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566Y1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0566Y1 KR200390566Y1 KR20-2005-0011456U KR20050011456U KR200390566Y1 KR 200390566 Y1 KR200390566 Y1 KR 200390566Y1 KR 20050011456 U KR20050011456 U KR 20050011456U KR 200390566 Y1 KR200390566 Y1 KR 2003905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rtical
- piece
- buffer
- shock absorber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충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속도로 급 커버 등의 분리대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1)는 벽면과 바닥면에 앙카볼트(11)로써 체결 고정되는 상,하부프레임(10)(20)과; 상기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프레임(30)과; 상기 수직연결프레임(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고속도로 등의 급 커버길 및 지하 주차장 진입로 등의 바닥이나 벽면에 자동차 카고(높이)에 적절하게 충격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운행중 운전자의 부주위로 자동차가 부딪히면, 충격완충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완충롤러의 회전력으로써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다수개의 회전완충롤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벽면에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도로 등의 급커버길 및 지하 주차장 진입로 등의 바닥이나 벽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부주위로 자동차가 부딪히면, 자체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충격에 대한 완충 및 자동차의 손상을 방지하여 운전자를 보호하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등의 고속주행로 급커버길의 중앙차로와 갖길 등에는 자동차의 고속 주행시 운전자의 부주위(졸음운전, 운전미숙 등)로 인하여 중앙차로 넘어가거나 도로 밖으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 및 가드레일은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재 분리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 자동차가 중앙차로를 넘어 반대편 차로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거나, 도로 난간으로 떨어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생명을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중앙 분리대 및 가드레일 등은 충돌시 자동차가 반대편 차로로 넘어가거나 도로 난간으로 떨어지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자체에 자동차 충격을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여 충격에너지가 자동차로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에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고속도로의 급커버 등의 중앙 분리대나 지하 주차장 등에 진입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자동차가 부딪히면, 자체가 회전하면서 충격에 대한 완충을 하게 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고속도로 급커버 등의 분리대에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를 설치하되, 상기 충격완충장치는 벽면에 앙카볼트로써 체결되고, 상부수직편과 상부수평편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 바닥면에 상기 앙카볼트로써 체결되고, 제1하부수평편과 제1하부수직편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부재와; 상기 제1하부수직편과 체결 고정되는 제2하부수직편과, 상기 제2하부수직편의 선단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2하부수평편으로 이루어진 제2하부부재로 구성된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 사이에 높이조절부재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연결프레임; 및 상기 수직연결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완충장치의 설치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완충장치의 알림수단에 대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 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알림 수단에 대한 동작상 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완충장치(1)는 고속도로 급커버의 분리대 및 가드레일 및 지하 주차장의 진입로 등에 설치되어 자동차 충격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 충격완충장치(1)는 벽면(3)과 바닥면(5)에 앙카볼트(11)로써 체결 고정되는 상,하부프레임(10)(20)과;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프레임(30)과; 수직연결프레임(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벽면(3)에 앙카볼트(11)가 체결되는 수직앙카볼트공(12a)이 형성된 상부수직편(12)과; 상부수직편(12) 선단에 직각으로 일체로 형성된 상부수평편(14)으로 이루어지고,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바닥면(5)에 앙카볼트(11)가 체결되는 수평앙카볼트공(22a)이 형성된 제1하부수평편(22)과, 제1하부수평편(22)의 선단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제1하부수직편(23)으로 이루어진 "ㄴ"자 형상의 제1하부부재(24)와; 제1하부부재(24)의 제1하부수직편(23)과 볼트로써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는 제2하부수직편(25)과, 제2하부수직편(25)의 선단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2하부수평편(26)으로 이루어지고, "ㄱ"자 형상의 제2하부부재(28)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제1,2하부부재(24)(28)는 "ㄷ"자 형상을 유지하여 조립유지된다.
상기 수직연결프레임(30)은 상부프레임(10)의 상부수평편(14) 하부에 일치되도록 형성된 상부수평연결편(32)과, 상부수평연결편(32)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상부수직연결편(34)으로 이루어진 상부연결부재(36)와; 하부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제2하부부재(28)의 제2하부수평편(26) 상부에 일치되도록 형성된 하부수평연결편(38)과, 하부수평연결편(38)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하부수직연결편(40)으로 이루어진 하부연결부재(42)와;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직연결편(34)과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직연결편(40) 내측에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내부연결부재(44)로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조절부재(50)는 상,하부연결부재(36)(42)의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에 각각 형성된 수직장공(52)(53)과;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의 수직장공(52)(53)과 일치되도록 내부연결부재(44)에 각각 형성된 수직연결장공(54)(55)과; 수직연결장공(54)(55)과 수직장공(52)(53)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57)와; 체결볼트(57)에 각각 체결되어 상,하부연결부재(36)(42)를 고정시키는 체결너트(59)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수단(A)은 상부프레임(10)의 상부수평편(14), 수직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평연결편(32)과, 하부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제2하부부재(28)의 제2하부수평편(26) 및 수직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평연결편(38) 사이에 수직을 유지하고, 양단이 상하부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고정장축(70)과; 수직고정장축(70)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완충롤러(8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완충롤러(80)는 상하부 중앙 영역에 베어링부재(82)가 축설되고, 이 베어링부재(82)를 통하여 수직고정장축(70)이 축설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되고, 외주연에는 고무완충패드(84)가 압착 고정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격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부재(82)는 눈 및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커버(83)가 회전완충롤러(80)의 회전에 대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은 범위에서 설치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내용은 지하 주차장 등의 기둥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자동차 충격완충장치(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충격완충장치(1)는 기둥의 모서리 영역(7)에 형성된 단차요입부(90)와; 단차요입부(90) 내부에 일치되도록 다수의 앙카볼트(91)로써 체결 고정되고, 모서리에 수직장공(92)이 형성된 마감프레임(94)과; 마감프레임(94)의 수직장공(92)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 외부패널에 닿게되는 완충부재(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부재(100)는 마감프레임(84)의 수직장공(92) 상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공(110a)이 형성된 보강리브(110)와; 보강리브(110) 의 끼움공(110a) 사이에 수직으로 축고정된 수직고정장축(120)과; 수직고정장축(120)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완충롤러(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완충롤러(130)는 상하부 중앙 영역에 베어링(132)이 축설되고, 이 베어링(132)을 통하여 수직고정장축(120)이 축설되어 회전이 용이하게 되고, 외주연에는 완충패드(134)가 압착 고정되어 있어, 자동차의 충격시 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완충장치(1)의 완충수단(A)과 완충부재(100)에는 자동차의 충격시 이를 소리로써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수단(B)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알림수단(B)은 완충수단(A)과 완충부재(100)의 회전완충롤러(80)(130) 상부 외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200)(210)과; 걸림공(200)(210)에 각각 단부가 삽입되도록 수직고정장축(70)(120) 외경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회전완충롤러(80)(130)의 회전시 탄력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는 탄성걸림편(230)(2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걸림편(230)(240)은 탄성력이 우수한 판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완충롤러(80)(130)의 내주연을 타고 넘어 걸림공(200)(210)에 순차적으로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판스프링 재질의 탄성걸림편(230)(240)이 금속재질인 회전완충롤러(80)(130)의 걸림공(200)(210)에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게 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알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걸림공(200)(210)은 그 갯수는 사항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탄성걸림편(230)(240)의 출몰이 용이하도록 내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 충격완충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하부프레임(10)(20)과, 상,하부프레임(10)(20) 사이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직연결프레임(30)과, 수직연결프레임(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A)으로 조립되어, 고속도로 급커버의 콘크리트 중앙 분리대 및 지하 주차장의 진입로 등의 벽면(3)과 바닥면(5) 상에 상,하부프레임(10)(20)을 앙카볼트(11)로써 고정시켜 설치하게 된다.
즉, 충격완충장치(1)가 설치될 위치인 고속도로의 중앙 분리대 및 주차장의 진입로 등의 벽면(3)과 바닥면(5)에 앙카볼트(11)를 박아 고정시킨 다음, 앙카볼트(11)에, 상부프레임(10)(20)의 상부수직편(12)에 형성된 수직앙카볼트공(120a)과, 하부프레임(20)를 구성하고 있는 제1하부부재(24)의 제1하부수평편(22)에 형성된 수평앙카볼트공(22a)을 삽입시킨 다음, 앙카볼트(11)에 앙카너트를 체결하여 하나의 충격완충장치(1)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이러한 충격완충장치(1)는 자동차의 카고(높이)와 통행대수 등을 고려하여 그 간격과 갯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설치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충격완충장치(1)를 철재 분리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닥면(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앙카볼트(11)로써 고정시키고, 위쪽에는 철재 분리대에 구멍을 뚫은 다음, 볼트 및 너트로써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충격완충장치(1)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자동차의 주행시 운전자의 부주위로 자동차의 앞 범퍼 및 사이드 패널 등이 충격완충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수단(A)의 회전완충롤러(80) 외주연에 압착 고정된 고무완충패드(84) 부위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상부프레임(10)의 상부수평편(14), 수직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평연결편(32)과, 하부프레임(20)을 구성하고 있는 제2하부부재(28)의 제2하부수평편(26) 및 수직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평연결편(38) 사이에 상하부가 수직을 유지하여 축고정된 수직고정장축(70) 외경의 회전완충롤러(80)가 상하부 중앙 영역의 베어링부재(82)의 회전력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완충롤러(80) 외주연에 압착 고정된 고무완충패드(84)에 의해 자동차의 외부패널이 손상이 방지되고, 충격력이 완충되며, 회전완충롤러(80)의 회전력으로써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다수개의 회전완충롤러(8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벽면에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수직연결프레임(30)을 구성하고 있는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직연결편(34)과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직연결편(40) 내측에는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내부연결부재(44)가 고정되어 있어, 충격완충장치(1)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하부연결부재(36)(42)의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에 각각 형성된 수직장공(52)(53)과 내부연결부재(44)에 각각 형성된 수직연결장공(54)(55)을 통하여 체결 고정된 체결볼트(57)로부터 체결너트(59)의 체결력을 해제시킨 다음, 상,하부연결부재(36)(42)의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의 수직장공(52)(53)과 내부연결부재(44)의 수직연결장공(54)(55) 위치를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시킨 후, 체결볼트(57)에 체결너트(59)를 체결하여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회전완충롤러(80)의 상하부에 축설된 베어링부재(82)에는 눈 및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커버(83)가 구비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주차장 등의 기둥 모서리 영역(7)에 자동차 충격완충장치(1)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외부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격완충장치(1)가 설치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지하 주차장 기둥의 모서리 영역에 형성된 단차요입부(90)에, 다수의 앙카볼트(91)로써 수직장공(92)이 형성되고, 완충부재(100)가 구비된 마감프레임(84)을 순차적으로 체결 고정시키면, 기둥의 모서리 영역에 간편하게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충격완충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주차시 부주위로 인하여 자동차의 앞,뒤범퍼나 사이드패널이 충격완충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완충부재(100)의 회전완충롤러(130) 외주연에 압착 고정된 완충패드(134)에 닿게 된다.
그러면, 자동차의 충격력이 회전완충롤러(130)로 전달되어, 마감프레임(84)의 수직장공(92) 상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보강리브(110)의 끼움공(110a) 사이에 수직으로 축고정된 수직고정장축(120) 외경의 회전완충롤러(130)가 베어링(13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완충롤러(130)가 회전하면서 회전완충롤러(80) 외주연에 압착 고정된 완충패드(134)에 의해 자동차의 외부패널이 손상이 방지되고, 충격력이 완충되며, 회전완충롤러(130)의 회전력으로써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도 8에서와 같이 충격완충장치(1)의 완충수단(A)과 완충부재(100)에는 자동차의 충격시 이를 소리로써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수단(B)이 각각 구비되어 된다.
이와 같은 알림수단(B)은 자동차 충격으로 충격완충장치(1)의 완충수단(A)과 완충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완충롤러(80)(130)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부 외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수직고정장축(70)(120) 외경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탄성걸림편(230)(240)이 각각 삽입된 상태의 걸림공(200)(210)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력이 우수한 판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진 탄성걸림편(230)(240)이 회전완충롤러(80)(130)의 재질의 특성상 내주연을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되면서 걸림공(200)(210)에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어 금속재질인 회전완충롤러(80)(130)의 걸림공(200)(210)에 부딪히면서 소리가 나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이소리를 듣고 자동차를 중단시키거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속도로 등의 급커버길의 중앙 분리대 및 지하 주차장 진입로 등의 바닥이나 벽면에 자동차 카고(높이)에 적절하게 충격완충장치를 설치하여 운행중 운전자의 부주위로 자동차가 부딪히면, 충격완충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완충롤러의 회전력으로써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다수개의 회전완충롤러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됨으로써 벽면에 직접 부딪히지 않게 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이러한 자동차 충격완충장치는 지하 주차장 등의 기둥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차시 자동차의 범퍼 및 사이드패널이 닿게 되면, 충격완충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회전완충롤러의 회전력으로써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충시키는 동시에 사이드패널에 손상이 방지되어, 고가의 자동차를 보호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충격완충장치에는 자동차의 충격시 이를 소리로써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수단이 각각 구비되어, 운전자가 이 소리를 듣고 자동차를 중단시키거나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완충장치의 설치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충격완충장치의 알림수단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알림수단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완충장치 3 : 벽면
5 : 바닥면 7 : 모서리 영역
10,20 : 상,하부프레임 11 : 앙카볼트
12 : 상부수직편 14 : 상부수평편
22,26 : 제1,2하부수평편 23,25 : 제1,2하부수직편
24,28 : 제1,2하부부재 30 : 수평연결프레임
32,38 : 상,하부수평연결편 34,40 : 상,하부수직연결편
36,42 : 상,하부연결부재 44 : 내부연결부재
50 : 높이조절부재 52,53 : 수직장공
54,55 : 수직연결장공 57 : 체결볼트
59 : 체결너트 70,120 : 수직고정장축
80,130 : 회전완충롤러 84 : 고무완충패드
90 : 단차요입부 92 : 수직장공
94 : 마감프레임 100 : 완충부재
110 : 보강리브 110a : 끼움공
134 : 완충패드 200,210 : 걸림공
230,240 : 탄성걸림편 A : 완충수단
B : 알림수단
Claims (7)
- 고속도로 급 커버 등의 분리대에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충격완충장치(1)를 설치하되,상기 충격완충장치(1)는벽면(3)에 앙카볼트(11)로써 체결되고, 상부수직편(12)과 상부수평편(14)으로 이루어진 상부프레임(10);바닥면(5)에 상기 앙카볼트(11)로써 체결되고, 제1하부수평편(22)과 제1하부수직편(23)으로 이루어진 제1하부부재(24)와; 상기 제1하부수직편(23)과 체결 고정되는 제2하부수직편(25)과, 상기 제2하부수직편(25)의 선단에 수평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된 제2하부수평편(26)으로 이루어진 제2하부부재(28)로 구성된 하부프레임(20);상기 상부프레임(10) 및 상기 하부프레임(20) 사이에 높이조절부재(50)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수평연결프레임(30); 및상기 수직연결프레임(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A);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결프레임(30)은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수평편(14) 하부에 일치되도록 형성된 상부수평연결편(32)과, 상기 상부수평연결편(32)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상부수직연결편(34)으로 이루어진 상부연결부재(36);상기 제2하부부재(28)의 제2하부수평편(26) 상부에 일치되도록 형성된 하부수평연결편(38)과, 상기 하부수평연결편(38) 단부에 수직으로 일체로 형성된 하부수직연결편(40)으로 이루어진 하부연결부재(42); 및상기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직연결편(34)과 상기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직연결편(40) 내측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내부연결부재(4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50)는상기 수직연결프레임(30)의 상,하부연결부재(36)(42)의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에 각각 형성된 수직장공(52)(53);상기 상,하부수직연결편(34)(40)의 수직장공(52)(53)과 일치되도록 내부연결부재(44)에 각각 형성된 수직연결장공(54)(55);상기 수직연결장공(54)(55)과 상기 수직장공(52)(53)을 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57); 및상기 체결볼트(57)에 각각 체결되어 상기 상,하부연결부재(36)(42)를 고정시키는 체결너트(5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A)은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부수평편(14), 상기 상부연결부재(36)의 상부수평연결편(32), 상기 제2하부부재(28)의 제2하부수평편(26) 및 상기 하부연결부재(42)의 하부수평연결편(38) 사이에 수직을 유지하여 축고정된 수직고정장축(70); 및상기 수직고정장축(70)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연에 고무완충패드(84)가 압착 고정된 회전완충롤러(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충장치(1)는기둥의 모서리 영역(7)에 형성된 단차요입부(90);상기 단차요입부(90) 내부에 일치되도록 체결 고정되고, 모서리에 수직장공(92)이 형성된 마감프레임(94); 및상기 마감프레임(94)의 수직장공(92)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어 자동차 외부패널에 닿게되는 완충부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100)는상기 마감프레임(84)의 수직장공(92) 상하부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끼움공(110a)이 형성된 보강리브(110);상기 보강리브(110)의 끼움공(110a) 사이에 수직으로 축고정된 수직고정장축(120); 및상기 수직고정장축(120) 외경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외주연에 완충패드(134)가 압착 고정된 회전완충롤러(1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완충수단(A)과 상기 완충부재(100)에 알림수단(B)을 각각 구비하되,상기 알림수단(B)은,상기 완충수단(A)과 상기 완충부재(100)의 회전완충롤러(80)(130) 상부 외경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림공(200)(210); 및상기 완충수단(A)과 상기 완충부재(100)의 수직고정장축(70)(120) 외경에 등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완충롤러(80)(130)의 회전시 상기 걸림공(200)(210)에 탄력적으로 타고 걸리게 되는 탄성걸림편(230)(2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456U KR200390566Y1 (ko) | 2005-04-25 | 2005-04-25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11456U KR200390566Y1 (ko) | 2005-04-25 | 2005-04-25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38256A Division KR100804736B1 (ko) | 2005-05-09 | 2005-05-09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0566Y1 true KR200390566Y1 (ko) | 2005-07-21 |
Family
ID=4369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11456U KR200390566Y1 (ko) | 2005-04-25 | 2005-04-25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0566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0453B1 (ko) | 2005-11-10 | 2006-06-20 |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기둥보호대 고정틀 |
KR101066408B1 (ko) | 2011-03-29 | 2011-09-21 |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
KR101472982B1 (ko) * | 2014-05-12 | 2014-12-16 | (주) 금성산업 | 부착식 충격 흡수 가드레일 |
-
2005
- 2005-04-25 KR KR20-2005-0011456U patent/KR2003905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0453B1 (ko) | 2005-11-10 | 2006-06-20 | (주)다보건축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기둥보호대 고정틀 |
KR101066408B1 (ko) | 2011-03-29 | 2011-09-21 | (주)건정 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
KR101472982B1 (ko) * | 2014-05-12 | 2014-12-16 | (주) 금성산업 | 부착식 충격 흡수 가드레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109207A (ko) |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장치 | |
KR200390566Y1 (ko)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
KR100804736B1 (ko) |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 |
KR100489768B1 (ko) |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 |
KR20050059423A (ko) | 가드레일 | |
KR100538994B1 (ko) | 다단의 충격흡수형 도로용 가드레일 | |
KR200281818Y1 (ko) | 가드레일의 롤러형 완충장치 | |
KR101710167B1 (ko) | 충격흡수식 이중 차량용 방호울타리 | |
KR101177530B1 (ko) | 충격흡수 가이드레일 | |
KR200364642Y1 (ko) | 충격흡수용 방호책 | |
KR200229392Y1 (ko) |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 |
KR200341898Y1 (ko) | 가드레일 | |
KR100457890B1 (ko) |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 |
KR101134717B1 (ko) |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 |
KR101010003B1 (ko) | 차량 도로 이탈 방지 장치 | |
KR200357085Y1 (ko) | 도로용 방호 장치 | |
KR200347251Y1 (ko) |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 |
KR20090081600A (ko) |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 |
KR200387087Y1 (ko) | 가이드레일용 충격흡수대 | |
KR200272026Y1 (ko) | 급커브도로 지하차도 옹벽보호를 위한 충격흡수시설 | |
CN111236110A (zh) | 公路护栏装置及安装方法 | |
KR200175441Y1 (ko) | 충격흡수용 가이드레일 | |
KR200283318Y1 (ko) | 충격흡수형 피.이 주름블록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 | |
KR100386860B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 |
KR200313288Y1 (ko) |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