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718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718B1
KR101902718B1 KR1020177009357A KR20177009357A KR101902718B1 KR 101902718 B1 KR101902718 B1 KR 101902718B1 KR 1020177009357 A KR1020177009357 A KR 1020177009357A KR 20177009357 A KR20177009357 A KR 20177009357A KR 101902718 B1 KR101902718 B1 KR 10190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rame
tank
exhaust ga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451A (ko
Inventor
토시타카 코미야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강도를 구비한 연료 탱크 지지 구조를 갖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좌우 한쌍의 연료 탱크(11)를 주행 기체(2)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있다. 상기 각 연료 탱크(11)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지지판(18)을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15)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과,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을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시킨 좌우 한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 상에 상기 좌우 연료 탱크(11)를 적재 고정하고 있고, 지지 마운트와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287)을 연결 브래킷(282)으로 연결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원발명은 농작업용의 트랙터 또는 토목작업용의 휠 로더라고 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젤 엔진에 관한 고차의 배기가스 규제가 적용되는데에 따라서, 디젤 엔진이 탑재되는 농작업기, 건설기계, 선박 등에 배기가스 중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정화 처리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라고 하는 후처리 장치를 탑재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트랙터 등의 종래의 작업 차량 중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탑재할 때, 보닛 하방의 엔진룸 내에 디젤 엔진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를 1쌍으로 구성하고, 상기 1쌍의 연료 탱크를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을 회피해서 차체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트랙터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배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엔진룸 내에 있어서 라디에이터 등의 열교환기보다 전방 위치에 배터리를 배치하고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일본특허공개 2013-1166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0-042779호 공보
그러나, 상술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를 갖는 디젤 엔진을 트랙터와 같은 작업 차량에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한정된 좁은 탑재 스페이스내에 디젤 엔진 및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뿐만 아니라, 라디에이터나 배터리,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관련의 전자 부품이라고 하는 여러가지 부품을 채워 넣어야 한다.
그러나, 작업 차량의 탑재 스페이스내에서는 구동하는 디젤 엔진의 발열로 디젤 엔진 자체뿐만 아니라, 배기가스 정화 장치도 상당히 고온이 된다. 그 때문에 디젤 엔진이나 배기가스 대책용 장치로부터의 발열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엔진룸 내의 온도 조정이 필요하게 되고, 적절한 배치 구조나 냉각 구조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엔진룸 후방에 배치되는 운전석으로의 가열을 저감시키지 않으면, 오퍼레이터의 거주성이 열악해진다.
또한, 연료 탱크의 설치 위치도 제한되기 때문에, 연료 탱크 전체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형상에 따라서는 오퍼레이터의 승강의 방해도 된다. 그리고, 대용량의 연료 탱크를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충분한 지지 강도를 필요로 한다.
그래서, 본원발명은 이들의 현재의 상태를 검토해서 개선을 실시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은 구동원이 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에 전달시키는 미션부를 구비하고, 좌우 전방부 프레임과 좌우 후방부 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해서 주행 기체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 상에 지지 마운트를 통해서 조종 좌석을 지지시킨 작업 차량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연료 탱크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각 연료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지지판을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과,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을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시킨 좌우 한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상에 상기 좌우 연료 탱크를 적재 고정하고 있고, 상기 지지 마운트와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을 연결 브래킷으로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각각의 전단을 빔 프레임으로 가설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각각의 후단을 상기 미션부의 좌우 측면에 연결시키고, 상기 미션부를 통해서 상기 주행부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를 지지시키고 있고,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 각각을, 상기 빔 프레임 하면 및 상기 미션부 하면과 체결시켜서 매어 달아 고정한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연료 탱크가 서로 용량이 다른 연료 탱크이고, 소용량의 제 1 연료 탱크를 탑재한 상기 제 1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에 상기 연료 탱크내의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는 유수 분리기를 탑재시키고 있고, 상기 제 1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기가 상기 제 1 연료 탱크의 전방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마운트와 연결시킨 상기 횡가로대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조종 좌석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을 연결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은 구동원이 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에 전달시키는 미션부를 구비하고, 좌우 전방부 프레임과 좌우 후방부 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해서 주행 기체를 구성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연료 탱크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각 연료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지지판을,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과,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을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시킨 좌우 한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상에 상기 좌우 연료 탱크를 적재 고정하고 있고,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의 일단측에 배터리를 지지시킨 것이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지지 마운트를 통해서 상기 주행 기체 상부에 조종 좌석을 지지시키고 있고, 상기 지지 마운트 중 상기 조종 좌석의 전측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 마운트의 일방과 연결시킨 연결 브래킷에, 배터리 케이스를 지지시키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시킨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덮는 보닛 근방으로서 상기 조종 좌석의 일측방 하측에 상기 배터리를 지지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조종 좌석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을 상기 조종 좌석의 좌우 하부측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스텝의 일부를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엔진 상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후처리 장치와, 상기 후처리 장치로부터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구비하고,
U자 형상으로 구성한 상기 배기관을 상기 조종 좌석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고, 상기 배기관의 하측에 배수용의 드레인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드레인 구멍의 하측을 편측으로부터 덮는 풍향판을 상기 배기관에 연결시킨 것으로 해도 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탱크 지지판을 후방부 프레임으로 지지시킨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연료 탱크의 탑재 부분만을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탱크 지지판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면서, 중량물이 되는 연료 탱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을 빔 프레임 및 미션부에 체결함으로써 중량물이 되는 연료 탱크를 지지하는 탱크 지지판을 강성이 높은 빔 프레임 및 미션부에 고정하는 것이 되고, 연료 탱크를 고강성이면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브래킷을 통해서 강도 멤버인 기체 프레임에 배터리를 지지시키는 것이 되어 배터리의 지지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외부에서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는 엔진 및 조종 좌석 각각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배터리를 배치할 수 있어 전력 공급용 하니스의 단축을 도모한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브래킷 및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을 통해서 강도 멤버인 기체 프레임에 스텝을 지지시키는 것이 되고, 스텝의 지지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하면, 드레인 구멍을 풍향판으로 덮음으로써 풍향판에 의한 덮개가 없는 방향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내의 고온이 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했을 때에, 배기관 근방에 설치된 하니스나 배터리 등의 내열성 또는 내수성이 낮은 부품에 대한 열에 의한 손상이나 누수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작업 차량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작업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작업 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동 작업 차량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동 작업 차량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주행 기체를 좌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주행 기체를 우측으로부터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디젤 엔진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룸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동 작업 차량의 주행 기체와 플라이휠 하우징의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도이다.
도 17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내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내 전방 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동 작업 차량에 설치된 콘덴서 및 오일 쿨러의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동 작업 차량의 엔진룸내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동 엔진룸내의 프레임 구성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2는 동 엔진룸에 보닛 쉴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23은 연료 탱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저면도이다.
도 24는 연료 탱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배터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배터리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배터리의 탑재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배터리 커버의 개폐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a)가 배터리 커버를 슬라이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b)가 배터리 커버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9는 디젤 엔진과 라디에이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0은 디젤 엔진에 부속시키는 부품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31은 엔진룸내의 각 부품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2는 디젤 엔진과 테일 파이프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은 테일 파이프 하측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1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트랙터(1)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트랙터(1)의 주행 기체(2)는 주행부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차륜(3)과 같이 좌우 한쌍의 후차륜(4)으로 지지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탑재한 동력원으로서의 커먼 레일식의 디젤 엔진(5)(이하, 단지 엔진이라고 한다)으로 후차륜(4) 및 전차륜(3)을 구동함으로써, 트랙터(1)가 전후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엔진(5)은 보닛(6)으로 덮여 있다. 주행 기체(2)의 상면에는 캐빈(7)이 설치되고, 상기 캐빈(7)의 내부에는 조종 좌석(8)과, 조타함으로써 전차륜(3)의 조향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도록 한 조종 핸들(환형 핸들)(9)이 배치되어 있다. 캐빈(7)의 외측 하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스텝(10)이 설치되어 있다. 캐빈(7)의 저부보다 하측에는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전방 범퍼(프레임 연결 부재)(12) 및 전방 차축 케이스(13)를 갖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과,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후방부 프레임)(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으로부터 외향으로 전방 차축(16)을 회전 가능하게 돌출시키고 있다. 전방 차축 케이스(13)의 좌우 양단측에 전방 차축(16)을 통해서전차륜(3)을 부착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에는 엔진(5)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적당하게 변속해서 전후 사륜(3, 3, 4, 4)에 전달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17)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및 미션 케이스(17)의 하면측에는 좌우외향으로 돌출한 저면에서 본 직사각형 프레임 판형상의 탱크 프레임(18)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연료 탱크(11)는 좌우 2개로 나뉘어져 있다. 탱크 프레임(18)의 좌우 돌출부의 상면측에, 좌우의 연료 탱크(11)를 나눠서 탑재하고 있다. 탱크 프레임(18)은 우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탱크 프레임(18) 우측의 연장 부분에 배터리(272)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탱크 프레임(18) 우측의 연장 부분에, 스텝(10)의 1개를 고정시키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외측면에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 (19)를 외향으로 돌출하도록 장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에는 좌우의 후차축(20)을 회전 가능하게 내삽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에 후차축(20)을 통하여 후차륜(4)을 부착하고 있다. 좌우의 후차륜(4)의 상방은 좌우의 리어 펜더(21)에 의해 덮여 있다.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로터리 경운기라고 한 작업기를 승강 이동시키는 유압식 승강 기구(22)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는 좌우 한쌍의 로어 링크(23) 및 탑 링크(24)로 이루어지는 3점 링크 기구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후방부에 연결된다. 미션 케이스(17)의 후측면에는 로터리 경운기 등의 작업기에 PTO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PTO축(25)을 후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엔진(5)의 후측면으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하는 엔진 출력축(53)에는 플라이휠(61)을 직결하도록 부착하고 있다. 양단에 자재 축 이음매를 갖는 동력 전달축(29)을 통해서 플라이휠(61)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주동축(27)과, 미션 케이스(17) 전면측으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주변속 입력축(28)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내에는 유압 무단 변속기, 전후진 스위칭 기구,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 및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엔진(5)의 회전 동력은 주동축(27) 및 동력 전달축(29)을 경유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에 전달되고,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해 적당하게 변속된다. 그리고, 상기 변속 동력이 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통해서 좌우의 후차륜(4)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의 전면 하부로부터 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출력축(30)에는 전차륜 구동축(31)을 통해서,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도시생략)를 내장하는 전방 차축 케이스(13)로부터 후향으로 돌출한 전차륜 전달축(도시생략)을 연결하고 있다. 미션 케이스(17)내의 유압 무단 변속기 및 주행 부변속 기어 기구에 의한 변속 동력은 전차륜 출력축(30), 전차륜 구동축(31) 및 전차륜 전달축으로부터 전방 차축 케이스(13)내의 전륜용 차동 기어 기구를 경유하여 좌우 전차륜(3)에 전달된다.
미션 케이스(17)는 주변속 입력축(28) 등을 갖는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와, 후차축 케이스(19) 등을 갖는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와,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의 후측에 후방부 변속 케이스(113)의 전방측을 연결시키는 중간 케이스(114)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측면에 좌우의 상하 기체 연결 축체(115, 116)를 통해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한다. 즉, 2개의 상부 기체 연결축체(115)와, 2개의 하부 기체 연결축체(116)로 중간 케이스(114)의 좌우 양측면에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후단부를 연결시키고, 기체 프레임(15)과 미션 케이스(17)를 일체적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주행 기체(2)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또한,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사이에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또는 동력 전달축(29) 등을 배치하고, 전방부 변속 케이스(112) 등을 보호하도록 주행 기체(2)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캐빈(7)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좌우의 전방 지지 마운트(96)와, 캐빈(7)의 후방부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방 지지 마운트(97)를 구비한다.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기외 측면 중 전단부에 전방 지지 마운트(96)를 볼트 체결시키고, 전방 지지 마운트(96)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8)를 통해서 캐빈(7)의 전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좌우 방향에 수평으로 연장 설치되는 좌우의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 중 좌우폭 중간부에 후방 지지 마운트(97)를 볼트 체결시키고, 후방 지지 마운트(97)의 상면측에 방진 고무체(99)를 통해서 캐빈(7)의 후측 저부를 방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주행 기체(2)는 복수의 방진 고무체(98, 99)를 통해서 캐빈(7)을 방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단면 끝면이 대략 사각통 형상의 후차축 케이스(19)를 사이에 두고 후차축 케이스(19)의 상면측에 후방 지지 마운트(97)를 배치하고, 후차축 케이스(19)의 하면측에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배치하고, 후방 지지 마운트(97)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을 볼트(102) 체결하고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한 로어 링크(23)의 중간부와 진동 방지 브래킷(101)에, 신축 조절 가능한 턴 버클이 있는 진동 방지 로드체(103)의 양 단부를 연결하고, 로어 링크(23)의 좌우 방향의 요동을 방지하고 있다.
주행 기체(2) 상에 있는 조종 좌석(8)을 덮는 캐빈(7)은 골조를 구성하는 캐빈 프레임(300)을 구비하고 있다. 캐빈 프레임(300)은 조종 좌석(8)의 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전방 지주(301)와, 조종 좌석(8)의 후방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후방 지주(302)와, 전방 지주(301)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빔 부재(303)와, 후방 지주(302)끼리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빔 부재(304)와, 전후로 나열된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좌우의 측방 빔 부재(305)를 구비한 대략 상자 프레임 형상의 것이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 즉, 전방 빔 부재(303), 후방 빔 부재(304) 및 좌우의 측방 빔 부재(305)로 구성한 직사각형 프레임 상에는 지붕체(306)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전방 지주(301)와 후방 지주(302)의 하단측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의 길이 방향 각 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좌우의 저부 프레임(311) 상면측에 바닥판(40)을 텐션 설치시키고, 바닥판(40) 전단측에 데쉬보드(33)를 세워서 설치시키고, 데쉬보드(33)의 후면측에 스티어링 컬럼(32)을 통해서 조종 핸들(9)을 설치하고 있다. 바닥판(40)의 전방부 상면측에 브레이크 페달(35) 등이 설치됨과 아울러, 바닥판(40)의 후방부 상면측에 조종 좌석(8)이 부착되어 있다.
캐빈 프레임(301)의 상단측에 부착한 지붕체(306)의 후방부에는 캐빈(7)내의 공조를 관리하는 공기 조화기(364)를 수용하고 있다. 공기 조화기(364)는 엔진(5)의 냉각수를 이용한 난방이나,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컴프레서(211), 콘덴서(275) 및 에바포레이터 등을 이용한 냉방에 의해 캐빈(7)내의 공조(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364)에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80)가 캐빈 프레임(301)에 따라서 전방 하측까지 배관되어 있다.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리어 윈드 글래스(322) 및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의 배치 구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각 지주(301, 302) 및 각 빔 부재(303, 304, 305)는 캐빈(7)(캐빈 프레임(300))의 측변부에 위치하고 있다. 즉,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창을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캐빈 프레임(300)의 전후 좌우 측면에,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리어 윈드 글래스(322), 투명한 유리제의 좌우의 사이드 도어(323)를 배치하고 있다. 그 결과, 오퍼레이터의 전후 좌우의 시계를 널리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서, 캐빈 프레임(300)의 강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엔진(5)은 엔진 출력축(53)과 피스톤을 내장하는 실린더 블록(54) 상에 실린더 헤드(55)를 탑재하고 있고, 실린더 헤드(55) 우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를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헤드(55) 좌측면에 배기 매니폴드(57)를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을 따르는 양측면에, 흡기 매니폴드(56)와 배기 매니폴드(57)를 나눠서 배치한다. 디젤 엔진(5)에 있어서의 실린더 블록(54) 전면에 냉각팬(59)을 배치하는 한편, 실린더 블록(54) 후면에 플라이휠(61)을 배치한다. 즉, 엔진(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양측면에 플라이휠(61)과 냉각팬(59)을 나눠서 배치한다.
플라이휠(61)은 플라이휠 하우징(60)내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53)의 후단측에 플라이휠(61)을 축지지한다. 작업 차량의 작동부에 출력축(53)을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동력을 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60)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설치하고 있다.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의 피니언 기어는 플라이휠(61)의 링 기어에 맞물리고 있다. 디젤 엔진(5)을 시동시킬 때는 스타터(69)의 회전력으로 플라이휠(61)의 링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출력축(53)이 회전 개시한다(소위, 크랭킹이 실행된다). 또한, 플라이휠 하우징(60) 상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설치하고 있다. 기관 다리 부착부(60a)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볼트 체결 가능하다.
디젤 엔진(5)은 실린더 블록(54)의 하면에는 오일팬(62)을 배치한다. 오일팬(62)내의 윤활유는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배치된 오일 필터(63)를 통하여 디젤 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된다. 또한, 오일 필터(63)는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통해서 실린더 블록(54)의 우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54)에 설치된 유로와의 연결구(오일 필터 부착 위치)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일측면(좌측면)을 연결시키고,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의 타측면(우측면) 상측에 오일 필터(63)를 부착한다.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으로의 부착시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를 개재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오일 필터(63)는 실린더 블록(54)에 있어서의 본래의 부착 위치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되고, 좌우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엔진(5)을 탑재한 경우라도 주행 기체(2)에 간섭하는 경우가 없다. 즉,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의해, 오일 필터(63)는 엔진 프레임(1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우측 엔진 커버(232)는 하부 가장자리 일부를 노치한 형상으로 하고, 오일 필터(63) 전면을 우측 엔진 커버(232)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오일 필터(63)에 대하여 액세스하기 쉬워지고, 용이하게 오일 필터(63)를 교환할 수 있다.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는 그 내부에 유로(도시생략)를 구비하고 있고, 오일 펌프(도시생략)로 오일팬(62)으로부터 흡인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내의 유로(도시생략)로부터 받고, 오일 필터(63)에 공급시킨다. 또한,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를 실린더 블록(54)에 환류시켜서, 엔진(5)의 각 윤활부에 공급시킨다. 이 때, 오일 필터(63)로 여과한 윤활유의 일부를 윤활유 토출구(88b)로부터 윤활유 공급관(89)을 통해서 외부 부품에 공급시킨다. 오일 필터(63)로부터 외부 부품으로의 윤활유 유로의 일부를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내의 유로로 구성시키기 때문에, 오일 필터 지지 부재(88)에 복수의 기능을 공용화시킬 수 있어 엔진 장치의 구성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디젤 엔진(5)은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 펌프(64)와, 인젝터에 연료를 압송하는 원통 형상의 커먼 레일(66)과, 연료 탱크(11)로부터의 연료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67)와, 흡기 매니폴드(56)과 연결한 EGR 장치(75)를 그 우측면에 구비한다. 연료 탱크(11)의 연료는 연료 필터(67)를 통해서 연료 공급 펌프(64)에 공급된 후, 연료 공급 펌프(64)로부터 커먼 레일(66)로 압송된다. 따라서, 고압의 연료가 커먼 레일(66)에 축적되기 때문에, 각 인젝터의 연료 분사 밸브를 각각 개폐 제어함으로써 커먼 레일(66)내의 고압의 연료가 각 인젝터로부터 엔진(5)의 각 기통에 분사된다.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냉각팬(59)측)에는 냉각수 윤활용의 냉각수 펌프(71)가 냉각팬(59)의 팬축과 동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71)는 엔진 출력축(53)의 회전으로 냉각팬(59)과 아울러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 차량에 탑재된 라디에이터(235)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상부에 설치된 서모스탯 케이스(70)을 통하여 냉각수 펌프(71)에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으로 냉각수가 실린더 헤드(55) 및 실린더 블록(56)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생략)에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한다. 디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간다. 또한, 위치 관계 상, 냉각수 펌프(71)는 냉각팬(59)과 대치하고 있어서, 냉각팬(59)으로부터의 냉각풍이 냉각수 펌프(71)에 닿게 된다. 라디에이터(235)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공급되어 디젤 엔진(5)을 냉각한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우 측면에는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각 기관 다리 부착부(74)에는 방진 고무를 갖는 전방부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38)를 각각 볼트 체결 가능하다.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에 실린더 블록(54)을 협지시키도록 실린더 블록(54)측의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각 엔진 프레임(14)에 기관 다리체(238)를 통해서 볼트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차량의 양 엔진 프레임(14)이 디젤 엔진(5) 전방측을 지지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우측면 입구부에 신선 공기(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흡기 연락관(76)을 연결시키고 있고,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입구측(상류측)에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상면 입구부에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공급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흡기 매니폴드(56)는 흡기 연락관(76)의 흡기 출구측(하류측) 및 EGR 밸브 부재(79)의 연결 부분(후방 부분)을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의 본체 케이스로서 구성하고 있다. 즉,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이 EGR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EGR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주로 디젤 엔진(5)의 우측, 구체적으로는 실린더 헤드(55)의 우측방에 위치하고 있고, 디젤 엔진(5)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과 신선 공기를 혼합시켜 흡기 매니폴드(56)에 공급한다. 장치(배기가스 재순환 장치)(75)는 흡기 매니폴드(56)의 일부로 구성한 EGR 본체 케이스와, 흡기 매니폴드(56)와 연통하는 흡기 연락관(76)과, 흡기 연락관(76)에 설치한 흡기 스로틀 부재(77)와, 배기 매니폴드(57)에 EGR 쿨러(80)를 통해서 접속되는 재순환 배기가스관(78)과, 재순환 배기가스관(80)에 흡기 매니폴드(56)를 연통시키는 EGR 밸브 부재(79)를 구비하고 있다. 엔진(5)은 양측면에 나눠서 배치한 EGR 쿨러(80)와 EGR 장치(75)를, 환류 관로로서 엔진(5) 후면(플라이휠(61)측)을 우회시킨 재순환 배기가스관(78)에 접속한다.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흡기 연락관(76)을 통해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는 EGR 밸브 부재(79)를 통해서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출구측도 접속하고 있다.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의 입구측은 EGR 쿨러(80)를 통해서 배기 매니폴드(57)에 접속하고 있다. EGR 밸브 부재(79)내에 있는 EGR 밸브의 개도를 조절함으로써,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으로의 EGR 가스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흡기 연락관(76) 및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 신선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 EGR 가스를 공급한다. 외부로부터의 신선 공기와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EGR 가스가 흡기 매니폴드(56)의 흡기 도입측에서 혼합된다. 디젤 엔진(5)으로부터 배기 매니폴드(57)로 배출된 배기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디젤 엔진(5)으로 환류함으로써, 고부하 운전시의 최고 연소 온도가 저하하고, 디젤 엔진(5)으로부터의 NOx(질소 산화물)의 배출량이 저감한다.
엔진(5)은 배기 매니폴드(204)로부터의 배기가스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는 터보 과급기(81)를 구비한다. 터보 과급기(81)는 블로어 호일을 내장한 컴프레서 케이스(83)를 구비하고 있고,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도입측을 급기관(222)을 통해서 에어클리너(221)의 흡기 배출측과 접속하는 한편, 컴프레서 케이스(83)의 흡기 배출측을 상류측 중계관(223)과 접속한다. 터보 과급기(81)는 터빈 호일을 내장한 터빈 케이스(82)를 구비하고 있고,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도입측을 배기 매니폴드(57)의 배기가스 출구와 연결하는 한편, 터빈 케이스(82)의 흡기 배출측을 후처리 장치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와 연결한다.
디젤 엔진(5)은 연속 재생식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일단측(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가스 배출측과,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있어서, 배기가스 입구관(161)이 하방 좌측을 향해서 개구하고 있는 한편, 배기가스 출구관(162)이 우측 상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와 연통하고 있는 배기 연락관(84)과 접속하고 있고, 이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을 배기 매니폴드(204)에 볼트 체결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지지체(DPF 지지체)로서 구성하고 있다. 배기 연락관(85)은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의 배기 배출측에 배기 도입측을 볼트 체결하는 한편, 배기 배출측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161)에 체결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매니폴드(57)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터보 과급기(81)에 있어서의 터빈 케이스(82)와 배기 연락관(84)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엔진(5)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 고정하는 하우징 지지체로서의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 및 입구측 브래킷체(177)는 엔진(5)의 실린더 헤드(55)에 있어서 엔진 출력축(53)과 교차하는 전면측 및 후면측에 나눠서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7)은 엔진(5)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배기 연락관(84)과 아울러,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도입측을 지지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6)는 엔진(5)의 전면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 배출측을 지지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실린더 헤드(55)의 후면측(플라이휠 하우징(60)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입구측 브래킷체(176)는 고정 브래킷(제 1 브래킷)(178)의 하단측을 실린더 헤드(5)의 후면에 볼트 체결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78)의 상단측에는 중계 브래킷(179)을 볼트 체결하고 있다. 중계 브래킷(제 2 브래킷)(179)의 중도부에는 연장 브래킷(제 3 브래킷)(180)의 기단측을 볼트 체결하고, 연장 브래킷(180)의 선단측은 볼트 및 너트를 통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입구측 덮개체(상류측 덮개체)(169)에 체결하고 있다.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냉각팬(59)측)에 위치하고 있다. 실시형태의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출구측 제 1 브래킷(제 4 브래킷)(181)과 출구측 제 2 브래킷(제 5 브래킷)(182)으로 분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은 실린더 헤드(55)우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좌측으로 굴곡된 약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은 실린더 헤드(55) 좌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실린더 헤드(55)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된 약 L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출구측 브래킷체(177)는 실린더 헤드(55)의 전면측에서 대략 문형의 형상을 나타내고, 서모스탯 케이스(70)의 후방 위치에서 실린더 헤드(55) 상방을 걸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디젤 엔진(4)의 상방에 있어서, 하우징 지지체인 배기 연락관(84),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출구측 브래킷체(177)를 통해서 엔진(1)의 실린더 헤드(55), 흡기 매니폴드(56) 및 배기 매니폴드(5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이동 방향 상류측(배기 도입측)에 있는 입구측 브래킷체(176) 및 배기 연락관(84)을, 실린더 헤드(55)와 배기 매니폴드(57)로 나누고, 배기가스 이동 방향 하류측(배기 배출측)에 있는 출구측 브래킷체(177)(출구측 제 1 브래킷(181) 및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을 실린더 헤드(55)와 흡기 매니폴드(56)로 나눔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4점 지지하고 있다.
고정 브래킷(178)은 상단 부분의 우측면에 볼트 구멍을 갖는 측방 부품 연결부(178c)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측방 부품 연결부(178c)에, 예를 들면 배기관(227)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배기관 고정 브래킷)(210)이 볼트 체결된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에는 예를 들면, 공조용 컴프레서(211)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을 고정시키는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 상면에는 예를 들면, 공조용 온수 파이프(203, 204) 등의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 고정용 브래킷(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고정시키는 중도 부품 연결부(181d)를 구비하고 있다.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굴곡부(중도부)에는 상류측 중계관(223)이나 차폐판(206)을 지지시키기 위한 부품 고정구(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을 고정하기 위한 후방 부품 연결부(182d)를 구비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1)의 보닛(6)은 단면 하방을 향하는 U가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우 다리부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 외측이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하게 경사지도록 모따기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조종 좌석(8)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방 시계, 특히 보닛(6)의 좌우로부터 앞의 시계를 양호하게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6)의 좌측 내벽면에 대하여,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대치시키는 한편, 보닛(6)의 우측 내벽면에 대하여, 흡기 연락관(76)을 대치시킨다. 또한, 배기 연락관(84)을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는 한편, 배기 연락관(84)을 우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시킨다.
흡기 매니폴드(56)에 신선 공기를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갖는 흡기 연락관(76)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하고, 흡기 매니폴드(5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즉, 흡기 연락관(76)은 상단측이 되는 신선 공기 도입구를 하단측이 되는 신선 공기 배출구에 대하여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부근에서 오프셋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을 따라서 흡기 연락관(76)을 배치시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의 사이에서,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흡기 연락관(76)보다 보닛(6)의 중심 위치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쿨러(224)의 신선 공기 배출측과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짧게 설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방을 향해서 좌우 폭이 좁아지는 보닛(6)내에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공급시키는 중공부를 구비한 배기 연락관(84)을, 상방을 향해서 실린더 헤드(55)측으로 경사시킨 구조로 하고,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가스 입구관(161)에 연결시켜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지지하고 있다. 즉, 배기 연락관(84)은 하단측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와 연결시킨 하단측의 연결 지지부(84a)에 대하여, 상단측의 배기가스 배출구를 엔진(5)의 출력축(53)(엔진(5) 중심 위치) 부근에 오프셋시키고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배기가스 입구관(161)을 하측(입구 플랜지체측)을 향해서 엔진(5) 외측(보닛(6) 내벽측) 부근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보닛(6)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서 좁아진 형상을 따라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 연락관(84)을 배치킴과 아울러, 엔진(5) 상부와 보닛(6) 내면의 사이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중심 위치 부근에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방을 향해서 좌우 폭이 좁아지는 보닛(6)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엔진(5)의 무게 중심에 가까이 해서 지지할 수 있는 것이 되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탑재에 따르는 엔진(5)의 진동이나 소음 등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상기 엔진(5)에 조립함으로써 보닛(6) 형상으로의 영향을 적게 할 수 있어 보닛(6) 형상을 복잡화하지 않아도 된다.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출력축(53) 심선과 교차하는 끝면에 배치시킨 플라이휠(61)을 덮는 플라이휠 하우징(60)을 높이(H1)보다 폭(W1)을 좁힌 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0)의 폭을 좁힌 형상으로 함으로써 좌우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대하여, 플라이휠 하우징(60)을 간섭 시키지 않고, 엔진(5)을 탑재시킬 수 있다. 또한, 주행 기체(2)에 있어서, 기체 엔진 프레임(15)이 스페이서(293)를 통해서 엔진 프레임(14)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좌우 엔진 프레임(14)간의 폭에 대하여, 좌우 기체 엔진 프레임(15)간의 폭이 넓어진다. 한편, 엔진(5)은 플라이휠 하우징(61)을 후방에 배치해서 기체 프레임(15)과 연결하는 미션 케이스(17)의 주변속 입력축(28)과 플라이휠(61)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엔진(5)에 있어서 좌우 폭이 가장 넓은 플라이휠 하우징(61)을 기체 프레임(15) 사이에 충분하게 배치할 수 있고 진동계의 다른 주행 기체(2)에 플라이휠 하우징(61)이 충돌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의 고장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1)은 원의 좌우를 노치함과 동시에 상부에 대좌 형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돌출시킨 외형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후방부의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주행 기체(2)와 연결시키고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61)을 폭이 좁은 주행 기체(2)에 탑재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주행 기체(2)와 연결 가능한 대좌 형상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고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이휠 하우징(61)으로 주행 기체(2)와 연결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에 의한 강성을 보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을 가교하는 지지용 빔 프레임(236) 상방에, 문형의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설치하고, 플라이휠 하우징(61)과 엔진 지지용 빔 프레임(237)을 전후로 나열해서 배치시킨다. 그리고,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 방진 고무(239)를 통해서 기관 다리체(238)의 후방을 연결시키는 한편, 기관 다리체(238) 전방의 플라이휠 하우징(61) 상에 있어서의 기관 다리 부착부(60a) 상면에 연결시킨다.
다음에 도 4∼도 10 및 도 13∼도 22를 참조하면서, 보닛(6)을 포함하는 엔진룸 프레임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6 및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방부 하측에 프론트그릴(231)을 형성하고, 엔진룸 전방을 덮는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고,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즉, 보닛(6) 및 엔진 커버(232)에 의해, 디젤 엔진(5)의 전방, 상방 및 좌우를 덮고 있다.
도 16 및 도 1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6)은 전면 중앙 위치에 프론트그릴(231)을 구비하고 있고, 보닛(6) 상측의 천장부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비스듬하게 위를 향하게 경사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그릴(231)은 중심의 프레임체(231a)에 의해 고정되는 좌우 한쌍의 방진망(231b)을 구비한다. 보닛(6)은 천장부의 후방하측의 공간이 넓어지고, 보닛(6) 내부의 엔진룸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수용하는 공간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보닛(6)은 좌우 측면부 각각의 전방에 개구 구멍(268)을 갖고 있고,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68)을 통해서 보닛(6)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냉각풍을 도입한다. 또한, 보닛(6)은 천장부 전방에도 좌우 한 쌍의 망상의 개구 구멍(270)을 설치하고 있고, 좌우 한쌍의 개구 구멍(270)을 통해서 보닛(6)의 전측 상방으로부터도 냉각풍을 도입한다. 개구 구멍(268, 270)은 망형상의 방진망으로 덮여 있다.
도 16∼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이 되는 엔진 프레임(전방부 프레임)(14)은 그 전단측 내측면을 프레임 연결 부재(12)의 좌우 외측면과 연결되어 있다. 프레임 연결 부재(12)는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주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가설한 엔진 프레임(14) 상에 디젤 엔진(5)을 지지시킨다. 엔진 프레임(14) 전단측 상방을 덮도록 프레임 저판(233)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상부 가장자리 및 전방 범퍼(12) 상면으로 가설시키고 있다. 프레임 저판(233)의 후단에는 엔진(5)의 하측 전방을 덮는 언더커버(296)를 배치하고 있다. 언더커버(296)는 그 전단을 프레임 저판(233)과 연결시키는 한편, 그 후방 좌우측 가장자리 각각을 좌우의 엔진 프레임(14)과 연결하고 있다. 언더커버(296)는 프레임 저판(233)의 후단으로부터 엔진 프레임(14)의 하단을 향해서 연장 설치시킨 전측 부분과, 엔진(5) 하방에서 전측으로 연장 설치시킨 후측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저판(233)의 하면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전후로 배치되어 있는 연결 브래킷(233a, 233b)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을 전후 2분할시킨 전방 저판(233x)와 후방 저판(233y)으로 구성하고 있다. 전방 저판(233x)의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이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측면과 일단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 전방에 연결됨과 아울러, 전방 저판(233x) 전방측이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후방 저판(233y)은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a)의 타단후방과 연결함과 아울러, 전방 하면의 좌우 가장자리측을 좌우 한쌍의 연결 브래킷(233b)의 타단과 연결하고 있다.
프레임 저판(233)은 그 좌우 중심 영역에 개구 구멍(233z)을 구비하고 있다. 개구 구멍(233z)은 프레임 저판(233)의 전방 저판(233x)에 설치되어 있고, 망상의 방진망으로 덮여져 있다. 즉,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은 각각, 엔진(5)의 냉각팬(59)보다 전방이 되는 위치에, 개구부(231b, 233a, 268, 270)를 갖고 있고, 냉각팬(59)의 구동에 의해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 각각의 개구부(231b, 233z, 268, 270)로부터 냉각풍을 보닛(5)내의 엔진룸에 도입한다.
보닛(6) 및 프레임 저판(233)을 개구시킴으로써, 냉각팬(59) 전방이 한정된 구성에 있어서, 냉각팬(59)을 통과시키는 공기 유량보다 개구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냉각팬(59)내를 통과시키는 냉각 공기의 유속을 억제할 수 있고, 엔진룸내의 냉각 공기를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엔진룸내에서의 역류를 막을 뿐만 아니라, 엔진(5)측으로 냉각 공기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를 망상으로 함으로써 엔진룸내로의 진애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엔진(5) 정지 후에는 진애를 자체 중량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다.
또한, 프레임 연결 부재(12) 상방이 되는 위치에,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를 배치시킨다.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하방에 주행 기체(2)의 프레임 연결 부재(12)를 배치하기 위해서, 개구부(233z)를 통해서 엔진룸내에 외기가 유입할 때, 프레임 연결 부재(12)에 의해 진애나 진흙의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엔진(5)을 지지하는 엔진 프레임(14)을 금속 주물이 되는 프레임 연결 부재(12)로 고정함으로써 엔진(5)의 지지 구조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6∼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엔진 ECU)(271)는 후술하는 라디에이터(235) 등의 열교환기의 전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 ECU271은 엔진(5)의 각 센서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받음과 아울러 엔진(5)의 구동을 제어한다. 엔진 제어 장치(271)의 길이 방향을 주행 기체(2)의 전후 방향(엔진 프레임(14)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프레임 저판(235)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ECU271)은 프레임 저판(233)의 전방 저판(233x) 상을 세워서 설치하고 있고, 그 좌우 폭이 좁아지도록 보닛(6) 전면 이면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서 엔진 ECU271을 배치함으로써 냉각팬(59)에 의해 엔진룸내를 전후 방향에 흐르는 냉각 공기에 대하여, 엔진 ECU271의 설치 방향을 따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ECU271이 냉각 공기의 흐름에 대한 차폐 면적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으로의 냉각 공기 유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엔진룸내를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x)은 엔진 ECU271을 세워서 설치하는 위치 근방으로서, 개구부(233z)보다도 후방 위치에 하니스 도통 구멍(233w)을 갖고 있다. 엔진 ECU271에 접속되는 하니스(도시생략)는 하니스 도통 구멍(233w)를 통해서, 주행 기체(2)의 저측에 안내되어 후방의 엔진(5)이나 배터리(272) 등과 접속된다. 엔진 ECU271을 전방 저판(233x)에 배치함과 아울러, 전방 저판(271)에 하니스 도통 구멍(233x)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저판(233x)에 의해 엔진 ECU233x을 1유닛으로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엔진 ECU271을 보닛(6) 전면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한 방진망(개구부)(231b)의 사이가 되는 위치이면서,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배치시키고 있다. 즉, 엔진 ECU271은 프론트 그릴(231)의 프레임쌍(231a)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의 좌우 중심을 걸치도록 해서 전방 저판(233x) 상에 기립하고 있다. 엔진 ECU271을 보닛(6)의 개구부(231b)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 ECU271에 의해 냉각 공기 유입용의 개구 면적을 좁히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프레임 저판(233)의 개구부(233z) 상방에 엔진 ECU271을 배치함으로써 엔진 ECU271의 냉각 효과를 얻는다.
도 16∼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슈라우드(234)를 배면측에 부착한 라디에이터(235)를 엔진(5)의 전면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저판(233)의 후방 저판(233y) 상에 세워 설치하고 있다. 팬 슈라우드(234)는 냉각팬(59)의 외주측을 둘러싸고 있고, 라디에이터(235)와 냉각팬(59)을 연통시키고 있다. 라디에이터(235)는 기립한 상태에서 프레임 저판(233)에 고정된 직사각형 형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 내측으로 지지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전면에 방진 망(260a)을 설치하고 있고, 프레임체 형상의 라디에이터 프레임(260)내로의 진애 등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은 내측의 라디에이터(235)를 둘러싸도록 하고, 프레임 저판(233) 상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팬 슈라우드(234)와도 연결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5)의 전면측에는 테두리 프레임(226)을 프레임 저판(233)의 후방 저판(233y) 상에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테두리 프레임(226)은 에어클리너(221)를 지지하는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을 구비하고 있다.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굴곡시킨 막대 형상 프레임이고, 일단을 후방 저판(233y)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타단을 라디에이터 프레임(260)에 연결시키고 있다. 에어클리너(221)가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방에 고정되어 있고, 에어클리너(221) 하방 위치에서는 연료 냉각용의 연료 쿨러(273)가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테두리 프레임(226)은 문형상으로 굴곡해서 프레임 저판(233y) 상에 양 단을 고정한 문형상 프레임(262)을 구비한다. 문형상 프레임(262)은 좌우 양단(하단)을 프레임 저판(233y)에 연결시켜서 라디에이터 프레임(260)과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사이에서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문형상 프레임(262)의 상부 프레임의 좌우 중심 부분이,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하 도중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문형상 프레임(262)의 연결 부분보다 상측에서 에어클리너(221)를 지지하고, 문형상 프레임(262)과의 연결 부분보다 하측에서 연료 쿨러(273)를 지지한다.
문형상 프레임(262)은 후방(라디에이터(235)측)에 윤활유 냉각용의 오일 쿨러(274)를 지지하는 한편, 전방(연료 쿨러(273)측)에서 냉매 냉각용의 콘덴서(275)를 지지한다. 또한,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의 상단측에 고정된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과 문형상 프레임(262) 상부 프레임에 의하여, 인터쿨러(224)를 상하에서 협지하고, 오일 쿨러(274) 상방에 인터쿨러(224)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인터쿨러(224) 전방에는 문형상 프레임(262)의 상부 프레임과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하여, 방진망(263a)이 협지 지지되어 있다.
콘덴서(275)는 케이스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매를 기액 분리시키는 리시버 드라이어(276)를 케이스 측면에 연결 고정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케이스 전면에 방진망(27a)을 구비하고 있다. 저판 프레임(233)으로부터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는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은 콘덴서(275) 상방에서 기울여 후방으로 만곡시키고, 또한 인터쿨러(224) 상방에서 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따라서, 에어클리너(221)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콘덴서(275)와 일부 중복되는 위치에서, 콘덴서(275)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에어클리너 지지 프레임(26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6∼도 1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전면에, 냉각팬(59)과의 오프셋 부분의 압력 손실이 작아지도록 하고, 인터쿨러(224)를 비롯한 복수의 열교환기를 배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팬 슈라우드(234)내를 흐르는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평준화시켜서 팬 슈라우드(234)내에서의 차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라디에이터(235)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라디에이터(235)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에이터(235) 전방 상측에 인터쿨러(224)를 배치하는 한편, 라디에이터(235) 전방 하측에 윤활오일을 냉각시키는 오일쿨러(274)를 배치하고, 오일쿨러(274) 전방에 콘덴서(275)를 배치했다. 이 배치에 의해, 냉각팬(59)과 라디에이터(235)의 오프셋 영역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함으로써 냉각풍 도입이 쉬운 구조로 해서 냉각팬(59)에 걸리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가 인터쿨러(224) 전방에서 인터쿨러(224)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에어클리너(221)와 인터쿨러(224)를 이간시킨 배치로 함으로써 라디에이터(235) 상방에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풍을 라디에이터(235)까지 유입하기 쉬운 구조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닛(6) 하의 엔진룸내에 있어서의 냉각풍의 유속 분포를 높이 방향에서 평준화할 수 있어 냉각풍의 역류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 전방에서 에어클리너(221)와 콘덴서(275)가 상하가 되도록 배치하고 있어, 콘덴서(275)를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문형상 프레임(262)의 상부 프레임 전측에 레일(262a)을 설치하는 한편, 프레임 저판(233)의 레일(262a) 직하가 되는 위치에 레일(262b)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하의 레일(262a, 262b)에 대하여, 콘덴서(275) 배면의 상하 가장자리를 록킹함으로써 콘덴서(275)를 문형 프레임(262)과 후방 저판(233y)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협지된다.
또한, 콘덴서(275)는 공조용 컴프레서(211) 및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되는 냉매용 호스(277, 278)를 연결시킨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는 팬 슈라우드(234)나 인터쿨러 연결용 브래킷(263)에 의해 걸려서 파지되어 있다. 냉매용 호스(277, 278)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콘덴서(275)의 인출이 가능해지고, 냉매용 호스(277, 278)를 리시버 드라이어(276)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엔진룸내에 있어서, 에어클리너(221) 하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콘덴서(275)를 인출함으로써 콘덴서(275) 후방 공간으로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275) 후방의 제진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라디에이터(235) 전면에 있어서, 인터쿨러(224)와 오일쿨러(274)를 상하로 포개서 배치하고 있고, 상단의 인터쿨러(274)를 고정하는 문형상 프레임(고정 프레임)(262)내에 오일쿨러(274)를 종축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있다. 즉, 문형 프레임(262)의 좌우 프레임 중 어느 일방에 축지지 부재(262c)를 설치하고 있고, 오일쿨러(274)의 좌우 측면의 일방을 종축 부근에 축지지하고, 오일쿨러(274)를 문형상 프레임(262)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275)가 우측면에 설치된 리시버 드라이어(276)와 아울러 우측 방향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문형상 프레임(262)의 우측 프레임에 오일쿨러(274)를 축지지하고 있다. 인출 가능한 콘덴서(275) 후방에서 오일 쿨러(274)를 종축 부근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했기 때문에, 작업자는 냉각풍의 흐름에 의해 진애가 체류되기 쉬운 라디에이터(235) 전면 하방에 액세스하기 쉬워져, 메인터넌스 작업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4∼도 10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은 각각 엔진(5) 양 측면에 나눠서 배치되어 있고, 엔진(5) 전방의 테두리 프레임(226)에 설치되는 인터쿨러(224)에 접속되도록 엔진(5)의 전방 상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에어클리너(221)를 테두리 프레임(226) 전면 상측에 배치하고, 에어클리너(221)와 접속하는 급기관(222)이 테두리 프레임(226) 상방을 걸치도록 해서 엔진(5) 좌측면 후방으로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엔진(5)의 흡기 연락관(76)의 신선 공기 도입측이 흡기 스로틀 부재(77)를 통해서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하고 있다. 또한, 엔진(5)의 터빈 과급기(81)는 컴프레서 케이스(83)의 신선 공기 도입측을 급기관(222)과 연통시키고 있는 한편, 컴프레서 케이스(83)의 신선 공기 배출측을 하류측 중계관(225)과 연통시키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에어클리너(221)에 흡입된 신선 공기(외부 공기)는 에어클리너(221)로 제진·정화된 후, 급기관(222)을 통해서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 흡인된다.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에서 압축된 가압 신선 공기는 중계관(223, 225) 및 인터쿨러(224)를 통해서 EGR 장치(7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한편, 배기 매니폴드(57)로부터의 배기가스의 일부(EGR 가스)가 EGR 쿨러(80)로 냉각된 후, 재순환 배기가스관(78)을 통해서, EGR 장치(85)의 EGR 본체 케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보닛(6) 하방의 엔진룸내에 있어서, 급기관(222) 및 상류측 중계관(223)과, 하류측 중계관(225)을 좌우로 나눠서 배치함으로써 터보 과급기(81)와 흡기 매니폴드(56)를 좌우로 나눠서 배치시키고 있는 엔진(5)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배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로용의 각 배관(222, 223, 225)을 엔진(5)보다 외측에 무리없이 배치함으로써 엔진(5) 및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에 기초하는 가온을 억제하고, 배관내를 통과하는 공기로의 열적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엔진룸 전방에 배치되는 인터쿨러(224)를 신선 공기 출구측과 신선 공기 입구측을 좌우로 나눠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5)과의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 및 하류측 중계관(225) 각각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엔진룸내 전방에 있어서, 인터쿨러(224)를 컴팩트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13∼도 15, 도 29, 및 도 3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은 스페이서(297)를 통해서 좌우의 엔진 프레임(14) 후단측과 연결하고 있고,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이 좌우의 엔진 프레임(14)을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은 스페이서(297)의 기체 프레임(15)과의 연결면(외측면)과 동일면이 된다. 이 지지용 빔 프레임(236)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 각각과 볼트 체결하고,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을 가설하고 있고, 그 상면에 엔진 지지 프레임(237)을 탑재하고 있다. 엔진 지지 프레임(237)은 그 하단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상면과 볼트 체결함으로써 지지용 빔 프레임(236)과 아울러 디젤 엔진(5)의 플라이휠(61)을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
디젤 엔진(5)은, 그 좌우 측면 하측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74)를 방진 고무(239)를 갖는 기관 다리체(238)를 통하여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 중도부에 설치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과 연결되어 있다. 디젤 엔진(5)은, 후면의 플라이휠 하우징(60) 상부에 설치한 기관 다리 부착부(60a)를 방진 고무(241)를 갖는 기관 다리체(엔진 마운트)(240)를 통해서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과 연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중도부 외측에 연결한 엔진 지지 브래킷(298) 상부에, 방진 고무(239)를 하측으로 해서 기관 다리체(238)를 볼트 체결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기관 다리체(238)에 의해 디젤 엔진(5)을 엔진 프레임(14)으로 협지하고, 디젤 엔진(5) 전방측을 지지시키고 있다. 디젤 엔진(5)의 후면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 엔진 지지 프레임(237), 및 기관 다리체(240)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단측에 연결하고, 기체 프레임(15) 전단에서 디젤 엔진(5) 후측을 지지하고 있다. 좌우의 전방부 방진 고무(239)와 좌우의 후방부 방진 고무(241)에 의하여, 디젤 엔진(5)이 주행 기체(2)에 지지되게 된다.
도 20 및 도 2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이 엔진 지지 프레임(237) 상면에서 기관 다리체(240)를 좌우로부터 끼우도록 세워서 설치하고 있다. 보닛(6) 후방을 덮는 보닛 실드판(차폐판)(244)이 그 하부 가장자리를 기관 다리체(240) 상면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을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 각각의 상부에서 가설시킨다. 주행 기체(2)에서 안정 지지시킨 팬 슈라우드(234) 및 보닛 실드판(244)을 한쌍의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의 부재가 일체로 되어 전체로서 견고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굴곡시킴으로써 엔진룸의 좌우 후방을 덮는 한편, 캐빈(7) 전면과의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기 때문에, 엔진룸내의 엔진(5)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캐빈(7)(조종 좌석(8))으로 전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이 평면에서 볼 때에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성하고 있으므로, 보닛(6) 하의 엔진룸과 캐빈(7)으로 둘러싸여지는 공간 중, 좌우의 영역이 넓어진다. 그 때문에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276) 및 공조용 컴프레서(211)와 접속하고 있는 엔진룸측의 냉매용 호스(277, 279)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하고 있는 복수의 냉매용 호스(280)와 연결시킬 때, 보닛 실드판(244) 후방에서의 연결 작업이 용이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에 전면을 고정시켜서 캐빈(7)의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전면과 대략 평행하게 넓어지는 후방 실드면(제 1 실드면)(245)과, 후방 실드면(245)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전방향을 향해서 경사시킨 좌우 한쌍의 측방 실드면(제 2 및 제 3 실드면)(246, 247)으로 구성된다. 또한, 좌우 측방 실드면(246, 247)은 지주 프레임(242, 243)의 중도부와도 연결되어 있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닛 실드판(244)은 지주 프레임(242, 243)에 의해,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 전면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좌우의 측방 실드면(246, 247)이 경사하고 있음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가장자리를 프론트 윈드 글래스(321)로부터 더욱 전방으로 이간시키고, 보닛 실드판(244) 후방의 좌우 위치에 있어서, 캐빈(7)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닛 실드판(244)은 평면에서 볼 때에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 가장자리를 중앙 부분보다 전측에 배치시키기 위해서, 보닛 실드판(244)의 좌우 양측을 전방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보닛(6) 하방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엔진룸 후방의 캐빈(7)(조종 좌석(8))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의 영향을 받지 않아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6)내측에 있어서, 보닛(6) 배면측에 보닛 실드판(244)을 배치하고,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의 배면을 덮는다. 보닛 실드판(244)은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으로부터 좌우로 돌출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디젤 엔진(5)의 배면을 덮는다. 그리고, 엔진룸 배면측에 있어서, 보닛 실드판(244) 우측의 영역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영역에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우측방 실드면(247)의 우측방 하측을 노치함으로써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를 접속하기 위한 개방 영역을 설치하고 있다.
보닛(6)의 배면을 보닛 실드판(244)으로 덮음으로써 보닛(6) 하방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되어서, 캐빈(7)측이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빈(7)내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는 디젤 엔진(5)이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열의 영향을 받지 않아 쾌적하게 조종 가능해진다. 보닛 실드판(244)을 캐빈(7) 전면으로부터 이간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보닛(6) 후방에 배치되는 캐빈(7)과 보닛 실드판(244)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하고 있다.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지주 프레임(242, 243)을 보닛 실드판(244)의 굴곡 부분에 끼워진 중앙 영역(후방 실드면(245))과 연결시키고 있고, 지주 프레임(242, 243)과 팬 슈라우드(234)를 빔 프레임(248)으로 가설시키고 있다. 주행 기체(2)에 의해 안정 지지된 팬 슈라우드(234) 및 지주 프레임(242, 243)을 빔 프레임(248)에 의해 가설시켜서 연결하기 때문에 이들의 부재가 일체로 되어 전체로서 견고한 엔진룸 프레임체를 구성할 수 있다.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보닛 지지 브래킷(255)에 보닛(6) 후방 부분에 설치한 힌지 부재(253)와 연결함으로써 지주 프레임(242, 243) 상단측에서 보닛(6) 후방을 회동 지지한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 가장자리를 굴곡시킨 형상을 갖고, 지주 프레임(242, 243) 전방측에 고착되어 있다. 보닛 지지 브래킷(255)은 좌우 양 가장자리를 후방을 향해서 굴곡시킨 コ자 형상(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양단을 지주 프레임(242, 243)에 접속시킴과 아울러, 그 전면을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 접속시킨다. 즉, 빔 프레임(248)은 보닛 지지 브래킷(255)을 통해서 지주 프레임(242, 243)과 연결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은 빔 프레임(248)의 우측 가장자리를 보닛(6) 중심 위치보다 우측에 위치하도록 전후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기 위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빔 프레임(248)에 따라서 배치시키고 있다. 빔 프레임(248)과 보닛(6)의 내측 측면의 사이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주변 공간이 넓어지고, 엔진(6) 상방에 있어서의 부품 조립이나 메인터넌스에 있어서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차열판(250)이 보닛(6) 하방에서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로부터 후방을 덮도록 하여 엔진(5)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와 후단 각각에 가로대 프레임(251, 252)을 좌우 양측에 연장 설치시키고 있다. 즉, 전방측 가로대 프레임(251)이 빔 프레임(248)의 중도부 상측에서 고정되어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후방측 가로대 프레임(252)이 빔 프레임(248)의 후단 상측에서 고정되고, 빔 프레임(248)의 좌우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열판(250)의 전후 양 가장자리가 전후 1쌍의 가로대 프레임(251, 252)에 고착되어 있다. 차열판(250)은 엔진(5) 상측의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과 보닛(6)의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엔진(5) 상부에 탑재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보닛(6) 후방 내측에 위치시키고 있고, 보닛(6)과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사이에 차열판(250)을 배치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상에 차열판(250)을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디젤 엔진(5)의 배열에 의한 보닛(6)의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6)과 차열판(250)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차열판(250) 하측의 엔진룸내를 외기로부터 단열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고온 환경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열판(250)에 더해서, 보닛(6) 배면측에 배치해서 적어도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를 배면으로부터 덮는 보닛 실드판(244)을 구비하고 있다. 보닛(6) 하방의 엔진룸에 있어서의 열이 차열판(250)과 아울러 보닛 실드판(244)에 의해 차열됨으로써, 캐빈(7)내가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해 가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닛 실드판(244)과 차열판(250)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보닛(6) 하방의 엔진룸내에 열기를 담기 어렵게 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자체나 보닛(6) 등에 대한 열에 의한 손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닛(6) 하방에 있어서의 차열판(250)의 좌우 양측에 신축 가능한 가스 스프링(보닛 댐퍼)(256, 256)을 배치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은 엔진룸 프레임체에 피봇부착하고 있고, 가스 스프링(256, 256)각각의 타단(전단)은 보닛(6) 상부 내측면에 피봇부착하고 있다.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을 중심으로 해서 좌우로 연장 설치된 형상을 갖고, 후방측 가로대 프레임(252)의 좌우 양단과 연결되어 있다.
즉, 연장 프레임(249)은 빔 프레임(248)의 후단측에서 빔 프레임(248) 및 후방측 가로대 프레임(252)과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 프레임(249)의 좌우 양단에서, 후방측 가로대 프레임(252)의 좌우단보다도 전방 위치에서, 좌우 한쌍의 가스 스프링(256, 256) 각각의 일단(후단)을 피봇부착하고 있다.
또한, 가스 스프링(256)의 돌출 작용에 의해, 보닛(6)이 개방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보닛(6)의 전방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보닛 실드판(244)의 상단 위치를 축지지점으로 해서 보닛(6)을 개방 동작시켜서 열면, 가스 스프링(256)에 의해 보닛(6)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디젤 엔진(5)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도 2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서 상방으로 경사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257)은 후단을 보닛 실드판(244)의 좌측방 실드면(246)의 좌측 가장자리에, 전단을 좌측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에 각각 연결시키고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259)은 프레임 저판(233)과 전방부 기관 다리체(238)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엔진 프레임(14)에 고정되어 있다. 좌측 엔진 커버(232)는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의 전후단부 및 중도부와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 지지 프레임(237)의 좌측면과 연결하고, 보닛(6) 좌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전단을 좌측 엔진 프레임(14) 측면에 접속된 연결 브래킷(259)에 연결시키고 있고, 후방을 향해서 상측으로 경사시킨 후에 하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은 후단을 전단과 동등한 높이 위치로 하고 있고, 우측 엔진 커버 프레임(258)의 양단이, 엔진 커버 프레임(258)에 고정된 하측 플레이트(258a)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엔진 커버 프레임(259)은 굴곡부에 상측 플레이트(258b)의 일단을 접속하고 있다.
우측 엔진 커버(232)는 좌측 엔진 커버 프레임의 전후단부 및 상측 플레이트(258b)의 타단과 연결하고, 보닛(6) 우측면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우측 엔진 커버(232)는 하부 가장자리의 일부를 노치한 형상을 구비하고, 엔진(5)의 오일 필터(63)를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우측 엔진 커버(232)의 전후 방향 길이는 좌측 엔진 커버(233)보다도 짧고, 우측 엔진 커버(232) 후방으로 배기관(227)과 테일 파이프(229)가 접속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5)의 좌측면을 덮는 다공상 차폐판(205)을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매니폴드(57), 터보 과급기(81) 및 배기 연락관(84)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5)에 있어서의 고열원 부품을 차폐판(205)으로 덮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DPF(52)에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어서, DPF(52)에 있어서의 재생 능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폐판(205)을 다공상으로 함과 아울러, 마찬가지로 다공상의 좌측 엔진 커버(232)에 대향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엔진(5)에 의해 가온된 공기의 일부를 차폐판(205) 및 엔진 커버(232)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할 수 있어서 비교적 고온이 되는 엔진(5)의 좌측면측에서의 열체류를 방지할 수 있다.
차폐판(205)은 배기 연락관(84)의 배기가스 도입구측에(터보 과급기(81)의 터빈 케이스(82)와의 연결부측) 볼트 체결됨과 아울러,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을 통해서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의 후방 부품 연결부(182d)에 연결되고,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 고정 브래킷(207)은 인터쿨러(224)의 신선 공기도입구와 터보 과급기(81)의 컴프레서 케이스(83)를 연통시키는 상류측 중계관(223)과도 연결되어 있고, 상류측 중계관(223)도 엔진(5)의 출구측 제 2 브래킷(18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57) 하방에는 엔진(5)의 일측방과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를 설치하고, 차열 부재(206) 하방에 엔진 시동용 스타터(69)를 배치시키고 있다. 실린더 블록(54)의 좌측면에 연결시킨 차열 부재(206)는 엔진 시동용 스타터(69)와 EGR 쿨러(80) 사이의 위치에서 엔진 커버(232)를 향해서 세워서 설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 상방을 차열 부재(206)로 덮음으로써, 고온이 되는 배기 매니폴드(57) 등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한 시동용 스타터(69)에의 열적 영향을 저감하여, 전기기기인 시동용 스타터(69)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도 10, 도 23 및 도 2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11)는 캐빈(7)의 바닥판(40) 하측에 좌우 한쌍의 스텝(10) 및 후차륜(4)보다도 내측(기체 프레임(11)측)에 배치된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를 구비하고 있다.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는 한쌍의 기체 프레임(14)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나눠서 배치되어 있다. 즉, 좌측 탱크(11L)는 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14)과 좌측 스텝(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좌측 기체 프레임(14)과 좌측 후차륜(4)의 사이에 배치된다. 동일하게, 우측 탱크(11R)는 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14)과 우측 스텝(10) 사이에 배치되는 한편, 후방 부분이 우측 기체 프레임(14)과 우측 후차륜(4) 사이에 배치된다. 한쌍의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는 서로 용량이 다른 것이며, 그 하방을 연료 연통관(281)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량이 큰 좌측 탱크(11L)는 캐빈(7) 전방으로 좌측 스텝(10) 전측을 덮는 형상을 갖고 있고, 스텝(10) 전측 상면에 급유구(283)를 구비한다. 즉, 좌측 탱크(11L)는 좌측 스텝(10)의 우측 및 전측을 둘러싸도록 해서 배치하고 있다. 좌측 탱크(11L)에 설치한 급유구(283)가 좌측 스텝(10) 근방 위치에 배치되는 점에서, 오퍼레이터는 좌측 스텝(10)을 올라서 연료 탱크(11)로의 급유 작업을 행할 수 있어 급유 작업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11)는 스텝(10) 및 후차륜(4)보다 내측에 배치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기체 외측의 물체와의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연료 탱크(11)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용량이 작은 우측 탱크(11R)의 전측에, 연료 탱크(11)내의 연료를 디젤 엔진(5)에 공급하는 유수 분리기(215)를 배치하고 있다. 유수 분리기(215)의 외주 및 상측을 탱크 프레임(18)보다 세워서 설치시킨 플레이트(285)로 덮어 유수 분리기(215)를 보호하고 있다. 유수 분리기(215)는 엔진 지지 프레임(237)의 우측면과도 연결되어 있는 플레이트(285)에 의해 외주측이 덮여 있다. 연료 탱크(11)내의 연료는 유수 분리기(215)에 의해 수분이 제거되어서, 엔진(5)의 연료 공급 펌프(64)에 공급된다. 즉, 유수 분리기(215)는 좌측 탱크(11L)와 디젤 엔진(5)의 연료 필터(209)를 연결시키는 연료 공급 배관에 개재하고 있다.
유수 분리기(215)는 분리된 연료와 물을 가시화시키기 위해, 투명한 용기로 구성하고 있다. 또한, 유수 분리기(21)는 연료의 함수량(분리된 수량)을 검출해서 엔진 ECU271 등에 통지하는 센서를 부속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엔진 ECU271이 유수 분리기(215)의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조종 좌석(8)에 착석하고 있는 오퍼레이터에 예를 들면 미터 패널이나 모니터 등에 의해 연료의 함수량을 알림할 수 있다.
연료 탱크(11)는 서로 용량이 다른 한쌍의 좌측 탱크(11L)와 우측 탱크(11R)를 주행 기체(2)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연료 연통관(281)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용량이 큰 좌측 탱크(11L)의 전방부측에 급유구(283)를 설치하고 있는 한편, 용량이 작은 우측 탱크(11R)의 전방부에 오목 유수 분리기(215)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 탱크(11L)로부터 연료 압송 펌프(213)를 통해서 디젤 엔진(5)에 연료를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로 이루어지는 연료 탱크(11)를 가능한 한 대용량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수 분리기(215)의 배치 개소를 디젤 엔진(5)에 가까운 곳에 확보할 수 있다.
연료 탱크(11)는 기체 프레임(15) 하측에서 좌우 외향으로 돌출한 탱크 프레임(18) 상에 적재되고 있고, 밴드(286)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프레임(18)은 좌우의 기체 프레임(15)에 매어 달아 고정되어 있는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7)과, 미션 케이스(17) 하면에 고정된 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8)과,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 각각의 양단에서 고정되는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이고, 저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프레임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는 각각,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 각각의 저면 형상과 대략 동일 형상을 갖고, 그 상면에 적재한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 각각의 전후 2개소를 밴드(286)로 결속해서 고정하고 있다.
좌우 한쌍의 엔진 프레임(14)의 후방부 각각에 좌우 한쌍의 기체 프레임(15)의 전방부을 연결한다. 양 기체 프레임(15)의 후방부 사이에 미션 케이스(17)를 배치하는 좌측 탱크(11L) 및 우측 탱크(11R)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을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으로 연결한다.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 각각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 및 미션 케이스(17)에 하방으로부터 연결시켜서,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을 매어 달아 지지하고 있다.
전측 횡가로대 프레임(287)은 스페이서(287b)를 통해서 지지용 빔 프레임(236)의 좌우 양단 하면과 연결하고 있고, 지지용 빔 프레임(236)에 매어 달아 지지되어 있다. 즉, 좌우 한쌍의 볼트가 전측 횡가로대 프레임(287) 및 스페이서(287b)를 통해서, 지지용 빔 프레임(236) 하면에 설치된 볼트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7)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에 매어 달아 지지시킨다. 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8)은 스페이서(288b)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에 볼트 체결된다. 즉, 좌우 한쌍의 볼트가 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8) 및 스페이서(288b)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17)의 중간 케이스(114) 하면에 설치된 볼트 구멍에 체결됨으로써 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8)을 미션 케이스(17)에 매어 달아 지지시킨다.
이와 같이,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을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과,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을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시킨 좌우 한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로 구성한다. 그리고,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290) 상에 좌우 연료 탱크(11L, 11R)를 적재 고정시킨다. 이것에 의해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 자신의 중량을 경량으로 하면서, 중량물이 되는 연료 탱크(11L, 11R)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좌우 기체 프레임(15) 각각의 전단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으로 가설함과 아울러 좌우 기체 프레임(15) 각각의 후단을 미션 케이스(17)의 좌우 측면에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287, 288) 각각을, 지지용 빔 프레임(236) 하면 및 미션 케이스(17)와 체결시켜서 매어 달아 고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중량물이 되는 연료 탱크((11(11L,11R))를 지지하는 탱크 프레임(탱크 지지판)(18)을 강성이 높은 지지용 빔 프레임(236) 및 미션 케이스(17)에 고정하는 것이 되어 연료 탱크(11)를 고강성이면서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3∼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4)에 설치한 전방 지지 마운트(방진 지지대)(96)와,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7)을 연결 브래킷(284)으로 연결하고 있다. 전방 지지 마운트(96)와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7)과 연결 브래킷(284)으로 둘러싸인 공간내에 용량이 작은 연료 탱크(11R)의 전방부측을 끼워 넣고 있다. 연료의 작은 연료 탱크(11R)를 가능한 한 대용량으로 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284)은 L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우측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289) 전방 부분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서 설치하고 있고, 우측 연료 탱크(11R) 위를 걸치도록 하고, 우측 기체 프레임(14)에 고정된 전방 지지 마운트(96)의 상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287)의 상면에 연결되어 있는 우측 탱크 탑재용(290)의 우측 가장자리보다도 우측에, 전측 횡가로대 프레임(287) 우측단을 돌출시키고 있고, 전측 횡가로대 프레임(287) 우측단에는 전방 하측에 위치하는 1단째의 계단 부재(10x)를 연결하고 있다. 캐빈(7) 우측에 설치되는 스텝(10)은 탱크 프레임(18)과 연결하는 1단째의 계단 부재(10x)와, 캐빈 프레임(300)과 연결하는 2단째의 계단 부재(10y)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 스텝(10)은 1단째의 발판 부재(10x)와 2단째의 발판 부재(10y)로 분리 형성되고 있고, 1단째의 발판 부재(10x)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발판 부재(10x)를 탱크 프레임(18)에 고정하는 한편, 발판 부재(10y)를 캐빈 프레임(300)의 사이드 도어(323) 근방에 고정한다.
도 23, 도 25∼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272)는 배터리 커버(292)로 덮어지는 배터리 케이스(291)에 탑재되고, 우측 연료 탱크(11R)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터리 케이스(291)는 우측 연료 탱크(11R)로부터 세워서 설치시킨 연결 브래킷(284)의 우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291)의 저면은 우측 스텝(10)의 1단째 발판 부재(10x)의 상단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케이스(291)는 연결 브래킷(284)과 발판 부재(10x)를 통해서 탱크 프레임(18)의 우측 상방에 지지된다.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291)를 덮는 배터리 커버(292)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배터리 케이스(291)는 배터리 커버(292)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때의 슬라이드용 가이드(293)를 측면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292) 측면에는 슬라이드용 가이드(293)를 삽입시키는 슬라이드 홈(294)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터리 커버(292)는 탱크 프레임(18)에 연결 고정된 배터리 케이스(291)에 대하여,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케이스(291)에 적재되어 있는 배터리(272)는 착탈 가능한 배터리 고정구(295)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291)에 고정된다.
도 27과 같이, 배터리 케이스(291)를 배터리 커버(292)로 덮은 상태(폐쇄 상태)로부터, 도 26과 같이 배터리 커버(292)를 개방 상태(열린 상태)로 할 때의 배터리 커버(292)의 천이 상태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7과 같이, 배터리 커버(292)를 닫은 상태에 있을 때, 배터리 커버(292)의 전방 측면에 설치한 슬라이드 홈(294)의 좌단이, 배터리 케이스(291)의 전방 측면의 슬라이드용 가이드(293)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배터리 커버(292)를 우측에 슬라이드시켜서,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292)의 슬라이드 홈(294)의 우측단을 슬라이드용 가이드(293)에 접촉시킨다. 그 후,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용 가이드(293)를 중심축으로서, 배터리 커버(292)를 회전시킴으로써 배터리 케이스(291) 상측을 개방할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235)는 상방의 냉각수 배출구에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서모스탯 케이스(70)의 냉각수 도입구와 연통되어 있고, 하방의 냉각수 도입구에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와 연통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35) 내의 냉각수가 냉각수 공급관(201) 및 서모스탯 케이스(70)를 통해서 냉각수 펌프(71)로 공급된다. 그리고, 냉각수 펌프(71)의 구동에 의해 냉각수가 실린더 블록(54) 및 실린더 헤드(55)에 형성된 수냉 재킷(도시 생략)으로 공급되어 엔진(5)을 냉각한다.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는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라디에이터(235)로 되돌아간다.
또한,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는 각각 온수 파이프(203, 204)와도 접속하고 있어, 엔진(5)의 냉각에 기여한 냉각수(온수)를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로 순환시킨다. 이것에 의해,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 내를 온수가 순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364)로부터 캐빈(7) 내로 온풍이 공급되게 되어, 캐빈(7) 내의 온도를 오퍼레이터의 소망 온도로 조절할 수 있다.
서모스탯 케이스(70) 상방에서 우측으로 굴곡시킨 냉각수 입구는 엔진(5) 전방에 팬 슈라우드(234)를 통해서 배치되는 라디에이터(235) 상방의 냉각수 토출구(냉각수 배출구)와 냉각수 공급관(201)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또한, 냉각수 펌프(71)의 냉각수 배출구는 냉각수 펌프(71) 본체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라디에이터(235) 하방의 냉각수 도입구와 냉각수 복귀관(202)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라디에이터(235)와 접속시키는 냉각수 공급관(201) 및 냉각수 복귀관(202)을 엔진(5) 우측에 합쳐서 배치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냉각수에 대한 엔진(5)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열적 영향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 분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364)에 온수(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 각각이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와 접속하고 있다. 온수 파이프(203, 204)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우측방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캐빈(7) 내의 공기 조화기(364)와 접속된다. 즉, 서모스탯(70) 및 냉각수 펌프(71)의 우측에서 접속된 온수 파이프(203, 204)는 각각 상하로 겹쳐지도록 해서 합쳐서 후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 파이프(203, 204)는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중도부)(181c) 상방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 파이프(203, 204)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통해서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에 있어서의 중도 부품 연결부(181d)에 연결되고, 엔진(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3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는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86,187)를 구비하고 있다. 온도 센서(186,187)는, 예를 들면 서미스터형의 온도 센서이고, 가스 정화 하우징(168) 내에 삽입됨과 아울러, 측정 신호를 출력하는 배선 커넥터(190, 191)를 갖는다. 온도 센서(186, 187) 각각의 배선 커넥터(190, 191)는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에 고정된다. 온수 파이프 브래킷(208)은 L자로 굴곡시킨 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DPF(52)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굴곡부(181c)로부터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도 30 및 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좌측면(DPF(52)측)에 온수 파이프(203, 204)를 고정시키는 한편,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우측면(DPF(52)과 반대측)에 배선 커넥터(190, 191)를 고정시킨다. 엔진(5) 냉각 기여 후의 냉각수(온수)를 공기 조화기(364) 등의 외부 장치에 공급시키는 온수 파이프(203, 204)를 DPF(52)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 장치에 공급되는 냉각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의 외측면에 세워서 설치시킴으로써 DPF(52)로부터의 배열에 대한 차열 효과가 얻어진다. 온수 파이프 고정 브래킷(208)을 사이에 두고 DPF(52)의 반대측에 전기 부품인 배선 커넥터(190, 191)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가열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출력 신호에 있어서의 노이즈 중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0∼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는 매연 필터(164)를 사이에 둔 상류측 및 하류측 간의 배기가스의 압력차를 차압 센서(192)로 검출하기 위해서, 가스 정화 하우징(168)의 매연 필터(164)의 전후 위치에 센서 배관(188, 189)을 연결시키고 있다. 차압 센서(192)에 의해 검출된 압력차에 의거하여, 매연 필터(164)의 입자상 물질의 퇴적량을 환산하여 DPF(52) 내의 클로깅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엔진(5) 전방에 배치되어서 냉각팬(59)을 둘러싸는 팬 슈라우드(234)에 차압 센서(192)를 부착하는 센서 브래킷(209)을 설치하고 있다.
센서 브래킷(209)은 팬 슈라우드(23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고, 센서 배관(188, 189)과 연결되어 있는 센서 보스체(175)보다 상측이고 DPF(52)의 우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차압 센서(192)는 센서 브래킷(209)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센서 배관(188, 189) 각각이 센서 브래킷(209) 하측에서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브래킷(209)에 고정되는 차압 센서(192)는 DPF(5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DPF(52) 내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192)를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엔진룸 내의 냉각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상류측에 센서(192)를 배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엔진(5) 및 DPF(52) 각각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영향을 저감할 수 있어, 가열에 의한 센서(192)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DPF(52)의 내부 환경을 정상으로 파악하여 엔진(5)을 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냉각팬(59)측에 설치하고 있고, DPF(52) 내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차를 측정하는 압력 센서(63)를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고정시키고 있다. DPF(52)를 엔진(5)의 출력축(53)을 따르는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배기 출구측에 설치한 정화 필터(164) 전후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63)를 배기 출구 근방이 되는 팬 슈라우드(234) 상방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센서(63)와 DPF(52) 사이에 설치하는 압력 측정용 배관(188, 189)을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센서(234)에 의한 측정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트랙터(1)는 캐빈(7)의 공기 조화기(364)에 공급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공조용 컴프레서(211)를 구비하고 있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엔진(5)의 출력축(53)의 전단측으로부터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통해서 동력 전달되고, 엔진(5)에 의해 구동된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엔진(5)의 전방 우측이고 냉각수 펌프(7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공조용 컴프레서(211)는 연료 공급 펌프(64) 전방에 접속되어 있는 연장 브래킷(64a)에 일단이 접속된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 상에 적재되어 있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구비하고 있고, 그 상면에 공조용 컴프레서(211)를 고정 배치시킨다. 컴프레서 고정 브래킷(212)은 그 하측 일단을 연장 브래킷(64a)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그 상측 타단을 출구측 제 1 브래킷(181)의 기단부(181a)에 있어서의 기단측 부품 연결부(181b)에 연결시켜서, 엔진(5)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엔진(5) 전방 좌측에는 컴프레서용 V벨트(72c)를 인장하는 풀리(213)를 배치하고 있다. 컴프레서용 V벨트(72c)가 권취되는 풀리(213)는 서모스탯 케이스(71)에 연결되어서 엔진(5) 전방으로 돌출된 위치조정 브래킷(214)의 전방 가장자리에서 위치조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5, 도 8∼도 10, 도 31 및 도 3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52)는 그 길이 방향 타단측(전방측)의 케이스 외주면에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출구관(162)을 배기관(227)과 연결한다.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전방 좌측으로부터 후방 우측을 향하고, 엔진(5) 상방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하류측 중계관(225)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하류측 중계관(225)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엔진(5) 상방에 있어서,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와 배기관(227)을 엔진(5)의 출력축과 평행해지도록 하고, 좌우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즉, 배기가스 정화 장치(52)가 엔진(5) 상면의 좌측을 덮는 한편, 배기관(227)이 디젤 엔진(5) 상면의 우측을 덮도록, 배기가스 정화 장치(52) 및 배기관(227)을 나란히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보다 우측에 인터쿨러(224)와 흡기 연락관(76)을 연통시키는 하류측 중계관(225)을 설치하고, 고온이 되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에 의한 하류측 중계관(225)으로의 열적 영향을 방지하고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52)의 배기측과 접속하는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은 디젤 엔진(5)의 후방 우측에서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의 배기가스 도입구에 삽입되어 있다. 테일 파이프(229)는 캐빈(7)의 전방 우측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배기가스 배출측을 향해서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캐빈(7)의 하측에서 디젤 엔진(5)을 향해서 굴곡시킨 J자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테일 파이프(229)로의 삽입 부분보다 상방 외주면에 우산 형상의 상면 커버체(228)를 구비한다. 이 상면 커버체(228)는 배기관(227)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고정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도입구를 덮어서 테일 파이프(229) 내로의 진애나 우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테일 파이프(229)는 하방의 굴곡 부분이 기체 프레임(15) 상방을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기체 프레임(15)내측에 설치한 배기가스 도입구를 상방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에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삽입된다. 즉, 테일 파이프(229)와 배기관(227)의 접속 부분은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고,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킴과 동시에, 배기관(227)으로부터 테일 파이프(229)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테일 파이프(229) 내를 흐르는 배기가스를 냉각시킨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는 차열판(230)으로 덮여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보닛(6)의 좌우 하측에 다공판으로 형성한 엔진 커버(232)를 배치하여 엔진룸 좌우 측방을 덮고 있다.
도 30∼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PF(52) 외주면의 전방 우측에서 상향에 설치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227)이 연결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흐름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굴곡시켜서 DPF(52)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관(227)은 배기가스 배출구가 하향이 되도록 배기가스 흐름 하류측에 있어서 하측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이 배기관(227)의 배기가스 배출구가 캐빈(7)에 고정되어 있는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가스 도입구에 삽입된다. 또한, 배기관(227)의 중도부 외주에는 고정용 연결 부재(210a)가 구비되어 있다. 배기관(227)은 배기관 고정 브래킷(210)을 통해서 고정용 연결 부재(210a)를 고정 브래킷(178)의 브래킷 연결부(178b)에 연결함으로써 엔진(5)에 지지된다.
트랙터(1)는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과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5)에 고정시킨 배기관(제 1 배기관)(227)과, 배기관(227)의 하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주행 기체(2)에 고정시킨 테일 파이프(제 2 배기관)(229)를 구비한다. 테일 파이프(229)의 내경을 배기관(227)의 외경보다도 굵게 해서, 배기관(227)의 배기 출구측을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삽입해서 연통시키고 있다.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 각각을 다른 진동계로 이루어지는 엔진(5)과 주행 기체(2) 및 캐빈(7)의 각각에 연결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관(227) 및 테일 파이프(22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테일 파이프(229)의 배기 입구에 배기관(227)을 삽입시킨 구성으로 함으로써, 테일 파이프(229)에는 배기관(227)으로부터의 배기가스와 함께 외기를 도입시킬 수 있어서,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가스를 냉각할 수 있다.
또한, U자형 형상으로 구성한 테일 파이프(229)를 조종 좌석(8) 전방에서 고정시키고 있다. 즉, 테일 파이프(229)는 고정 브래킷(229a)을 통해서 캐빈(7)의 캐빈 프레임(300)의 전방 하측에 연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은 주행 기체에 설치된 전방 지지 마운트(96) 및 후방 지지 마운트(97)에 의해 캐빈 프레임(300) 하방의 네모서리가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캐빈(7)의 우측방 하측에 전원 공급하는 배터리(272)를 구비하고 있다.
테일 파이프(229)의 하측에 배수용 드레인 구멍(229b)을 형성함과 아울러, 드레인 구멍(229b)의 하측을 후방으로부터 덮는 풍향판(229c)을 테일 파이프(229) 하측에 연결시키고 있다. 드레인 구멍(229b)을 풍향판(229c)으로 덮음으로써, 풍향판(229b)에 의한 덮개가 없는 전방(캐빈(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 구멍(229b)은 배터리(272)보다 내측(좌측)에 설치되어 있고, 풍향판(229)에 의해 드레인 구멍(229b)의 좌우 및 후방(전방 이외의 3방향)이 덮여져 있다. 따라서, 테일 파이프(229) 내의 고온이 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했을 때에, 테일 파이프(229) 근방에 설치된 하니스나 배터리(272) 등의 내열성 또는 내수성이 낮은 부품에 대한 열에 의한 손상이니 누수에 의한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5)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52) 내를 엔진(5)의 출력축을 따라 흐르도록, DPF(52)의 배기가스 출구관(162) 및 배기가스 입구관(161) 각각을 전후로 나누어서 배치하고 있다. DPF(52)의 전측에 배치한 배기가스 출구관(162)에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의 배기 입구를 연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후방을 향해서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엔진(5) 상방에서 DPF(52)와 병설시킴과 아울러,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고 있다. DPF(52) 및 배기관(제 1 배기관)(227)을 차열판(250)으로 덮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엔진룸을 덮는 보닛(6)에 대하여 엔진룸으로부터의 배열에 의한 가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의 구성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1 : 트랙터 2 : 주행 기체
5 : 디젤 엔진 6 : 보닛
7 : 캐빈 10 : 스텝
10x : 전방 우측 스텝 10y : 후방 우측 스텝
11 : 연료 탱크 14 : 엔진 프레임
15 : 기체 프레임 18 : 탱크 프레임
52 : 배기가스 정화 장치(DPF) 54 : 실린더 블록
55 : 실린더 헤드 56 : 흡기 매니폴드
57 : 배기 매니폴드 59 : 냉각팬
60 : 플라이휠 하우징 60a : 기관 다리 부착부
63 : 오일 필터 70 : 서모스탯 케이스
71: 냉각수 펌프 76 : 흡기 연락관
84 : 배기 연락관 84a : 연결 지지부
88 : 오일 필터 지지 부재 89 : 윤활유 공급관
215 : 유수 분리기 271 : 엔진 ECU
272 : 배터리 273 : 연료 쿨러
274 : 오일 쿨러 275 : 콘덴서
281 : 연료 연통관 283 : 급유구
284 : 연결 브래킷 285 : 플레이트
286 : 밴드 287 : 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
288 : 후방측 횡가로대 프레임 289 :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좌)
290 :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우) 291 : 배터리 케이스
292 : 배터리 커버 293 : 슬라이드용 가이드
294 : 슬라이드 홈 295 : 배터리 고정구

Claims (8)

  1. 구동원이 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동력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주행부와, 상기 엔진의 동력을 상기 주행부에 전달시키는 미션부를 구비하고, 좌우 전방부 프레임과 좌우 후방부 프레임을 전후로 연결해서 주행 기체를 구성하고 있고, 상기 주행 기체 상에 지지 마운트를 통해서 조종 좌석을 지지시킨 작업 차량에 있어서,
    좌우 한쌍의 연료 탱크를 상기 주행 기체의 좌우로 나눠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각 연료 탱크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탱크 지지판을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하측에서 좌우로 연장 설치시킨 전후 한쌍의 횡가로대 프레임과,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을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가설시킨 좌우 한쌍의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좌우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 상에 상기 좌우 연료 탱크를 적재 고정하고 있고,
    상기 지지 마운트와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을 연결 브래킷에 의해 연결시키고 있고, 또한,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각각의 전단을 빔 프레임으로 가설함과 아울러, 상기 좌우 후방부 프레임 각각의 후단을 상기 미션부의 좌우 측면에 연결시키고, 상기 미션부를 통해서 상기 주행부에 의해 상기 주행 기체를 지지시키고 있고,
    상기 전후 횡가로대 프레임 각각을 상기 빔 프레임 하면 및 상기 미션부 하면과 체결시켜서 매어 달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연료 탱크가 서로 용량이 다른 연료 탱크이고, 소용량의 제 1 연료 탱크를 탑재한 제 1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에 상기 연료 탱크내의 연료로부터 수분을 분리시키는 유수 분리기를 탑재시키고 있고,
    상기 제 1 탱크 탑재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기가 상기 제 1 연료 탱크의 전방 위치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마운트와 연결시킨 상기 횡가로대 프레임의 일단에 상기 조종 좌석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을 연결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의 일단측에 배터리를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지지 마운트를 통해서 상기 주행 기체 상부에 조종 좌석을 지지시키고 있고, 상기 지지 마운트 중 상기 조종 좌석의 전방측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 마운트의 일방과 연결시킨 연결 브래킷에 배터리 케이스를 지지시키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에 상기 배터리를 수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을 덮는 보닛 근방이고 상기 조종 좌석의 일측방 하측에 상기 배터리를 지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좌석에 승강하기 위한 스텝을 상기 조종 좌석의 좌우 하부측에 설치하고 있고, 상기 스텝의 일부를 상기 전방 횡가로대 프레임에 지지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삭제
KR1020177009357A 2014-10-16 2015-10-06 작업 차량 KR101902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1347 2014-10-16
JP2014211347A JP6305307B2 (ja) 2014-10-16 2014-10-16 作業車両
PCT/JP2015/078381 WO2016060028A1 (ja) 2014-10-16 2015-10-06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451A KR20170054451A (ko) 2017-05-17
KR101902718B1 true KR101902718B1 (ko) 2018-09-28

Family

ID=5574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357A KR101902718B1 (ko) 2014-10-16 2015-10-06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27518B2 (ko)
EP (1) EP3208128B1 (ko)
JP (1) JP6305307B2 (ko)
KR (1) KR101902718B1 (ko)
CN (1) CN107000584B (ko)
WO (1) WO2016060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1876B2 (ja) * 2017-03-24 2020-07-29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エンジン装置
US11040616B2 (en) 2018-10-08 2021-06-22 Caterpillar Inc. Dual fuel tank system for a machine
JP7153597B2 (ja) * 2019-03-29 2022-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ブフレーム構造
KR102703281B1 (ko) * 2019-07-23 2024-09-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치구조가 개선된 하이브리드 차량
US11420755B2 (en) * 2019-08-08 2022-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Shape memory alloy isolator for a gas turbine engine
US12044303B2 (en) * 2020-11-06 2024-07-23 Jatco Ltd Apparatus and plat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895A (ja) * 2000-11-07 2002-05-22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枠構造
JP2006273147A (ja) * 2005-03-29 2006-10-12 Kubota Corp トラクタ
JP2007245750A (ja) 2006-03-13 2007-09-27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構造
JP2008006981A (ja) 2006-06-29 2008-01-17 Iseki & Co Ltd 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2010206883A (ja) 2009-03-02 2010-09-16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2012201187A (ja) * 2011-03-24 2012-10-22 Komatsu Ltd バッテリ駆動のホイールロ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2887A (en) * 1947-10-27 1952-12-23 Prior Products Inc Vehicle fuel tank assembly
US3311183A (en) * 1963-05-13 1967-03-28 Massey Ferguson Inc Tractor having saddle gas tanks
US3667563A (en) * 1969-11-21 1972-06-06 Allis Chalmers Mfg Co Supporting structure for platform defining fuel and battery compartment
US4149733A (en) * 1977-12-13 1979-04-17 Caterpillar Tractor Co. Fuel tanks and bumper for loader
US4149734A (en) * 1978-03-21 1979-04-17 Sylvester Merton E Detachable saddle tanks for agricultural vehicles and the like
US6550811B1 (en) * 2000-06-30 2003-04-22 Caterpillar Inc Dual fuel tank system for an earthmoving vehicle
JP2004074939A (ja) *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JP4471916B2 (ja) * 2005-09-29 2010-06-02 株式会社クボタ ホイール式作業機
JP2007091044A (ja) * 2005-09-29 2007-04-12 Kubota Corp ホイール式作業機
JP4614894B2 (ja) * 2006-01-31 2011-01-1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キャノピ
US7857348B2 (en) * 2006-06-08 2010-12-28 Metalsa Servicios S De Rl Multi-function cross members for truck frames
DE102007048333A1 (de) * 2007-10-09 2009-04-23 Agco Gmbh Flüssigkeitsspeicher
JP2010042779A (ja) 2008-08-18 2010-02-25 Yanmar Co Ltd 作業車両
JP2010115990A (ja) * 2008-11-12 2010-05-27 Yanmar Co Ltd 多目的運搬車
JP5671444B2 (ja) 2011-12-05 2015-02-18 株式会社Ihiシバウラ エンジン
JP2013226872A (ja) * 2012-04-24 2013-11-07 Iseki & Co Ltd トラクタ
JP6083358B2 (ja) * 2013-08-29 2017-02-22 井関農機株式会社 車両
JP6230515B2 (ja) * 2014-09-26 2017-11-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4895A (ja) * 2000-11-07 2002-05-22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枠構造
JP2006273147A (ja) * 2005-03-29 2006-10-12 Kubota Corp トラクタ
JP2007245750A (ja) 2006-03-13 2007-09-27 Kubota Corp 作業車のキャビン構造
JP2008006981A (ja) 2006-06-29 2008-01-17 Iseki & Co Ltd 燃料タンクの支持装置
JP2010206883A (ja) 2009-03-02 2010-09-16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JP2012201187A (ja) * 2011-03-24 2012-10-22 Komatsu Ltd バッテリ駆動のホイール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8606A (ja) 2016-05-16
JP6305307B2 (ja) 2018-04-04
EP3208128B1 (en) 2018-12-19
KR20170054451A (ko) 2017-05-17
US20170225561A1 (en) 2017-08-10
CN107000584A (zh) 2017-08-01
WO2016060028A1 (ja) 2016-04-21
US10427518B2 (en) 2019-10-01
EP3208128A4 (en) 2017-12-27
EP3208128A1 (en) 2017-08-23
CN107000584B (zh)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719B1 (ko) 작업 차량
KR101913981B1 (ko) 작업 차량
KR101902718B1 (ko) 작업 차량
JP6305308B2 (ja) 作業車両
JP6378040B2 (ja) 作業車両
KR101961060B1 (ko) 작업차량
JP6401568B2 (ja) トラクタ
JP6297465B2 (ja) トラクタ
JP6283621B2 (ja) 作業車両
JP6297518B2 (ja) トラクタ
WO2016060026A1 (ja) 作業車両
JP2016078594A (ja) 作業車両
JP6490384B2 (ja) 作業車両
WO2016060027A1 (ja) 作業車両
JP6343221B2 (ja) エンジン装置
JP6309424B2 (ja) 作業車両
JP6378035B2 (ja) トラクタ
JP6347549B2 (ja) エンジ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