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748Y1 -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748Y1
KR200242748Y1 KR2020010002474U KR20010002474U KR200242748Y1 KR 200242748 Y1 KR200242748 Y1 KR 200242748Y1 KR 2020010002474 U KR2020010002474 U KR 2020010002474U KR 20010002474 U KR20010002474 U KR 20010002474U KR 200242748 Y1 KR200242748 Y1 KR 200242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in body
limiting frame
roa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2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출
Original Assignee
(주) 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정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2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748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과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하는 자동차 높이 제한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기초 부위와 상부의 본체를 연결하는 볼트와 넛트의 결합이 끊어지면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도록 하여 높이 제한틀과 충돌하는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높이 제한틀에 있어서, 도로의 양쪽편에 지중 설치되는 기초 앵커(10), 상기 기초 앵커(10)의 상부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홀(16)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15), ∩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제한틀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15)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15)과 연결판(25)의 볼트 연결에 의해 기초 앵커(10)와 본체(20)가 결합되어 높이 제한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A vehicle's height limitation unit with shock absorber}
본 고안은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과 차량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설치하는 자동차 높이 제한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기초 부위와 상부의 본체를 연결하는 볼트와 넛트의 결합이 끊어지면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도록 하여 높이 제한틀과 충돌하는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인 강도의 부족에 의해 대형 차량이 통과할 수 없는 교량 또는 도로의 진입로에는 통과 차량을 제한하기 위해 소정 높이를 갖고 ∩ 형태로 형성된 높이 제한틀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형 차량의 경우 차량의 높이가 높고 소형 차량은 높이가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높이 제한틀은 저렴한 비용으로도 통과 차량을 쉽게 제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야간에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가 많은 트럭과 같은 차량은 졸음 운전 또는 전방 주시 태만 등으로 인하여 높이 제한틀을 미쳐 발견하지 못하여 높이 제한틀과 충돌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고 발생시 높이 제한틀은 고강도의 재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차량이 심한 파손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를 이용하여 통과차량을 제한하는 차량 높이 제한틀의 하부 양측에 차량과 높이 제한틀이 충돌할 경우 자체 파손되는 충격 흡수 구조물을 설치하여 차량과 높이 제한틀의 충돌시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기초 앵커의 설치 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기초 앵커의 상부에 부착되는 받침판의 일실시예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의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기초 앵커 20 : 본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높이 제한틀에 있어서, 도로의 양쪽편에 지중 설치되는 기초 앵커(10), 상기 기초 앵커(10)의 상부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홀(16)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15), ∩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제한틀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15)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15)과 연결판(25)의 볼트 연결에 의해 기초 앵커(10)와 본체(20)가 결합되어 높이 제한틀이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높이 제한틀을 설치하고자 하는 도로의 양측에 웅덩이를 형성하고 레벨 미터와 같은 측정 용구를 사용하여 기초 앵커(10)를 필요로 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기초 앵커(10)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도 2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바와 같이 기초 앵커(10)의 받침판(15)이 지면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시간이 경과하여 기초 앵커(10) 주위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경화됨으로서 기초 앵커(10)가 고정된다.
기초 앵커(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15)은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홀(1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기초 앵커의 상부에 부착되는 받침판(15)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20)의 양단 하부에는 받침판(15)과 동일 형태의 연결판(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받침판(15)과 연결판(25)에 형성되는 홀의 위치는 서로 일치하도록 하여, 받침판(15)과 본체(20)의 연결판(25)을 일치시킨 후 받침판(15)과 연결판(25)을 볼트와 넛트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면 도로의 높이 제한틀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높이 제한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다음과 같이 작용하게 된다.
주행중인 차량이 높이 제한틀과 충돌할 경우, 충돌시 발생한 충격량이 본체(20)로 전해지게 된다. 본체(20)에 인가된 충격량이 본체(20)와 기초 앵커(10)를 볼트와 넛트의 결합 강성보다 작은 경우에는 조그마한 충돌로서 차량 자체에도 큰 피해를 주지 않으나, 인가된 충격량이 볼트와 넛트의 결합 강성보다 클 경우에는 볼트와 넛트의 결합이 끊어지면서 본체(20)가 하부 앵커(10)에서 분리된다.
기초 앵커(10)에 고정되어 있는 본체(20)가 원위치를 이탈하면서 충돌 사고를 일으킨 차량에 인가되는 충격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차량의 파손이 줄어들게 된다.
원위치를 이탈한 본체(20)는 사고 수습시 볼트와 넛트의 교체에 의해 쉽게 제자리에 재설치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의 높이 제한틀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높이 제한틀 본체와 기초 앵커를 연결하는 볼트와 넛트의 결합이 끊어지면서 높이 제한틀 본체가 넘어지도록 함으로서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도록 하여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높이 제한틀에 있어서, 도로의 양쪽편에 지중 설치되는 기초 앵커(10), 상기 기초 앵커(10)의 상부에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볼트홀(16)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15), ∩ 형태로 형성되는 높이 제한틀의 본체(20), 상기 본체(20)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15)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판(25)으로 구성되며, 상기 받침판(15)과 연결판(25)의 볼트 연결에 의해 기초 앵커(10)와 본체(20)가 결합되어 높이 제한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KR2020010002474U 2001-02-02 2001-02-02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KR200242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474U KR200242748Y1 (ko) 2001-02-02 2001-02-02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2474U KR200242748Y1 (ko) 2001-02-02 2001-02-02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748Y1 true KR200242748Y1 (ko) 2001-10-26

Family

ID=7309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2474U KR200242748Y1 (ko) 2001-02-02 2001-02-02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7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416B1 (ko) * 2016-11-17 2017-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지력과 전도안정성이 강화된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416B1 (ko) * 2016-11-17 2017-11-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지력과 전도안정성이 강화된 감충지주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지주충돌시의 충격 감소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4365B1 (ko) 교통안전표지판용 충격흡수장치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242748Y1 (ko) 충격흡수 구조가 부착된 도로의 자동차 높이 제한틀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EP2772585A2 (en) Removable base for vertical street furniture elements
KR100489768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분리대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KR200228238Y1 (ko)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KR100483189B1 (ko) 도로용 엘형측구
KR100762977B1 (ko) 충격흡수장치가 구비된 교통안전표지판
KR10051538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JPH06167009A (ja) 防護ブロック
KR100467085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시설물 설치구조
CN212505923U (zh) 一种公路桥梁减震支座
KR200283362Y1 (ko) 이중 가드레일판으로 되는 가드레일
KR100723028B1 (ko) 차량방호울타리용 충격흡수장치
KR200234523Y1 (ko) 우레탄 고무를 이용한 충격흡수형 중앙분리대
KR200348778Y1 (ko) 지하도로 중앙부의 기둥보호용 자동차 충돌방지시설
KR200315223Y1 (ko) 충격 흡수대를 이용한 도로 표지판 시설물
KR200359999Y1 (ko) 가드레일의 충격완충장치
KR200245127Y1 (ko) 도로 교차로 충돌방지용 경계석구조
KR200234805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0351165Y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KR20022828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방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