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385Y1 -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385Y1
KR200361385Y1 KR20-2004-0017907U KR20040017907U KR200361385Y1 KR 200361385 Y1 KR200361385 Y1 KR 200361385Y1 KR 20040017907 U KR20040017907 U KR 20040017907U KR 200361385 Y1 KR200361385 Y1 KR 200361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rotating
height limiting
vehicl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9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쌍석
Original Assignee
국일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일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국일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79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3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통과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높이 제한바(10)와,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이동에 따라 중심축(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20)와, 상기 회전부(20)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20)를 지지하고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일방향으로 이동된 때 상기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선택적으로 원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축(21)에 스프링(36) 및 제동수단이 장착되어 회전부(20)에 설치되는 높이 제한바(10)가 차량에 의한 타격시 이동된 상태로 멈추므로 추가적인 충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A Device For Restricting The Passing Height Of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과 제한높이를 초과한 차량이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대형 차량의 높이 및 무게를 감지하는 장치가 설치되는데, 차량 높이의 제한장치는 교량의 진입부, 지하도나 터널 등의 진입부 또는 고속도로의 요금소의 진입부에 설치되어 과적차량에 의한 교량이나 지하도, 터널, 고속도로 등의 시설물 파손을 방지하고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유도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제한바(1)는 차량(미도시)이 통행하는 도로 상의 일정높이에 도로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는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과적차량의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지주(2)는 외주연에 축선방향으로 측판(2a)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측판(2a)을 통해 상기 높이 제한바(1)와 결합한다. 그리고 회전지주(2)의 내부에는 스프링(3)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3)의 일단은 고정핀(4)에 고정되고, 타단은 이하에서 설명될고정축(5)에 연결되어 회전지주(2)의 회전시 상기 고정축(5)에 대해 회전지주(2)가 탄성에 의해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6)는 스프링(3)이나 회전지주(2)의 상부가 비나 이물질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지주(2) 상단에 설치된다.
고정지주(7)의 하단에는 지면에 장착되는 지지판(8)이 설치되고, 상단에는 축선방향으로 고정축(5)이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지주(7) 상단의 측면에는 2개의 스토퍼(9)가 직각을 이룬 상태로 설치되어 높이 제한바(1)가 상기 스토퍼(9) 사이에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고정축(5)은 고정지주(7)의 상단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지주(2)를 관통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스프링(3)의 타단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로의 좌/우측에 설치된 고정지주(7)의 축선방향 상단에 회전지주(2)가 장착되고, 상기 회전지주(2)의 외주연에는 높이 제한바(1)가 설치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는 도로나 교량, 터널 등의 특성에 따라 높이가 맞추어져 있는데, 이보다 높이가 낮은 차량은 상기 높이 제한바(1)와 접촉하지 않고 지나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높이 제한바(1)의 설치높이보다 높은 차량이 진입하면, 상기 차량은 높이 제한바(1)를 밀면서 진행하여 그 진행방향으로 높이 제한바(1)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회전지주(2)의 내부에 있는 스프링(3)은, 일단이 고정축(5)에 의해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지주(2)를 따라 회전하므로 탄성력을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높이 제한바(1)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의 회전범위는 스토퍼(9)에 의해 제한되므로 상기 높이 제한바(1)는 원위치에 있는 스토퍼(9a)로부터 직각으로 배치된 스토퍼(9b)까지의 범위내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격으로 뒤로 밀려는 높이 제한바(1)는 스토퍼(9b)에 의해 제한되는 지점에서 상기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의 스토퍼(9a)가 위치한 지점으로 복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의 통과에 따른 충격으로 뒤로 밀려나는 높이 제한바(1)는 스프링(3)에 의한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런데 상기 제한높이를 초과하는 차량은 차의 길이가 길고 화물칸에 화물을 싣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원위치로 복귀하는 높이 제한바가 차량의 측면이나 상기 차량에 실린 화물에 의해 연속적인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높이 제한바(1)는 연속적인 타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이로 인해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회전축에 스프링 및 제동수단을 장착하여 회전부에 설치되는 높이 제한바가 차량에 의한 충격을 받으면 회전된 상태로 멈추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충격이 방지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통과높이 제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요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높이 제한바 21: 회전축
21 : 회전부 23 : 회전지주
25a : 제 1회전판 25b : 제 2회전판
27 : 덮개 30 : 고정부
31 : 고정지주 33a : 제 1고정판
33b : 제 2고정판 35 : 베어링
36 : 스프링 37a : 래칫휘일
37b : 포올 39 : 지지판
40 : 스토퍼
본 고안은, 차량의 통과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높이 제한바와, 상기 높이 제한바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높이 제한바가 일방향으로 이동된 때 상기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높이 제한바가 선택적으로 원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에 연속하여 상기 중심축을 따라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내장하고 외주연에 상기 높이 제한바가 장착되는 원통형의 회전지주와,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회전지주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회전지주의 내주연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을 내장하고 상기 회전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중심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고정지주의 내주연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판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상기 고정지주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고정판 각각의 내주연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높이 제한바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력을 상기 회전축에 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 상태를 유지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프링을 통해 원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래칫휘일과, 상기 래칫휘일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지주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포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 제한바의 재질은, 차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우레탄 또는 스치로폴 발포성형제이다.
상기 회전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지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면접촉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지주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축에 스프링 및 제동수단을 장착하여 회전부에 설치되는 높이 제한바가 차량에 의한 충격을 받으면 회전된 상태로 멈추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충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제한바(10)는 도로 상에서 차량의 통과높이를제한하기 위하여 도로 상의 일정높이에서 수평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0)는 교량의 진입부, 지하도 또는 터널 등의 진입부 또는 고속도로의 요금소의 진입부에서 과적차량의 통행을 방지하고 차량의 안전한 통행을 유도하도록 차량의 높이가 진입이 허용되는 높이인지를 운전자 및 교량이나 고속도로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허용 높이는 운전자 등의 시야에 잘 들어올 수 있도록 높이 제한바(10)의 전면에 부착되는 반사지(11)에 표시된다. 상기 반사지(11)에는 '통과높이 3m' 등의 글씨가 새겨질 수 있다.
이 때 높이 제한바(10)는 상기 높이를 초과하는 차량의 통과시 상기 차량에 의한 충격을 받게 되므로 상기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우레탄 또는 스치로폴 발포성형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높이 제한바(10)는 도면에서와 같이, 도로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가 한 쌍으로 하여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로의 일측에만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높이 제한바(10)의 내부에는 축선방향으로 지주대(13)가 설치되어 높이 제한바(10)를 지탱하고, 상기 지주대(10)의 끝단에는 결합판(15)이 직각으로 구비되어 볼트(15a)로 상기 결합판(15)을 통해 이하에서 설명될 회전지주(23)의 연결판(23a)과 결합한다. 이 때 상기 볼트(15a)는 높이 제한바(10)의 제작시 미리 상기 결합판(15)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20)는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높이 제한바(10)가 차량에 의한 충격을 받았을 때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이동을 따라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부(20)는 회전축(21), 회전지주(23), 제1회전판(25a)과 제 2회전판(25b) 및 덮개(27)로 구성된다.
회전축(21)은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회전 중심에 위치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회전부(20)와 고정부(30)를 관통한다. 다시 말하면, 회전축(21)의 상단부에는 회전부(20)가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고정부(30)가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축(21)은 고정부(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이동시 회전부(20)와 함께 회전한다.
회전지주(23)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축선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지주(23)의 중심축(X)을 따라 회전축(21)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지주(23)의 외주연에는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회전지주(23)에 대한 높이 제한바(10)의 부착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지주(23)의 외주연에 'ㄷ'형상으로 연결판(23a)과 측판(23b)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23a)에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결합판(15)에 볼트(15a)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다시 말하면, 측판(23b)은 상기 회전지주(23)의 외주연 두 지점에서 접선방향으로 각각 연결되고, 연결판(23a)은 상기 각 측판(23b)의 끝단부에서 법선방향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ㄷ'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연결판(23a)에는 상기 결합판(15)을 통해 장착되어 있는 볼트(15a)가 통과한다. 이 때 상기 볼트(15a)를 너트(15b)와 결합시켜 결합판(15)과 연결판(23a)이 연결된다.
회전판은 상기 회전지주(23)의 중심축(X)을 따라 배치된 회전축(21)을 상기 회전지주(23)에 연결하여 상기 회전축(21)과 회전지주(23)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판은 상기 회전지주(23)의 축선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2개를 구비한 것으로 하여 각각을 제 1회전판(25a)과 제 2회전판(25b)으로 하였다. 다시 말하면, 제 1 및 제 2회전판(25a, 25b)은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중심을 유지시키고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21)과 회전지주(23)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주(23)의 축선방향 각 단부에 구비된다. 즉, 제 1회전판(25a)은 상기 회전지주(23)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제 2회전판(25b)은 상기 회전지주(23)의 하단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각 회전판(25a, 25b)은 상기 회전축(21)의 외주연과 상기 회전지주(23)의 내주연 사이에 끼워져 상기 회전축(21)과 회전지주(23)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각 회전판(25a, 25b)의 중심부는 상기 회전축(21)의 직경에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결합된 각 회전판을 회전축(21)과 회전지주(23)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용접 등의 수단이 결합부위에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27)는 상기 회전지주(23)의 상단에 구비된다. 따라서 이물질이나 비 등이 상기 회전부(20)의 내부로 침입하여 상기 회전축(21)이나 회전판(25a, 25b) 등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30)는 상기 회전부(20)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20)를 지지하고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일방향으로 이동된 때 상기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선택적으로 원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러한 고정부(30)는 고정지주(31), 제 1고정판(33a), 제 2고정판(33b), 베어링(35), 스프링(36), 제동수단 및 지지판(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지주(3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는 축선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지주(31)의 축선방향 중심에는 상기 회전지주(23)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21)이 연장되어 배치된다. 즉, 고정지주(31)는 상기 회전지주(23)와 동일한 중심축(X)을 가지고 상기 회전지주(23)의 하단에 위치되어 회전축(21)의 하단을 지지한다. 여기서 고정지주(31)의 길이는 교량이나 터널 등의 허용통과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상기 고정지주(31)의 상부에는 회전지주(23)와 높이 제한바(10)가 설치되므로 상기 회전축(21)을 구속하지 않는다면 상기 고정지주(31)의 내부를 지나는 회전축(21)은 회전부(20)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20)와 고정부(30)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요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축(21)의 요동을 방지하고 상기 회전축(21)이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주(31)의 내주연과 상기 회전축(21)의 외주연 사이에는 다수개의 고정판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지주(31)의 상단부와 중단부에 각각 제 1고정판(33a)과 제 2고정판(33b)이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제 1 및 제 2고정판(33a, 33b)은 상기에서 언급된 제 1 및 제 2회전판(25a, 25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고정판(33a, 33b)의 중심부에도 상기 회전축(21)이 관통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고정판(33a, 33b)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21)은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축(21)이 상기 각 고정판(33a, 33b)과의 마찰없이 원활히 회전되기 위해 상기 각 고정판(33a, 33b)과 회전축(21) 사이에는 베어링(35)이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베어링(35)은 상기 각 고정판(33a, 33b)의 내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20)의 회전에 대해 상기 각 고정판(33a, 33b) 및 고정지주(31)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36)은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회전한 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력을 상기 회전축(21)에 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21)의 축선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제 1고정판(33a)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축(21) 상에 고정된다. 즉, 스프링(36)은 제 1고정판(33a)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축(21)이 회전함에 따라 타단이 상기 회전축(21)을 감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프링(36)은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탄성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1)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21)에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축(21)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36)에는 탄성력이 발생하여 상기 회전축(21)이 회전을 멈추고 원위치로 복원되게 한다.
그러나 높이 제한바(10)가 차량의 충돌에 따라 후퇴 이동된 때 바로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면 상기 높이 제한바(10)는 통과하는 차량의 옆면에 연속적으로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 제한을 초과한 차량이 통과할 때 상기 차량의 첫번째 타격으로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상기 차량의 통로로 재진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동수단이 구비된다. 즉, 제동수단은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21)이 회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스프링(36)의 탄성력의 발휘를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동수단을 래칫휘일(ratchet wheel)(37a)과 포올(pawl)(37b)로 구성한 것을 예시하였다. 다시 말하면, 제동수단은 상기 회전축(21)의 일단에 고정되는 래칫휘일(37a)과 상기 래칫휘일(37a)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지주(31)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포올(37b)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휘일(37a)은 외주연을 따라 톱니 형상의 연속적인 이(齒)가 형성되고, 포올(37b)은 선단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래칫휘일(37a)이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후퇴 이동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포올(37b)이 상기 래칫휘일(37a)의 이를 타고 넘어 회전이 가능하나, 반대방향, 즉 복귀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포올(37b)이 상기 래칫휘일(37a)의 이에 걸리므로 상기 래칫휘일(37a)은 회전하지 않는다. 이 때 포올(37b)이 래칫휘일(37a)과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주(31)의 외주연에는 관통공(37c)이 형성된다.
지지판(39)은 상기 장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주(31)의 하단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판(39)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체결공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판(39)을 지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체결공을 통해 볼트(39a) 등으로 지면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지면에 설치된다.
스토퍼(40)는 상기 고정부(30)에 대한 상기 회전부(2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제 2회전판(25b)과 제 1고정판(33a)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각 스토퍼(40)는 상기 제 2회전판(25b)과 제 1회전판(25a)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각 스토퍼(40)는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회전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높이 제한바(10)의 원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회전판(25b)에 형성된 스토퍼(40a)는 충격을 받은 상기 높이 제한바(10)가 스프링(36)의 탄성력으로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높이 제한바(10)는 상기 제 1고정판(33a)에 형성된 스토퍼(40b)에 제한되어 원위치에 정지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지지판(39)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판(39)의 상단으로는 고정부(30)와 회전부(20)가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 때 회전부(20)를 이루는 회전지주(23)의 외주연에는 연결판(23a)과 측판(23b)을 통해 높이 제한바(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장치는 도로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통과높이를 제한한다. 여기서 높이 제한바(10)의 설치높이는 터널 등의 진입구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는 상기 높이에 해당하는 고정지주(31)를 설계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고정부(30)의 고정지주(31)를 설계높이로 제작하고 상기 고정지주(31)의 축선방향 상단에 회전지주(23)를 설치한다. 이 때 상기 회전지주(23)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높이 제한바(10)는 상기 회전지주(23)의 축선방향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높이 제한바(10)의 하단은 설계높이에 맞추어지게 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0)가 설치된 지점으로 차량이 이동하면, 상기 높이 제한바(10)보다 높이가 낮은 차량은 상기 높이 제한바(10)에 아무런 타격없이 지나가게 된다. 그러나 높이가 상기 높이 제한바(10)를 초과하는 차량이 상기 높이 제한바(10)를 지나친다면, 상기 차량은 높이 제한바(10)에 충격을 가해게 된다.
이 때 높이 제한바(10)는 상기 차량의 충격에 따라 후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 제한바(10)의 회전은 회전부(20)의 회전으로 이어진다. 회전부(20)는 외관을 이루는 회전지주(23)와 상기 회전지주(23)의 중심축(X)에 설치된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지주(23) 및 회전축(21)을 연결하는 제 1회전판(25a)과 제 2회전판(25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높이 제한바(10)가 이동하면서 회전지주(23) 및 회전축(21)도 동시에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축(21)은 고정부(30)의 고정지주(31)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지주(31)에는 상단부 및 중단부에 제 1 및 제 2고정판(33a, 33b)이 장착되고, 각 고정판(33a, 33b)의 중심부로 상기 회전축(21)이 관통된다. 그리고 각 고정판(33a, 33b)과 회전축(21) 사이에는 베이링(35)이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축(21)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지주(31) 및 고정판(33a, 33b)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제 1 및 제 2고정판(33a, 33b) 사이에는 회전축(21)을 권취하는 스프링(36)이 구비된다. 즉, 스프링(36)의 일단은 제 1고정판(33a)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 2고정판(33b)에 인접한 지점에서 회전축(21)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회전축(21)의 회전으로 스프링(36)은 회전축(21)을 따라 감기게 되고, 스프링(36)은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갖게 된다.
이 때 회전축(21)의 하단에는 래칫휘일(37a)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래칫휘일(37a)에 대응하는 포올(37b)이 상기 고정지주(31)의 외주연에 설치되고, 상기 래칫휘일(37a)의 톱니 형상의 이에포올(37b)이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지주(31)에는 관통공(37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래칫휘일(37a)은 회전축(2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된 후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21)이 복귀하려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할 때 포올(37b)에 회전축(21)을 정지시킨다. 즉, 회전축(21)은 높이 제한바(10)의 이동과 함께 회전되어 스프링(36)의 탄성력을 받게 되나, 래칫휘일(37a)에 포올(37b)이 걸려 있으므로 회전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높이 제한바(10)도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 후 사용자에 의해 상기 포올(37b)이 래칫휘일(37a)의 이로부터 이격되면 스프링(36)은 보유된 탄성력을 발휘하여 회전축(21)을 회전시킨다. 이 때 회전축(21)에 연결된 회전지주(23) 및 높이 제한바(10)도 동시에 회전되어 원상태로 복귀한다.
그런데 제 1고정판(33a)과 제 2회전판(25b)에는 각각 스토퍼(40a, 40b)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스프링(36)에 의해 회전축(21), 회전지주(23) 및 높이 제한바(10)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스토퍼(40a, 40b)에 의해 회전범위가 제한되어 원위치에 정지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실외에 설치될 것이므로 바람에 의한 먼지 또는 비나 눈 등이 상기 회전지주(23)의 상단으로 침입할 수 있다. 이러한 침입으로 인해 철재로 구성된 구성요소는 부식이 될 수 있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회전하는 지점에 끼어서 회전이 방해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지주(23)의 상단에는 덮개(27)가 씌워진다. 이러한 덮개(27)는 회전부(20)의 회전시에 같이 회전하고복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높이 제한바(10)가 충격흡수에 유리한 우레탄 또는 스치로폴 발포성형제로 이루어지므로 상기와 같은 차량에 의한 다수의 타격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또는 스치로폴 발포성형제는 비교적 저렴하고, 상기 높이 제한바(10)는 회전지주(23)의 외주연에 볼트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21)의 최하단은, 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축(21)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스러스트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회전축에 스프링 및 제동수단이 장착되어 회전부는 회전한 상태로 정지하고 원위치로는 선택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부에 설치되는 높이 제한바가 차량에 의한 충격시 이동된 상태로 멈추게 되므로 추가적인 충격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이 제한바를 충격 흡수에 유리한 재료로 제작하여 차량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되므로 상기 장치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차량의 통과높이를 제한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배치되는 높이 제한바와,
    상기 높이 제한바의 길이방향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에 따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높이 제한바가 일방향으로 이동된 때 상기 이동된 위치가 유지되며 상기 높이 제한바가 선택적으로 원위치에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에 연속하여 상기 중심축을 따라 위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내장하고 외주연에 상기 높이 제한바가 장착되는 원통형의 회전지주와,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회전지주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회전지주의 내주연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회전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축을 내장하고 상기 회전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회전축이 회전중심을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지주의 축선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고정지주의 내주연 사이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판과,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상기 고정지주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상기회전축의 외주연과 상기 고정판 각각의 내주연 사이에 구비되는 베어링과, 상기 높이 제한바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탄성력을 상기 회전축에 가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의 축선방향을 따라 권취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스프링과, 상기 높이 제한바의 이동 상태를 유지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스프링을 통해 원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는 래칫휘일과, 상기 래칫휘일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지주의 외주연에 장착되는 포올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제한바의 재질은, 차량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우레탄 또는 스치로폴 발포성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주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고정지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부에 대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도록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면접촉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지주의 상단을 덮을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장치를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KR20-2004-0017907U 2004-06-24 2004-06-24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KR200361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07U KR200361385Y1 (ko) 2004-06-24 2004-06-24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907U KR200361385Y1 (ko) 2004-06-24 2004-06-24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385Y1 true KR200361385Y1 (ko) 2004-09-13

Family

ID=4934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907U KR200361385Y1 (ko) 2004-06-24 2004-06-24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3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83B1 (ko) 2009-04-30 2012-05-02 허만수 교통 차단기의 차단봉
CN110219264A (zh) * 2019-07-03 2019-09-10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道路限高装置
CN111733725A (zh) * 2020-06-09 2020-10-02 颜世民 一种回复式限高杆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883B1 (ko) 2009-04-30 2012-05-02 허만수 교통 차단기의 차단봉
CN110219264A (zh) * 2019-07-03 2019-09-10 广东科学技术职业学院 道路限高装置
CN111733725A (zh) * 2020-06-09 2020-10-02 颜世民 一种回复式限高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6056B2 (ja) 衝撃吸収用道路防護柵
CA2172866A1 (en) Resilient traffic bollard with rotatable collar
KR200361385Y1 (ko)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KR101441292B1 (ko) 차량 방호 장치
KR101735716B1 (ko)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KR200362995Y1 (ko) 롤러가 부착된 차량용 범퍼
KR200390566Y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200316380Y1 (ko) 가드레일 완충구
CN212452402U (zh) 防撞桶固定装置
KR20110089481A (ko) 볼라드
KR200357786Y1 (ko) 교각충돌 방지장치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KR101445802B1 (ko) 지주 보호장치
KR100804736B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200326787Y1 (ko) 차량 통행 높이 제한 장치
KR200401497Y1 (ko) 폐타이어를 활용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223975Y1 (ko) 특수필터 완충재와 고무커버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100741865B1 (ko)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FI102776B (fi) Taittuva pylväs
GB2334735A (en) Rod traffic control device
KR100467085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시설물 설치구조
CN210288104U (zh) 一种拥有新型防护栏的立交桥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KR200315223Y1 (ko) 충격 흡수대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시설물
KR200242748Y1 (ko)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