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421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421B1
KR101641421B1 KR1020140117574A KR20140117574A KR101641421B1 KR 101641421 B1 KR101641421 B1 KR 101641421B1 KR 1020140117574 A KR1020140117574 A KR 1020140117574A KR 20140117574 A KR20140117574 A KR 20140117574A KR 101641421 B1 KR101641421 B1 KR 10164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omponent
engine
longitudinal direction
exhaust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1210A (ko
Inventor
겐이치 아오야마
메구미 사와이
가즈노부 스가노
신스케 가시야마
모토키 이즈쿠라
고오지 가지노
다츠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1737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04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17372A external-priority patent/JP6258052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5009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F01N3/03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with catalytic reactors, e.g. catalysed diesel particulate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2015/0637Arrangement of tanks the fuel tank is arranged in the fron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연료 탱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배기부(7A)를 갖는 엔진(7)과, 배기부(7A)에 접속하는 흡기부(18A)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18)와, 배기 정화 장치(18)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지지 프레임(60)은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연결하는 제1 부품(61)과,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제2 부품(62)과, 엔진(7)에 연결하는 제3 부품(63)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또한, 제1 부품(61)의 엔진(7)에 대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64)와, 제2 부품(62)의 엔진(7)에 대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6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21)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지지하는 탱크 지지체(1023)와, 연료 탱크(1021)를 좌우로 걸친 상태에서 세워 설치하는 역U자 형상의 보닛 지지체(1010)를 구비하고, 보닛 지지체(1010)는 연료 탱크(1021)의 상부측에 작용하여 연료 탱크(1021)를 탱크 지지체 상의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탄성체(1046)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작업차{WORK VEHICLE}
본 발명은 배기부를 갖는 엔진과, 상기 배기부에 접속하는 흡기부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및 보닛 지지체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있어서는, 내장한 DPF(매연 저감 장치)의 교환 등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한 배기 정화 장치(배기 가스 정화 장치)를 용접 구조의 지지 프레임을 개재하여 센터 프레임에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작업차의 일례인 승용 잔디 깎는 기계에 있어서는, 연료 탱크를, 그 측면에 형성한 볼록부를 차체 프레임의 외측 방향 ㄷ자 형상 프레임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밴드를 개재하여 차체 프레임에 고정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고정 장비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있어서는, 연료 탱크의 주위부에 구비한 플랜지부를, 차체 프레임에 세워 설치한 보닛 지지용의 지지 프레임에 복수의 볼트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고정 장비하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49405호 공보(단락 번호 0034, 도 2 내지 4) 일본 특허 공개 평8-132897호 공보(단락 번호 0015, 도 1 내지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43182호 공보(단락 번호 0019, 도 2, 도 4)
상기한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는, 그 길이 방향으로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점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분산 배치하는 엔진 배기부 접속용의 흡기부와 지지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그들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배기 정화 장치를 센터 프레임에 지지 프레임을 개재하여 연결한 경우에는,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흡기부의 위치가, 엔진의 배기부에 대한 접속 위치로부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는 문제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 상기의 구성에서는,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에 용접 구조의 지지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와 같은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배기 정화 장치의 흡기부와 엔진의 배기부의 접속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있다. 즉,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연료 탱크에 감합용의 볼록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연료 탱크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그만큼, 연료 탱크의 제조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연료 탱크의 고정에 전용의 밴드를 요하는 점에서, 연료 탱크의 조립에 필요로 하는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연료 탱크에 연결용의 플랜지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연료 탱크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그만큼, 연료 탱크의 제조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연료 탱크의 지지 프레임에의 연결을 복수의 볼트로 행하는 점에서, 연료 탱크의 조립에 수고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연료 탱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1.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배기부를 갖는 엔진과, 상기 배기부에 접속하는 흡기부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연결하는 제1 부품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제2 부품과, 상기 엔진에 연결하는 제3 부품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그 흡기부와 지지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와의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등이 발생하고 있어도, 그 개체차에 따라, 배기 정화 장치에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의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각각의 위치를,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개체차 등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에 대한 적정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장비할 수 있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흡기부와 엔진의 배기부의 접속을 간단하고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1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2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長孔)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제1 조절부로서의 장공과 제2 조절부로서의 장공을 구비할 뿐인 간단한 구성으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각각은,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그 흡기부와 지지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와의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등이 발생하고 있어도, 그 개체차에 따라, 배기 정화 장치에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의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각각의 위치를, 장공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 및 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개체차 등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에 대한 적정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장비할 수 있고,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흡기부와 엔진의 배기부의 접속을 보다 간단하고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로서의 장공과 제2 조절부로서의 장공을 구비할 뿐인 간단한 구성이면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제1 부품은,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2 부품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연결부의 경우와 동일한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3 부품은, 2개의 상기 제1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또한,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에 상기 장공을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제1 피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대응하는 제1 부품의 제1 연결부와 제3 부품의 제1 피연결부의 볼트 연결 및 대응하는 제2 부품의 제2 연결부와 제3 부품의 제2 피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에 연결하는 제3 부품의 각 제1 피연결부와 각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제1 부품의 각 제1 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 및 제2 부품의 각 제2 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 일방측으로부터의 제3 부품에 대한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볼트 연결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엔진에 구비한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1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구비한 제2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피연결부 및 상기 제1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제1 조절부로서의 장공과 제2 조절부로서의 장공을 구비할 뿐인 간단한 구성으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부품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3 피연결부에 볼트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3 연결부와 상기 제3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2 조절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길이가 볼트 직경보다도 큰 연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멍에 의해, 상기 제3 피연결부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조절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배기 정화 장치에 있어서, 그 흡기부와 지지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와의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등이 발생하고 있어도, 그 개체차에 따라, 배기 정화 장치에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의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각각의 위치를, 장공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 및 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개체차 등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장치를 엔진에 대한 적정 위치에 간단하게 고정 장비할 수 있어, 배기 가스 정화 장치의 흡기부와 엔진의 배기부의 접속을 보다 간단하고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절부로서의 장공과 제3 조절부로서의 연결 구멍을 구비할 뿐인 간단한 구성이면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2개의 상기 제3 피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그 짧은 방향과 직교하는 짧은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2 부품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연결부의 경우와 동일한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1 부품은, 2개의 상기 제3 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3 피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그 짧은 방향과 직교하는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또한,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에 상기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대응하는 배기 정화 장치의 제3 피연결부와 제1 부품의 제3 연결부의 볼트 연결 및 대응하는 제1 부품의 제2 피연결부와 제2 부품의 제2 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 일방측으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에 연결하는 제3 부품의 제1 피연결부에, 제1 부품의 제1 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또한, 엔진 및 제3 부품에 연결하는 제1 부품의 각 제2 피연결부에, 제2 부품의 각 제2 연결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 일방측으로부터의 제3 부품에 대한 제1 부품의 볼트 연결 조작 및 제1 부품에 대한 제2 부품의 볼트 연결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기 정화 장치의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2.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연료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지지하는 탱크 지지체와, 상기 연료 탱크를 좌우로 걸친 상태에서 세워 설치하는 역U자 형상의 보닛 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닛 지지체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부측에 작용하여 상기 연료 탱크를 탱크 지지체 상의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탄성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연료 탱크를 탱크 지지체에 적재한 후, 탄성체를 구비한 보닛 지지체를 세워 설치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탱크 지지체 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즉, 연료 탱크에 감합부나 연결부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연료 탱크의 조립에 필요로 하는 전용 부품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를 조립하기 위한 전용 작업을 불필요 또는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면서 연료 탱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탄성체로서, 상기 연료 탱크에 있어서의 상측의 좌우 코너부에 대하여 상기 연료 탱크의 가로 외측 상방으로부터 작용하는 좌우의 탄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의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료 탱크를 상기 탱크 지지체와 상기 좌우의 탄성체 사이에 끼움 지지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예를 들어, 탄성체를 보닛 지지체의 상부에 구비하고, 연료 탱크를 탱크 지지체와 탄성체 사이에서의 상하 방향의 끼움 지지로 고정 보유 지지하는 경우, 또는, 탄성체를 보닛 지지체의 좌우 양측부에 구비하고, 연료 탱크를 좌우의 탄성체의 사이에서의 좌우 방향의 끼움 지지로 고정 보유 지지하는 경우, 등에 비하여 연료 탱크의 고정 보유 지지를 보다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의 조립에 필요로 하는 전용 부품으로서 좌우 2개의 탄성체를 구비하는 것만으로, 연료 탱크의 고정 보유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좌우의 탄성체 중 한쪽을 상기 보닛 지지체의 내면에 고정하고, 다른 쪽을 상기 보닛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보닛 지지체에 대하여 좌우 한쪽의 탄성체를 착탈함으로써, 연료 탱크를 탱크 지지체와 좌우의 탄성체 사이에 끼움 지지 유지하는 상태와, 이 끼움 지지 유지를 해제하는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다.
즉, 보닛 지지체의 조립이나 제거를 행하지 않고, 연료 탱크의 조립이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의 조립성 및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보닛 지지체 및 상기 탄성체가 상기 연료 탱크의 전후 일방측에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료 탱크의 전후 타방측을 좌우로 걸친 상태에서 상기 탱크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U자 형상의 고정 밴드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그 전후 타방측에 상기 고정 밴드가 걸림 삽입되는 홈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연료 탱크의 전후 양측을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연료 탱크로서 전후 방향으로 긴 대형의 것을 채용한 경우에도, 연료 탱크의 고정 보유 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의 홈부에 고정 밴드가 걸림 삽입됨으로써, 연료 탱크의 전후 방향에서의 고정 보유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연료 탱크의 고정 보유 지지를 보다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데다가 대형의 연료 탱크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원동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원동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4는 배기 혼합관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배기 혼합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4의 V-V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8은 파워스티어링 기구 있음 사양에서의 엔진 컨트롤 유닛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a)와 분해 사시도 (b)이다.
도 9는 파워스티어링 기구 없음 사양에서의 엔진 컨트롤 유닛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a)와 분해 사시도 (b)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 형태에서의 배기 정화 장치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3은 트랙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4는 원동부의 종단 좌측면도이다.
도 15는 원동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6은 연료 탱크의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연료 탱크의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연료 탱크의 전방부측에 대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6의 VI-V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연료 탱크의 후부측에 대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20은 보닛의 빠짐 방지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연료 탱크의 후부측에 대한 보유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 19의 IX-I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보닛 지지체와 연료 탱크 사이의 시일 부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 19의 X-X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3은 보닛 지지체와 연료 탱크 사이의 시일 부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하는 도 22의 XI-X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1)의 전반부에 원동부(2)를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의 후반부에 탑승 운전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원동부(2)의 좌우로 구동 가능한 조타륜으로서의 전륜(4)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3)의 좌우로 제동 가능한 구동륜으로서의 후륜(5)을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은 그 전반부를 형성하는 전부 프레임(6)의 후부에, 커먼레일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수냉식의 종형 디젤 엔진(이하, 엔진이라고 칭함)(7)을 연결하고, 이 엔진(7)의 하부에 차체 프레임(1)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닛(8)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유닛(8)의 전단부에, 원동부(2)와 탑승 운전부(3)를 이격하는 격벽체(9)를 세워 설치하고, 이 격벽체(9)의 상단부에 정면에서 보아 역U자 형상의 보닛 지지체(10)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유닛(8)에 있어서의 격벽체(9)의 후방 개소에,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문형의 스티어링 프레임(11)을 후경 자세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8)은 그 후부에, 트랙터의 후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2), 좌우의 리프트 아암(12)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13) 및 트랙터의 후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 작업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작업 장치에의 작업용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14), 등을 장비하고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용으로서 좌우의 전륜(4)과 좌우의 후륜(5)에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 및 엔진(7)으로부터의 동력을 작업용으로서 PTO축(14)에 전달하는 작업 전동계, 등을 장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2)는 격벽체(9) 및 보닛(15) 등에 의해 형성하는 엔진룸에, 엔진(7), 배터리(16), 에어 클리너(17), 원기둥 형상의 배기 정화 장치(18), 라디에이터(19), 냉각 팬(20) 및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연료 탱크(21), 등을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엔진(7)은 엔진룸에 있어서의 후반부의 하측에, 그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이 전후 방향이 되는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배터리(16) 및 에어 클리너(17)는 엔진룸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8)는 그 길이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향 자세로, 엔진룸의 후반부에 있어서의 엔진(7)의 좌반부 상방 개소에 배치하고 있다. 라디에이터(19) 및 냉각 팬(20)은 후반부의 엔진(7)과 전단부의 배터리(16) 및 에어 클리너(17)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21)는 그 폭이 좁은 전방부측이 엔진(7)의 우반부 상방에 위치하고, 그 폭이 넓은 후부측이 격벽체(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7)은 그 전단부의 상단부에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의 상단부와 격벽체(9)의 상단부에 걸쳐, 연료 탱크(21)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지지하는 탱크 지지체(23)를 가설하고 있다. 탱크 지지체(23)는 지지 부재와 격벽체(9)에 걸쳐 엔진(7)과 연료 탱크(21) 사이를 구획하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바닥 차폐판(24)에, 연료 탱크(21)의 전방 단부면과 대향하는 전방 차폐판(25)과, 배기 정화 장치(18)와 연료 탱크(21) 사이를 구획하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가로 차폐판(26)을 기립 장비하고, 보닛(15)과의 사이에, 엔진(7) 및 배기 정화 장치(18)에 대한 차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닥 차폐판(24)은 격벽체(9)의 상단부로부터 지지 부재(22)의 상단부를 향하여 전방 상승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하방에, 엔진(7)의 배치 영역 및 에어 클리너(17)로부터 엔진(7)에 걸치는 흡기관(27)의 배관 영역, 등을 확보하고 있다. 연료 탱크(21)는 그 저면을 바닥 차폐판(24)을 따른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용적을 크게 하면서, 바닥 차폐판(24)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 차폐판(24)의 상면에는, 연료 탱크(21)의 저면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하는 판 형상의 복수의 방진 고무(2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3)는 스티어링 휠(29), 미터 패널(30) 및 운전 좌석(3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29)은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축 및 전체 유압식의 파워스티어링 기구(33)(도 8 참조) 등을 통하여 좌우의 전륜(4)에 연계하고 있다. 스티어링 축은, 스티어링 프레임(11)과 동일한 후경 자세로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상단부에 세워 설치한 스티어링 포스트(3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 장비하고 있다. 미터 패널(30)은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상방에서, 또한, 스티어링 포스트(34)의 전방 위치에 전경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 지지체(10)는 그 상단부로부터 전상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좌우의 브래킷(3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브래킷(35)의 연장단에 걸쳐 좌우 방향의 지지축(36)을 가설하고 있다. 한편, 보닛(15)은 그 천장판 후단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측 개소에, 좌우의 훅 금속 부재(37)를 그들의 후단부측이 개방측이 되는 상태에서 분산 배치하고 있다. 또한, 그 천장판 후단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측 개소에, L자형의 걸림 결합 금속 부재(38)를 그 후단부측이 개방측이 되는 상태에서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결합 금속 부재(38)의 후단부측에, 보닛(15)과 걸림 결합 금속 부재(38) 사이에 지지축(36)을 빠짐 방지 보유 지지하는 빠짐 방지 볼트(39)를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장비하고, 이에 의해, 각 훅 금속 부재(37)의 지지축(36)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보닛(15)에 구비한 좌우의 훅 금속 부재(37) 및 걸림 결합 금속 부재(38)를 보닛 지지체(10)에 구비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36)에 걸림 결합한 후, 그 지지축(36)을 빠짐 방지 볼트(39)로 빠짐 방지함으로써, 보닛(15)을 좌우 방향의 지지축(36)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보닛 지지체(10)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볼트(39)에 의한 지지축(36)의 빠짐 방지를 해제함으로써, 보닛 지지체(10)로부터 보닛(15)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좌우의 훅 금속 부재(37)의 각각에 빠짐 방지 볼트(39)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닛 지지체(10)에 대한 보닛(1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15)은 연료 탱크(21)와 탱크 지지체(23)의 가로 차폐판(26) 사이에 배치한 보닛 댐퍼(40)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요동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보닛 댐퍼(40)의 가압에 저항하여 폐쇄 자세에서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18)는 그 전후 중간부에 산화 촉매(50) 및 DPF(매연 저감 장치)(51) 등을 내장하고 있다. 또한, 그 후단부의 하단부 정도에 흡기부(18A)를 구비하고, 또한, 그 전단부의 하단부 정도에 배기부(18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교환 등의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흡기부(18A)를 구비하는 후단부, 산화 촉매(50)를 구비하는 전후 중간부의 후부측, DPF(51)를 구비하는 전후 중간부의 전방부측 및 배기부(18B)를 구비하는 전단부, 등에 분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8)의 흡기부(18A)는, 엔진(7)의 배기부(7A)인 엔진(7)의 좌측 상단부에 구비한 배기 매니폴드(52)의 배기부(52A)에 접속하고 있다. 이 흡기부(18A)와 배기부(52A)의 접속은, 그들의 접속단에 각각 구비한 정삼각 형상의 플랜지(18C, 52B)를 볼트 연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8)의 배기부(18B)는, 배기관(53)의 일단부에 접속하고 있다. 이 배기부(18B)와 배기관(52A)의 접속은, 그들의 접속단에 각각 구비한 정사각 형상의 플랜지(18D, 53A)를 볼트 연결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배기관(53)은 배기 정화 장치(18)의 배기부(18B)로부터 전방부 프레임(6)의 좌측 개소를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연장단을, 전방부 프레임(6)의 좌측부에 전방 하강 자세로 볼트 연결한 단면 육각형의 배기 혼합관(54)의 후단부에, 이 후단부의 내주면과 연장단의 외주면 사이에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삽입함으로써,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가 배기관(53)으로부터 배기 혼합관(54)에 유동할 때에 이젝터 효과가 얻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배기 혼합관(54)에 있어서는,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에, 배기관(53)과 배기 혼합관(54)의 간극으로부터 배기 혼합관(54)에 유입하는 외기를 혼입시킬 수 있어, 배기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혼합관(54)은 동일한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상측 관체(55)와 하측 관체(56)를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측 관체(55) 및 하측 관체(56)는 각각, 좌우의 측벽(55A, 55B, 56A, 56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관체(55)의 좌측벽(55A)과 하측 관체(56)의 좌측벽(56A)을, 상측 관체(55)의 좌측벽(55A)이 배기 혼합관(54)의 좌측 내벽이 되고, 또한, 하측 관체(56)의 좌측벽(56A)이 배기 혼합관(54)의 좌측 외벽이 되도록 중합시키고 있다. 또한, 상측 관체(55)의 우측벽(55B)과 하측 관체(56)의 우측벽(56B)을, 상측 관체(55)의 우측벽(55B)이 배기 혼합관(54)의 우측 외벽이 되고, 또한, 하측 관체(56)의 우측벽(56B)이 배기 혼합관(54)의 우측 내벽이 되도록 중합시키고 있다. 그리고, 하측 관체(56)의 좌측벽(56A)에, 배기 혼합관(54)이 고온부인 것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 「HOT」를 구멍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고온부의 표기를 엠보싱 가공보다도 저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측 관체(56)의 각 문자 구멍(56C)으로부터 배기가 유출하는 문제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 외에, 예를 들어, 배기 혼합관(54)에 있어서, 상측 관체(55)의 좌측벽(55A)에 있어서의 하측 관체(56)의 좌측벽(56A)과의 중합면의 색만을 다른 부분의 색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배기 혼합관(54)이 고온부인 것을 나타내기 위한 문자 「HOT」가 더욱 인식하기 쉬운 상태로 되도록 해도 된다.
도 2,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 정화 장치(18)는 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이 되는 전단부측에 제1 밴드 부재(57)를 밖에서 끼움 장비하고 있다. 또한, 그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이 되는 후단부측에 제2 밴드 부재(58)를 밖에서 끼움 장비하고 있다. 한편, 엔진(7)은 그 좌측 상단부에 배기 정화 장치(18)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0)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0)은 제1 밴드 부재(57)에 연결하는 제1 부품(61)과, 제2 밴드 부재(58)에 연결하는 제2 부품(62)과, 엔진(7)에 연결하는 제3 부품(63)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부품(61)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64)와, 제2 부품(62)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6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품(61)은 제1 밴드 부재(57)에 수하(垂下) 장비한 피연결부(57A)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는 상하 방향의 제1 부재(66)와, J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2 부재(6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66)에 있어서의 하단부측의 후방면에, 제2 부재(67)를 그 긴 변측이 차체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J자 자세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 부재(67)는 그 긴 변측의 단부(67A)와 짧은 변측의 단부(67B)가, 좌우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또한,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단부(67A, 67B)가, 제3 부품(63)에 구비한 2개의 제1 피연결부(63A)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61A)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 부품(62)은 제2 밴드 부재(58)에 수하 장비한 피연결부(58A)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는 상하 방향의 제1 부재(68)와, J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2 부재(6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68)에 있어서의 하단부측의 전방면에, 제2 부재(69)를 그 긴 변측이 차체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역J자 자세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 부재(69)는 그 긴 변측의 단부(69A)와 짧은 변측의 단부(69B)가, 좌우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또한,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단부(69A, 69B)가, 제3 부품(63)에 구비한 2개의 제2 피연결부(63B)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2 연결부(62A)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3 부품(63)은 엔진(7)에 있어서의 전상부의 좌측면에 하단부를 볼트 연결하는 상하 방향의 구형 강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70)와, 배기 매니폴드(52)에 있어서의 배기부(52A)의 플랜지(52B)에 일체 형성한 지지부(52C)에 후단부를 볼트 연결하는 전후 방향의 강판재를 포함하는 제2 부재(71)와, 엔진(7)에 있어서의 좌측의 전단 상부에 구비한 냉각용의 급수부(7B)가 전방부를 볼트 연결하는 전후 방향의 띠강재를 포함하는 제3 부재(7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70)의 상단부에 제2 부재(71)의 전단부를 적재한 상태에서 용접하고, 또한, 제2 부재(71)에 있어서의 저면의 전단부에 제3 부재(72)의 후부를 용접하고, 각 부재(70 내지 72)를 엔진(7)의 소정 개소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제2 부재(71)가 배기 정화 장치(18)의 각 밴드 부재(57, 58)에 연결 장비한 제1 부품(61) 및 제2 부품(62)의 각 제1 부재(66, 68)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수평 자세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3 부품(63)의 제2 부재(71)는 그 상면의 전단부측에, 제1 부품(61)에 구비한 2개의 제1 연결부(61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2개의 제1 피연결부(63A)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그 상면의 후단부측에, 제2 부품(62)에 구비한 2개의 제2 연결부(62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2개의 제2 피연결부(63B)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2개의 제1 피연결부(63A)는, 제1 부품(61)에 2개의 제1 연결부(61A)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또한,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품(61)의 제1 연결부(61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 너트 등의 나사 결합부(63C)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제2 피연결부(63B)는, 제2 부품(62)에 2개의 제2 연결부(62A)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하고, 또한,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부품(62)의 제2 연결부(62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 너트 등의 나사 결합부(63D)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품(61)의 각 제1 연결부(61A)는, 제3 부품(63)의 제1 피연결부(63A)와의 볼트 연결용으로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61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공(61B)에 의해, 제1 부품(61)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제1 조절부(64)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부품(62)의 각 제2 연결부(62A)는, 제3 부품(63)의 제2 피연결부(63B)와의 볼트 연결용으로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62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공(62B)에 의해, 제2 부품(62)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제2 조절부(65)를 구성하고 있다.
제1 조절부(64) 및 제2 조절부(65)는 그들의 각 장공(61B, 62B)의 짧은 방향의 길이인 상하 방향의 길이를, 제1 부품(61) 또는 제2 부품(62)과 제3 부품(63)을 연결하는 볼트(73)의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제1 부품(61) 및 제2 부품(62)의 엔진(7)에 대한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엔진(7)에 배기 정화 장치(18)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선, 배기 정화 장치(18)에 지지 프레임(60)의 제1 부품(61)과 제2 부품(62)을 볼트 연결한다. 또한, 엔진(7)의 좌측 상단부에 지지 프레임(60)의 제3 부품(63)을 볼트 연결한다. 이어서, 그 제3 부품(63)의 제2 부재(71)에, 배기 정화 장치(18)에 연결 장비한 지지 프레임(60)의 제1 부품(61)과 제2 부품(62)을 제2 부재(71)에 대한 소정의 연결 자세로 적재한다. 그리고, 이 적재 후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플랜지(18C)를 엔진(7)에 있어서의 배기 매니폴드(52)의 플랜지(52B)에 볼트 연결하면서, 대응하는 제1 부품(61)의 제1 연결부(61A)와 제3 부품(63)의 제1 피연결부(63A)와의 볼트 연결을 전술한 제1 조절부(64)를 통하여 행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2 부품(62)의 제2 연결부(62A)와 제3 부품(63)의 제2 피연결부(63B)의 볼트 연결을, 전술한 제2 조절부(65)를 통하여 행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흡기부(18A)의 플랜지(18C)와 각 밴드 부재(57, 58)의 피연결부(57A, 58A)와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및 배기 정화 장치(18)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기 정화 장치(18)를 분해하여 다시 조립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배기부(18B)의 플랜지(18C)와 각 밴드 부재(57, 58)의 피연결부(57A, 58A)와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조립 오차, 등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장치(18)를 엔진(7)에 대한 적정 위치에 고정 장비할 수 있고, 결과, 배기 정화 장치(18)의 흡기부(18A)를 엔진(7)의 배기부(7A)에 간단하고 적정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품(61)에 있어서의 2개의 제1 연결부(61A), 제2 부품(62)에 있어서의 2개의 제2 연결부(62A), 제3 부품(63)에 있어서의 2개의 제1 피연결부(63A) 및 제3 부품(63)에 있어서의 2개의 제2 피연결부(63B)를, 각각, 우측 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한 것에 의해, 대응하는 제1 부품(61)의 제1 연결부(61A)와 제3 부품(63)의 제1 피연결부(63A)의 볼트 연결 및 대응하는 제2 부품(62)의 제2 연결부(62A)와 제3 부품(63)의 제2 피연결부(63B)의 볼트 연결을, 엔진(7)에 대한 제3 부품(63)의 볼트 연결 및 배기 정화 장치(18)의 플랜지(18C)와 배기 매니폴드(52)의 플랜지(52B)와의 볼트 연결과 함께, 원동부(2)의 좌외방 개소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7)에 고정하는 제3 부품(63)에, 제1 부품(61)과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63C) 및 제2 부품(62)과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63D)를 구비함으로써, 제3 부품(63)에 대한 제1 부품(61) 및 제2 부품(62)의 볼트 연결 조작이 원동부(2)의 좌외방 개소로부터 행하기 쉬워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프레임(11)은 그 내부에, 파워스티어링 기구(33)의 컨트롤 유닛(74) 및 이 컨트롤 유닛(74)에 대한 복수의 유압관(75) 등을 장비하고 있다. 또한, 엔진(7)에 구비한 커먼레일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 유닛(이하, ECU라고 약칭함)(76)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77)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부재(77)는 좌우 방향의 제1 연결부(77A)와, 제1 연결부(77A)의 좌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2 연결부(77B)와, 제1 연결부(77A)의 우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3 연결부(77C)를 갖도록 굴곡 형성한 띠강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연결부(77A)에, ECU(76)와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한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2개의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2 연결부(77B)에,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좌측판(79)과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한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전후 2개의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3 연결부(77C)에,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우측판(80)으로부터 우외방으로 돌출 설치한 걸림 결합 핀(81)과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한 걸림 결합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의 걸림 결합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있다.
각 방진 고무(78)는 지지 부재(77)의 대응하는 연결 구멍 또는 걸림 결합 구멍에 안에서 끼우는 환상의 걸림 결합 홈(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걸림 결합 홈을 지지 부재(77)의 대응하는 연결 구멍 또는 걸림 결합 구멍에 안에서 끼움으로써, 각 방진 고무(78)를 지지 부재(77)의 소정 위치에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ECU(76)를 스티어링 프레임(11)에 조립한 상태에서는, ECU(76)는, 스티어링 프레임(11)에 좌측 2개와 우측 1개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하여 지지된 지지 부재(77)에, 좌우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하여 지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ECU(76)를, 그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의 3 방향에서의 진동 기준을 만족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프레임(11)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77)의 제2 연결부(77B)를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좌측판(79)에 2점 연결함으로써, 지지 부재(77)의 제3 연결부(77C)를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우측판(80)에 한점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하면서,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우측판(80)과의 연결점을 지지점으로 한 지지 부재(77)의 요동 변위를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77)의 제3 연결부(77C)를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우측판(80)에 볼트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티어링 프레임(11)에 대한 지지 부재(77)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트랙터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프레임(11)의 내부에 파워스티어링 기구(33)의 컨트롤 유닛(74) 및 복수의 유압관(75) 등을 장비하고 있음으로써, 스티어링 프레임(11)의 내부에 ECU(76)를 배치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전방 개소에 있어서, 스티어링 프레임(11)과 격벽체(9)와 탱크 지지체(23)의 바닥 차폐판(24)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ECU(76)는, 강판재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82)를 통하여 지지 부재(77)의 전방면측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그 전체가, 스티어링 프레임(11)과 격벽체(9)와 탱크 지지체(23)의 바닥 차폐판(24)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엔진(7)의 근처에 ECU(76)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엔진 주변 기기의 배치를 변경하는 등의 수고를 요하지 않고, ECU(76)를 엔진(7)의 근처에 배치할 수 있고, 엔진(7)과 ECU(76)에 걸치는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티어링 프레임(11)과 격벽체(9)와 탱크 지지체(23)의 바닥 차폐판(24)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엔진(7) 및 배기 정화 장치(18)에 대한 차열 공간인 것으로부터, 단열 부재를 추가 장비하지 않고, 엔진(7) 및 배기 정화 장치(18)로부터의 방열이 ECU(76)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파워스티어링 기구(33)를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스티어링 프레임(11)의 내부에 스티어링 축을 내장한 스티어링 포스트(34)만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ECU(76)를, 지지 부재(77)의 후방면측에 볼트 연결함으로써, 그 전체가, 스티어링 프레임(1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지지 부재(77)로서는, 제2 연결부(77B)의 후방에의 연장 길이를 짧게 해서, 제2 연결부(77B)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4 연결부(77D)를 구비하고, 이 제4 연결부(77D)에, 스티어링 프레임(11)의 좌측판(79)과의 방진 고무(78)를 개재한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1〕 지지 프레임(60)의 구성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60)은 배기 정화 장치(18)의 전단부측에 구비한 제1 밴드 부재(57)에 연결하는 제1 부품(91)과, 배기 정화 장치(18)의 후단부측에 구비한 제2 밴드 부재(58)에 연결하는 제2 부품(92)과, 엔진(7)에 연결하는 제3 부품(93)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1 부품(91)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94)와, 제2 부품(92)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95)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8)는 제1 밴드 부재(57)의 하부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측에 수하 장비한 좌우의 피연결부(57A)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 일단부측인 전단부측으로부터 제1 부품(91)을 향하여 연장하는 좌우의 제3 피연결부(18E)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부품(91)은 전후 방향의 강판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96)의 전단부에 상하 방향의 제2 부재(97)를 기립 자세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96)에 있어서의 하면의 전단부측에, 제3 부품(93)의 상단부에 구비한 제1 피연결부(93A)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91A)를 수하 장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부재(96)에 있어서의 상면의 후단부측에, 제2 부품(92)에 구비한 2개의 제2 연결부(92A)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는 2개의 제2 피연결부(91B)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2 부재(97)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대응하는 제3 피연결부(18E)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는 좌우의 제3 연결부(91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부재(96)의 후단부를, 엔진(7)의 피연결부(7C)로서 배기 매니폴드(52)에 있어서의 배기부(52A)의 플랜지(52B)에 일체 형성한 지지부(52C)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연결부(91D)에 구성하고 있다.
제2 부품(92)은 제2 밴드 부재(58)에 수하 장비한 피연결부(58A)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접합한 상태에서 볼트 연결하는 상하 방향의 제1 부재(98)와, J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제2 부재(99)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98)에 있어서의 하단부측의 전방면에, 제2 부재(99)를 그 긴 변측이 차체의 좌우 중심측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보아 역J자 자세로 용접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3 부품(93)은 엔진(7)에 있어서의 전상부의 좌측면에 하단부를 볼트 연결하는 상하 방향의 L형 강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100)와, 엔진(7)에 있어서의 좌측의 전단 상부에 구비한 냉각용의 급수부(7B)가 전방부를 볼트 연결하는 전후 방향의 띠강재를 포함하는 제2 부재(10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부재(100)의 상단부에, 제1 부재(100)의 상단부에 적재한 제1 부품(91)의 제1 연결부(91A)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되는 제1 피연결부(93A)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피연결부(93A)는, 제1 부품(91)의 제1 연결부(91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 너트 등의 2개의 나사 결합부(93B)를 전후로 배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제1 부품(91)에 있어서, 제1 연결부(91A)는, 제3 부품(93)의 제1 피연결부(93A)와의 볼트 연결용으로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2개의 장공(91E)을 전후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결부(91D)는, 엔진(7)의 피연결부(7C)와의 볼트 연결용으로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2개의 장공(91F)을 좌우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공(91E, 91F)에 의해, 제1 부품(61)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제1 조절부(94)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부품(91)에 있어서, 2개의 제2 피연결부(91B)는, 제2 부품(92)의 제2 연결부(92A)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 너트 등의 나사 결합부(91G)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제2 부품(92)은 제2 부재(99)의 양단부(99A, 99B)가 제2 연결부(92A)가 되도록, 그 양단부(99A, 99B)에, 제1 부품(91)의 제2 피연결부(91B)와의 볼트 연결용으로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92B)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장공(92B)에 의해, 제2 부품(92)의 엔진(7)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전술한 제2 조절부(95)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부품(91)에 있어서, 좌우의 각 제3 연결부(91C)는, 배기 정화 장치(18)의 대응하는 제3 피연결부(18E)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구멍 등의 나사 결합부(91H)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배기 정화 장치(18)의 각 제3 피연결부(18E)에는, 제1 부품(91)의 대응하는 제3 연결부(91C)와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 구멍(18F)을 형성하고 있다. 각 연결 구멍(18F)은, 제1 부품(91)의 나사 결합부(91H)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102)의 볼트 직경보다도 큰 구멍 직경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연결 구멍(18F)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각 제3 피연결부(18E)의 엔진(7)에 대한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조절부(103)를 구성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8)는 좌우의 제3 피연결부(18E)를, 좌우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좌측의 제3 피연결부(18E)가 배기 정화 장치(18)의 최하부 테두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우측의 제3 피연결부(18E)가 배기 정화 장치(18)의 최하부 테두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2 부품(92)은 2개의 제2 연결부(92A)를, 좌우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제1 부품(91)은 2개의 제3 연결부(91C)를, 배기 정화 장치(18)의 좌우의 제3 피연결부(18E)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상하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배기 정화 장치(18)를 연결한 상태에서는, 좌측의 제3 연결부(91C)가 배기 정화 장치(18)의 최하부 테두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우측의 제3 연결부(91C)가 배기 정화 장치(18)의 최하부 테두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2개의 제2 피연결부(91B)를, 제2 부품(92)에 2개의 제2 연결부(92A)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우측 방향에서 보아(차체의 좌측면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있다.
제2 조절부(95)는 그들의 각 장공(92B)의 짧은 방향의 길이인 상하 방향의 길이를 제1 부품(91)과 제2 부품(92)을 연결하는 볼트(104)의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제2 부품(92)의 엔진(7)에 대한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엔진(7)에 배기 정화 장치(18)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우선, 배기 정화 장치(18)에 지지 프레임(60)의 제2 부품(92)을 볼트 연결한다. 또한, 엔진(7)의 좌측 상단부에 지지 프레임(60)의 제3 부품(93)을 볼트 연결한다. 이어서, 지지 프레임(60)의 제1 부품(61)에 대한 배기 정화 장치(18)의 임시 고정 상태에서의 볼트 연결을 전술한 제3 조절부(103)를 통하여 행한다. 또한, 제1 부품(61)에 대한 제2 부품(92)의 임시 고정 상태에서의 볼트 연결을 전술한 제2 조절부(95)를 통하여 행한다. 그 후, 배기 정화 장치(18) 및 제2 부품(92)을 임시 고정한 제1 부품(61)을 엔진(7)의 피연결부(7C)와 제3 부품(93)에 걸쳐 적재하고, 이 적재 상태에서, 엔진(7)의 피연결부(7C)와 제3 부품(93)에 전술한 제1 조절부(94)를 통하여 임시 고정 상태에서 볼트 연결한다. 그리고, 이 임시 고정 후에, 각 조절부(94, 95, 103)에서의 위치 조절을 행하면서, 배기 정화 장치(18)의 플랜지(18C)를 배기 매니폴드(52)의 플랜지(52B)에 볼트 연결함과 함께, 각 임시 고정 개소를 본 체결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흡기부(18A)의 플랜지(18C)와 각 밴드 부재(57, 58)의 피연결부(57A, 58A)와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개체차 및 배기 정화 장치(18)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하여 배기 정화 장치(18)를 분해하여 다시 조립했을 경우에 발생하는,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배기부(18B)의 플랜지(18C)와 각 밴드 부재(57, 58)의 피연결부(57A, 58A)와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관한 조립 오차, 등에 관계없이, 배기 정화 장치(18)를 엔진(7)에 대한 적정 위치에 고정 장비할 수 있고, 그 결과, 배기 정화 장치(18)의 흡기부(18A)를 엔진(7)의 배기부(7A)에 간단하고 적정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배기 정화 장치(18)에 있어서의 좌우의 제3 피연결부(18E) 및 제1 부품(91)에 있어서의 좌우의 제3 연결부(91C)를, 각각, 우측 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하여 상기의 배치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또한, 제1 부품(91)에 있어서의 2개의 제2 피연결부(91B) 및 제2 부품(92)에 있어서의 2개의 제2 연결부(92A)를, 각각, 우측 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나게 한 것에 의해, 대응하는 배기 정화 장치(18)의 제3 피연결부(18E)와 제1 부품(91)의 제3 연결부(91C)와의 볼트 연결 및 대응하는 제1 부품(91)의 제2 피연결부(91B)와 제2 부품(92)의 제2 연결부(92A)와의 볼트 연결을, 엔진(7)에 대한 제1 부품(91)의 연결부(91D) 및 제3 부품(93)의 볼트 연결 및 배기 정화 장치(18)의 플랜지(18C)와 배기 매니폴드(52)의 플랜지(52B)와의 볼트 연결과 함께, 원동부(2)의 좌외방 개소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엔진(7)에 고정하는 제3 부품(93)에, 제1 부품(91)과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93B)를 구비하고, 또한, 엔진(7) 및 제3 부품(93)에 고정하는 제1 부품(91)에, 제2 부품(92)과의 볼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91G)를 구비함으로써, 제3 부품(93)에 대한 제1 부품(91)의 볼트 연결 조작 및 제1 부품(91)에 대한 제2 부품(92)의 볼트 연결 조작이 원동부(2)의 좌외방 개소로부터 행하기 쉬워진다.
〔2〕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 적어도 제1 부품(61)과 제2 부품(62) 중 어느 한쪽을, 배기 정화 장치(18)의 짧은 방향에서 보아 L자형으로 형성하고, 또한, 제3 부품(63)에 접합하는 저부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61B, 62B)을 형성하고, 이 장공(61B, 62B)에 의해 제1 조절부(64) 또는 제2 조절부(65)를 구성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도, 제1 조절부(64)와 상기 제2 조절부(65)와 각각을, 그들의 장공(61B, 62B)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제1 부품(61) 또는 제2 부품(62)의 엔진(7)에 대한 장공(61B, 62B)의 짧은 방향(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서의 장공(61B, 62B)의 짧은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3〕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는, 제1 피연결부(63A)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61B)을 형성하고, 이 장공(61B)에 의해 제1 조절부(64)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연결부(61A)와 제1 피연결부(63A)의 양쪽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61B)을 형성하고, 이 장공(61B)에 의해 제1 조절부(64)를 구성해도 된다.
〔4〕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는, 제2 피연결부(63B)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62B)을 형성하고, 이 장공(62B)에 의해 제2 조절부(65)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2 연결부(62A)와 제2 피연결부(63B)의 양쪽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62B)을 형성하고, 이 장공(62B)에 의해 제2 조절부(65)를 구성해도 된다.
〔5〕 상기의 다른 실시 형태 〔1〕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는, 피연결부(7C) 및 제1 피연결부(93A)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91E, 91F)을 형성하고, 이 장공(91E, 91F)에 의해 제1 조절부(94)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연결부(91D) 및 제1 연결부(91A)와 피연결부(7C) 및 제1 피연결부(93A)의 각각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91E, 91F)을 형성하고, 이 장공(91E, 91F)에 의해 제1 조절부(94)를 구성해도 된다.
〔6〕 상기의 다른 실시 형태 〔1〕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는, 제2 피연결부(91B)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92B)을 형성하고, 이 장공(92B)에 의해 제2 조절부(95)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2 연결부(92A)와 제2 피연결부(91B)의 양쪽에, 배기 정화 장치(18)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긴 장공(92B)을 형성하고, 이 장공(92B)에 의해 제2 조절부(95)를 구성해도 된다.
〔7〕 상기의 다른 실시 형태 〔1〕에서 예시한 지지 프레임(60)에 있어서는, 제3 연결부(91C)에, 제2 조절부(95)에 있어서의 장공(92B)의 짧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길이가 볼트 직경보다도 큰 연결 구멍(18F)을 형성하고, 이 연결 구멍(18F)에 의해, 제3 피연결부(18E)의 엔진(7)에 대한 장공(92B)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조절부(103)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3 연결부(91C)와 제3 피연결부(18E)의 양쪽에, 제2 조절부(95)에 있어서의 장공(92B)의 짧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길이가 볼트 직경보다도 큰 연결 구멍(18F)을 형성하고, 이 연결 구멍(18F)에 의해, 제3 피연결부(18E)의 엔진(7)에 대한 장공(92B)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조절부(103)를 구성해도 된다.
〔8〕 지지 프레임(60)의 각 나사 결합부(63C, 63D, 91G, 91H, 93B)로서, 나사 구멍, 용접 너트, 용접 볼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9〕 엔진(7)은 예를 들어 횡형 디젤 엔진 등이어도 된다.
〔10〕 배기 정화 장치(18)는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에서 본 형상이 엽전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1〕 배기 정화 장치(18)를 예를 들어, 그 길이 방향이 차체의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횡방향 자세로 장비해도 된다. 또한, 그 길이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기운 경사 자세로 장비해도 된다.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구체적인 내용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는, 차체 프레임(1001)의 전반부에 원동부(1002)를 구비하고, 차체 프레임(1001)의 후반부에 탑승 운전부(100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원동부(1002)의 좌우로 구동 가능한 조타륜으로서의 전륜(1004)을 배치하고, 탑승 운전부(1003)의 좌우로 제동 가능한 구동륜으로서의 후륜(1005)을 배치하여, 4륜 구동형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001)은 그 전반부를 형성하는 전부 프레임(1006)의 후부에, 커먼레일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수냉식의 종형 디젤 엔진(이하, 엔진이라고 칭함)(1007)을 연결하고, 이 엔진(1007)의 하부에 차체 프레임(1001)의 후반부를 형성하는 하우징 유닛(1008)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 유닛(1008)의 전단부에, 원동부(1002)와 탑승 운전부(1003)를 이격하는 격벽체(1009)를 세워 설치하고, 이 격벽체(1009)의 상단부에 정면에서 보아 역U자 형상의 보닛 지지체(1010)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유닛(1008)에 있어서의 격벽체(1009)의 후방 개소에,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문형의 스티어링 프레임(1011)을 후경 자세로 세워 설치하고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1008)은 그 후부에, 트랙터의 후부에 연결하는 로터리 경운 장치나 플라우 등의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좌우 한 쌍의 리프트 아암(1012), 좌우의 리프트 아암(1012)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구동하는 유압식의 리프트 실린더(1013) 및 트랙터의 후부에 로터리 경운 장치 등의 구동형 작업 장치를 연결한 경우에 작업 장치에의 작업용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1014), 등을 장비하고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엔진(1007)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용으로서 좌우의 전륜(1004)과 좌우의 후륜(1005)에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 및 엔진(1007)으로부터의 동력을 작업용으로서 PTO축(1014)에 전달하는 작업 전동계, 등을 장비하고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1002)는 격벽체(1009) 및 보닛(1015) 등에 의해 형성하는 엔진룸에, 엔진(1007), 배터리(1016), 에어 클리너(1017), 원기둥 형상의 배기 정화 장치(1018), 라디에이터(1019), 냉각 팬(1020) 및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연료 탱크(1021), 등을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엔진(1007)은 엔진룸에 있어서의 후반부의 하측에, 그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이 전후 방향이 되는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배터리(1016) 및 에어 클리너(1017)는 엔진룸의 전단부에 배치하고 있다. 배기 정화 장치(1018)는 그 길이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향 자세로, 엔진룸의 후반부에 있어서의 엔진(1007)의 좌반부 상방 개소에 배치하고 있다. 라디에이터(1019) 및 냉각 팬(1020)은 후반부의 엔진(1007)과 전단부의 배터리(1016) 및 에어 클리너(1017) 사이에 배치하고 있다. 연료 탱크(1021)는 그 폭이 좁은 전방부측이 엔진(1007)의 우반부 상방에 위치하고, 그 폭이 넓은 후부측이 격벽체(1009)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14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07)은 그 전단부의 상단부에 지지 부재(1022)를 세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와 격벽체(1009)의 상단부에 걸쳐, 연료 탱크(1021)를 하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지지하는 탱크 지지체(1023)를 가설하고 있다. 탱크 지지체(1023)는 지지 부재(1022)와 격벽체(1009)에 걸쳐 엔진(1007)과 연료 탱크(1021) 사이를 구획하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바닥 차폐판(1024)에, 연료 탱크(1021)의 전방 단부면과 대향하는 전방 차폐판(1025)과, 배기 정화 장치(1018)와 연료 탱크(1021) 사이를 구획하는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가로 차폐판(1026)을 기립 장비하고, 보닛(1015)과의 사이에, 엔진(1007) 및 배기 정화 장치(1018)에 대한 차열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차열 공간을 형성하는 각 차열판(1024 내지 1026)을 이용하여 탱크 지지체(1023)를 구성하고 있다.
바닥 차폐판(1024)은 격벽체(1009)의 상단부로부터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를 향하여 전방 상승의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하방에, 엔진(1007)의 배치 영역 및 에어 클리너(1017)로부터 엔진(1007)에 걸치는 흡기관(1027)의 배관 영역, 등을 확보하고 있다. 연료 탱크(1021)는 그 저면을 바닥 차폐판(1024)을 따른 계단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그 용적을 크게 하면서, 바닥 차폐판(1024)에 대한 전후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쉽게 하고 있다. 그리고, 바닥 차폐판(1024)의 상면에는, 연료 탱크(1021)의 저면과의 사이에 개재 장착하는 판 형상의 복수의 방진 고무(102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 운전부(1003)는 스티어링 휠(1029), 미터 패널(1030) 및 운전 좌석(1031) 등을 구비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1029)은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축 및 전체 유압식의 파워스티어링 기구 등을 통하여 좌우의 전륜(1004)에 연계하고 있다. 스티어링 축은, 스티어링 프레임(1011)과 동일한 후경 자세로 스티어링 프레임(1011)의 상단부에 세워 설치한 스티어링 포스트(1034)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 장비하고 있다. 미터 패널(1030)은 스티어링 프레임(1011)의 상방에서, 또한, 스티어링 포스트(1034)의 전방 위치에 전경 자세로 배치하고 있다.
도 13 내지 17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 지지체(1010)는 그 상단부로부터 전상방으로 향하여 연장하는 좌우의 브래킷(103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 브래킷(1035)의 연장단에 걸쳐 좌우 방향의 지지축(1036)을 가설하고 있다. 한편, 보닛(1015)은 그 천장판 후단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측 개소에, 좌우의 훅 금속 부재(1037)를 그들 후단부측이 개방측이 되는 상태에서 분산 배치하고 있다. 또한, 그 천장판 후단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측 개소에, L자형의 걸림 결합 금속 부재(1038)를 그 후단부측이 개방측이 되는 상태에서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 결합 금속 부재(1038)의 후단부측에, 보닛(1015)과 걸림 결합 금속 부재(1038) 사이에 지지축(1036)을 빠짐 방지 보유 지지하는 빠짐 방지 볼트(1039)를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장비하고, 이에 의해, 각 훅 금속 부재(1037)의 지지축(1036)으로부터의 이탈을 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보닛(1015)에 구비한 좌우의 훅 금속 부재(1037) 및 걸림 결합 금속 부재(1038)를 보닛 지지체(1010)에 구비한 좌우 방향의 지지축(1036)에 걸림 결합한 후, 그 지지축(1036)을 빠짐 방지 볼트(1039)로 빠짐 방지함으로써, 보닛(1015)을 좌우 방향의 지지축(1036)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에 의한 개폐 조작이 가능한 상태에서 보닛 지지체(1010)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 볼트(1039)에 의한 지지축(1036)의 빠짐 방지를 해제함으로써, 보닛 지지체(1010)로부터 보닛(1015)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좌우의 훅 금속 부재(1037)의 각각에 빠짐 방지 볼트(1039)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보닛 지지체(1010)에 대한 보닛(1015)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1015)은 연료 탱크(1021)와 탱크 지지체(1023)의 가로 차폐판(1026) 사이에 배치한 보닛 댐퍼(1040)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요동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보닛 댐퍼(1040)의 가압에 저항하여 폐쇄 자세에서 고정 보유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원동부(1002)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보닛(1015)의 개방 각도를 크게 설정하면, 보닛 댐퍼(1040)로서, 신축 스트로크가 긴 것에 의해 수축 시의 전체 길이도 길어지는 것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닛 댐퍼(1040)는 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인 것으로부터, 폐쇄 자세의 보닛(1015)과 탱크 지지체(1023)로부터 형성하는 차열 공간에 배치하고, 엔진(1007) 및 배기 정화 장치(1018)로부터의 방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열 공간은, 시계성의 확보로부터 높이 제한되는 보닛(1015) 등으로 형성한 엔진룸에 있어서의 냉각 팬(1020)보다도 후방측에서 엔진(1007)보다도 상측의 한정된 영역에서, 배기 정화 장치(1018)의 배관 영역 및 흡기관(1027)의 배관 영역, 등을 제외한 좁은 영역인 것으로부터, 수축 시의 전체 길이가 긴 보닛 댐퍼(1040)의 전체를 수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트랙터에 있어서는, 탱크 지지체(1023)에 있어서의 바닥 차폐판(1024)의 전단부에 댐퍼 삽입 관통용의 개구(1024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실린더 튜브측의 단부를, 보닛(1015)의 내면에 있어서의 좌우 중앙측 개소에 구비한 댐퍼용의 제1 연결 부재(1041)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측의 단부에, 전술한 지지 부재(1022)에 연결하는 댐퍼용의 제2 연결 부재(1042)를 피봇 연결하고 있다.
제2 연결 부재(1042)는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에 수평 자세로 연결하는 연결부(1042A)의 우측 단부로부터 수하하는 수하부(1042B)를 구비하고, 이 수하부(1042B)의 전단부측을 댐퍼 피봇용의 피봇부로서 사용하고 있다. 연결부(1042A)는, 탱크 지지체(1023)의 바닥 차폐판(1024)과 함께,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에 세워 설치한 전후의 스터드 볼트(1043) 등을 사용하여,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에 적재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수하부(1042B)는, 연결부(1042A)를 지지 부재(1022)에 연결한 상태에서는, 바닥 차폐판(1024)의 개구(1024A)에 인입하여 피봇부가 바닥 차폐판(1024)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부터,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실린더 튜브측의 단부를 보닛(1015)의 제1 연결 부재(1041)에 피봇 연결하고, 또한,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측의 단부에 피봇 연결한 제2 연결 부재(1042)를 탱크 지지체(1023)의 바닥 차폐판(1024)과 함께 지지 부재(1022)의 상단부에 적재하여 볼트 연결함으로써, 제2 연결 부재(1042)의 피봇부와 함께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측의 단부를, 바닥 차폐판(1024)보다도 하방의 차열 공간 외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보닛 댐퍼(1040)의 실린더 튜브(1040A)와 함께 피스톤 로드(1040B)에 있어서의 실린더 튜브측의 대부분을, 폐쇄 자세의 보닛(1015)과 탱크 지지체(1023)의 사이의 좁은 차열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즉, 원동부(1002)에 대한 유지 보수를 행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보닛(1015)의 개방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보닛 댐퍼(1040)로서, 신축 스트로크가 긴 것에 의해 수축 시의 전체 길이도 길어지는 것을 채용해도, 보닛(1015)의 폐쇄 상태에서는, 적어도 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보닛 댐퍼(1040)의 실린더 튜브측을 차열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1007) 및 배기 정화 장치(1018)로부터의 방열이 보닛 댐퍼(1040)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닛 댐퍼(1040)에 피봇 연결한 상태의 제2 연결 부재(1042)를 지지 부재(1022)에 연결함으로써, 지지 부재(1022)에 연결한 제2 연결 부재(1042)에 보닛 댐퍼(1040)를 후장착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보닛 댐퍼(104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닥 차폐판(1024)의 개구(1024A)를, 보닛 댐퍼(1040)의 후장착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게다가, 제2 연결 부재(1042)의 피봇부에는, 보닛 댐퍼(1040)에 있어서의 실린더 튜브측보다도 외경이 작은 실린더 튜브측을 연결하는 점에서, 실린더 튜브측을 연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바닥 차폐판(1024)의 개구(1024A)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1007) 및 배기 정화 장치(1018)로부터의 방열이 바닥 차폐판(1024)의 개구(1024A)로부터 차열 공간에 유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엔진(1007) 및 배기 정화 장치(1018)로부터의 방열이 차열 공간 내의 보닛 댐퍼(1040) 등에 미치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보닛 댐퍼(1040)에는 가스 댐퍼 또는 오일 댐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탱크 지지체(1023)는 바닥 차폐판(1024)의 후단부가 격벽체(1009)의 상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바닥 차폐판(1024)의 후단부가 스티어링 프레임(1011)에 인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보닛 지지체(1010)와 스티어링 프레임(1011) 및 미터 패널(1030)과의 사이의 공간을, 연료 탱크(1021)의 배치가 가능한 차열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연료 탱크(1021)는 그 후부측이 바닥 차폐판(1024)의 후단부와 보닛 지지체(1010)의 사이를 통하여 스티어링 프레임(1011) 및 미터 패널(1030)에 인접하는 전후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연료 탱크(1021)의 후부측을, 그 둘레면이 바닥 차폐판(1024)의 후단부 상면과 보닛 지지체(1010)의 내측 테두리에 인접하고, 또한, 그 후단부면의 하부측이 스티어링 프레임(1011)에 인접하는 후경 자세가 되고, 그 후단부면의 상부측이 미터 패널(1030)에 인접하는 전경 자세가 되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즉, 엔진룸의 차열 공간뿐만 아니라, 보닛 지지체(1010)와 스티어링 프레임(1011) 및 미터 패널(1030)과의 사이의 공간도 연료 탱크(1021)의 배치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간을 낭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연료 탱크(1021)를 형성함으로써, 보닛(1015)의 상단부 위치가 높아져서 시계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를 초래할 일 없고, 연료 탱크(1021)의 용적을 대폭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9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 지지체(1010)는 정면에서 보아 역U자 형상으로 형성한 구형 강재를 포함하는 제1 부재(1044)에, 정면에서 보아 역U자 형상으로 형성한 판금제의 제2 부재(1045) 및 연료 탱크 보유 지지용의 탄성체(1046)인 좌우의 고무체(104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연료 탱크(1021)를 좌우로 걸친 상태에서 격벽체(1009)에 세워 설치한 경우에는, 제2 부재(1045)의 외측 테두리가 폐쇄 자세의 보닛(1015)의 내면에 인접하고, 또한, 제2 부재(1045)의 내측 테두리가 연료 탱크(1021)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좌우의 고무체(1046)가 연료 탱크(1021)의 상부측에 작용하여 연료 탱크(1021)의 후부측을 탱크 지지체(1023)에 있어서의 바닥 차폐판 상의 소정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연료 탱크(1021)의 보유 지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닛 지지체(1010)에 있어서, 제1 부재(1044)는 그 좌우의 상단부에, 연료 탱크(1021)의 후부에 있어서의 상측의 좌우 코너부에 구비한 내향 경사부(1021A)에 대향하는 경사부(104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의 경사부(1044A)의 내면에, 좌측용의 고무체(1046)를 접착 등에 의해 고정 장비하고 있다. 또한, 우측의 경사부(1044A)에, 우측의 내향 경사부(1021A)에 대한 직교 방향(연료 탱크(1021)에 대한 원근 방향)을 나사 결합 방향으로 하는 상하 2개의 나사 결합부(1044B)를 형성하고, 이 나사 결합부(1044B)를 사용하여 경사부(1044A)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지지판(1047)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지지판(1047)에 있어서의 연료 탱크(1021)의 우측 내향 경사부(1021A)와의 대향면에 우측용의 고무체(1046)를 접착 등에 의해 고정 장비하고 있다.
한편, 탱크 지지체(1023)는 바닥 차폐판(1024)의 전방부측에, 연료 탱크(1021)의 전방부측을 좌우로 걸친 상태에서 바닥 차폐판(1024)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역U자 형상의 고정 밴드(1048)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밴드(1048)는 바닥 차폐판(1024)에 볼트 연결한 상태에서는, 연료 탱크(1021)의 전방부측에 형성한 고정 밴드 걸림 삽입의 홈부(1021B)에 걸림 삽입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연료 탱크(1021)의 홈부(1021B)는, 고정 밴드(1048)의 대역폭보다도 조금 넓은 홈폭을 갖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연료 탱크(1021)를 탱크 지지체(1023)에 있어서의 바닥 차폐판(1024)의 소정 위치에 적재한 후, 고정 밴드(1048)를 바닥 차폐판(1024)에 볼트 연결하면, 연료 탱크(1021)의 홈부(1021B)에 고정 밴드(1048)가 걸림 삽입된다. 또한, 바닥 차폐판(1024)에 구비한 방진 고무(1028)의 탄성력이, 연료 탱크(1021)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의 저면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작용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021)의 전방부측을, 연료 탱크(1021)의 홈부(1021B)와 고정 밴드(1048)의 걸림 결합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 상태에서, 바닥 차폐판(1024)의 방진 고무(1028)와 고정 밴드(1048) 사이에 끼움 지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지지체(1010)의 제1 부재(1044)에 있어서의 우측의 경사부(1044A)에, 우측용의 고무체(1046)를 구비한 지지판(1047)을 볼트 연결하면, 우측의 고무체(1046)의 탄성력이, 연료 탱크(1021)에 있어서의 우측의 내향 경사부(1021A)에 대하여 연료 탱크(1021)의 우외측 상방으로부터 작용한다. 또한, 좌측의 고무체(1046)의 탄성력이, 연료 탱크(1021)에 있어서의 좌측의 내향 경사부(1021A)에 대하여 연료 탱크(1021)의 좌 외측 상방으로부터 작용한다. 또한, 바닥 차폐판(1024)에 구비한 방진 고무(1028)의 탄성력이, 연료 탱크(1021)에 있어서의 후부측의 저면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작용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1021)의 후부측을, 바닥 차폐판(1024)의 방진 고무(1028)와 보닛 지지체(1010)의 좌우 고무체(1046) 사이에 끼움 지지 유지할 수 있다.
즉, 보닛 지지체(1010)를 연료 탱크(1021)의 후부측을 소정 위치에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로 겸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연료 탱크(1021)의 조립에 필요로 하는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하면서도, 탱크 지지체(1023)의 바닥 차폐판(1024)에 고정 밴드(1048)를 볼트 연결하고, 보닛 지지체(1010)에 우측용의 고무체(1046)를 구비한 지지판(1047)을 볼트 연결하는 것만으로, 연료 탱크(1021)의 조립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7, 도 19 및 도 21 내지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닛 지지체(1010)는 제2 부재(1045)에 있어서의 내주측의 상부 테두리부와 좌우의 테두리부의 각각에 보닛 지지체(1010)와 연료 탱크(1021)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막는 스펀지제의 시일 부재(1049)의 후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2개의 오목부(1045A)를,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형성하고 있다. 시일 부재(1049)는 상부 테두리용과 좌측 테두리용과 우측 테두리용의 3종류가 있고, 그들의 전방면에, 대응하는 오목부(1045A)에 대한 후방으로부터의 걸림 지지 감합을 가능하게 하는 걸림부(1049A)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격벽체(1009)에 보닛 지지체(1010)를 세워 설치하여 연료 탱크(1021)를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각 시일 부재(1049)를 보닛 지지체(1010)의 제2 부재(1045)에 대하여 제2 부재(1045)의 후방으로부터, 보닛 지지체(1010)와 연료 탱크(1021)의 간극을 막는 상태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연료 탱크(1021)는 예를 들어, 그 전단부가 엔진(1007)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전후 길이를 짧게 한 것이어도 된다.
〔2〕 연료 탱크(1021)는 예를 들어, 그 상측의 코너부에 내향 경사부(1021A)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3〕 연료 탱크(1021)는 예를 들어, 그 저면을 평평하게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4〕 탱크 지지체(1023)는 예를 들어, 전방 차폐판(1025)과 가로 차폐판(1026)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것이어도 된다.
〔5〕 탱크 지지체(1023)는 예를 들어, 바닥 차폐판(1024)을 평평하게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6〕 탱크 지지체(1023)는 예를 들어, 바닥 차폐판(1024) 대신에, 평면에서 보아 격자 형상의 탱크 적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7〕보닛 지지체(1010)는 예를 들어, 그 상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에 단일의 탄성체(1046)를 장비하고, 연료 탱크(1021)를 탱크 지지체(1023)와 탄성체(1046)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끼움 지지하여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8〕보닛 지지체(1010)는 예를 들어, 그 좌우 양측부에 좌우의 탄성체(1046)를 장비하고, 연료 탱크(1021)를 좌우의 탄성체(1046)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끼움 지지하여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9〕보닛 지지체(1010)는 예를 들어, 그 상단부의 좌우 중앙 개소와 좌우 양측부의 각각에 탄성체(1046)를 장비하고, 연료 탱크(1021)를 탱크 지지체(1023)와 탄성체(1046) 사이에서의 상하 방향의 끼움 지지와, 좌우의 탄성체(1046)의 사이에서의 좌우 방향의 끼움 지지로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0〕보닛 지지체(1010)는 예를 들어, 그 상단부의 좌우 양단 개소에, 연료 탱크(1021)에 있어서의 상측의 좌우 코너부에 대하여 연료 탱크(1021)의 가로 외측 상방으로부터 작용하는 좌우의 탄성체(1046)를 장비하고, 연료 탱크(1021)를 탱크 지지체(1023)와 좌우의 탄성체(1046) 사이에 끼움 지지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11〕 탄성체(1046)를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또한, 고무체와 압축 스프링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12〕보닛 지지체(1010)에 구비하는 모든 탄성체(1046)를 보닛 지지체(1010)에 고정 장비해도 되고, 또한, 보닛 지지체(1010)에 구비하는 모든 탄성체(1046)를 보닛 지지체(1010)에 착탈 가능하게 장비해도 된다.
〔13〕 예를 들어, 원동부(1002)를 차체의 후부측에 배치하는 것 등에 의해, 보닛(1015)을 그 전방부측을 지지점으로 한 상하 요동에 의해 개폐 조작하도록 구성한 작업차에 있어서는, 연료 탱크(1021)의 전방부측을 보닛 지지체(1010) 및 탄성체(1046)에 의해 고정 보유 지지하고, 연료 탱크(1021)의 후부측을 고정 밴드(1048)에 의해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은 배기부를 갖는 엔진과, 배기부에 접속하는 흡기부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와,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트랙터,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백호, 또는, 운반차 등의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 탱크 및 보닛 지지체를 구비한 트랙터, 승용 예초기, 승용 전식기, 백호, 또는, 운반차 등의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7: 엔진
7A: 배기부
7C: 피연결부
18: 배기 정화 장치
18A: 흡기부
18E: 제3 피연결부
18F: 연결 구멍
60: 지지 프레임
61: 제1 부품
61A: 제1 연결부
61B: 장공
62: 제2 부품
62A: 제2 연결부
62B: 장공
63: 제3 부품
63A: 제1 피연결부
63B: 제2 피연결부
63C: 나사 결합부
63D: 나사 결합부
64: 제1 조절부
65: 제2 조절부
91: 제1 부품
91A: 제1 연결부
91B: 제2 피연결부
91C: 제3 연결부
91D: 연결부
91E: 장공
91F: 장공
91G: 나사 결합부
92: 제2 부품
92A: 제2 연결부
92B: 장공
93: 제3 부품
93A: 제1 피연결부
93B: 나사 결합부
94: 제1 조절부
95: 제2 조절부
103: 제3 조절부
1010: 보닛 지지체
1021: 연료 탱크
1021B: 홈부
1023: 탱크 지지체
1046: 탄성체
1048: 고정 밴드

Claims (11)

  1. 삭제
  2. 배기부를 갖는 엔진과, 상기 배기부에 접속하는 흡기부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연결하는 제1 부품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제2 부품과, 상기 엔진에 연결하는 제3 부품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1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2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1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있고,
    상기 제1 부품은,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2 부품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연결부의 경우와 동일한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3 부품은, 2개의 상기 제1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또한,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에 상기 장공을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제1 피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3. 배기부를 갖는 엔진과, 상기 배기부에 접속하는 흡기부를 갖는 배기 정화 장치와, 상기 배기 정화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에 연결하는 제1 부품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측에 연결하는 제2 부품과, 상기 엔진에 연결하는 제3 부품으로 분할 가능한 3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제1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의 각각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제1 부품 또는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상기 제1 부품은, 2개의 제1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2 부품은, 2개의 제2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연결부의 경우와 동일한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3 부품은, 2개의 제1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또한, 2개의 제2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2개의 상기 제1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에 상기 장공을 형성하고, 2개의 상기 제1 피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엔진에 구비한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3 부품에 구비한 제1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부품에 구비한 제2 피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피연결부 및 상기 제1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적어도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제2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한 장공에 의해 구성하고 있는,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의 길이를 볼트 직경보다도 크게 하여, 상기 제2 부품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배기 정화 장치에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상기 제1 부품을 향하여 연장하는 제3 피연결부에 볼트 연결하는 제3 연결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3 연결부와 상기 제3 피연결부 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제2 조절부에서의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길이가 볼트 직경보다도 큰 연결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멍에 의해, 상기 제3 피연결부의 상기 엔진에 대한 상기 장공의 짧은 방향에서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3 조절부를 구성하고 있는, 작업차.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정화 장치는, 2개의 상기 제3 피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그 짧은 방향과 직교하는 짧은 방향으로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2 부품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를,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상기 제1 연결부의 경우와 동일한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1 부품은, 2개의 상기 제3 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3 피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1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그 짧은 방향과 직교하는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2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또한,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를,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짧은 방향으로 상기 제3 설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그 짧은 방향에서의 일방향에서 보아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배기 정화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4 설정 거리만큼 위치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고,
    상기 제1 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연결부의 각각에 상기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피연결부와 2개의 상기 제2 피연결부의 각각에 나사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117574A 2014-01-31 2014-09-04 작업차 KR101641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7372 2014-01-31
JP2014017373A JP6230433B2 (ja) 2014-01-31 2014-01-31 作業車
JPJP-P-2014-017373 2014-01-31
JP2014017372A JP6258052B2 (ja) 2014-01-31 2014-01-31 作業車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576A Division KR102089827B1 (ko) 2014-01-31 2016-07-13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210A KR20150091210A (ko) 2015-08-10
KR101641421B1 true KR101641421B1 (ko) 2016-07-20

Family

ID=537272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574A KR101641421B1 (ko) 2014-01-31 2014-09-04 작업차
KR1020160088576A KR102089827B1 (ko) 2014-01-31 2016-07-13 작업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576A KR102089827B1 (ko) 2014-01-31 2016-07-13 작업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499045B2 (ko)
KR (2) KR101641421B1 (ko)
CN (2) CN1048166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5552B2 (ja) 2014-05-29 2018-02-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BR102015019177B1 (pt) * 2014-08-14 2022-10-11 Cnh Industrial America Llc Conjunto de montagem para um silenciador de um veículo fora de estrada e seu método de montagem
JP6438341B2 (ja) * 2014-10-15 2018-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GB2557248B (en) * 2016-12-01 2019-06-12 Perkins Engines Co Ltd Mounting interface for exhaust gas treatment assembly
GB2570667B (en) * 2018-01-31 2021-03-17 Perkins Engines Co Ltd Adjustable mounting for exhaust treatment component
US20190283573A1 (en) * 2018-03-16 2019-09-19 Kwang Yang Motor Co., Ltd. Tank holding device and a vehicle having the same
JP6708685B2 (ja) * 2018-03-23 2020-06-10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のタンク
JP6752248B2 (ja) 2018-03-23 2020-09-0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9854349B (zh) * 2019-03-29 2024-02-27 三一重机有限公司 废气后处理装置安装结构及挖掘机
JP7211922B2 (ja) 2019-09-27 2023-01-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110985182A (zh) * 2019-12-02 2020-04-10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后处理组件、发动机系统以及挖掘机
JP2022101318A (ja) * 2020-12-24 2022-07-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4782B2 (en) 2004-07-28 2008-12-16 Kubota Corporation Tractor with cabi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324A (en) * 1991-01-24 1993-02-16 Brandon Jr Darrell W Packaged hydraulic oil tank assembly and attachment kit
JPH08132897A (ja) 1994-11-09 1996-05-28 Kubota Corp 作業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US6886861B2 (en) * 2003-02-19 2005-05-0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unk mounted fuel tank assembly
JP4423109B2 (ja) 2004-05-31 2010-03-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4917854B2 (ja) * 2006-09-05 2012-04-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4829760B2 (ja) * 2006-12-04 2011-12-07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US8100212B2 (en) * 2008-03-24 2012-01-24 Kubota Corporation Tractor
JP4568342B2 (ja) * 2008-03-24 2010-10-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4897757B2 (ja) 2008-09-09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JP5311203B2 (ja) * 2008-10-31 2013-10-09 スズキ株式会社 燃料タンク支持構造
WO2010055717A1 (ja) * 2008-11-11 2010-05-20 日立建機株式会社 排気ガス処理装置
JP5149870B2 (ja) * 2009-06-17 2013-02-20 株式会社クボタ 走行車両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11033228A (ja) 2009-07-30 2011-02-1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熱回収装置の取付構造
JP2011099373A (ja) 2009-11-05 2011-05-19 Toyota Motor Corp 排気冷却用接続管
JP5212441B2 (ja) * 2010-09-03 2013-06-1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燃料タンク取付装置
JP5422528B2 (ja) * 2010-09-15 2014-02-19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エンジンとその排気処理装置の取り付け方法
KR20120052511A (ko) * 2010-11-16 2012-05-24 대동공업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배기가스 후처리장치의 취부구조
CN202071683U (zh) * 2011-05-18 2011-12-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箱安装结构
JP5911758B2 (ja) 2011-07-29 2016-04-2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排気装置
CN102897020B (zh) * 2011-07-29 2016-01-20 株式会社久保田 作业车的排气装置
JP5865040B2 (ja) 2011-11-30 2016-02-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5798515B2 (ja) 2012-03-13 2015-10-21 株式会社クボタ 排気処理装置付きの立形直列多気筒エンジン
CN202935161U (zh) * 2012-11-23 2013-05-15 武汉惠恒实业有限公司 汽车燃油箱固定带
US20150097364A1 (en) * 2013-10-08 2015-04-09 EcoDual, Inc. Hook and Loop Mechanism for Prevention of Fuel Tank Rot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4782B2 (en) 2004-07-28 2008-12-16 Kubota Corporation Tractor with ca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16626A (zh) 2015-08-05
US20150217634A1 (en) 2015-08-06
CN107054063B (zh) 2019-08-09
US9499045B2 (en) 2016-11-22
KR20150091210A (ko) 2015-08-10
KR20160089306A (ko) 2016-07-27
KR102089827B1 (ko) 2020-03-16
US20170028839A1 (en) 2017-02-02
CN104816626B (zh) 2017-11-10
CN107054063A (zh) 2017-08-18
US10226995B2 (en)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421B1 (ko) 작업차
US10232699B2 (en) Work vehicle
WO2013057902A1 (ja) 産業用車両
US9353502B2 (en) Wheel loader
US8448738B2 (en)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of motorcycle
WO2020248569A1 (zh) 并排式全地形车
JP2014066216A (ja) 作業車の排気処理装置接続構造
JP5671444B2 (ja) エンジン
US8833502B2 (en) Muffler assembly
WO2007032097A1 (ja) トラクタの組立工法及びトラクタ
US9255554B2 (en) Air cleaner structure of motorcycle
JP6230433B2 (ja) 作業車
JP2014065441A (ja) 作業車
JP2014066217A (ja) 作業車
JP6258052B2 (ja) 作業車
JP2013035307A (ja) 作業車のボンネット開閉構造
JP6579781B2 (ja) トラクタ
JP2022101315A (ja) 作業車
JP2013233874A (ja) 作業車
JP2007076560A (ja) トラクタのフロント支持体
WO2016189942A1 (ja) 作業車
JP2007076559A (ja)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支持構造
JP2007062482A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20152261A (ja) 作業車
JP6378036B2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