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344B1 - 후방 차체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후방 차체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344B1
KR102335344B1 KR1020170060522A KR20170060522A KR102335344B1 KR 102335344 B1 KR102335344 B1 KR 102335344B1 KR 1020170060522 A KR1020170060522 A KR 1020170060522A KR 20170060522 A KR20170060522 A KR 20170060522A KR 102335344 B1 KR102335344 B1 KR 10233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rear floor
right side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783A (ko
Inventor
도록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344B1/ko
Priority to US15/668,413 priority patent/US10207745B2/en
Priority to CN201710723763.2A priority patent/CN108860325B/zh
Publication of KR2018012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7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pecial steel or specially treated steel, e.g. stainless steel or locally surface hardened st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후방 차체 보강구조가 개시된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실 멤버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실 멤버와 결합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실 멤버에 그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도록 결합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된 터널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널부를 보강하도록 결합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좌우 양측의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좌우 양측의 터널 사이드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횡방향 보강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후방 차체 보강구조{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 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플로어 패널에 환형 트러스 구조를 적용한 후방 차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플로어 패널은 차체 바닥면을 형성하는 패널로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프런트 플로어 패널과 센터 플로어 패널 및 리어 플로어 패널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플로어 패널의 상면에는 승객실에 탑승한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시트 등이 장착되고, 플로어 패널의 하면에는 배기 파이프나 프로펠러 샤프트 등이 장착되며, 플로어 패널의 후방부는 트렁크 룸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플로어 패널은 소정 두께의 강판재를 대체로 직사각 패널 형상으로 형성하여 제작되고 있는 바, 플로어 패널의 강성은 차량의 NVH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플로어 패널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특히 리어 플로어 패널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 횡방향 보강부재를 리어 플로어 패널에 장착하고 있었지만, 리어 플로어 패널의 강성을 충분히 증대시키기에는 미흡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리어 플로어 패널에 환형 트러스 구조를 적용하여, 리어 플로어 패널의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을 증대시켜 차량의 NVH 성능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후방 차체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구조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실 멤버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실 멤버와 결합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실 멤버에 그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도록 결합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된 터널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널부를 보강하도록 결합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후방 차체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좌우 양측의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좌우 양측의 터널 사이드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횡방향 보강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의 양단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하면에 오버랩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는 알루미늄 판재 혹은 강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실 멤버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방으로 연장된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이 부착되고;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걸쳐져서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는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와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 및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에 의해 삼각 트러스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에는 마운팅 브래킷이 부착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의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사이에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가 걸쳐져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는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을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의 마운팅 브래킷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은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의 일단과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들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서로 근접되게 장착되며;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타단들은 서로 예각으로 벌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2횡방향 보강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3횡방향 보강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3횡방향 보강멤버는 상기 제2횡방향 보강멤버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횡방향 보강멤버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구조에 의하면,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에 의해 후방 차체의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어, 급격한 차선 변경, 선회주행 같은 횡하중의 입력 조건에서 더욱 향상된 차체의 일체 강성감을 확보할 수 있고,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전반부의 횡굽힘 거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요철로와 같은 상하 하중의 입력상황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연결된 스페어 타이어부의 상하 굽힘 모드가 억제되어, 차량의 NVH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와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 및 제2,3횡방향 보강멤버를 통해 좌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를 서로 연결되게 하고, 이와 더불어 좌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를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를 통해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과도 연결되게 함으로써, 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상하 진동 및 굽힘 변형을 저감하여 차량의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방 차체 보강구조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강구조가 적용되는 후방 차체는, 대체로 강판재로 직사각 패널 형상으로 제작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10)을 구비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패널(10)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배치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20)이 리어 플로어 패널(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 플로어 패널(20)에는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융기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터널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널부(22)는 배기계 파이프나 소음기 혹은 프로펠러 샤프트 등이 수용될 수 있다.
터널부(22)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터널부(22)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터널 사이드 멤버(24)가 결합될 수 있다. 터널 사이드 멤버(24)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센터 플로어 패널(20)에는 그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가 결합될 수 있다.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고, 터널 사이드 멤버(24)보다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는 터널부(22)를 기준으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플로어 패널(20)의 가장자리와 리어 플로어 패널(10)의 일부 가장자리에는 사이드 실 멤버(30)가 결합될 수 있고, 사이드 실 멤버(30)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실 멤버(30)의 후단부에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가 결합될 수 있고,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제1횡방향 보강멤버(40)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와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 터널 사이드 멤버(24) 및 리어 플로어 패널(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횡방향 보강멤버(40)의 일단은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 중의 일측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에 결합하고, 순차적으로 일측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 일측 터널 사이드 보강멤버(24), 타측 터널 사이드 보강멤버(24), 타측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 및 타측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횡방향 보강멤버(40)의 양단부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의 하면(34)에 오버랩되어 볼트로 체결될 수 있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곧게 뻗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횡방향 보강멤버(40)는 5mm 내외의 두께와 50mm 정도의 폭을 가진 알루미늄 판재 혹은 강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플로어 패널에 장착된 종방향 멤버들, 즉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들과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들 및 터널 사이드 멤버(24)들을 제1횡방향 보강멤버(4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플로어 패널의 굽힘 강성 등을 증대시켜 차량의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 실 멤버(30)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방으로 연장된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이 부착되고,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과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에 걸쳐져서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는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과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를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26)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와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 및 제1횡방향 보강멤버(40)에 의해 삼각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어,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의 전반부와 리어 플로어 패널(10)의 결합 강성이 증대되고, 이에 따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의 좌우 굽힘 거동 및 비틀림 거동이 억제됨으로써, 차량의 NVH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리어 플로어 패널(10)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이 결합되고,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에는 마운팅 브래킷(62)이 부착되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의 마운팅 브래킷(62)과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사이에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가 걸쳐져서 장착될 수 있다.
즉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는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과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을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의 마운팅 브래킷(62)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의 일단은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의 일단과 오버랩된 상태로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의 일단들은 마운팅 브래킷(62)에 서로 근접되게 장착될 수 있고,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의 타단들은 서로 예각으로 벌어지게 연장되어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장착된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에 의해 후방 차체의 굽힘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증대되어, 급격한 차선 변경, 선회주행 같은 횡하중의 입력 조건에서 더욱 향상된 차체의 일체 강성감을 확보할 수 있고,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 전반부의 횡굽힘 거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요철로와 같은 상하 하중의 입력상황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10)과 연결된 스페어 타이어부의 상하 굽힘 모드가 억제되어, 차량의 NVH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도 5mm 내외의 두께와 50mm 정도의 폭을 가진 알루미늄 판재 혹은 강판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2)은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가 지나가는 경로가 연료 탱크, 리어 서스펜션, 리어 배기계 등과의 적절한 여유 갭을 확보하고,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의 하면과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36) 사이의 높이 차이를 흡수하기 위함이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62)에는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2횡방향 보강멤버(54)가 장착될 수 있고,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3횡방향 보강멤버(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횡방향 보강멤버(56)는 제2횡방향 보강멤버(54)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는 그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비틀어짐이나 휘어짐의 발생하여 특정한 차량주행 조건에서 이상거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초래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횡방향 보강멤버(54)를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들이 만나는 지점에서 그 일단들을 강건하게 일체로 연결되게 하고, 제3횡방향 보강멤버(56)를 통해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를 횡방향으로 일체로 강건하게 서로 연결되게 한 것이다.
물론, 제2횡방향 보강멤버(54)를 사용하지 않고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의 일단들을 마운팅 브래킷(62)에 직접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의 소정 부위에서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방으로 꺾여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데, 이 경사부(322)로 인해 차량의 주행시 후방 차체가 상하 진동 및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와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50) 및 제2,3횡방향 보강멤버(54,56)를 통해 좌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를 서로 연결되게 하고, 또한 좌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를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52)를 통해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60)과도 연결되게 함으로써, 후방 차체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대시켜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32)의 상하 진동 및 굽힘 변형을 저감하여 차량의 NVH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리어 플로어 패널
20: 센터 플로어 패널
22: 터널부
24: 터널 사이드 멤버
26: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30: 사이드 실 멤버
32: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36: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
40: 제1횡방향 보강멤버
50: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
52: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
54: 제2횡방향 보강멤버
56: 제3횡방향 보강멤버
60: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
62: 마운팅 브래킷

Claims (13)

  1.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실 멤버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실 멤버와 결합되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사이드 실 멤버에 그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센터 플로어 패널과 리어 플로어 패널;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을 보강하도록 결합된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상기 센터 플로어 패널에 차량의 높이 방향 상방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된 터널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터널부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터널부를 보강하도록 결합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포함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좌우 양측의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좌우 양측의 터널 사이드 멤버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횡방향 보강멤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사이드 실 멤버에는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방으로 연장된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이 부착되고;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결합되며;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걸쳐져서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가 장착되고,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는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이 결합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에는 마운팅 브래킷이 부착되며;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의 마운팅 브래킷과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사이에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가 걸쳐져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의 양단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하면에 오버랩되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는 알루미늄 판재 혹은 강판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는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센터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와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 및 상기 제1횡방향 보강멤버에 의해 삼각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는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과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을 연결하는 형태로, 그 일단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됨과 더불어 그 타단이 상기 스페어 타이어 웰 패널의 마운팅 브래킷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은 상기 리어 플로어 코너 보강멤버의 일단과 오버랩된 상태로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들은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 서로 근접되게 장착되며;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타단들은 서로 예각으로 벌어지게 연장되어 상기 리어 로어 익스텐션 패널에 각각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래킷에는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의 일단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2횡방향 보강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양측의 리어 플로어 경사 보강멤버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제3횡방향 보강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횡방향 보강멤버는 상기 제2횡방향 보강멤버보다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횡방향 보강멤버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차체 보강구조.
KR1020170060522A 2017-05-16 2017-05-16 후방 차체 보강구조 KR10233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2A KR102335344B1 (ko) 2017-05-16 2017-05-16 후방 차체 보강구조
US15/668,413 US10207745B2 (en) 2017-05-16 2017-08-03 Rear vehicle body reinforcing structure
CN201710723763.2A CN108860325B (zh) 2017-05-16 2017-08-22 后车身加强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2A KR102335344B1 (ko) 2017-05-16 2017-05-16 후방 차체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83A KR20180125783A (ko) 2018-11-26
KR102335344B1 true KR102335344B1 (ko) 2021-12-03

Family

ID=6427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22A KR102335344B1 (ko) 2017-05-16 2017-05-16 후방 차체 보강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7745B2 (ko)
KR (1) KR102335344B1 (ko)
CN (1) CN10886032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884B2 (ja) * 2007-06-28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DE102010039109A1 (de) * 2010-08-10 2012-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4216C2 (de) 1992-12-24 1996-05-23 Porsche Ag Kraftfahrzeugkarosserie
US5501289A (en) * 1993-01-22 1996-03-26 Nissan Motor Co., Ltd. Floor structure of electric vehicle
US7104596B2 (en) * 2003-10-16 2006-09-12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09039808A1 (de) * 2009-07-06 2011-01-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Heckbodenanordnung und Rahmenstruktur einer selbsttragenden Fahrzeugkarosserie
CN102233901B (zh) * 2010-04-23 2013-08-0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多边形截面车架以及车身后部构造
JP5799747B2 (ja) * 2011-10-21 2015-10-28 マツダ株式会社 車体のフロアパネル構造およびその設計方法
JP6035916B2 (ja) * 2012-07-05 2016-11-30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13101395A1 (de) * 2013-02-13 2014-08-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karosserieseitiger Diagonalstrebenanordnung
JP5968971B2 (ja) 2013-12-05 2016-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CN105730522B (zh) * 2014-12-08 2019-05-07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下车体和汽车
KR101714169B1 (ko) * 2015-07-15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플로어바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6884B2 (ja) * 2007-06-28 2009-07-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構造
DE102010039109A1 (de) * 2010-08-10 2012-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4194A1 (en) 2018-11-22
US10207745B2 (en) 2019-02-19
CN108860325A (zh) 2018-11-23
CN108860325B (zh) 2021-08-31
KR20180125783A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224B2 (en) Engine cradle with deflector device
US9862423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US7942473B2 (en)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KR101485978B1 (ko) 앞 차체 구조
KR101394760B1 (ko) 자동차의 프런트 쇽업소버용 강성 보강 장치
JP5966280B2 (ja) 車両用ストラットタワー補強構造
JP5109124B2 (ja) 車体下部の補強構造
JP5754339B2 (ja) ストラット型サスペンション取り付け構造
KR102335344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KR20120045894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JP5215917B2 (ja) 車体下部構造
US9493131B2 (en) Structure for front of vehicle body
JP660357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補強構造
JP5496727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13071644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部構造
KR102429001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보강유닛
JP4581621B2 (ja) 車両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US20170253277A1 (en) Body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JP2013220797A (ja) 車両用リアボディ構造
JP2019182320A (ja) 車体下面構造
JP607677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WO2016181530A1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2013100108A (ja) 車体下部構造
JP7040481B2 (ja) 後部車体構造
KR20110000429A (ko) 자동차의 토션빔액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