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85B1 -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 Google Patents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85B1
KR101749585B1 KR1020100135568A KR20100135568A KR101749585B1 KR 101749585 B1 KR101749585 B1 KR 101749585B1 KR 1020100135568 A KR1020100135568 A KR 1020100135568A KR 20100135568 A KR20100135568 A KR 20100135568A KR 101749585 B1 KR101749585 B1 KR 101749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asing portion
dpf
treatment devic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494A (ko
Inventor
테츠야 코사카
유스케 스즈키
요시노부 오다와라
노부유키 오카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1008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8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 F01N13/1894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housing of the assembly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e.g. two half-shells the parts being assembled in longitudin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exhaust silencers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2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distance of the apparatus to the engine, or the distance between two exhaust treating apparat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18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the axis of inlet or outlet tubes being oth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본체(1)의 진동으로 배기관(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해결을 위해, 엔진 본체(1)에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엔진 본체(1)와 배기처리장치(4)를 배기관(13)을 통해서 연통시킨,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있어서,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상호 분리가능한 복수의 케이싱 부분(5, 6, 7)으로 구성하고, 각 케이싱 부분(5, 6, 7)의 단부에 연결 플랜지(8, 9, 10, 11)를 설치하고, 연결 플랜지(8, 9, 10, 11)끼리의 연결로 각 케이싱 부분(5, 6, 7)을 연결하고, 엔진 본체(1)에 상기 연결 플랜지(8, 9, 10, 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켰다.

Description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ENGINE WITH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엔진 본체의 진동으로 배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으로서, 엔진 본체에 배기처리장치를 지지시켜, 엔진 본체와 배기처리장치를 배기관으로 연통(連通)시킨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런 종류의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의하면, 배기처리장치가 엔진 본체와 일체화되어, 엔진 탑재기계로의 배기처리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엔진 본체에 배기처리장치가 배기관에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609호 공보(도 2, 4 참조)
<<문제>> 엔진 본체의 진동으로 배기관이 손상되기 쉽다.
엔진 본체에 배기처리장치가 배기관에서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본체의 진동에 의해 배기처리장치가 흔들리면, 배기관에 큰 부담이 걸려, 배기관이 손상되기 쉽다.
특히, 배기처리장치에 고중량의 DPF나 촉매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본체의 진동에 의한 배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발명 특정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에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엔진 본체(1)와 배기처리장치(4)를 배기관(13)을 통해서 연통시킨,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있어서,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상호 분리가능한 복수의 케이싱 부분(5)(6)(7)으로 구성하고, 각 케이싱 부분(5)(6)(7)의 단부에 연결 플랜지(8)(9)(10)(11)를 설치하고, 이 연결 플랜지(8)(9)(10)(11)끼리의 연결로 각 케이싱 부분(5)(6)(7)을 연결하여,
도 8,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에 상기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하고,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구성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양단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각 연결 플랜지(8)(10)의 사이에 환형상(環狀) 스페이서(39)를 끼우고, 환형상 스페이스(39) 안에 DPF 입구측 공간(40)을 설치하고,
환형상 스페이서(39)에 센서 설치구멍(41)을 형성하고, 센서설치구멍(41)으로부터 DPF 입구측 공간(40)을 향해 배기용 센서(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청구항 1에 관한 발명)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엔진 본체의 진동에 의해 배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14, 21,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에 상기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켰으므로, 배기처리장치(4)가 강성이 높은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엔진 본체(1)에 강고하게 지지되어, 엔진 본체(1)의 진동에 의해 배기처리장치(4)가 흔들리더라도, 배기관(13)에 걸리는 부담이 경감되어, 엔진 본체(1)의 진동에 의해 배기관(13)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DPF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도 3,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양단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시켰으므로,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으로부터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각각 분리시켜, DPF(17)의 양단부를 노출시킴으로써, DPF(17)에 퇴적된 재(ash)의 세정 등의 DPF(17)의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효과>> 배기처리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각 연결 플랜지(8)(10)의 사이에 환형상 스페이서(39)를 끼우고, 환형상 스페이서(39) 안에 DPF 입구측 공간(40)을 설치하고, 도 4(B),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상 스페이서(39)에 센서 설치구멍(41)을 형성하고, 센서 설치구멍(41)으로부터 DPF 입구측 공간(40)으로 향해 배기용 센서(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DPF 입구측 공간(40)을 좁게 할 수 있어, 배기처리장치(4)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DPF 수용 케이싱 부분의 둘레벽(周壁)에 센서 설치보스를 용접으로 설치할 경우, 센서 설치보스의 주연부를 전(全)둘레에 용접할 필요가 있으며, DPF 용접 케이싱 부분의 연결 플랜지와 센서 설치보스의 사이에 용접 토치를 진입시키는 공간을 비워둘 필요가 있어, 연결 플랜지와 센서의 거리가 넓어지고, 배기 입구측 공간을 넓게 하지 않을 수 없어, 배기처리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
청구항 2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용 센서의 배치와 자세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A),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환형상(環狀) 스페이서(39)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센서 설치구멍(41)의 위치와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배기용 센서(42)의 배치와 자세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DPF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1(A),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킨 채로,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사이로부터 DPF(17)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빼낼 수 있도록 했으므로, DPF(17)에 퇴적된 재의 세정 등의 DPF(17)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DPF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도 1(A),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끌어올리기용 돌출부(34)(35)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끌어올리기용 걸림부(36)(37)를 설치했으므로,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크레인 등의 외부 지지장치로 간단하게 끌어올릴 수 있어, DPF(17)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처리장치와 지지 브라켓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A)(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2b)에 위쪽이 개구된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를 설치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이 겹치는 연결 플랜지(9)(11)의 적어도 한쪽의 하연부(下緣部)를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에 끼워맞춤 시켰으므로, 배기처리장치(4)와 지지 브라켓(12)의 위치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압 센서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 케이싱 부분(7)의 둘레벽(周壁)에 배기압 센서(44)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45)를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용 보스(46)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 설치용 보스(46)의 보스구멍(47)을 바깥쪽을 향해 위쪽으로 향하도록 했으므로,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 안에 머문 응축수가 배기압 센서(44)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45)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이것에 기인하는 배기압 센서(44)의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 입구관의 상류측에 있는 배기경로의 배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4(C),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둘레 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 입구관(48)의 입구(48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배기 입구관(48)의 상류측에 있는 배기경로의 배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출구관의 하류측에 있는 배기경로의 배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도 5 (A)(B),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 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출구관(49)의 출구(49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배기출구관(49)의 하류측에 있는 배기경로의 배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엔진 본체의 진동에 의해 배기처리장치의 연결 플랜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2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상호 떨어진 복수 개소의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지지시켰으므로, 엔진 본체(1)의 진동에 의해 배기처리장치(4)가 흔들리더라도, 각 연결 플랜지(8)(9)(10)(11)가 받는 부담이 분산되어, 엔진 본체(1)의 진동에 의해 배기처리장치(4)의 연결 플랜지(8)(9)(10)(1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지지 브라켓을 지지 스테이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하중을 지지 브라켓(12)을 통해서 지지 스테이(2)(3)로 지지하고, 지지 브라켓(12)을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로 지지 스테이(2)(3)에 설치했으므로, 지지 브라켓(12)을 지지 스테이(2)(3)에 설치하는 작업 중, 크레인 등의 외부지지장치로 배기처리장치(4)의 하중을 지지 해둘 필요가 없이, 지지 브라켓(12)을 지지 스테이(2)(3)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처리장치의 전후 방향의 배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2)(3)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로 구성하고, 이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엔진 본체(1)의 전후 측에 각각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 지지 브라켓(12)을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사이에 가설(架設)하고, 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통해서 엔진 본체(1)에 지지시켰으므로, 배기처리장치(4)의 전후 방향의 배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처리장치의 흔들림에 의한 연결 플랜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측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전후 단부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위에 재치(載置)하여, 좌우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했으므로, 좌우 측의 지지 브라켓(12a)(12b)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로 강성이 높은 견고한 외곽구조를 구성할 수 있고, 엔진 본체(1)의 진동에 의한 배기처리장치(4)의 큰 흔들림이 억제되어, 배기처리장치(4)의 흔들림에 의한 연결 플랜지(8)(9)(10)(1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연결 플랜지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부설(付設)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도 1 (A)(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체결에 의해 연결 플랜지(10)(11)에 지지 브라켓(12a)(12b)을 부설하고,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a)(12b) 중에, 적어도 한 쪽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6)으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적어도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a)(12b)의 상호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벗어나 있어도, 위치조절구멍(26)으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여, 연결 플랜지(10)(11)에 대한 지지 브라켓(12a)(12b)의 부설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관한 발명)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연결 플랜지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B)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대경(大徑)구멍(27)과 소경(小徑)구멍(28)을 좌우로 겹쳐, 이들의 겹쳐진 위치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를 삽입 통과시켰으므로,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a)(12b)을 위치 맞춤하면,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가 저절로 적정위치에 위치맞춤되어,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를 조절조작할 필요없이, 연결 플랜지(10)(11)에 대한 지지 브라켓(12a)(12b)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지지 스테이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설치를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도 1(A)(C)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2a)(12b)을 지지 스테이(2)(3)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a)(12b)과 지지 스테이(2)(3) 중 적어도 한 쪽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조절구멍(29)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9)으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적어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했으므로, 지지 스테이(2)(3)와 지지 브라켓(12a)(12b)과의 상호 위치가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벗어나 있어도, 위치조절구멍(29)으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지지 스테이(2)(3)에 대한 지지 브라켓(12a)(12b)의 설치를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
청구항 1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지지 스테이에 대한 지지 브라켓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1(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장공(30, 長孔)과 좌우 방향 장공(31)을 교차형상으로 상하로 겹치고, 이들의 교차위치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를 삽입 통과시켰으므로, 지지 브라켓(12a)(12b)과 지지 스테이(2)(3)를 위치맞춤하면,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가 저절로 적정위치로 위치맞춤되어, 지지 스테이(2)(3)에 대한 지지 브라켓(12a)(12b)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
청구항 1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DPF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함에 있어서,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위쪽에 배기처리장치(4)를 배치했으므로, DPF(17)의 유지보수 시에, 배기처리장치(4)나 DPF(17)를 엔진 본체(1)의 부품과 간섭되는 일 없이, 엔진 본체(1)의 위쪽으로 꺼내는 것이 가능하여, DPF(17)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효과>> DPF의 재생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9)에 부착된 헤드 커버(20)의 위쪽에서, 엔진 냉각팬(18)의 상단부(21)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처리장치(4)를 배치했으므로, DPF(17)가 엔진 냉각풍으로 냉각되기 어려워, DPF(17)의 재생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배기 입구 플랜지를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 측의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 위에 배기처리장치(4)의 배기 입구 플랜지(23)를 재치했으므로, 배기 입구 플랜지(23)를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에 설치하는 작업 중, 크레인 등의 외부지지장치로 배기 입구 플랜지(23) 측의 하중을 지지해 둘 필요없이, 배기 입구 플랜지(23)를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에 설치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
청구항 1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관한 발명의 효과에 더해, 다음의 효과를 나타낸다.
<<효과>> DPF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8, 2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하고, 실린더 헤드(19)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바로 뒤에서, 플라이휠 하우징(51)의 후측상방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배치했으므로, DPF(17)의 유지보수 시에, 배기처리장치(4)나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엔진 본체(1)의 부품과 간섭하는 일 없이, 엔진 본체(1)의 위쪽으로 꺼낼 수 있어, DPF(17)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효과>> 엔진의 전체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28, 2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바로 뒤에서, 플라이휠 하우징(51)의 후측상방에, 배기처리장치(4)의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배치하였으므로, 엔진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효과>> DPF의 재생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의 앞부분에 엔진 냉각팬(21)을 배치하고, 도 28, 29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바로 뒤에서, 플라이휠 하우징(51)의 후측상방에, 배기처리장치(4)의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배치하였으므로, DPF(17)가 엔진 냉각풍으로 냉각되기 어려워, DPF(17)의 재생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 (A) ~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A)는 배기처리장치와 그 주변을 우측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B 화살표 부분의 분해확대도, 도 1 (C)는 도 1(A)의 C 화살표 부분의 분해확대도이다.
도 2(A)는 도 1(A)의 배기처리장치와 그 주변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A)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A)(B)(C)는 도 1(A)의 배기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4(A)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을 우측에서 본 종단측면도, 도 4(B)는 환형상 스페이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4(C)는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A)(B)는 도 1(A)의 배기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5(A)는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을 우측에서 본 종단측면도, 도 5(B)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A) ~ (C)는 도 1(A)의 배기처리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6(A)는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의 정면도, 도 6(B)은 도 6(A)의 B-B 선 단면도, 도 6(C)는 도 6(B)의 C 화살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A)의 배기처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우측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엔진을 좌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엔진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엔진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참고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우측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엔진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엔진의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20은 도 14의 엔진을 트랙터에 탑재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참고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우측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엔진의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1의 엔진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1의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1의 엔진에서 사용하는 지지 브라켓의 변형예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의 후부를 우측전방의 위쪽에서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엔진의 뒷 부분을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1 ~ 도 30은 본 발명의 참고형태에 관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1 ~ 도 13은 제1 실시형태, 도 14 ~ 도 20은 제1 참고형태, 도 21 ~ 도 27은 제2 참고형태, 도 28 ~ 도 30은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각 참고형태에서는, DPF 머플러가 부착된 수냉(水冷)의 입형(立型)직렬다기통 디젤엔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이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 크랭크축 중심축선(16)과 직교하는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엔진 본체(1)는, 실린더 블록(52)의 상부에 실린더 헤드(19)를 부착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헤드 커버(20)를 부착하고, 실린더 블록(52)의 하부에 오일팬(53)을 부착하고, 실린더 블록(52)의 앞부분에 냉각수 펌프(54)를 부착하고, 냉각수 펌프(54)의 전방에 엔진 냉각팬(18)을 배치하고, 실린더 블록(52)의 뒷부분에 기어 케이스(15)를 배치하고, 기어 케이스(15)의 뒷부분에 플라이휠 하우징(51)을 부착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우측에 흡기 매니폴드(56)를 부착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9)의 좌측에 배기 매니폴드(55)를 부착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 펌프(54)의 입력축에 엔진 냉각팬(18)을 설치하고, 이 냉각수 펌프(54)와 엔진 냉각팬(18)은, 크랭크축으로부터 벨트 전동장치를 통해서 구동된다.
엔진 본체(1)는, EGR장치(배기가스 재(再) 환류 시스템)와 커먼레일식 연료분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EGR장치는 배기의 일부를 흡기로 환원한다. 커먼레일식 연료분사장치는 연료 서플라이 펌프(57)로 승압한 연료를 커먼레일(58)로 축압(蓄壓)하고, 전자제어로 인젝터의 전자밸브를 개폐하여, 각 기통의 연료분사 시기나 연료분사량을 조절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R장치는,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부에 EGR 밸브케이스(59)를 부착하고, EGR 밸브 케이스(59)를 EGR 쿨러(60)를 통해서 배기 매니폴드(55)에 연통시켜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R 쿨러(60)는 실린더 헤드(19)의 바로 뒤에서, 플라이휠 하우징(51)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먼레일식 연료분사장치는 흡기 매니폴드(56)의 하부에 커먼레일(58)을 배치하고, 연료 서플라이 펌프(57)로부터 커먼레일(58)로 연료를 압송하고, 커먼레일(58)에서 압축한 연료를 고압관(61)을 통해서 인젝터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연료 서플라이 펌프(57)는 실린더 블록(52)의 우측방향에서 기어 케이스(15)의 전면(前面)에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에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엔진 본체(1)와 배기처리장치(4)를 배기관(13)을 통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55)의 상부에 과급기(62)를 부착하고, 과급기(62)의 배기터빈(63)의 배기 출구에 엘보형의 배기관(13)을 접속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내부에 DOC(64)와 DPF(17)를 수용하고 있다. DOC(64)는 상류측에, DPF(17)는 하류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DOC는 디젤 산화촉매의 약칭이고, DPF는 디젤·파티큘레이트·필터의 약칭이다.
배기처리장치(4)에서는, DPF(17)로 배기 중에 포함된 PM(입자상 물질)을 포착함과 아울러, 연소실로부터 빠져나간 미연(未燃) 연료나 배기경로 중에 분사한 미연 연료를 DOC(64)로 산화시키고, 그 산화 열로 배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DPF(17)에 퇴적한 PM을 소각하여, DPF(17)의 재생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기처리장치(4)에 DPF 머플러를 이용했지만, 배기처리장치(4)는, DPF를 수용하지 않는 배기 머플러나 촉매 컨버터라도 좋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상호 분리가능한 복수의 케이싱 부분(5)(6)(7)으로 구성하고, 각 케이싱 부분(5)(6)(7)의 단부에 연결 플랜지(8)(9)(10)(11)를 설치하고, 연결플랜지(8)(9)(10)(11)끼리의 연결로 각 케이싱 부분(5)(6)(7)을 연결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에 상기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은, 3개의 케이싱 부분, 즉,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구성되어 있다.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으로는 DPF(17)를 수용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으로는 DOC(64)를 수용하고 있다.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양단부에는 DPF 입구측 연결 플랜지(8)와 DPF 출구측 연결 플랜지(9)를 각각 설치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DPF 입구측 단부에는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10)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DPF 출구측 단부에는 배기 출구측 연결 플랜지(11)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DPF 입구측 연결 플랜지(8)와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10) 사이에는, 환형상 스페이서(39)를 끼우고, 양 연결 플랜지(8)(10)와 환형상 스페이서(39)를 겹쳐서, DPF 입구측의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DPF 출구측 연결 플랜지(9)와 배기 출구측 연결 플랜지(11)를 겹쳐서, DPF 출구측의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50)로 연결하고 있다.
양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50)는 모두 볼트 너트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떨어진 복수 개소의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엔진 본체(1)에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있다.
이 복수 개소의 연결 플랜지(8)(9)(10)(11)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DPF 입구측 연결 플랜지(8)와 DPF 출구측 연결 플랜지(9)와,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10)와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배기 출구측 연결 플랜지(11)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1)에 지지 스테이(2)(3)를 설치하고, 연결 플랜지(10)(11)에 지지 브라켓(12)를 부설하고, 지지 브라켓(12)을 지지 스테이(2)(3) 위에 재치하고 있다.
배기처리장치(4)의 하중을 지지 브라켓(12)을 통해서 지지 스테이(2)(3)로 지지하고, 지지 브라켓(12)을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로 지지 스테이(2)(3)에 설치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2)(3)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로 구성하고, 이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엔진 본체(1)의 전후 측에 각각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 지지 브라켓(12)을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사이에 가설하고, 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통해서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키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2)을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으로 구성하고, 좌우 측의 연결 플랜지(8)(9)(10)(11)에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각각 부설하고 있다.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전후 단부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위에 재치하여, 좌우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지지 스테이(2)는 수직인 스테이 설치부(2a)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인 재치부(2b)를 뒤로 향해 꺽어 구부려 형성하고, 뒤쪽의 지지 스테이(3)도 수직인 스테이 설치부(3a)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인 재치부(3b)를 뒤로 향해 꺽어 구부려 형성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의 지지 스테이(2)(3)의 각 스테이 설치부(2a)(3a)는 실린더 헤드(19)의 전후 단면(端面)에 설치되어 있다.
도 2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지지 브라켓(12a)은 수평인 브라켓 설치부(12c)의 좌연(左緣)으로부터 수직인 지지부(12d)를 위쪽으로 향해 꺽어 구부려 형성하고, 우측의 지지 브라켓(12b)은 수평인 브라켓 설치부(12c)의 우연(右緣)으로부터 수직인 지지부(12d)를 위쪽으로 향해 꺽어 구부려 형성하고 있다.
도 1(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의 지지 스테이(2)의 재치부(2b) 위에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각 브라켓 설치부(12c)(12c)의 전단부(前端部)를 재치하고, 이 전단부를 각각 좌우 측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있다.
도 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의 지지 스테이(3)의 재치부(3b) 위에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각 브라켓 설치부(12c)(12c)의 후단부를 재치하고, 이 후단부를 각각 좌우 측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있다.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는 볼트 너트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된 헤드 커버(20)의 위쪽에서, 엔진 냉각팬(18)이 상단부(21) 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처리장치(4)를 배치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 측의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 위에 배기처리장치(4)의 배기 입구 플랜지(23)를 재치하고 있다.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는, 배기관(13)의 종단(終端)에 위쪽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배기 입구 플랜지(23)는 배기처리장치(4)의 배기도입관(48)의 시단(始端)에 아래를 향해 형성되어 있다.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체결로 연결 플랜지(10)(11)에 지지 브라켓(12a)(12b)을 부설하고,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a)(12b) 중 적어도 한쪽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6)으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적어도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10)와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배기 출구측 연결 플랜지(11)에 좌우 측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부설하고, 지지 브라켓(12a)(12b)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형성하고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대경구멍(27)으로 구성하고,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의 어느 한 쪽에 대경구멍(27)을, 다른 쪽에 소경구멍(28)을 각각 설치하고, 대경구멍(27)의 내경은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삽입 통과부분이 그 삽입 통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소경구멍(28)의 내경은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삽입 통과부분이 그 삽입 통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없는 크기로 설정하고 있다.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대경구멍(27)과 소경구멍(28)을 좌우로 겹치고, 이들 겹쳐진 위치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도 1(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브라켓(12a)(12b)을 지지 스테이(2)(3)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a)(12b)과 지지 스테이(2)(3) 중 적어도 한 쪽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조절구멍(29)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9)으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적어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지지 브라켓(12a)의 전단부와 앞쪽의 지지 스테이(2)의 좌측의 양쪽에 위치조절구멍(29)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9)으로 좌측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좌측의 지지 브라켓(12a)의 후단부와 뒤쪽의 지지 스테이(3)의 좌측, 우측의 지지 브라켓(12b)의 전후 단부와 전후 한 쌍의 지지 스테이(2)(3)의 우측도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들의 위치조절구멍(29)으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조절구멍(29)을 전후 방향 장공(30,長孔)과 좌우 방향 장공(31)으로 구성하고, 지지 스테이(2)(3)와 지지 브라켓(12a)(12b) 중 어느 한 쪽에 전후 방향 장공(30)을, 다른 쪽에 좌우 방향 장공(31)을 각각 설치한다.
전후 방향 장공(30)과 좌우 방향 장공(31)을 교차형상으로 상하로 겹치고, 이들의 교차위치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전후의 지지 스테이(2)(3)에 전후 방향 장공(30)을 설치하고,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에 좌우 방향 장공(31)을 설치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하고,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구성하고 있다.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양단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를 겹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 보다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지지용 돌출부(32)(33)를 형성하고, 이 지지용 돌출부(32)(33)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키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킨 채로,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사이로부터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B)(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스페이서(39)는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10)에 설치볼트(69)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사이로부터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빼낼 때에, 환형상 스페이서(39)가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보다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끌어올리기용 돌출부(34)(35)를 설치하고, 이 끌어올리기용 돌출부(34)(35)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끌어올리기용 걸림부(36)(37)를 설치하고 있다.
도 2(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의 지지 브라켓(12b)에 위쪽이 개구된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를 설치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9)(11)의 적어도 한 쪽의 하연부(下緣部)를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에 끼워맞춤 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9)(11)의 양 쪽의 하연부를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에 끼워맞춤 시키고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지지 브라켓(12a)에 대해서도, 같은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a)를 설치하고, 겹치는 DPF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연결 플랜지(10)와 환형상 스페이서(39) 중 적어도 한 쪽의 하연부를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a)에 끼워맞춤 시킨다.
이들의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a)(38b)의 내주연은, 끼워맞춤시키는 다각형의 연결 플랜지(9)(10)(11)나 환형상 스페이서(40)의 하단의 우각부(隅角部)를 따라 굴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a)(38b)로의 끼워맞춤으로, 배기처리장치(4)의 전후 방향의 위치결정과 아울러, 배기처리장치(4)의 회동자세도 결정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각 연결 플랜지(8)(10)의 사이에 환형상 스페이서(39)를 끼우고, 환형상 스페이스(39) 안에 DPF 입구측 공간(40)을 설치하고 있다.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스페이서(39)에 센서 설치구멍(41)을 설치하고, 센서 설치구멍(41)으로부터 DPF 입구측 공간(40)을 향해 배기용 센서(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배기용 센서(42)는, DPF 입구측의 배기 온도센서이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스페이서(39)에는 도 1(A)에 나타낸 배기압 센서(44)의 DPF 입구측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65)를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구멍(66)을 두고 있다. 이 파이프 설치구멍(66)은 외측으로 향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DPF 입구측 공간(40) 안의 응축수가 DPF 입구측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65)로 진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4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8)(10)에 그 둘레 방향으로 같은 이간(離間)각도로 복수의 피(被)체결부(8a)(10a)를 배치하고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스페이서(39)에 그 둘레방향으로 상기 이간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39a)를 배치하고 있다.
환형상 스페이서(39)의 자세를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환형상 스페이서(39)의 피체결부(39a)를 상기 연결 플랜지(8)(10)의 피체결부(8a)(10a)에 합쳐서,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로 상기 연결 플랜지(8)(10)의 피체결부(8a)(10a)와 환형상 스페이서(39)의 피체결부(39a)를 함께 체결함으로써, 환형상 스페이서(39)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센서 설치구멍(41)의 위치와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벽(周壁)에 배기압 센서(44)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45)를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용 보스(46)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 설치용 보스(46)의 보스구멍(47)을 외측으로 향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배기압 도입 파이프(45)는 DPF 출구측의 것으로, DPF 입구측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65)와 아울러 배기압 센서(41)에 연통시켜, 배기압 센서(44)로 DPF(17)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차압을 검출하고, 이 검출값을 근거로하여, 엔진 ECU가 DPF(17)의 PM 퇴적량을 추정한다. ECU는, 전자제어유닛의 약칭이다.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에 배기도입관(48)을 설치하고 있다.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8)(10)에 그 둘레방향으로 같은 이간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8a)(10a)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을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의 피체결부(8a)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연결 플랜지(10)의 피체결부(10a)를 맞추어,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로 체결함으로써,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 입구관(48)의 입구(48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체결부(8a)(10a)에는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해 두고,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의 이간각도는 36°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10곳에 형성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둘레벽에는 배기용 센서의 센서 설치 구멍(67)을 형성하고, 이 센서 설치 구멍(67)에 DOC 상류측의 배기 온도를 검출하는 배기온도 센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에 배기출구관(49)을 설치하고,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과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11)(9)에 그 둘레방향으로 같은 이간 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11a)(9a)를 배치하고 있다.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9)의 피체결부(9a)에,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1)의 피체결부(11a)를 맞추고,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50)로 체결함으로써,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출구관(49)의 출구(49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5(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체결부(11a)(9a)에는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50)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있고,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50)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의 이간각도는 36°로 하여, 둘레방향으로 10곳에 형성하고 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벽에는 배기용 센서의 센서설치구멍(68)을 형성하고, 이 센서 설치 구멍(68)에 DPF 하류측의 배기온도를 검출하는 배기온도 센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4 ~ 27에 나타낸 제1 ·제2 참고형태는, 트랙터용으로 특화된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디젤엔진으로, 다음과 같은 트랙터 차량에 탑재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 차량(102)은 엔진 본체(1), 클러치 하우징, 미션케이스, 앞차축 프레임(105) 등을 직결(直結)하여 구성되고, 엔진 본체(1)를 시작으로, 그 주변에 부설되는 각종 기기류나 엔진 보조기기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한 보닛(10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닛(107)의 천정부(107a)는 뒷부분이 가장 높게 앞부분에 걸쳐져 앞쪽이 낮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천정부(107a)는 앞부분에서 뒷부분에 걸쳐 뒷부분이 올라가도록 경사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로부터 후방의 트랙터 차량(102) 위에는, 캐빈(108)이 설치되고, 캐빈(108) 안에 핸들 및 운전석을 배치한 조종실이 형성되어 있다.
엔진 본체(1)는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앞차축 프레임(105) 위에는, 엔진 본체(1)의 전방에 엔진 냉각팬(18), 라디에이터(112), 밧데리(113) 등이 배치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112)에 통모양의 슈라우드(115)가 후방 돌출형상으로 설치되고, 슈라우드(115) 안에 엔진 냉각팬(18)의 앞부분 측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밧데리(113)의 상부에는 에어크리너(11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에어크리너(116)로부터 도출된 청정 공기 흡입관(118)이 도 18에 나타내는 엔진 본체(1)의 흡기 매니폴드(56)에 연통접속되어 있다
도 14 ~ 도 20에 나타낸 제1 참고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EGR 장치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EGR 가스 도출통로(133)에 EGR 쿨러(60)와 EGR 가스 도출관(135)이 설치되고, EGR 가스 도출관(135)의 하류에 EGR 밸브 케이스(59)가 배치되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EGR 가스 도입관(137)이 도출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5)에 설치된 과급기(62)에 플랜지를 통해 배기처리장치(4)가 연결되어 있다. 이 배기처리장치(4)는 DPF 머플러이지만, 종래의 머플러에 비해 외형 및 중량이 크고, 중량은 종래의 머플러의 4 ~ 6배인 20 ~ 30Kg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107)으로 덮은 엔진 본체(1)의 뒷부분 위쪽에 상기 배기처리장치(4)가 그 길이방향을 좌우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보닛(107)의 천정부(107a)와 엔진 본체(1)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틈이 가장 큰 스페이스에 배기처리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좌측의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우측의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3분할 되어 있고, 중앙의 DPF 수용 케이스 부분(5)에 좌우의 케이싱 부분(6)(7)을 플랜지 결합하는 연결 플랜지(8)(9)가 형성되고, 이것에 대응하여 좌우 케이싱 부분(6)(7)의 좌우 안쪽 단부에 연결 플랜지(10)(11)가 형성되고, 중앙의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에 대해서 좌우의 케이싱 부분(6)(7)이 연결플랜지(8)(10) 및 연결 플랜지(9)(11)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에서 배기도입관(48)이 아래쪽으로 돌출설치되고, 배기도입관(48)이 과급기(39)를 통해서 엔진 본체(1)의 배기 매니폴드(55)에 접속되고, 우측의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에서 배기출구관(49)이 아래로 향하도록 도출되고, 이 배기출구관(49)이 배기 파이프(150)와 연결되고, 배기 파이프(150)에 도 14 및 도 17에 나타낸 종방향 파이프(149)가 설치되고, 이 종방향 파이프(149)는 엔진 본체(1)의 뒷부분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 안에 DPF(17) 등의 머플러 요소(151)가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본체(1)와 배기처리장치(4)의 크기를 비교하면, 엔진 본체(1)가 3800cc인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엔진 본체(1)의 전후 폭 L1이 600mm, 플라이휠 하우징(51)을 포함하는 엔진 본체(1)의 전후 폭 L2가 738mm, 엔진 본체(1)의 높이 H가 826mm로 되는 것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직경 R1이 300mm,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연결 플랜지(9)(11)의 직경 R2가 340mm, 배기처리장치(4)의 좌우 폭 W가 560mm로 되고, 배기처리장치(4)의 직경 R1이 엔진 본체(1)의 높이 H의 1/3 정도로 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의 좌우 방향 중도(中途)부분의 하부측에 전후 방향으로 긴 단일의 지지 브라켓(12)이 설치되어 있다. 배기처리장치(4)는 지지 브라켓(12)의 뒷부분 측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 브라켓(12)의 전후부(前後部)가 엔진 본체(1)의 전후부에 설치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중앙의 DPF 수용 케이스(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지지 스테이(2,3)가 'コ' 형상으로 형성된 좌우의 설치부재(155)(156)를 통해서 부설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설치부재(155)(156)는 수평형상의
저벽부(底壁部)(155a)(156a)와 저벽부(155a)(156a)의 좌우 방향 외단(外端)으로부터 솟은 고정벽부(155b)(156b)와 저판부(底板部)(155a)(156a)의 좌우 방향 내단(內端)으로부터 솟은 설치벽부(155c)(156c)를 갖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설치부재(155)(156)의 고정벽부(155b)(156b)가 중앙에 있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좌우 연결 플랜지(8)(9)의 하부에 각각 중합되고,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25)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설치부재(155)(156)의 설치벽부(155c)(156c)는 지지 브라켓(12)의 지지부(12d)를 좌우 양측에서 끼워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로 체결 고정시키고, 이것에 의해 지지 브라켓(12)이 설치부재(155)(156)를 통해서 중앙에 있는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부설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좌우의 설치부재(155)(156)를 고정하는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25)는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50)를 겸용하고 있다.
도 15,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50)로 체결하는 연결 플랜지(10)(11) 등의 피체결부(10a)(11a)는 연결 플랜지(10)(11)의 둘레방향으로 60°의 이간각도로 각각 6곳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설치부재(155)(156)의 저판부(155a)(156a)와 고정벽부(155b)(156b)와 설치벽부(155c)(156c)는 각각 연결판(159)(16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 본체(1)의 앞부분에 설치된 앞쪽의 지지 스테이(2)는, 좌우 한 쌍의 지지다리(163)(164)와 한 쌍의 지지다리(163)(164)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형상의 재치부(2b)를 갖고 있다.
좌측의 지지다리(163)의 하부는 엔진 본체(1) 앞부분의 실린더 헤드(19)의 좌측면 등에 고정되고, 우측의 지지다리(164)의 하부는 엔진 본체(1) 앞부분의 우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쪽의 지지 스테이(3)는 상하로 긴 띠모양 판의 스테이 설치부(3a) 하부가 엔진 본체(1)이 배면에 고정되고 상부에 'L'자모양으로 전방으로 굴곡진 재치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참고형태에 의하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107) 안에 배기처리장치(4)를 설치하는 경우, 배기처리장치(4)의 좌우 방향 중도부분의 하부측에 전후 방향으로 긴 지지 브라켓(12)을 미리 부설함과 아울러, 엔진 본체(1)의 전후부에 전후 측의 지지 스테이(2)(3)를 미리 설치해 두고, 지지 브라켓(12)의 앞부분을 앞쪽 스테이(2)의 재치부(2b)에 재치하고, 지지 브라켓(12)의 뒷부분을 뒤쪽의 지지 스테이(3)의 재치부(3b) 상에 재치한 후, 지지 브라켓(12)의 전후부를 볼트 등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로 재치부(2b)(3b)에 고정하면 좋고, 배기처리장치(4)의 외형이 크고 중량이 무거운 것이라도, 간단하게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배기처리장치(4)의 설치 후에는, 배기처리장치(4)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브라켓(12)의 전후부가 엔진 본체(1)의 전후부에 설치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배기처리장치(4)의 외형이 크고 중량이 무거운 것이라도, 배기처리장치(4)의 자중과 트랙터 차량(102)의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으며, 지지 브라켓(12)의 변형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처리장치(4)가 그 길이방향을 좌우로 향해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기처리장치(4)가 그 길이방향을 전후로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빈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종방향 파이프(149)가 엔진 본체(1)의 뒷부분 측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배기처리장치(4)의 앞부분에서 종방향 파이프(149)까지의 전후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 엔진 본체(1) 위쪽의 공간을 효율 좋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있은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에 좌우 케이싱 부분(6)(7)을 플랜지 결합하는 연결 플랜지(8)(9)가 형성되고, 중앙의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의 양쪽에 설치부재(155)(156)를 통해서 지지 브라켓(1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와 지지 브라켓(12)의 연결이 용이하게 되고, 중앙의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를 이용하여 지지 브라켓(12)을 배기처리장치(4)의 중도부분에 강고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어, 지지 브라켓(12)의 변형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107)은 천정부(107a)가 앞이 내려간 상태로 형성되고, 보닛(107)의 뒷부분과 엔진 본체(1) 사이의 틈이 가장 큰 위치에 배기처리장치(4)가 좌우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은 공간에 대경의 배기처리장치(4)가 배치가능하게 되고, 트랙터 차체(102)의 전후 중량 밸런스도 양호하게 된다.
제1 참고형태의 다른 구성이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14 ~ 도 20 중,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도 1 ~ 도 13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둔다.
도 21 ~ 도 27은 제2 참고형태를 나타내고, 중앙에 있는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각 연결 플랜지(8)(9)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지지 플래킷(12a)(12b)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앞부분이 앞쪽의 지지 스테이(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뒷부분이 뒤쪽의 지지 스테이(3)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의 지지 브라켓(12a)의 지지부(12d)가 중앙에 있는 DPF 케이싱 부분(5)의 좌측의 연결 플랜지(8)의 하부에 중합되고,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25)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우측의 지지 브라켓(12b)의 지지부(12d)가 중앙에 있는 DPF 케이싱 부분(5)의 우측의 연결 플랜지(9)의 하부에 중합되고,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25)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좌우의 지지 플래킷(12a)(12b)을 부설하는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25)는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50)를 겸용하고 있다.
도 22,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킷 연결용 체결구(43)(50)로 체결하는 연결 플랜지(10)(11) 등의 피체결부(10a)(11a)는 연결 플랜지(10)(11)의 둘레방향으로 45°의 이간각도로 각각 8곳에 배치되어 있다.
앞쪽의 지지 스테이(2)의 배면측이 보강판(76)으로 보강되어 있다.
뒤쪽의 지지 스테이(3)는 설치부(3a)와 재치부(3b)가 보강판(8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참고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참고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기처리장치(4)가 외형이 크고 중량이 무거운 것이라도, 배기처리장치(4)의 자중과 트랙터 차량(102)의 진동에 견딜 수 있으며, 배기처리장치(4)에 설치한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엔진 본체(1)의 전후부에 설치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면 좋고,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 참고형태의 경우, 중앙에 있는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각 연결 플랜지(8)(9)에 대응하여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앞부분이 앞쪽의 지지 스테이(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후부가 뒤쪽의 지지 스테이(3)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사용함으로써, 중앙에 있는 케이싱 부분(5)의 좌우 연결 플랜지(8)(9)를 잘 이용하여, 좌우 한 쌍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통해 배기처리장치(4)를 용이하고 강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27은 지지 브라켓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지지 브라켓(12a)(12b)의 지지부(12d)를 지지부재 본체(81)와 중앙에 있는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고정되는 고정판체(82)로 분할하고, 지지부재 본체(81)와 고정판체(82)를 볼트 등의 고정구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변형예의 경우, 지지부재 본체(81)와 고정판체(82)를 탈착하는 것에 의하더라도,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서 떼어낼 수 있어, 배기처리장치(4)의 정기점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참고형태의 다른 구성이나 기능은, 제1, 제1 참고형태와 동일하고, 도 21 ~ 도 27 중, 제1, 제1 참고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도 1 ~ 도 20과 동일의 부호를 붙여두었다.
상기 도 14 ~ 도 20에 나타내는 제1 참고형태에서는, 단일의 지지 브라켓(12)을 한 쌍의 설치부재(155)(156)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의 중앙에 있는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도 21 ~ 도 26의 제2 참고형태에서는,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배기처리장치(4)의 중앙의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에 각각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을 대신해, 지지 브라켓(12)(12a)(12b)을 배치처리장치(4)의 중앙의 케이싱 부분(5)의 좌우의 연결 플랜지(8)(9)의 한쪽에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28 ~ 도 30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28,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바로 뒤에, 플라이휠 하우징(51)의 후측상방에, 배기처리장치(4)의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배치하고 있다.
엔진 본체(1)의 후부에 좌우 한 쌍의 지지 스테이(71)(72)를 설치하고, 이 좌우 한 쌍의 지지 스테이(71)(72)에 좌우 지지 브라켓을 통하지 않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연결 플랜지(10)와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1)의 지지용 돌출부(32)(33)를, 플랜지 설치용 체결구(73)로 설치하고 있다. 이들의 플랜지 설치용 체결구(73)는,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용 구멍(26)과 마찬가지의 위치조절구멍에 삽입 통과되고,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스테이에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a)(38b)와 마찬가지의 플랜지 끼워맞춤부(74)를 설치하고, 연결 플랜지(11) 등의 하연부를 끼워맞춤시키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하고, 엔진 본체(1)의 앞부분에 엔진 냉각팬(21)을 배치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다른 구성이나 기능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도 28 ~ 30 중,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도 1 ~ 도 13과 동일의 부호를 붙여두었다.
(1) 엔진 본체
(2) 앞쪽의 지지 스테이
(3) 뒤쪽의 지지 스테이
(4) 배기처리장치
(5) DPF 수용 케이싱 부분
(6)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
(7)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
(8) DPF 입구측 연결 플랜지
(8a) 피체결부
(9) DPF 출구측 연결 플랜지
(9a) 피체결부
(10) 배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
(10a) 피체결부
(11) 배기 출구측 연결 플랜지
(11a) 피체결부
(12) 지지 브라켓
(12a) 좌측의 지지 브라켓
(12b) 우측의 지지 브라켓
(13) 배기관
(14)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
(14a) 좌측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
(14b) 우측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
(16) 크랭크축 중심축선
(17) DPF
(18) 엔진 냉각팬
(19) 실린더 헤드
(20) 헤드 커버
(21) 엔진 냉각팬의 상단부
(22)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
(23) 배기 입구 플랜지
(24) 배기 플랜지 체결구
(25)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
(26) 위치조절구멍
(27) 대경(大徑)구멍
(28) 소경(小徑)구멍
(29) 위치조절구멍
(30) 전후 방향 장공
(31) 좌우 방향 장공
(32) 배기 입구측의 지지용 돌출부
(33) 배기 출구측의 지지용 돌출부
(34) DPF 입구측의 끌어올리기용 돌출부
(35) DPF 출구측의 끌어올리기용 돌출부
(36) DPF 입구측의 끌어올리기용 걸림부
(37) DPF 출구측의 끌어올리기용 걸림부
(38a) 좌측의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
(38b) 우측의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
(39) 환형상 스페이서
(39a) 피체결부
(40) DPF 입구측 공간
(41) 센서 설치구멍
(42) 배기용 센서
(43) DPF 입구측의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
(44) 배기압 센서
(45) 배기압 도입 파이프
(46) 파이프 설치용 보스
(47) 보스구멍
(48) 배기도입관
(48a) 입구
(49) 배기출구관
(49a) 출구
(50) DPF 출구측의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
(51) 플라이휠 하우징

Claims (21)

  1. 엔진 본체(1)에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엔진 본체(1)와 배기처리장치(4)를 배기관(13)을 통해서 연통시킨,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에 있어서,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상호 분리가능한 복수의 케이싱 부분(5)(6)(7)으로 구성하고, 각 케이싱 부분(5)(6)(7)의 단부에 연결 플랜지(8)(9)(10)(11)를 설치하고, 연결플랜지(8)(9)(10)(11)끼리의 연결로 각 케이싱 부분(5)(6)(7)을 연결하고,
    엔진 본체(1)에 상기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지지시키고,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하고,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구성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양단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각각 분리가능하게 연결시키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각 연결 플랜지(8)(10)의 사이에 환형상(環狀) 스페이서(39)를 끼우고, 환형상 스페이스(39) 안에 DPF 입구측 공간(40)을 설치하고,
    환형상 스페이서(39)에 센서 설치구멍(41)을 형성하고, 센서설치구멍(41)으로부터 DPF 입구측 공간(40)을 향해 배기용 센서(42)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2. 제1항에 있어서,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8)(10)에 그 둘레 방향으로 같은 이간(離間) 각도로 복수의 피(被)체결부(8a)(10a)를 배치하고,
    환형상 스페이서(39)에 그 둘레방향으로 상기 이간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39a)를 배치하고,
    환형상 스페이서(39)의 자세를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환형상 스페이서(39)의 피체결부(39a)를 상기 연결 플랜지(8)(10)의 피체결부(8a)(10a)에 합쳐서,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로 상기 연결 플랜지(8)(10)의 피체결부(8a)(10a)와 환형상 스페이서(39)의 피체결부(39a)를 함께 체결함으로써,
    환형상 스페이서(39)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센서 설치구멍(41)의 위치와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3. 제1항에 있어서,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를 겹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 보다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지지용 돌출부(32)(33)를 형성하고, 이 지지용 돌출부(32)(33)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키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킨 채로,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사이로부터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4. 제3항에 있어서,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9)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0)(11)보다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끌어올리기용 돌출부(34)(35)를 설치하고, 이 끌어올리기용 돌출부(34)(35)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끌어올리기용 걸림부(36)(3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12b)에 위쪽이 개구된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를 설치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9)(11)의 적어도 한 쪽의 하연부(下緣部)를 플랜지 끼워맞춤 오목부(38b)에 끼워맞춤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6. 제1항에 있어서,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벽에 배기압 센서(44)의 배기압 도입 파이프(45)를 설치하는 파이프 설치용 보스(46)를 설치하고, 이 파이프 설치용 보스(46)의 보스구멍(47)을 외측으로 향해 위쪽으로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7. 제1항에 있어서,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에 배기도입관(48)을 설치하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8)(10)에 그 둘레방향으로 같은 이간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8a)(10a)를 배치하고,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을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8)의 피체결부(8a)에,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연결 플랜지(10)의 피체결부(10a)를 맞추어,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43)로 체결함으로써,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 입구관(48)의 입구(48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8. 제1항에 있어서,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에 배기출구관(49)을 설치하고,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과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겹치는 연결 플랜지(11)(9)에 그 둘레방향으로 같은 이간 각도로 복수의 피체결부(11a)(9a)를 배치하고,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을 상기 이간각도 단위로 둘레방향으로 옮기고,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의 연결 플랜지(9)의 피체결부(9a)에,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연결 플랜지(11)의 피체결부(11a)를 맞추고, 플랜지 연결용 체결구(50)로 체결함으로써,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의 둘레방향의 자세를 변경하여, 배기출구관(49)의 출구(49a)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호 떨어진 복수 개소의 연결 플랜지(8)(9)(10)(11)를 통해서 배기처리장치(4)를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 본체(1)에 지지 스테이(2)(3)를 설치하고, 연결 플랜지(10)(11)에 지지 브라켓(12)을 부설하고, 지지 브라켓(12)을 지지 스테이(2)(3) 위에 재치(載置) 하고,
    배기처리장치(4)의 하중을 지지 브라켓(12)을 통해서 지지 스테이(2)(3)로 지지하고, 지지 브라켓(12)을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로 지지 스테이(2)(3)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1. 제10항에 있어서,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의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 크랭크축 중심축선(16)과 직교하는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지지 스테이(2)(3)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로 구성하고, 이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엔진 본체(1)의 전후 측에 각각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을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 지지 브라켓(12)을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사이에 가설(架設)하고, 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전후의 지지 스테이(2)(3)를 통해서 엔진 본체(1)에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2. 제11항에 있어서,
    지지 브라켓(12)을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으로 구성하고, 좌우 측의 연결 플랜지(8)(9)(10)(11)에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을 각각 부설하고,
    좌우의 지지 브라켓(12a)(12b)의 전후 단부를 전후의 지지 스테이(2)(3) 위에 재치하여, 좌우의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3. 제10항에 있어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체결로 연결 플랜지(10)(11)에 지지 브라켓(12a)(12b)을 부설하고,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a)(12b) 중 적어도 한 쪽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형성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6)으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적어도 상하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4. 제13항에 있어서,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위치조절구멍(26)을 대경구멍(27)으로 구성하고, 연결 플랜지(10)(11)와 지지 브라켓(12)의 어느 한 쪽에 대경구멍(27)을, 다른 쪽에 소경구멍(28)을 각각 형성하고, 대경구멍(27)의 내경은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삽입 통과부분이 그 삽입 통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하고, 소경구멍(28)의 내경은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의 삽입 통과부분이 그 삽입 통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없는 크기로 설정하고,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이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 크랭크축 중심축선(16)과 직교하는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대경구멍(27)과 소경구멍(28)을 좌우로 겹치고, 이들 겹쳐진 위치에 브라켓 부설용 체결구(25)를 삽입 통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5. 제10항에 있어서,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이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 크랭크축 중심축선(16)과 직교하는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지지 브라켓(12a)(12b)을 지지 스테이(2)(3)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로 설치하고, 지지 브라켓(12a)(12b)과 지지 스테이(2)(3) 중 적어도 한 쪽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조절구멍(29)을 설치하고, 이 위치조절구멍(29)으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적어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6. 제15항에 있어서,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의 위치조절구멍(29)을 전후 방향 장공(長孔)(30)과 좌우 방향 장공(31)으로 구성하고, 지지 스테이(2)(3)와 지지 브라켓(12a)(12b) 중 어느 한 쪽에 전후 방향 장공(30)을, 다른 쪽에 좌우 방향 장공(31)을 각각 형성하고,
    전후 방향 장공(30)과 좌우 방향 장공(31)을 교차형상으로 상하로 겹치고, 이들의 교차위치에 브라켓 설치용 체결구(14a)(14b)를 삽입 통과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처리장치(4)에 DPF(17)을 수용함에 있어서,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의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하고, 엔진 본체(1)의 앞부분에 엔진 냉각팬(18)을 배치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된 헤드 커버(20)의 위쪽에서, 엔진 냉각팬(18)이 상단부(21) 보다 높은 위치에 배기처리장치(4)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엔진 본체(1) 측의 엔진 배기 출구 플랜지(22) 위에 배기처리장치(4)의 배기 입구 플랜지(23)를 재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1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처리장치(4)에 DPF(17)를 수용하고, 배기처리장치(4)의 케이싱을 DPF 수용 케이싱 부분(5)과 배기 입구측 케이싱 부분(6)과 배기 출구측 케이싱 부분(7)으로 구성하고,
    크랭크축 중심축선(16)이 뻗는 방향을 전후 방향, 크랭크축 중심축선(16)과 직교하는 엔진 본체(1)의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엔진 본체(1)의 앞부분에 엔진 냉각팬(21)을 배치하고,배기처리장치(4)를 좌우 방향으로 긴 자세로 하고, 실린더 헤드(19)의 상부에 부착한 헤드 커버(20)의 바로 뒤에서, 플라이휠 하우징(51)의 후측상방에, DPF 수용 케이싱 부분(5)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20. 삭제
  21. 삭제
KR1020100135568A 2010-01-14 2010-12-27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KR1017495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05891 2010-01-14
JP2010005891 2010-01-14
JP2010239612A JP5616194B2 (ja) 2010-01-14 2010-10-26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JP-P-2010-239612 2010-10-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95A Division KR101784658B1 (ko) 2010-01-14 2017-06-15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494A KR20110083494A (ko) 2011-07-20
KR101749585B1 true KR101749585B1 (ko) 2017-07-03

Family

ID=438032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568A KR101749585B1 (ko) 2010-01-14 2010-12-27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KR1020170075995A KR101784658B1 (ko) 2010-01-14 2017-06-15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995A KR101784658B1 (ko) 2010-01-14 2017-06-15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516807B2 (ko)
EP (2) EP3330508B1 (ko)
JP (1) JP5616194B2 (ko)
KR (2) KR101749585B1 (ko)
CN (1) CN1021280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3323A1 (de) * 2010-06-10 2011-12-15 Dif Die Ideenfabrik Gmbh Abgasbehandlungsvorrichtung
JP5258847B2 (ja) * 2010-06-16 2013-08-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5630216B2 (ja) *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20120052512A (ko) * 2010-11-16 2012-05-24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JP5748263B2 (ja) * 2011-01-11 2015-07-15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JP5707178B2 (ja) * 2011-03-02 2015-04-22 フタバ産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US20120273648A1 (en) * 2011-04-28 2012-11-0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JP5615763B2 (ja) * 2011-06-14 2014-10-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911758B2 (ja) 2011-07-29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装置
JP5865040B2 (ja) * 2011-11-30 2016-02-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3148035A (ja) * 2012-01-20 2013-08-01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US20140373721A1 (en) * 2012-01-20 2014-12-25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JP5798515B2 (ja) * 2012-03-13 2015-10-21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の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JP5545502B2 (ja) * 2012-05-11 2014-07-09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8820691B2 (en) 2012-06-28 2014-09-02 Electro-Motive Diesel, Inc.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for an after-treatment component
JP5889140B2 (ja) * 2012-07-26 2016-03-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WO2014007374A1 (ja) * 2012-07-05 2014-01-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2889464B1 (en) * 2012-07-05 2017-07-05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5939921B2 (ja) * 2012-07-26 2016-06-2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911392B2 (ja) 2012-07-20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2014025363A (ja) * 2012-07-24 2014-02-06 Ihi Shibaura Machinery Corp 排気浄化装置
JP6227859B2 (ja) * 2012-07-26 2017-11-0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5882158B2 (ja) * 2012-07-26 2016-03-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2014025392A (ja) * 2012-07-26 2014-02-06 Yanmar Co Ltd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US9726062B2 (en) * 2012-09-14 2017-08-08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5806190B2 (ja) * 2012-09-26 2015-11-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支持構造
JP2014065441A (ja) * 2012-09-26 2014-04-17 Kubota Corp 作業車
JP5840098B2 (ja) 2012-09-26 2016-01-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接続構造
JP2014065442A (ja) * 2012-09-26 2014-04-17 Kubota Corp 作業車
JP5875497B2 (ja) * 2012-09-26 2016-03-0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取り付け構造
JP5474155B1 (ja) * 2012-10-16 2014-04-1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処理ユニット、排気処理ユニットの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方法
WO2014064956A1 (ja) * 2012-10-26 2014-05-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JP5975859B2 (ja) * 2012-11-29 2016-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9057316B2 (en) * 2012-12-03 2015-06-1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Exhaust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JP5995708B2 (ja) * 2012-12-27 2016-09-2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936004B2 (ja) * 2013-03-28 2016-06-1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9624815B2 (en) * 2013-04-11 2017-04-18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Support structure for mounting an emissions cleaning module
US9238901B2 (en) 2013-08-09 2016-01-19 Komatsu Ltd. Supporting mechanism, exhaust treatment unit, and wheel loader
WO2015019501A1 (ja) 2013-08-09 2015-02-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支持機構、排気処理ユニット、ホイールローダ
JP2015052274A (ja) * 2013-09-05 2015-03-1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搭載用エンジン装置
JP6163447B2 (ja) * 2013-09-26 2017-07-12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
JP6270594B2 (ja) * 2013-09-26 2018-01-31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
EP2853704B1 (en) * 2013-09-30 2017-04-26 Kubota Corporation Diesel engine
JP2015117597A (ja) * 2013-12-17 2015-06-25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KR102206746B1 (ko) * 2013-12-20 2021-01-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농기계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장착구조
JP5989017B2 (ja) * 2014-01-30 2016-09-0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184358B2 (ja) * 2014-03-20 2017-08-23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096696B2 (ja) * 2014-03-20 2017-03-15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KR20200009127A (ko) 2014-03-20 2020-01-29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장치
KR102227899B1 (ko) * 2014-03-28 2021-03-12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US9139232B1 (en) * 2014-07-31 2015-09-22 Cnh Industrial America Llc Hood support assembly for a work vehicle
US9631342B2 (en) * 2014-08-19 2017-04-25 Komatsu Ltd. Work vehicle
JP6226849B2 (ja) * 2014-09-30 2017-11-08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6322118B2 (ja) * 2014-10-15 2018-05-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EP3208439B1 (en) 2014-10-15 2018-11-21 Yanmar Co., Ltd. Engine device
JP6490384B2 (ja) * 2014-10-15 2019-03-2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20150102179A1 (en) * 2014-12-22 2015-04-16 Caterpillar Inc. Bracket to mount aftercooler to engine
JP6675346B2 (ja) * 2017-03-24 2020-04-0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FR3065488B1 (fr) * 2017-04-20 2019-06-28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Element de ligne d'echapp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lement
JP2018184927A (ja) * 2017-04-27 2018-11-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の支持構造
JP6737741B2 (ja) * 2017-06-15 2020-08-1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
GB2570667B (en) * 2018-01-31 2021-03-17 Perkins Engines Co Ltd Adjustable mounting for exhaust treatment component
JP6807885B2 (ja) * 2018-03-19 2021-01-06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CN110504149B (zh) * 2018-05-17 2022-04-22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射频电源的脉冲调制系统及方法
JP2020153336A (ja) * 2019-03-22 2020-09-24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
US10947889B2 (en) * 2019-07-31 2021-03-16 Cummins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module support assembly
JP7443822B2 (ja) 2020-02-28 2024-03-06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FR3110458B1 (fr) * 2020-05-20 2023-09-08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Dispositif de purification de gaz d’échappement à cartouches, notamment pour une ligne d’échappement de moteur thermique
EP4026995A1 (en) * 2021-01-11 2022-07-13 Volvo Penta Corporation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a marine vessel and a genset
JP7448755B2 (ja) * 2021-03-18 2024-03-13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の支持構造および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632A (ja) * 2002-08-14 2004-03-11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装置の支持構造
JP2005113795A (ja) * 2003-10-08 2005-04-28 Hino Motors Ltd マフラの支持構造
JP2008031955A (ja) *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66372C (zh) * 2001-03-22 2006-07-26 揖斐电株式会社 废气净化装置
JP3680993B2 (ja) * 2001-05-14 2005-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集合部接続構造
JP4115120B2 (ja) * 2001-08-06 2008-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DE10254036B4 (de) * 2002-11-20 2005-08-04 J. Eberspächer GmbH & Co. KG Mehrbettkatalysator
US7713493B2 (en) * 2003-02-28 2010-05-11 Fleetguard, Inc. Compact combination exhaust muffler and aftertreatment element and water trap assembly
JP4202787B2 (ja) * 2003-02-28 2008-12-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装置
JP2004340114A (ja) * 2003-05-19 2004-12-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マフラ支持装置
JP2005155404A (ja) * 2003-11-25 2005-06-16 Komatsu Ltd 内燃機関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4340137B2 (ja) * 2003-12-12 2009-10-07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US7501005B2 (en) * 2005-02-28 2009-03-10 Caterpillar Inc. Exhaust treatment device having submerged connecting flanges
JP4928304B2 (ja) * 2007-02-23 2012-05-0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DE202007004230U1 (de) * 2007-03-22 2008-07-31 Heinrich Gillet Gmbh Abgasanlage
JP2008255858A (ja) * 2007-04-03 2008-10-23 Yanmar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黒煙浄化装置
JP2008281083A (ja) * 2007-05-09 2008-11-20 Marui Sangyo Co Ltd 配管用支持金具
JP2009012609A (ja) 2007-07-04 2009-01-22 Kubota Corp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JP4506798B2 (ja) * 2007-08-23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二次空気供給装置
JP4414453B2 (ja) * 2007-09-10 2010-02-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の吊り点構造
JP4995689B2 (ja) * 2007-10-26 2012-08-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2009228635A (ja) 2008-03-25 2009-10-08 Komatsu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US8418448B2 (en) * 2008-05-22 2013-04-1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5220855B2 (ja) * 2008-07-10 2013-06-26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EP2302180B1 (en) * 2008-07-10 2014-04-3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538700B2 (ja) 2008-09-18 2014-07-02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285366B2 (ja) 2008-09-18 2013-09-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DE102008053669A1 (de) * 2008-10-29 2010-05-06 Emcon Technologies Germany (Augsburg) Gmbh Abgasanlage für ein Fahrzeug
WO2010055717A1 (ja) * 2008-11-11 2010-05-20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JP5401944B2 (ja) * 2008-11-25 2014-01-2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マフラー取付装置
US20100186394A1 (en) * 2009-01-26 2010-07-29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ssembly
CN102365431B (zh) * 2009-03-26 2013-01-0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内燃机的排气气体净化装置
JP2010229959A (ja) * 2009-03-30 2010-10-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WO2012043137A1 (ja) * 2010-09-30 2012-04-05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632A (ja) * 2002-08-14 2004-03-11 Suzuki Motor Corp エンジンの排気装置の支持構造
JP2005113795A (ja) * 2003-10-08 2005-04-28 Hino Motors Ltd マフラの支持構造
JP2008031955A (ja) *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5688A1 (en) 2013-11-21
EP3330508A1 (en) 2018-06-06
KR20110083494A (ko) 2011-07-20
CN102128071B (zh) 2014-10-15
EP2345802A3 (en) 2013-08-14
EP3330508B1 (en) 2020-02-19
KR20170069993A (ko) 2017-06-21
US8991162B2 (en) 2015-03-31
EP2345802A2 (en) 2011-07-20
JP5616194B2 (ja) 2014-10-29
US8516807B2 (en) 2013-08-27
US20110167808A1 (en) 2011-07-14
CN102128071A (zh) 2011-07-20
JP2011163339A (ja) 2011-08-25
EP2345802B1 (en) 2018-02-21
KR101784658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658B1 (ko) 배기처리장치가 부착된 엔진
JP5422528B2 (ja)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とその排気処理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KR102069917B1 (ko) 엔진 장치
KR20170054494A (ko) 엔진 장치
US9810133B2 (en) Engine device for work vehicle
US9995198B2 (en) Engine device for work vehicle
JP5849136B2 (ja)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6147213B2 (ja) エンジン装置
EP2902599B1 (en) Engine device
JP2012077622A (ja)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WO2012043137A1 (ja)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2012077621A (ja)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
JP6129733B2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