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매듭(1100)을 제작하는 매듭법은 매듭이 풀리지 않고, 1 내지 3cm의 직경을 갖는 매듭이 제작되는 매듭법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매듭(1100)은 가락지매듭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D는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를 매듭지어 상기 제2매듭(1200)을 형성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제2매듭(1200)도 상기 제1매듭(1100)과 마찬가지로 겹쳐진 상기 선부재(2000), 즉, 겹쳐진 두줄의 상기 연결끈(1300)을 한줄로 취급한 상태에서 매듭을 지어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매듭(1200)을 제작하는 매듭법은 매듭이 풀리지 않고, 1 내지 3cm의 직경을 갖는 매듭이 제작되는 매듭법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매듭(1200)은 가락지매듭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은, 두줄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를 나란하게 놓아서 제작할 수 있다.
즉, 도 2A 및 도 2B의 과정을 생략하고 두줄의 상기 선부재(2000) 나란하게 배치하는 단계; 두줄의 상기 선부재(2000)를 사용해 각각의 상기 선부재(2000)의 일단끼리 매듭지어서 상기 제2매듭(1200)을 형성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선부재(2000)의 타단끼리 매듭지어서 상기 제2매듭(1200)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도 2의 과정을 거쳐서 제작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에 실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도 2의 과정을 거쳐서 제작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도 5에서 후술하는 방법으로 고정부재를 추가하여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고정함과 동시에 머리끈(10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이 머리카락과 결합했을 때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로 형성된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및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머리끈(1000)은, 본 고안의 상기 연결끈(1300)에 해당하는 링 형태의 단일의 끈으로 구성되거나, 링 형태의 단일의 끈 일단에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제작된 장식용 부재가 있고, 타단에도 동일하거나 다른 모양의 장식용 부재가 존재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단일의 링 형태의 머리끈(1000)은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머리를 묶기 위해서는 링의 중심에 머리카락 뭉치를 통과시키고, 다시 링을 반으로 접어 머리카락 뭉치를 통과시키는 행동을 머리카락이 충분히 고정될 때까지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한계가 있었다.
장식용 부재가 존재하는 머리끈(1000) 또한 착용 방법에 있어 동일하다.
반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은, 사용자의 머리카락을 고정하거나 꾸미기 위해 사용되는 머리끈(1000)으로써, 상기 연결끈(1300),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제2매듭(12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이 물체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1매듭(1100)이 상기 제2매듭(1200), 상기 연결끈(1300)으로 3면이 둘러 쌓인 공간을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2매듭(1200)이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연결끈(1300)으로 3면이 둘러 쌓인 공간, 즉 폐루프를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제1매듭(1100) 혹은 상기 제2매듭(1200)이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연결끈(1300) 및 상기 제2매듭(1200)으로 이루어진 공간, 즉 폐루프를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은,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이 서로 지지되며 상기 연결끈(1300)이 머리카락을 고정하는 구조로써, 종래의 머리끈(1000)에 비해 착용이 간편하며, 엄지와 검지로 상기 제1매듭(1100)과 상기 제2매듭(1200)을 동시에 밀어서 서로 교차 시켜주는 것만으로도 결합이 풀리기 때문에 탈착도 간편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매듭(1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로 형성된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및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머리끈(1000)은,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1100)과 상기 연결끈(1300)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1000)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110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1100)과 상기 연결끈(1300)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1000)이 인장될 때 상기 제2매듭(120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 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은, 단일의 끈인 상기 선부재(2000)를 반으로 접고 양끝단을 묶어서 형성한 매듭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매듭을 제작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한정된 것이 아니며, 머리끈(1000)의 용도와 길이에 따라서 여러가지 매듭법을 사용해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매듭법은 머리끈(1000)이 당기고 꼬이는 중에도 풀리지 않는 튼튼한 매듭법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무리 완벽한 매듭법이라 해도 머리끈(1000)을 오랜기간 사용할 경우 풀릴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은, 매듭이 지어진 상기 선부재(2000) 사이를 서로 결합시키는 접착제 또는 실을 포함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글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연결끈(1300)이 만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매듭(1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매듭(1100)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으나, 매듭이 지어지기 전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경우 완성된 매듭의 모양과 형태가 완벽하지 않게 되어 심미적으로 안 좋을 수 있고, 매듭이 지어진 후에는 내부공간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것이 공정상으로 난해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연결끈(1300)이 만나는 지점에 접착제가 배치 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매듭(12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매듭(1200)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를 서로 접착시킬 수 있으나, 매듭이 지어지기 전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경우 완성된 매듭의 모양과 형태가 완벽하지 않게 되어 심미적으로 안좋을 수 있고, 매듭이 지어진 후에는 내부공간에 접착제를 배치하는 것이 공정상으로 난해하기 때문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매듭(1200), 상기 연결끈(1300)이 만나는 지점에 접착제가 배치 될 수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매듭을 고정하기 위해 실(미도시)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바느질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상기 제1매듭(1100)을 구성하는, 서로 접촉하는 상기 복수의 선부재(2000)를 관통하는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은 바느질과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제1매듭(11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이 서로 겹친 상태의 상기 선부재(2000)를 단단하게 결합함으로써 머리끈(1000)이 사용되는 중에도 상기 제1매듭(1100)이 풀리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상기 제2매듭(1200)을 구성하는, 서로 겹친 상태의 상기 선부재(2000)를 관통하는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은 바느질과 같은 공정을 통해 상기 제2매듭(1200)에 배치될 수 있다.
실이 서로 겹친 상태의 상기 선부재(2000)를 단단하게 결합함으로써 머리끈(1000)이 사용되는 중에도 상기 제2매듭(1200)이 풀리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가 추가된 머리끈(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 및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로 형성된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1매듭(1100);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상기 제2매듭(1200); 및 상기 단일의 상기 탄성 선부재(2000)의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 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연결끈(13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1300)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매듭(1100)은, 상기 연결끈(1300)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매듭(1100)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기 제1고정부재(1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매듭(1200)은, 상기 연결끈(1300)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매듭(1200)의 일단에 결합하는 상기 제2고정부재(12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1110) 및 상기 제2고정부재(1210)는, 상기 머리끈(1000)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1100) 및 2매듭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머리끈(1000)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끈(1000)은, 머리끈(1000)을 제작할 때 사용하는 상기 선부재(2000)의 끝단, 즉 상기 제1매듭(1100)의 끝단에 머리끈(1000)의 심미성을 높이고 상기 제1매듭(1100)의 풀림을 방지하기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매듭(1200)의 끝단에 머리끈(1000)의 심미성을 높이고 상기 제2매듭(1200)의 풀림을 방지하기위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형 고정부재가 결합된 머리끈(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막대형 고정부재가 결합된 머리끈(1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제1,2매듭의 상기 선부재(2000) 끝자락에 고정부재가 없는 기본 상태의 경우, 머리끈(1000)이 사용중에 당겨지면서 제1,2매듭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탄성부재(2200)에 의해 제1,2매듭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가 늘어나면서 얇아지는 경우, 제1,2매듭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매듭이 풀릴 수 있다.
반면에 제1,2매듭의 상기 선부재(2000) 끝자락에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머리끈(1000)이 사용 중에 당겨지면서 제1,2매듭에 인장력이 가해지고, 상기 탄성부재(2200)에 의해 제1,2매듭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가 늘어나면서 얇아지는 경우, 제1,2매듭을 구성하는 상기 선부재(2000)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매듭이 풀리려 하는 상황에서 고정부재가 상기 선부재(2000)의 끝자락을 잡아당겨서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는 도 5에 개시된 구형, 막대형뿐 아니라 다양한 조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는 단순히 상기 제1매듭(1100) 및 상기 제2매듭(1200)을 고정하는 역할에 그치지 않고 본 고안의 머리끈(1000)의 심미적 디자인 자체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다양한 조형의 고정부재가 결합된 본 고안의 머리끈(1000) 중 사용자에게 알맞은 고정부재를 선택하여 본인의 외모를 더욱 돋보이게 만드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10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탄성재질이고,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파트(2211) 및 상기 제1파트(2211)와 인접하는 상기 제2파트(2212)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221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2210)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200)에 탄성이 생기고, 머리카락에 상기 머리끈(1000)을 결합할 때, 머리끈(10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2210) 사이에서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을 더 포함하고, 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인접하는 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감싸서, n번째 돌기부재(2210)와 n+1번째 돌기부재(22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 각각의 색상이 상이하여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에 복수의 색상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각각 색상이 상이한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이 서로 얽히게 결합하면서 상기 탄성부재(2200)의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돌기부재(22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2210)는, 상기 탄성부재(2200)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일부가 상기 돌기부재(22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머리끈(1000)의 길이방향으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재(2210)에 의해 형성된 돌기에 의해 사용자가 머리카락에 상기 머리끈(1000)을 결합할 때, 머리끈(10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머리끈(1000)은 단일의 고무줄이나 탄성 있는 패브릭 소재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소재는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굉장한 경제성을 갖는다는 이점이 있으나, 고무줄이나 탄성 패브릭 소재의 경우 오랜기간 잡아당겨 사용하는 머리끈(1000)의 특성상 빠른 시일내로 소성변형이 일어나며 탄성력을 잃고 늘어져 머리끈(1000)으로써 제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반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부재(2000)는, 내부에 중심이 되는 패브릭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를 탄성 있는 재질의 상기 탄성부재(2200)가 감싸고 있는 형태로 제작되어 내부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에 의해 내구성이 보강되어 소성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오랜 시간 잡아당겨도 탄성력을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선부재(2000)는, 구체적으로, 내부 심재인 상기 패브릭부재(2100)와 외부 소재인 상기 탄성부재(2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브릭부재(2100)는 패브릭재질의 끈으로써, 뛰어난 내구성과 유연성이 보장되는 패브릭소재라면 어떤것이든 무관하며 바람직하게는 직경 2 내지 8mm를 갖는 끈일 수 있다.
외부 소재인 상기 탄성부재(220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컬러를 가진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과 상기 탄성부재(2200)에 탄성을 부여하는 상기 돌기부재(2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은, 공정상 복수의 컬러를 가진 단일의 패브릭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부재(2210)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진 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무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재(2210)는 직경이 0.1 내지 2mm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부재(2210)는 직경이 0.1 내지 2mm인 고무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부재(2000)는 4 내지 12개의 상기 돌기부재(2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부재(2000)는 1 내지 7개의 상기 컬러패브릭(2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은,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실을 직조하여 만든 단일의 패브릭소재일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은, 단일의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머리끈(1000)의 색이 단일의 색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색상선택에 있어서 더 넓은 선택지를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6A에서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은 편의상 직선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를 빈공간 없이 감싸는 단면이 원형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도면은 도 7에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싱에 따른 상기 선부재(2000)는, 상기 패부릭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파트(2211) 및 상기 제1파트(2211)와 인접하는 상기 제2파트(2212)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2210); 및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2210) 사이에서 상기 패부릭부재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브릭소재;를 더 포함하고,
1번째 돌기부재(2210.1)의 제1파트(2211.1)를 감싸는 컬러패브릭(2220.1)은 인접하는 2번째 돌기부재(2210.2)의 제2파트(2212.2)를 감싸고,
2번째 돌기부재(2210.2)의 제1파트(2211.2)를 감싸는 컬러패브릭(2220.2)은 3번째 돌기부재(2210.3)의 제2파트(2212.3)를 감싸고,
3번째 돌기부재(2210.3)의 제1파트(2211.3)를 감싸는 컬러패브릭(2220.3)은 4번째 돌기부재(2210.4)의 제2파트(2211.4)를 감싸고,
4번째 돌기부재(2210.4)의 제1파트(2212.4)를 감싸는 컬러패브릭(2220.4)은, 1번째 돌기부재(2210.1)의 제2파트(2211.41를 감싸면서 상기 선부재(200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B는 상기 선부재(2000)의 도 6A에 A-A'로 도시된 방향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 A 내지 B를 통해서,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상기 돌기부재(2210)를 어떻게 감싸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다양한 컬러를 가진 실로 직조된 패브릭이며, 실을 직조하는 과정에서부터 중간에 상기 돌기부재(2210)를 추가하여 실이 상기 돌기부재(2210)를 한바퀴 감싸도록 제조된다. 즉,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최소한 일부는 상기 돌기부재(22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가지 색상의 상기 컬러패브릭(2220), 즉 같은 색상의 실은 1 내지 2개의 상기 돌기부재(2210)를 감쌀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같은 색상의 실은 2개의 상기 돌기부재(2210)를 감싸고, 머리끈(1000)은 4개의 색상을 갖는 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복수의 색상을 갖는 단일의 실로 제작되고, 상기 실에 염색된 복수의 색상이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컬러패브릭(2220)으로 제조하였을 때,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복수의 패브릭을 합친 것처럼 보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단일의 색상을 갖는 실로 제작되고, 상이한 색상을 갖는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이 서로 얽히게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2200)의 무늬를 형성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2210) 사이에서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을 더 포함하고,
1번째 돌기부재(2210.1)의 상기 제1파트(2211.1)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1)은 2번째 돌기부재(2210.2)의 상기 제2파트(2212.2)를 감싸서,
1번째 돌기부재(2210.1)와 2번째 돌기부재(2210.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1번째 돌기부재(2210.1)의 상기 제1파트(2211.1)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지고,
2번째 돌기부재(2210.2)의 상기 제1파트(2211.2)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3번째 돌기부재(2210.3)의 상기 제2파트(2212.3)를 감싸서,
2번째 돌기부재(2210.2)와 3번째 돌기부재(2210.3)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2번째 돌기부재(2210.2)의 상기 제1파트(2211.2)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지고,
3번째 돌기부재(2210.3)의 상기 제1파트(2211.3)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4번째 돌기부재(2210.4)의 상기 제2파트(2212.4)를 감싸서,
3번째 돌기부재(2210.3)와 4번째 돌기부재(2210.4)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3번째 돌기부재(2210.3)의 상기 제1파트(2211.3)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지고,
4번째 돌기부재(2210.4)의 상기 제1파트(2211.4)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1번째 돌기부재(2210.1)의 상기 제2파트(2212.1)를 감싸서,
4번째 돌기부재(2210.4)와 1번째 돌기부재(2210.1)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4번째 돌기부재(2210.4)의 상기 제1파트(2211.4)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이 얽히는 구조에 관해서는 도 7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선부재(2000)는, 내부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가 없이 상기 탄성부재(2200)만으로도 머리끈(100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지만, 내부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가 있음으로 인하여 머리끈(100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탄성재질이고,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파트(2211) 및 상기 제1파트(2211)와 인접하는 상기 제2파트(2212)를 포함하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재(221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2210)에 의하여 상기 탄성부재(2200)에 탄성이 생기고, 머리카락에 상기 머리끈(1000)을 결합할 때, 머리끈(100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부재(2200)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2210) 사이에서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을 더 포함하고, 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를 감싸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인접하는 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감싸서, n번째 돌기부재(2210)와 n+1번째 돌기부재(22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은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색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 각각의 색상이 상이하여 상기 패브릭부재(2100)의 외주면에 복수의 색상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컬러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200)의 단면 중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제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및 제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각각 감싸고 그 사이를 연결한 모양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은 상기 제1파트(2211) 및 상기 제2파트(2212)를 말 듯이 감싼 것이 아니고, 상기 컬러패브릭(2220)을 구성하는 컬러실이 제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및 제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 사이에서 8자형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 7A는 상기 탄성부재(2200)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제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및 제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8자로 감싸고 있는 형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제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및 제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8자로 감싸고 있는 형태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기부재(2210)는 제n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및 제n+1번째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2파트(2212)를 두개의 기둥으로 삼아서 그 사이에서 컬러실이 앞으로 감기고 뒤로 감기는, 서로 교차하여 감기며 층층이 쌓아 올라가는 방식을 통해 직조될 수 있다.
이때, 특정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컬러실이 다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컬러실 층과 층 사이를 통과하며 직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컬러실 층과 층 사이를 통과한 특정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컬러실은, 상기 돌기부재(2210)의 상기 제1파트(2211) 혹은 상기 제2파트(2212)를 휘감게되고, 이로인해 특정 컬러실이 다시 다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의 컬러실 층과 층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고정되면서 서로 다른 상기 컬러패브릭(2220)이 상기 탄성부재(2200)를 구성하는 단일의 패브릭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이한 색상의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2220)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재(2200)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끈(1000)이 화려한 색상의 무늬를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브릭재질의 상기 패브릭부재(2100)를 신축성 있는 상기 탄성부재(2200)로 감싸서 상기 선부재(2000)를 제조함으로써 머리끈(1000)으로 쓰기에 충분한 신축성을 지니면서도 내구성이 좋은 끈을 제조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컬러패브릭(2220)으로 상기 돌기부재(2210)를 감싼 상기 탄성부재(2200)를 제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된 머리끈(1000)에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카락과 고정력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부재(2000)로 매듭을 지어 상기 연결끈(1300) 양 끝단에 덩어리를 형성함으로써, 머리끈(1000)의 탈부착이 간편해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매듭 및 제2매듭에 실 또는 접착제를 포함시킴으로써 오랜기간 사용해도 매듭이 풀리지 않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매듭 및 제2매듭에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심미성을 높이고, 제1매듭 및 제2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실용신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0: 머리끈
1100: 제1매듭
1110: 제1고정부재
1200: 제2매듭
1210: 제2고정부재
1300: 연결끈
2000: 선부재
2100: 패브릭부재
2200: 탄성부재
2210: 돌기부재
2211: 제1파트
2212: 제2파트
2220: 컬러패브릭

Claims (5)

  1.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으로써,
    패브릭 재질의 패브릭부재; 및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 있는 재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된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일단과 타단이 맵듭지어 형성되는 제1매듭;
    상기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상기 제1매듭의 반대측 단부가 매듭지어 형성되는 제2매듭; 및
    상기 단일의 탄성 선부재의 상기 제1매듭 및 상기 제2매듭 사이에 존재하는 연결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끈은 내부에 폐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재질이고,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제1파트 및 상기 제1파트와 인접하는 제2파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돌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재에 의하여 탄성부재에 탄성이 생기고, 머리카락에 상기 머리끈을 결합할 때, 머리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끈은,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연결끈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접착제, 실 중 1 이상으로 상기 제1매듭과 상기 연결끈의 연결부를 고정하여,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2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매듭은,
    상기 연결끈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매듭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1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매듭은,
    상기 연결끈의 반대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매듭의 일단에 결합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상기 머리끈이 인장될 때 상기 제1매듭 및 2매듭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머리끈의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돌기부재 사이에서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컬러패브릭;을 더 포함하고,
    n번째 돌기부재의 제1파트를 감싸는 컬러패브릭은 인접하는 n+1번째 돌기부재의 제2파트를 감싸서,
    n번째 돌기부재와 n+1번째 돌기부재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컬러패브릭의 색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컬러패브릭 각각의 색상이 상이하여 상기 패브릭부재의 외주면에 복수의 색상을 포함하는 무늬가 형성되는,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KR2020230002160U 2023-10-24 2023-10-24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KR200497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160U KR200497798Y1 (ko) 2023-10-24 2023-10-24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160U KR200497798Y1 (ko) 2023-10-24 2023-10-24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98Y1 true KR200497798Y1 (ko) 2024-02-29

Family

ID=9004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160U KR200497798Y1 (ko) 2023-10-24 2023-10-24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9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458A (ko) * 2004-06-29 2004-08-09 두지산업 주식회사 장식용 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1803U (ko) * 2015-11-16 2017-05-24 유경희 두 줄 머리끈
JP2020168134A (ja) * 2019-04-02 2020-10-15 株式会社ツインズ ヘアゴ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0458A (ko) * 2004-06-29 2004-08-09 두지산업 주식회사 장식용 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1803U (ko) * 2015-11-16 2017-05-24 유경희 두 줄 머리끈
JP2020168134A (ja) * 2019-04-02 2020-10-15 株式会社ツインズ ヘアゴ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30-0997449호(2019.03.12.)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639B2 (en) Decorative bracel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305996B2 (en) Elastic band
KR100869064B1 (ko) 장식용 헤어피스
US9486024B2 (en) Hair extension
US20100180911A1 (en) Elastic band
KR101013887B1 (ko) 붙임머리 착용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붙임머리
US9491978B2 (en) Hair extension
US7637266B1 (en) Convoluted hair band for creating many varying hairstyles
KR200497798Y1 (ko) 양끝단에 매듭이 형성된 머리끈
JP7449999B2 (ja) 人に対して圧縮力を加える衣類
JP2009191409A (ja) 帽子兼用マフラー
JP2595197B2 (ja) 髪の編み込み方法
JP2595198B2 (ja) 髪の編み込み方法
JP5384434B2 (ja) かつら取付部の編込み構造と編込み方法並びに補強編込み構造と補強編込み方法
US5997966A (en) Decorative pomp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145373U (ja) 円筒状身の回り品
US11744303B2 (en) Endless neck tie and mobius bow tie
KR200304039Y1 (ko) 장식용 머리끈
JP6643021B2 (ja) かつら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CN219877642U (zh) 一种提高防滑效果及耐用性的束发松紧圈
JP3167436U (ja) 環状リリアン装身具
JP3234792U (ja) 帯状体
US10856636B2 (en) Ponytail securing device
KR200202837Y1 (ko) 머리띠
JP5570280B2 (ja) かつら取付部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かつらの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