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139B1 -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139B1
KR101666139B1 KR1020150061343A KR20150061343A KR101666139B1 KR 101666139 B1 KR101666139 B1 KR 101666139B1 KR 1020150061343 A KR1020150061343 A KR 1020150061343A KR 20150061343 A KR20150061343 A KR 20150061343A KR 101666139 B1 KR101666139 B1 KR 101666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impact
socket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동
김경주
김동성
Original Assignee
(주)로드키네마틱스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드키네마틱스,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로드키네마틱스
Priority to KR1020150061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6Combinations of yieldable mounting means of different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60R19/40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before a collision, or extend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2019/26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74Utility vehicles
    • B60R2021/0081Work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 충격부와 배면 지지부 사이에 충격 흡수부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지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는 전면 프레임에 전면 소켓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는 배면 프레임에 배면 소켓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배면 소켓는 일측에서부터 대경부 및 축관부가 차례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가이드 몸체를 관통하도록 충격 흡수강관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충격 흡수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의 전면 소켓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의 배면 소켓의 대경부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충격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 흡수강관이 상기 배면 소켓을 관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
본 발명은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 충격부와 배면 지지부 사이에 충격 흡수부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지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의 충격 흡수강관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의 전면 소켓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소켓의 대경부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 흡수강관이 상기 배면 소켓을 관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로의 신규공사는 그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연간 도로의 기능 유지에 1조원 이상의 예산이 집행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교량보수, 사고처리, 갓길 및 중앙 분리대 청소, 노면 보수 등 유지보수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어, 도로의 유지보수 도중에 발생하는 차량 충돌 문제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의 고속도로 유지보수 작업 중 안전관리는 단순히 견인식 싸인카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지난 10년간 71건의 추돌사고가 발생하여 8명이 사망하고, 76명이 부상하는 등 11.3%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를 이용한 대응책이 제시되고 있으며, 상기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는 도로 및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차선을 통제하고, 공사구간에 접근하는 차량의 충돌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외국의 경우, 도로의 유지관리시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는 아직 도입의 초기단계로 그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에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해양부, 2014)에서 공사구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의 기준을 제정하여 충돌시험을 통한 성능검증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등 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984호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508호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3108호 '에어 배관과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트럭부착형 충격 흡수 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6383호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레일차량'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문헌들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을 사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물성 변화로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이 불분명하여 필요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비효율성이 있었고, 충격 흡수장치의 원가가 높아 보급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작업차량에 장치가 부착된 경우가 많아 공사구간까지 이동하면서 협소한 도로 및 과속방지턱과 같은 시설과의 접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재료의 특성에 불확실성이 적은 강재를 이용한 축관 및 강관으로 명확한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확보하고,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통한 원가 절감을 꾀하며, 장치의 굴절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하고,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는,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 사이에 충격 흡수부(300)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지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에 전면 소켓(12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는 배면 프레임(210)에 배면 소켓(2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배면 소켓(220)는 일측에서부터 대경부(221), 축관부(222) 및 일정한 길이의 소경부(223)가 차례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도록 충격 흡수강관(3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충격부(1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이 상기 배면 소켓(220)의 축관부(222) 및 소경부(223)를 관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131)(1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배면 플랜지(231)(23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가이드 몸체(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공(311)(312)이 형성되어지고,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각각 상기 가이드 공(311)(3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결합되어지고,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일측 단부가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플랜지(131)(1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플랜지(231)(2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와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전면 플랜지(131)(132)와 배면 플랜지(231)(232)에 각각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의 상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는 가이드 몸체(310) 내부에 고정되도록 회동 방지구(333)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며, 상기 배면 가이드 바(342a)(342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충격 흡수강관(320)은 제1강관(321)과 제2강관(322) 및 연결 소켓(32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323)은 상기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되, 대경부(323a) 및 축관부(323b)가 차례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강관(32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대경부(323a)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강관(3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전면 커버(14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프레임(210)의 상부와 양 측면을 에워싸도록 배면 커버(24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사이드 커버(40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400)는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는 중심에 커버 힌지(411)(421)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힌지(411)(4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지고, 상기 제1 사이드 커버(4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커버(4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중간 프레임(350)이 구비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중심에 가이드 몸체(3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 및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양 단부 사이에는 각각 사이드 바(50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바(500)는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11)(5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5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바(5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는 충격 흡수강관과 대경부 및 축관부가 차례로 형성되어진 배면 소켓을 이용하여 재료의 특성에 불확실성이 적은 강재를 이용한 축관 및 강관으로 명확한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소켓을 이용하여 다중 축관 구조를 형성하면,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강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충격 흡수강관을 형성하는바,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통한 원가 절감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충격 흡수부는 전면 및 배면 가이드 바와 슬라이딩 바를 이용하여 장치의 굴절이 가능하여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종래의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전과 후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 전과 후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전과 후의 충격 흡수부의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충격 흡수 메카니즘과 본 발명의 충격 흡수장치에 따른 충격 흡수 메카니즘을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 흡수부의 슬라이딩 바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충격 흡수부의 주요 재질이 플라스틱이나 고무로 구성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물성이 변화되고, 이로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이 불분명하여 필요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비효율성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충격 흡수장치의 원가가 높아 보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차량에 장치가 일체화로 부착된 경우가 많아 공사구간까지 이동하면서 협소한 도로 및 과속방지턱과 같은 시설과 접촉이 발생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 사이에 충격 흡수부(300)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진다.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에 전면 소켓(120)이 구비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관과 수직관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충돌 차량의 표면적과 대응되도록 충분한 면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소켓(120)은 충돌 하중이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충격 흡수강관(320)이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면 소켓(12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 결합함에 있어서,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되도록 플랜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면 지지부(200)는 배면 프레임(210)에 배면 소켓(220)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배면 프레임(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평관과 수직관을 서로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면 프레임(210)도 상기 전면 프레임(110)과 동일하거나 더 넓은 표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프레임(210)의 배면에는 작업차량과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을 구성할 수 있으며,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수단으로 H 형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충격 흡수부(300)가 충격 흡수 메커니즘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도록 상기 배면 소켓(200)은 상기 전면 소켓(120)의 중심축과 동일한 위치에 배면 소켓(220)을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면 소켓(220)는 일측에서부터 대경부(221) 및 축관부(222)가 차례로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배면 소켓(220) 중공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축관부(222)에 의하여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로써, 후술할 충격 흡수강관(320)이 충돌 하중에 의하여 이동시, 상기 축관부(222)를 관통하여,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면 소켓(220)은 축관부(222)의 타측에 소경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경부(223)의 길이만큼 보다 적극적인 충돌 하중의 흡수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종래의 일반적인 충격 흡수장치는 충돌 시간에 따라 흡수하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충격 흡수장치는 재료의 특성에 불확실성이 적은 강관을 이용하여 명확한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도록 충격 흡수강관(320)이 구비되어진다.
상기 가이드 몸체(310)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나,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이 관통되도록 하여, 차량 충돌시 상기 충격 흡수강관의 이동방향이 강관의 축 방향이 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정면 충돌이 아닌 측방향 충돌에도,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이 굴절되지 않도록 하여, 다양한 방향의 충돌 하중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충격부(1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이 상기 배면 소켓(220)을 관통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로써, 효과적인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재를 재료로 사용하여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을 형성하는바, 재료 사용의 효율성을 통한 원가 절감을 꾀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131)(1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배면 플랜지(231)(232)가 형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 및 배면 플랜지(231)(232)는 후술할 힌지 볼트(B)가 체결될 수 있도록 상호 마주보는 두 면으로 구성되어지고, 체결공(H)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가이드 몸체(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공(311)(312)이 형성되어지고,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각각 상기 가이드 공(311)(3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결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일측 단부가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충격 흡수부(310)의 가이드 몸체(310)가 상하,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와 배면 가이드 바(342a)(342b)가 상기 슬라이딩 바(331)(33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지고, 슬라이딩 바(331)(332)는 상기 가이드 공(311)(312)을 따라 상호 대칭되도록 변위하게 된다. 이로써, 전면 충격부(100)에 가해지는 충돌 하중에도 불구하고, 충격 흡수강관(320)의 변위를 축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플랜지(131)(1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플랜지(231)(2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와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전면 플랜지(131)(132)와 배면 플랜지(231)(232)에 각각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의 상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와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를 상하로 한 쌍이 되도록 구성하여, 충격 흡수부(3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는 가이드 몸체(310) 내부에 고정되도록 회동 방지구(333)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방지구(333)는 상기 가이드 몸체(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바(331)(332)가 회동하여, 전면 가이드 바(341a)(341b) 및 배면 가이드 바(342a)(342b)의 결속이 풀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슬라이딩 바(331)(332)가 충돌 하중에 의하여 가이드 몸체(310)의 내부에서 절곡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가이드 바(342a)(342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충격 흡수강관(320)을 전면 소켓(120) 및 배면 소켓(220)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 및 배면 가이드 바(342a)(342b)가 상기 슬라이딩 바(331)(332)를 중심으로 자연스럽게 회동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차량의 이동간에는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를 분리하여, 충격 흡수부(300)는 전면 가이드 바(341a)(341b) 및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를 회동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바, 작업차량의 이동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충격 흡수강관(320)은 제1강관(321)과 제2강관(322)이 연결 소켓(32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323)은 상기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되, 대경부(323a) 및 축관부(323b)가 차례로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 소켓(323)은 축관부(323b)의 타측에 소경부(323c)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경부(323c)의 길이만큼 보다 적극적인 충돌 하중의 흡수가 가능하다.
상기 연결 소켓(323)을 기준으로 다중 관 구조를 형성하면, 보다 충격 흡수기능이 높은 충격 흡수강관(3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연결 소켓(323)을 복수 개 구비하여, 다중 관 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이로써, 설계조건을 변경하여 유연하게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소켓(323)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지되, 축관부(323b)에 의하여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이로써, 후술할 제1강관(321)이 충돌 하중에 의하여 이동시, 상기 축관부(323b) 및 소경부(323c)를 관통하여,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 제어하게 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강관(32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대경부(323a)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강관(3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강관(3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소켓(323)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배면 소켓(220)을 관통하여 제2강관(322)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2강관(322)도 상기 배면 소켓(220)을 관통하는 바, 보다 우수한 효과를 지니는 다중 관으로 구성된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전면 커버(14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프레임(210)의 상부와 양 측면을 에워싸도록 배면 커버(24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커버(140)는 작업 구간에 있는 차량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경고등을 부착할 수 있으며, 안전 표시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140)와 배면 커버(240)는 전면 프레임(110) 및 배면 프레임(210)이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사이드 커버(40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400)는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의 측면을 에워싸서 시각적인 가림막 기능을 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커버(400)는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는 중심에 커버 힌지(411)(421)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힌지(411)(4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지고, 상기 제1 사이드 커버(4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커버(4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전면 가이드 바(341a)(341b) 및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를 회동하여 부피를 줄일 때, 상기 제1 사이드 커버(410) 및 제2 사이드 커버(420)가 함께 절첩되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중간 프레임(350)이 구비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중심에 가이드 몸체(3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실시예의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와 전면 가이드 바(341a)(341b) 및 후면 가이드 바(342a)(342b)는 불요한 바, 구조적으로 간이해 지는바, 보다 경제적인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충격부(100) 및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양 단부 사이에는 각각 사이드 바(500)가 구비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충돌 하중이 발생시 충격 흡수부(300)가 충돌 하중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 바(500)가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바, 보다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바(500)는 충격 흡수부(3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어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 바(500)는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11)(5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5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바(5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2 사이드 바(510)(520)의 절곡부(511)(521)는 충격 흡수부(300)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제1,2 사이드 바(510)(520)가 절곡되는 방향을 안내하여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TMA: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100:전면 충격부 110:전면 프레임
120:전면 소켓 131,132:전면 플랜지
140:전면 커버 200:배면 지지부
210:배면 프레임 220:배면 소켓
221:대경부 222:축관부
223:소경부 231,232:배면 플랜지
240:배면 커버 300:충격 흡수부
310:가이드 몸체 311,312:가이드 공
320:충격 흡수강관 321:제1강관
322:제2강관 323:연결 소켓
323a:대경부 323b:축관부
323c:소경부 331,332:슬라이딩 바
333:회동 방지구 341a,341b:전면 가이드 바
342a,342b:배면 가이드 바 350: 중간 프레임
400:사이드 커버 410:제1 사이드 커버
420:제2 사이드 커버 411,421:커버 힌지
500:사이드 바 510:제1 사이드 바
520:제2 사이드 바 511,521:절곡부

Claims (12)

  1.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 사이에 충격 흡수부(300)가 구비되어 형성되어지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에 전면 소켓(120)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는 배면 프레임(210)에 배면 소켓(2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배면 소켓(220)은 일측에서부터 대경부(221), 축관부(222) 및 일정한 길이의 소경부(223)가 차례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도록 충격 흡수강관(3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전면 충격부(1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충격 흡수강관(320)이 상기 배면 소켓(220)의 축관부(222) 및 소경부(223)를 관통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전면 플랜지(131)(1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배면 플랜지(231)(23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가이드 몸체(310)는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공(311)(312)이 형성되어지고,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각각 상기 가이드 공(311)(312)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지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결합되어지고,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일측 단부가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에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호 엇갈리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플랜지(131)(1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플랜지(231)(232)는 각각 상하로 한 쌍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와 배면 가이드 바(342a)(342b)는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일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전면 플랜지(131)(132)와 배면 플랜지(231)(232)에 각각 회동되도록 체결되어지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의 상하 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는 가이드 몸체(310) 내부에 고정되도록 회동 방지구(333)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전면 가이드 바(341a)(341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전면 플랜지(131)(1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며,
    상기 배면 가이드 바(342a)(342b)의 양 단부에는 체결공(H)이 형성되어 일측 체결공(H)은 각각 상기 배면 플랜지(231)(232)와 힌지 볼트(B)를 매개로 체결되어지고, 타측 체결공(H)은 각각 한 쌍의 슬라이딩 바(331)(332)가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300)의 충격 흡수강관(320)은 제1강관(321)과 제2강관(322) 및 연결 소켓(323)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323)은 상기 가이드 몸체(310)를 관통하되, 대경부(323a) 및 축관부(323b)가 차례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제1강관(321)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전면 소켓(120)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대경부(323a)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강관(322)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결 소켓(323)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상기 배면 소켓(220)의 대경부(221) 내측에 끼움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는 전면 프레임(11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전면 커버(14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배면 프레임(210)의 상부와 양 측면을 에워싸도록 배면 커버(24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와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에는 각각 사이드 커버(40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400)는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커버(410)와 제2 사이드 커버(420)는 중심에 커버 힌지(411)(421)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힌지(411)(42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지고, 상기 제1 사이드 커버(4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커버(4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 몸체(31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300)는 중간 프레임(350)이 구비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중심에 가이드 몸체(31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충격부(100) 및 배면 지지부(200)의 양 단부와 상기 중간 프레임(350)의 양 단부 사이에는 각각 사이드 바(500)가 구비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500)는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로 구성되어지되, 제1 사이드 바(510)와 제2 사이드 바(520)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11)(5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사이드 바(5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전면 충격부(1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 사이드 바(5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배면 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고, 타측 단부는 중간 프레임(35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1020150061343A 2015-04-30 2015-04-30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10166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43A KR101666139B1 (ko) 2015-04-30 2015-04-30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343A KR101666139B1 (ko) 2015-04-30 2015-04-30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139B1 true KR101666139B1 (ko) 2016-10-24

Family

ID=5725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343A KR101666139B1 (ko) 2015-04-30 2015-04-30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17B1 (ko) 2019-09-24 2020-02-07 (주)코트라스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2075007B1 (ko) * 2019-11-06 2020-02-10 (주)로드키네마틱스 차량 탈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2150107B1 (ko) 2020-02-05 2020-08-31 지영완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KR102175342B1 (ko) 2020-05-22 2020-11-06 주식회사 코트라스 트럭 탈부착형 충격흡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733A (ja) * 1994-01-20 1995-08-08 Kunihiro Hasegawa 車両安全機構
US6203079B1 (en) * 1997-11-24 2001-03-20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amped crash attenuator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110006446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포스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용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5733A (ja) * 1994-01-20 1995-08-08 Kunihiro Hasegawa 車両安全機構
US6203079B1 (en) * 1997-11-24 2001-03-20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Damped crash attenuator
KR100869344B1 (ko) *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110006446A (ko) * 2009-07-14 2011-01-20 주식회사 포스코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용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717B1 (ko) 2019-09-24 2020-02-07 (주)코트라스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2075007B1 (ko) * 2019-11-06 2020-02-10 (주)로드키네마틱스 차량 탈부착형 충격흡수장치
KR102150107B1 (ko) 2020-02-05 2020-08-31 지영완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KR102175342B1 (ko) 2020-05-22 2020-11-06 주식회사 코트라스 트럭 탈부착형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139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100500653B1 (ko)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
EP3002824B1 (en) Breakaway mast
CN211228274U (zh) 一种高速公路减振防护栏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KR101219272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가드레일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AU2017200567B2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CN108487136B (zh) 一种可缩进的吸能道路护栏
CN103874802A (zh) 用于街路设施竖直构件的活动式底座的说明书
KR101735716B1 (ko) 교통표지판용 완충장치
CN214939671U (zh) 一种道路桥梁用防护栏杆
KR102379509B1 (ko) 차량용 충격흡수부 장착 장치
KR102244715B1 (ko)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CN210031496U (zh) 一种多重吸能缓撞的道路桥梁钢护栏
KR101422598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N202847636U (zh) 车辆行人小腿保护装置
CN107265362B (zh) 一种高空作业平台防护结构
KR20170032007A (ko) 유체 방호벽
KR200268107Y1 (ko) 도로용 안전 방호 휀스
KR10118142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CN211713805U (zh) 一种市政道路用防撞栏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0228283Y1 (ko) 도로의 차량통행 높이제한틀 충격흡수 안전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