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460B1 -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 Google Patents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460B1
KR102331460B1 KR1020210125887A KR20210125887A KR102331460B1 KR 102331460 B1 KR102331460 B1 KR 102331460B1 KR 1020210125887 A KR1020210125887 A KR 1020210125887A KR 20210125887 A KR20210125887 A KR 20210125887A KR 102331460 B1 KR102331460 B1 KR 10233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cable
tension
post
cable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359A (ko
Inventor
강예석
최현병
오홍석
이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12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4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1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고,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포스트들과, 도로를 따라 설치된 지지포스트들에 연결되는 인장케이블유닛과, 인장케이블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인장케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장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충돌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롤링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인장케이블유닛에 의한 인장과, 롤링유닛에 의한 회전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에 대하여 인장형과 회전형의 복합적인 방식으로 가드할 수 있어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질 수 있으며, 중량이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시공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Guardrail using tensioning cable }
본 발명은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충돌 시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드레일은 차량이 도로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지중에 일정부분 매설되는 다수의 가드레일 지주에 레일이 결합되어 도로의 중앙과 갓길측에 차량의 주행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차량의 승월(乘越)현상이나 낙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드레일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3209호는, 가드레일 지주에 하부레일과 상부레일이 결합된 레일이 연결구에 의하여 고정볼트로 고정되어지되, 상기 하부레일과 상부레일은 각각 만곡완충부와 부착부로 구성되고 레일두께가 얇은 하부레일이 레일두께가 두꺼운 상부레일 외측으로 결합되어진 강성 차등형 가드레일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가드레일은, 중량이 무겁고 설치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충돌 시 충돌차량의 낙하는 효과적으로 방지하나 충돌차량에 대한충격흡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 않기 때문에, 충돌 시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53209호
본 발명은, 중량이 가볍고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차량충돌 시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고,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포스트들과, 상기 도로를 따라 설치된 상기 지지포스트들에 연결되는 인장케이블유닛과, 상기 인장케이블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인장케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장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충돌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롤링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장케이블유닛은, 양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들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케이블과, 상기 인장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에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로 상기 인장케이블을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케이블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행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롤링유닛은, 링형상으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상기 인장케이블이 연결되는 축연결링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케이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축연결링에 의해 구분 분할되어 설치되는 롤링부와, 상기 롤링부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롤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링부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이 충돌하였을 경우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는, 상기 롤링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마감플레이트와, 상기 마감플레이트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장케이블유닛은, 상기 지지포스트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과 우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의 개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정착유닛의 정착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인장케이블은, 인접하는 지지포스트 사이에 형성되는 포스트구간에 n개가 배열되는 경우, n개의 상기 포스트구간에 걸쳐 정착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구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며, 상기 인장케이블들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인장케이블유닛에 의한 인장과, 롤링유닛에 의한 회전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에 대하여 인장형과 회전형의 복합적인 방식으로 가드할 수 있어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중량이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시공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셋째, 도로의 구조와 충격흡수 및 지지력의 확보 정도 등에 따라 장치변경없이 지지포스트와 보강포스트의 개수 및 인장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달리함으로써 그 구성을 다양하고 용이하게 변경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서 롤링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서 충돌 시 인장케이블유닛과 롤링유닛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서 포스트구간을 2구간으로 하는 경우 인장케이블유닛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서 포스트구간을 3구간으로 하는 경우 인장케이블유닛의 설치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복수개의 지지포스트(100)들과, 인장케이블유닛(200)과, 복수개의 롤링유닛(30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지포스트(100)는,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고,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지지포스트(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재질 또한 차량 충돌 시 충분한 지지력과 내구성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인장케이블유닛(200)의 정착이 용이한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인장케이블유닛(200)은, 도로를 따라 설치된 각각의 지지포스트(100)들에 연결되며, 인장케이블(210)과, 정착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장케이블(210)은, 양단부가 지지포스트(100)들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관통된 후 지지포스트(100)에 각각 고정 연결되며, 차량 충돌 시 도로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인장력이 발휘된다.
상기 인장케이블(210)은, 복수개가 지지포스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행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인장케이블(210)은 차량충돌 시 충격흡수가 가능한 공지의 와이어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장케이블(210)은 충돌차량의 안전효과를 위하여, 확보하고자 하는 인장력을 고려하여 배열 행 개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인장케이블(210)의 행 개수가 정해지면 이에 따라 인접하는 지지포스트(100) 사이에 형성되는 포스트구간(101)도 설정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정착유닛(220)은, 인장케이블(210)의 단부에 결합하여, 지지포스트(100)에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로 인장케이블(210)을 정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정착유닛(220)은 공지의 쐐기형 정착구를 비롯하여, 인장케이블(210)의 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정착너트를 적용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인장케이블유닛(200)은, 지지포스트(100)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210)과 우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210)의 개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착유닛(220)의 정착위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포스트(100)가 인장케이블(210)의 인장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를 최소화함으로써, 지지포스트(100)의 휨 등으로 인한 내구성저하를 방지하고 지지력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링유닛(300)은, 측면으로부터 충돌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충돌 시 충격흡수와 함께 차량의 주행방향을 유도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링유닛(300)은,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된 인장케이블(210)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인장케이블(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인장케이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롤링유닛(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롤링유닛(300)은, 축연결링(310)과, 회전축(320)과, 롤링부(330)와, 마감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연결링(310)은, 링형상으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에 각각 인장케이블(210)이 연결된다.
도면에서, 상기 축연결링(310)은 회전축(320)이 인장케이블(210)에 대하여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삽입홀이 상하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외주측면에 각각 인장케이블(210)이 수평하게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축연결링(310)은 용접 등을 통하여 인장케이블(210)이 양측 외주면에 고정 결합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외주면 양측에 결합구를 구성하고, 결합구에 인장케이블(210)이 착탈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등 다양한 연결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20)은, 롤링부(330)의 회전중심축으로서 축연결링(310)의 삽입홀에 삽입되고, 인장케이블(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롤링부(330)는, 상기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외주측면에 설치되고, 축연결링(310)에 의해 구분 분할되어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롤링부(330)는, 2개의 축연결링(310)에 의하여 3개로 분할되어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롤링유닛(300)은, 차량충돌 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회전축(320)과 롤링부(330)의 결합구성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가령, 회전축(320)의 외주면에 롤링부(330)가 고정 결합되어, 롤링부(330)가 회전축(32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320)은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롤링부(330)가 회전축(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320)은 삽입홀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삽입후 고정 결합되어, 롤링부(330)가 회전축(320)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롤링부(330)는 회전축(3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함은 물론 회전축(320) 또한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롤링부(330)는, 평단면 형상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충돌 시 접촉면적을 늘려 충격흡수를 늘리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외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평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롤링부(330)는, 차량이 충돌하였을 경우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우레탄,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마감부(340)는, 회전축(320)으로부터 롤링부(3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롤링부(330)로부터 노출되는 회전축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감부(340)는, 마감플레이트(341)와, 고정너트(3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341)는, 롤링부(330)의 평면형상과 대응되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링부(3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하고, 회전축(320)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너트(342)는, 마감플레이트(341)로부터 노출되는 회전축(320)의 양단부에 결합하여 마감플레이트(341)의 이탈을 방지하며, 회전축(320)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의 차량 충돌 시 인장케이블유닛(200)과 롤링유닛(30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 충돌 전 상태와(도 4의 (a)도면), 차량 충돌 후 상태(도 4의 (b) 도면)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차량 충돌 시 상기 가드레일은, 충돌하는 차량에 의하여 인장케이블(210)이 인장되고, 롤링부(330)가 회전하게 되면서, 차량 충돌에 대하여 인장형과 회전형의 복합적인 방식으로 가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인장케이블유닛(200)에 의한 인장효과와, 롤링유닛(300)에 의한 회전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충돌차량의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저항하도록 구성되어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차량 충돌에 저항하는 반력은, 인장케이블(210)의 배치방향에 대하여 수평력과 수직력으로 구분된다. 그렇다고 할 때,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서 수평력은 롤링유닛(300)의 회전에 의해 차량이 이동됨에 따라 긴 구간에 걸쳐 소멸된다. 그리고 수직력은 인장케이블(210)을 인장시켜 이러한 인장케이블(210)의 인장력을 지지포스트(100)가 부담하게 되어, 결국 지지포스트(100)가 상기 수직력을 부담한다.
따라서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인장케이블(210)의 인장력과 지지포스트(100)의 지지력을 고려하여 인장케이블(210)의 배열 및 지지포스트(100)의 포스트구간 설정을 설계하여야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포스트구간(101)에 따른 인장케이블유닛(200)의 설치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인장케이블유닛(200)의 설치구성 기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지포스트(100) 상에 인장케이블(210)의 장착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모멘트를 최소화한다.
즉, 상기 인장케이블유닛(200)은, 포스트구간(101)에 대하여 지지포스트(1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다수개의 인장케이블(210)이 배열되는데, 이때 상기 인장케이블유닛(200)은, 지지포스트(100)에 대하여 좌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210)과 우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는 인장케이블(210)의 개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정착유닛(220)의 정착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지지포스트(100)에서의 모멘트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전술한 바 있다.
둘째, 특정 포스트구간(101)에 배열된 인장케이블(210)은 서로 다른 최대 다수의 지지포스트(10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경제성 및 시공성을 고려하여 하나의 포스트구간(101)에 배치된 인장케이블(210)이 최대한 많은 수의 지지포스트(100)에 의해 지지되어야, 해당 포스트구간(101)에 발생된 수직력을 최대 다수의 지지포스트(100)들이 분담하여 저항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을 고려하여, 인장케이블유닛(200)의 구성을 공식화하면, 상기 포스트구간(101)에 배치된 인장케이블(210)의 개수를 n이라 하면, 인장케이블(210)은 n개의 포스트구간(101)에 걸쳐 정착되되, 동일 포스트구간(101)에 배치된 인장케이블(210)들은 각각 서로 다른 지지포스트(100)에 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가령,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포스트구간(101)에 배치된 인장케이블(210)의 개수가 2개인 경우, 각 인장케이블(210)은 2개의 포스트구간(101)을 거쳐 지지포스트(100)에 정착되되, 서로 다른 지지포스트(100)에 정착되도록 배열된다.
즉, 인장케이블단위로 살펴보면 상하방향의 인장케이블(210)들이 엇갈려 배열/정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스트구간(101)에 배열된 인장케이블(210)의 개수가 3개인 경우에는, 각 인장케이블(210)이 3개의 포스트구간(101)을 거쳐 지지포스트(100)에 정착되되, 인장케이블(210)들이 엇갈려 배치되어 하나의 지지포스트(100)에는 좌우 한 쌍의 인장케이블(210)만이 정착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지지포스트(100)에 대하여 인장케이블(210)이 개수가 2개와 3개인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현장여건 및 설계에 따라 다양한 인장케이블(210)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포스트구간(101)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은, 상기 포스트구간(101)에 위치하는 관통포스트(110,도 4참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포스트는, 상기 지지포스트(100)와는 달리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며, 관통공이 형성되어 인장케이블(210)들이 정착되지 않고 관통만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포스트(110)들은 포스트구간(101)에 추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포스트(100)들이 부담하는 수직력을 함께 분담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충돌 시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케이블유닛에 의한 인장과, 롤링유닛에 의한 회전이 동시에 발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에 대하여 인장형과 회전형의 복합적인 방식으로 가드할 수 있어 충돌차량의 낙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은 물론 충돌차량에 대하여 충분한 충격흡수가 이루질 수 있으며, 중량이 가볍고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시공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지지포스트 101 : 포스트구간
110 : 관통포스트 200 : 인장케이블유닛
210 : 인장케이블 220 : 정착유닛
300 : 롤링유닛 310 : 축연결링
320 : 회전축 330 : 롤링부
340 : 마감부 341 : 마감플레이트
342 : 고정너트

Claims (3)

  1.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고, 도로를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포스트들과;
    상기 도로를 따라 설치된 상기 지지포스트들에 연결되는 인장케이블유닛과;
    상기 인장케이블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인장케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인장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충돌하는 차량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롤링유닛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장케이블유닛은,
    복수개가 상기 지지포스트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복수 행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어, 양단부가 상기 지지포스트들에 각각 연결되는 인장케이블과,
    상기 인장케이블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포스트에 인장력이 부가된 상태로 상기 인장케이블을 정착하는 정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링유닛은,
    링형상으로 내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양측에 각각 상기 인장케이블이 연결되는 축연결링과;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인장케이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축연결링에 의해 구분 분할되어 설치되는 롤링부와;
    상기 롤링부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상하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롤링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장케이블은,
    1) 포스트구간에 배치된 인장케이블의 수(n)와 동일한 수(n)의 포스트구간에 걸쳐 정착되고;
    2) 동일 포스트구간에 배치된 n개의 인장케이블 들은 각각 서로 다른 지지포스트에 정착되며;
    3) 상기 지지포스트에서 좌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도록 정착되는 인장케이블과 우측방향으로 인장력을 갖도록 정착되는 인장케이블의 개수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정착유닛의 정착위치가 설정되며:
    상기 마감부는,
    상기 롤링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마감플레이트와,
    상기 마감플레이트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하되,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구간에 위치하고, 하부가 지면에 매설되어 세워지며, 상기 인장케이블들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포스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부는,
    평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량이 충돌하였을 경우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우레탄 또는 합성수지 중의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탄성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KR1020210125887A 2018-11-28 2021-09-23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KR10233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87A KR102331460B1 (ko) 2018-11-28 2021-09-23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603A KR102306865B1 (ko) 2018-11-28 2018-11-28 롤링 인장 가드레일
KR1020210125887A KR102331460B1 (ko) 2018-11-28 2021-09-23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03A Division KR102306865B1 (ko) 2018-11-28 2018-11-28 롤링 인장 가드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359A KR20210119359A (ko) 2021-10-05
KR102331460B1 true KR102331460B1 (ko) 2021-12-01

Family

ID=710894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03A KR102306865B1 (ko) 2018-11-28 2018-11-28 롤링 인장 가드레일
KR1020210125887A KR102331460B1 (ko) 2018-11-28 2021-09-23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603A KR102306865B1 (ko) 2018-11-28 2018-11-28 롤링 인장 가드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6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85Y1 (ko) 2004-04-22 2004-07-21 신부용 도로용 방호 장치
KR100583623B1 (ko) 2005-10-28 2006-05-26 주식회사 길평 충격흡수 가이드 케이블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376B1 (ko) * 2000-03-24 2003-06-02 주식회사 거도산업 도로용 충격 흡수대
KR100453209B1 (ko) 2003-01-22 2004-10-20 주식회사 동아기술공사 강성 차등형 가드레일
KR20140037490A (ko) * 2012-09-19 2014-03-27 문형호 차도의 안전용 가이드 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85Y1 (ko) 2004-04-22 2004-07-21 신부용 도로용 방호 장치
KR100583623B1 (ko) 2005-10-28 2006-05-26 주식회사 길평 충격흡수 가이드 케이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865B1 (ko) 2021-09-30
KR20210119359A (ko) 2021-10-05
KR20200064238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1149B2 (en) Posts for road safety barrier
US20030213946A1 (en) Cable guardrail release system
CN106702927B (zh) 带滚轴的防撞护栏
KR102331460B1 (ko) 인장케이블을 이용한 가드레일
KR100915395B1 (ko) 각도조절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도로용 울타리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130073357A (ko) 능동형 방호울타리
KR200390566Y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10097093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CN106702924B (zh) 防撞护栏
JP3831776B2 (ja) ガードレールの衝撃吸収構造体
KR100682791B1 (ko)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120038050A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100575562B1 (ko) 중앙분리대
KR200313288Y1 (ko)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804736B1 (ko) 자동차 충격완충장치
CN106812089B (zh) 具有反光层的防撞护栏
KR101259931B1 (ko) 가드레일 단부 충격흡수장치
KR200354789Y1 (ko) 중앙분리대
KR200323063Y1 (ko) 급커브 도로용 안전장치
KR20120092082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JP2010071034A (ja) 道路用防護柵
EP3775389B1 (en) Road restraint system with improved ground constraint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