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107B1 -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107B1
KR102150107B1 KR1020200013903A KR20200013903A KR102150107B1 KR 102150107 B1 KR102150107 B1 KR 102150107B1 KR 1020200013903 A KR1020200013903 A KR 1020200013903A KR 20200013903 A KR20200013903 A KR 20200013903A KR 102150107 B1 KR102150107 B1 KR 10215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pact
impact support
unit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완
Original Assignee
지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영완 filed Critical 지영완
Priority to KR102020001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6Combinations of yieldable mounting means of different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격이동부와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강재로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완충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차량의 후면에 장착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과 같은 외부 충격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시킬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
본 발명은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충격이동부와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되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강재로 구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완충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차량의 후면에 장착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과 같은 외부 충격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완충시킬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로의 신규공사는 그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반면, 교량보수, 사고처리, 갓길 및 중앙 분리대 청소, 노면 보수 등 유지보수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어, 도로의 유지보수 도중에 발생하는 차량 충돌 문제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를 이용한 대응책이 제시되고 있는데,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는 도로 및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차선을 통제하고, 공사구간에 접근하는 차량의 충돌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외국의 경우, 도로의 유지 관리시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는 아직 도입의 초기단계로 그 활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에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해양부, 2014)에서 공사구간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TMA)의 기준을 제정하여 충돌시험을 통한 성능검증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등 그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984호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508호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3108호 '에어 배관과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트럭부착형 충격 흡수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6383호 '충돌에너지흡수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레일차량'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6139호 등이 있다.
하지만, 상술된 선행문헌들에 기재된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들은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물성 변화로 기능이 저하되거나, 에너지 소산 메커니즘이 불분명하여 필요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비효율성 및 충격 흡수장치의 원가가 높아 보급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의 특성에 불확실성이 적은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충격흡수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666139호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 노력결과 작업차량의 후면에 장착되어 외부 충격체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 완충시킬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함으로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럭 등 작업차량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구조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고, 다른 차량의 충돌시에 충분한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작업차량의 종류에 따라 충격흡수 성능을 고려하여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 설치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구조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목적 역시 당연히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 후면이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배면고정부; 상기 배면고정부의 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면고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1차충격지지부;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의 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외측면프레임부; 상기 1차충격지지부의 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충격이동부; 및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충격이동부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를 연결하는 봉형연결부;를 포함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의 후면에는 상기 작업차량에 탈부착가능하게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재가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1개 이상 설치되는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중간이격공간 중 하나 이상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며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측면프레임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1개 설치된 경우,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및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1개 설치된 경우,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면이격공간에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를 연결하는 봉형후면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및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과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상기 내부측면프레임부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배면고정부에 인접한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제1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후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중간이격공간마다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인접한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중간이격공간 및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상기 내부측면프레임부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배면고정부에 인접한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제1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후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중간이격공간마다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인접한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2개 이상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이격공간마다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봉형후면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봉부재는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에 인접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쐐기형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인접한 제1단부는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에 인접한 제2단부는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에 상기 제1단부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한 상태로 임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쐐기형 봉부재가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관통구를 통과해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충격이동부가 상기 1차충격지지부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상기 후면지지부를 향해 이동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의 임시고정은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전면측 관통구에 인접한 부분에 끼워진 감속링복합체부재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후면측 관통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속링복합체부재는 상기 제2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하의 크기를 갖는 2개 이상의 감속링 및 상기 제1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상의 크기를 갖고 상기 감속링 사이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끼움방지링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프레임부, 내부후측면프레임부 및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에 포함되는 상기 이중파이프연결부재는 사각파이프의 내부공간에 원형파이프가 삽입된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보다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가 더 긴 구조인 경우,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심부에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용접 고정되고 상기 사각파이프의 일단부에서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상기 원형파이프의 일단부가 용접 고정되며, 상기 사각파이프의 타단부에서 상기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상기 원형파이프의 타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사각파이프 내부에서 상기 원형파이프가 휘어진 형상을 이룬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는 상기 다른 측면에서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고정된 상기 일측면을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V자형을 이루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다른 측면을 제외한 2개의 측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내부후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내부후측면프레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 사이의 간격은 상기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사이의 간격보다 넓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 중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빈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럭 등 작업차량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구조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고, 다른 차량의 충돌시에 충분한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작업차량의 종류에 따라 충격흡수 성능을 고려하여 구조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 설치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c는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포함되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파이프연결부재의 결합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포함되는 일 구현예에 따른 봉형연결부 및 봉형후면연결부의 충격 전 결합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도 6c는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봉형 연결부 및 봉형후면연결부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가 작업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발명의 설명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특히,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이 사용되는 경우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트럭 등 작업차량의 후면에 탈부착되는 구조를 통해 설치가 용이하고, 다른 차량의 충돌시에 충분한 충격흡수 성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작업차량의 종류에 따라 충격흡수 성능을 고려하여 구조를 변경할 수 있고,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리 설치가 가능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국내의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의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는 그 후면이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장방형상 배면고정부; 상기 배면고정부의 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면고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1차충격지지부;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의 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외측면프레임부; 상기 1차충격지지부의 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충격이동부; 및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충격이동부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를 연결하는 봉형연결부;를 포함한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1c는 충격 후 평면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2c 및 도 2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전 평면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포함되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이중파이프연결부재의 결합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에 포함되는 일 구현예에 따른 봉형연결부 및 봉형후면연결부의 충격 전 결합사시도 및 분리사시도이고, 도 6c는 충격 후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봉형 연결부 및 봉형후면연결부의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다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가 작업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및 외측면프레임부(210)를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한 경우 후술하는 구조의 보조지지부(160)가 1차충격지지부(12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90)에 더 설치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배면고정부(110)는 그 후면이 작업차량에 장착되고 그 전면측으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결합되어 충격흡수장치(10)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배면고정부(110)이 후면에는 작업차량에 탈부착가능하게 충격흡수장치(1)가 장착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1차충격지지부(120)는 배면고정부(110)의 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면고정부(11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전면에 이격 설치된 충격이동부(130)에 충격이 가해질 때 1차적으로 가해진 충격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배면고정부(110)와 동일한 재질이고 동일하거나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외측면프레임부(210)는 배면고정부(110) 및 1차충격지지부(120)를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배면고정부(110) 및 1차충격지지부(120)의 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면고정부(110) 및 1차충격지지부(120)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가 두 쌍으로 구성된 경우,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장방형 평판 즉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의 공간에 그 가장자리 측 즉 4개의 꼭지점에 인접하게 4개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가 각각 상부 및 하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충격이동부(130)는 작업차량에 장착된 충격흡수장치(1)에서 가장 작업차량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작업차량에 접근하는 충격체와 가장 먼저 부딪혀서 충격이 제일 처음 가해지는 구성요소로서, 1차충격지지부(120)의 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1차충격지지부(12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1차충격지지부(120)와 동일한 재질이고 길이만 더 짧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 및 폭(즉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 모두 작은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봉형연결부(140)는 1차충격지지부(120)와 충격이동부(130)를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1차충격지지부(120)와 충격이동부(130)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1차충격지지부(120)와 충격이동부(130)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봉부재(141)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봉부재(141)가 두 쌍으로 구성된 경우,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장방형 평판 즉 1차충격지지부(120)와 충격이동부(130) 사이의 공간에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충격이동부(130)를 기준으로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쐐기형봉부재(141)는 그 중심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한 쌍의 쐐기형봉부재(141)는 상부에 형성된 한 쌍보다 그 이격간격을 넓혀서 각각 그 하부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도록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외부의 충격체가 충격이동부(130)와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면 도 1c와 같이 충격이동부(130)가 봉형연결부(140)를 통해 1차충격을 흡수하면서 1차충격지지부(12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후속충격에 의해 외부프레임부(210)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충격이동부(130), 1차충격지지부(120)가 배면고정부(110)측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외측면프레임부(210), 중간충격지지부(150), 내부측면프레임부(220) 및 보조지지부(16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지지부(160)를 제외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및 외측면프레임부(210)는 제1실시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중간충격지지부(150)는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90)에 설치되고, 충격이동부(130)를 통해 1차충격지지부(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중간에서 흡수하여 직접적으로 배면고정부(110)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배면고정부(110)와 재질은 동일하지만 크기는 더 작은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여기서 중간충격지지부(150)는 배면고정부(110)보다 길이만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 및 폭 모두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90)은 중간충격지지부(150)에 의해 분할되어 1차충격지지부(120)와 중간충격지지부(150)사이의 전방이격공간(192) 및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사이의 후방이격공간(191)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이격공간(190) 내부에 설치되는 중간충격지지부(150)의 설치간격을 조절하여 전방이격공간(192) 및 후방이격공간(19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전방이격공간(192) 및 후방이격공간(19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측면프레임부(220)는 배면고정부(110) 및 중간충격지지부(150)를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191)에서 중간충격지지부(150)를 기준으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면고정부(110) 및 중간충격지지부(150)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측면프레임부(220)에 포함된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는 외부측면프레임부(210)에 포함된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의 설치위치 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조지지부(160)는 충격이동부(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1차충격지지부(120), 중간충격지지부(150) 및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설치되어 가해진 충격의 흡수를 보조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1차충격지지부(120)와 중간충격지지부(150)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192) 및 후방이격공간(191) 각각에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를 포함한다.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는 그 길이가 전방이격공간(192) 및/또는 후방이격공간(19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좁은 폭을 갖는 2개 이상의 판상형 부재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서 그 단면이 "
Figure 112020012273731-pat00001
"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판상형 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보조지지부재(161)는 전방이격공간(192)의 전후면을 이루는 1차충격지지부(120)와 중간충격지지부(150)에서 그 전면을 기준으로 그 중심부의 상부 및 하부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된 상태에서 그 수직단면은 "
Figure 112020012273731-pat00002
"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좌우보조지지부재(162)는 그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대향되게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된 상태에서 그 수평단면이 "
Figure 112020012273731-pat00003
"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는 후방이격공간(191)에도 전방이격공간(192)과 동일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외부의 충격체가 충격이동부(130)와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이동부(130)가 봉형연결부(140)를 통해 1차충격을 흡수하면서 1차충격지지부(12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후속충격에 의해 1차충격지지부(120)와 중간충격지지부(150)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외부프레임부(210)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충격이동부(130) 및 1차충격지지부(120)가 중간충격지지부(150)로 접근하게 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내부측면프레임부(220)가 변형되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서 배면고정부(110)측으로 중간충격지지부(150), 1차충격지지부(120) 및 충격이동부(130)가 이동하는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외측면프레임부(210), 중간충격지지부(150), 내부측면프레임부(220), 후면지지부(180), 봉형후면연결부(170) 및 보조지지부(16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지지부(160)를 제외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외측면프레임부(210), 중간충격지지부(150), 내부측면프레임부(220) 및 보조지지부(160)의 일부구성은 상술된 제2실시예와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후면지지부(180)와 봉형후면연결부를 더 설치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보다 강화한 것이다.
후면지지부(180)는 중간충격지지부(150)의 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봉형후면연결부(170)로 연결되어 중간충격지지부(15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된 후면이격공간(191)에 중간충격지지부(150)와 평행하게 설치되는데,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동일한 재질이고 길이만 더 짧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길이 및 폭 모두 작은 크기를 갖는 장방형상 평판일 수 있다.
봉형후면연결부(170)는 중간충격지지부(150)와 후면지지부(180)를 충격이 흡수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중간충격지지부(150)와 후면지지부(180)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중간충격지지부(150)와 후면지지부(180)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봉부재(171)를 1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봉형후면연결부(170)에 포함된 쐐기형봉부재(171)의 구조 및 설치위치는 봉형연결부(140)에 포함된 쐐기형봉부재(14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지지부(160)의 구조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의 구조 및 각 지지부의 설치위치는 동일하나, 설치공간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살펴본다. 즉, 전방이격공간(192)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후방이격공간(191)의 경우 중간충격지지부(150)와 배면고정부(110)가 아니라, 후면지지부(18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의 이격공간에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가 상술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외부의 충격체가 충격이동부(130)와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이동부(130)가 봉형연결부(140)를 통해 1차충격을 흡수하면서 1차충격지지부(12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후속충격에 의해 1차충격지지부(120)와 중간충격지지부(150)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외부프레임부(210)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충격이동부(130) 및 1차충격지지부(120)가 중간충격지지부(150)로 접근하게 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내부측면프레임부(220)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동시에 중간충격지지부(150)가 봉형후면연결부(170)를 통해 흡수하면서 후면지지부(18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충격은 후면지지부(180)와 배면고정부(110)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가 변형되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서 배면고정부(110)측으로 후면지지부(180), 중간충격지지부(150), 1차충격지지부(120) 및 충격이동부(130)가 이동하는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외측면프레임부(210),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150), 내부측면프레임부(220) 및 보조지지부(16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지지부(160)를 제외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비교하여 중간충격지지부(150)를 2개 포함하는 점에서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중간충격지지부(150)가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90)에 2개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고정부(110)와 인접한 위치에 제1중간충격지지부(151)가 설치되고 1차충격지지부(120)에 인접한 위치에 제2중간충격지지부(15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충격지지부(150)가 다수 개인 경우, 그 크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높이는 동일하지만 배면고정부(110)에 가까울수록 그 길이가 길고 멀어질수록 그 길이가 더 짧아지는 형태로 구현되므로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의 크기가 항상 제2중간충격지지부(15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에 중간충격지지부(150)가 다수 개 형성되면, 이들 사이의 이격공간(190) 또한 1차충격지지부(120)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사이의 전방이격공간(192), 제2중간충격지지부(152)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사이의 중간이격공간(193)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110)사이의 후방이격공간(191)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일 구현예로서 전방이격공간(192), 중간이격공간(193) 및 후방이격공간(191)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충격흡수구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내부측면프레임부(220)는 배면고정부(110)와 중간충격지지부(15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중간충격지지부(150)가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형성되면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와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는 배면고정부(110)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191)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면고정부(110)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151)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를 포함한다.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즉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중간이격공간(193)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중간이격공간(193)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즉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지지부(170)의 경우 전방이격공간(192) 및 후방이격공간(191)이외에 중간이격공간(193)까지 더 설치되는 점만 상이할 뿐 제2실시예와 그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3실시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의 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체가 충격이동부(130)와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이동부(130)가 봉형연결부(140)를 통해 1차충격을 흡수하면서 1차충격지지부(12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후속충격에 의해 1차충격지지부(120)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외부프레임부(210)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충격이동부(130) 및 1차충격지지부(120)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로 접근하게 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이 제2중간충격지지부(152)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가 변형되면서 흡수되고, 아직 흡수되지 않은 충격에 의해 제1중간충격지지부9151)와 배면고정부(110)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가 변형되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서 배면고정부(110)측으로 제1중간충격지지부(151),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1차충격지지부(120) 및 충격이동부(130)가 이동하는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b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배면고정부(110), 1차충격지지부(120), 충격이동부(130), 봉형연결부(140), 외측면프레임부(210),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150), 내부측면프레임부(220), 2개의 후면지지부(180), 2개의 봉형후면연결부(170) 및 보조지지부(160)를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조지지부(160)를 제외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여기서, 제3실시예의 변형예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와 비교하여 중간충격지지부(150)를 2개 포함하는 구성으로 인해, 후면지지부(180) 및 봉형후면연결부(170)도 2개 형성되는 점에서만 상이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의 변형예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1개 설치된 중간충격지지부(150)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2개로 설치하고,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배면고정부(110) 사이뿐만 아니라 제2중간충격지지부(152)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 사이에도 각각 후면지지부(180)와 봉형후면연결부(170)를 더 설치함으로써 충격흡수 성능을 보다 강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개수가 상이할 뿐 기본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지지부(160)의 구조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의 구조 및 각 지지부의 설치위치는 동일하나, 설치공간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살펴본다. 즉, 전방이격공간(192)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중간이격공간(193)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가 아니라 후면지지부(180)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 사이의 이격공간에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가 상술된 바와 같이 설치되고, 후방이격공간(191)은 제1중간충격지지부(151)와 배면고정부(110)가 아니라 후면지지부(180)와 배면고정부(110) 사이의 이격공간에 상하보조지지부재(161) 및 좌우보조지지부재(162)가 상술된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3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데, 외부의 충격체가 충격이동부(130)와 부딪혀서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이동부(130)가 봉형연결부(140)를 통해 1차충격을 흡수하면서 1차충격지지부(12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후속충격에 의해 1차충격지지부(120)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 및 외부프레임부(210)에 변형이 가해지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충격이동부(130) 및 1차충격지지부(120)가 제2중간충격지지부(152)로 접근하게 되며, 이러한 순차적인 이동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동시에 제2중간충격지지부(152)가 봉형후면연결부(170)를 통해 흡수하면서 후면지지부(180)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해서 가해지는 충격은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동시에 제1중간충격지지부(151)가 봉형후면연결부(170)를 통해 흡수하면서 후면지지부(180)에 접근하게 되며, 후면지지부(180)와 배면고정부(110)사이에 설치된 보조지지부(160)가 변형되면서 흡수되어 최종적으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서 배면고정부(110)측으로 후면지지부(180), 제1중간충격지지부(151), 후면지지부(180), 제2중간충격지지부(152), 1차충격지지부(120) 및 충격이동부(130)가 이동하는 구조를 통해 외부 충격체에 의해 가해진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제3실시예의 구조와 비교하여 충격흡수성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중간충격지지부를 2개가 아니라 3개로 구성하면서 그에 따라 필요한 구성요소가 늘어났을 뿐 구체적인 구성요소의 구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 부품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필수 구성요소인 측면프레임부(200)에 포함된 외측면프레임부(210) 및 내부측면프레임부(220)를 구성하는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230a)의 내부공간에 원형파이프(230b)가 삽입된 구조로서, 하나의 파이프가 아니라 2개의 파이프 즉 사각파이프(230a)와 원형파이프(230b)를 결합함으로써 이중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서 특히, 사각파이프(230a)의 길이보다 원형파이프(230b)의 길이가 더 길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삽입된 원형파이프(230b)의 길이가 하우징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230a)의 길이보다 길게 되면 원형파이프(230b)가 사각파이프(230a) 내부에 휘어져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일 구현예로서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는 사각파이프(230a)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심부에 원형파이프(230a)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용접 고정되고 사각파이프(230a)의 일단부에서 일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원형파이프(230b)의 일단부가 용접 고정되며, 사각파이프(230a)의 타단부에서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원형파이프(230b)의 타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사각파이프(230a)의 내부에서 원형파이프(230a)가 특정측면을 기준으로 활처럼 휘어진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가 사각파이프(230a)의 내부에 특정측면을 기준으로 활처럼 휘어진 원형파이프(230b)가 고정된 구조로 구성되면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의 설치위치에 따라 충격이 가해졌을 때 가해진 충격을 흡수해서 변형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데, 즉 원형파이프(230b)의 휘어진 방향으로 충격력이 더 가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충격흡수 제어구조를 좀 더 강화하기 위해,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에서 하우징을 구성하는 사각파이프(230a)의 구성을 변형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파이프(230a)의 4개 측면 중 원형파이프(230b)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고정된 일측면에 대향되는 다른 측면에서 일측면을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V자형을 이루는 절개부(231)를 3개의 측면에 걸쳐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부(231)가 형성되면 충격흡수장치(1)에 가해진 충격이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에 의해 흡수될 때 그 변형력이 원형파이프(230b)가 휘어진 방향으로 향하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사각파이프(230a)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다른 측면을 제외한 2개의 측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프레임부(210),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 및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에 포함된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의 구조는 동일하지만 그 길이는 연결거리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특히, 중간충격지지부(150)가 1개 이상 형성된 경우 외측면프레임부(210)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230) 사이의 간격은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230) 사이의 간격보다 넓고, 내부후측면프레임부(221)에 포함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 사이의 간격은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222)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230)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되어 배면고정부(110) 측으로 갈수록 충격흡수지지구조가 강화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의 필수 구성요소인 봉형연결부(140) 및 봉형후면연결부(170)에 포함된 쐐기봉부재(141/171)의 구조 및 작동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쐐기봉부재(141/171)는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인접한 단부에서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에 인접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쐐기형 구조를 형성한다. 쐐기봉부재(141/171)의 양단부 중 직경이 큰 제1단부 즉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인접한 단부는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직경이 작은 제2단부 즉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에 인접한 단부는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에 제1단부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 관통구(121/181)를 통과한 상태로 임시 고정되는 설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된 구조 및 설치구조를 갖는 쐐기봉부재(141/171)가 충격이동부(13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 및/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와 후면이동부(180) 사이에 다수개 포함되어 봉형연결부(140) 또는 봉형후면연결부(170)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봉부재(141/171)가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의 관통구(121/181)를 통과해서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충격이동부(130)가 1차충격지지부(120)를 향해 이동하거나 중간충격지지부(150)가 후면지지부(180)를 향해 이동하면서 가해진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쐐기봉부재(141/171)의 제2단부가 임시고정되는 설치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쐐기봉부재(141/171)의 제2단부의 임시고정은 제2단부 중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의 전면(120a/180a)측 관통구(121/181)에 인접한 부분에 끼워진 감속링복합체부재(142/172)와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의 후면(120b/180b)측 관통구(121/181)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속링복합체부재(142/172)는 쐐기봉부재(141/171)의 제2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하의 크기를 갖는 2개 이상의 감속링(142a/172a) 및 쐐기봉부재(141/171)의 제1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상의 크기를 갖고 감속링(142a/172a) 사이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끼움방지링(142b/17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속링(142a/172a)과 끼움방지링(142b/172b)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개의 독립된 구성요소로 형성된 후 쐐기봉부재(141/171)의 제2단부에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감속링복합체부재(142/172)를 형성할 수도 있다. 감속링(142a/172a)과 끼움방지링(142b/172b)의 재질은 일체형인 경우는 동일하지만 독립형인 경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만, 감속링(142a/172a)의 재질은 알루미늄과 같이 연성금속일 수 있다.
즉, 일 구현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봉부재(141/171)가 제1단부에서 제2단부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감소하는 구조의 철재봉구조인 경우, 쐐기봉부재(141/171)의 제1단부는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고정되고, 제2단부는 1차충격지지부(120) 또는 후면지지부(180)에 감속링복합체부재(142/172) 및 고정부재에 의해 임시고정된 상태에서, 충격이동부(130) 또는 중간충격지지부(150)에 충격이 가해지면 쐐기봉부재(141/171)가 감속링복합체부재(142/172)로 진입하게 되므로 감속링(142a/172a)의 내경이 강제로 확장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야만 소성변형과 마찰로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된 구성을 갖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충격흡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면고정부(110)와 1차충격지지부(1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90) 중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빈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격완충부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만 하면 그 재질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1)와 별개로 분리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포함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 :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10 : 배면고정부 111 : 브라켓부재
120 ; 1차충격지지부 120a/120b : 1차충격지지부의 전면/후면
121 ; 관통구
130 : 충격이동부 140 : 봉형연결부
141 : 쐐기형봉부재 142 : 감속링복합체부재
142a: 감속링 142b : 끼움방지링
150 : 중간충격지지부 151 : 제1중간충격지지부
152 : 제2중간충격지지부
160 : 보조지지부 161 : 상하보조지지부재
162 : 좌우보조지지부재 170 : 봉형후면연결부
171 : 쐐기형봉부재 172 : 감속링복합체부재
172a: 감속링 172b : 끼움방지링
180 : 후면지지부
181 : 관통구 190 : 이격공간
191 : 후방이격공간 192 : 전방이격공간
193 ; 중간이격공간 200 : 측면프레임부
210 : 외측면프레임부 220 : 내부측면프레임부
221 : 내부후측면프레임부 222 :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
230 ; 이중파이프연결부재
230a ; 사각파이프 230b : 원형파이프
231 : 절개부 232 : 관통구

Claims (18)

  1. 그 후면이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배면고정부;
    상기 배면고정부의 전면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배면고정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1차충격지지부;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의 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 및 1차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외측면프레임부;
    상기 1차충격지지부의 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충격이동부; 및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충격이동부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1차충격지지부 및 충격이동부를 연결하는 봉형연결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외측면프레임부, 내부후측면프레임부 및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에 포함되는 이중파이프연결부재는 사각파이프의 내부공간에 원형파이프가 삽입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의 후면에는 상기 작업차량에 탈부착가능하게 충격흡수장치가 장착될 수 있도록 브라켓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1개 이상 설치되는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중간이격공간 중 하나 이상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며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측면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1개 설치된 경우,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및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1개 설치된 경우,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면이격공간에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이격공간에서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를 연결하는 봉형후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및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과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상기 내부측면프레임부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배면고정부에 인접한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제1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후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중간이격공간마다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인접한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중간이격공간 및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경우,
    상기 내부측면프레임부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배면고정부에 인접한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배면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후방이격공간에서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배면고정부 및 제1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배면고정부와 제1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내부후측면프레임부재와 상기 중간이격공간마다 각각 그 양측 상하부 가장자리 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상기 중간이격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두 쌍 이상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2개의 중간충격지지부를 연결하는 1개 이상의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인접한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의 후면 중심부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평행하게 2개 이상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이격공간마다 그 중심부 측으로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 각각에 수직하고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쐐기형 봉부재가 포함되어 상기 중간충격지지부 및 후면지지부를 연결하는 다수의 봉형후면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전방이격공간, 상기 제1중간충격지지부와 상기 제2중간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중간이격공간 및 상기 후방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전후면의 상부 및 하부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상하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전방이격공간,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사이의 이격공간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 사이의 이격공간 각각에서 그 좌우면의 중심부에 서로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상기 1차충격지지부와 제2중간충격지지부, 상기 후면지지부와 중간충격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와 배면고정부에 각각 2개 이상 설치되는 좌우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봉부재는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중간충격지지부에 인접한 단부에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후면지지부에 인접한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쐐기형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인접한 제1단부는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에 인접한 제2단부는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에 상기 제1단부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 관통구를 통과한 상태로 임시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충격이동부 또는 상기 중간충격지지부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쐐기형 봉부재가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관통구를 통과해서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충격이동부가 상기 1차충격지지부를 향해 이동하거나 상기 중간충격지지부가 상기 후면지지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부의 임시고정은 상기 제2단부 중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전면측 관통구에 인접한 부분에 끼워진 감속링복합체부재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또는 상기 후면지지부의 후면측 관통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링복합체부재는 상기 제2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하의 크기를 갖는 2개 이상의 감속링 및 상기 제1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직경 이상의 크기를 갖고 상기 감속링 사이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끼움방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보다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가 더 긴 구조인 경우,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면 중심부에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용접 고정되고 상기 사각파이프의 일단부에서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상기 원형파이프의 일단부가 용접 고정되며, 상기 사각파이프의 타단부에서 상기 다른 측면에 인접하게 상기 원형파이프의 타단부가 용접 고정되어 상기 사각파이프 내부에서 상기 원형파이프가 휘어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는 상기 다른 측면에서 상기 원형파이프의 길이방향 중심부가 고정된 상기 일측면을 향해 좁아지는 형태로 V자형을 이루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파이프의 길이방향 일측면과 다른 측면을 제외한 2개의 측면에 다수의 관통구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연결부재 사이의 간격은 내부후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 사이의 간격보다 넓고, 상기 내부후측면프레임부에 포함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 사이의 간격은 내부중간측면프레임부에서 지면에 평행한 동일평면상에 설치된 한 쌍의 이중파이프부재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고정부와 상기 1차충격지지부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 중 다른 구성요소가 설치되지 않은 빈 공간에 삽입되는 충격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KR1020200013903A 2020-02-05 2020-02-05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KR10215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903A KR102150107B1 (ko) 2020-02-05 2020-02-05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903A KR102150107B1 (ko) 2020-02-05 2020-02-05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107B1 true KR102150107B1 (ko) 2020-08-31

Family

ID=7223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903A KR102150107B1 (ko) 2020-02-05 2020-02-05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1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27B1 (ko) * 2020-10-30 2022-03-25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프레임
KR102541632B1 (ko) 2023-03-24 2023-06-13 (주)경안테크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128A (ja) * 2005-12-15 2007-06-28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衝撃吸収構造
KR101252508B1 (ko) * 2011-12-28 2013-04-0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
KR101666139B1 (ko) 2015-04-30 2016-10-24 (주)로드키네마틱스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102074717B1 (ko) * 2019-09-24 2020-02-07 (주)코트라스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1128A (ja) * 2005-12-15 2007-06-28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鉄道車両用衝撃吸収構造
KR101252508B1 (ko) * 2011-12-28 2013-04-0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트레일러
KR101666139B1 (ko) 2015-04-30 2016-10-24 (주)로드키네마틱스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102074717B1 (ko) * 2019-09-24 2020-02-07 (주)코트라스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흡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27B1 (ko) * 2020-10-30 2022-03-25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프레임
KR102541632B1 (ko) 2023-03-24 2023-06-13 (주)경안테크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1076B1 (en) Vehicle impact attenuator
KR102150107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흡수장치
US10006179B2 (en) Crash cushion
KR102237959B1 (ko) 자동차의 외장 패널
KR101469749B1 (ko)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101601428B1 (ko) 차량용 크래쉬박스
US7037029B2 (en) Crash cushion with deflector skin
CN103180194B (zh) 铁道车辆的排障装置
US20050211520A1 (en) Energy absorbing device having notches and pre-bent sections
CN103158652A (zh) 用于车辆的缓冲梁组件
US20210046889A1 (en) Bumper structural body
WO2016148635A1 (en) Progressive crash box member and its arrangement
CN201597538U (zh) 汽车防撞装置以及包括该防撞装置的汽车
US20020154946A1 (en) Energy-absorbing assembly for roadside impact attenuator
CN109911411B (zh) 一种用于防护的柔性挡板
KR101351197B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장치
US20070252397A1 (en) Bumper-beam for an automobile
CN112065915A (zh) 一种基于非牛顿流体的腔磁体互斥的防护机构
CN201597537U (zh) 汽车碰撞防护装置以及包括该碰撞防护装置的汽车
CN204432583U (zh) 汽车防撞梁和汽车防撞结构
KR101669595B1 (ko) 방향유도부재가 구비된 가드레일
KR20100028261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US20220274472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automobile exterior panel
KR102262053B1 (ko) 가드레일의 완충구조
KR100944623B1 (ko) 도로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