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715B1 -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715B1
KR102244715B1 KR1020140130874A KR20140130874A KR102244715B1 KR 102244715 B1 KR102244715 B1 KR 102244715B1 KR 1020140130874 A KR1020140130874 A KR 1020140130874A KR 20140130874 A KR20140130874 A KR 20140130874A KR 102244715 B1 KR102244715 B1 KR 102244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protected
rear support
bum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8288A (ko
Inventor
김강식
오기대
김동명
금병선
김철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40130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7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1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for column or pos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후면지지형 방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후면지지형 방호장치는: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와, 범퍼부를 지지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면지지형 방호장치{BACKSIDE SUPPORT TYPE PROTECTIVE DEVICE}
본 발명은 후면지지형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에서 방호대상설비를 지지하는 동시에 방호대상설비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감소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방호장치는 방호대상설비의 전면부에 충격흡수형 가이드 레일이나 튜브를 설치하거나, 방호대상설비의 둘레에 충격흡수식 튜브를 설치하는 등 길거나 커다란 방호장치를 설치하여 방호대상설비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방호장치의 점용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방호장치를 설치하는데 많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기존의 방호장치는 설치가 불가능 하거나 가로변 미관을 저해하는 등 설치에 제한이 있다. 또한 방호장치의 기초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도와 가스와 전선과 같은 지하매설물을 확인하고 설치해야 하므로 공사기간이 증가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4-085419호(1994. 12. 06. 공개, 고안의 명칭 : 충돌완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에서 방호대상설비를 지지하는 동시에 방호대상설비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감소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는: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와, 범퍼부를 지지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범퍼부는, 방호대상설비의 전면을 감싸며 링 형상으로 설치되는 전면범퍼와, 후면지지부에 고정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범퍼 및 전면범퍼에서 연장되어 후면범퍼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전면범퍼와 후면범퍼를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지지부는,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몸체 및 후면지지몸체의 양단부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후면지지몸체의 종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면지지몸체는 방호대상설비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범퍼부의 내경은 방호대상설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부는,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며 지중으로 연장되는 기초지지부재 및 기초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후면지지부와 방호대상설비의 사이로 삽입되는 베이스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초지지부재와 방호대상설비의 사이에 설치되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가압판 및 기초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가압판에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가압판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는 수평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몸체의 외측에 고정되며 후면지지부의 하측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지지부 및 걸림지지부를 관통하여 후면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후면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되는 제1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걸림지지부에 양측이 지지되는 변형흡수부 및 변형흡수부를 관통하여 후면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후면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되는 제2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측은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지지하며 후면지지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은 방호대상설비와 후면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는 후면지지부가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범퍼부에서 방호대상설비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감소시키므로 방호대상설비의 파손을 감소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호대상설비의 기초 후면과 주변의 지반 사이에 방호장치의 기초를 꽂아 설치하므로 굴착작업과 지하매설물 확인 등 작업이 생략되며 방호장치 설치를 위한 점용면적도 감소되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부가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지지하므로 방호대상설비의 전도를 방지하여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보행자 및 차량의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방호대상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도에 세워진 방호대상설비에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방호대상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는,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방호대상설비(10)를 보호하는 범퍼부(20)와, 범퍼부(20)를 지지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30)와, 후면지지부(30)에 연결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40)를 포함한다.
방호대상설비(10)는 전주나 가로등 같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구조물이며,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대상설비(10)는 인도(19)에 세워진 수직 구조물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방호대상설비(10)는 상측단면적은 작고 하측단면적은 넓게 형성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방호대상설비(10)에서 자동차(17)가 다니는 차도(18)를 향한 부분을 전면(12)이라 하며, 차도(18)와 반대되는 부분을 후면(13)이라 설정한다. 방호대상설비(10)는 지면 아래에 박힌 상태로 설치되며, 사각기둥 형상의 지중지지부(15)가 땅속에서 방호대상설비(10)의 하부를 지지한다.
범퍼부(20)는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방호대상설비(10)를 보호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범퍼부(20)는 전면범퍼(22)와 후면범퍼(24)와 접속부재(26)를 포함한다.
전면범퍼(22)는 방호대상설비(10)의 전면(12)을 감싸며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전면범퍼(22)는 종방향으로 가운데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전면범퍼(22)가 종방향으로 적층된다. 전면범퍼(22)는 접속부재(26)를 통해 후면범퍼(24)에 장착되며, 조립과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범퍼(24)는 후면지지부(30)에 고정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후면범퍼(24)도 종방향으로 가운데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후면범퍼(24)가 종방향으로 적층되어 후면지지부(30)의 외측에 고정된다.
접속부재(26)는 전면범퍼(22)에서 연장되어 후면범퍼(24)의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전면범퍼(22)와 후면범퍼(24)를 연결한다. 전면범퍼(22)와 후면범퍼(24)는 접속부재(26)의 연결로 방호대상설비(10)의 둘레에 장착되어 방호대상설비(1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호대상설비(10)는 자동차(17)의 범퍼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17)를 통하여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범퍼부(20)가 설치되는 후면지지몸체(32)는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후면지지몸체(32)의 내경은 방호대상설비(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범퍼부(20)의 내경은 방호대상설비(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범퍼부(20)와 후면지지몸체(32)는 방호대상설비(10)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이 범퍼부(20)와 후면지지몸체(32)로 전달된 경우, 범퍼부(20)와 후면지지몸체(32)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1차로 흡수한 상태에서 방호대상설비(10)에 접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후면지지부(30)는 범퍼부(20)를 지지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부(30)는 후면지지몸체(32)와 가이드부재(34)와 체결볼트(36)를 포함한다.
후면지지몸체(32)는 전방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측 후면지지부(30)와 방호대상설비(10)의 사이로 상부지지부(80)가 삽입되며, 하측 후면지지부(30)와 방호대상설비(10)의 사이로 베이스부(40)가 삽입된다.
상부지지부(80)와 베이스부(40)의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후면지지몸체(32)의 양단부에는 가이드부재(34)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재(34)는 후면지지몸체(32)의 양단부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베이스부(40)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후면지지몸체(32)의 종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부재(34)는 후면지지몸체(32)의 양단부에 "ㄷ"자 단면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가이드부재(34)에 의해 형성된 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부지지부(80)의 하측에 구비된 연결몸체(82)는 가이드부재(34)에 의해 형성된 홈을 따라 후면지지몸체(32)의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삽입되어 방호대상설비(10)와 후면지지몸체(3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베이스부(40)의 상측에 구비된 베이스몸체(44)는 가이드부재(34)에 의해 형성된 홈을 따라 후면지지몸체(32)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삽입되어 방호대상설비(10)와 후면지지몸체(32)의 사이에 위치한다.
방호대상설비(10)가 전방에서 전달된 충격에 의해 절단되거나 뒤로 밀리는 경우에도, 상부지지부(80)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지지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전도를 방지하여 2차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체결볼트(36)는 가이드부재(34)를 관통하여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부(80)의 연결몸체(82)와 베이스부(40)의 베이스몸체(44)에 각각 체결되므로 상부지지부(80)와 베이스부(40)는 후면지지부(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된다. 베이스부(40)와 후면지지부(30)와 상부지지부(80)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지지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전도를 방지하여 전력의 안정적 공급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보행자 및 차량의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부(40)는 후면지지부(30)에 연결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어 방호대상설비(10)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40)는 기초지지부재(42)와 베이스몸체(44)를 포함한다.
기초지지부재(42)는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며 지중으로 연장된다. 기초지지부재(42)는 전주나 가로등 같은 방호대상설비(10)에서 차량이 충돌이 예상되는 전면(12)의 반대인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 기초와 방호대상설비(10)가 설치되는 지반 사이로 삽입한다. 기초지지부재(42)의 하측은 땅속에 묻힌 지중지지부(15)의 하측에 접하며, 기초지지부재(42)의 상측은 지상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몸체(44)에 연결된다.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과 주변지반 사이에 기초지지부재(42)를 꽂아 설치하므로 굴착작업과 지하매설물의 확인 작업이 필요없게 되며,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의 설치를 위한 점용면적도 거의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방호대상설비(10)의 전면(12)에서 발생된 충돌하중은 범퍼부(20)를 통하여 후면지지부(30)와 베이스부(40)로 전달되므로 지반저항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방호대상설비(10)로 충격이 전달됨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몸체(44)는 기초지지부재(4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후면지지부(30)와 방호대상설비(10)의 사이로 삽입된다. 베이스몸체(44)는 기초지지부재(4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게 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베이스몸체(44)와 후면지지몸체(32)와 범퍼부(20)와 연결몸체(82)는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기초지지부재(42)와 받침몸체(84)는 방호대상설비(10)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충격을 주로 흡수하는 범퍼부(20)를 중심으로 범퍼부(20)의 상하측에 위치한 부재가 방호대상설비(10)와 이격되므로 외부충격이 방호대상설비(10)로 직접 전달됨을 차단하여 방호대상설비(10)의 파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의 하측에는 가압판(50)과 수평조절부재(52)가 구비되어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에 기초지지부재(42)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수평조절부재(52)의 회전으로 가압판(50)이 방호대상설비(10)를 향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에 접하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과 기초지지부재(42)가 등간격을 이루며 설치됨을 조절할 수 있다.
가압판(50)은 기초지지부재(42)와 방호대상설비(10)의 사이에 설치되며,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감싸는 오목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수평조절부재(52)는 기초지지부재(42)를 관통하여 가압판(50)에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가압판(50)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재(52)는 볼트를 사용하며, 수평조절부재(52)는 복수로 구비되어 기초지지부재(42)를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며 가압판(50)에 체결된다.
가압판(50)과 수평조절부재(52)의 상측에는 걸림지지부(60)와 변형흡수부(70)가 설치되어 후면지지부(30)의 수평위치와 결합길이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걸림지지부(60)는 변형흡수부(7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베이스몸체(44)의 외측에 고정된다. 걸림지지부(60)는 후면지지부(30)가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걸림지지부(60)의 하측 이동을 구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지지부(60)는 제1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4)를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62)는 베이스몸체(44)의 외측에 고정되며, 베이스몸체(44)와 후면지지몸체(32)의 사이로 삽입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64)는 제1지지부재(62)의 외측에 고정되며, 후면지지부(30)의 하단이 제2지지부재(64)의 상측에 접하므로 후면지지부(30)가 제2지지부재(64)의 하측으로 이동됨을 구속한다.
제1조절부재(66)는 걸림지지부(60)를 관통하여 후면지지부(30)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후면지지부(30)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절부재(66)는 볼트를 사용하며, 제1조절부재(66)의 머리는 제2지지부재(64)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1조절부재(66)의 상측은 베이스부(40)의 하단에 접하여 베이스부(40)의 수평과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변형흡수부(70)는 베이스몸체(44)의 외측에 위치하며 걸림지지부(60)에 양측이 지지되며, 걸림지지부(60)와 함께 베이스부(40)의 하측을 지지한다. 변형흡수부(70)와 제2조절부재(76)는 베이스부(40)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베이스부(40)의 수평과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변형흡수부(70)는 변형흡수몸체(72)와 날개부재(74)를 포함한다. 변형흡수몸체(72)는 베이스몸체(44)의 외측에 위치하며, 변형흡수몸체(72)의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부재(74)가 걸림지지부(60)의 제2지지부재(64)에 걸린다.
제2조절부재(76)는 변형흡수부(70)를 관통하여 후면지지부(30)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후면지지부(30)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절부재(76)는 볼트를 사용하며, 제2조절부재(76)의 머리는 변형흡수몸체(72)의 하측에 위치하며, 제2조절부재(76)의 상측은 베이스부(40)의 하단에 접하여 베이스부(40)의 수평과 수직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변형흡수부(70)는 후면지지부(30)가 충격에 의해 회전되는 힘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므로, 방호대상설비(10)와 베이스부(40)로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지지부(30)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지지부(80)는 방호대상설비(10)의 상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80)의 상측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지지하며 후면지지부(3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지지부(80)의 하측은 방호대상설비(10)와 후면지지부(30)의 사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80)는 연결몸체(82)와 받침몸체(84)를 포함한다.
연결몸체(82)는 후면지지부(30)의 가이드부재(34)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며, 체결볼트(36)의 체결로 가이드부재(34)의 내측에 고정된다. 받침몸체(84)는 연결몸체(82)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연결몸체(82)보다 작은 내경을 구비하며 방호대상설비(10)의 외측에 접한 상태로 설치된다. 연결고리(88)는 받침몸체(84)와 방호대상설비(1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받침몸체(84)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차(17)가 범퍼부(20)를 충격하는 경우, 범퍼부(20)로 전달된 충격은 후면지지부(30)를 통해 베이스부(40)로 전달된다. 범퍼부(20)와 후면지지부(30)와 베이스몸체(44)는 방호대상설비(10)에 접하지 않는 상태에서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후면지지부(30)를 지지하는 변형흡수부(70)도 후면지지부(30)의 이동에 연동하여 형상이 변형되므로 방호대상설비(1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후면지지부(30)로 전달된 충격은 베이스부(40)로 전달되므로 범퍼부(20)에 가해진 충돌하중은 범퍼부(20)를 통하여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의 기초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은 방호대상설비(10)의 전면(12)에서 발생한 충돌하중을 범퍼부(20)를 통하여 후면(13) 기초로 전달함으로써, 방호대상설비(10)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반저항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후면지지부(30)와 베이스부(40)와 상부지지부(80)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지지하므로, 충격에 의해 방호대상설비(10)가 부러지더라도 후면지지형 방호장치(1)가 방호대상설비(10)를 지지하여 전도됨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후면지지부(30)가 방호대상설비(10)의 후면(13)을 지지하는 동시에 범퍼부(20)에서 방호대상설비(10)로 전달되는 외부충격을 감소시키므로 방호대상설비(10)의 파손을 감소시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호대상설비(10)의 기초 후면(13)과 주변의 지반 사이에 방호장치의 기초를 꽂아 설치하므로 굴착작업과 지하매설물 확인 등 작업이 생략되며 방호장치 설치를 위한 점용면적도 감소되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인도에 세워진 방호대상설비에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장소에 설치된 방호대상설비에도 본 발명에 의한 후면지지형 방호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10: 방호대상설비
12: 전면 13: 후면
15: 지중지지부 17: 자동차
18: 차도 19: 인도
20: 범퍼부 22: 전면범퍼
24: 후면범퍼 26: 접속부재
30: 후면지지부 32: 후면지지몸체
34: 가이드부재 36: 체결볼트
40: 베이스부 42: 기초지지부재
44: 베이스몸체 50: 가압판
52: 수평조절부재 60: 걸림지지부
62: 제1지지부재 64: 제2지지부재
66: 제1조절부재 70: 변형흡수부
72: 변형흡수몸체 74: 날개부재
76: 제2조절부재 80: 상부지지부
82: 연결몸체 84: 받침몸체
88: 연결고리

Claims (9)

  1.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상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
    상기 범퍼부를 지지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며 지중으로 연장되는 기초지지부재; 및
    상기 기초지지부재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면지지부와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사이로 삽입되는 베이스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2.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상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
    상기 범퍼부를 지지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범퍼부는,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전면을 감싸며 링 형상으로 설치되는 전면범퍼;
    상기 후면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후면범퍼; 및
    상기 전면범퍼에서 연장되어 상기 후면범퍼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전면범퍼와 상기 후면범퍼를 연결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3.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상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
    상기 범퍼부를 지지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지지부는,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몸체; 및
    상기 후면지지몸체의 양단부에 굽어진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후면지지몸체의 종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지지몸체는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범퍼부의 내경은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지지부재와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가압판; 및
    상기 기초지지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가압판에 체결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판의 수평위치를 가변시키는 수평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에 고정되며, 상기 후면지지부의 하측 이동을 구속하는 걸림지지부; 및
    상기 걸림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후면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되는 제1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지지부에 양측이 지지되는 변형흡수부; 및
    상기 변형흡수부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지지부의 하단을 지지하며,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후면지지부를 지지하는 높이가 가변되는 제2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9. 방호대상설비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외부충격으로 부터 상기 방호대상설비를 보호하는 범퍼부;
    상기 범퍼부를 지지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후면지지부; 및
    상기 후면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따라 지중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측은 상기 방호대상설비의 후면을 지지하며 상기 후면지지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하측은 상기 방호대상설비와 상기 후면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KR1020140130874A 2014-09-30 2014-09-30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KR102244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874A KR102244715B1 (ko) 2014-09-30 2014-09-30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874A KR102244715B1 (ko) 2014-09-30 2014-09-30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88A KR20160038288A (ko) 2016-04-07
KR102244715B1 true KR102244715B1 (ko) 2021-04-27

Family

ID=5578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874A KR102244715B1 (ko) 2014-09-30 2014-09-30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23118A (zh) * 2020-12-08 2021-03-19 房勇玲 一种地下车库坡道防溜车减速带
CN112554095B (zh) * 2021-01-09 2022-04-19 深圳市通道闸科技有限公司 一种防撞门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505U (ko) * 1993-08-09 1995-03-21 정상용 완충기능을 갖는 차량충돌방지대
JPH08214702A (ja) * 1995-02-10 1996-08-27 Denki Koji Nishikawagumi:Kk プランター兼用電柱保護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288A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279B1 (ko) 각도조절판과 충격흡수블럭을 이용한 원호형 교각 방호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CA2477166A1 (en) Crash attenuator with cable and cylinder arrangement for decelerating vehicles
KR101451555B1 (ko) 회동방지기능을 갖는 가드레일포스트
KR102244715B1 (ko) 후면지지형 방호장치
KR101036416B1 (ko) 가드레일의 지지구조
KR100789693B1 (ko) 전신주 보호 구조물
JP2016532038A (ja) 街頭設備の衝撃抵抗性及びエネルギー吸収性物体
CN102398559B (zh) 客车正碰溃缩机构
KR101666139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KR200462122Y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CN211113325U (zh) 一种防汽车冲撞安全设备用的液压升降柱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630852B1 (ko) 탄성 지주를 이용한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US20110067323A1 (en) Breakaway utility pole with decorative base cover
JP4349753B2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20160003691U (ko) 방호울타리용 단부충돌완충시설 설치구조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CN213476601U (zh) 一种抗拉型弹塑性减震装置
KR100878761B1 (ko) 충격흡수가 용이한 지중배전의 지상기기함 보호장치
CN110905275B (zh) 一种市政工程基坑安全防护装置
KR101250536B1 (ko) 충격완화용 자전거 전용 도로 난간 설치대
KR20120038050A (ko) 충격 흡수를 위한 완충 구조를 구비한 중앙분리대용 가드레일
KR20160029447A (ko) 가드레일용 지주 보강장치
KR102272678B1 (ko) 도시 미관이 개선된 전신주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