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0739B1 -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739B1
KR101740739B1 KR1020110128846A KR20110128846A KR101740739B1 KR 101740739 B1 KR101740739 B1 KR 101740739B1 KR 1020110128846 A KR1020110128846 A KR 1020110128846A KR 20110128846 A KR20110128846 A KR 20110128846A KR 101740739 B1 KR101740739 B1 KR 10174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shoulder
circumferentia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4621A (ko
Inventor
도시아키 다케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4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18Tread patterns irregular patterns with particular pitch sequ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74Slant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about 5 to 35 degr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86Continuous ribs
    • B60C2011/0393Narrow ribs, i.e. having a rib width of less than 8 m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는 조종 안정성과 웨트 그립 성능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시킨다.
이 공기 타이어에서는, 크라운 주홈과 숄더 주홈에 의해, 트레드부를 크라운 리브, 미들 리브 및 숄더 리브로 구분한다. 숄더 리브에는,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65°내지 115°의 각도(α)로 연장되는 숄더 가로홈이 둘레방향 피치(Ps)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미들 리브에는,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0°내지 75°의 각도(β)로 급경사로 연장되며,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미들 리브 내에서 끊기는 미들 경사홈이 둘레방향 피치(Pm)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크라운 리브에는, 크라운 리브를 가로지르는 크라운 가로홈이 둘레방향 피치(Pc)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둘레방향 길이(Lm)가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내지 125%이고,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의 범위로 하며, 상기 크라운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c)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보다 크게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보다 작게 했다.

Descrip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조종 안정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부(a)를, 타이어 적도(Co) 양측에 배치되는 크라운 주홈(b1)과, 그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숄더 주홈(b2)에 의해, 크라운 리브(c1)와 미들 리브(c2, c2)와 숄더 리브(c3, c3)로 구분하고, 각 상기 리브(c1, c2, c3)에 가로홈(d1, d2, d3)을 마련한 타이어가 제안된 바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타이어에서는 특히, 상기 미들 리브(c2)에 배치되는 가로홈(d2)이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10°내지 45°의 각도(θ)로 경사지고, 상기 각도(θ)를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시킨 급경사의 경사홈(e)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면 상의 수막을 절단하면서 둘레방향 홈에 가까운 뛰어난 배수성을 발휘할 수 있고, 웨트 그립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경사홈(e)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內端)이 크라운 주홈(b1)에 교차하지 않고 그 근방에서 끊겨져 있기 때문에 패턴 강성의 저하가 억제되고, 이에 따라 건조로에서의 조종 안정성의 확보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도로망의 정비화 및 차량의 고속화, 고성능화에 따라 타이어에 있어서도 조종 안정성과 웨트 그립 성능의 더 많은 향상이 강력하게 요망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가 연구한 결과, 상기 크라운 리브(c1)에 배치되는 가로홈(d1)의 둘레방향 피치(P1)를, 상기 미들 리브(c2)에 배치되는 가로홈(d2)[경사홈(e)]의 둘레방향 피치(P2)보다 작고 상기 숄더 리브(c3)에 배치되는 가로홈(d3)의 둘레방향 피치(P3)보다 크게 설정하는 한편, 상기 가로홈(d2)의 둘레방향 피치(P2) 및 그 둘레방향 길이 등을 규정함으로써, 강성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고, 조종 안정성과 웨트 그립 성능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7863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 및 둘레방향 길이를 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트레드 패턴의 강성 밸런스를 개선할 수 있고, 조종 안정성과 웨트 그립 성능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는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은, 트레드부에, 타이어 적도 양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라운 주홈과, 그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 주홈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트레드부를 상기 크라운 주홈 사이의 크라운 리브, 크라운 주홈과 숄더 주홈 사이의 미들 리브 및 숄더 주홈과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 사이의 숄더 리브로 구분한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숄더 리브에는, 상기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65°내지 115°의 각도(α)로 연장되고,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s)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숄더 가로홈이 마련되고,
상기 미들 리브에는, 상기 숄더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0°내지 75°의 각도(β)로 급경사로 연장되며,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상기 미들 리브 내에서 끊기고,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m)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미들 경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크라운 리브에는, 상기 크라운 리브를 가로지르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c)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크라운 가로홈이 마련되고,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둘레방향 길이(Lm)가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내지 125%이며,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의 범위로 하고, 상기 크라운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c)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보다 크게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과 상기 크라운 주홈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 거리(Dm)가 1.5 ㎜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15° 이하의 각도(β1)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홈부를 가지며, 이 직선형 홈부의 둘레방향 길이(Lm1)를 상기 둘레방향 길이(Lm)의 5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 직선형 홈부는, 타이어 축방향의 홈 내측 가장자리가 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 미들 경사홈은, 상기 숄더 주홈과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 각도(β)를 10°내지 7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상기 크라운 가로홈은, 홈 폭이 0.3 ㎜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 미들 리브는,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경사홈 사이를 지나 상기 숄더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상기 미들 리브 내에서 끊기며, 둘레방향 길이가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길이(Lm)의 30% 이하인 제1, 제2 미들 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상기 숄더 가로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상기 숄더 리브 내에서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상기 숄더 리브는, 각 상기 숄더 가로홈의 타이어 축방향 내단을 지나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숄더 주홈보다 폭이 좁은 숄더 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란, 정규 림에 조립하고 정규 내압을 충전한 상태의 타이어에 정규 하중을 부하했을 때에 접지하는 접지면의 타이어 축방향 최외측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따르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해당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으로서, 예컨대 JATMA라면 표준 림, TRA라면 "Design Rim", 혹은 ETRTO라면 "Measuring Rim"을 의미한다.
상기 "정규 내압"이란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으로서, JATMA라면 최고 공기압,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INFLATION PRESSURE"를 의미하는데,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에는 180 ㎪로 한다. 상기 "정규 하중"이란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으로서, JATMA라면 최대 부하 능력,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LOAD CAPACITY"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강성 밸런스를 개선하여, 조종 안정성과 웨트 그립 성능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의 일 실시예를 평면에 전개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2는 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숄더 리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미들 리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5는 크라운 리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6은 종래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공기 타이어(1)는, 트레드부(2)에, 타이어 적도(Co) 양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라운 주홈(3)과, 그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 주홈(4)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트레드부(2)를, 상기 크라운 주홈(3, 3) 사이의 크라운 리브(5), 크라운 주홈(3)과 숄더 주홈(4) 사이의 미들 리브(6) 및 숄더 주홈(4)과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Te) 사이의 숄더 리브(7)로 구분하였다. 상기 크라운 리브(5), 미들 리브(6) 및 숄더 리브(7)의 타이어 축방향의 리브 폭을 W5, W6, W7이라고 했을 때, 본 예에서는 W5≤W6≤W7로 하였다.
상기 크라운 주홈(3) 및 숄더 주홈(4)은,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 홈으로서, 타이어 적도(Co)를 중심으로 한 선대칭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크라운 주홈(3) 및 숄더 주홈(4)의 홈 폭 및 홈 깊이로는, 종래의 둘레방향 주홈의 홈 폭 및 홈 깊이를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 상기 홈 폭으로서 그 하한치를 3 ㎜ 이상, 나아가서는 5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한치를 14 ㎜ 이하, 나아가서는 12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 깊이로는 그 하한치를 5 ㎜ 이상, 나아가서는 6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한치를 12 ㎜ 이하, 나아가서는 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의 경우, 크라운 주홈(3)의 홈 폭(W3)은 10.5 ㎜, 홈 깊이(H3)는 8.2 ㎜, 숄더 주홈(4)의 홈 폭(W4)은 8.2 ㎜, 홈 깊이(H4)는 8.2 ㎜로 하였다.
또한 상기 숄더 리브(7)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s)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숄더 가로홈(10)이 마련된다. 이 숄더 가로홈(10)은, 상기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Te)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65°내지 115°의 각도(α)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숄더 가로홈(10)은, 유수선(流水線)에 가까운 각도로 형성되기 때문에,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Te)의 외측 쪽으로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고, 숄더 리브(7)의 횡강성을 충분히 확보하여 내편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각도(α)가 상기 범위 65°내지 115°에서 벗어나면,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숄더 가로홈(10)의 타이어 축방향 내단(10ei)은 숄더 리브(7) 내에서 끊기고, 상기 숄더 리브(7)에는, 각 상기 숄더 가로홈(10)의 타이어 축방향 내단(10ei)을 지나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 세홈(11)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숄더 리브(7)의 둘레방향 강성도 높게 유지되고, 조종 안정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또한 숄더 세홈(11)의 홈 폭(W11)은, 상기 숄더 주홈(4)의 홈 폭(W4)보다 충분히 작으며, 본 예에서는 상기 홈 폭(W11)을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이하로 형성하였다. 또한 숄더 세홈(11)의 홈 깊이(H11)도, 숄더 주홈(4)의 홈 깊이(H4)보다 충분히 작으며, 본 예에서는 홈 깊이(H11)를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이하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숄더 가로홈(10)은, 홈 폭(W10)이 상기 홈 폭(W4)보다 작고 상기 홈 폭(W11)보다 크며, 또한 홈 깊이(최심부의 깊이)(H10)는, 상기 홈 깊이(H4) 이하이고 상기 홈 깊이(H11)보다 크다. 또한 상기 숄더 주홈(4)과 상기 숄더 세홈(11) 사이의 거리(Ds)는, 2.5 ㎜ 내지 10.0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Ds)가 2.5 ㎜ 미만이면, 강성이 줄어들어 내편마모성 및 조종 안정성이 저하되고, 반대로 10.0 ㎜를 초과하면 배수성이 불충분해진다.
이어서, 상기 미들 리브(6)에는,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m)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미들 경사홈(12)이 마련된다.
이 미들 경사홈(1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숄더 주홈(4)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0°내지 75°의 작은 각도(β)로 급경사로 연장되고,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12e)은 상기 미들 리브(6) 내에서 끊긴다. 상기 타이어 축방향 내단(12e)과 상기 크라운 주홈(3)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 거리(Dm)는, 1.5 ㎜ 내지 5.0 ㎜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본 예에서는 상기 거리(Ds)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는, 미들 경사홈(12)의 상기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내지 125%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들 경사홈(12)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15° 이하의 각도(β1)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홈부(12A)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으로 연장된다"란 상기 미들 경사홈(12)의 홈 폭 중심선(12i)이 직선을 이루는 것 이외에도, 2개의 직선이 170°내지 180°의 각도로 굴곡되는 굴곡부를 하나 갖는 경우도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미들 경사홈(12)은, 상기 타이어 축방향 내단(12e)으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직선형 홈부(12A)와, 이 상기 직선형 홈부(12A)로부터 상기 숄더 주홈(4)까지 상기 각도(β)가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원호형으로 만곡하면서 및/또는 꺾임선 형태로 굴곡되면서 연장되는 이음홈부(12B)로 형성된다. 상기 직선형 홈부(12A)는, 본 예에서는 그 타이어 축방향의 홈 내측 가장자리(12Ae)가 직선을 이루고, 또한 직선형 홈부(12A)의 둘레방향 길이(Lm1)는 상기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의 50% 이상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들 경사홈(12)은, 상기 둘레방향 길이(Lm)를 갖고 급경사짐으로써, 배수 저항을 줄여 배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들 경사홈(12)의 타이어 축방향 내단(12e)이, 크라운 주홈(3)으로부터 상기 거리(Dm)를 두고 끊기기 때문에, 미들 리브(6)의 둘레방향 강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배수성을 발휘하면서 내편마모성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미들 경사홈(12)에 직선형 홈부(12A)를 형성함으로써 배수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게다가 직선형 홈부(12A)에 의해 크라운 주홈(3)과의 거리가 매끄럽게 줄어들기 때문에, 편마모의 기점이 되는 큰 강성 변화점의 형성이 억제된다. 특히 상기 홈 내측 가장자리(12Ae)를 직선으로 함으로써, 강성 변화점의 형성이 보다 억제되어 내편마모성에 유리해진다. 또한 상기 각도(β)가 75°를 상회하면 배수성을 충분히 확보하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직선형 홈부(12A)의 상기 각도(β1)가 15°를 상회하는 경우 및 그 둘레방향 길이(Lm1)가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의 50%를 하회하는 경우에는, 상기 직선형 홈부(12A)에 의한 배수성의 향상 효과 및 편마모의 기점의 발생을 억제하여 내편마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거리(Dm)가 1.5 ㎜ 미만이면, 미들 리브(6)의 강성이 줄어들어 내편마모성 및 조종 안정성의 저하가 초래되고, 반대로 5.0 ㎜를 초과하면 배수성이 불충분해진다.
또한 상기 이음홈부(12B)는, 상기 각도(β) 중, 상기 숄더 주홈(4)과의 교차부(Ja)에서의 각도(βj)가 30°내지 75°이며, 이에 따라 상기 교차부(Ja)에서의 배수성의 저하 및 횡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상기 각도(βj)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교차부(Ja)에서의 배수성이 줄어들고, 또한 횡강성의 저하가 초래된다.
또한 상기 미들 경사홈(12)은, 그 홈 폭(W12)이 상기 홈 폭(W4)보다 작다. 또한 미들 경사홈(12)의 홈 깊이(최심부의 깊이)(H12)는 상기 홈 깊이(H4) 이하이며, 본 예에서는 상기 교차부(Ja)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단(12e)까지 홈 깊이(H12)가 순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또한 상기 미들 리브(6)에는, 배수성을 위해,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경사홈(12, 12) 사이를 지나 상기 숄더 주홈(4)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미들 부홈(14, 15)이 배치된다. 이 제1, 제2 미들 부홈(14, 15)은, 미들 경사홈(12)과 동일하게 75° 이하의 각도(γ)로 경사지고,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14e, 15e)은 모두 미들 리브(6) 내에서 끊겨 있다. 상기 제1, 제2 미들 부홈(14, 15)은, 그 둘레방향 길이(L14, L15)가 각각 상기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의 30% 이하이며, 본 예에서는 상기 각도(γ)가 타이어 축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줄어들도록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길이(L14, L15)가 상기 둘레방향 길이(Lm)의 30%를 초과하면, 미들 리브(6)의 강성이 과도하게 줄어들어, 조종 안정성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그리고 숄더 주홈(4)과 미들 경사홈(12)과의 교차부를 Ja, 숄더 주홈(4)과 제1 미들 부홈(14)의 교차부를 Jb, 숄더 주홈(4)과 제2 미들 부홈(15)의 교차부를 Jc라고 했을 때,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교차부(Ja, Jb)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Q1), 교차부(Jb, Jc)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Q2), 교차부(Jc, Ja) 사이의 둘레방향 거리(Q3)는, 각각 상기 미들 리브(6)의 둘레방향 피치(Pm)의 30% 내지 35%의 범위이며, 따라서 상기 제1, 제2 미들 부홈(14, 15)은 미들 경사홈(12, 12) 사이에 대략 균등한 둘레방향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크라운 리브(5)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 리브(5)를 가로지르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c)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크라운 가로홈(16)이 마련된다. 즉 크라운 가로홈(16)의 타이어 축방향 양단은 상기 크라운 주홈(3)에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크라운 가로홈(16)은, 홈 폭(W16)이 0.3 ㎜ 내지 2.0 ㎜인 세홈이며,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각도(δ)로 연장된다. 이 크라운 리브(5)는 상기 크라운 리브(5)의 횡강성을 적당히 완화하여, 주행시 타이어로 하여금 슬립 앵글의 변화를 추종하기 쉽게 하는 등, 타이어의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어, 조종 안정성의 향상에 도움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크라운 가로홈(16)의 상기 둘레방향 피치(Pc)를, 숄더 가로홈(10)의 상기 둘레방향 피치(Ps)보다 크고 미들 경사홈(12)의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보다 작게 하고,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를 상기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의 범위로 하였다. 또한 종래 타이어에서는,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들 리브(c2)에 배치되는 가로홈(d2)의 둘레방향 피치(P2)는, 숄더 리브(c3)에 배치되는 가로홈(d3)의 둘레방향 피치(P3)의 2.0배 이하, 통상적으로 1.0배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둘레방향 피치(Pc, Pm, Ps)가, 가변 피치법 등에 의해 둘레방향에서 변화되는 경우에는, 상기 둘레방향 피치(Pc)로서 상기 크라운 리브(5)의 타이어 둘레 길이(Lc)를 크라운 가로홈(16)의 피치 수(Nc)로 나눈 평균 둘레방향 피치[PcN(=Lc/Nc)]를 채용할 수 있고, 둘레방향 피치(Pm)로서 미들 리브(6)의 타이어 둘레 길이(Lm)를 미들 경사홈(12)의 피치 수(Nm)로 나눈 평균 둘레방향 피치[PmN(=Lm/Nm)]를 채용할 수 있으며, 또한 둘레방향 피치(Ps)로서 숄더 리브(7)의 타이어 둘레 길이(Ls)를 숄더 가로홈(10)의 피치 수(Ns)로 나눈 평균 둘레방향 피치[PsN(=Ls/Ns)]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를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내지 125%로 하고, 그 둘레방향 피치(Pm)를 숄더 가로홈(10)의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의 범위로, 종래 타이어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따라서,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가 종래 타이어보다 길게 설정되어, 배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예의 경우, 미들 경사홈(12)이 직선형 홈부(12A)를 갖기 때문에 배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가 길게 설정되는 것과 직선형 홈부(12A)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미들 리브(6)의 타이어 적도측 영역이 강성 부족이 되어 조종 안정성이 저하될 것이 우려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를 종래보다 크게, 즉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강성 부족을 억제할 수 있고, 배수성과 조종 안정성을 보다 높은 레벨로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크라운 가로홈(16)에 있어서, 그 둘레방향 피치(Pc)를 상기 숄더 가로홈(10)의 둘레방향 피치(Ps)보다 크게 하는 등, 둘레방향 피치(Pc)를 종래 타이어보다 길게 설정하였다. 따라서, 전술한 미들 리브(6)의 타이어 적도측 영역에서의 강성 부족의 경향에 따른 조종 안정성의 저하를, 이 둘레방향 피치(Ps)를 길게 함으로써 더 보완할 수 있고, 크라운 리브(5)와 미들 리브(6)와 숄더 리브(7) 간의 강성 밸런스를 적정화하여, 조종 안정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가,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미만이면, 배수성능이 불충분해지고, 반대로 125%를 초과하면, 미들 리브(6)의 타이어 적도측 영역에서의 강성 부족을 해소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피치(Pm)가, 숄더 가로홈(10)의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미만이면, 미들 경사홈(12)의 둘레방향 길이(Lm)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어 배수성이 불충분해지거나, 미들 리브(6)의 타이어 적도측 영역에서의 강성 부족을 해소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둘레방향 피치(Ps)의 4.0배를 초과하면, 미들 리브(6)의 접지 가장자리측 영역에서 배수성의 부족이 초래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실시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의 트레드 패턴을 기본 패턴으로 하고, 타이어 사이즈가 195/65R15인 승용차용 레이디얼 타이어를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작(試作)하고, 각 시공(試供) 타이어의 웨트 성능, 건조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성 및 내편마모 성능을 테스트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 도 6에 도시한 패턴을 갖는 같은 사이즈의 타이어(종래예)에 대해서도 아울러 시험을 행했다. 각 타이어 모두 표 1에 기재된 것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양으로 했다.
공통 사양은 다음과 같다.
ㆍ크라운 주홈
홈 폭(W3)---10.5 ㎜
홈 깊이(H3)---8.2 ㎜
ㆍ숄더 주홈
홈 폭(W4)---8.2 ㎜
홈 깊이(H4)---8.2 ㎜
ㆍ숄더 가로홈
홈 폭(W10)---4.2 ㎜
홈 깊이(최대치)(H10)---6.2 ㎜
ㆍ미들 경사홈
홈 폭(W12)---7.0 ㎜
홈 깊이(최대치)(H12)---6.7 ㎜
ㆍ크라운 가로홈
홈 폭(W13)---8.0 ㎜
홈 깊이(최대치)(H13)---4.0 ㎜
또한 미들 경사홈을 n개 마련하는 경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로 (n+1)등분하는 위치에 미들 경사홈을 형성하였다.
<웨트 성능>
림(6J), 내압(180 ㎪)으로 차량(배기량 2000cc)의 모든 바퀴에 장착하고, 반경 100m의 아스팔트 노면에 수심 5 ㎜, 길이 20m의 웅덩이를 마련한 코스 위를 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진입시켜 횡 가속도(횡G)를 계측하고, 50 ㎞/h 내지 80 ㎞/h의 속도에서의 앞바퀴의 평균 횡G를 산출했다(lateral hydroplaning test). 결과는 종래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조종 안정 성능>
상기 차량을 이용하여 드라이 아스팔트 노면의 타이어 테스트 코스를 주행하고, 핸들 응답성, 강성감, 그립 등에 관한 특성을 드라이버의 관능 평가에 의해 종래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내편마모 성능>
상기 차량으로 고속 도로 및 시가지를 합계 8000 ㎞ 주행하고, 트레드면의 마모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종래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했다.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Figure 112011096337161-pat00001
1 : 공기 타이어
2 : 트레드부
3 : 크라운 주홈
4 : 숄더 주홈
5 : 크라운 리브
6 : 미들 리브
7 : 숄더 리브
10 : 숄더 가로홈
11 : 숄더 세홈
12 : 미들 경사홈
12e : 타이어 축방향 내단
12A : 직선형 홈부
12Ae : 홈 내측 가장자리
14 : 제1 미들 부홈
15 : 제2 미들 부홈
16 : 크라운 가로홈
Co : 타이어 적도
Ja : 교차부
Te :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

Claims (9)

  1. 트레드부에 타이어 적도 양측에서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라운 주홈과 그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숄더 주홈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트레드부를, 상기 크라운 주홈 사이의 크라운 리브, 크라운 주홈과 숄더 주홈 사이의 미들 리브 및 숄더 주홈과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 사이의 숄더 리브로 구분한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숄더 리브에는, 상기 트레드 접지 가장자리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65°내지 115°의 각도(α)로 연장되며,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s)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숄더 가로홈이 마련되고,
    상기 미들 리브에는, 상기 숄더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0°내지 75°의 각도(β)로 급경사로 연장되며, 타이어 축방향 내단(內端)이 상기 미들 리브 내에서 끊기고,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m)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미들 경사홈이 마련되며,
    상기 크라운 리브에는, 크라운 리브를 가로지르고,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둘레방향 피치(Pc)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크라운 가로홈이 마련되며,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둘레방향 길이(Lm)가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의 70% 내지 125%이고, 상기 둘레방향 피치(Pm)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의 2.5배 내지 4.0배의 범위로 하며, 상기 크라운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c)를 상기 숄더 가로홈의 둘레방향 피치(Ps)보다 크게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피치(Pm)보다 작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과 상기 크라운 주홈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 거리(Dm)가 1.5 ㎜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경사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 타이어 둘레방향에 대해 15° 이하의 각도(β1)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홈부를 가지며, 이 직선형 홈부의 둘레방향 길이(Lm1)를 상기 둘레방향 길이(Lm)의 5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홈부는, 타이어 축방향의 홈 내측 가장자리가 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경사홈은, 상기 숄더 주홈과의 교차부에 있어서 상기 각도(β)를 10°내지 70°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가로홈은, 홈 폭이 0.3 ㎜ 내지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리브는,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미들 경사홈 사이를 지나 상기 숄더 주홈으로부터 타이어 축방향 내측 쪽으로 연장되고,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상기 미들 리브 내에서 끊기며, 둘레방향 길이가 상기 미들 경사홈의 둘레방향 길이(Lm)의 30% 이하인 제1, 제2 미들 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가로홈은, 그 타이어 축방향 내단이 상기 숄더 리브 내에서 끊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리브는, 각 상기 숄더 가로홈의 타이어 축방향 내단을 지나 타이어 둘레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숄더 주홈보다 폭이 좁은 숄더 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
KR1020110128846A 2010-12-09 2011-12-05 공기 타이어 KR101740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74919 2010-12-09
JP2010274919A JP5140146B2 (ja) 2010-12-09 2010-12-09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621A KR20120064621A (ko) 2012-06-19
KR101740739B1 true KR101740739B1 (ko) 2017-05-26

Family

ID=45315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846A KR101740739B1 (ko) 2010-12-09 2011-12-05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2511B2 (ko)
EP (1) EP2463122B1 (ko)
JP (1) JP5140146B2 (ko)
KR (1) KR101740739B1 (ko)
CN (1) CN102529594B (ko)
BR (1) BRPI11056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1907000T2 (sl) * 2005-06-08 2020-07-31 Dana-Farber Cancer Institute Postopki in sestavki za zdravljenje persistentne HIV infekcije z inhibicijo programiranih celični smrtnih 1 (PD-1) poti
JP5903113B2 (ja) * 2014-01-27 2016-04-1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26765B2 (ja) * 2014-05-27 2016-05-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71280B2 (ja) * 2014-06-02 2016-08-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97261B2 (ja) * 2014-09-17 2017-03-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1532918S (ko) * 2015-03-04 2015-09-07
CN109414965B (zh) * 2016-07-19 2021-08-13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WO2019086809A1 (fr) * 2017-10-31 2019-05-09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Bande de roulement pour pneu de véhicule poids lourd
JP7102893B2 (ja) * 2018-04-17 2022-07-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N109203862A (zh) * 2018-09-28 2019-01-15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滑行代步用免充气轮胎
CN112590462A (zh) * 2020-12-23 2021-04-02 安徽佳通乘用子午线轮胎有限公司 一种充气轮胎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63A (ja) * 2002-06-18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4262312A (ja) * 2003-02-28 2004-09-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8801A (ja) * 1981-11-04 1983-05-12 Toyo Tire & Rubber Co Ltd 低騒音のバイアス構造空気タイヤ
JPH0478701A (ja) * 1990-07-18 1992-03-12 Bridgestone Corp 高速走行に適した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5608A (ja) * 1991-02-13 1993-01-08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834594B2 (ja) * 1991-04-16 1998-12-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騒音を低減した空気入りタイヤ
IT1265035B1 (it) * 1993-05-31 1996-10-28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veicoli con battistrada a bassa rumorosita' di rotolamento
JP2618198B2 (ja) * 1994-04-14 1997-06-1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60007744T2 (de) * 1999-06-30 2004-12-09 Pirelli Pneumatici S.P.A. Hochleistungsreifen für ein kraftfahrzeug
CN100379587C (zh) * 2002-08-30 2008-04-09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和轮胎-车轮组件
JP4266705B2 (ja) * 2003-05-27 2009-05-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20080093010A1 (en) * 2006-10-17 2008-04-24 Bridgestone Firestone North America Tire, Llc Method for designing the fundamental pitch for a tire tread pattern with variable lug count by rib
JP4813436B2 (ja) * 2007-09-12 2011-1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217267B1 (ja) * 2007-09-13 2009-01-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685919B2 (ja) * 2008-12-08 2011-05-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95786B2 (ja) * 2010-12-29 2014-01-2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34046B2 (ja) * 2013-05-21 2015-12-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863A (ja) * 2002-06-18 2004-01-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2004262312A (ja) * 2003-02-28 2004-09-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4621A (ko) 2012-06-19
US9242511B2 (en) 2016-01-26
CN102529594A (zh) 2012-07-04
CN102529594B (zh) 2015-07-08
JP2012121491A (ja) 2012-06-28
EP2463122A2 (en) 2012-06-13
EP2463122A3 (en) 2012-12-19
JP5140146B2 (ja) 2013-02-06
BRPI1105616A2 (pt) 2013-05-21
EP2463122B1 (en) 2014-01-08
US20120145294A1 (en)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739B1 (ko) 공기 타이어
JP59934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50016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469399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
KR101838317B1 (ko) 공기 타이어
KR101788883B1 (ko) 공기 타이어
KR101857822B1 (ko) 공기 타이어
US9302548B2 (en) Pneumatic tire
CN108621707B (zh) 轮胎
JP4280297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66307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41703B1 (ko) 공기 타이어
KR101636584B1 (ko) 공기 타이어
JP5981952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697379B1 (ko) 공기 타이어
KR20100111233A (ko) 공기 타이어
KR101787111B1 (ko)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KR20170057390A (ko) 공기입 타이어
JP53860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0509724B (zh) 轮胎
CN107199834A (zh) 充气轮胎
KR20130036704A (ko) 공기 타이어
JP201310356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7151315B2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