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774A -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 Google Patents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774A
KR20230152774A KR1020237035959A KR20237035959A KR20230152774A KR 20230152774 A KR20230152774 A KR 20230152774A KR 1020237035959 A KR1020237035959 A KR 1020237035959A KR 20237035959 A KR20237035959 A KR 20237035959A KR 20230152774 A KR20230152774 A KR 20230152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k
longitudinal beam
extending
lower side
underbod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반 비오
플로리앙 아르노뛰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Publication of KR2023015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1),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 (2) 및 상기 플로어 패널 (1) 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측 실 부분 (4)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요소 (6) 는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연장되고, 또한 그의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그의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서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된다. 보강 요소 (6) 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VEHICLE UNDERBODY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BETWEEN A LONGITUDINAL BEAM AND A LOWERSIDE SILL PART}
본 발명은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상기 플로어 패널 아래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 및 상기 플로어 패널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측 실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요소는 플로어 패널 아래에서 연장되고, 또한 그의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종방향 빔에 부착되고, 그의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서 하부측 실 부분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언더보디 구조물을 포함하는 차량 보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플로어를 형성하는 차량의 언더보디 구조물이 차량 승객 구획에서 어떠한 종류의 침범도 제한함으로써 충격, 특히 측면 충격 또는 전방 충격 시에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를 위하여, 언더보디 구조물은 구조적 종방향 요소, 예컨대 언더플로어 종방향 빔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보강 요소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차량 구획의 변형을 방지하고 또한 충격 시에 플로어 패널의 일체성을 유지하여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체는 측면 충격, 즉 횡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 시에 그리고 전적인 전방 충격, 즉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종방향으로 발생하는 충격 시에 효율적일 수 있는 반면, 미국 고속도로 안전 보험 협회 (United States of America's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 에 의해 규정되는, "스몰 오버랩 충돌 (small overlap crash)" 이라 불리는, 차량의 중심에 관하여 오프셋되는 전방 충돌의 경우에는 위험이 남아 있다. 이러한 스몰 오버랩 충돌 동안, 충격이 종방향 구조 요소의 바깥쪽에서 차량의 전방에서 종방향으로, 즉 차량의 25% 이하의 전방 오버랩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의 전방에 제공된 규칙적인 충격 흡수 요소는, 충격이 차량의 종방향 빔의 전방에서 발생하지 않으므로, 그의 기능을 완전히 수행하지 못한다.
이러한 경우에, 스몰 오버랩 충돌 이후에 종래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아래에서 본 도면 및 위에서 본 도면을 각각 나타내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 배리어와 동일한 측에 위치된 차량의 휠은 차량의 내부를 향해 회전하고 차량 탑승자의 발이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위치에서 플로어 패널을 변형시키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충격은 탑승자의 다리에 중대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스몰 오버랩 충돌 시에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거동을 향상시켜 이러한 충격 시에 플로어 패널이 작은 변형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보강 요소와 관련된다.
언더보디 구조물의 플로어 패널 아래에서 연장되는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보강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의 횡방향 거리는 스몰 오버랩 충돌시에 실질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플로어 패널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크게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공간 내에 수용되는 차량 탑승자의 발은 보호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양태들에 따라,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가능한 조합에 따라 고려되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 보강 요소는 마텐자이트 미세구조를 가지고, 종방향 빔 및 하부측 실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가진다;
- 종방향 빔 및 하부측 실 부분 모두는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가진다;
- 보강 요소는 플로어 패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1 플랭크, 및 제 1 플랭크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2 플랭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랭크 및 상기 제 2 플랭크 모두는 종방향 빔을 하부측 실 부분에 결합시킨다;
- 제 2 플랭크는 종방향과 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서 연장된다;
- 제 1 플랭크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삼각형의 제 1 측면은 종방향 빔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삼각형의 제 2 측면은 종방향 빔을 하부측 실 부분에 결합시키고, 상기 삼각형의 제 3 측면은 제 2 플랭크를 따라서 연장된다;
- 보강 요소는 하부측 실 부분의 전방 종방향 단부에서 상기 하부측 실 부분에 부착된다;
- 보강 요소는 종방향 빔 및 하부측 실 부분에 용접된다;
- 종방향 빔 및 하부측 실 부분에의 보강 요소의 용접은 저항 스폿 용접,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이다;
- 프레스 경화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은 코팅된다;
- 언더보디 구조물은, 하부측 실 부분에 부착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고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필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필러는 하부측 실 부분의 종방향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상기 플로어 패널 아래에서 종방향으로 모두 연장되는 왼쪽 종방향 빔 및 오른쪽 종방향 빔, 및 상기 플로어 패널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왼쪽 하부측 실 부분 및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왼쪽 종방향 빔과 왼쪽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왼쪽 보강 요소 및 오른쪽 종방향 빔과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른쪽 보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보강 요소 및 오른쪽 보강 요소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 언더보디 구조물은 왼쪽 종방향 빔과 오른쪽 종방향 빔 사이에서 연장되는 횡방향 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빔은 왼쪽 보강 요소 및 오른쪽 보강 요소와 동일한 횡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 빔은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을 구비하는 차량 보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만들어지고 또한 일 예로서 주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자명해질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 도 2 는 도 1 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사시도이다.
- 도 3 은 도 1 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보강 요소의 사시도이다.
- 도 4 는 본 발명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더 큰 사시도이다.
- 도 5 및 도 6 은 각각 스몰 오버랩 충돌 이후에 종래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아래에서 본 그리고 위에서 본 도면들이다.
- 도 7 및 도 8 은 각각 스몰 오버랩 충돌 이후에 본 발명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의 부품의 아래에서 본 그리고 위에서 본 도면들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용어 "종방향" 은 규칙적인 사용 조건에서 자동차의 후방-전방 방향에 관한 것이고, 용어 "횡방향" 은 좌측-우측 방향에 관한 것이다. 용어들 "후방" 및 "전방" 은 규칙적인 사용 조건에서 자동차의 종방향에 대해 규정되고, 용어들 "상부" 및 "하부" 는 고도 방향에 대해 규정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플로어 패널 (1),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 (2), 적어도 하나의 하부측 실 부분 (4) 및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 (6) 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이 설명된다.
플로어 패널 (1) 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규칙적인 사용 조건에서 수평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전방측 (8) 과 후방측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그리고 좌측 (10) 과 우측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면들에서, 단순화를 위해, 전방측 (8) 및 좌측 (10) 만이 볼 수 있다.
언더보디 구조물은, 종방향 과 상승 방향을 포함하고 또한 좌측 (10) 과 우측 사이에서 플로어 패널의 중심에 의해 통과되는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이다. 결과적으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좌측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이루어질 것이고, 동일한 교시는 우측에 대해서 적용된다.
플로어 패널 (1) 은 자동차의 플로어를 형성하고 또한 승객 구획들의 다른 요소들 및 시트들에 대해 베이스 구조물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다. 차량의 승객들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들이 또한 제공된다.
종방향 빔 (2) 은 플로어 패널의 측면 중 하나의 부근에서, 도면들에서는 좌측 (10) 근처에서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연장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빔 (2) 은 실질적으로 플로어 패널 (1) 의 전체 길이 아래에, 즉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플로어 패널의 전방측 (8) 을 지나 연장되는 종방향 전방 단부 (12) 를 포함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종방향 빔 (2) 은, 전적인 전방 충격의 경우에, 전방 단부 (12) 에서 크래시 박스들과 같은 충격 흡수 요소들을 통해 횡방향 범퍼 빔에 부착됨으로써 차량의 승객들을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의 일부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 빔은 예를 들어 횡방향 평면에서 U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U 는 차량의 플로어 패널 (1) 을 향해 개방된다.
이러한 종방향 빔의 기능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서,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종방향 빔 (2) 은 예를 들어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나타내는 강, 예컨대 이상 조직강으로 만들어진다. 실시예에 따라, 종방향 빔은 각각 정의된 Euro 기준 HCT590X, HCT980X 또는 HCT980XG 로서 Dual Phase 600 또는 Dual Phase 980 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재료들은 그들의 높은 변형 경화능으로 인해 항복 강도 및 양호한 에너지 흡수 능력과 같은 만족스러운 기계적 특성들을 가지면서,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1) 의 좌측 (10) 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왼쪽 종방향 빔 (2) 및 플로어 패널의 우측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른쪽 종방향 빔 (2) 을 포함한다.
하부측 실 부분 (4) 은 플로어 패널의 측면 바깥쪽으로, 즉 플로어 패널의 일 측을 따라서 그러나 상기 플로어 패널 (1) 의 외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하부측 실 부분 (4) 은 종방향 빔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플로어 패널 (1) 에 인접하다. 하부측 실 부분은 종방향 후방 단부와 종방향 전방 단부 (14) 사이에서 연장된다. 예를 들어, 후방 단부 및 전방 단부 (14) 는 횡방향으로 플로어 패널의 후방 측 및 전방 측과 실질적으로 마주하여 또는 근접하여 위치된다. 예를 들어, 하부측 실 부분 (4) 은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나타내는 강, 예컨대 이상 조직강으로 만들어진다. 실시형태에 따라, 종방향 빔은 각각 정의된 Euro 기준 HCT590X, HCT980X 또는 HCT980XG 로서 Dual Phase 600 또는 Dual Phase 980 으로 만들어지고, 이러한 재료들은 그들의 높은 변형 경화능으로 인해 항복 강도 및 양호한 에너지 흡수 능력과 같은 만족스러운 기계적 특성들을 가지면서,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하부측 실 부분 (4) 은, 공지된 바와 같이, 차량의 일 도어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프레임을 형성하는 차량의 도어 링의 하부 부분인 차량의 하부측 실의 내부 부분이다. 결과적으로, 하부측 실 부분 (4) 은 하부측 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과 조립된다. 내부 및 외부에 의해, 하부측 실 부분 (4) 이 차량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반면,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은 차량의 외측을 향해 터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은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이다. 이러한 높은 기계적인 특성들은 도어 링과 같은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부품을 만들게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300 ~ 1650 MPa 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800 MPa 초과이다.
이러한 강은 매우 높은 기계적 특성들을 가지고, 이는 도어 링과 같은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부품을 만들게 한다.
하부측 실 부분 (4) 은 예를 들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U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U 는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을 향해, 즉 차량의 외부를 향해 개방한다.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파일을 폐쇄하도록 배열된다. 예를 들어, 하부측 실 부분 (4) 및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은 그 자체가 공지된 바와 같이 하부측 실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용접된다. 이러한 하부측 실의 기능은 그 자체가 공지되어 있어서, 본원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필러 (18) 는 하부측 실의 전방 단부 (14) 로부터 고도 방향으로 연장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전방 필러 (18) 는 또한 도어 링의 일부를 형성하고, 차량의 전방 부품에 대한 지지부의 역할을 한다. 전방 필러 (18) 은 전방 필러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는 내부 전방 필러 부품 (19; 도 2 에 도시됨) 및 외부 전방 필러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전방 필러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높은 기계적인 특성들은 도어 링과 같은 보강 구조물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부품을 만들게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300 ~ 1650 MPa 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800 MPa 초과이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1) 의 좌측 (10) 옆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왼쪽 하부측 실 부분 (4) 및 플로어 패널의 우측 옆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4) 을 포함한다.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 부분 (4) 은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요소 (6)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보강 요소 (6)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단부 (14) 를 마주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빔 (2) 의 일부와 하부측 실 부분 (4) 의 전방 단부 (14) 사이에서 연장된다.
보강 요소 (6) 는 플로어 패널 (1) 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1 플랭크 (20) 및 플로어 패널을 향해 제 1 플랭크 (20) 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플랭크 (22) 를 포함한다. 즉, 제 1 플랭크 (20) 는 차량의 일반적인 사용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즉 수평 평면에서 연장된다. 제 2 플랭크 (22) 는 제 1 플랭크 (20) 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각각의 제 1 플랭크 및 제 2 플랭크는 종방향 빔 (2) 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플랭크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제 1 측면 (24) 은 종방향 빔 (2) 을 따라서 연장되고, 제 2 측면 (26) 은 종방향 빔 (2) 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3 측면 (28) 은 제 1 측면 (24) 의 전방 단부를 제 2 측면 (26) 에 결합시키고 또한 종방향 빔 (2) 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 2 플랭크 (22) 는 상기 제 3 측면 (28) 로부터 연장되며, 이는 제 1 플랭크 (20) 의 제 3 측면 (28) 이 제 2 플랭크의 측면인 것을 의미한다.
제 2 플랭크 (22) 는 실질적으로 종방향과 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서 연장되고, 이는 제 2 플랭크가 종방향 빔 (2) 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경사지게 되어 제 2 플랭크 (22) 가 횡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제 2 플랭크 (22) 는 단일 평면에서 연장되지 않고, 또한 종방향 빔 (2) 과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약간 아치형이다.
더욱이, 제 2 플랭크 (22) 는 평면이 아니고, 스탬핑된 리브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브들은 보강 요소 (6) 의 고도 방향을 따라서 요구되는 강성을 보장한다.
제 2 플랭크 (22) 는 하부측 실 부분 (4) 과 접촉하여 제 1 플랭크의 제 2 측면 (26) 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측면 (34) 과 제 1 플랭크의 제 1 측면 (24) 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측면 (3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플랭크 (20) 의 제 3 측면 (28) 은 제 2 플랭크 (22) 의 제 2 측면 (34) 과 제 1 측면 (32) 을 연결하고, 제 2 플랭크의 하부 측면을 형성한다. 제 2 플랭크 (22) 는 하부 측면과, 상기 하부 측면과 마주하는 상부 측면 (36)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는 또한 제 2 플랭크의 제 1 측면 (32) 과 제 2 측면 (34)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 1 플랭크 (20) 및 제 2 플랭크 (22) 각각은 후속하여 설명되는 것과 같이 이러한 부품들과 조립 표면들을 형성하기 위해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 부분 (4) 에 대해 적용되도록 배열되는 조립 엣지들 (38) 을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제 1 플랭크 (20) 는 차량의 크래들에 보강 요소 (6) 를 조립하기 위한 고정 홀들 (32) 을 포함한다.
보강 요소 (6) 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재료는 마텐자이트 미세구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프레스 경화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300 ~ 1650 MPa 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800 MPa 초과이다. 강은 예를 들어 용융 도금, 전착, 진공 코팅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스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갈바닐링 또는 아연 도금될 수도 있다.
마텐자이트 미세구조에 의해, 열간 스탬핑 후에 강의 구조물이 95% 이상의 마젠자이트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강 요소 (6) 는 단일 작업으로 제 1 플랭크 (20) 및 제 2 플랭크 (22) 를 형성하기 위해 핫 스탬핑되는 평면 블랭크로부터 만들어진다.
얻어진 보강 요소 (6) 는 매우 높은 인장 강도를 가져서, 특히 변형에 강하게 한다.
전술한 보강 요소 (6) 는 제 1 플랭크 (20) 의 제 1 측면 (24) 에 의해 그리고 제 2 플랭크 (22) 의 제 1 측면 (32) 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또한 제 2 플랭크 (22) 의 제 2 측면 (34) 에 의해 그리고 제 1 플랭크 (20) 의 제 2 측면 (26) 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된다. 도 2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내부 전방 필러 부품 (19) 의 일부는 또한 제 2 측면 (34) 에 부착되고, 보강 요소와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사이에서 연장된다. 그러므로, 하부측 실, 전방 필러 (18) 및 보강 요소 (6) 사이의 접합부는 특히 강하다.
보강 요소 (6) 의 횡방향 단부들은 용접에 의해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된다. 이러한 용접은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 부분 (4) 에 보강 요소 (6) 의 조립 엣지들 (38) 을 저항 스폿 용접,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따라, 언더사이드 보디 구조물은 왼쪽 종방향 빔 (2) 을 왼쪽 하부측 실 부분 (4) 에 결합시키는 왼쪽 보강 요소 (6) 및 오른쪽 종방향 빔 (2) 을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4) 에 결합시키는 오른쪽 보강 요소 (6) 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라, 횡방향 빔 (40) 은 왼쪽 종방향 빔 (2) 과 오른쪽 종방향 빔 (2) 사이에서 연장된다. 횡방향 빔 (40) 은 왼쪽 보강 요소 (6) 및 오른쪽 보강 요소 (6) 와 동일한 횡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이는 횡방향 빔 (40) 의 횡방향 단부들이 왼쪽 종방향 빔 (2) 및 오른쪽 종방향 빔 (2) 에 부착된 왼쪽 보강 요소 (6) 및 오른쪽 보강 요소 (6) 의 횡방향 단부들과 마주하여 연장된다. 횡방향 빔 (40) 은 예를 들어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300 ~ 1650 MPa 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예를 들어, 강 조성은, 중량% 로,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 범위로, 프레스 경화된 부품의 인장 강도는 1800 MPa 초과이다.
차량의 정상 사용시에, 보강 요소(들)는, 언더사이드 보디 구조물의 응집력을 유지하고 종방향 빔 (2) 에 대한 하부측 실의 횡방향 및 종방향 배향을 유지하기 위해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 보강 요소 (6) 는 또한 비틀림 박스로 지칭될 수 있다.
스몰 오버랩 충돌의 경우에 보강 요소(들)(6) 의 기능은 도 5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5 및 도 6 은 스몰 오버랩 충돌 후에 본 종래의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을 각각 아래에서 본 도면 및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하고, 도 7 및 도 8 은 스몰 오버랩 충돌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을 각각 아래에서 본 도면 및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스몰 오버랩 충돌의 경우에, 전방 필러 (18) 의 전방에서 연장되는 차량의 휠 (42) 은 차량의 후방 및 내부를 향해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도 5 및 도 7 을 비교함으로써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객 구획 내에 침입을 강력하게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종래의 언더보디 구조물의 경우에, 휠 (42) 의 회전은 하부측 실 부분을 횡방향으로 부서지고, 차량 구획에 진입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44) 은 하부측 실과 종방향 빔 (2) 사이에서 또한 부서지고, 이는 승객에게 심한 부상을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언더보디 구조물로, 보강 요소 (6) 는 하부측 실이 차량 구획 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승객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44) 의 부서짐을 크게 감소시킨다.
결과적으로, 하부측 실 (4) 로부터 종방향 빔 (2) 을 횡방향으로 분리하는 거리 (d) 는 유지되거나 소량으로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승객의 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 (44) 은 충돌 후에 그의 일체성을 유지하고, 승객을 보호한다.
예로서,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의 전방 단부를 횡방향으로 분리하는 거리 (d) 는 차량의 정상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대략 290 mm 이다. 스몰 오버랩 충돌의 경우에, 이러한 거리는 종래의 언더보디 구조물에서 대략 160 mm 로 감소되는 반면, 상기 거리는 본 발명의 언더보디 구조물에 대해 1 또는 2 mm 로 감소되고, 즉 대략 288 mm 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 요소 (6) 의 사용은 스몰 오버랩 충돌의 경우에 차량의 거동을 크게 향상시킨다.

Claims (14)

  1.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로서,
    - 플로어 패널 (1),
    -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 (2),
    - 상기 플로어 패널 (1) 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측 실 부분 (4; sill part) 및
    -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고도 방향 (elevation direction) 으로 연장되는 전방 필러 (18) 로서, 상기 전방 필러 (18) 는 하부측 실 부분 (4) 의 종방향 전방 단부 (14) 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필러 (18)
    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요소 (6) 는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연장되고, 또한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플로어 패널 (1) 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1 플랭크 (20) 및 상기 제 1 플랭크 (20) 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2 플랭크 (22)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랭크 (20) 및 상기 제 2 플랭크 (22) 모두는 상기 종방향 빔 (2) 을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플랭크 (22) 는 종방향과 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서 연장되고,
    - 상기 제 1 플랭크 (20) 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삼각형의 제 1 측면 (24) 은 상기 종방향 빔 (2) 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삼각형의 제 2 측면 (26) 은 상기 종방향 빔 (2) 을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연결하고, 상기 삼각형의 제 3 측면 (28) 은 상기 제 2 플랭크 (22) 를 따라서 연장되고,
    - 상기 제 2 플랭크 (22) 는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플랭크의 상기 제 2 측면 (26) 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34) 과 상기 제 1 플랭크의 상기 제 1 측면 (24) 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32) 사이에서 연장되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상기 제 1 플랭크 (20) 의 상기 제 1 측면 (24) 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2 플랭크 (22) 의 상기 측면 (32) 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제 2 플랭크 (22) 의 상기 측면 (34) 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1 플랭크 (20) 의 상기 제 2 측면 (26) 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2.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로서,
    - 플로어 패널 (1),
    -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빔 (2),
    - 상기 플로어 패널 (1) 에 인접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측 실 부분 (4; sill part) 및
    - 하부측 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과 조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하부측 실 부분 (16)
    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요소 (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요소 (6) 는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연장되고, 또한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서 상기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플로어 패널 (1) 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1 플랭크 (20) 및 상기 제 1 플랭크 (20) 에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제 2 플랭크 (22)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플랭크 (20) 및 상기 제 2 플랭크 (22) 모두는 상기 종방향 빔 (2) 을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플랭크 (22) 는 종방향과 영이 아닌 각도를 형성하는 평면에서 연장되고,
    - 상기 제 1 플랭크 (20) 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삼각형의 제 1 측면 (24) 은 상기 종방향 빔 (2) 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삼각형의 제 2 측면 (26) 은 상기 종방향 빔 (2) 을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연결하고, 상기 삼각형의 제 3 측면 (28) 은 상기 제 2 플랭크 (22) 를 따라서 연장되고,
    - 상기 제 2 플랭크 (22) 는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플랭크의 상기 제 2 측면 (26) 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34) 과 상기 제 1 플랭크의 상기 제 1 측면 (24) 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측면 (32) 사이에서 연장되고,
    - 상기 보강 요소 (6) 는 상기 제 1 플랭크 (20) 의 상기 제 1 측면 (24) 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2 플랭크 (22) 의 상기 측면 (32) 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종방향 빔 (2) 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제 2 플랭크 (22) 의 상기 측면 (34) 에 의해 그리고 상기 제 1 플랭크 (20) 의 상기 제 2 측면 (26) 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횡방향 단부들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 (6) 는 마텐자이트 미세구조를 가지고, 상기 종방향 빔 (2) 및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중 적어도 하나는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가지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빔 (2) 및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모두는 완전 마텐자이트가 아닌 구조를 가지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 (6) 는 하부측 실 부분 (4) 의 전방 종방향 단부 (14) 에서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요소 (6) 는 종방향 빔 (2) 및 하부측 실 부분 (4) 에 용접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빔 (2) 및 상기 하부측 실 부분 (4) 에의 상기 보강 요소 (6) 의 용접은 저항 스폿 용접 또는 아크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인,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경화된 강의 조성은, 중량% 로,
    - 0.15% ≤ C ≤ 0.5%, 0.5% ≤ Mn ≤ 3%, 0.1% ≤ Si ≤ 1%, 0.005% ≤ Cr ≤ 1%, Ti ≤ 0.2%, Al ≤ 0.1%, S ≤ 0.05%, P ≤ 0.1%, B ≤ 0.010%, 철 및 제조 (elaboration) 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 0.20% ≤ C ≤ 0.25%, 1.1% ≤ Mn ≤ 1.4%, 0.15% ≤ Si ≤ 0.35%, Cr ≤ 0.30%, 0.020% ≤ Ti ≤ 0.060%, 0.020% ≤ Al ≤ 0.060%, S ≤ 0.005%, P ≤ 0.025%, 0.002% ≤ B ≤ 0.004%,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 0.24% ≤ C ≤ 0.38%, 0.40% ≤ Mn ≤ 3%, 0.10% ≤ Si ≤ 0.70%, 0.015% ≤ Al ≤ 0.070%, Cr ≤ 2%, 0.25% ≤ Ni ≤ 2%, 0.015% ≤ Ti ≤ 0.10%, Nb ≤ 0.060%, 0.0005% ≤ B ≤ 0.0040%, 0.003% ≤ N ≤ 0.010%, S ≤ 0.005%, P ≤ 0.025%, 철 및 제조로부터 초래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인 잔부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은 코팅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하부측 실 부분 (4) 에 부착되고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고도 방향 (elevation direction) 으로 연장되는 전방 필러 (1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필러 (18) 는 하부측 실 부분 (4) 의 종방향 전방 단부 (14) 로부터 연장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플로어 패널 (1), 상기 플로어 패널 (1) 아래에서 종방향으로 모두 연장되는 왼쪽 종방향 빔 (2) 및 오른쪽 종방향 빔 (2), 상기 플로어 패널 (1) 의 양측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왼쪽 하부측 실 부분 (4) 및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4), 왼쪽 종방향 빔 (2) 과 왼쪽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연장되는 왼쪽 보강 요소 (6) 및 오른쪽 종방향 빔 (2) 과 오른쪽 하부측 실 부분 (4) 사이에서 연장되는 오른쪽 보강 요소 (6) 를 포함하고, 상기 왼쪽 보강 요소 (6) 및 상기 오른쪽 보강 요소 (6) 는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은 왼쪽 종방향 빔 (2) 과 오른쪽 종방향 빔 (2) 사이에 연장되는 횡방향 빔 (4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빔 (40) 은 왼쪽 보강 요소 (6) 및 오른쪽 보강 요소 (6) 와 동일한 횡방향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횡방향 빔 (40) 은 12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프레스 경화된 강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필러 (18) 은 상기 전방 필러 (18) 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조립되는 내부 전방 필러 부품 (19) 및 외부 전방 필러 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을 포함하는 차량 보디.
KR1020237035959A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KR202301527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5/059478 WO2017098302A1 (en) 2015-12-09 2015-12-09 Vehicle underbody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between a longitudinal beam and a lowerside sill part
IBPCT/IB2015/059478 2015-12-09
PCT/EP2016/002076 WO2017097424A2 (en) 2015-12-09 2016-12-09 Vehicle underbody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between a longitudinal beam and a lowerside sill part
KR1020187016040A KR20180090810A (ko)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40A Division KR20180090810A (ko)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774A true KR20230152774A (ko) 2023-11-03

Family

ID=548841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40A KR20180090810A (ko)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KR1020237035959A KR20230152774A (ko)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040A KR20180090810A (ko) 2015-12-09 2016-12-09 종방향 빔과 하부측 실 부분 사이에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차량 언더보디 구조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676138B2 (ko)
EP (1) EP3386847B1 (ko)
JP (1) JP2019503922A (ko)
KR (2) KR20180090810A (ko)
CN (1) CN108367789B (ko)
BR (1) BR112018010890B1 (ko)
CA (1) CA3006324C (ko)
ES (1) ES2774007T3 (ko)
HU (1) HUE049731T2 (ko)
MA (1) MA43420B1 (ko)
MX (1) MX2018006981A (ko)
PL (1) PL3386847T3 (ko)
RU (1) RU2718204C2 (ko)
WO (2) WO2017098302A1 (ko)
ZA (1) ZA2018031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4944B2 (en) * 2018-05-14 2020-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rame
BR112022011114A2 (pt) * 2019-12-24 2022-08-23 Arcelormittal Dispositivo de transporte reforçado, processos para a montagem de um dispositivo de transporte reforçado e para a montagem de um conjunto de bateria reforçado e conjunto de bateria reforçado
DE102020119480A1 (de) 2020-07-23 2022-01-2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ahrzeugboden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2244B2 (ja) * 1996-06-05 1999-01-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下部ボディ構造
JP3456110B2 (ja) * 1997-05-16 2003-10-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DE10232840A1 (de) * 2002-07-19 2004-02-05 Volkswagen Ag Bodenstruktur an Kraftfahrzeugen
JP4423898B2 (ja) * 2003-07-22 2010-03-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JP2006224909A (ja) * 2005-02-21 2006-08-31 Toyota Motor Corp 補強構造
JP4900095B2 (ja) * 2007-07-06 2012-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フロア構造
JP4486673B2 (ja) * 2007-12-11 2010-06-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DE102008020527A1 (de) * 2008-04-24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Rahm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22399A1 (de) * 2008-05-06 2009-11-19 Thyssenkrupp Stee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ahlformteils mit einem überwiegend ferritisch-bainitischen Gefüge
DE102008030279A1 (de) * 2008-06-30 2010-01-07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Partielles Warmformen und Härten mittels Infrarotlampenerwärmung
JP4653210B2 (ja) * 2008-11-12 2011-03-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5272877B2 (ja) * 2009-04-24 2013-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構造
DE102010004081C5 (de) * 2010-01-06 2016-11-0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Verfahren zum Warmformen und Härten einer Platine
DE102010019992A1 (de) * 2010-05-10 2011-11-10 Volkswagen Ag Karosseriestruktur, insbesondere Boden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US20110315281A1 (en) * 2010-06-24 2011-12-29 Magna International Inc. Tailored Properties By Post Hot Forming Processing
EP2585621B1 (en) * 2010-06-24 2021-01-27 Magna International Inc. Tailored properties by post hot forming processing
JP5712291B2 (ja) * 2011-07-12 2015-05-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サイドアウタパネル
JP5421964B2 (ja) * 2011-08-31 2014-0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JP5934534B2 (ja) * 2012-03-27 2016-06-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FR2989053B1 (fr) * 2012-04-05 2014-03-21 Renault Sa Chassis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absorption d'un choc frontal
CN202806890U (zh) * 2012-08-15 2013-03-2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地板骨架及车辆
JP6058412B2 (ja) * 2013-01-31 2017-01-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6176468B2 (ja) * 2014-04-11 2017-08-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PL3197752T3 (pl) * 2014-09-22 2019-05-31 Arcelormittal Sposoby wytwarzania trójwymiarowego wewnętrznego elementu wzmacniającego ramę drzwi pojazdu, wytwarzania ramy drzwi pojazdu i wytwarzania konstrukcji wzmacniającej pojazd
US20160145731A1 (en) * 2014-11-26 2016-05-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ling Liquid Metal Embrittlement In Galvanized Press-Hardened Components
WO2017006144A1 (en) * 2015-07-09 2017-01-12 Arcelormittal Steel for press hardening and press hardened part manufactured from such steel
JP6235637B2 (ja) * 2016-02-29 2017-11-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7902A1 (en) 2019-07-18
CN108367789A (zh) 2018-08-03
JP2019503922A (ja) 2019-02-14
HUE049731T2 (hu) 2020-10-28
KR20180090810A (ko) 2018-08-13
RU2718204C2 (ru) 2020-03-31
WO2017097424A2 (en) 2017-06-15
PL3386847T3 (pl) 2020-07-13
US10676138B2 (en) 2020-06-09
BR112018010890A2 (pt) 2018-11-21
CN108367789B (zh) 2020-12-18
ES2774007T3 (es) 2020-07-16
CA3006324C (en) 2023-08-08
CA3006324A1 (en) 2017-06-15
RU2018120530A3 (ko) 2020-02-18
RU2018120530A (ru) 2019-12-05
MA43420B1 (fr) 2020-04-30
EP3386847A2 (en) 2018-10-17
BR112018010890B1 (pt) 2023-05-02
ZA201803109B (en) 2021-01-27
EP3386847B1 (en) 2020-02-05
MX2018006981A (es) 2018-09-05
WO2017098302A1 (en) 2017-06-15
BR112018010890A8 (pt) 2023-01-17
WO2017097424A3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4169B2 (en) Bumper-reinforcing system for motor vehicle
KR10257580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부품
JP6652966B2 (ja) 車両底部構造および車両ボディ
JP5327614B2 (ja) 車体のピラー構造
JP6706260B2 (ja) 側面衝突に対する強化された車のドア
US20130285414A1 (en) Automatic vehicle stiffened pillar assembly
WO2016046593A1 (en) Reinforcement element for a vehicl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oor assembly
EP3386847B1 (en) Vehicle underbody structure comprising a reinforcement element between a longitudinal beam and a lowerside sill part
US20210309300A1 (en) Member and vehicle frame
JP6808046B2 (ja) 車両区画の背面のための補強構造
KR102202098B1 (ko) 차량용 시트 크로스 멤버 조립체
KR102574008B1 (ko) 하부측 실 및 하부 전방 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A2938182A1 (en) Skeletal component for automobile and front pillar lower including the same
CN116080571A (zh) 用于车辆的保险杠横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