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507B1 - 농기계용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용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507B1
KR102067507B1 KR1020190014386A KR20190014386A KR102067507B1 KR 102067507 B1 KR102067507 B1 KR 102067507B1 KR 1020190014386 A KR1020190014386 A KR 1020190014386A KR 20190014386 A KR20190014386 A KR 20190014386A KR 102067507 B1 KR102067507 B1 KR 10206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outlet
filter casing
cylindrical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선
권용근
박장하
Original Assignee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엔진으로 정화하여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 흡기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보닛의 외부로 연장된 입구와, 상기 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고 보닛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흡기덕트(30)와; 엔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측 덕트(40); 일단부가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는 연결덕트(42); 그리고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출구부(22)와 흡기덕트(30)의 출구(34)와 연결될 수 있는 입구부(24)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싱(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는 연결된 연결덕트(42)의 연결부(42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동한 열린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에서 이격되고, 하방으로 회동한 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와 결합하여 연통하게 된다.

Description

농기계용 흡기장치{Intake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엔진룸 내부에 설치할 때 가장 효율적으로 엔진룸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여러 부품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엔진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사용하는 농기계에 있어서, 연소를 위한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기 위한 흡기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흡기장치는 기본적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필터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성형되는 필터케이싱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필터케이싱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엔진룸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기도 한다. 그리고 필터케이싱을 기준으로 하면, 외부로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덕트가 연결되어야 하고, 내부로는 엔진과 연결되는 엔진 공급덕트가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덕트들과의 연결은 금속재 밴드를 이용하여 감싼 후 체결함으로써 기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재 밴드를 이용하여 필터 케이싱의 양측 덕트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필터케이싱의 주위에 작업을 위한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케이싱을 엔진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엔진룸의 내부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업을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케이싱을 엔진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정해진 크기의 엔진룸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많은 부품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터케이싱과 연결되는 양측 덕트의 기밀을 위한 금속제 밴드의 결속 및 체결을 위한 작업 공간을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농기계의 엔진품의 공간을 최적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부품을 효율적으로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엔진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필터케이싱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의 금속제 밴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구성을 생략하고 구조적으로 탄성적인 체결(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착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흡기장치는,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보닛의 외부로 연장된 입구와, 상기 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고 보닛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흡기덕트와; 엔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측 덕트; 일단부가 엔진측 덕트와 연결되는 연결덕트; 그리고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출구부와 흡기덕트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싱의 출구부는 연결된 연결덕트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동한 열린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의 입구부가 흡입덕트의 출구에서 이격되고, 하방으로 회동한 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의 입구부가 흡입덕트의 출구(34)와 결합하여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의 흡기장치는,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보닛의 외부로 연장된 입구와, 상기 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고 보닛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흡기덕트와; 엔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측 덕트; 엔진측 덕트와 연결되는 출구부와, 흡기덕트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필터케이싱의 출구부는 엔진측 덕트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의 입구부가 흡입덕트의 출구에서 이격되고, 하방으로 회동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의 입구부가 흡입덕트의 출구와 결합하여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흡기장치에서, 출구부는 연결부에 대하여, 금속재의 제1원통체와, 제1원통체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원통체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출구부는 엔진측 덕트에 대하여, 금속재의 제1원통체와, 제1원통체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원통체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원통체와 제2원통체의 적어도 일측에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링용 홈에 결합되어, 제1원통체와 제2원통체 사이에 개재되는 멈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케이싱의 일측과 연통되어야 하는 흡입덕트의 출구 부분에 금속성 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필터케이싱의 입구부와 흡입덕트의 출구를 구조적으로 결합시켜서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품 내부의 공간을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부품을 무리 없이 내부에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필터케이싱과 입구덕트는, 필터케이싱의 회동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생산 과정에서의 조립 공정이 보다 간단해 질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의 엔진 및 보닛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보닛을 제거한 상태의 엔진룸 내부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닛을 제거하고 필터케이싱을 상방으로 회동시킨 상태의 엔진룸 내부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엔진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기덕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흡기덕트와 필터케이싱 연결부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필터케이싱과 연결덕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보닛(12)이 열린 상태에서의 엔진부분(10)을 보이고 있고, (a)와 (b)는 각각 좌측 및 우측에서본 사시도이다. 보닛(12)이 닫히면 엔진부분(10)을 감싸는 형태가 되고, 이러한 보닛(12)의 내부가 실질적으로 엔진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엔진부분(12)은 엔진을 비롯하여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 및 이들의 연결부품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보닛(12)은 후단부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고, 그 반대로 하강하면서 닫히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보닛(12) 및 엔진부분(10)의 구조는 전통적인 것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보닛(12)을 생략한 상태의 엔진부분(10)을 도시하고 있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케이싱의 배치 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필터케이싱(20)이 내측(하측)으로 접힌 상태를 보이고 있고, 도 3은 필터케이싱(20)이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열린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필터케이싱(20)은 외기를 흡입하여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장치이고, 이렇게 필터케이싱(20)에 의하여 필터링된 공기는 엔진으로 공급되어 연소에 사용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필터케이싱(20)이 도 2에 도시한 닫힌(접힌)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면, 그 주변에 체결작업을 수행할 공간이 극히 좁기 때문에, 필터케이싱(20)의 양측을 연결하는 덕트와의 밴드 체결 작업이 상당히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터케이싱(20)을 도 2에 도시한 접힌 상태(보닛이 닫힐 수 있는 상태)와 도 3에 도시한 열린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면서,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회동하면 필터케이싱(20)이 자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필터케이싱(20)은,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덕트(30) 및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는 연결덕트(42)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먼저 흡입덕트(30)과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흡입덕트(30)는 외기를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 보닛(12)의 외측으로 연장된 입구(3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흡입덕트(30)의 출구(34)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와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데, 예를 들면, 필터케이싱(20)이 접힌상태(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돌출된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 속으로 결합되어 서로 연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싱(20)이 상방으로 열리게 되면, 입구부(24)는 흡입덕트(30)의 출구(34)에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필터케이싱(20)은 접힌 상태(닫힌 상태)에서 상방으로 열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보닛(12)을 열어야만 필터케이싱(20)을 상방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방으로 회동하여 닫힌 상태에서 필터케이싱(20) 주위에는 엔진부분(10)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엔진룸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케이싱(10)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열리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필터케이싱(10)은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열리는 것이면 다른 어떠한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도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 예에서, 엔진측 덕트(40)는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엔진측 덕트(40)는 연결덕트(42)와 연결되는데, 연결덕트(42)는 엘보형(L자형)이다.
이러한 연결덕트(42)의 전방부분은 트랙터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필터케이싱(20)과의 연결부(42A)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2A)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가로 방향에서 중심을 향하여 약간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도 좋고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터케이싱(20)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 출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와 연결덕트(42)의 연결부(42A)와 동일한 방향으로 성형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동축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덕트(42)는 금속성 밴드(Ba)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들은 엔진품의 최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금속성 밴드(Ba)를 이용한 체결이 용이하다.
상술한 연결부(42A)를 구비하는 연결덕트(42)는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리고 연결부(42A)와 연결되어 있는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는 서로 동축을 이루고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구부(22)는 연결부(4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출구부(22)는 필터케이싱(20)에서 대략 90도 정도 벤딩된 상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출구부(22)가 회전하게 되면 필터케이싱(20)은 도 2의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연결부(42A)에 대하여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출구부(22)는 회전 가능한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출구부(22)의 회전에 의하여 필터케이싱(20)은 상방으로 상승할 수 있는 기구적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출구부(22)와 연결부(42A)는 동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 배치되거나, 출구부(22)와 연결부(42A)는 가로 방향(수평 방향이거나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있어도 무관함)으로 배치되는 것에 의하여 고정된 연결부(42A)에 대하여 출구부(22)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엔진부(42)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입덕트(30)는, 보닛(1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입구(32)와,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와 연결됨으로써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출구(3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엔진룸에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필터케이싱(20)에서 공기가 나오는 출구(34)는, 닫힌 상태의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에 대응하는 위치를 가지고 있다.
즉, 필터케이싱(20)이 닫힌 상태(도 2)가 되면 출구(34)는 입구부(24)에 결합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필터케이싱(20)이 열린 상태(도 3)가 되면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케이싱(20)의 회동에 의하여 입구부(24)는 흡입덕트(30)의 출구(34)에서 이격된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는 흡입덕트(30)의 출구(34)의 내측(내부)으로 결합된다.
즉, 흡입덕트(30) 출구(34) 플랜지부분(34A)은 상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확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경사를 가지고 확장됨), 파이프 형상을 가지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플랜지부분(34A)의 내측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터케이싱(20)의 회전에 의하여 입구부(24)도 같이 상하 방향으로 원호 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입구부(24)의 원호 운동의 동선상에 대응하는 확장플랜지부분(34B)은 더 낮은 경사도를 가지면서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확장플랜지부분(34B)이 더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통하여 원호운동하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여기서 필터케이싱(20) 및 흡입덕트(30)는 유연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력을 발휘하고 있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 내측에 결합되어 정상적인 공기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터케이싱(20)이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이러한 기능은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가 연결덕트(42)의 연결부(42A)를 기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는 것에 기초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가 연결덕트(42)의 연결부(42A)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구부(22)의 외측에는 제1연결파이프(52)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연결부(42A)의 단부에는 제2연결파이프(5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파이프(52,54)는, 출구부(22) 및 연결부(42A)의 외측에서 삽입된 후 금속성 밴드(Bc,Be)를 이용하여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파이프(52,54)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연결파이프(52)의 단부 내측으로 제1원통체(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연결파이프(54)의 단부 내측으로 제2원통체(64)가 설치되어 있다. 제1원통체(62) 및 제2원통체(64)는 금속재로 만들어져서, 합성수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낮다. 제2원통체(64)는 제1원통체(62)의 내부로 긴밀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제1원통체(62)와 제2원통체(64)는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원통체끼리의 결합시에는, 제2원통체(64)의 단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결합돌출부(64a)가 제1원통체(62)의 내측 단부에 링형상으로 성형된 걸림턱(62a)에 걸림으로써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원통체(62)는 제1연결파이프(52)와 금속성 밴트(Bd)로 체결되고, 제2원통체(64)는 제2연결파이프(54)와 금속성 밴드(Bb)로 체결된다.
제2원통체(62)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멈춤링용 홈(Ga,Gb)가 성형되어 있어서, 그 속에 삽입된 멈춤링(Oa,Ob)이 제1원통체(62)와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금속재인 제1원통체(62)와 제2원통체(64)가 직접 접촉하여 회전하는 경우에는 마찰 계수가 너무 낮을 수 있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고무재의 멈춤링(Oa,Ob)이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1원통체(62)가 회전하게 되면 마찰 계수가 큰 상태이기 때문에, 제1원통체(62)를 통하여 연결된 필터케이싱(2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멈춤링(Oa,Ob)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링(O ring)을 사용하고, 당연히 기밀에 대한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2원통체(64)의 중간 부분에는 스토퍼용 홈(Gc)이 성형되어 있어서, 링형상의 스토퍼(S)가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S)는 제2원통체(64)에서 외측(방사상)으로 돌출한 상태이기 때문에 제1원통체(62)의 삽입 깊이를 규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결합된 상태를 보면, 제1원통체(62)와 제2원통체(64)는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그 각각은 필터케이싱(20) 및 연결덕트(42)와 연결되어 지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의 연결파이프(52,54), 금속재의 원통체(62,64), 그리고 고무재의 멈춤링 등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출구부(22)와 연결부(42A)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파이프 및 원통체의 구성 이외에도, 출구부(22)와 연결부(42A)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필터케이싱을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하방으로 닫힌 상태에서 흡입덕트의 출구가 필터케이싱의 입구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흡입덕트와 필터케이싱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착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필터케이싱의 출구(22)가 연결덕트(42)를 개재한 상태로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연결덕트(42)는 현재 설계되어 있는 필터케이(20)의 출구(22)와 엔진측 덕트(40)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어서, 이러한 연결덕트(42)를 제외하고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필터케이싱(20)의 출구(22)를 직접 엔진측 덕트(40)와 연결하면서, 고정된 엔진측 덕트(4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케이싱(20)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할 것이고, 이는 도면에 도시한 필터케이싱(20)의 전후 방향 배치되는 것과는 상이하게 배치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도 도 7에 도시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2 ..... 출구부
24 ..... 입구부
30 ..... 흡입덕트
32 ..... 입구
34 ..... 출구
40 ..... 엔진측 덕트
42 ..... 연결덕트
42A ..... 연결부
52, 54 ..... 연결파이프
62, 64 ..... 원통체

Claims (5)

  1.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보닛의 외부로 연장된 입구와, 상기 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고 보닛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흡기덕트(30)와;
    엔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측 덕트(40);
    일단부가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는 연결덕트(42); 그리고
    연결덕트와 연결되는 출구부(22)와 흡기덕트(30)의 출구(34)와 연결될 수 있는 입구부(24)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싱(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는 연결된 연결덕트(42)의 연결부(42A)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동한 열린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에서 이격되고, 하방으로 회동한 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와 결합하여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흡기장치.
  2. 외기를 흡입할 수 있고 보닛의 외부로 연장된 입구와, 상기 입구에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고 보닛 내측에 위치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흡기덕트(30)와;
    엔진측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엔진측 덕트(40);
    엔진측 덕트(40)와 연결되는 출구부(22)와, 흡기덕트(30)의 출구(34)와 연결될 수 있는 입구부(24)를 구비하는 필터케이싱(2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케이싱(20)의 출구부(22)는 엔진측 덕트(40)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회동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에서 이격되고, 하방으로 회동하여 닫힌 상태에서는 필터케이싱(20)의 입구부(24)가 흡입덕트(30)의 출구(34)와 결합하여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흡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출구부(22)는 연결부(42A)에 대하여,
    금속재의 제1원통체(62)와, 제1원통체(62)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원통체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농기계용 흡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출구부(40)는 엔진측 덕트(40)에 대하여,
    금속재의 제1원통체(62)와, 제1원통체(62)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원통체를 통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농기계용 흡기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제1원통체(62)와 제2원통체(64)의 적어도 일측에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멈춤링용 홈에 결합되어, 제1원통체(62)와 제2원통체(64) 사이에 개재되는 멈춤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농기계용 흡기장치.


KR1020190014386A 2019-02-07 2019-02-07 농기계용 흡기장치 KR10206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86A KR102067507B1 (ko) 2019-02-07 2019-02-07 농기계용 흡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386A KR102067507B1 (ko) 2019-02-07 2019-02-07 농기계용 흡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507B1 true KR102067507B1 (ko) 2020-02-11

Family

ID=6956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386A KR102067507B1 (ko) 2019-02-07 2019-02-07 농기계용 흡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5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1173A (ja) * 2008-09-18 2010-04-02 Toyota Motor Corp エアクリーナ
JP2011007133A (ja) * 2009-06-26 2011-01-13 Toyota Boshoku Corp エアクリーナ装置の接続構造
EP3208126A1 (en) * 2014-10-15 2017-08-23 Yanmar Co., Ltd. Work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1173A (ja) * 2008-09-18 2010-04-02 Toyota Motor Corp エアクリーナ
JP2011007133A (ja) * 2009-06-26 2011-01-13 Toyota Boshoku Corp エアクリーナ装置の接続構造
EP3208126A1 (en) * 2014-10-15 2017-08-23 Yanmar Co., Ltd. Work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2254B (zh) 空气滤清器组件
CN201574853U (zh) 环形滤芯及过滤器装置
CN102102676B (zh) 过滤器式风扇的风扇单元
AU2016217668B2 (en) A fan
JPS6322946B2 (ko)
JP2015509842A (ja) フィルタ・ハウジング及びフィルタ・ユニット
CA2358953A1 (en) Diffuser pipe assembly
KR102071392B1 (ko) 청소기
CN109789566A (zh) 用于在机器人关节中使用的密封装置
KR102067507B1 (ko) 농기계용 흡기장치
CN109654044A (zh) 背包式鼓风机
JP2020512181A5 (ko)
RU2019133004A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фильтрующий воздух элемент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ней и способ ее обслуживания
US6554565B2 (en) Fluid pump device having filter
CN104864203B (zh) 一种气动接头及取料机构
CN102080840A (zh) 一种吸油烟机
CN207406850U (zh) 止回阀及中央油烟净化设备
CN104315574A (zh) 一种集成灶风箱
JP6192005B2 (ja) ユニオン管継手、及びこれを備えている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CN105455729A (zh) 吸尘器的电机组件
US2245953A (en) Vacuum cleaner
CN105526693B (zh) 环境调节装置
CN207454327U (zh) 进风方向可调的带蜗壳离心式热风循环风机
WO2021042722A1 (zh) 一种蜗壳组件及其应用的引风机、燃气炉
CN206669165U (zh) 多点进气密封法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