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111B1 -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 Google Patents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111B1
KR101787111B1 KR1020110115071A KR20110115071A KR101787111B1 KR 101787111 B1 KR101787111 B1 KR 101787111B1 KR 1020110115071 A KR1020110115071 A KR 1020110115071A KR 20110115071 A KR20110115071 A KR 20110115071A KR 101787111 B1 KR101787111 B1 KR 101787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block
tire
groove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903A (ko
Inventor
요시유키 도비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2011/129Sipe density, i.e. the distance between the sipes within the pattern
    • B60C2011/1295Sipe density, i.e. the distance between the sipes within the pattern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6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heavy duty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2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 circumferential rib and having blocks defined by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1)에서, 주홈(3)은, 홈 중심선(12c)이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3∼0.65배의 거리 L1을 두고 있는 1쌍의 숄더 주홈(12, 12)을 포함한다. 블록(6)은, 크라운 블록(23)과 숄더 블록(24)을 포함하며, 각각 트레드면 2t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사이프(26)가 마련되고, 또한 하기 식(1)을 만족한다.
(SScr+SBcr)/(SSsh+SBsh)≥1.05 (1)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Scr : 전체 크라운 블록(23)의 사이프(26) 길이 L1의 총합
SBcr : 전체 크라운 블록(23)의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3e)의 길이 L2의 총합
SSsh : 전체 숄더 블록(24)의 사이프(26)의 길이 L3의 총합
SBsh : 전체 숄더 블록(24)의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4e)의 길이 L4의 총합

Description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HEAVY DUTY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빙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복수의 블록에 사이프가 마련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블록이나 사이프의 엣지 성분을 살려서, 얼음노면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고, 구동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성07-205617호 공보
도 6은 블록 패턴을 갖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을 도시하며, (a)는 고하중시 또는 저내압시의 것, (b)는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의 것이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에는, 고하중시 또는 저내압시에 비해서,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이 작아져, 숄더 측의 블록의 사이프나 블록 엣지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어, 빙상 성능이 저하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30∼0.65배의 거리 D1을 두고 있는 위치보다도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영역(크라운 영역 Cr)이,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접지하는 데에 주목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발명자는, 상기 내측 영역(크라운 영역 Cr)에 배치되는 블록의 엣지 성분을, 외측의 영역(숄더 영역 Sh)에 배치되는 블록(6)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이 작아지는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에 있어서도, 엣지 성분의 과도한 감소를 억제하여,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구명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상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트레드부에, 타이어 적도면에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1쌍의 숄더 주홈을 마련하고, 크라운 블록 및 숄더 블록에 적어도 1개의 사이프를 마련하여, 각각의 사이프의 길이나 가로 방향 엣지의 길이를 소정 범위로 한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홈과, 이 주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로홈을 마련함으로써,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블록열이 복수 형성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주홈은, 타이어 축방향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면에서부터 트레드 반폭의 0.30∼0.65배의 거리를 두고 있는 1쌍의 숄더 주홈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상기 숄더 주홈 사이의 크라운 영역에 배치되는 크라운 블록과, 상기 숄더 주홈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에 배치되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 블록 및 숄더 블록에는, 각각 트레드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사이프가 마련되며, 또한 하기 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Scr+SBcr)/(SSsh+SBsh)≥1.05 (1)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S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B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Ssh : 전체 숄더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Bsh : 전체 숄더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총합 SScr은, 상기 총합 SSsh의 1.05배 이상인 것인 제1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하기 식(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SLcr+SScr+SBcr)/(SLsh+SSsh+SBsh)≥1.05 (2)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L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길이의 총합
SLsh : 전체 숄더 블록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의 총합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총합 SLcr은, 상기 총합 SLsh의 1.05배 이상인 것인 제3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트레드부에는, 상기 주홈 사이 및 상기 주홈과 트레드단의 사이에서, 상기 주홈보다 작은 홈 폭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세(細)홈이 마련되는 것인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세홈은, 상기 숄더 주홈과 상기 트레드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세홈을 포함하고, 상기 숄더 세홈은, 숄더 주홈 측에 배치되는 내측 숄더 세홈과, 상기 내측 숄더 세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숄더 세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숄더 세홈의 홈 폭은, 상기 외측 숄더 세홈보다 작은 것인 제5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숄더 블록은, 상기 숄더 주홈과 상기 내측 숄더 세홈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숄더 블록과, 상기 내측 숄더 세홈과 상기 외측 숄더 세홈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숄더 블록과, 상기 외측 숄더 세홈과 상기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는 외측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프의 개수는, 상기 내측 숄더 블록에서부터 상기 외측 숄더 블록에 걸쳐서 점감하는 것인 제6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세홈의 홈 깊이는, 상기 주홈의 홈 깊이의 0.55∼0.85배인 것인 제5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타이어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블록열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을 변위시켜 배치되는 것인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크라운 블록은, 상기 사이프가 2개 마련됨으로써, 상기 사이프 사이의 내측 블록 부재와, 이 내측 블록 부재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단부측 블록 부재로 구분되는 것인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크라운 영역에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고 또한 크라운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1조의 크라운 블록열을 포함하고, 상기 1조의 크라운 블록열은,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가 타이어 축방향으로 중복되도록 위상을 변위시켜 배치되는 것인 제10항에 기재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언급을 하지 않는 한, 타이어 각 부의 치수는, 정규 림에 림 조립되고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된 무부하의 정규 상태에 있어서 특정되는 값으로 한다.
상기 「정규 림」이란, 타이어가 따르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해당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는 림이며, 예컨대 JATMA라면 표준 림, TRA라면 "Design Rim" 혹은 ETRTO라면 "Measuring Rim"을 의미한다.
상기 「정규 내압」이란,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이며, JATMA라면 최고 공기압,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INFLATION PRESSURE"로 한다.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홈과, 이 주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로홈을 마련함으로써,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블록열이 복수 형성된다. 주홈은, 타이어 축방향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면에서부터 트레드 반폭의 0.3∼0.65배의 거리를 두고 있는 1쌍의 숄더 주홈을 포함한다. 이러한 숄더 주홈은,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접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엣지 성분을 충분히 살려 빙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숄더 주홈은, 후술하는 숄더 블록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예컨대 한쪽이 떨어지는 마모 등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상기 숄더 주홈 사이의 크라운 영역에 배치되는 크라운 블록과, 숄더 주홈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에 배치되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크라운 블록 및 숄더 블록에는, 각각의 트레드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사이프가 마련되고, 또한 하기 식(1)을 만족한다.
(SScr+SBcr)/(SSsh+SBsh)≥1.05 (1)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S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B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Ssh : 전체 숄더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Bsh : 전체 숄더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이러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에서는,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접지할 수 있는 크라운 블록의 엣지 성분을, 숄더 블록보다도 증가시킴으로써, 트레드부의 접지면이 작아지는 저하중시나 고내압시에 있어서도, 엣지 성분의 과도한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는,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의 트레드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크라운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숄더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전개도이다.
도 6의 (a)는 고하중시 또는 저내압시의 접지면, (b)는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의 접지면을 도시하는 트레드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의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이하, 간단히 「타이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1)로서, 예컨대 트럭·버스 등의 중하중 차량용의 스터드리스 타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이 타이어(1)의 트레드부(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홈(3)과, 이 주홈(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로홈(4)이 마련된다. 또한, 트레드부(2)에는, 주홈(3, 3) 사이 및 주홈(3)과 트레드단(2e) 사이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세홈(5)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2)는, 주홈(3), 가로홈(4) 및 세홈(5)으로 구획되는 블록(6)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복수의 블록열(7)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주홈(3)은, 그 홈 중심선(11c)이 타이어 적도면 CP 상에서 연장되는 크라운 주홈(11)과, 그 홈 중심선(12c)이 상기 홈 중심선(11c)보다 타이어 축방향의 최외측에 배치되는 1쌍의 숄더 주홈(12, 1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트레드부(2)는, 숄더 주홈(12, 12) 사이의 크라운 영역 Cr과, 숄더 주홈(12)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 Sh로 가상 구분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라운 주홈(11) 및 숄더 주홈(12)은, 예컨대, 홈 중심선(11c, 12c)과 직각 방향의 홈 폭 W1이 트레드 폭 TW의 1/2의 거리인 트레드 반폭 0.5 TW의 4∼8% 정도, 홈 깊이 G1이 트레드 반폭 0.5 TW의 13∼23% 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크라운 주홈(11) 및 숄더 주홈(12)은, 트레드부(2)의 패턴 강성을 확보하면서, 배수 성능 및 설상(雪上)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 폭 W1 및 홈 깊이 G1이, 크라운 주홈(11)과 숄더 주홈(12)에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지만, 서로 다르게 하더라도 좋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상기 트레드 폭 TW는, 상기 정규 상태에 있어서의 트레드단(2e, 2e) 사이의 타이어 축방향 거리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드단(2e)은, 외관상 명료한 엣지에 의해서 식별할 수 있을 때에는 그 엣지로 하지만, 식별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정규 상태의 타이어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트레드부(2)를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의 가장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서 평면에 접지하는 접지단이 트레드단(2e)으로서 정해진다.
상기 「정규 하중」이란, 타이어가 따르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이며, JATMA라면 최대 부하 능력, TRA라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 ETRTO라면 "LOAD CAPACITY"로 한다.
상기 가로홈(4)은, 크라운 영역 Cr에 마련되는 크라운 가로홈(13)과, 숄더 영역 Sh에 마련되는 숄더 가로홈(14)을 포함한다. 또한, 크라운 가로홈(13) 및 숄더 가로홈(14)은, 예컨대, 그 홈 폭 W2가 트레드 반폭 0.5 TW의 3∼7% 정도, 홈 깊이 G2가 트레드 반폭 0.5 TW의 12∼22% 정도로 설정되어, 배수 성능 및 설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세홈(5)은, 크라운 주홈(11)과 숄더 주홈(12) 사이에 배치되는 1개의 크라운 세홈(16)과, 숄더 주홈(12)과 트레드단(2e)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세홈(17)을 포함한다.
상기 크라운 세홈(1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홈 중심선(16c)이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2∼0.3배 정도의 거리 D2를 두고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 크라운 주홈(11)과 숄더 주홈(12) 사이를 타이어 축방향으로 대략 2등분하고 있다. 또한, 크라운 세홈(16)은, 예컨대 그 홈 폭 W3이 트레드 반폭 0.5 TW의 1∼2%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숄더 세홈(17)은, 숄더 주홈(12) 측에 배치되는 내측 숄더 세홈(18)과, 이 내측 숄더 세홈(18)보다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숄더 세홈(19)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숄더 세홈(18)은, 그 홈 중심선(18c)이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6∼0.7배 정도의 거리 D3을 두고 있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숄더 세홈(18)은, 예컨대 그 홈 폭 W4가 트레드 반폭 0.5 TW의 1∼2%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숄더 세홈(19)은, 그 홈 중심선(19c)이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92∼0.96배 정도의 거리 D4를 두고 있는 위치에 마련되고, 그 홈 폭 W5가 트레드 반폭 0.5 TW의 2∼3%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상기 크라운 가로홈(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라운 주홈(11)과 크라운 세홈(16)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크라운 가로홈(13A) 및 크라운 세홈(16)과 숄더 주홈(12)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크라운 가로홈(13B)을 포함한다. 이들 내측, 외측 크라운 가로홈(13A, 13B)은 각각 대략 동일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또한, 내측, 외측 크라운 가로홈(13A, 13B)은 각각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 변위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숄더 가로홈(14)은, 숄더 주홈(12)과 내측 숄더 세홈(18)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숄더 가로홈(14A), 내측 숄더 세홈(18)과 외측 숄더 세홈(19) 사이에서 연장되는 중간 숄더 가로홈(14B) 및 외측 숄더 세홈(19)과 트레드단(2e)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숄더 가로홈(14C)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중간, 외측 숄더 가로홈(14A, 14B, 14C)도, 내측, 외측 크라운 가로홈(13A, 13B)과 마찬가지로, 대략 동일 피치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또한, 내측 숄더 가로홈(14A)은 외측 크라운 가로홈(13B) 및 중간 숄더 가로홈(14B)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 변위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각 가로홈(13A, 13B, 14A, 14B)은 타이어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가로홈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 변위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주행 중의 피치 노이즈를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외측 숄더 가로홈(14C)은, 중간 숄더 가로홈(14B)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이 일치하게 배치된다. 이것은 노면의 수막을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원활히 안내하여, 배수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숄더 가로홈(14)의 홈 폭 W2는, 내측 숄더 가로홈(14A)의 홈 폭 W2a보다도 중간 숄더 가로홈(14B)의 홈 폭 W2b 쪽이 크게 설정되며, 중간 숄더 가로홈(14B)의 홈 폭 W2b보다도 외측 숄더 가로홈(14B)의 홈 폭 W2c 쪽이 크게 설정된다. 즉, 각 홈 폭은, W2a<W2b<W2c의 관계를 만족시킨다. 이것은, 타이어 적도 C 측으로부터 트레드단(2e)으로 향함에 따라서 블록(6)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통상 주행에 있어서 바퀴 자국에 의해 휘청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완더링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트레드단(2e)으로 향할수록 홈 폭 W2가 넓어지기 때문에, 타이어 체인을 블록(6)에 용이하게 걸어둘 수 있다.
상기 블록(6)은, 크라운 영역 Cr(도 1에 도시함)에 배치되는 크라운 블록(23)과, 숄더 영역 Sh(도 1에 도시함)에 배치되는 숄더 블록(24)을 포함한다.
상기 크라운 블록(23)은, 크라운 주홈(11)과 크라운 세홈(16)과 내측 크라운 가로홈(13A)으로 구분되는 내측 크라운 블록(23A)과, 크라운 세홈(16)과 숄더 주홈(12)과 외측 크라운 가로홈(13B)으로 구분되는 외측 크라운 블록(23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그 트레드면 2t(도 2에 도시함)가 타이어 축방향의 폭 B1보다도 둘레 방향 길이 C1이 큰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을 높여, 트랙션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 B1이 트레드 반폭 0.5 TW(도 1에 도시함)의, 예컨대 15∼25% 정도, 상기 둘레 방향 길이 C1이 상기 폭 B1의, 예컨대 138∼148%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의 트레드면 2t에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사이프(26, 26)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상기 사이프(26, 26) 사이의 내측 블록 부재(27)와, 이 내측 블록 부재(27)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단부측 블록 부재(28, 28)로 구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 블록(24)은, 숄더 주홈(12)과 내측 숄더 세홈(18)과 내측 숄더 가로홈(14A)으로 구분되는 내측 숄더 블록(24A), 내측 숄더 세홈(18)과 외측 숄더 세홈(19)과 중간 숄더 가로홈(14B)으로 구분되는 중간 숄더 블록(24B), 및 외측 숄더 세홈(19)과 트레드단(2e)과 외측 숄더 가로홈(14C)으로 구분되는 외측 숄더 블록(24C)을 포함한다.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숄더 블록(24A)은, 그 트레드면 2t(도 2에 도시함)가 타이어 축방향의 폭 B2보다도 둘레 방향 C2가 큰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내측 숄더 블록(24A)도, 타이어 둘레 방향의 강성을 높여, 트랙션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 B2가 트레드 반폭 0.5 TW(도 1에 도시)의, 예컨대 13∼23% 정도, 상기 둘레 방향 길이 C2가 상기 폭 B2의, 예컨대 115∼125%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숄더 블록(24A)의 트레드면 2t에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사이프(26, 26)가 마련된다. 이에 따라, 내측 숄더 블록(24A)도,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과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프(26, 26) 사이의 내측 블록 부재(31)와, 이 내측 블록 부재(31)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단부측 블록 부재(32, 32)로 구분된다.
상기 중간 숄더 블록(24B)의 트레드면 2t는, 타이어 축방향의 폭 B3이 내측 숄더 블록(24A)의 폭 B2보다도 큰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중간 숄더 블록(24B)은, 타이어 축방향의 강성을 높여, 조종 안정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 B3이 트레드 반폭 0.5 TW의, 예컨대 17∼27% 정도, 상기 둘레 방향 길이 C3이 상기 폭 B3의, 예컨대 110∼12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 숄더 블록(24B)의 트레드면 2t에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사이프(26)가 블록의 둘레 방향 길이의 중간 위치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중간 숄더 블록(24B)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이등분되는 1쌍의 단부측 블록 부재(33, 33)로 구분된다.
상기 외측 숄더 블록(24C)은, 그 트레드면 2t가, 내측 숄더 블록(24A)보다도 타이어 축방향의 폭 B4가 작은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 숄더 블록(24C)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엣지 성분을 크게 할 수 있어, 내편마모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폭 B4가 트레드 반폭 0.5 TW의, 예컨대 3∼7% 정도, 둘레 방향 길이 C4가 상기 폭 B4의, 예컨대 290∼310%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외측 숄더 블록(24C)의 트레드면 2t에는, 상기와 같은 사이프(26)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열(7)은, 내측 크라운 블록(23A)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내측 크라운 블록열(7A)과, 외측 크라운 블록(23B)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외측 크라운 블록열(7B)과, 내측 숄더 블록(24A)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내측 숄더 블록열(7C)과, 중간 숄더 블록(24B)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중간 숄더 블록열(7D)과, 외측 숄더 블록(24C)이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외측 숄더 블록열(7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각 크라운 블록열(7A, 7B, 7C, 7D)은, 내측, 외측 크라운 가로홈(13A, 13B) 및 내측, 중간 숄더 가로홈(14A, 14B)이 서로 마주하지 않도록 위상을 변위시킴으로써, 타이어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각각의 블록열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 변위되어 배치된다. 외측 숄더 블록열(7E)은, 내측 숄더 블록열(7D)과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위상이 일치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블록열(7)을 구비한 타이어(1)는, 블록(6)이나 사이프(26)의 엣지 성분을 밸런스 좋게 발휘시켜, 얼음노면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고, 구동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1)는, 도 6(a)에 도시된 고하중시 또는 저내압시에 비해서, 도 6(b)에 도시된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의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이 작아지기 때문에, 숄더 영역 Sh에서의 블록(6)의 사이프(26)나 블록 엣지를 유효하게 사용할 수 없어, 빙상 성능이 저하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트레드 반폭 0.5 TW의 0.30∼0.65배의 거리 D1을 두고 있는 위치보다도 타이어 축방향의 내측 영역(본 실시형태에서는 크라운 영역 Cr)이,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접지하는 데에 주목하여, 상기 내측 영역에 배치되는 블록(6)이나 사이프(26)의 엣지 성분을, 내측 영역보다도 외측의 영역(본 실시형태에서는 숄더 영역 Sh)보다도 일정 범위 이상 크게 함으로써,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이 작아지는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에 있어서도, 엣지 성분의 과도한 감소를 억제하여,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구명했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에서는, 상기 숄더 주홈(12)의 홈 중심선(12c)이, 타이어 적도면 CP로부터 상기 거리 D1을 두고 배치된다. 이러한 숄더 주홈(12)은,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안정적으로 접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엣지 성분을 충분히 살려 빙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숄더 주홈(12)이 거리 D1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그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 Sh가 과도하게 작아지는 것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숄더 블록(24)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예컨대, 한쪽이 떨어져 마모되는 등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에서는, 하기 식(1)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하다.
(SScr+SBcr)/(SSsh+SBsh)≥1.05 (1)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Scr : 전체 크라운 블록(23)의 사이프(26)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 L1(도 4에 도시함)의 총합
SBcr : 전체 크라운 블록(23)의 트레드면 2t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23e, 23e)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3e)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 L2(도 4에 도시함)의 총합
SSsh : 전체 숄더 블록(24)의 사이프(26)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 L3(도 5에 도시함)의 총합
SBsh : 전체 숄더 블록(24)의 트레드면 2t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24e, 24e)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4e)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 L4(도 5에 도시함)의 총합
여기서, 상기 총합 SBcr에 있어서,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3e)에 한정하고 있는 것은, 1쌍의 가로 방향 엣지(23e, 23e)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3e)가 직진 주행시에 있어서, 엣지 성분을 유효하게 발휘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 방향 엣지(23e, 23e)의 길이 L2가 각각 다른 경우는, 큰 것을 이용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합 SBsh도, 상기 총합 SBcr와 같은 이유에 의해,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24e)에 한정되고, 가로 방향 엣지(24e)의 길이 L4가 각각 다른 경우는, 큰 것을 이용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식(1)에서는, 크라운 블록(23) 및 숄더 블록(24)의 각각에 있어서, 타이어 축방향의 엣지 성분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식(1)을 만족하는 타이어(1)에서는, 크라운 블록(23)의 엣지 성분을 숄더 블록(24)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어, 트레드부(2)의 접지면(20)이 작아지는 저하중시나 고내압시에 있어서도, 엣지 성분의 과도한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어(1)는,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숄더 주홈(12)의 상기 거리 D1이, 트레드 반폭 0.5 TW의 0.30배 미만이면, 상기 숄더 주홈(12)이 과도하게 타이어 축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크라운 영역 Cr의 강성이 작아지고, 센터 마모가 생기기 쉽게 되는 등, 내편마모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거리 D1이 트레드 반폭 0.5 TW의 0.65배를 넘으면,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에 숄더 주홈(12)이 접지하지 않게 되어, 상기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거리 D1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반폭 0.5 TW의, 0.3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4배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0.6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55배 이하이다.
또한, 상기 비((SScr+SBcr)/(SSsh+SBsh))가 1.05 미만이면, 저하중시 또는 고내압시에 엣지 성분이 감소하여, 상기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비((SScr+SBcr)/(SSsh+SBsh))가 지나치게 크면, 사이프(26)의 과도한 증가에 의해 크라운 영역 Cr의 강성이 작아져, 센터 마모가 생기기 쉽게 되는 등, 내편마모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SScr+SBcr)/(SSsh+SBsh)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총합 SScr은, 상기 총합 SSsh의, 바람직하게는 1.0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10배 이상이다. 상기 총합 SScr이 과도하게 작아지면, 빙상 성능의 기여율이 높은 크라운 블록(23)의 사이프(26)가 과도하게 적어져, 가령 상기 식(1)을 만족하더라도 빙상 성능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총합 SScr이 과도하게 커지면, 크라운 블록(23)의 사이프(26)가 과도하게 많아져, 트레드부(2)의 강성이 저하되고, 빙상 성능이나 내편마모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총합 SScr은, 상기 총합 SSsh의, 바람직하게는 2.00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배 이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는 하기 식(2)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Lcr+SScr+SBcr)/(SLsh+SSsh+SBsh)≥1.05 (2)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Lcr : 전체 크라운 블록(23)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23f)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23f)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L5(도 4에 도시함)의 총합
SLsh : 전체 숄더 블록(24)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24f)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24f)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L6(도 5에 도시함)의 총합
여기서, 상기 총합 SLcr에 있어서,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23f)에 한정하고 있는 것은, 1쌍의 세로 방향 엣지(23f, 23f)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23f)가, 선회시에 있어서, 엣지 성분을 유효하게 발휘하기 때문이다. 또한, 세로 방향 엣지(23f, 23f)의 길이 L5가 각각 다른 경우는, 큰 것을 이용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합 SLsh도, 상기 총합 SLcr와 같은 이유에 의해,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24f)에 한정되고, 세로 방향 엣지(24f)의 길이 L6이 각각 다른 경우는, 큰 것을 이용해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식(2)에서는, 상기 식(1)의 타이어 축방향의 엣지 성분에 더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의 엣지 성분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식(2)을 만족하는 타이어(1)에서는, 직진 주행시나 선회시 모두에 있어서 빙상에서 우수한 그립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비 (SLcr+SScr+SBcr)/(SLsh+SSsh+SBsh)가 1.05 미만이면, 상기와 같은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반대로, 상기 비 (SLcr+SScr+SBcr)/(SLsh+SSsh+SBsh)가 지나치게 크면, 트레드부(2)의 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비 (SLcr+SScr+SBcr)/(SLsh+SSsh+SBsh)는,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15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상기 총합 SLcr은, 상기 총합 SLsh의, 바람직하게는 1.0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10배 이상이다. 상기 총합 SLcr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크라운 블록(23)의 세로 방향 엣지가 과도하게 작아져, 선회의 그립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총합 SLcr이 과도하게 커지면, 크라운 블록(23)의 블록 강성이 저하되어, 빙상 성능이나 내편마모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총합 SLcr은, 상기 총합 SLsh의, 바람직하게는 2.00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배 이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홈(5)의 홈 깊이 G3은, 주홈(3)의 홈 깊이 G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세홈(5)은, 블록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세로 방향 엣지를 살릴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상기 세홈(5)의 홈 깊이 G3을, 상기 주홈(3)의 홈 깊이 G1의, 바람직하게는 0.55배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60배 이상으로 한다. 상기 세홈(5)의 홈 깊이 G3이 지나치게 작으면, 각 블록(6)의 세로 방향 엣지를 충분히 살릴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세홈(5)의 홈 깊이 G3이 지나치게 크면, 블록 강성이 저하되어, 내편마모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세홈의 홈 깊이 G3은, 주홈(3)의 홈 깊이 G1의, 바람직하게는 0.85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0배 이하이다.
또한, 내측 숄더 세홈(18)의 홈 깊이 G3b는, 외측 숄더 세홈(19)의 홈 깊이 G3c의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0.60% 이상이다. 상기 홈 깊이 G3b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엣지 성분을 충분히 높일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홈 깊이 G3b가 과도하게 커지면,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따라 접지면(20)이 변화되기 쉬운 내측 숄더 세홈(18) 근방의 트레드면 2t의 강성이 저하되어, 편마모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홈 깊이 G3b는, 상기 홈 깊이 G3c의 바람직하게는 0.85%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0% 이하이다.
같은 관점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숄더 세홈(18)의 홈 폭 W4는, 외측 숄더 세홈(19)의 홈 폭 W5의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또한, 상기 사이프(26)의 개수는, 상기 내측 숄더 블록(24A)으로부터 상기 외측 숄더 블록(24C)에 걸쳐서 점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중간, 외측 숄더 블록(24A, 24B, 24C)은, 선회시에 접지압이 커지는 타이어 축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블록 강성이 높아져, 빙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의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28, 28)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5는, 내측 블록 부재(27)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6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타이어 둘레 방향 양단의 블록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내편마모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작용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 상기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의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28, 28)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5를, 내측 블록 부재(27)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6의,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으로 한다. 상기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5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상기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단의 블록 강성이 작아져, 내편마모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5가 과도하게 커지면, 사이프(26, 26)가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의 트레드면 2t의 타이어 둘레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빙상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5는, 상기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6의,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같은 관점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숄더 블록(24A)의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32, 32)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7은, 내측 블록 부재(31)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 C8의, 바람직하게는 11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20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28, 28)가 타이어 축방향으로 중복되도록 위상 변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측, 외측 크라운 블록(23A, 23B)은, 비교적 강성이 높은 단부측 블록 부재(28, 28)를 타이어 축방향으로 나란히 늘어놓아, 각각의 블록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빙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히 기술했지만, 본 발명은 도시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양태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도 1에 도시하는 기본 구조를 이루고, 표 1에 나타내는 블록 및 사이프를 갖는 타이어를 제조하여, 이들의 성능을 평가했다. 한편, 공통사양은 다음과 같다.
타이어 사이즈 : 11R22.5 14PR
림 사이즈 : 22.5×7.50
트레드 반폭 0.5 TW : 120 mm
크라운 주홈, 숄더 주홈 : 홈 폭 W1 : 5 mm
홈 깊이 G1 : 20 mm
비(W1/0.5TW) : 4.17%
비(G1/0.5TW) : 16.7%
크라운 가로홈, 숄더 가로홈 : 홈 폭 W2a : 6 mm
홈 폭 W2b : 10 mm
홈 폭 W2c : 15 mm
홈 깊이 G2 : 20 mm
비(W2a/0.5TW) : 5.0%
비(W2b/0.5TW) : 8.3%
비(W2c/0.5TW) : 12.5%
비(G2/0.5TW) : 16.7%
크라운 세홈 : 거리 D2 : 30 mm
홈 폭 W3 : 2 mm
비(D2/0.5TW) : 0.25
비(W3/0.5TW) : 1.67%
내측 숄더 세홈 : 거리 D3 : 90 mm
비(D3/0.5TW) : 0.75
외측 숄더 세홈 : 거리 D4 : 115 mm
비(D4/0.5TW): 0.96
내측 크라운 블록, 외측 크라운 블록 : 둘레 방향 길이 C1 : 32 mm
폭 B1 : 25 mm
비(B1/0.5TW): 20.8%
비(C1/B1) : 128%
내측 숄더 블록 : 폭 B2 :25 mm
둘레 방향 길이 C2 : 32 mm
비(B2/0.5TW) : 20.8%
비(C2/B2) : 128%
중간 숄더 블록 : 폭 B3 : 27 mm
둘레 방향 길이 C3 : 28 mm
비(B3/0.5TW) : 22.5%
비(C3/B3) : 104%
외측 숄더 블록 : 폭 B4 : 5 mm
둘레 방향 길이 C4 : 23 mm
비(B4/0.5TW) : 4.2%
비(C4/B4) : 460%
테스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빙상 성능>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림에 림 조립하며, 내압 800 kPa 충전하고, 적재용량 8.5 톤 2-D차의 전륜에 장착하여, 반(半)적재(전륜 하중 : 26.72 kN, 후륜 하중 : 11.38 kN) 상태로, 얼음길(노면 온도 -2∼0도)의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차량 정지 상태에서 발진 가속시켰을 때의 느낌을 프로 테스트 드라이버의 관능에 의해 평가했다. 결과는 실시예 1을 100으로 하는 평점이며, 수치가 클수록 양호하다.
<내편마모 성능>
각 공시 타이어를 상기 조건으로 림 조립하며, 상기 차량의 전륜에 장착하고, 드라이 아스팔트 노면을 300 km 주행한 후에, 타이어 둘레 상의 3곳에 있어서, 숄더 주홈 근방의 블록과 다른 블록의 마모량의 차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마모량의 평균을 실시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표시하며, 수치가 작을수록 양호하다.
테스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87508666-pat00001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하중이나 내압의 대소에 영향을 받는 일없이 빙상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 타이어 2 : 트레드부
3 : 주홈 6 : 블록
7 : 블록열 12 : 숄더 주홈
23 : 크라운 블록 24 : 숄더 블록
26 : 사이프

Claims (11)

  1. 트레드부에,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주홈과, 이 주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가로홈을 마련함으로써,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블록열이 복수 형성된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로서,
    상기 주홈은, 타이어 축방향의 최외측에 배치되고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면에서부터 트레드 반폭의 0.30∼0.65배의 거리를 두고 있는 1쌍의 숄더 주홈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상기 숄더 주홈 사이의 크라운 영역에 배치되는 크라운 블록과, 상기 숄더 주홈의 타이어 축방향 외측의 숄더 영역에 배치되는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 블록 및 숄더 블록에는, 각각 트레드면에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사이프가 마련되며, 하기 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SScr+SBcr)/(SSsh+SBsh)≥1.05 (1)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Scr : 상기 크라운 영역에서 전체 크라운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Bcr : 상기 크라운 영역에서 전체 크라운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SSsh : 상기 숄더 영역에서 전체 숄더 블록의 상기 사이프의 타이어 축방향의 길이의 총합
    SBsh : 상기 숄더 영역에서 전체 숄더 블록의 트레드면의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마주하는 가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가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축방향 길이의 총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Scr은, 상기 SSsh의 1.05배 이상인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기 식(2)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SLcr+SScr+SBcr)/(SLsh+SSsh+SBsh)≥1.05 (2)
    단, 부호는 다음과 같다.
    SLcr : 전체 크라운 블록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의 총합
    SLsh : 전체 숄더 블록의 타이어 축방향으로 마주하는 세로 방향 엣지 중 한쪽의 세로 방향 엣지의 타이어 둘레 방향 길이의 총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Lcr은, 상기 총합 SLsh의 1.05배 이상인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에는, 상기 주홈 사이, 및 상기 주홈과 트레드단 사이에서, 상기 주홈보다 작은 홈 폭으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세홈이 마련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홈은, 상기 숄더 주홈과 상기 트레드단의 사이에 배치되는 숄더 세홈을 포함하고,
    상기 숄더 세홈은, 숄더 주홈 측에 배치되는 내측 숄더 세홈과, 이 내측 숄더 세홈보다 타이어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숄더 세홈을 포함하며,
    상기 내측 숄더 세홈의 홈 폭은, 상기 외측 숄더 세홈보다 작은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블록은, 상기 숄더 주홈과 상기 내측 숄더 세홈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 숄더 블록과, 상기 내측 숄더 세홈과 상기 외측 숄더 세홈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숄더 블록과, 상기 외측 숄더 세홈과 상기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는 외측 숄더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프의 개수는, 상기 내측 숄더 블록에서 상기 외측 숄더 블록에 걸쳐서 점감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홈의 홈 깊이는, 상기 주홈의 홈 깊이의 0.55∼0.85배인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타이어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블록열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위상 변위되어 배치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블록은, 상기 사이프가 2개 마련됨으로써, 상기 사이프 사이의 내측 블록 부재와, 이 내측 블록 부재의 타이어 둘레 방향 양 외측에 위치하는 1쌍의 단부측 블록 부재로 구분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 영역에는, 타이어 축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며 크라운 블록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서는 1조의 크라운 블록열이 포함되고,
    상기 1조의 크라운 블록열은, 상기 단부측 블록 부재가 타이어 축방향으로 중복되도록 위상 변위되어 배치되는 것인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KR1020110115071A 2010-11-11 2011-11-07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KR101787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3116A JP5081291B2 (ja) 2010-11-11 2010-11-11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JP-P-2010-253116 2010-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903A KR20120050903A (ko) 2012-05-21
KR101787111B1 true KR101787111B1 (ko) 2017-11-15

Family

ID=4555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071A KR101787111B1 (ko) 2010-11-11 2011-11-07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7614B2 (ko)
EP (1) EP2452836B1 (ko)
JP (1) JP5081291B2 (ko)
KR (1) KR101787111B1 (ko)
CN (1) CN102463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0867B2 (ja) * 2011-10-07 2014-04-2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5517816B (zh) * 2013-08-28 2017-08-08 株式会社普利司通 重载用充气轮胎
EP3118022B1 (en) * 2014-03-26 2020-05-06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tire
CN108290460B (zh) 2015-11-12 2020-11-06 株式会社普利司通 轮胎
JP6885176B2 (ja) * 2017-04-18 2021-06-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952593B2 (ja) * 2017-12-13 2021-10-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JP7172476B2 (ja) * 2018-11-12 2022-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72478B2 (ja) * 2018-11-12 2022-11-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2021105422A1 (de) 2020-03-31 2021-09-30 The Yokohama Rubber Co., Ltd. R e i f e 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677A (ja) * 2008-02-18 2009-08-27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US20090229721A1 (en) * 2008-03-12 2009-09-17 Akio Ikeda Studless tir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0984B2 (ja) * 1991-08-26 2000-09-25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タイヤ
US5385189A (en) * 1991-11-01 1995-01-31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with paired sides in the tread
DE69225554T2 (de) * 1991-11-01 1998-09-10 Bridgestone Corp Luftreifen
JP2898832B2 (ja) * 1992-09-30 1999-06-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880899B2 (ja) * 1994-01-10 1999-04-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880900B2 (ja) * 1994-01-19 1999-04-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2002321508A (ja) * 2001-04-26 2002-11-05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空気入りタイヤ
JP3524899B2 (ja) * 2001-10-12 2004-05-1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JP3493190B2 (ja) * 2001-10-15 2004-02-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JP5038739B2 (ja) * 2007-02-22 2012-10-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5010456B2 (ja) * 2007-12-27 2012-08-2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696145B2 (ja) * 2008-06-12 2011-06-08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825288B2 (ja) * 2009-08-24 2011-11-3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09274726A (ja) * 2009-08-26 2009-11-26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0677A (ja) * 2008-02-18 2009-08-27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US20090229721A1 (en) * 2008-03-12 2009-09-17 Akio Ikeda Studless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2836A1 (en) 2012-05-16
CN102463853B (zh) 2015-08-26
RU2011145438A (ru) 2013-05-20
US9027614B2 (en) 2015-05-12
JP2012101719A (ja) 2012-05-31
JP5081291B2 (ja) 2012-11-28
CN102463853A (zh) 2012-05-23
EP2452836B1 (en) 2013-06-19
US20120118458A1 (en) 2012-05-17
KR20120050903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111B1 (ko)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KR101877573B1 (ko) 공기 타이어
KR101817364B1 (ko) 공기 타이어
KR101817367B1 (ko) 공기 타이어
JP525001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86886B1 (ko)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KR102065609B1 (ko) 공기 타이어
KR101788879B1 (ko) 공기 타이어
EP3219513B1 (en) Pneumatic tire
JP5739862B2 (ja)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EP3040216B1 (en) Pneumatic tire
US20160137005A1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KR101697379B1 (ko) 공기 타이어
US10183533B2 (en) Heavy-duty tire
CN108688411B (zh) 充气轮胎
KR101740739B1 (ko) 공기 타이어
KR20120121833A (ko) 공기 타이어
JP538603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506057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80264891A1 (en) Pneumatic tire
KR101760527B1 (ko) 중하중용 공기 타이어
JP584155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450551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125901A (ja) タイヤ
KR20180125891A (ko)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