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1865B1 -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 Google Patents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1865B1
KR100741865B1 KR1020070014291A KR20070014291A KR100741865B1 KR 100741865 B1 KR100741865 B1 KR 100741865B1 KR 1020070014291 A KR1020070014291 A KR 1020070014291A KR 20070014291 A KR20070014291 A KR 20070014291A KR 100741865 B1 KR100741865 B1 KR 10074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rimary
hole
sliding hol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봉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기봉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기봉
Priority to KR102007001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1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92Holders used for protection, repair or reinforcement of the post or pol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한다. 상기 배전용 전주는 내부에 배전용 전선들과 전기부품들이 장착되고, 그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경로를 갖는 제 1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전주몸체와,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을 따라 이동되며, 그 외면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와 예각이 형성되는 직선경로가 형성된 제 2슬라이딩홀을 갖는 제 1보호구와, 상기 제 1보호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슬라이딩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 2보호구 및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보호구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는 차량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AN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OF POWER HAVING AN IMPACT PROTEC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전주몸체 200 : 제 1보호구
220 : 제 1구름수단 300 : 제 2보호구
320 : 제 2구름수단 400 : 지지체
본 발명은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등에 의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전주에 설치되는 전기시설물을 보 호하기 위한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배전용 전주는 지하에 매설된 지중선로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전선로가 상기 전주를 통하여 외부로 분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배전용 전주와 같은 교통시설물은 차량용 도로의 인도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량용 도로의 인도에는 도로에 조명을 형성하여 주는 가로등들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가로수 또는 전주와 같은 교통시설물들은 차량용 도로의 측부에 마련되는 인도에 설치되기 때문에,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과 부딪히는 경우에 심각한 파손이 발생된다.
즉, 고속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도로의 경계석을 넘어 상기 교통시설물에 직접적으로 충돌되면, 상기 교통시설물에는 큰 충격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력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상기 교통시설물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교통시설물의 파손정도는 커지게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파손되는 교통시설물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전기시설물과 배전용 전선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교통시설물이 파손되면 전기시설물의 파손과 함께 상기 배전용 전선들도 단선되거나 합선되게 된다.
나아가, 교통시설물이 파손되어 그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비와 같은 도전성 유체들과 상기 배전용 전선 및 전기시설물들이 접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적 화재를 유발할 수 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 전주 또는 가로등과 같은 교통시설물의 외변에 철재등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또는 상기 외변에 고무등의 재질로 형성된 충격흡수재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빠른 주행속도를 갖고 충돌되는 차량과의 충격력을 흡수하지 못할뿐더러 오히려 교통시설물 자체에 이차 충격력을 형성시키어 파손의 정도를 더 높일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편, 차량과 충돌로 인하여 교통시설물의 파손 및 전기화재도 중요한 문제이지만,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에게도 심각한 인명피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시설물과 차량과의 충격력이 커지면 그 충격에 의하여 차량이 파손되고 이로 인하여 운전자의 생명이 위협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차량용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배전용 전주와 가로등과 같은 교통시설물과 고속주행되는 차량과의 충격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키어 배전용 전주의 파손의 가능성을 낮추고 이에 따라 전기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고속주행하는 차량이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배전용 전주와 부딪치더라도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제공한다.
상기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는 내부에 배전용 전선들과 전기부품들이 장착되고, 그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경로를 갖는 제 1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전주몸체와;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을 따라 이동되며, 그 외면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와 예각이 형성되는 직선경로가 형성된 제 2슬라이딩홀을 갖는 제 1보호구와; 상기 제 1보호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2슬라이딩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 2보호구; 및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보호구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보호구는 그 내측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1구름홀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1구름수단들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 1보호구몸체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구름수단들 각각은 상기 제 1구름홀에 형성된 제 1회전지지홀에 양단이 회전 지지되는 제 1회전축과, 상기 제 1회전축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1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회전축의 양단에는 제 1스프링이 외감되어 상기 제 1회전축이 상기 제 1회전지지홀의 내벽에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제 1보호구몸체들은 제 1탄성부재들에 의하여 서로 탄성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보호구는 그 내측둘레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 2구름홀에, 상기 제 2슬라이딩홀의 직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2구름수단들이 구비되어 서로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 2보호구몸체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2구름수단들 각각은 상기 제 2구름홀에 형성된 제 2회전지지홀에 양단이 회전 지지하다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회전축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2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회전축의 양단에는 제 2스프링이 외감되어 상기 제 2회전축이 상기 제 2회전지지홀의 내벽에 탄성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다수개의 제 2보호구몸체들은 제 2탄성부재들에 의하여 서로 탄성지지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름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는 내부에 배전용 전선들(미도시)과 전기부품들(미도시)이 장착되고, 그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경로를 갖는 제 1슬라이딩홀(110)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전주몸체(10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전주몸체(100)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내측둘레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110)의 나선경로를 따르는 다수개의 제 1구름홀들(211)이 형성되고, 그 외측둘레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110)의 나선경로와 예각(θ)이 형성되는 직선경로인 제 2슬라이딩홀(240)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210)와, 상기 제 1구름홀(211)에 위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딩홀(110)의 나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1구름수단들(220)과, 상기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들(2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전주몸체(100)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들(210)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탄성부재들(230)을 구비하는 제 1보호구(20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보호구(200)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내측둘레에 상기 제 2슬라이딩홀(240)의 직선경로를 따르는 다수개의 제 2구름홀들(31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310)와, 상기 제 2구름홀(311)에 위치되어 상기 제 2슬라이딩홀(240)의 직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2구름수단들(320)과, 상기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들(31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보호구(200)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들(310)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2탄성부재들(330)을 구비하는 제 2보호구(3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주몸체(100)의 외측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보호구(2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체(4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구름수단들(220) 각각은 상기 제 1구름홀(211)에 형성된 제 1회전지지홀(211a)에 양단이 회전지지되는 제 1회전축(221)과, 상기 제 1회전축(221)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1롤러(222)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구름수단들(320) 각각은 상기 제 2구름홀(311)에 형성된 제 2회전지지홀(311a)에 양단이 회전지지되는 제 2회전축(321)과, 상기 제 2회전축(321)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2롤러(322)를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회전축(221)의 직경(D)은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경(d)보다 작고,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은 상기 제 1회전축(221)의 양단이 끼워져 회전지지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부에는 제 1스프링(22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축(221)의 양단은 상기 제 1스프링(223)에 끼워지되, 상기 제 1스프링(223)은 링스프링이고, 상기 제 1스프링(223)의 외주둘레는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회전축(221)의 양단은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부에서 그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s)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주면에 외주둘레가 접촉되는 링스프링인 제 1스프링(223)에 의하여 상기 제 1회전축(221)의 양단은 상기 제 1회전지지홀(211a)의 내주면과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회전축(321)의 직경(D)은 상기 제 2회전지지홀(311a)의 내경(d)보다 작고, 상기 제 2회전지지홀(311a)은 상기 제 2회전축(321)의 양단이 끼워져 회전지지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회전지지홀(311a)의 내부에는 제 2스프링(323)이 배치되고, 상기 제 2회전축(321)의 양단은 상기 제 2스프링(323)에 끼워지되, 상기 제 2스프링(323)은 링스프링이고, 상기 제 2스프링(323)의 외주둘레는 상기 제 2회전홀(311a)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회전축(321)의 양단은 상기 제 2회전지지홀(311a)의 내부에서 그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거리(s)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회전지지홀(311a)의 내주면에 외주둘레가 접촉되는 링스프링인 제 2스프링(323)에 의하여 상기 제 2회전축(321)의 양단은 상기 제 1회전지지홀(311a)의 내주면과 탄성지지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 1롤러(222)와 상기 제 2롤러(322)의 외면에는 우레탄 재질의 충격흡수부재(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1,2구름수단(220,320)은 제 1,2보호구몸체(210,310)의 내측둘레에 마련되는 별도의 구름홀(212)에 끼워져 구르는 구형의 구름부재(213)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름부재(213)는 상기 구름홀(212)의 내부 에 마련되는 스프링홀(214)에 끼워지는 별도의 탄성스프링(215)에 의하여 탄성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2보호구몸체(210,310)의 내측둘레에는 별도의 우레탄재질의 충격흡수부재(20)가 더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주몸체(100)의 저측 외면에는 지지체(4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400)는 상기 전주몸체(100)와 볼트와 너트등의 결합수단(410)으로 인하여 상기 전주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400)는 상기 제 1보호구(200)의 저측을 지지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를 갖는 배전용 전주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일정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배전용 전주와 충돌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은 주행을 하면서 도로의 경계석을 올라타면서 그 일부분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보호구(300)와 충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보호구(300)는 일차적으로 차량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2보호구(300)의 내측에 위치된 제 1보호구(200)는 이차적으로 차량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보호구(300)의 내측에 위치된 전주몸체(100)에는 큰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보호구(200,300)로 인한 충격흡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보호구몸체들(310)은 외부로부터 주행되는 차량에 의하여 일차충격을 받는다. 이어, 제 2보호구몸체들(310)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제 2롤러들(322)은 제 2보호구몸체(310)에 형성된 제 2슬라이딩홀(240)에 접촉되어 구른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되는 방향을 따르는 충격력은 일차적으로 해소된다.
이와 아울러, 제 2롤러들(322)은 제 2회전축(321)의 양단이 제 2스프링(323)에 의하여 제 2회전지지홀(311a)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일차적인 충격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2롤러들(322)의 외면에 우레탄과 같은 충격흡수부재(20)가 더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일차적인 충격력은 더 용이하게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보호구몸체들(310)에 일차적인 충격력이 가해지어 상기 제 2보호구몸체들(310)이 일방향을 따라 유동되면, 그 힘에 의하여 제 1보호구몸체들(210)도 유동된다.
즉, 상기 제 1보호구몸체들(210)은 상기 유동되는 제 2보호구몸체들(310)에 의하여 이차적인 충격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제 1보호구몸체들(210)의 내측둘레에 설치된 제 2롤러들(322)은 전주몸체(100)에 형성된 제 1슬라이딩홀(110)의 나선경로(②)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 1보호구몸체들(210)은 상기 나선경로(②)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차량 충격으로 인한 전주몸체(100)로의 상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은 용이하게 해소될 수 있다.
나아가, 제 1롤러들(222)은 제 1회전축(221)의 양단이 제 1스프링(223)에 의하여 제 1회전지지홀(221)의 내부에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일차적인 충격 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롤러들(222)의 외면에 우레탄과 같은 충격흡수부재(20)가 더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상방향으로 작용되는 이차적인 충격력은 더 용이하게 해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따르는 제 2보호구몸체들(310)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은 서로 제 2탄성부재(330)가 개재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하여 제 2보호구몸체들(310)은 서로 부딪히지 않고 상기 제 2탄성부재(330)에 의하여 그 충격력이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보호구몸체(310)의 내측부에 위치되는 제 1보호구몸체(210)도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그들 사이에 제 1탄성부재(230)가 개재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서로 부딪히지 않고 상기 제 2탄성부재(330)에 의하여 그 충격력이 흡수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보호구(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전주몸체(100)로 외부 충격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되는 차량이 전주몸체에 부딪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전주몸체(100)에 가해지는 충격력의 방향은 주행방향을 따르는 1성분(F1)과 주행방향으로부터 수직인 상방향 성분(F2)의 합성성분의 힘(F)의 방향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2보호구(200,300)는 상기 주행방향을 따르는 충격력(F1)과 상방향을 따르는 충격력(F2)을 용이하게 해소시키어, 결국 상기 합성성분 방향을 따르는 충격력(F)을 다단으로 용이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제 1,2보호구를 사용하여 전주로의 주행방향을 따르는 충격력과 상방향을 따르는 충격력을 용이하게 해소시키어, 차량용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배전용 전주와 가로등과 같은 교통시설물이 차량과의 충돌로 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주로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력을 저감시키어 배전용 전주의 파손의 가능성을 낮추고 이에 따라 전기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전기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속 주행하는 차량이 도로의 측부에 설치되는 배전용 전주와 부딪히더라도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내부에 배전용 전선들과 전기부품들이 장착되고, 그 외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경로를 갖는 제 1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전주몸체;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내측둘레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를 따르는 다수개의 제 1구름홀들이 형성되고, 그 외측둘레에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와 예각이 형성되는 직선경로인 제 2슬라이딩홀이 형성된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와, 상기 제 1구름홀에 위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딩홀의 나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1구름수단들과, 상기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보호구몸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1탄성부재들을 구비하는 제 1보호구;
    상기 제 1보호구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그 내측둘레에 상기 제 2슬라이딩홀의 직선경로를 따르는 다수개의 제 2구름홀들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와, 상기 제 2구름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슬라이딩홀의 직선경로를 따라 구르는 다수개의 제 2구름수단들과, 상기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보호구몸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 2탄성부재들을 구비하는 제 2보호구; 및
    상기 전주몸체의 외측둘레와 결합되며, 상기 제 1보호구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구름수단들 각각은 상기 제 1구름홀에 형성된 제 1회전지지홀에 양단이 회전지지되는 제 1회전축과, 상기 제 1회전축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1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구름수단들 각각은 상기 제 2구름홀에 형성된 제 2회전지지홀에 양단이 회전지지되는 제 2회전축과, 상기 제 2회전축에 끼워지어 회전되는 제 2롤러를 구비하는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 1회전지지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 1회전지지홀은 상기 제 1회전축의 양단이 끼워져 회전지지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1회전지지홀의 내부에는 제 1스프링이 배치되고,
    상기 제 1회전축의 양단은 상기 제 1스프링에 끼워지되,
    상기 제 1스프링은 링스프링이고, 상기 제 1스프링의 외주둘레는 상기 제 1회전지지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상기 제 2회전축의 직경은 상기 제 2회전지지홀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제 2회전축의 양단은 상기 제 2스프링에 끼워지되,
KR1020070014291A 2007-02-12 2007-02-12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KR10074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91A KR100741865B1 (ko) 2007-02-12 2007-02-12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91A KR100741865B1 (ko) 2007-02-12 2007-02-12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1865B1 true KR100741865B1 (ko) 2007-07-24

Family

ID=3849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91A KR100741865B1 (ko) 2007-02-12 2007-02-12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18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07B1 (ko) 2013-11-15 2014-01-29 (주)성창종합기술단 배전선로 고정장치를 갖는 전주
KR102272678B1 (ko) * 2021-03-03 2021-07-05 주식회사 신가전기 도시 미관이 개선된 전신주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63U (ko) * 1998-12-29 2000-07-15 김명제 밴드체결식 전주보호판
KR20010090053A (ko) * 2001-08-31 2001-10-18 홍성원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20020000016A (ko) * 2000-06-20 2002-01-04 윤병철 슬라이딩 컵
KR20020094754A (ko)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이레피아 입설기둥 보호용 철심매입 요철 이격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3963U (ko) * 1998-12-29 2000-07-15 김명제 밴드체결식 전주보호판
KR20020000016A (ko) * 2000-06-20 2002-01-04 윤병철 슬라이딩 컵
KR20020094754A (ko) * 2001-06-13 2002-12-18 주식회사 이레피아 입설기둥 보호용 철심매입 요철 이격밴드
KR20010090053A (ko) * 2001-08-31 2001-10-18 홍성원 불법광고물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번호1020010090053
공개번호1020020094754
공개번호2020000013963
등록번호200201622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307B1 (ko) 2013-11-15 2014-01-29 (주)성창종합기술단 배전선로 고정장치를 갖는 전주
KR102272678B1 (ko) * 2021-03-03 2021-07-05 주식회사 신가전기 도시 미관이 개선된 전신주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376B1 (ko) 도로용 충격 흡수대
US3856268A (en) Highway safety device
KR20170105303A (ko) 다지점 듀얼스프링 완충구조를 갖는 표지판
US3602109A (en) Highway safety guard-roll barrier
CN207672480U (zh) 一种路桥防撞保护装置
GB2374890A (en) Roadside crash barrier with rollers
CN107447704A (zh) 一种免安装快拆道路护栏
KR100741865B1 (ko) 충격보호기능을 갖는 배전용 전주
WO2018014791A1 (zh) 防占用应急车道装置
CN106498879A (zh) 一种新型道路防护栏
KR200318128Y1 (ko) 가드레일
CN211690065U (zh) 一种带滚筒的防护栏板及防护栏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0293065B1 (ko) 탄성회전식충격완화장치
CN207727474U (zh) 一种旋转护栏
CN208280060U (zh) 一种护栏组件及具有该组件的折叠道路护栏
KR101852515B1 (ko) 회전형 가드레일
KR100811750B1 (ko) 지중배전의 지상기기함 보호장치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JP3076217U (ja) 道路用衝撃吸収装置
KR102272678B1 (ko) 도시 미관이 개선된 전신주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1656469B1 (ko) 케이블 가이드 방호울타리 장치
KR200401497Y1 (ko) 폐타이어를 활용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361385Y1 (ko) 차량 통행높이 제한장치
CN220433493U (zh) 一种公路交通安全防撞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