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5716B1 -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5716B1
KR101735716B1 KR1020160070373A KR20160070373A KR101735716B1 KR 101735716 B1 KR101735716 B1 KR 101735716B1 KR 1020160070373 A KR1020160070373 A KR 1020160070373A KR 20160070373 A KR20160070373 A KR 20160070373A KR 101735716 B1 KR101735716 B1 KR 10173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oupled
traffic sign
front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영
Original Assignee
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영 filed Critical 유수영
Priority to KR1020160070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57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78Traffic orientation, street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력과 회전력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지지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후면판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전면에는 상기 교통표지판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및 전판판에 각각 결합된 안착부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선단과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및 삽입홀에는 고정핀 또는 볼트가 결합되어 고정핀 또는 볼트가 결합되어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판스프링,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탄성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후면판 및 전면판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연결축 및 제2연결축이 탄성부재의 내측을 관통하여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축에는 제2연결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면판에는 "┗ ┛"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가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교통표지판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의 머리가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물차가 충돌하거나 강풍이 불더라도 탄성부재가 일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제2연결축이 상하로 회전하며 이차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교통표지판의 변형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표지판을 전면판에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통표지판의 교체가 더욱 용이하여 수시로 변경되는 도로환경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Shock absorbers device for traffic signs}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교통표지판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성력과 회전력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도로주변에는 도로표지판이나 안내표지판 등의 각종 교통표지판이 설치되어 안전운행과 길 안내에 일조하고 있으나, 도로를 운행하는 화물차량 및 기타 고도차량이 이들 표지판과 출동하면서 표지판 및 차량이 파손되거나, 또는 태풍이나 강풍, 돌풍 등에 의해 상기 표지판의 파손이 잦은 실정이다.
종래의 교통표지판은 도로 또는 도로 주변의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지주와, 지주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는 행거와, 행거의 끝 부분에 설치되는 표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지판은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 상부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표지판은 면적이 넓고 소정무게를 가지면서 비교적 높은 곳에 설치되고 있어서 강풍이나 소정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설계 및 설치되고 있지만, 차량의 충돌이나 강풍 등에 의하여 지주로 인가되는 회전 모멘트가 지주를 고정하고 있는 앵커볼트의 지지력을 초과하는 경우 지주가 노면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면서 대형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표지판은 면적이 비교적 큰 편이므로 강풍에 약한 편이어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표지판의 휘임이나 밴드의 파손, 지주와 행거 사이의 연결부 파손으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특허공보 제10-0837678호에서는 차량의 충돌이나 강풍에 의한 표지판의 파손이 방지되고, 또한 충격이 완화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표지판 파손방지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표지판 파손방지장치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행거에서 모두 흡수하기 때문에 표지판에 직접 충돌하는 차량이나 강풍에 의한 표지판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표지판의 배면 측에서 충격을 직접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력과 회전력이 동시에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는 수평지지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후면판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전면에는 상기 교통표지판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 및 전판판에 각각 결합된 안착부에는 탄성부재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선단과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 및 삽입홀에는 고정핀 또는 볼트가 결합되어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판스프링,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탄성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후면판 및 전면판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연결축 및 제2연결축이 탄성부재의 내측을 관통하여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축에는 제2연결축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면판에는 "┗ ┛"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가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교통표지판에 형성된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의 머리가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의하면, 화물차가 충돌하거나 강풍이 불더라도 탄성부재가 일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제2연결축이 상하로 회전하며 이차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교통표지판의 변형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표지판을 전면판에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통표지판의 교체가 더욱 용이하여 수시로 변경되는 도로환경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의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1)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지지대(2)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됨으로써 전면에 다양한 형상 및 용도의 교통표지판(5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교통표지판(50)은 도면에 나타낸 사각 형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본 발명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통표지판(50)을 완충장치(100)의 전면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완충장치(10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지지대(2)에 결합되는 결합부재(10)와, 상기 결합부재(10)에 결합되는 후면판(20)과, 상기 후면판(20)과 간격을 이루며 탄성부재(30)와 함께 결합되는 전면판(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10)와 후면판(20) 및 전면판(40)은 차량의 충돌 및 강풍 등의 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경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재(10)는 수평지지대(2)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방된 전면에는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한 쌍의 결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11)에는 후면판(20)이 볼트 및 너트, 용접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후면판(20)의 전면에는 링 형상의 안착부(21)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안착부(21)의 외주면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복수의 고정홀(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안착부(21)의 내측에는 제1연결축(23)이 후면판(2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30)는 안착부(21)의 내측에 삽입 안착됨으로써 내측으로 상기 제1연결축(23)이 관통 설치된다.
이때 탄성부재(30)의 선단과 후단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홀(22)과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홀(3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홀(22) 및 삽입홀(31)에 고정핀,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탄성부재(30)를 후면판(2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판(40)의 배면에는 복수의 고정홀(42)이 형성된 링 형상의 안착부(41)가 후면판(20)의 안착부(21)와 대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41)의 내측에는 상기 제1연결축(23)의 선단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연결축(43)이 전면판(4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축(23) 및 제2연결축(43)의 선단에는 회전축이 결합됨으로써 외력이나 강풍에 의해 전면판(40)이 상하로 약간씩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41)에는 후면판(20)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부재(30)의 타단이 안착되어 고정홀(42) 및 삽입홀(31)에 결합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탄성력에 의해 전면판(4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는 도면에 나타낸 압축스프링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면판(20)과 전면판(40)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 판스프링,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40)의 전면에는 대략 "┗ ┛"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44)가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44)에는 교통표지판(50)이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교통표지판(50)에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볼트홀(51)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홀(51)의 배면 측에서 볼트(B)를 삽입하여 너트(N)를 체결한 후, 볼트(B)의 머리를 상기 가이드(44)의 내측에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하여 높이를 조절한 후에 너트(N)로 고정함으로써 전면판(40)에 교통표지판(5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는 화물차가 충돌하거나 강풍이 불더라도 탄성부재(30)가 일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제2연결축(43)이 상하로 회전하며 이차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교통표지판(50)의 변형 및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여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교통표지판(50)을 전면판(40)에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교통표지판(50)의 교체가 더욱 용이하여 수시로 변경되는 도로환경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결합부재 11 : 결합부
20 : 후면판 21,41 : 안착부
22.42 : 고정홀 23: 제1연결축
30 : 탄성부재 31 : 삽입홀
40 : 전면판 43 : 제2연결축
44 : 가이드 50 : 교통표지판
51 : 볼트홀 100: 완충장치

Claims (5)

  1. 수평지지대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에는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후면판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고정되며 전면에는 교통표지판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20) 및 전면판(40)에 각각 결합된 안착부(21)(41)에는 탄성부재(30)가 삽입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0)의 선단과 후단 외주면에는 상기 안착부(21)(41)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정홀(22)(42)에 대응하는 복수의 삽입홀(3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22)(42) 및 삽입홀(31)에는 고정핀 또는 볼트가 결합되어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판스프링, 탄성력이 있는 합성수지, 고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탄성부재(30)를 고정하고,
    상기 후면판(20) 및 전면판(40)에는 서로 대향하는 제1연결축(23) 및 제2연결축(43)이 탄성부재(30)의 내측을 관통하여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연결축(23)에는 제2연결축(43)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전면판(40)에는 "┗ ┛" 형상인 한 쌍의 가이드(44)가 간격을 이루며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44)에는 상기 교통표지판(50)에 형성된 볼트홀(51)을 관통한 볼트(B)의 머리가 슬라이딩에 의해 삽입되어 너트(N)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70373A 2016-06-07 2016-06-07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KR10173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73A KR101735716B1 (ko) 2016-06-07 2016-06-07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373A KR101735716B1 (ko) 2016-06-07 2016-06-07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5716B1 true KR101735716B1 (ko) 2017-05-24

Family

ID=59051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373A KR101735716B1 (ko) 2016-06-07 2016-06-07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57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888A (zh) * 2021-03-22 2021-07-13 郑州润泰交通安全设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复原功能的公路交通用标志牌
KR102604886B1 (ko) * 2023-05-25 2023-11-21 주식회사 케이앤에스아이앤씨 히트파이프 타입 댐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963B2 (ja) * 1996-02-15 2001-04-25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運搬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963B2 (ja) * 1996-02-15 2001-04-25 岐阜プラスチック工業株式会社 運搬用容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6888A (zh) * 2021-03-22 2021-07-13 郑州润泰交通安全设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复原功能的公路交通用标志牌
CN113106888B (zh) * 2021-03-22 2023-10-03 郑州润泰交通安全设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复原功能的公路交通用标志牌
KR102604886B1 (ko) * 2023-05-25 2023-11-21 주식회사 케이앤에스아이앤씨 히트파이프 타입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37085A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US9938677B2 (en) Impact-resistant and energy-absorbing item of street furniture
KR101735716B1 (ko)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KR100704365B1 (ko) 교통안전표지판용 충격흡수장치
KR101666139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ES2928139T3 (es) Módulo de soporte elástico de poste
KR10048976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CN208280060U (zh) 一种护栏组件及具有该组件的折叠道路护栏
KR200357786Y1 (ko) 교각충돌 방지장치
KR20180115132A (ko)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KR200390566Y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101197144B1 (ko)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
KR101060631B1 (ko) 가드레일 시스템
KR101445802B1 (ko) 지주 보호장치
KR100837678B1 (ko) 표지판 파손방지장치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KR101687164B1 (ko) 도로의 안전을 위한 충격 흡수 및 복원이 우수한 포스트
KR102456665B1 (ko)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KR200361385Y1 (ko)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KR200242748Y1 (ko)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KR200228238Y1 (ko)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KR200315223Y1 (ko) 충격 흡수대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시설물
KR100804736B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102331460B1 (ko)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KR200300997Y1 (ko) 가로등 지주용 하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