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169B1 - 차량의 플로어바디 - Google Patents

차량의 플로어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169B1
KR101714169B1 KR1020150100320A KR20150100320A KR101714169B1 KR 101714169 B1 KR101714169 B1 KR 101714169B1 KR 1020150100320 A KR1020150100320 A KR 1020150100320A KR 20150100320 A KR20150100320 A KR 20150100320A KR 101714169 B1 KR101714169 B1 KR 10171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loor panel
area
longitudinal direction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017A (ko
Inventor
정희석
홍덕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169B1/ko
Priority to DE102015221990.9A priority patent/DE102015221990B4/de
Priority to US14/936,344 priority patent/US9834255B2/en
Priority to CN201510777200.2A priority patent/CN106347499B/zh
Publication of KR2017000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72Floor protection, e.g. from corrosion or scra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바디에 관한것으로,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패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 사이드실 멤버;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사이드 멤버가 마련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센터사이드영역; 플로어패널에 설치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센터사이드영역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센터사이드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이 센터사이드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플로어바디{FLOOR BOD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차량 충돌시 요구되는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차량의 플로어바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는 충돌 상황하에 발생할 수 있는 차체 하부의 충격과 부하로부터 실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차체의 파손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차량의 플로어바디는 차량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의 크기 및 방향을 고려하여 플로어바디를 구성하는 멤버 등의 부재를 설계하고 결합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된 충격에 따른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여 실내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의 플로어바디는 강한 충격으로부터 차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체 하부를 이루는 멤버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멤버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등 전체적인 차량의 하중이 불가피하게 증가함으로 주행연비가 떨어지고 주행성능이 저하되는 등 차량의 경량화에 관련된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차체의 안전성 향상 및 차체의 경량화라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는 차체 하부 구조는, 강도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국부적으로 보강부재를 추가함으로써 차량 외부의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고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그 외 다수 기업에서도 지속적으로 차체의 안전성 향상과 경량화 도모에 힘쓰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0998455호인 '차체 하부 구조'가 참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량의 플로어바디에 있어, 강도보강이 필요한 부위에 보강부재를 추가하는 것은 바디의 구성을 불필요하게 복잡하게 만들어 설계상의 불편함이 존재하고, 보강부재의 제작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어 비경제적이며, 보강부재의 결합 시 스폿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실질적인 강도증가의 효과가 미비한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998455 B1
본 발명은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차량 충돌시 요구되는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차량의 플로어바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는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패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 사이드실 멤버;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사이드 멤버가 마련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센터사이드영역; 플로어패널에 설치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센터사이드영역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센터사이드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이 센터사이드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크로스 멤버;를 포함한다.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와 사이드실 멤버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보강영역;을 더 포함하고, 크로스 멤버는 보강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보강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사이드실 멤버와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 하부에 결합된 시트 아웃터 마운팅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외측마운팅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외측마운팅영역을 제외한 보강영역 내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마운팅영역 내에 위치된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외측마운팅영역과 센터사이드영역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시트보호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시트보호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시트보호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 마련된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중앙부영역; 및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부를 지나가도록 설정된 터널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터널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터널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와 터널부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 하부에 결합된 시트 인너 마운팅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내측마운팅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내측마운팅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마운팅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실 멤버는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플로어바디에 따르면,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차량 충돌시 요구되는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차량의 플로어바디에서 차체 충돌시 기여하는 정도에 따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정되는 가상의 영역을 설정하여 플로어바디를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들은 충돌기여도 높은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이 두껍게 성형되고, 충돌기여도가 낮은 영역에 해당하는 크로스 멤버의 일부분은 두께를 감소시켜 성형하여 불필요한 자재 소모 및 차량의 중량감소가 가능하여 차량의 경량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동시에, 타 부재와의 위치관계 및 충돌시 역할을 고려하여 충돌기여도를 분석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효율적이며 경제성마저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를 구성하는 시트 크로스 멤버의 두께변화를 나타낸 개략도.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량의 플로어바디를 구성하는 인텀 크로스 멤버의 두께변화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를 구성하는 시트 크로스 멤버의 두께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량의 플로어바디를 구성하는 인텀 크로스 멤버(300)의 두께변화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바디(100)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차량 충돌시 요구되는 안전성을 효율적인 향상을 본 발명을 활용함으로써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차량 플로어바디(100)는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패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 사이드실 멤버(420);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사이드 멤버(340)가 마련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센터사이드영역(200); 플로어패널에 설치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센터사이드영역(200)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센터사이드영역(200) 외에 위치되는 부분이 센터사이드영역(200)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크로스 멤버(300);를 포함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로어패널은 차량의 하부를 구성한다. 도 1은 차량의 하부에 마련된 플로어패널을 나타낸다.
플로어패널은 차체의 하면을 형성하며 차체의 하중을 지지한다. 플로어패널의 차체 하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멤버들이 결합되는 베이스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중앙부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부(380)가 형성된다.
또한, 사이드실 멤버(42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다. 도 1은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 사이드실 멤버(420)를 나타낸다.
사이드실 멤버(420)는 차체의 하부에서 양측부에 결합되어 차체의 하중이 지지하며, 특히 도어측에 형성되는 필러 멤버 등의 하중을 지지하고, 차량의 측면충돌시 1차적으로 그 충격을 흡수하여 부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센터사이드영역(200)은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사이드 멤버(340)가 마련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다.
센터사이드 멤버(340)는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와 사이드실 멤버(420) 사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플로어패널의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는 부하를 부담한다. 또한 플로어패널 등 차체 하부를 구성하는 멤버간의 결합관계를 구성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센터사이드영역(200)은 플로어패널 상에 설정되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이는 차량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플로워패널의 길이 전체에 걸쳐 설정된다.
또한, 크로스 멤버(300)는 플로어패널에 설치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센터사이드영역(200)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센터사이드영역(200) 외에 위치되는 부분이 센터사이드영역(200)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크로스 멤버(300)란 차체의 하부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 멤버를 말하며, 도 1은 플로어바디(100)를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300)의 예로서 차량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인텀 크로스 멤버와 플로어패널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단측에 시트에 안착되는 시트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다.
크로스는 멤버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패널에 결합되는 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로어패널 전체 길이에 대응하여 설정된 센터사이드영역(200)을 지나가도록 구비된다.
한편, 크로스 멤버(300)는 차량의 측방 층돌시 차량의 폭방향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부담하는데, 이러한 충격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강도를 충족시켜야 한다.
다만, 센터사이드영역(200)에 위치하는 크로스 멤버(300)의 부분은 센터사이드 멤버(340)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크로스 멤버(300)를 전체 동일한 두께로 성형하게 되면 센터사이드영역(200)에서 불필요하게 강한 강도를 가지게 되어 비효율적인 것이다.
따라서, 크로스 멤버(300)는 센터사이드 멤버(340)와 결합위치상의 보강관계를 가지는 센터사이드영역(200) 내의 부분이 두께가 더 얇게 성형됨으로써, 불필요한 보강부재 및 크로스 멤버(300)를 이루는 자재의 소모를 줄여 차체의 경량화를 이룸과 동시에 효율적인 강도형성으로 차체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300)는 압연식 공정을 통하여 센터사이드영역(200)에 해당하는 부분의 두께를 감소시켜 일체로 성형하는 TRB공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두께를 줄인 일부를 개별 성형한뒤 타부분과 레이저용접을 통하여 일체화하는 TWB공법 등 다양한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 멤버(300)에서 센터사이드영역(20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감소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는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340)와 사이드실 멤버(420)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보강영역(220);을 더 포함하고, 크로스 멤버(300)는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보강영역(220)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크로스 멤버(300)는 차량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데, 차량의 측방 충돌시 차체의 측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고, 차체 하부를 구성하는 각 멤버들을 통해 차체의 중앙부로 충격이 전달된다.
따라서, 센터사이드 멤버(340)와 사이드실 멤버(420) 사이로서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해당하는 가상의 영역인 보강영역(220)을 설정하여,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충격을 부담하는 플로어패널의 양측부를 규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크로스 멤버(300)는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보강영역(220) 외에 위치되는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영역(240)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성형되어 차량 측면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파손을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도 2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라 크로스 멤버(300)에서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하는 부분이 타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증가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는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사이드실 멤버(420)와 센터사이드 멤버(340)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400) 하부에 결합된 시트 아웃터 마운팅(320)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외측마운팅영역(224);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300)는 외측마운팅영역(224)을 제외한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마운팅영역(224) 내에 위치된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시트(400) 하면에는 양측부에서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시트(400)와 차체를 연결하는 시트마운팅이 결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시트마운팅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시트(4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쌍의 시트마운팅이 구비된다.
한쌍의 시트마운팅은 차량의 내측방향에 구비된 시트 인너 마운팅(360)과 차량의 외측방향에 구비된 시트 아웃터 마운팅(320)으로 구분되며, 도 1은 이러한 시트마운팅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한편, 시트 아웃터 마운팅(320)은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하고, 그 하부에 위치된 크로스 멤버(300)의 일부에 대한 보강체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시트 아웃터 마운팅(320)이 위치한 지점의 크로스 멤버(300) 일부는 타측에 비하여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시트 아웃터 마운팅(320)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외측마운팅영역(224)을 설정하고, 외측마운팅영역(224)에 해당하는 크로스 멤버(300)의 일부두께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크로스 멤버(300)는 외측마운팅영역(224)을 제외한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마운팅영역(224) 내에 위치된 부분보다 더 두껍게 성형되어, 상대적으로 외측마운팅영역(224)내에 위치한 부분이 얇게 성형되도록 한다.
결국, 외측마운팅영역(224)의 불필요한 강도증가를 제거하여 차체의 각 부위별 요구강도는 충족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외측마운팅영역(224)의 불필요한 자재소모를 줄임으로써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는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외측마운팅영역(224)과 센터사이드영역(200)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시트보호영역(222);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300)는 시트보호영역(222)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시트보호영역(222)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보호영역(222)은 시트(400)의 하부에 설정되며 시트마운팅 또는 센터사이드 멤버(340) 등이 마련되지 않은 위치에 설정된다. 시트보호영역(222)은 차체 측면의 충돌시 강한 충격을 받는 보강영역(220) 내에 위치하면서 타 결합부재가 위치하지 않은 영역으로서, 강한 강도가 요구된다.
즉, 차량의 측면 충돌시 강한 충격이 전달되는 시트보호영역(222)은 변형이 발생하면 탑승자의 안전상 문제로 직결되는 위치로서, 강한 강도로 형성되어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외측마운팅영역(224)과 센터사이드영역(200) 사이에 시트보호영역(222)을 설정하고, 크로스 멤버(300)는 시트보호영역(222)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타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어 고강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 내지 3은 시트보호영역(222)내에 위치된 크로스 멤버(300)의 일부의 두께와 타부분의 두께차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는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 마련된 센터사이드 멤버(340)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중앙부영역(240); 및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부(380)를 지나가도록 설정된 터널영역(242);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300)는 터널영역(242)을 제외한 중앙부영역(240)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터널영역(242)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부영역(240)은 플로어패널 양측에 구비된 한쌍의 센터사이드 멤버(340) 사이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플로어패널에 중앙부영역(240)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중앙부영역(240)은 측면 충돌시 직접 그 충격을 부담하기 위해 두껍게 성형된 고강도 영역인 보강영역(220)과 달리 보강영역(220)으로부터 분산되어 전달되는 충격을 부담하기 때문에 보강영역(220)에 비하여 더 얇은 두께로 성형되며, 도 2 내지 3은 중앙부영역(240)과 보강영역(220)의 두께차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한편, 터널영역(242)은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여 형성된 터널부(380)를 지나가도록 설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로어패널에 터널영역(242)이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차량의 측방 충돌시, 차체는 일부분에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고강도로 형성되어야 하지만, 일부분은 전달된 충격을 흡수하여 저감시켜야만 효율적으로 충돌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위치하는 시트(40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터널영역(242)은 중앙부영역(240)중에서도 저강도로 형성되어 차량의 측방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변형에너지로 흡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크로스 멤버(300)는 터널영역(242)을 제외한 중앙부영역(240)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터널영역(242)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터널영역(242)에 위치되는 부분이 얇게 성형되어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변형에너지로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한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는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340)와 터널부(380)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400) 하부에 결합된 시트 인너 마운팅(360)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내측마운팅영역(244);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300)는 내측마운팅영역(244)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마운팅영역(244)을 제외한 중앙부영역(240)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측마운팅영역(244)은 시트(400)의 하부에 결합된 한쌍의 시트마운팅 중 시트 인너 마운팅(360)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되며, 중앙부영역(240)의 일부에 설정된다. 도 1은 내측마운팅이 플로어바디(100) 상에 설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시트마운팅은 차체 측방으로의 충격에 있어서 크로스 멤버(300)를 보강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편, 탑승자 및 시트(40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는데, 시트마운팅이 위치하는 지점의 크로스 멤버(300)가 탑승자 및 시트(400)의 하중을 지지함에 있어 요구되는 강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면 결국 휘어짐 현상이 발생하는 등 차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보강영역(220)과는 달리 저강도로 설정된 중앙부영역(240) 내에 위치하는 내측마운팅영역(244)은 외측마운팅영역(224)과는 달리 탑승자 및 시트(400)의 하중을 지지하며 충격으로부터의 변형이 방지되어야 하는 바, 중앙부영역(240)의 크로스 멤버(300)에 비하여 내측마운팅영역(244)은 강도를 높여야 되는 것이다.
결국, 크로스 멤버(300)는 내측마운팅영역(244)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마운팅영역(244)을 제외한 중앙부영역(240)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탑승자측의 차체 하부를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플로어바디(100)에서, 사이드실 멤버(420)는 중앙부(422)가 양측 단부(424)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실 멤버(420)는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량 측면 충돌시 1차적으로 충격을 부담하게 된다.
차량의 측면 충돌에 있어 사이드실 멤버(420)와 함께 충격을 부담하는 B필러 멤버가 사이드실 멤버(420)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B필러 멤버는 측면 충돌시 차량의 실내공간으로 함몰되어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실 멤버(420)의 중앙부(422)가 양측 단부(424)보다 더 두껍게 성형되어 고강도로 형성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도 B필러 멤버의 하단부가 실내공간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특별한 보강부재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효율적으로 차량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량의 플로어바디 200 : 센터사이드영역
300 : 크로스 멤버 400 : 시트

Claims (7)

  1. 차량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로어패널;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플로어패널의 양측부에 결합된 사이드실 멤버;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센터사이드 멤버가 마련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센터사이드영역;
    플로어패널에 설치되며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센터사이드영역을 지나가도록 배치되고, 센터사이드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이 센터사이드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크로스 멤버; 및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와 사이드실 멤버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보강영역을 포함하고;
    크로스 멤버는 보강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보강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사이드실 멤버와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 하부에 결합된 시트 아웃터 마운팅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외측마운팅영역을 더 포함하고;
    크로스 멤버는 외측마운팅영역을 제외한 보강영역 내에 위치된 부분이 외측마운팅영역 내에 위치된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외측마운팅영역과 센터사이드영역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시트보호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시트보호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시트보호영역 외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
  5. 청구항 1에 있어서,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 중앙부의 양측에 마련된 센터사이드 멤버 사이의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중앙부영역; 및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플로어패널의 중앙부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터널부를 지나가도록 설정된 터널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터널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터널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
  6. 청구항 5에 있어서,
    플로어패널 상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정된 가상의 영역으로서, 센터사이드 멤버와 터널부 사이에서 차량의 시트 하부에 결합된 시트 인너 마운팅이 위치된 지점을 지나가도록 설정된 내측마운팅영역;을 더 포함하며,
    크로스 멤버는 내측마운팅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이 내측마운팅영역을 제외한 중앙부영역 내에 위치되는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드실 멤버는 중앙부가 양측 단부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플로어바디.
KR1020150100320A 2015-07-15 2015-07-15 차량의 플로어바디 KR10171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20A KR101714169B1 (ko) 2015-07-15 2015-07-15 차량의 플로어바디
DE102015221990.9A DE102015221990B4 (de) 2015-07-15 2015-11-09 Bodengruppe für ein Fahrzeug
US14/936,344 US9834255B2 (en) 2015-07-15 2015-11-09 Floor body for vehicle
CN201510777200.2A CN106347499B (zh) 2015-07-15 2015-11-13 用于车辆的底板本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320A KR101714169B1 (ko) 2015-07-15 2015-07-15 차량의 플로어바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17A KR20170009017A (ko) 2017-01-25
KR101714169B1 true KR101714169B1 (ko) 2017-03-08

Family

ID=5763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320A KR101714169B1 (ko) 2015-07-15 2015-07-15 차량의 플로어바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34255B2 (ko)
KR (1) KR101714169B1 (ko)
CN (1) CN106347499B (ko)
DE (1) DE102015221990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8874A (zh) * 2018-11-30 2019-01-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门槛边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2751B2 (en) * 2017-03-07 2019-04-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tunnel reinforcement
KR102335344B1 (ko) * 2017-05-16 2021-12-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후방 차체 보강구조
JP7095307B2 (ja) * 2018-02-23 2022-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FR3095633B1 (fr) * 2019-05-02 2021-04-02 Psa Automobiles Sa Traverse d’assise avant pour véhicule automobile à épaisseur variable
CN113147910B (zh) * 2021-05-08 2023-03-31 大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门槛加强板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58A (ja) 2000-03-07 2001-09-11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2009040102A (ja) * 2007-08-06 2009-02-26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ロア構造
JP2013107470A (ja) 2011-11-18 2013-06-06 Toyota Motor Corp 車体下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9466A (ja) * 1982-12-16 1984-06-25 Nissan Motor Co Ltd 主として曲げ荷重を受ける部位に用いられる自動車用メンバの製造方法
JP3343709B2 (ja) * 1995-08-23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力系統解析装置
JP3198960B2 (ja) * 1996-04-04 2001-08-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11291955A (ja) * 1998-04-03 1999-10-26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フロア面下部の収納スペース構造
JP2000264256A (ja) * 1999-03-15 2000-09-26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両のフロア構造
JP2001163257A (ja) * 1999-03-29 2001-06-19 Nissan Motor Co Ltd 車体構造
DE60017033T2 (de) * 1999-09-02 2005-12-15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Fahrzeugstruktur für Bodenplatte
JP2001233254A (ja) * 2000-02-22 2001-08-28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体構造
JP2002302071A (ja) * 2001-04-06 2002-10-1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フロアパネル
EP1439110A3 (en) * 2003-01-16 2004-11-03 Mazda Motor Corporation Floor panel structure of vehicle body
JP4051011B2 (ja) * 2003-08-26 2008-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JP4207806B2 (ja) * 2004-03-02 2009-0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JP2005297610A (ja) 2004-04-06 2005-10-27 Toyota Motor Corp 車体フロアの補強構造
FR2896735B1 (fr) * 2006-02-02 2009-11-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verse d'assise de vehicule automobile
JP4483830B2 (ja) 2006-05-29 2010-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5032854B2 (ja) 2007-01-19 201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602008001029D1 (de) * 2007-06-19 2010-06-02 Honda Motor Co Ltd Fahrzeugaufbaubodenkonstruktion
JP4900095B2 (ja) * 2007-07-06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US7854472B2 (en) * 2007-10-22 2010-12-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07056645B4 (de) * 2007-11-24 2021-07-0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chweller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DE102007056644A1 (de) * 2007-11-24 2009-05-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räger, insbesondere Schweller für ein Kraftfahrzeug
CN201220694Y (zh) * 2008-05-07 2009-04-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身底板结构
DE102008033810A1 (de) * 2008-07-19 2009-03-19 Daimler Ag Sitzquerträger für eine Bodengruppe eines Personenkraftwagens
JP4690450B2 (ja) * 2008-12-19 2011-06-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US8292356B2 (en) * 2009-03-17 2012-10-23 Mazda Motor Corporation Low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2010221816A (ja) * 2009-03-23 2010-10-07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ロア構造
DE102009015355A1 (de) * 2009-03-27 2010-09-30 Audi Ag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9053396A1 (de) * 2009-11-14 2010-06-17 Daimler Ag Deformationseinrichtung
JP2014108760A (ja) 2012-12-04 2014-06-12 Toyota Motor Corp 車両後部構造
DE102013103729A1 (de) * 2013-04-15 2014-10-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unnelanordnung für eine Bodengruppe einer Fahrzeugkarosserie sowie eine Bodengruppe
US20150108793A1 (en) * 2013-10-21 2015-04-23 Teijin Limited Carbon fiber cross member for automotive chassis structure
US9592853B2 (en) * 2014-07-02 2017-03-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rrugation designs
US9650003B2 (en) * 2014-07-02 2017-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mpact resistant component for a vehicle
JP6332245B2 (ja) * 2015-11-25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058A (ja) 2000-03-07 2001-09-11 Mitsubishi Motors Corp 車体構造
JP2009040102A (ja) * 2007-08-06 2009-02-26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ロア構造
JP2013107470A (ja) 2011-11-18 2013-06-06 Toyota Motor Corp 車体下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8874A (zh) * 2018-11-30 2019-01-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门槛边梁
CN109278874B (zh) * 2018-11-30 2020-06-12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门槛边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47499B (zh) 2020-02-18
KR20170009017A (ko) 2017-01-25
DE102015221990B4 (de) 2023-07-27
DE102015221990A1 (de) 2017-01-19
CN106347499A (zh) 2017-01-25
US9834255B2 (en) 2017-12-05
US20170015364A1 (en) 201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169B1 (ko) 차량의 플로어바디
KR101755391B1 (ko) 차량용 비-필러
US7900995B2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7206877B (zh) 抵抗侧面撞击的强化车辆门
US7753437B2 (en) Motor vehicle with a body having a floor structure and at least one reinforcing element for reinforcing the floor structure
JP5327614B2 (ja) 車体のピラー構造
JP2010064504A (ja) 車体長手部材の補強構造
JP2017024698A (ja) 車体結合構造
JP2008260364A (ja) 自動車のバンパ構造
JP6418049B2 (ja) 車両前部構造
KR20230152774A (ko)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KR102457625B1 (ko) 자동차 몸체 구조물용 보강재
JP2009132302A (ja) 自動車のリヤドア構造
KR101252206B1 (ko) 도어 임팩트 빔 마운팅용 빔브라켓
KR101252208B1 (ko) 측면충돌에 대한 강성이 보강된 차량용 도어
JP5027684B2 (ja) 車体前部構造
US20150191204A1 (en) Support structure for a motor vehicle
JP6398691B2 (ja) 車両用センタピラー
JP2017013722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JP2020128169A (ja) 車両用フロントフード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KR102400178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20140044681A (ko) 차량용 프레임 유닛
KR102400177B1 (ko) 자동차용 범퍼빔
KR20120015625A (ko) 차량의 센터필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