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981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981B1
KR101913981B1 KR1020177008497A KR20177008497A KR101913981B1 KR 101913981 B1 KR101913981 B1 KR 101913981B1 KR 1020177008497 A KR1020177008497 A KR 1020177008497A KR 20177008497 A KR20177008497 A KR 20177008497A KR 101913981 B1 KR101913981 B1 KR 101913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xhaust
exhaust gas
pip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6753A (ko
Inventor
요시아키 쿠로카와
사토시 하세가와
마사히토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837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60026A1/ja
Publication of KR20170046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6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using structural parts of the vehicle as ducts, e.g. fram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8Mounting or arrangement of exhaust sensors in or on exhaust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13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 F02M26/22Arrangement or layout of EGR passages, e.g. in relation to specific engine parts or for incorporation of accessories with coolers in the recirculation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4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n exhaust pipe, manifold or apparatus in relation to vehicle frame or particular vehic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2001/005Cooling engine rooms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52)와, 상기 엔진(5) 공냉용의 냉각팬(59)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5)의 전면측에 상기 냉각팬(59)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59), 상기 엔진(5) 및 상기 후처리 장치(52)를 보닛(6)으로 덮는다. 상기 보닛(6)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52)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엔진(5)의 일측방을 덮는 차폐판(20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차폐판(205)에 복수의 구멍을 설치한 다공판으로 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 로더라고 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젤 엔진(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함)에 관한 고차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되는 것에 따라, 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 차량이나 건설 토목 기계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서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 등을 포집하는 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이하, DPF라고 함)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등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8-31955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엔진을 탑재하고, 엔진 상방 중 배기 매니폴드의 좌우 일측에 전후 길이의 DPF를 배치하고, DPF와 함께 엔진을 보닛으로 덮은 트랙터의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트랙터에서는 보닛은 단면 하향의 コ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보닛의 좌우 다리부는 외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다리부의 내측, 즉 보닛의 좌우 모서리부에 DPF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렇게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DPF의 설치 스페이스의 관점으로부터, 보닛의 좌우 다리부를 외향으로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주행 기체의 조종 좌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 특히 보닛의 좌우 양 다리부로부터 전방 시계가 희생되고 있었다.
또한, 엔진에 대해 이간시켜서 DPF를 장착하는 경우, 엔진으로부터 DPF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저하하여, DPF의 매연 필터 등의 재생이 불완전해지기 쉽기 때문에, DPF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해서 매연 필터 등을 재생하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엔진에 근접시켜서 DPF를 장착하는 경우, 엔진으로부터 DPF로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 저하를 저감하여, DPF 내의 배기가스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기 쉽지만, DPF의 지지 구조를 용이하게 간략화할 수 없기 때문에, DPF의 장착 작업성 또는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DPF의 탑재에 의해 엔진이 대형화함으로써 진동 계열이 다른 엔진의 진동에 의한 영향이 커서, 주행 기체와 엔진 쌍방에 연결할 필요가 있는 부품(예를 들면, 배기관 등)에 있어서 파손이나 고장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엔진이 대형화함으로써,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탑재 스페이스가 충분하지 않아서, 작업 차량측에서의 설계 변경이 강요될 뿐만 아니라, 엔진의 탑재 상태에 따라서는 메인터넌스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엔진의 대형화에 의해, 엔진룸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흐름이 나빠져서 그 냉각 효과가 저하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 내의 열체류에 의해 전자 부품뿐만 아니라 엔진에도 가열에 의한 고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내측을 고온의 배기가스가 흐르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고온의 열원이 된다.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설치하는 압력 센서나 온도 센서라고 하는 전기 부품은 배기가스 정화 케이스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 배기가스 정화 장치로부터의 복사열의 영향을 받는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에 부속시키는 전기 부품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나 엔진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고장날 우려가 있다. 특히, 온도 센서 및 압력 센서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배기가스 정화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장치 내의 클로깅이 해소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엔진 스톨의 발생 등이라고 하는 불량을 발생시켜 버린다.
그래서, 본원발명은 이들의 현재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행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전면측에 상기 냉각팬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 장치를 보닛으로 덮은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일측방을 덮는 차폐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차폐판에 복수의 구멍을 형성한 다공판으로 한 것이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는 상기 엔진의 일측방에 설치한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차폐판이 상기 배기 매니폴드를 덮음과 아울러, 상기 배기 매니폴드 하방에는 상기 엔진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차열판 하방에 시동기를 배치시킨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복수의 구멍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시켜서 구성한 다공판이어도 상관없고, 긴 구멍을 나란히 배치시켜서 구성한 다공판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차폐판을 상기 후처리 장치측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배기 매니폴드 하방측에 비해서 크게 한 다공판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 하방에 상기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냉각하는 EGR 쿨러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EGR 쿨러 외측을 상기 차폐판 하방에 배치한 금속판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 수냉용의 라디에이터와, 상기 엔진 및 상기 라디에이터 공냉용의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 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상부측에 상기 후처리 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팬 슈라우드 상방에 상기 후처리 장치 내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를 고정시킴으로써, 냉각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서 상류측에 센서를 배치하기 위해서, 엔진 및 후처리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서, 가열에 의한 센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처리 장치의 내부 환경을 정상으로 파악하여, 엔진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상기 후처리 장치 내를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따라 흐르도록, 상기 후처리 장치의 배기가스 입구 및 배기가스 출구를 전후로 나누어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후처리 장치의 배기가스 출구를 상기 냉각팬측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후처리 장치 내에 설치한 정화 필터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상기 팬 슈라우드 상방에 고정시킴으로써, 후처리 장치를 엔진 출력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배기 출구측에 설치한 정화 필터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배기 출구 근방이 되는 팬 슈라우드 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와 후처리 장치 사이에 설치하는 압력 측정용 배관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센서에 의한 측정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의 상부측에 지지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후처리 장치를 탑재하고, 상기 엔진 및 상기 후처리 장치를 보닛으로 덮은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엔진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상기 엔진 외부의 장치에 공급시키는 외부 공급용 배관을 배관 고정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엔진에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이 상기 후처리 장치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엔진 상부에 세워서 설치시키는 것으로 함으로써, 주행 차량에 설치한 공기 조화기 등의 외부 장치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외부 공급용 배관을 후처리 장치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냉각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배관 고정 브래킷을 후처리 장치의 외측면에 세워서 설치시킴으로써, 후처리 장치로부터의 배열에 대한 차열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상기 후처리 장치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를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과 상기 후처리 장치 사이에 상기 외부 공급용 배관을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센서와 상기 후처리 장치 사이에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을 위치시킴으로써, 배관 고정 브래킷을 사이에 두고 후처리 장치의 반대측에 센서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및 후처리 장치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서, 가열에 의한 센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과,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구비한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배기관은 상기 후처리 장치의 배기 출구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엔진에 고정시킨 제 1 배기관과, 상기 제 1 배기관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주행 기체에 고정시킨 제 2 배기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배기관의 내경을 상기 제 1 배기관의 외경보다 굵게 하고, 상기 제 1 배기관의 배기 출구측을 상기 제 2 배기관의 배기 입구에 삽입해서 연통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배기관 각각을 다른 진동계로 이루어지는 엔진 및 주행 기체 각각에 연결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기관의 배기 입구에 제 1 배기관을 삽입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2 배기관에는 제 1 배기관으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함께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상기 후처리 장치 내를 상기 엔진의 출력축을 따라 흐르도록 상기 후처리 장치의 배기가스 출구 및 배기가스 입구 각각을 전후로 나누어 배치하고 있고, 상기 후처리 장치의 전측에 배치한 배기가스 출구에 상기 제 1 배기관의 배기 입구를 연결시켜서 후방을 향해서 상기 제 1 배기관을 상기 엔진 상방에서 상기 후처리 장치와 병설시킴과 아울러, 상기 후처리 장치 및 상기 제 1 배기관을 차열판으로 덮음으로써 후처리 장치 및 제 1 배기관을 차열판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룸을 덮는 보닛에 대하여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기체 상방에 있어서 상기 엔진 후방에 조종 좌석을 설치하고 있고, U자 형상으로 구성한 상기 배기관을 상기 조종 좌석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배기관의 하측에 배수용의 드레인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 구멍의 하측을 편측으로부터 덮는 풍향판을 상기 배기관에 연결시킴으로써, 풍향판에 의한 덮개가 없는 방향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 내의 고온으로 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했을 때에, 배기관 근방에 설치된 하니스나 배터리 등의 내열성 또는 내수성이 낮은 부품에 대한 열해나 물젖음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주행 기체의 전방부에 설치한 엔진룸을 덮는 보닛과, 구동원이 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과, 냉각팬에 의해 유도되는 냉각 공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용 매체와 열교환시키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 전방의 상면을 밑판으로 덮은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보닛 및 상기 밑판은 각각 상기 냉각팬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보닛 및 상기 밑판 각각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냉각풍을 상기 보닛 내로 도입함으로써, 냉각팬 전방의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을 통과하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팬 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유속을 억제할 수 있어서,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밑판에도 망 형상의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엔진룸 내로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 정지 후에는 진애를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전방부 프레임과 좌우 후방부 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 전방부 프레임 각각의 전단을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 주물인 연결 부재에 의해 가설하여 상기 주행 기체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 부재 상방이 되는 위치에 상기 밑판의 상기 개구부를 배치시킴으로써, 밑판의 개구부 하방에 주행 기체의 연결 부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개구부를 통해서 엔진룸 내로 외기가 유입할 때 연결 부재에 의해 진애나 진흙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을 지지하는 전방부 프레임을 금속 주물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로 고정함으로써 엔진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다공판에 의한 차폐판으로 엔진 측방을 덮음으로써, 엔진에 대한 차열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엔진 측방에 열체류도 방지할 수 있다. 보닛 내부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열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어, 엔진의 이상 동작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전기기기인 시동기 상방에 차열 부재를 설치하고 있음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기에 대한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기기인 시동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차폐판을 구성하는 다공판의 구멍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차열판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개구 영역을 유연하게 설정 가능해진다. 또한, 차폐판을 구성하는 다공판의 구멍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유체에 대한 개구 부분에 있어서의 저항을 균일화하기 쉬워서, 차폐판 내측에서의 난류를 억제할 수 있어 엔진 등으로부터의 배열의 체류를 저감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차폐판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측의 개구 면적을 배기 매니폴드 하방측에 비해서 크게 함으로써, 상승하여 온 배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후처리 장치로 유도시킴과 동시에, 후처리 장치측의 개구 영역에서 엔진 냉각 공기의 일부를 배기하기 쉽게 함으로써, 차폐판과 엔진 사이에서의 열체류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매니폴드 하방에 설치한 EGR 쿨러 외측을 차폐판 하방에 배치한 금속판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 전방으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EGR 쿨러까지 유도시키는 한편, EGR 쿨러 측방에서 가열된 냉각 공기를 상방의 후처리 장치를 향해서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룸 내에 있어서, 엔진에 의한 배열을 후처리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활용시키는 한편, 엔진 주변에서의 열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작업 차량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작업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동 작업 차량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작업 차량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동 작업 차량의 주행 기체와 플라이휠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도이다.
도 14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 확대도이다.
도 16은 동 작업 차량의 주행 기체와 오일 필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7은 동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에 있어서의 과급기와 오일 필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8은 디젤 엔진과 라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테일 파이프 하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엔진룸 내의 각 부품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디젤 엔진과 테일 파이프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디젤 엔진에 부속시키는 부품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동 디젤 엔진의 우측면도이다.
도 25는 동 디젤 엔진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동 디젤 엔진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동 디젤 엔진의 배면도이다.
도 28은 동 디젤 엔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9는 동 디젤 엔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0은 동 디젤 엔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1은 동 디젤 엔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2는 DPF의 지지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33은 DPF의 지지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DPF의 배기 입구측으로부터 본 지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DPF의 배기 출구측으로부터 본 지지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은 DPF와 지지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7은 DPF와 지지 브래킷의 관계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8은 차폐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디젤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도 39는 차폐판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 및 (b)와 함께 디젤 엔진의 일부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40은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폐판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1은 차폐판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디젤 엔진의 좌측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22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1)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전차륜(3)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 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함)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져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원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외측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전방 범퍼(프레임 연결 부재)(12) 및 전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후방부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전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차축(16)을 통해서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히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으로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 외향으로 돌출된 밑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프레임판 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분리되어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누어 탑재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를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하여 후 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져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고 하는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로워 링크(23) 및 톱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 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후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엔진(5)의 후방 측면으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하는 엔진 출력축(53)에는 플라이휠(61)이 직결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양단에 유니버셜 조인트를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서, 플라이휠(61)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전면측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하게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면 하부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 생략)를 내장하는 전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방향으로 돌출된 전차륜 전달축(도시 생략)이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7) 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차축 케이스(13) 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여 좌우 전차륜(3)에 전달된다.
엔진(5)의 터보 과급기(81)는 블로어휠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83)를 구비하고 있고,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도입측을 급기관(222)을 통해서 에어클리너(221)의 흡기 배출측과 접속하는 한편,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배출측을 상류측 중계관(223)과 접속한다. 터보 과급기(81)는 터빈휠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82)를 구비하고 있고,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도입측을 배기 매니폴드(57)의 배기가스 출구와 연결하는 한편, 터빈 케이스(82)의 흡기 배출측을 후처리 장치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와 연결한다.
엔진(5)은 양측면에 나누어서 배치한 EGR 쿨러(80)와 EGR 장치(75)를 환류 관로로 해서 엔진(5) 후면(플라이휠(61)측)을 우회시킨 재순환 배기가스관(78)에 의해 접속한다. EGR 장치(75)는 엔진(5) 우측방에 있어서 전방(냉각팬(59)측)으로 연장된 하류측 중계관(225)과 접속하고 있다.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은 각각 엔진(5) 양 측면에 나누어서 배치되어 있고, 엔진(5) 전방의 테두리 프레임(226)에 설치되는 인터쿨러(224)에 접속하도록 엔진(5)의 전방 상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를 테두리 프레임(226) 전면 상측에 배치하고, 에어클리너(221)와 접속하는 급기관(222)이 테두리 프레임(226) 상방을 걸치도록 하여 엔진(5) 좌측면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에어클리너(221)에 흡입된 신선공기(외부공기)는 에어클리너(221)에 의해 제진·정화된 후, 급기관(222)을 통해서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 흡인된다.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서 압축된 가압 신선공기는 중계관(223, 225) 및 인터쿨러(224)를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EGR 쿨러(80)에 의해 냉각된 후,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로 공급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가스 배출측과,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타단측(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배기관(227)과 연결한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관(161)이 하방 좌측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는 한편, 배기가스 출구관(162)이 우측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전방 좌측으로부터 후방 우측을 향하고, 엔진(5) 상방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하류측 중계관(225)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하류측 중계관(225)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배기관(227)을 엔진(5)의 출력축과 평행해지도록 하고,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52)가 엔진(5) 상면의 좌측을 덮는 한편, 배기관(227)이 디젤 엔진(5) 상면의 우측을 덮도록,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을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보다 우측에 인터쿨러(224)와 흡기 연락관(76)을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설치하고, 고온이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의한 하류측 중계관(225)에 대한 열적 영향을 방지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측과 접속하는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후방 우측에서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의 배기가스 도입구에 삽입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배기가스 배출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캐빈(7)의 하측에서 디젤 엔진(5)을 향해서 굴곡시킨 J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테일 파이프(229)에의 삽입 부분보다 상방 외주면에 우산 형상의 상면 커버체(228)를 구비한다. 이 상면 커버체(228)는 배기관(227)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도입구를 덮어서 테일 파이프(229) 내로의 진애나 우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테일 파이프(229)는 하방의 굴곡 부분이 기체 프레임(15) 상방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기체 프레임(15)내측에 설치한 배기가스 도입구를 상방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에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삽입된다. 즉, 테일 파이프(229)와 배기관(227)의 접속 부분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테일 파이프(229)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킨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차열판(230)으로 덮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미션 케이스(17)는 주변속 입력축(28) 등을 갖는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차축 케이스(19) 등을 갖는 후방 부변속 케이스(113)와,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의 후측에 후방 부변속 케이스(113)의 전측을 연결시키는 중간 케이스(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측면에 좌우의 상하 기체 연결축체(115, 116)를 통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즉, 2개의 상부 기체 연결축체(115)와 2개의 하부 기체 연결축체(116)로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양 측면에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시키고, 기체 프레임(15)과 미션 케이스(17)를 일체로 이어 설치하여 주행 기체(2)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또는 동력 전달축(29) 등을 배치하여,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등을 보호하도록 주행 기체(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7)의 전측을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부 지지대(96)와 캐빈(7)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방부 지지대(97)를 구비한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기외측면 중 전단부에 전방부 지지대(96)를 볼트 체결시키고, 전방부 지지대(96)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8)를 통해서 캐빈(7)의 전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좌우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 설치시키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 중 좌우폭 중간부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볼트 체결시키고, 후방부 지지대(97)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9)를 통해서 캐빈(7)의 후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해서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단면 끝면이 대략 사각통 형상인 후차축 케이스(19)를 사이에 두도록,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측에 후방부 지지대(97)를 배치하고, 후차축 케이스(19)의 하면측에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배치하고, 후방부 지지대(97)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볼트(102) 체결하고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로워 링크(23)의 중간부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에, 신축 조절 가능한 턴버클 장착 진동 방지구 로드체(103)의 양단부를 연결하여, 로워 링크(23)의 좌우 방향의 진동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보닛(6)을 포함하는 엔진룸 프레임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론트 그릴(231)을 형성하여 엔진룸 전방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 디젤 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보닛(6)은 전면 중앙 위치에 프론트 그릴(231)을 구비하고 있고, 보닛(6) 상측의 천장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그릴(231)은 중심 프레임체(231a)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방진망(231b)을 구비한다. 보닛(6)은 천장부의 후방 하측의 공간이 넓게 되어, 보닛(6) 내부의 엔진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수용하는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닛(6)은 좌우 측면부 각각의 전방에 개구 구멍(268)을 갖고 있고, 좌우 한 쌍의 개구 구멍(268)을 통해서 보닛(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냉각풍을 도입한다. 또한, 보닛(6)은 천장부 전방에도 좌우 한 쌍의 망 형상의 개구 구멍(270)을 형성하고 있고, 좌우 한 쌍의 개구 구멍(270)을 통해서 보닛(6)의 전측 상방으로부터도 냉각풍을 도입한다. 개구 구멍(268, 270)은 망 형상의 방진망으로 덮여져 있다.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은 그 전단측 내측면을 프레임 연결 부재(12)의 좌우 외측면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연결 부재(12)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주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가설한 엔진 프레임(14) 상에 디젤 엔진(5)을 지지시킨다. 엔진 프레임(14) 전단측 상방을 덮도록 프레임 밑판(233)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상부 가장자리 및 전방 범퍼(12) 상면에서 가설시키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부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밑판(233) 상에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59)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라디에이터(235)와 냉각팬(59)을 연통시키고 있다.
프레임 밑판(233)의 하면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전후로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233a, 233b)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밑판(233)을 전후 2분할시킨 전방 밑판(233x)과 후방 밑판(233y)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밑판(233x)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이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일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전방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 밑판(233x) 전측이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밑판(233y)은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 쌍의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후방과 연결함과 아울러,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지리측을 좌우 한 쌍의 연결 브래킷(233b)의 타단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밑판(233)은 그 좌우 중심 영역에 개구 구멍(233z)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구멍(233z)는 프레임 밑판(233)의 전방 밑판(233x)에 형성되어 있고, 망 형상의 방진 망으로 덮여져 있다. 즉, 보닛(6) 및 프레임 밑판(233)은 각각 엔진(5)의 냉각팬(59)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231b, 233a, 268, 270)를 갖고 있고,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 보닛(6) 및 프레임 밑판(233) 각각의 개구부(231b, 233a, 268, 270)로부터 냉각풍을 보닛(5) 내의 엔진룸에 도입한다. 냉각팬(59) 전방의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59)을 통과하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팬(59) 내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유속을 억제할 수 있어서,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밑판(233)에도 망 형상의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엔진룸 내로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5) 정지 후에는 진애를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연결 부재(12) 상방이 되는 위치에 프레임 밑판(233)의 개구부(233z)를 배치시킨다. 프레임 밑판(233)의 개구부(233z) 하방에 주행 기체(2)의 프레임 연결 부재(12)를 배치하기 때문에, 개구부(233z)를 통해서 엔진룸 내로 외기가 유입될 때,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진애나 진흙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14)을 금속 주물로 이루어진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고정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35)의 전면측에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테두리 프레임(226)을 프레임 밑판(233)의 후방 밑판(233y) 상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가교하는 프레임 연결 부재(12)의 상방 위치에,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테두리 프레임(226), 라디에이터(235) 및 팬 슈라우드(234)를 배치하고 있다. 테두리 프레임(226)은 후면을 라디에이터(235)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전면 및 좌우 측면이 메쉬 형상의 판재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테두리 프레임(226)내에는 상기 인터쿨러(224) 외에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 등이 설치된다. 테두리 프레임(226)의 전면의 상방 위치에는 에어클리너(221)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그릴(231)로부터 흡인된 냉각 공기가 프론트 그릴(231) 후방의 테두리 프레임(226)을 향해서 흐르기 때문에, 에어클리너(221)를 냉각함과 아울러, 테두리 프레임(226) 내의 인터쿨러나 오일 쿨러나 연료 쿨러를 냉각한다. 또한, 테두리 프레임(226) 후면에 설치하여 있는 라디에이터(235)로 전방으로부터의 냉각 공기가 도달함으로써, 디젤 엔진(5)으로 공급하는 냉각수에 대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킨다.
라디에이터(235)는 상방의 냉각수 배출구에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서모스탯 케이스(70)의 냉각수 도입구와 연통시키고 있고, 하방의 냉각수 도입구에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와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201) 및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 생략)으로 공급되어 엔진(5)을 냉각한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간다.
또한,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는 각각 온수 파이프(203, 204)와도 접속하고 있어,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온수)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로 순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 내를 온수가 순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364)로부터 캐빈(7) 내로 온풍이 공급되게 되어, 캐빈(7) 내의 온도를 오퍼레이터의 소망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은 스페이서(297)를 통해서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후단측과 연결되어 있고,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은 지지용 빔프레임(236)에 의해 바닥판(40)의 전방 하측이 연결되어 있다. 지지용 빔프레임(236)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은 스페이서(297)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과 동일면이 된다. 이 지지용 빔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되어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을 가설하고 있고, 그 상면에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지지 프레임(237)은 그 하단면을 지지용 빔프레임(236)의 상면과 볼트 체결됨으로써, 지지용 빔프레임(236)과 함께 디젤 엔진(5)의 플라이휠(61)을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
디젤 엔진(5)은 그 좌우 측면 하측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방진 고무(239)를 갖는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 중도부에 설치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과 연결하고 있다. 디젤 엔진(5)은 후면의 플라이휠 하우징(60) 상부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방진 고무(241)를 갖는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통해서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과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 외측에 연결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 상부에 방진 고무(239)를 하측으로 해서 기관 다리체(238)를 볼트 체결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기관 다리체(238)에 의해 디젤 엔진(5)을 엔진 프레임(14)으로 협지하여 디젤 엔진(5) 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디젤 엔진(5)의 후면을 지지용 빔프레임(236), 엔진 지지 프레임(237), 및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연결하여, 기체 프레임(15) 전단에 의해 디젤 엔진(5) 후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좌우의 전방부 방진 고무(239)와 좌우의 후방부 방진 고무(241)에 의하여, 디젤 엔진(5)이 주행 기체(2)에 지지되게 된다.
좌우 한 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서 기관 다리체(240)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보닛(6)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차폐판)(244)이 그 하부 가장자리를 기관 다리체(240) 상면으로부터 이간되도록 좌우 한 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프레임(248)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주행 기체(2)에 의해 안정 지지시킨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을 한 쌍의 빔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 부재가 일체로 되어 전체로서 견고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엔진(5) 상부에 탑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보닛(6) 후방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보닛(6)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상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디젤 엔진(5)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과 차열판(25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차열판(250) 하측의 엔진룸 내를 외기로부터 단열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판(250)에 추가해서, 보닛(6) 배면측에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배면으로부터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구비하고 있다. 보닛(6) 아래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차열판(250)과 함께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캐빈(7) 내가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과 차열판(250)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보닛(6) 아래의 엔진룸 내에 열기가 머무는 것이 어려워져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자체나 보닛(6) 등에 대한 열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닛(6) 하방에 있어서의 차열판(250)의 좌우 양측에 신축가능한 가스 스프링(보닛 댐퍼)(256, 25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한 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은 엔진룸 프레임체에 피봇 부착되어 있고,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타단(전단)은 보닛(6) 상부 내측면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256)의 돌출 작용에 의해, 보닛(6)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닛(6)의 전방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상단 위치를 축지지 점으로 해서 보닛(6)을 개방 동작시켜서 열면, 가스 스프링(256)에 의해 보닛(6)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 엔진(5)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보닛(6)은 단면 하향의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우 다리부를 정면에서 볼 때에 좌우 외측이 비스듬히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모따기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 특히 보닛(6)의 좌우로부터 전방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측 내벽면에 대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대치시키는 한편, 보닛(6)의 우측 내벽면에 대해서 흡기 연락관(76)을 대치시킨다. 또한, 배기 연락관(84)을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편, 흡기 연락관(76)을 우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기 매니폴드(56)로 신선공기를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갖은 흡기 연락관(76)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하여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즉, 흡기 연락관(76)은 상단측이 되는 신선공기 도입구를 하단측이 되는 신선공기 배출구에 대하여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근처로 오프셋 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을 따라서 흡기 연락관(76)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 사이에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흡기 연락관(76)보다 보닛(6)의 중심 위치 근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쿨러(224)의 신선공기 배출측과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짧게 설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컴팩트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로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배기 연락관(84)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연결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하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와 연결시킨 하단측의 연결 지지부(84a)에 대하여 상단측의 배기가스 배출구를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근처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하측(입구 플랜지체(161a)측)을 향해서 엔진(5)외측(보닛(6) 내벽측) 근처로 경사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을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 사이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중심 위치 근처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을 향해서 좌우폭이 좁아지는 보닛(6) 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무게 중심 부근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탑재에 따르는 엔진(5)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가 상기 엔진(5)에 장착되는 것에 의한 보닛(6) 형상에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서, 보닛(6)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53) 심선과 교차하는 끝면에 배치시킨 플라이휠(61)을 덮는 플라이휠 하우징(60)을 높이(H1)보다 폭(W1)을 좁힌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0)의 폭을 좁힌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대해서 플라이휠 하우징(60)을 간섭시키지 않고, 엔진(5)을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에 있어서, 기체 엔진 프레임(15)이 스페이서(293)를 통해서 엔진 프레임(14)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엔진 프레임(14) 사이의 폭에 대해서 좌우 기체 엔진 프레임(15) 사이의 폭이 넓어진다. 한편, 엔진(5)은 플라이휠 하우징(60)을 후방에 배치하고, 기체 프레임(15)과 연결하는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과 플라이휠(61)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엔진(5)에 있어서 좌우폭이 가장 넓은 플라이휠 하우징(60)을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충분히 배치할 수 있어, 진동계가 다른 주행 기체(2)에 플라이휠 하우징(6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0)은 원의 좌우를 노치함과 동시에 상부에 대좌 형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돌출시킨 외형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후방부의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주행 기체(2)와 연결시키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0)을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탑재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주행 기체(2)와 연결가능한 대좌 형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이휠 하우징(60)으로 주행 기체(2)와 연결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에 의한 강성을 보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한 쌍의 기체 프레임(15)을 가교하는 지지용 빔프레임(236) 상방에 문 형상의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설치하고, 플라이휠 하우징(60)과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전후로 나란히 배치시킨다. 그리고,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 방진 고무(239)를 통해서 기관 다리체(238)의 후방을 연결시키는 한편, 기관 다리체(238) 전방의 플라이휠 하우징(60) 상에 있어서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 상면에 연결시킨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좌측면을 덮는 다공상 차폐판(205)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매니폴드(57),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5)에 있어서의 고열원 부품을 차폐판(205)으로 덮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DPF(52)에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DPF(52)에 있어서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을 다공상으로 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다공상의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엔진(5)에 의해 가온된 공기의 일부를 차폐판(205) 및 엔진 커버(232)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어서, 비교적 고온이 되는 엔진(5)의 좌측면측에서의 열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연락관(84)의 배기가스 도입구측에(터보 과급기(81)의 터빈 케이스(82)와의 연결부측) 볼트 체결됨과 아울러,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을 통해서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연결되고,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은 인터쿨러(224)의 신선공기도입구와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를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과도 연결되어 있고, 상류측 중계관(223)도 엔진(5)의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는 엔진(5)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를 설치하고, 차열 부재(206) 하방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배치시키고 있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측면에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는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와 EGR 쿨러(80) 사이의 위치에서 엔진 커버(232)를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을 차열 부재(206)로 덮음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 등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용 스타터(69)에의 열적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도 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일팬(62)으로부터의 윤활유를 여과시키는 오일 필터(63)를 윤활유를 통과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오일 필터 지지 부재(지지 브래킷)(88)를 통해서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 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54) 내의 우측면 근처 부위에는 전측(냉각팬(59)측)에 오일 펌프(도시생략)를 배치하고 있고, 오일 펌프(도시 생략)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유로(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있다. 실린더 블록(54)에 설치된 상기 유로와의 연결구(오일 필터 부착 위치)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일측면(좌측면)을 연결시키고,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타측면(우측면) 상측에 오일 필터(63)를 부착한다.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에의 부착시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에 있어서의 본래의 부착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되게 되고, 좌우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엔진(5)을 탑재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주행 기체(2)에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즉, 도 15 및 도 1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의해 오일 필터(63)는 엔진 프레임(1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오일 필터(63)에 대하여 접근하기 쉬워져서, 용이하게 오일 필터(63)를 교환할 수 있다.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일측면(좌측면)에, 실린더 블록(54)에 설치된 연결구(오일 필터 부착 위치)와 연결시키는 엔진측 연결부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타측면(좌측면)에는 오일 필터(63)와 연결시키는 필터 연결부(88a)와, 윤활유를 외부 부품에 토출시키는 윤활유 토출구(88b)를 상하로 배치하고 있다.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는 그 내부에 유로(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오일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오일팬(62)으로부터 흡인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 내의 유로(도시 생략)로부터 수용하여 오일 필터(63)에 공급시킨다. 또한,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으로 환류시켜서, 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시킨다. 이 때,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의 일부를 윤활유 토출구(88b)로부터 윤활유 공급관(89)을 통해서 외부 부품에 공급시킨다. 오일 필터(63)로부터 외부 부품으로의 윤활유 유로의 일부를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 내의 유로로 구성시키기 때문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복수의 기능을 공용화시킬 수 있어서, 엔진 장치의 구성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터보 과급기(81)의 윤활유 도입구가 윤활유 공급관(89)을 통해서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윤활유 토출구(88b)에 연결되어 있다. 터보 과급기(81)는 플로팅 메탈식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윤활유 토출구(88b)와 연통시킨 윤활유 공급관(89)이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과 실린더 헤드(55)의 후면 및 좌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터보 과급기(81)에 설치한 상기 유로(플로팅 메탈식 베어링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에 접속된다.
도 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5)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출구측 하방에 서모스탯 케이스(70)를 배치하고 있고, 서모스탯 케이스(70) 하측에 냉각팬(59)과 실린더 헤드(55) 사이에 냉각수 펌프(71)를 배치한다. 냉각수 펌프(71) 상부의 서모스탯 케이스(70)의 냉각수 입구(냉각수 도입구)가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방을 향하고 있다. 주행 기체(2)에 대하여 냉각팬(59)을 상측에 배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냉각팬(59)과 냉각수 펌프(71)를 동축에 배치시킴으로써 엔진 부품을 컴팩트하게 합쳐서 배치할 수 있어서, 엔진(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와 같이, 엔진룸 형상이 한정되는 주행 차량에 있어서도 탑재 가능해진다.
서모스탯 케이스(70)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냉각수 입구는 엔진(5) 전방에 팬 슈라우드(234)를 통해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35) 상방의 냉각수 토출구(냉각수 배출구)와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연통하여 있다. 또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는 냉각수 펌프(71) 본체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35) 하방의 냉각수 도입구와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연통하여 있다. 라디에이터(235)와 접속시키는 냉각수 공급관(201) 및 냉각수 복귀관(202)을 엔진(5) 우측에 합쳐서 배치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냉각수에 대한 엔진(5)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8∼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364)에 온수(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 각각이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와 접속하고 있다. 온수 파이프(203, 204)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우측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캐빈(7) 내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된다. 즉,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의 우측에서 접속된 온수 파이프(203, 204)는 각각 상하로 겹쳐지도록 해서 합쳐서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 파이프(203, 204)는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181c)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 파이프(203, 204)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통해서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에 있어서의 중도 부품 연결부(181d)에 연결되고,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DPF(52)는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86, 187)를 구비하고 있다. 온도 센서(186,187)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형의 온도 센서이고,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 커넥터(190, 191)를 갖는다. 온도 센서(186, 187) 각각의 배선 커넥터(190, 191)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에 고정된다. 온수 파이프 브래킷(208)은 L자로 굴곡시킨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DPF(52)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좌측면(DPF(52)측)에 온수 파이프(203, 204)를 고정시키는 한편,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우측면(DPF(52)와 반대측)에 배선 커넥터(190, 191)를 고정시킨다. 엔진(5) 냉각 기여 후의 냉각수(온수)를 공기 조화기(364) 등의 외부 장치에 공급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를DPF(52)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장치에 공급하는 냉각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외측면에 세워서 설치시킴으로써 DPF(52)로부터의 배열에 대한 차열 효과가 얻어진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사이에 두고 DPF(52)의 반대측에 전기 부품인 배선 커넥터(190, 191)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서, 가열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 신호에 있어서의 노이즈 중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5,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PF(52)는 매연 필터(164)를 사이에 둔 상류측 및 하류측 간의 배기가스의 압력차를 차압 센서(192)로 검출하기 위해,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매연 필터(164)의 전후 위치에 센서 배관 (188, 189)을 연결시키고 있다. 차압 센서(192)에 의해 검출된 압력차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164)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을 환산하여 DPF(52) 내의 클로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5) 전방에 배치되어서 냉각팬(59)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에 차압 센서(192)를 부착하는 센서 브래킷(209)을 설치하고 있다.
센서 브래킷(209)은 팬 슈라우드(23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센서 배관 (188, 189)과 연결되어 있는 센서 보스체(175)보다 상측이고 DPF(52)의 우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192)는 센서 브래킷(209)상면에 고정되고 있고, 센서 배관(188, 189) 각각이 센서 브래킷(209) 하측에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브래킷(209)에 고정되는 차압 센서(192)는 DPF(5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DPF(52) 내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192)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센서(192)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가열에 의한 센서(192)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DPF(52)의 내부 환경을 정상으로 파악하여 엔진(5)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냉각팬(59)측에 설치하고 있고, DPF(52) 내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차압 센서(192)를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고정시키고 있다. DPF(52)를 엔진(5)의 출력축(53)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배기 출구측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192)를 배기 출구 근방이 되는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차압 센서(192)와 DPF(52) 사이에 설치하는 압력 측정용 배관(188, 189)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압 센서(192)에 의한 측정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9∼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PF(52) 외주면의 전방 우측에서 상향에 설치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227)이 연결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흐름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굴곡시켜서 DPF(52)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배출구가 하향이 되도록 배기가스 흐름 하류측에 있어서 하측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이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캐빈(7)에 고정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도입구에 삽입된다. 또한, 배기관(227)의 중도부 외주에는 고정용 연결 부재(210a)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관 고정 브래킷(210)을 통해서 고정용 연결 부재(210a)를 고정 브래킷(178)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연결함으로써 엔진(5)에 지지된다.
트랙터(1)는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과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5)에 고정시킨 배기관(제 1 배기관)(227)과, 배기관(227)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주행 기체(2)에 고정시킨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를 구비한다. 테일 파이프(229)의 내경을 배기관(227)의 외경보다도 굵게 해서, 배기관(227)의 배기 출구측을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삽입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 각각을 다른 진동계로 이루어지는 엔진(5)과 주행 기체(2) 및 캐빈(7)의 각각에 연결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배기관(227)을 삽입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에는 배기관(227)으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함께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U자형 형상으로 구성한 테일 파이프(229)를 조종 좌석(8)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229)는 고정 브래킷(229a)을 통해서 캐빈(7)의 캐빈 프레임(300)의 전방 하측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은 주행 기체에 설치된 전방부 지지대(96) 및 후방부 지지대(97)에 의해 캐빈 프레임(300) 하방의 네모서리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의 우측방 하측에 전원 공급하는 배터리(272)를 구비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229)의 하측에 배수용 드레인 구멍(229b)을 형성함과 아울러, 드레인 구멍(229b)의 하측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풍향판(229c)을 테일 파이프(229) 하측에 연결시키고 있다. 드레인 구멍(229b)을 풍향판(229c)으로 덮음으로써, 풍향판(229b)에 의한 덮개가 없는 전방(캐빈(7)으로부터 멀이지는 방향)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 구멍(229b)은 배터리(272)보다 내측(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풍향판(229)에 의해 드레인 구멍(229b)의 좌우 및 후방(전방 이외의 3방향)이 덮여져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229) 내의 고온이 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했을 때에, 테일 파이프(229) 근방에 설치된 하니스나 배터리(272) 등의 내열성 또는 내수성이 낮은 부품에 대한 열해나 물젖음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내를 엔진(5)의 출력축을 따라 흐르도록,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 및 배기가스 입구관(161) 각각을 전후로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다. DPF(52)의 전측에 배치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의 배기 입구를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후방을 향해서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엔진(5) 상방에서 DPF(52)와 병설시킴과 아울러,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고 있다.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룸을 덮는 보닛(6)에 대하여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에 공급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공조용 컴프레서(211)를 구비하고 있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엔진(5)의 출력축(53)의 전단측으로부터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통해서 동력 전달되고, 엔진(5)에 의해 구동된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엔진(5)의 전방 우측이고 냉각수 펌프(7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연료 공급 펌프(64) 전방에 접속되어 있는 연장 브래킷(64a)에 일단이 접속된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 상에 적재되어 있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그 상면에 공조용 컴프레서(211)를 고정 배치시킨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그 하측 일단을 연장 브래킷(64a)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그 상측 타단을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181a)에 있어서의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에 연결시켜서, 엔진(5)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엔진(5) 전방 좌측에는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인장하는 풀리(213)를 배치하고 있다. 컴프레서용 V벨트(72c)가 권취되는 풀리(213)는 서모스탯 케이스(71)에 연결되어서 엔진(5)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조정 브래킷(214)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위치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23∼도 31을 참조하면서, 상기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커먼레일식의 디젤 엔진(5)의 개략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출력축(53)을 따라서 양 측부(출력축(53)을 사이에 둔 양 측부)를 좌우, 냉각 팬(59) 배치측을 전측, 플라이휠(61) 배치측을 후측, 배기 매니폴드(57) 배치측을 좌측, 흡기 매니폴드(56) 배치측을 우측이라고 칭하고, 이들을 편의적으로 디젤 엔진(5)에 있어서의 사방 및 상하의 위치 관계의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23∼도 2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원동기로서의 디젤 엔진(5)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의해, 디젤 엔진(5)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이 제거됨과 아울러,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가 저감된다.
디젤 엔진(5)은 출력축(53)(크랭크축)과 피스톤(도시 생략)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54)을 구비한다. 실린더 블록(54) 상에 실린더 헤드(55)를 탑재하고 있다.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를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5)의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57)를 배치한다. 즉, 디젤 엔진(5)에 있어서 출력축(53)을 따라 양 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와 배기 매니폴드(57)를 나누어서 배치한다. 실린더 헤드(55)의 상면에 헤드 커버(58)를 배치한다. 디젤 엔진(5)에 있어서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일측면,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블록(54)의 전면에 냉각팬(59)을 설치한다. 출력축(53)의 전단측으로부터 냉각팬용 V벨트(72a)를 통해서 냉각팬(59)에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실린더 블록(54)의 후면에 플라이휠 하우징(60)을 설치한다. 플라이휠 하우징(60) 내에 플라이휠(61)을 배치한다. 출력축(53)의 후단측에 플라이휠(61)을 축지지한다. 작업 차량의 작동부로 출력축(53)을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 블록(54)의 하면에는 오일팬(62)을 배치한다. 오일팬(62) 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필터(63)를 통해서 디젤 엔진(5)의 각 윤활부로 공급된다. 또한, 오일 필터(63)는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통해서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 중 오일 필터(63)의 상방(흡기 매니폴드(56)의 하방)에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64)를 설치한다. 전자개폐 제어형의 연료 분사 밸브가 부착된 4기통분의 인젝터(65)를 디젤 엔진(5)에 설치한다. 각 인젝터(65)에 연료 공급 펌프(64) 및 원통 형상의 커먼레일(66) 및 연료 필터(67)를 통해서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연료 탱크(11)(도 1∼도 3 참조)를 접속한다.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이고, 커먼레일(66)과 오일 필터(63)에 의해 상하로 끼워져 있는 위치에 오일 쿨러(68)를 배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11)의 연료가 연료 필터(67)를 통해서 연료 공급 펌프(64)로부터 커먼레일(66)로 압송되어, 고압의 연료가 커먼레일(66)에 축적된다. 각 인젝터(65)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레일(66) 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65)로부터 디젤 엔진(5)의 각 기통으로 분사된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60)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의 피니언 기어는 플라이휠(61)의 링 기어에 맞물려 있다. 디젤 엔진(5)을 시동시킬 때에는 스타터(69)의 회전력으로 플라이휠(61)의 링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력축(53)이 회전 개시한다(소위 크랭킹이 실행된다).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냉각팬(59)측)에는 냉각수 윤활용의 냉각수 펌프(71)가 냉각팬(59)의 팬축과 동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71)는 엔진 출력축(53)의 회전에 의해 냉각팬(59)과 함께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차량에 탑재된 라디에이터(235)(도 4 및 도 13 참조)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상부에 설치된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으로 냉각수가 실린더 헤드(55) 및 실린더 블록(56)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 생략)으로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한다. 디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가진다. 또한, 위치 관계 상, 냉각수 펌프(71)는 냉각팬(59)에 대치하고 있어, 냉각팬(59)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냉각수 펌프(71)에 닿게 된다.
디젤 엔진(5)의 좌측, 구체적으로는 냉각수 펌프(71)의 좌측방에 디젤 엔진(5)의 동력으로 발전하는 발전기로서의 얼터네이터(73)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3)의 전단측으로부터 냉각팬용 V벨트(72a)를 통해서 냉각팬(59)과 냉각수 펌프(71)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출력축(53)의 전단측으로부터 얼터네이터용 V벨트(72b)를 통해서 얼터네이터(73)로 회전 동력을 전달한다.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라디에이터(235)(도 4 및 26 참조)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로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한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우 측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기관 다리 부착부(74)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마운트)(238)(도 1 및 도 2 참조)를 각각 볼트 체결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 한 쌍의 엔진 프레임(14)(도 1∼도 3 참조)에 실린더 블록(54)을 협지시키도록 실린더 블록(54)측의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 엔진 프레임(14)에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볼트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양 엔진 프레임(14)이 디젤 엔진(5) 전측을 지지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우측면 입구부에 신선공기(외부공기)가 공급되는 흡기 연락관(76)을 연결시키고 있고,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입구측(상류측)에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면 입구부에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공급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56)는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출구측(하류측) 및 EGR 밸브 부재(79)와의 연결 부분(후방 부분)을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의 본체 케이스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이 EGR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주로 디젤 엔진(5)의 우측,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와 신선공기를 혼합시켜서 흡기 매니폴드(56)에 공급한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흡기 매니폴드(56)의 일부로 구성한 EGR 본체 케이스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통하는 흡기 연락관(76)과, 흡기 연락관(76)에 설치한 흡기 스로틀 부재(77)와, 배기 매니폴드(57)에 EGR 쿨러(80)를 통해서 접속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과, 재순환 배기가스관(78)에 흡기 매니폴드(56)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79)를 구비하고 있다.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흡기 연락관(76)을 통해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출구측도 접속하고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입구측은 EGR 쿨러(80)를 통해서 배기 매니폴드(57)에 접속하고 있다. EGR 밸브 부재(79) 내에 있는 EGR 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으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흡기 연락관(76) 및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으로 신선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으로 EGR 가스를 공급한다. 외부로부터의 신선공기와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EGR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서 혼합된다. 디젤 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7)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디젤 엔진(5)으로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하여, 디젤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한다.
실린더 헤드(5)의 좌측방이고 배기 매니폴드(57)의 상방에는 터보 과급기(81)를 배치하고 있다. 터보 과급기(81)는 터빈휠 내장 터빈 케이스(82)와, 블로어휠 내장 컴프레서 케이스(83)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매니폴드(57)의 출구부에 터빈 케이스(81)의 배기 도입측을 연결한다. 터빈 케이스(81)의 배기 배출측은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도입측과 연결되어 있다. 즉, 디젤 엔진(5)의 각 기통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7)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등을 경유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도입측은 급기관(222)(도 4 및 도 13 참조)을 통해서 에어클리너(221)(도 4 및 도 13 참조)의 흡기 배출측에 접속된다.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배출측은 상류측 중계관(223)(도 4 및 도 13 참조)을 통해서 인터쿨러(224)(도 4 및 도 13 참조)의 흡기 도입측에 접속된다. 또한, 인터쿨러(224)(도 4 및 도 15 참조)의 흡기 배출측은 하류측 중계관(225)(도 4 및 도 15 참조)을 통해서 흡기 스로틀 부재(77)에 접속하고 있다. 즉, 에어클리너(221)에 의해 제진된 신선공기(외부공기)는 컴프레서 케이스(83)로부터 인터쿨러(224)를 통해서 EGR 장치(75)로 보내진 후, 디젤 엔진(5)의 각 기통으로 공급된다.
디젤 엔진(5)의 상면측 중 배기 매니폴드(57) 및 터보 과급기(81)의 상방, 즉 실린더 헤드(55)의 좌측방이고 배기 매니폴드(57) 및 터보 과급기(81)의 상방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길이 방향을 디젤 엔진(5)의 출력축(53)과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자세를 설정하고 있다.
다음에, 종전의 도면과 도 30∼도 37을 참조하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DPF(52)는 배기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 등을 포집하기 위한 것이다. 디젤 엔진(5)의 출력축(크랭크축)(53)과 평행하게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DPF(52)를 구성하고 있다. 디젤 엔진(5)의 실린더 헤드(55) 상방에 DPF(52)를 배치한다. DPF(52)의 양측(배기가스 이동 방향 일단측과 동 타단측)에는 배기가스 입구관(161)(배기가스 도입측)과 배기가스 출구관(162)(배기가스 배출측)을 디젤 엔진(5)의 전후로 나누어 설치한다.
DPF(52)는, 예를 들면 백금 등의 디젤 산화 촉매(163)와 허니콤 구조의 매연 필터(164)를 직렬로 나란하게 내부에 수용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디젤 산화 촉매(163)의 산화 작용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질소(NO2)가 매연 필터(164) 내로 도입된다.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은 매연 필터(164)에 포집되고, 이산화질소(NO2)에 의해 연속적으로 산화 제거된다. 따라서,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 중의 입상 물질(PM)의 제거에 추가해서, 엔진(1)의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이나 탄화수소(HC)의 함유량이 저감된다. 디젤 산화 촉매(163) 및 매연 필터(164)는 정화 하우징(38)에 수용되는 가스 정화 필터에 상당하는 것이다.
DPF(52)는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외주면에 구비한 상류측 케이스(제 1 케이스)(165)와, 배기 입구측 케이스(165)와 연결하는 중간 케이스(제 2 케이스)(166)와, 배기 출구관(162)이 외주면으로부터 삽입되는 하류측 케이스(제 3 케이스)(167)를 구비한다. 상류측 케이스(165)와 중간 케이스(166)를 직렬로 나란히 연결하여, 내열 금속 재료제의 가스 정화 하우징(168)을 구성하고 있다. 이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원통의 내측 케이스(도시 생략)를 통해서 디젤 산화 촉매(163)와 매연 필터(164)를 수용하고 있다. 또한, 하류측 케이스(168)는 다수의 소음 구멍이 개설된 내측 케이스(도시생략)를 내장함과 아울러, 내측 케이스와의 사이에 세라믹 화이버제 소음재가 충전됨으로써 소음기를 구성하고 있다.
상류측 케이스(165)는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방의 단부를 상류측 덮개체(169)로 덮음과 아울러,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방의 단부를 개구시키고 있어,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을 개구시킨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 케이스(166)는 양단을 개구시킨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류측 케이스(167)는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이 되는 일방의 단부를 개구시킴과 아울러,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이 되는 타방의 단부를 하류측 덮개체(174)로 덮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을 개구시킨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하류측 케이스(167)의 외주면에 설치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는 배기관(227)(도 4 및 도 21 참조)을 통해서 테일 파이프(229)(도 4 및 도 21 참조)를 연결하고, 배기가스 출구관(162)으로부터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를 통해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류측 케이스(165)와 중간 케이스(166)의 연결 부분은 한 쌍의 후판 형상의 협지 플랜지(170, 171)로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연결되어 있다. 즉, 상류측 케이스(165)의 하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한 접합 플랜지와, 중간 케이스(166)의 상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한 접합 플랜지를 협지 플랜지(170, 171)로 협지시켜서, 상류측 케이스(165)의 하류측과 중간 케이스(166)의 상류측을 연결하여 가스 정화 하우징(168)을 구성한다. 이 때, 중앙 협지 플랜지(170, 171)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상류측 케이스(165)와 중간 케이스(166)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중간 케이스(166)와 하류측 케이스(167)의 연결 부분은 한 쌍의 후판 형상의 협지 플랜지(172, 173)로 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서 연결되어 있다. 즉, 중간 케이스(166)의 하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한 접합 플랜지와 하류측 케이스(167)의 상류측 개구 가장자리에 설치한 접합 플랜지를 협지 플랜지(172, 173)에 의해 협지시켜서, 중간 케이스(166)의 하류측과 하류측 케이스(167)의 상류측을 연결하여 가스 정화 하우징(168)을 구성한다. 이 때, 출구측 협지 플랜지(172, 173)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중간 케이스(166)와 하류측 케이스(167)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류측 케이스(165)의 배기 도입측(배기 입구측)의 외주부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설치하고 있고,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배기 도입측은 배기 중계로로서의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배출측과 연통하고 있다. 배기 연락관(84)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배기 도입측을 전방에 구비해서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배출측과 연결하는 한편, 배기 배출측을 상방에 구비해서 DPF(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과 연결한다. 또한, 배기 연락관(84)은 외주면측으로부터 하측에 연장 설치시킨 연결 지지부(84a)를 구비하고 있고, 연결 지지부(84a)의 하단이 배기 매니폴드(57)의 좌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은 배기 매니폴드(57) 및 터빈 과급기(81) 각각과 볼트 체결됨으로써 디젤 엔진(5)에 고정된다.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외주면에는 온도 센서(186, 187)(도 21 및 도 22 참조) 및 센서 배관(188, 189)(도 15 참조)과 연결시키는 센서 보스체(17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측 케이스(165)에 산화 촉매(163)와 매연 필터(164)의 상류측 부분이 수용되는 한편, 중간 케이스(165)에 매연 필터(164)의 하류측 부분이 수용되어 있다. 상류측 케이스(165)의 외주면에 있어서, 산화 촉매(163)보다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 상류측 온도 센서(186)와 연결하는 센서 보스체(175)를 설치하고 있고, 산화 촉매(163)와 매연 필터(164) 사이가 되는 위치에, 하류측 온도 센서(187) 및 상류측 센서 배관(188)과 연결하는 센서 보스체(17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중간 케이스(166)의 외주면에 있어서, 매연 필터(164)보다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이 되는 위치에, 하류측 센서 배관(189)과 연결하는 센서 보스체(175)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 30∼도 37을 참조하면서, 디젤 엔진(5)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장착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디젤 엔진(5)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가스 정화 하우징(168))를 지지 고정하는 하우징 지지체로서의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디젤 엔진(5)의 출력축(5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디젤 엔진(5)의 실린더 헤드(55)에 직접 또는 흡기 매니폴드(56)나 배기 매니폴드(57)를 통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에 있어서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전면측 및 후면측으로 나누어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실린더 헤드(55)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배기 도입측을 지지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배기 배출측을 지지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실린더 헤드(55)의 후면측(플라이휠 하우징(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고정 브래킷(제 1 브래킷)(178)의 하단측을 실린더 헤드(5)의 후면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측에는 중계 브래킷(179)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중계 브래킷(제 2 브래킷)(179)의 중도부에는 연장 브래킷(제 3 브래킷)(180)의 기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연장 브래킷(180)의 선단측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 덮개체(상류측 덮개체)(169)에 체결되어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냉각팬(59)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출구측 제 1 브래킷(제 4 브래킷)(181)과 출구측 제 2 브래킷(제 5 브래킷)(182)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은 실린더 헤드(55) 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좌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은 실린더 헤드(55) 좌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킴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에서 대략 문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서모스탯 케이스(70)의 후방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55) 상방을 걸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하단면(기단측)을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면측에 볼트 체결하고,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상단 좌측면(선단측)을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 우측면(선단측)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하단측 우측면(기단측)을 실린더 헤드(55)의 좌측면 전방부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선단측)에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상단 곡면(U형 수압면)(182a)을 형성하고 있고,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있어서의 협지 플랜지(출구협지 플랜지)(172)의 하부측에 형성한 브래킷 체결부(172a)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듯이,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디젤 엔진(4)의 상방에 있어서 하우징 지지체인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을 통해서 엔진(1)의 실린더 헤드(55), 흡기 매니폴드(56) 및 배기 매니폴드(5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배기 도입측)에 있는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배기 연락관(84)을 실린더 헤드(55)와 배기 매니폴드(57)로 나누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 (배기 배출측)에 있는 출구측 브래킷체(177)(출구측 제 1 브래킷(181)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을 실린더 헤드(55)와 흡기 매니폴드(56)로 나눔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4점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5)의 구성 부품의 하나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고강성으로 지지할 수 있어서, 진동 등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실시형태에서는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하단측을 실린더 헤드(55)에 체결하고 있기 때문에, 엔진(5)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부착 기준 위치를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처리 장치인 머플러 등에 비해서 중량이 무거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이어도 소정의 위치에 적정하게 탑재할 수 있다.
도 32,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178)은 DPF(52)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디젤 엔진(5)의 출력축(53))과 교차하는 방향이 폭이 넓은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고, 재순환 배기가스관(78)보다 하측 부분이 실린더 헤드(55)와 볼트 체결되어 있다. 즉, EGR 쿨러(80)와 접속하고 있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은 고정 브래킷(178) 후방을 우회하여 흡기 스로틀 부재(77)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고정 브래킷(178)은 재순환 배기가스관(78)보다 상방 부분에 볼트 구멍을 구비한 전방 부품 연결부(제 1 부품 연결부)(178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매달림 금구 연결부(178a)에 매달림 금구(86)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또한, 고정 브래킷(178)은 상단 부분의 상면에 볼트 구멍을 갖은 브래킷 연결부(178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브래킷 연결부(178b)에 중계 브래킷(179)이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또한, 고정 브래킷(178)은 상단 부분의 우측면에 볼트 구멍을 갖은 측방 부품 연결부(제 2 부품 연결부)(178c)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측방 부품 연결부(178c)에, 예를 들면 배기관(227)(도 20 및 도 21 참조)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배기관 고정 브래킷)(210)(도 20 및 도 21 참조)이 볼트 체결된다.
도 32,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계 브래킷(179)은 하단부분의 저면을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 부분 상면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접촉시켜서 고정 브래킷(178)에 볼트 체결된다. 중계 브래킷(179)은 고정 브래킷(178)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고정되는 하단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기체 플레이트(179a)에 상기 플레이트(179a)에 대하여 후방에 세워서 설치시킨 연결용 플레이트(179b)를 용접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중계 브래킷(179)의 상기 연결용 플레이트(179b)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전후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을 개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을 우측 방향으로부터 느슨하게 끼운 상태로 관통시킨 부착 볼트를 연장 브래킷(180)의 우측면에 나사 결합시켜서, 중계 브래킷(179)을 연장 브래킷(180)에 연결 고정시킨다. 연장 브래킷(180)은 중계 브래킷(179)과의 연결 부분을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상류측 덮개체(169)와의 고착 부분으로부터 후방에 세워서 설치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중계 브래킷(179)의 전후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 내에서 부착 볼트가 전후 이동하는 치수만큼 고정 브래킷(178)에 고정되는 중계 브래킷(179)에 대하여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고정되는 연장 브래킷(180)의 전후 방향의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 브래킷(179)의 전후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에서 부착 볼트를 위치 조정함으로써 실린더 헤드(55)에 고정된 고정 브래킷(178)에 대하여 DPF(52)의 전후 방향(배기가스 이동 방향)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 입구관(161)과 연통시키는 배기 연락관(84)의 연결 지지부(84a)의 하단측을 배기 매니폴드(57)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즉, 배기 연통관(84)은 입구측 브래킷체(176)와 함께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을 지지하는 하우징 지지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DPF(52)의 배기가스 입구측은 실린더 헤드(55) 후면 및 입구측 덮개체(169) 각각과 연결한 입구측 브래킷체(176)와, 배기 매니폴드(57) 좌측면 및 배기가스 입구관(161) 각각과 연결한 배기 연락관(84)에 의해 고강성으로 지지된다.
또한, 도 30, 도 32, 도 34, 및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에 매립 볼트(85)를 설치한다.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입구 플랜지체(161a)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전후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매립 볼트(85)를 하방으로부터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입구 플랜지체(161a)를 느슨하게 끼운 상태로 관통시키고, 매립 볼트(85)의 상단측에 너트(85a)를 나사 결합시키고, 하우징 지지체(85)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착탈 가능하게 체결한다. 입구 플랜지체(161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으로 긴 볼트 구멍 내에서 매립 볼트(85)가 전후 이동하는 치수만큼 배기 연락관(84)에 대하여 DPF(52)의 전후 방향의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중계 브래킷(179) 및 입구 플랜지체(161a) 각각의 전후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에 대하여, 매립 볼트(85)와 부착 볼트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배기 연락관(84)과 입구측 브래킷체(176)에 대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 후방부의 전후 방향의 부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디젤 엔진(5)에 대하여 DPF(52) 장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디젤 엔진(5)에 고정시키는 DPF(52)의 장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연락관(84)과 입구측 브래킷체(176)와 출구측 브래킷체(177)의 연결 위치 오차 등에 의해,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변형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디젤 엔진(5) 상부의 진동하기 쉬운 위치에 DPF(52)를 설치하는 구조이어도 DPF(52) 기계 진동 등을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다.
배기 연락관(84)은 배기 매니폴드(57)에 체결시킨 연결 지지부(84a)에 대하여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킨 배기가스 배출측(배기 출구측)을 연직 방향(상하 방향)에 대하여 우측(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을 배면에서 보았을 때, 배기 연락관(84)은 연결 지지부(84a)에 의한 배기 매니폴드(57)와의 연결 부분의 바로 위로부터 우측에 상향 부착면(84b)을 위치시키고 있다. 그리고, 배기 연락관(84)은 상향 부착면(84b)을 우측 가장자리를 하측이 되도록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시킨 면으로 하고 있고, 매립 볼트(85)의 상단을 우측으로 경사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입구 플랜지체(161a)를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에 부착할 때, 배기 연락관(84)에 대하여 DPF(52)를 우측 상방으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하강시킨다.
이 때, 고정 브래킷(178)에 나사 결합시키는 부착 볼트를 중계 브래킷(179)에 느슨하게 끼움으로써 경사진 배기 연락관(84)의 매립 볼트(85)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입구 플랜지체의 볼트 구멍을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도 3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브래킷(178) 상면에 있어서의 브래킷 연결부(178b)의 폭(Dx)을 중계 브래킷(179)의 하단의 폭(Dy)보다 넓게 하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DPF(52)를 비스듬한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디젤 엔진(5)에 적재시킬 때, 고정 브래킷(178) 상면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의해 확실하게 중계 브래킷(179) 하단 전면을 수용할 수 있다.
도 33, 도 35, 및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181a)에는 흡기 매니폴드(56) 상면에 형성한 볼트 구멍에 나사 결합시키는 부착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해서, 상하로 관통한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181a)에는, 예를 들면 공조용 컴프레서(211)(도 16 및 도 22 참조)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도 16 및 도 22 참조)을 고정시키는 기단측 부품 연결부(제 3 부품 연결부)(181b)를 구비하고 있다.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에는 상기 부착 볼트를 삽입시키는 관통 구멍의 일부와, 부품 고정용 브래킷(212)을 체결시키는 부착 볼트를 나사 결합시키는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즉, 부품 고정용 브래킷(212)은 부착 볼트에 의해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에 체결됨과 동시에,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의 관통 구멍을 통해서 나사 결합하는 부착 볼트에 의해 출구측 제 1 브래킷(181)과 함께 흡기 매니폴드(56)에 체결된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181c) 상면에는, 예를 들면 공조용 온수 파이프(203, 204)(도 18, 도 21, 및 도 22 참조)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도 18, 도 21, 및 도 22 참조)을 고정시키는 중도 부품 연결부(제 4 부품 연결부)(181d)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에 평탄한 단차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단차 상면에 부품 고정용 브래킷(208)을 체결하는 부착 볼트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 구멍을 가진 중도 부품 연결부(181d)를 구비한다.
도 33, 도 35, 및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기단부(182b)에는 흡기 매니폴드(56) 좌측면에 형성한 볼트 구멍에 나사 결합시키는 부착 볼트를 삽입시키기 위해, 좌우로 관통시킨 복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굴곡부(중도부)(182c)에는 후면측에 볼트 구멍을 구비한 후방 부품 연결부(제 5 부품 연결부)(182d)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매달림 금구(87)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체결된다. 또한, 작업 차량에 디젤 엔진(5)을 탑재시킨 후, 매달림 금구(87)를 분리함으로써,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예를 들면 후술하는 상류측 중계관(223)이나 차폐판(205)(도 6 및 도 13 참조)을 지지시키기 위한 부품 고정구(차폐판 고정 브래킷)(207)(도 13 및 도 22 참조)가 볼트 체결된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은 굴곡부(182c)로부터 우측 선단을 향하는 상단 부분에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외형에 대응시킨 상단 곡면(U형 수압면)(182a)을 갖고 있다.
도 3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 중앙부에는 록킹축체(볼록체)로서의 매립 볼트(183)를 설치하고 있다. 매립 볼트(183)는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 중앙부의 전면으로부터 전방향으로 돌출시킨다.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있어서의 출구 협지 플랜지(172)의 브래킷 체결부(172a)에는 록킹축체(오목체)로서 하향 개구 형상의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형성하고 있다. 즉, 출구 협지 플랜지(172)의 브래킷 체결부(172a)에 형성되는 매립 볼트(183) 삽입용 볼트 구멍을 상향 개방 형상으로 잘라내어 볼트 삽입용 노치(228)를 형성하고 있다.
출구 협지 플랜지(172)에 있어서의 브래킷 체결부(172a)의 볼트 삽입용 노치(184)에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매립 볼트(183)를 록킹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배기 배출측)을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에 탑재하고,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매립 볼트(183)에 결합시킴으로써,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배기 배출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매립 볼트(183)와 볼트 삽입용 노치(184)의 결합에 의해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배기 배출측은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즉,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연장 브래킷(180)을 통해서 부착한 중계 브래킷(179)을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측에 탑재함과 아울러,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배기 도입측을 배기 연락관(84)의 상단측(배기 배출측)에 탑재한 후에, 가스 정화 하우징(168)측의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측의 매립 볼트(183)에 결합시킴으로써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 상에 가스 정화 하우징(168)을 가고정한다.
이 때문에, 디젤 엔진(5)에 대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탑재 위치를 간단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어서, 장착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가고정 상태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로부터 양손을 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기가스 처리 장치(52)의 전 중량을 지탱하면서 볼트 체결 등의 장착 작업이나 분리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져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탑재 하강 작업시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조립 분해 작업시의 수고를 대폭 경감할 수 있다.
그 후,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매립 볼트(183)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매립 볼트(183)에 록킹 너트(185)를 비틀어 박아서(더 조여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에 있어서의 출구 협지 플랜지(172)의 브래킷 체결부(172a)를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상단측 중앙부에 연결한다. 또한,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가스 정화 하우징(168)측에 매립 볼트(183)를 설치하고,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측에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형성해도 좋다.
출구측 브래킷체(177) 또는 가스 정화 하우징(168) 중 어느 일방에 록킹체로서의 볼록체(매립 볼트(183)) 또는 오목체(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설치함과 아울러, 출구측 브래킷체(177) 또는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타방에 상기 록킹체로서의 오목체(볼트 삽입용 노치(184)) 또는 볼록체(매립 볼트(183))를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매립 볼트(183)(볼록체)와 볼트 삽입용 노치(184)(오목체)의 결합에 의해,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장착 위치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DPF(52)의 전 중량을 지탱하면서 볼트 체결 등의 장착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서, DPF(52)로부터 작업자가 양손을 떼고 장착 작업할 수 있어 DPF(52)의 조립 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용 노치(184)의 개구 방향은 DPF(5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의 입구 플랜지체(161a)를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에 적재시키는 방향으로 잘라내어 있다. 즉, 볼트 삽입용 노치(184)는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에 설치한 매립 볼트(85)의 경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에 DPF(52)를 고정 지지시킬 때,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있어서의 입구 플랜지체(161a)의 위치 조절용 볼트 구멍을 매립 볼트(85)에 삽입시키면서,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매립 볼트(183)에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DPF(52)의 조립 분해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트 삽입용 노치(184)를 매립 볼트(183)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DPF(52)를 가고정 지지시켰을 때,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과 고정 브래킷(178)의 브래킷 연결부(178b)와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U형 수압면(182a)의 각각에 배기가스 입구관(61)과 중계 브래킷(179)과 가스 정화 하우징(168) 외주면의 각각이 적재된다. 따라서, 가고정 상태의 DPF(52)는 배기 연락관(84), 고정 브래킷(178)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의해 안정하게 가고정 지지되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DPF(52)로부터 작업자가 양손을 뗄 수 있다.
또한, DPF(52)의 배기가스 입구측에 있어서, 배기 연락관(84)의 상향 부착면(84b)과 중계 브래킷(179)의 연결용 플레이트(179b)로 V형 수압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DPF(52)의 배기가스 출구측은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U형 수압면(182a) 위에 적재된다. 따라서,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에 DPF(52)를 가고정 지지했을 때, DPF(52)의 배기가스 입구측 및 배기가스 출구측 각각이 V형 수압면과 U형 중압면에 의해, 엔진(5)의 출력축(5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DPF(52)가 전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8∼도 3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입구측 브래킷체(176)와 출구측 브래킷체(177)에 매달림 와이어 등을 걸기 위한 매달림 금구(86, 87)를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작업 차량에 디젤 엔진(5)을 장착/탈착할 경우, 매달림 금구(86, 87) 각각의 매달용 관통구멍에 삽입시킨 매달림 와이어를 체인 블록의 후크 등에 록킹하고, 디젤 엔진(5)을 리프팅하여, 디젤 엔진(5)의 착탈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매달림 금구(86)는 디젤 엔진(5)의 우측 후방에 위치하는 입구측 브래킷체(176)의 고정 브래킷(178)에 연결되어 있는 한편, 매달림 금구(87)는 디젤 엔진(5)의 좌측 전방에 위치하는 출구측 브래킷체(177)의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연결되어 있다. 즉, 매달림 금구(86, 87)를 디젤 엔진(5)에 대하여 대각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디젤 엔진(5)을 안정한 자세로 체인 블록 등에 의해 매달 수 있다. 또한, 매달림 금구(86, 87)를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 차량에 디젤 엔진(5)을 탑재했을 때에 매달림 금구(86, 87)를 분리할 수 있어서, 작업 차량의 엔진룸 내에 있어서의 디젤 엔진(5)의 수납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1, 도 13, 도 14 및 도 38을 참조하면서, 차폐판(205)의 구성예 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폐판(205)은,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좌측면에 있어서 EGR 쿨러(80) 상방으로부터 DPF(52) 하측까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DPF(52)의 일부, 배기 매니폴드(57),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덮는다. 이것에 의해 엔진(5) 전방의 냉각팬(59)에 의해 유도되는 냉각 공기가 차폐판(205)으로 덮여진 고열원 부품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하여, DPF(52)로 유도되게 된다. 즉, 엔진(5)의 배열에 의해 가열된 냉각 공기를 차폐판(205)에 의해 DPF(52)로 유도함으로써 DPF(52)를 고온 환경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DPF(52)에 있어서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폐판(205)은 복수의 펀치 구멍(205a)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시킨 다공판으로 구성한다. 또한, 펀치 구멍(205a)은 상하 좌우 각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펀치 구멍(205a)을 통해서 엔진(5)에 의해 가온된 냉각 공기의 일부를 차폐판(205) 및 엔진 커버(232)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5) 측면과 차폐판(205)에 의한 공간의 흐름 저항을 저감함으로써 상기 공간에서의 난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다공판 형상의 차폐판(205)에 의해서, 가열된 냉각 공기의 일부를 엔진룸 외측으로 배출함으로써 DPF(52)의 재생 처리에 적온으로 하는 양만큼 엔진(5)의 배열에 의해 가열된 냉각 공기를 유도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엔진(5) 측부에서의 이상 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의 다른 구성예에 대해서 도 39를 참조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9(a)의 구성예에서는 차폐판(205)에 형성한 펀치 구멍(205a)의 배치 밀도를 차폐판(205)의 상하에서 변경시키고 있다. 도 3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폐판(205)에 있어서, DPF(52)측의 개구율을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의 개구율보다 높아지도록 펀치 구멍(205a)을 설치하고 있다. 즉, 차폐판(205)은 DPF(52)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펀치 구멍(205a)의 피치(간격)를 짧게 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펀치 구멍(205a)의 피치(간격)를 길게 한다.
도 39(a)의 구성예와 같이, 펀치 구멍(205a)으로 다공상의 차폐판(205)을 구성함으로써, 차폐판(205)의 개구 면적을 조정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개구 영역을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에 있어서, DPF(52)측의 개구 면적을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에 비해서 크게 함으로써 상승해 온 배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DPF(52)로 유도시킴과 동시에, DPF(52)측의 개구 영역에서 엔진(5)의 냉각 공기의 일부를 배기하기 쉬워져서, 차폐판(205)과 엔진(5) 사이에서의 열체류도 억제할 수 있다.
도 39(b)의 구성예에서는, 차폐판(205)을 긴 구멍(205b)을 나란히 배치시킨 다공판으로 구성한다. 도 3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폐판(205)의 긴 구멍(205b)은 종 방향으로 개구시킨 구멍이고,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차폐판(205)을 긴 구멍(205b)에 의한 다공판으로 구성함으로써, 긴 구멍(205b)에 의한 개구 부분에 있어서의 흐름 저항을 균일화하기 쉬워서 차폐판(205) 내측에서의 난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 등으로부터의 배열의 체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39(b)의 구성예에 의한 차폐판(205)에 있어서, DPF(52)측의 개구율을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의 개구율보다 높아지도록 긴 구멍(205b)을 형성하고 있다. 즉, 차폐판(205)은 DPF(52)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긴 구멍(205b)의 피치(간격)를 짧게 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긴 구멍(205b)의 피치(간격)를 길게 한다. 또한, 차폐판(205)은 DPF(52)측에 있어서 1개의 긴 구멍(205b)의 개구 면적을 크게 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에 있어서 1개의 긴 구멍(205b)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한다.
또한, 차폐판(205)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38 및 도 39에 나타내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좌우 방향으로 개구시킨 긴 구멍을 복수 설치한 다공판에 의해 차폐판(205)을 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도 38 및 도 39(a)에 있어서의 펀치 구멍(205a)이나, 도 39(b)에 있어서의 긴 구멍(205b)에 대해서, 예를 들면 도 4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 부분의 일부를 돌기시켜서 각 구멍(205a, 205b)의 전측 부분을 덮음으로써, 각 구멍(205a, 205b)의 후방 좌측을 개구시키도록 해서, 엔진(5) 측방에서 가열된 냉각 공기를 구멍(205a, 205b)의 후방 좌측으로 배기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1의 구성예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냉각하는 EGR 쿨러(80)를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 설치하여 있고, EGR 쿨러(80) 외측을 차폐판(205) 하방에 배치한 금속판의 차열판(205c)으로 덮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EGR 쿨러(80) 외측(좌측방)을 차폐판(205) 하방에서 고정한 차열판(205c)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5) 전방으로부터의 냉각 공기를 EGR 쿨러(205)까지 유도시키는 한편, EGR 쿨러(80) 측방에서 가열된 냉각 공기를 상방의 DPF(52)를 향해서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룸 내의 히트 밸런스를 최적화할 수 있어서, 엔진(5)에 의한 배열을 DPF(52)에서 효율적으로 활용시키는 한편, 엔진(5) 주변에서의 열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1: 트랙터 2: 주행 기체
5: 디젤 엔진 6: 보닛
7: 캐빈 14: 엔진 프레임
15: 기체 프레임 52: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54: 실린더 블록 55: 실린더 헤드
56: 흡기 매니폴드 57: 배기 매니폴드
59: 냉각팬 60: 플라이휠 하우징
60a: 기관 다리 부착부 63: 오일 필터
70: 서모스탯 케이스 71: 냉각수 펌프
76: 흡기 연락관 84: 배기 연락관
84a: 연결 지지부 88: 오일 필터 지지 부재
89: 윤활유 공급관 176: 입구측 브래킷체
177: 출구측 브래킷체 178: 고정 브래킷
179: 중계 브래킷 180: 연장 브래킷
181: 출구측 제 1 브래킷 182: 출구측 제 2 브래킷
205: 차폐판 205a: 펀치 구멍
205b: 긴 구멍 205c: 차열판

Claims (11)

  1.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52)와, 상기 엔진 공냉용의 냉각팬(59)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5)의 전면측에 상기 냉각팬(59)을 배치하고, 상기 냉각팬(59), 상기 엔진(5) 및 상기 후처리 장치(52)를 보닛(6)으로 덮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닛(6)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52)는 상기 엔진(5)의 일측방에 설치한 배기 매니폴드(57)와 연결되고, 상기 후처리 장치(52)의 하방에 있어서 상기 엔진(5)의 일측방과 상기 배기 매니폴드(57)를 덮는 차폐판(20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는 상기 엔진(5)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차열 부재 하방에 시동기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05)은 복수의 구멍(205a, 205b)을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시켜서 구성한 다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05)은 긴 구멍(205b)을 나란히 배치시켜서 구성한 다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205)은 상기 후처리 장치(52)측의 개구 면적을 상기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측에 비해서 크게 한 다공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 상기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를 냉각하는 EGR 쿨러(80)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EGR 쿨러(80) 외측을 상기 차폐판(205) 하방에 배치한 금속판으로 덮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59)에 의해 유도되는 냉각 공기를 통과시켜서 냉각용 매체와 열교환 시키는 라디에이터(235) 또는 인터쿨러(224)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2) 전방의 상면을 밑판(233)으로 덮고 있고,
    상기 보닛(6) 및 상기 밑판(233)은 각각 상기 냉각팬(59)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를 갖고 있고, 상기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보닛(6) 및 상기 밑판(233) 각각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냉각풍을 상기 보닛(6) 내로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수냉용의 라디에이터(235)와, 상기 냉각팬(59)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5)의 상부측에 상기 후처리 장치(52)를 탑재하고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상기 후처리 장치(52) 내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차압 센서(192)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된 엔진(5)과, 상기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52)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5)의 상부측에 지지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후처리 장치(52)를 탑재하고, 상기 엔진(5) 및 상기 후처리 장치(52)를 보닛(6)으로 덮고 있고,
    상기 엔진(5)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상기 엔진(5) 외부의 장치로 공급시키는 외부 공급용 배관을 배관 고정 브래킷을 통해서 상기 엔진(5)에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이 상기 후처리 장치(52)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엔진(5) 상부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 장치(52)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186, 187)를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에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과 상기 후처리 장치(52) 사이에 상기 외부 공급용 배관을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온도 센서(186, 187)와 상기 후처리 장치(52) 사이에 상기 배관 고정 브래킷을 위치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5)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5)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52)와, 상기 후처리 장치(52)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주행 기체(2) 상방에 있어서 상기 엔진(5) 후방에 조종 좌석을 설치하고 있고,
    U자 형상으로 구성한 상기 배기관을 상기 조종 좌석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배기관의 하측에 배수용의 드레인 구멍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 구멍의 하측을 편측으로부터 덮는 풍향판을 상기 배기관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77008497A 2014-10-15 2015-10-06 작업 차량 KR101913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1132 2014-10-15
JP2014211132 2014-10-15
JP2015079706A JP6438341B2 (ja) 2014-10-15 2015-04-09 作業車両
JPJP-P-2015-079706 2015-04-09
PCT/JP2015/078379 WO2016060026A1 (ja) 2014-10-15 2015-10-06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6753A KR20170046753A (ko) 2017-05-02
KR101913981B1 true KR101913981B1 (ko) 2018-10-31

Family

ID=5595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497A KR101913981B1 (ko) 2014-10-15 2015-10-0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87711B2 (ko)
EP (1) EP3208126B1 (ko)
JP (1) JP6438341B2 (ko)
KR (1) KR101913981B1 (ko)
CN (1) CN106794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552B2 (ja) *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WO2017022217A1 (ja) * 2015-07-31 2017-02-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EP4190610A1 (en) * 2016-02-01 2023-06-07 Cummins, Inc. Accessory support brackets with airflow passages
GB201702079D0 (en) * 2017-02-08 2017-03-22 Agco Int Gmbh A vehicle chassis arrangement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6737741B2 (ja) * 2017-06-15 2020-08-12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
JP2019000079A (ja) * 2017-06-19 2019-01-1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US11352989B2 (en) 2018-05-22 2022-06-07 Briggs & Stratton, Llc Engine with low mounted cyclonic air filter assembly
US11518235B2 (en) * 2018-06-01 2022-12-06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unting arrangement for engine exhaust aftertreatment system on crane carrier
US10941696B2 (en) 2018-06-27 2021-03-09 Kubota Corporation Engine cover and work vehicle
KR102067507B1 (ko) * 2019-02-07 2020-02-11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기계용 흡기장치
ES2783099A1 (es) * 2019-03-13 2020-09-16 Morales Lagares Jose Manuel Sistema de seguridad y eficiencia aplicado a maquinarias agricolas
JP7246222B2 (ja) * 2019-03-26 2023-03-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2020159316A (ja) * 2019-03-27 2020-10-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排気管構造
US11060441B2 (en) * 2019-04-05 2021-07-13 Perkins Engines Company Limited Water pump with twin return ports
US11420755B2 (en) * 2019-08-08 2022-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Shape memory alloy isolator for a gas turbine engine
JP7059991B2 (ja) * 2019-08-30 2022-04-26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7287886B2 (ja) * 2019-12-17 2023-06-06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JP7424736B2 (ja) * 2020-03-06 2024-01-3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機体および作業機械
CN112221793A (zh) * 2020-10-22 2021-01-15 南京坦然机械制造有限公司 遥控分体履带式喷补车
JP7461911B2 (ja) 2021-05-10 2024-04-0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マフラ装置及び作業車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6077A1 (en) 2011-07-29 2013-07-25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Exhaust Apparatus
US20140020972A1 (en) 2012-07-20 2014-01-23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an Exhaust Treatment Apparatus in an Engine Room
US20140251713A1 (en) 2013-03-07 2014-09-11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JP2014172465A (ja) * 2013-03-07 2014-09-22 Kubota Corp 作業車の排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1432A (en) * 1956-09-28 1960-01-19 Leonard G Marcotte Condensation trap
US3358787A (en) * 1966-03-03 1967-12-19 Caterpillar Tractor Co Engine enclosure
US3795287A (en) * 1973-04-13 1974-03-05 Outboard Marine Corp Snowmobile muffler with heat shield
US4133547A (en) * 1977-07-11 1979-01-09 Massey-Ferguson Inc. Engine componentry
US5464952A (en) * 1993-11-26 1995-11-07 Acoust-A-Fib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c. Shield between vehicle exhaust and passenger compartment
JPH0899539A (ja) * 1994-09-29 1996-04-16 Kubota Corp 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US5689953A (en) * 1995-03-29 1997-11-25 Kubota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liquid-cooled engine
JP3994926B2 (ja) * 2003-06-04 2007-10-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スタータ取付構造
JP2008031955A (ja) * 2006-07-31 2008-02-14 Iseki & Co Ltd ディーゼルエンジン
US7717205B2 (en) * 2006-11-28 2010-05-18 Caterpillar Inc. Engine hood assembly enclosure with exhaust aftertreatment device integrated therein, and machine using same
US7810466B2 (en) * 2007-03-16 2010-10-12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ompound bracket system
JP5172381B2 (ja) * 2008-02-22 2013-03-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2046935A (zh) * 2008-05-29 2011-05-04 株式会社小松制作所 内燃机的排气净化系统及烟尘过滤器再生方法
WO2010026864A1 (ja) * 2008-09-08 2010-03-11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US8141535B2 (en) * 2009-01-26 2012-03-27 Caterpillar Inc. Exhaust system device with mounting bracket
JP5508351B2 (ja) * 2011-06-30 2014-05-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5882158B2 (ja) * 2012-07-26 2016-03-09 ヤンマ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JP5944263B2 (ja) * 2012-08-01 2016-07-05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JP5840098B2 (ja) * 2012-09-26 2016-01-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接続構造
JP5799001B2 (ja) * 2012-10-25 2015-10-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尿素水溶液配管の冷却構造
US8967319B2 (en) * 2012-11-05 2015-03-03 Cnh Industrial America Llc Horizontal muffler for an agricultural vehicle
US8857557B2 (en) * 2013-03-13 2014-10-14 Komatsu Ltd. Work vehicle
CN111483524B (zh) * 2013-03-15 2023-05-23 北极星工业有限公司 多用途车辆
JP5986031B2 (ja) * 2013-03-29 2016-09-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発電機モータへのディーゼル酸化触媒装置搭載構造
JP5972821B2 (ja) * 2013-03-29 2016-08-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発電機モータへのディーゼル酸化触媒装置搭載構造
JP6262440B2 (ja) * 2013-04-08 2018-01-17 株式会社Kcm ホイールローダ
JP6120689B2 (ja) * 2013-06-14 2017-04-26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
CN105637149B (zh) * 2013-10-08 2019-06-21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KR101641421B1 (ko) * 2014-01-31 2016-07-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WO2014192405A1 (ja) * 2014-03-31 2014-12-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BR102015019177B1 (pt) * 2014-08-14 2022-10-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junto de montagem para um silenciador de um veículo fora de estrada e seu método de montagem
CN104903136B (zh) * 2014-09-04 2017-06-23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车体罩及作业车辆
JP6295195B2 (ja) * 2014-12-26 2018-03-14 株式会社Kcm 作業機械
EP2947210B1 (en) * 2015-03-10 2018-07-11 Komatsu Ltd. Industrial vehicle
US10071626B2 (en) * 2015-04-28 2018-09-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Exhaust after-treatment mounting arrangement
WO2017022217A1 (ja) * 2015-07-31 2017-02-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6330841B2 (ja) * 2016-03-29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保温カバーの取付構造
JP6575447B2 (ja) * 2016-06-30 2019-09-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86077A1 (en) 2011-07-29 2013-07-25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Exhaust Apparatus
US20140020972A1 (en) 2012-07-20 2014-01-23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Having an Exhaust Treatment Apparatus in an Engine Room
US20140251713A1 (en) 2013-03-07 2014-09-11 Kubota Corporation Working Vehicle
JP2014172465A (ja) * 2013-03-07 2014-09-22 Kubota Corp 作業車の排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8126A1 (en) 2017-08-23
CN106794756A (zh) 2017-05-31
EP3208126A4 (en) 2017-12-13
CN106794756B (zh) 2019-03-01
EP3208126B1 (en) 2019-03-06
US10487711B2 (en) 2019-11-26
KR20170046753A (ko) 2017-05-02
JP6438341B2 (ja) 2018-12-12
JP2016078824A (ja) 2016-05-16
US20170218808A1 (en)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KR101902719B1 (ko) 작업 차량
US10669913B2 (en) Engine apparatus
KR101902718B1 (ko) 작업 차량
JP6297465B2 (ja) トラクタ
WO2016060026A1 (ja) 作業車両
KR102049135B1 (ko) 엔진장치
JP6475569B2 (ja) エンジン装置
JP6322118B2 (ja) エンジン装置
KR101961060B1 (ko) 작업차량
JP2016078594A (ja) 作業車両
JP6378040B2 (ja) 作業車両
JP6490384B2 (ja) 作業車両
JP6343221B2 (ja) エンジン装置
JP6378035B2 (ja) トラクタ
JP6305308B2 (ja) 作業車両
JP6391411B2 (ja) エンジン装置
JP6347549B2 (ja) エンジン装置
JP6309424B2 (ja) 作業車両
JP2017145805A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