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687B1 - 탈거 장치 - Google Patents

탈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687B1
KR101737687B1 KR1020150074696A KR20150074696A KR101737687B1 KR 101737687 B1 KR101737687 B1 KR 101737687B1 KR 1020150074696 A KR1020150074696 A KR 1020150074696A KR 20150074696 A KR20150074696 A KR 20150074696A KR 101737687 B1 KR101737687 B1 KR 101737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aw material
outlet
stripping
steam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024A (ko
Inventor
허창회
주은정
신대영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656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JP6494048B2/ja
Priority to US15/313,890 priority patent/US10570223B2/en
Priority to PCT/KR2015/005347 priority patent/WO2015183006A1/ko
Publication of KR20150137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14Treatment of polymer emulsions
    • C08F6/16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01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 C08F6/003Removal of residual monomers by physical means from polymer solutions, suspensions, dispersions or emulsions without recovery of the polymer therefr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6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 B01D1/12Evaporators with vertical tubes and forced cir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6/00Post-polymerisation treatments
    • C08F6/06Treatment of polymer solutions
    • C08F6/10Removal of volatile materials, e.g.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시적인, 본 출원의 탈거 장치 및 상기 탈거 장치 및방법에 따르면, 스팀을 이용한 탈거 공정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원료와 스팀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탈거 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 특히,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탈거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거 장치{STRIPPING APPARATUS}
본 출원의 구현예들은 탈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 염화 비닐(Poly Vinyl Chloride, PVC)는 열가소성 수지 중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합성수지이고, 예를 들어, 연질 제품으로서는 포장용 필름, 전자 제품 및 각종 가구 표면의 무늬 시트 등의 분야에 사용되며, 경질 제품으로는 압출 성형에 의한 수도관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폴리 염화 비닐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료인 염화 비닐 단량체(Vinyl Cloride Monomer, VCM)는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에서 중합되는데, 반응 개시제로서 폭발성 물질인 유기과산화물 등이 사용되며, 첨가제는 분산제 또는 유화제 및 산화방지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중합된 폴리 염화 비닐은 탈거(Stripping) 공정을 거쳐 상기 폴리 염화 비닐 내의 미반응된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를 제거한 후, 분말 형태로 저장되고 있다.
본 출원은 탈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탈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본 출원의 탈거 장치 및 상기 탈거 장치를 이용한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방법에 따르면, 스팀을 이용한 탈거 공정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원료와 스팀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탈거 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 특히,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탈거(Stripping)」는 액체 속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를 분리 및 제거하는 것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스팀, 불활성 가스 또는 공기 등에 의한 직접 접촉, 가열 및 가압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탈거는 스트리핑, 방산 또는 분리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폴리 염화 비닐의 제조 및 탈거 방법을 설명하지만, 상기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장치의 범위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탈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듯이, 본 출원의 탈거 장치(1)는 원료 공급 장치(10), 스팀 공급 장치(20) 및 탈거탑(30)을 포함한다.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는, 원료(F1)를 상기 탈거탑(30), 예를 들어, 상기 탈거탑(30)의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는 원료(F1)가 저장되는 탱크 또는 상기 원료(F1)가 중합되는 반응기(11), 및 상기 원료(F1)가 이송되는 배관(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는, 상기 원료(F1)가 중합되는 반응기(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반응기(11)로는 회분식 반응기(batch reactor), 흐름형 반응기(flow reacto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목적하는 물질의 종류 및 반응 조건에 따라 상기 반응기(11)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료(F1)는, 상기 반응기(11)에서 중합 반응 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목적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원료(F1)가 폴리 염화 비닐(poly vinyl chloride, PVC)을 포함할 경우, 상기 중합 반응은 현탁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상기 폴리 염화 비닐을 중합할 경우, 상기 회분식 반응기(11)에 염화 비닐 단량체(vinyl chloride monomer, VCM), 물, 분산제 및 반응 개시제를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중합이 수행될 수 있으며,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에 의하여 상기 폴리 염화 비닐을 중합할 경우에는, 염화 비닐 단량체, 물, 유화제 및 반응 개시제를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중합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 유화제 및 반응 개시제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원료는 단량체의 유화 중합물(emlusion polymerization product)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단량체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응기(11)에서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 물, 유화제 및 반응 개시제를 적절한 양으로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 및 압력 조건에서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반응물이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를 통하여,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되어 탈거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11) 내의 물과 염화 비닐 단량체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화제의 농도는 2000 ppm 내지 10,000 ppm, 반응 개시제의 농도는 예를 들어, 500 내지 1,000 pp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탈거 장치(1)에 의하여, 단량체의 유화 중합물을 포함하는 상기 원료(F1)를 탈거시킬 경우, 유화제에 둘러쌓여 있는 단량체들이 유화제로부터 빠져나옴으로써 기존의 탈거 장치에 의하여 탈거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유화 중합물의 예로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가, 예를 들어, 반응기(11)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는, 상기 반응기(11)로 전술한 반응물을 유입하기 위한 배관 및 상기 배관에 의하여 상기 반응기(11)에 연결된 반응물 공급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반응기(11)에서 중합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원료(F1)는, 폴리 염화 비닐 및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반응기(11) 내에서 수행된 중합 공정이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공정의 경우에는 상기 원료(F1)는 물, 폴리 염화 비닐 및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가 혼합된 형태의 슬러리 상으로 존재하거나, 상기 반응기(11) 내에서 수행되는 중합 공정이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의 경우, 상기 원료(F1)는 물 내에 폴리머 분자가 유화제에 의하여 용해되어 있는 상태(이하, 라텍스 상)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반응기(11) 내의 전환율이 일정 수준, 예를 들어, 80% 이상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슬러리 상 또는 라텍스 상의 원료(F1)의 일부는 블로우 다운(blow-dwon) 탱크(도시되지 않음)로 유입되어 상기 블로우 다운 탱크에서 미반응된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가 회수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 원료(F1)는 본 출원의 탈거 장치(1)에 유입되어, 탈거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원료(F1)가 슬러리 상일 경우에는, 상기 블로우 다운 탱크 및 탈거 장치(1)에서 미반응된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가 제거된 슬러리는 원심 분리기를 거쳐 폴리 염화 비닐로부터 수분을 분리되며, 이송된 폴리 염화 비닐 수지의 잔여 수분은 유동층 건조기를 통하여 열풍으로 건조되고 선별 시설을 거쳐 분말 형태로 별도의 저장 탱크(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상기 원료(F1)가 라텍스 상일 경우에는, 상기 블로우 다운 탱크 및 탈거 장치(1)에서 미반응된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가 제거된 라텍스는 원심 분리기를 거치지 않은채, 유동층 건조기를 통하여 열풍(hot air)으로 건조되거나, 또는 상기 라텍스를 분무(spray)한 후에 열풍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선별 시설을 거쳐 분말 형태로 별도의 저장 탱크(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탈거탑(30)은,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로부터 유입된 원료(F1) 내의 기체 및 원료(F1)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 예를 들어,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를 상기 원료(F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스트리핑 탑으로서, 상기 탈거탑(30)은, 원료 공급 영역(31); 스팀 공급 영역(32); 및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과 스팀 공급 영역(32) 사이의 탈거 영역(33)으로 구분된다. 즉, 상기 원료 공급 장치(10)에서 슬러리 상의 원료(F1)는 상기 탈거탑(30)의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되며, 상기 원료(F1)는 탈거 영역(33)을 거쳐 상기 탈거탑(30)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부터 유입된 스팀(F2)과 접촉하고, 가열되어 탈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원료(F1)가 폴리 염화 비닐 및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원료(F1)로부터 탈거된 물질은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은 제 1 유출부(3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탈거된 원료, 예를 들어,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가 제거된 폴리 염화 비닐을 포함하는 슬러리 상의 원료인 제 1 유출 흐름(F4)은 상기 제 1 유출부(321)에서 유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에 나타나듯이, 제 1 유출부(321)는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의 하부 및/또는 탈거탑(30)의 탑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은 제 2 유출부(3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료로부터 탈거된 물질, 예를 들어,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 및 상기 원료와 접촉한 스팀(F2)을 포함하는 제 2 유출 흐름(F3)은 상기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나듯이, 상기 제 2 유출부(311)는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의 상부 및/또는 탈거탑(30)의 탑정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는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 및 원료 공급 영역(31) 내에서 상대적으로 위쪽 부분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 및 원료 공급 영역(31)을 세로 방향, 예를 들어, 탈거 탑의 길이 또는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2등분 하였을 때, 나뉘어진 2개의 영역 중 위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하부」는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 및 원료 공급 영역(31) 내에서 상대적으로 아래쪽 부분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 및 원료 공급 영역(31)을 세로 방향, 예를 들어, 탈거 탑의 길이 또는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2등분 하였을 때, 나뉘어진 2개의 영역 중 아래쪽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탑(30)의 「탑정」은 상기 탈거탑(30)의 탑의 가장 꼭대기 부분을 의미하며, 전술한 원료 공급 영역(3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탈거탑(30)의 「탑저」는 상기 탈거탑(30)의 탑의 가장 바닥 부분을 의미하며, 전술한 스팀 공급 영역(32)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는, 본 출원의 탈거 장치(1)의 탈거 영역(33)에서 상기 유입된 슬러리 상의 원료를 탈거시키기 위한 공정, 즉, 상기 원료와 직접 접촉하는 스팀(F2)을 상기 탈거 장치(1)로 유입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팀(F2)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라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장치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는, 스팀(F2)이 저장되어 있는 탱크 또는 상기 스팀(F2)을 생성하기 위한 스팀 생성기(21), 및 상기 탱크 또는 스팀 생성기(21)와 스팀 공급 영역(32) 사이에 연결된 배관(22)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를 통하여 상기 탈거탑(30) 내부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된 스팀(F2)은 탈거 영역(33)으로 유입되며, 상기 탈거 영역(33)에서 상기 원료 공급 공급 영역(31)으로부터 유입된 원료와 접촉하여, 상기 원료(F1)를 탈거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탈거 장치(1)는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
[일반식 1]
5℃ ≤ Ts-Tf < 30℃
상기 일반식 1에서, Ts는 상기 탈거탑(30)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의 온도를 나타내고, Tf는 상기 탈거탑(30)으로 유입되는 원료(F1)의 온도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탈거 장치(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 예를 들어, 미반응 염화 비닐 단량체를 포함하는 원료(F1)와 탈거 장치(1)로 유입되는 스팀(F2) 사이의 온도 차이를 5 내지 30℃ 미만, 예를 들어, 10 내지 30℃ 미만 또는 20 내지 30℃ 미만의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탈거 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스팀(F2)과 원료(F1) 사이에 충분한 열교환을 일으켜, 이에 따라, 상기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 특히,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 장치(1)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원료(F1)의 온도는,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75℃, 예를 들어, 60℃ 내지 70℃, 55℃ 내지 65℃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F2)의 온도는,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5℃ 내지 105℃, 예를 들어, 60℃ 내지 100℃, 70℃ 내지 90℃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를 통하여 상기 탈거탑(30) 내부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은, 상기 원료(F1)를 탈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되는 원료(F1)의 공급량의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의 공급량의 1 내지 10%, 1 내지 5% 또는 2 내지 4%의 양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F2)의 공급량을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원료(F1)를 충분히 탈거시킴과 동시에, 탈거 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스팀(F2)은,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하거나, 또는 전술한 온도 범위로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한 범위의 압력으로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의 압력은 1.0 bar 이하, 예를 들어, 0.8 bar 이하, 0.6 bar 이하, 0.4 bar 이하, 0.3 bar 이하, 또는 0.1 bar 이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진공 상태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스팀(F2)은 상기 압력 범위로 유입되기 위하여, 스팀 공급 영역(32) 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감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는 감압 장치(23)를 추가로 포함하고, 압력이 2.5 내지 5.0 bar, 예를 들어, 2.8 내지 3.2 bar의 저압 스팀이 상기 감압 장치(23)를 통과하여 감압되어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감압 장치(23)로는, 상기 스팀(F2)의 압력을 낮출 수 있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가 배관(22)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경우, 상기 배관(22) 또는 파이프에 설치된 컨트롤 밸브 등을 통하여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는 냉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저압 스팀은,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하거나, 또는 전술한 온도 범위로 조절하기 위하여, 냉각 장치를 통과하여 냉각된 후에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탈거 장치(1)는 전술한 미반응 염화 비닐 단량체를 회수하고 재사용하기 위한 회수 장치(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탈거 장치(1)는 전술한 원료 공급 영역(31)에 포함되는 제 2 유출부(311)로부터 순차로 연결된 응축기(40) 및 탈거된 물질의 회수 장치(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0) 및 회수 장치(50)를 통과하여 회수된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는 전술한 원료 공급 장치(10)로 유입되어 재사용 될 수 있다. 상기 회수 장치(50)를 통하여, 회수된 염화 비닐 단량체를 폴리 염화 비닐의 중합 공정에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폴리 염화 비닐 제조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 및 상기 원료(F1)와 접촉한 스팀(F2)을 포함하는 제 2 유출 흐름(F3)은 상기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은 응축기(40)를 통과하고, 상기 응축기(40)에서 응축수와 접촉하여 응축된 스팀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0)를 통과하는 응축수의 유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유출 흐름(F3)의 유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비응축된 상기 탈거된 물질, 예를 들어, 미반응 잔류 염화 비닐 단량체는 기체 상태로 흘러나와 연속 회수 압축기에서 압축되고 응축될 수 있다.
상기 탈거 장치(1)는 일반적인 증류탑(distillation column)이거나, 또는 기타 증발기 형태의 스트리핑 탑(stripping tower)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탈거 장치(1)가 일반적인 증류탑일 경우에는 평형 상태에 도달할 경우, 공급된 스팀(F2)의 일부가 증류탑의 상부에서 기체 상태로 유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팀을 포함하는 제 2 유출 흐름(F3)은 상기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은 응축기(40)를 통과하고, 상기 응축기(40)에서 응축수와 접촉하여 응축된 스팀은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탈거 장치(1)가 증발기 형태의 스트리핑 탑일 경우에는 공급된 스팀(F2)은 모두 탑 내에서 응축되어 탑 하부로 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탈거 장치(1)가 일반적인 증류탑인 경우에도, 응축된 스팀의 일부는 탑 하부로 떨어지거나, 미응축된 스팀의 일부가 탑의 상부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탈거 장치(1)가 스트리핑 탑일 경우에도, 응축된 스팀의 일부는 탑 하부로 떨어지거나, 미응축된 스팀의 일부가 탑의 상부에서 배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제거 방법은 전술한 탈거 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거 방법은 단량체의 유화 중합물을 포함하는 원료(F1)를 전술한 탈거 장치(1)에 포함되는 탈거탑(30)의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된 원료(F1)를 상기 탈거탑(30)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과 접촉시켜 상기 원료(F1)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량체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출원의 제거 방법에서는, 상기 원료(F1)가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및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포함하고,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된 상기 원료(F1)를 상기 탈거탑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과 접촉시켜 상기 원료(F1)로부터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방법은, 상기 탈거탑(30)으로 유입되는 원료(F1)와 스팀(F2)의 온도가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식 1]
5℃ ≤ Ts-Tf < 30℃
상기 일반식 1에서, Ts는 상기 탈거탑(30)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의 온도를 나타내고, Tf는 상기 탈거탑(30)으로 유입되는 원료(F1)의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거 방법에서, 상기 원료(F1)의 온도는,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0℃ 내지 75℃, 예를 들어, 60℃ 내지 70℃, 55℃ 내지 65℃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방법에서, 상기 스팀(F2)의 온도는,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한다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55℃ 내지 105℃, 예를 들어, 60℃ 내지 100℃, 70℃ 내지 90℃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방법에서, 상기 스팀 공급 장치(20)를 통하여 상기 탈거탑(30) 내부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은, 상기 원료(F1)를 탈거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으로 유입되는 원료(F1)의 공급량의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료의 공급량의 1 내지 10%, 1 내지 5% 또는 2 내지 4%의 양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팀(F2)은, 상기 일반식 1을 만족하거나, 또는 전술한 온도 범위로 조절하기 위하여, 적절한 범위의 압력으로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거 방법은,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되는 스팀(F2)의 압력은 1.0 bar 이하, 예를 들어, 0.8 bar 이하, 0.6 bar 이하, 0.4 bar 이하, 0.3 bar 이하, 또는 0.1 bar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방법은, 상기 스팀(F2)은 상기 압력 범위로 유입되기 위하여, 스팀 공급 영역(32) 장치로 유입되기 전에 감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이 2.5 내지 5.0 bar의 저압 스팀을 감압시키고, 상기 감압된 저압 스팀(F2)을 탈거탑(30)의 스팀 공급 영역(32)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탈거된 원료를 포함하는 제 1 유출 흐름(F4)을 상기 스팀 공급 영역(32)에 포함되는 제 1 유출부(321)에서 유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원료로부터 분리된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및 스팀을 포함하는 제 2 유출 흐름(F3)을 상기 원료 공급 영역(31)에 포함되는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구현 예에서, 상기 제거 방법은 또한, 상기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된 흐름 중 스팀(F2)을 응축시켜 비응축된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와 분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유출부(311)에서 유출된 제 2 유출 흐름(F3)으로부터 분리된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회수하고 재사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탈거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스팀을 이용한 탈거 공정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을 포함하는 원료와 스팀 사이의 온도 차이를 최소화하여, 상기 탈거 공정에서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거하고자 하는 대상 물질, 특히,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내의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 장치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주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공정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소포제를 사용할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최종 제품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예시적인 탈거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 1에 의한 탈거 장치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 및 4는 각각 본 출원의 비교예 1 및 2에 의한 탈거 장치 내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과 같이 제조된 탈거 장치의 원료 공급 영역의 회분식 반응기에 염화 비닐 단량체와 물을 1:1의 비율로 투입하고, 유화제 및 반응 개시제를 투입한 후, 유화 중합을 수행하였으며, 상기 회분식 반응기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65℃의 원료를 탈거탑의 원료 공급 영역으로 유입하였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탈거탑의 스팀 공급 영역으로 91℃ 및 0.7 bar의 스팀을 유입하여 탈거 영역에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하기와 같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장치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여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기포 발생 여부의 관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기포의 발생 개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기포 발생 여부를 평가하였다.
×: 육안으로 관찰되는 기포의 개수가 10개 이하
△: 육안으로 관찰되는 기포의 개수가 10개 내지 50개
○: 육안으로 관찰되는 기포의 개수가 50개 초과
실시예 2
스팀 공급 영역으로 86℃의 온도 및 0.3 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유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스팀 공급 영역으로 78℃의 온도 및 0.3 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유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스팀 공급 영역으로 84℃의 온도 및 0.4 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유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스팀 공급 영역으로 100℃의 온도 및 1.0 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유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장치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여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스팀 공급 영역으로 127℃의 온도 및 1.5 bar의 압력으로 스팀을 유입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장치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장치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여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유입된 원료와 스팀의 온도 차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Ts-Tf) (℃) 기포발생여부
실시예 1 26 ×
실시예 2 21 ×
실시예 3 13 ×
실시예 4 19 ×
비교예 1 35
비교예 2 62
Ts: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스팀의 온도
Tf: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의 온도
실시예 1 내지 4에 나타나듯이,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유화중합물을 포함하는 원료의 온도와 공급되는 스팀의 온도의 차이를 5℃ 내지 30℃ 미만로 조절한 본 출원의 탈거 장치에서는 기포의 발생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도 7 내지 9에 나타나듯이, 원료의 온도와 스팀의 온도의 차이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기포가 다량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탈거 장치
10: 원료 공급 장치
11: 반응기
12: 배관
20: 스팀 공급 장치
21: 스팀 생성기
22: 배관
23: 감압 장치
30: 탈거탑
31: 원료 공급 영역
311: 제 2 유출부
32: 스팀 공급 영역
321: 제 1 유출부
33: 탈거 영역
40: 응축기
50: 회수 장치
60: 저장 탱크
F1: 원료
F2: 스팀
F3: 제 2 유출 흐름
F4: 제 1 유출 흐름

Claims (30)

  1. 원료 공급 장치, 스팀 공급 장치 및 탈거탑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탑은, 상기 원료 공급 장치와 유체 연결되어 있는 원료 공급 영역; 상기 스팀 공급 장치와 유체 연결되어 있는 스팀 공급 영역; 및 상기 원료 공급 영역과 스팀 공급 영역 사이의 탈거 영역으로 구분되며,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유화 중합물을 포함하는 원료가 상기 원료 공급 장치를 통하여 원료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원료는 탈거 영역을 거쳐 탈거되며,
    스팀이 상기 스팀 공급 장치를 통하여 상기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스팀은 탈거 영역을 거쳐 유입된 원료를 가열하고 탈거시키고,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와 스팀은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는 탈거 장치:
    [일반식 1]
    5℃ ≤ Ts-Tf < 30℃
    상기 일반식 1에서, Ts는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스팀의 온도를 나타내고, Tf는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의 온도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원료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및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포함하는 탈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원료로부터 탈거된 물질은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인 탈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유입되는 원료의 온도는 50℃ 내지 75℃인 탈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입되는 스팀의 온도는 55℃ 내지 105℃인 탈거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는 상기 스팀의 압력은 1.0 bar 이하인 탈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장치는 감압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압력이 2.5 내지 5.0 bar의 저압 스팀이 상기 감압 장치를 통하여 감압되어 상기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는 탈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감압 장치는 컨트롤 밸브인 탈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장치는 저압 스팀을 냉각 시키는 냉각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영역은, 제 1 유출부를 포함하며, 탈거된 원료는 상기 제 1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탈거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유출부는 스팀 공급 영역의 하부 및/또는 탈거탑의 탑저에 위치하는 탈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원료 공급 영역은, 제 2 유출부를 포함하며, 원료로부터 탈거된 물질 및 스팀을 포함하는 유출 흐름은 상기 제 2 유출부에서 유출되는 탈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유출부는 원료 공급 영역의 상부 및/또는 탈거탑의 탑정에 위치하는 탈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2 유출부에 순차로 연결된 응축기 및 탈거된 물질의 회수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원료로부터 탈거된 물질 및 스팀을 포함하는 유출 흐름은 응축기를 통과하며,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스팀은 분리 배출되고, 비응축된 상기 탈거된 물질은 상기 회수 장치로 유입되는 탈거 장치.
  18.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유화 중합물을 포함하는 원료를 탈거탑의 원료 공급 영역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유입된 원료를 상기 탈거탑의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는 스팀과 접촉시켜 상기 원료로부터 미반응 단량체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와 스팀의 온도가 하기 일반식 1을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일반식 1]
    5℃ ≤ Ts-Tf < 30℃
    상기 일반식 1에서, Ts는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스팀의 온도를 나타내고, Tf는 상기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의 온도를 나타낸다.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원료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및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포함하고, 원료 공급 영역으로 유입된 상기 원료를 상기 탈거탑의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는 스팀과 접촉시켜 상기 원료로부터 미반응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를 분리하는 방법.
  21. 삭제
  22. 제 18 항에 있어서,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원료의 온도를 50℃ 내지 75℃로 조절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탈거탑으로 유입되는 스팀의 온도를 55℃ 내지 105℃로 조절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4. 삭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되는 상기 스팀의 압력을 1.0 bar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감압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이 2.5 내지 5.0 bar의 저압 스팀을 감압시키고, 상기 감압된 저압 스팀을 탈거탑의 스팀 공급 영역으로 유입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스팀 공급 영역은, 제 1 유출부를 포함하며, 탈거된 원료를 상기 제 1 유출부에서 유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원료 공급 영역은, 제 2 유출부를 포함하며, 원료로부터 분리된 미반응 단량체 및 스팀을 포함하는 유출 흐름을 상기 제 2 유출부에서 유출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 2 유출부에서 유출된 흐름 중 스팀을 응축시켜 비응축된 미반응 단량체와 분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제 2 유출부에서 유출된 흐름으로부터 분리된 미반응 단량체를 회수하고 재사용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미반응 단량체의 제거 방법.
KR1020150074696A 2014-05-28 2015-05-28 탈거 장치 KR10173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568846A JP6494048B2 (ja) 2014-05-28 2015-05-28 脱去装置{stripping apparatus}
US15/313,890 US10570223B2 (en) 2014-05-28 2015-05-28 Stripping apparatus
PCT/KR2015/005347 WO2015183006A1 (ko) 2014-05-28 2015-05-28 탈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4219 2014-05-28
KR20140064219 2014-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024A KR20150137024A (ko) 2015-12-08
KR101737687B1 true KR101737687B1 (ko) 2017-05-18

Family

ID=5487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96A KR101737687B1 (ko) 2014-05-28 2015-05-28 탈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70223B2 (ko)
EP (1) EP3150642B1 (ko)
JP (1) JP6494048B2 (ko)
KR (1) KR101737687B1 (ko)
CN (1) CN106414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467B1 (ko) * 2016-10-05 2020-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매 분리 장치 및 용매 분리 방법
KR20220041739A (ko) 2020-09-25 2022-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US20230022810A1 (en) 2020-09-25 2023-01-26 Lg Chem, Ltd. Method for prepar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272B1 (ko) * 1999-04-22 2004-04-29 짓쏘 가부시끼가이샤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하는 장치 및방법
JP2005105047A (ja) 2003-09-29 2005-04-21 Shin Dai-Ichi Vinyl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スラリーから塩化ビニルモノマーを除去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93A (en) * 1977-06-21 1979-01-23 Chisso Corp Removal of monomer from vinyl chloride resin slurry by steam treatment using improved plate column
JPS5541829A (en) * 1978-09-18 1980-03-24 Nippon Zeon Co Ltd Closed system for waste water
JPH0559124A (ja) * 1991-09-04 1993-03-09 Shin Etsu Chem Co Ltd ポリ塩化ビニルの水性分散液から未反応単量体を除去する方法
JP3709568B2 (ja) * 1994-02-07 2005-10-26 チッソ株式会社 残留モノマー除去処理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残留モノマー除去処理塔
JP3724012B2 (ja) * 1995-08-04 2005-12-07 チッソ株式会社 残留モノマー除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残留モノマー除去方法
JPH11100410A (ja) 1997-09-29 1999-04-13 Nippon Zeon Co Ltd 塩化ビニル重合体ラテックスからの未反応モノマー回収操作方法
JP2000212214A (ja) * 1999-01-21 2000-08-0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ペ―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樹脂の消泡方法
JP2003137924A (ja) 2001-11-05 2003-05-14 Kureha Chem Ind Co Ltd 塩化ビニリデン系樹脂スラリーから未反応モノマーを除去及び回収する方法
JP4120383B2 (ja) 2002-12-12 2008-07-16 東ソー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重合体水性分散液からの未反応単量体の回収法
CN2688709Y (zh) * 2004-02-04 2005-03-30 北京化二股份有限公司 聚合反应中脱除残留单体的设备
CN201419034Y (zh) * 2009-09-14 2010-03-10 中国天辰工程有限公司 新型聚氯乙烯树脂汽提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272B1 (ko) * 1999-04-22 2004-04-29 짓쏘 가부시끼가이샤 중합체 라텍스로부터 미반응 모노머를 제거하는 장치 및방법
JP2005105047A (ja) 2003-09-29 2005-04-21 Shin Dai-Ichi Vinyl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スラリーから塩化ビニルモノマーを除去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70223B2 (en) 2020-02-25
JP6494048B2 (ja) 2019-04-03
EP3150642A4 (en) 2018-01-03
EP3150642B1 (en) 2019-04-24
KR20150137024A (ko) 2015-12-08
CN106414517A (zh) 2017-02-15
US20170190808A1 (en) 2017-07-06
CN106414517B (zh) 2019-08-09
EP3150642A1 (en) 2017-04-05
JP2017516899A (ja)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862B1 (ko) 올레핀 중합 공정으로부터 미반응된 단량체의 회수
KR101737687B1 (ko) 탈거 장치
CN108368288B (zh) 溶剂回收装置和溶剂回收方法
EP31330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eactor polymerization effluent
US20060286007A1 (en)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n aromatic alkylene polymer
KR20070110015A (ko) 비닐 함유 모노머의 중합 방법
CN111699202B (zh) 一种回收溶液聚合过程中的烯烃的方法
US10604595B2 (en) Process for withdrawing polyolefins
US20170320973A1 (en) Polymerisation process and polymerisation unit comprising a degassing section
KR20150037420A (ko) 염화비닐 수지의 괴상중합용 장치 및 염화비닐 수지의 괴상중합 방법
KR101785146B1 (ko) 공액디엔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WO2015183006A1 (ko) 탈거 장치
KR102520447B1 (ko) 용매 회수 방법 및 용매 회수 장치
CN107108438A (zh) 制备单氯乙酸的方法
CN109689696A (zh) 在多峰聚乙烯生产中管理聚合物细粒
JP5629758B2 (ja) ポリクロロプレンに基づくポリマー分散体を生産するプロセス、および、ポリクロロプレンに基づくポリマー分散体を生産する装置
CN107400064A (zh) 一种隔离壁萃取精馏塔精制含水乙腈的方法
JP2023509048A (ja) トレイ型蒸留装置
US20190389981A1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for polymer
CN116529273A (zh) 用于制备聚烯烃弹性体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