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800B1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800B1
KR101703800B1 KR1020157004119A KR20157004119A KR101703800B1 KR 101703800 B1 KR101703800 B1 KR 101703800B1 KR 1020157004119 A KR1020157004119 A KR 1020157004119A KR 20157004119 A KR20157004119 A KR 20157004119A KR 101703800 B1 KR101703800 B1 KR 10170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ive example
remainder remainder
hydroxyapatite
calcium
potassium ni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270A (ko
Inventor
토모키 사이토
히로유키 카와마타
카즈시 오타
슈지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상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상기
Publication of KR20150034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4Phosphorou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높은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고 지각과민증 억제 효과가 뛰어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을 촉진함으로써 지각과민증을 억제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차가운 것이나 뜨거운 것, 단 것이나 시큼한 것 등을 입에 넣었을 때 날카롭고 갑작스런 치아의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지각과민으로 불리고 있는데, 치주염 등에 의해 잇몸이 가늘어져 치근부의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나 에나멜질이 손실되어 상아질이 노출된 경우에 일어난다고 하여, 상아질 지각과민증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러한 상아질 지각과민증은 상아질 표면의 상아세관이 열리고, 여기에 양치질이나 온도 등의 물리적 및 화학적인 자극이 더해져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발병 메카니즘은 다양한 설이 있어 충분히 해명되고 있지 않다. 현재는 양치질이나 온도 등의 자극이 더해져 상아세관내액이 이동한다고 하는'정수 역학적 이론(hydrodynamic theory)'이 유력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심미성을 얻을 수 있는 치아미백 처치에서도 지각과민의 문제가 염려되고 있으며,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억제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아질 지각과민증을 억제하는 수단 중 하나인 상아질세관을 봉쇄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산성 불소인산-탄닌산 용액 성분, 염화란탄 수용액 성분 및 플루오르아파타이트계 글라스 분말을 함유한 치과용 지각과민 치료제를 이용하는 방법(특허 문헌 1), 또는 옥살산 화합물 용액과 칼슘 화합물 용액으로 이루어진 상아질 지각과민 치료제를 이용하는 방법(특허 문헌 2)이 제안되었다. 또한,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이용한 상아세관을 봉쇄하는 방법으로, 입경이 1.0μm~5.0μm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사용한 지각과민증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특허 문헌 3), 또는 입경이 900nm이하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소결체 입자를 상아세관 봉쇄재에 사용함으로써 상아세관의 봉쇄재를 이용하는 방법(특허 문헌 4) 등이 제안되었다.
또한, 지각과민의 완화 및 억제제로 질산칼륨이 사용되고 있으며, 질산칼륨을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로서, 질산칼륨과 불화 제1주석을 함유한 지각과민 억제 치약제(특허 문헌 5), 질산칼륨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에 아미노산 및 그 염 또는 핵산 및 그 염을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특허 문헌 6), 칼륨염과 알루미늄염을 특정 농도로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특허 문헌 7), 질산칼륨, 환원 팔라티노스를 배합한 구강용 조성물(특허 문헌 8) 등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제2 인산칼슘)은 치약용 베이스, 청소제, 연마제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을 이용한 구강용 조성물의 예로, 치아 표면의 치태를 제거하여 치아를 보다 하얗게 할 목적으로, 평균 입경 3.5~10μm, 붕괴 강도 0.1~5g/개인, 탄산칼슘, 제2 인산칼슘, 제3 인산칼슘, 피로인산칼슘 및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서 선택되는 입자의 응집 입자를 함유하는 치약제 조성물(특허 문헌 9), 치아를 너무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치아의 착색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2 인산칼슘, 제3 인산칼슘, 피로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실리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제올라이트, 복합 알루미노규산염, 벵가라 등의 연마제로 이용되고 있는 분체로 만든, 평균 입경 100~500μm, 붕괴 강도 0.1~10g/개인 과립, 및 모스 경도 2~6, 평균 입경 0.5~5μm인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제2 인산칼슘 무수물, 제3 인산칼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수산화 알루미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연마성 분체를 함유하는 치약제 조성물(특허 문헌 10) 등이 제안되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9-249515호 [특허 문헌 2]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247456호 [특허 문헌 3]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10-17449호 [특허 문헌 4]일본 특허공개공보 2005-325102호 [특허 문헌 5]일본 특허공표공보 특표2002-512177호 [특허 문헌 6]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8-175943호 [특허 문헌 7]일본 특허공개공보 2001-172146호 [특허 문헌 8]일본 특허공개공보 2003-73246호 [특허 문헌 9]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154126호 [특허 문헌 10]일본 특허공개공보 특개평10-316547호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가지며 지각과민증 억제 효과가 뛰어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와 함께,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을 동시에 배합함으로써, 놀랍게도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성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질산칼륨은 단독으로는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가지지 않으며,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또는 인산일수소칼슘 중 하나에 혼합해도 특별한 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나,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인산일수소칼슘과 병용함으로써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는 예상 밖의 효과를 발견했다.
즉, 본 발명은, (1)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2) 인산일수소칼슘이 인산일수소칼슘·2 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의 구강용 조성물, (3)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배합량이 0.5~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의 구강용 조성물, (4) 질산칼륨의 배합량이 2.5~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하나의 구강용 조성물, (5) 인산일수소칼슘의 배합량이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환산으로 0.5~2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의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의 3성분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로, 상아질세관을 봉쇄하는 능력이 높고 지각과민증의 억제에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처리되지 않은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5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30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비교예 11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30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비교예 31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43의 침지 처리 후의 상아질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상아세관내 통액 시험에 사용한 스플릿 챔버(분할 세공) 장치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은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을 함유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형태는 고체, 고형물, 액체, 액상, 겔체, 페이스트 형태, 검 형태 등 어느 형태도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페이스트 치약, 액체 치약, 액상 치약, 습식 분말 치약 등의 치약류, 구강 세척제, 연고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의 3성분을 함유함으로써,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율의 상승(相乘)적인 향상이라는 예상 밖의 효과를 달성한다. 즉, 이들 3성분 중 2성분을 배합해도 상아세관 봉쇄율의 상승적인 향상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나, 이들 3성분을 배합함으로써 비로소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율의 상승적인 향상 효과가 인정된다(상세히는 실시예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인산칼슘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합성되는 것 외에, 천연 경조직으로서 연어 등의 식용 어류의 생선뼈, 돼지뼈, 소뼈 등으로부터 수득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화학양론적으로 Ca10(PO4)6(OH)2로 이루어진 조성으로 나타내는데, Ca/P몰비가 1.67이 되지 않는 비화학양론적인 것이라도,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성질을 나타냄과 동시에 아파타이트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a/P몰비가 1.4~1.8 정도인 합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도 본 발명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결정성, 저결정성, 비정질 중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충치 예방 효과의 관점에서 저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이하, 저결정성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비정질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아몰퍼스(amorphous) 히드록시아파타이트'라 칭한다). 아울러,'저결정성'이란 X선회절 피크가 고결정성 분체에 비해 브로드한(broad) 결정질의 것을 의미한다. 또한 '비정질'이란 X선회절 패턴이 폭넓은 할로를 나타내며, 결정의 특징을 나타내는 회절 패턴이 수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몰퍼스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예를 들어 습식 합성법으로 합성한 아파타이트를 동결건조 또는 100℃ 이하의 온도로 건조하거나 300℃ 정도 이하의 온도로 소성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는 통상적으로 분말 형태 또는 물에 현탁시킨 상태로 사용되며,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경 분포 분석 장치(LA-950, HORIBA, Ltd.)로 측정한 최대 입경이 100μ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경의 하한은 제조상 0.001μm정도이다. 또한, 평균 입경은 0.01~10μm인 것이 바람직하며, 0.05~5μ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울러,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BET법에 따른 비표면적은 100m2/g이하 정도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분말화 후에 건조 처리, 다공화 처리, 정전 처리 등을 실시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배합량은,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많을 수록 바람직하지만, 점도 등의 제재상의 관점도 고려하면 0.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1~1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10중량%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 작용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으며, 상기와 같이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많을 수록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와 병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상승적으로 높일 수 있으므로, 고가의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질산칼륨은 화학식으로 KNO3로 표현되는 질산염의 일종으로, 식품첨가물, 일급 시약, 특급 시약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질산칼륨은 이온화한 칼륨이 신경 전달을 억제하여 지각과민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어, 최근에는 지각과민용 치약제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치아 상아질세관을 봉쇄하는 능력은 갖고 있지 않다(비교예 8~11 참조).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질산칼륨을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인산일수소칼슘과 병용함으로써,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는 예상 밖의 효과를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의 질산칼륨의 배합량은,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많을 수록 바람직하지만, 점도 등의 제재상의 관점도 고려하면 2.5~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5~1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일수소칼슘은 화학식으로 CaHPO4로 표현되는 인산칼슘의 일종이며, 무수물 또는 수화물 모두 가능하다. 인산일수소칼슘으로는 흡습성 및 안정성의 관점에서 화학식 CaHPO4 ·2H2O로 표현되는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DCPD)이 바람직하다.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은 의약품 부형제, 칼슘 강화제, 치약용 베이스, 사료 첨가제, 합성 수지 개질제, 유약 원료, 세라믹 원료로 넓게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은 식품첨가물, 일본약전,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등 어떤 것이든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인산일수소칼슘으로 무수 인산칼슘을 사용한 경우, 상기 무수 인산칼슘이 흡습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조정시 또는 사용시에 안정적인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의 인산일수소칼슘의 배합량은,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 향상의 관점에서는 많을수록 바람직하지만, 점도 등의 제재상의 관점도 고려하면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환산으로 0.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1~2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20중량%인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이 단독으로도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가져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혔으나(비교예 12~17 참조),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질산칼륨과 병용하는 경우 그 봉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서, 지극히 높은 봉쇄능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인산일수소칼슘에 비해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높은 봉쇄능을 저가로 구현하는 경우에는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비해 인산일수소칼슘을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술한 필수 3성분에 더해, 구강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습윤제, 발포제, 향료, 감미료, 방부제 등의 각종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의 구체적인 예를 하기와 같이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성분이 이러한 성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마제로는, 인산칼슘, 제3 인산칼슘, 탄산칼슘, 피로인산칼슘, 연마성 침강 실리카, 연마성 겔 실리카 등의 실리카,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산화티탄, 규산지르코늄,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제3 인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황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벤토나이트, 합성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자일리톨, 에틸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발포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신나트륨,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증점제로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젤라틴, 풀루란,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로카스트빈검,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풀루란, 트라가칸트검, 잔탄검, 펙틴, 푸르셀라란(furcellaran), 키토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아크릴산, 펩톤, 카제인, 콜라겐, 알부민, 아라비아검, 카라야검, 유드라짓(Eudragit), 에틸셀룰로오스, 초산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디메틸아미노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디부틸히드록시프로필에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린산 솔비탄,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리세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솔베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로마크로골, 알킬황산나트륨, 알킬인산에스테르,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N-아실사르코신산나트륨, N-아실글루타민산염,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리코시드류,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베타인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는, 유동 파라핀, 파라핀, 세틸알콜 및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라놀린, 경랍, 카르나우바납, 지방산류,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린산헥사데실, 올레인산데실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 스쿠알란, 스쿠알렌, 중쇄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실리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알코올로는,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 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1, 5-펜타디올, 소르비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데카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펜타에리스리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라놀린알코올·밀납 유도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아민·지방산 아미드,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단일쇄장(chain length)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 미리스틸황산나트륨,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황산염, N-아실아미노산 및 그 염, N-아실메틸타우린 및 그 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초산염, 알킬설포카르복시산염, α-올레핀설폰산염, 알킬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인산염,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알킬암모늄, 알킬벤질암모늄염, 양성 계면활성제인 초산베타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레시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라우릴산데카그리세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및 그 염, 인산 및 그 염, 말산 및 그 염, 글루콘산 및 그 염, 말레산 및 그 염, 아스파라긴산 및 그 염, 숙신산 및 그 염, 글루쿠론산 및 그 염, 푸마르산 및 그 염, 글루타민산 및 그 염, 아디핀산 및 그 염, 염산 등의 무기산, 불화수소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수산화알칼리금속, 트리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염산알킬디아미노에틸글리신,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는, 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에데트산 또는 그 염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향료로는, 멘톨,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의 정유, 유칼리유, 오렌지유, 레몬유, 동록유(winter green oil), 정향유(clove oil), 박하유, 티미유(thyme oil), 세이지유(sage oil), 카르본(carvone), 리날룰(linalool), 유게놀(eugenol), 아네톨(anethole), 허브 민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안정화제로는, 비타민C, 비타민E 및 이들의 유도체,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아황산수소나트륨,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디히드로칼콘, 글리시리진, 아스파르틸페닐알라닌메틸에스테르, 아세설팜칼륨, 페릴라틴, p-메톡시신남알데히드, 자일리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외 약효 성분으로는, 알라토인, 초산토코페롤, 이소프로필페놀, 트리클로산, 클로르헥시딘, 클로로필, 플라보노이드, 트라넥삼산, 히노키티올, 염화 세틸피리디늄, 불화나트륨, 불화제1주석,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덱스트라나아제, 뮤타나제, 프로테아제, 아미노카프로산, 글리시리진산, 글리시르레틴산류, 아줄렌, 알라토인, 염화리소자임, 황백추출물, 폴리인산류, 염화나트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이들 임의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범위에서 적절히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인산일수소칼슘이나 그 외 임의 성분은, 제조 과정의 어느 과정에서 첨가해도 된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드록시아파타이트의 제조]
교반하의 수산화칼슘 현탁액에 농도 30질량%의 인산 수용액을 pH10이 될 때까지 적가하고, 생성된 겔 상태의 물질을 실온에서 1일간 방치하여 숙성했다. 그 후, 겔 상태의 물질을 글라스 필터로 여과하고, 남은 물질을 100℃의 공기에서 건조시킴으로써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분말을 수득했다. 수득된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분말은 최대 입경이 약 40μm, 최소 입경이 약 0.05μm, 평균 입경이 약 5μm였다.
[질산칼륨]
질산칼륨은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의 시약 특급을 사용했다.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은 Taihei Chemical Industrial Co. Ltd.의 의약 부외품 원료 규격 2006을 사용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구강용 조성물의 조제]
하기 조성의 페이스트 치약제, 구강 세척제 및 상아세관 봉쇄제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상아세관 봉쇄성 시험을 실시했다.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히드록시아파타이트 0.5 0.5 0.5 0.5 0.5 0.5
질산칼륨 2.5 2.5 5.0 5.0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25.0 5.0 20.0 0.5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 1.0 1.0 1.0 1.0 1.0
질산칼륨 2.5 2.5 5.0 5.0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25.0 5.0 10.0 0.5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히드록시아파타이트 5.0 5.0 5.0 5.0 5.0 5.0
질산칼륨 2.5 2.5 5.0 7.5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25.0 10.0 10.0 0.5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0 10.0 10.0 10.0 10.0 10.0
질산칼륨 2.5 2.5 5.0 7.5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25.0 1.0 20.0 0.5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30
히드록시아파타이트 20.0 20.0 20.0 20.0 20.0 20.0
질산칼륨 2.5 2.5 5.0 7.5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25.0 20.0 5.0 0.5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히드록시아파타이트 - 0.5 1.0 5.0 10.0 20.0
질산칼륨 - - - - - -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 - - - -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히드록시아파타이트 - - - -
질산칼륨 2.5 5.0 7.5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 - -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히드록시아파타이트 - - - - - -
질산칼륨 - - - - - -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1.0 5.0 10.0 20.0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18 비교예19 비교예20 비교예21 비교예22 비교예23
히드록시아파타이트 0.5 0.5 - 0.5 0.5 -
질산칼륨 - 2.5 2.5 -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 0.5 25.0 -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24 비교예25 비교예26 비교예27 비교예28 비교예29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 1.0 - 1.0 1.0 -
질산칼륨 - 5.0 5.0 - 2.5 2.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5.0 - 5.0 25.0 - 2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30 비교예31 비교예32 비교예33 비교예34 비교예35
히드록시아파타이트 5.0 5.0 - 5.0 5.0 -
질산칼륨 - 5.0 5.0 -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10.0 - 10.0 0.5 - 0.5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36 비교예37 비교예38 비교예39 비교예40 비교예41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0 10.0 - 10.0 10.0 -
질산칼륨 - 7.5 7.5 - 5.0 5.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20.0 - 20.0 1.0 - 1.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42 비교예43 비교예44 비교예45 비교예46
히드록시아파타이트 20.0 20.0 20.0 20.0 -
질산칼륨 - 10.0 - 7.5 7.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25.0 - 5.0 - 5.0
글리세린 20.0 20.0 20.0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잔탄검 0.5 0.5 0.5 0.5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구강 세척제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비교예47 비교예48 비교예49
히드록시아파타이트 0.5 0.5 0.5 0.5 - -
질산칼륨 2.5 5.0 10.0 - 10.0 -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0.5 0.5 - - 0.5
에틸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멘톨 0.4 0.4 0.4 0.4 0.4 0.4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구강 세척제
비교예50 비교예51 비교예52 비교예53 비교예54 비교예55 비교예56
히드록시아파타이트 0.5 0.5 0.5 0.5 - - -
질산칼륨 2.5 5.0 10.0 - 2.5 5.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 - 0.5 0.5 0.5 0.5
에틸알코올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1.0 1.0
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멘톨 0.4 0.4 0.4 0.4 0.4 0.4 0.4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실시예37 실시예38 실시예39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 5.0 5.0 5.0 5.0 5.0
질산칼륨 2.5 5.0 10.0 2.5 5.0 7.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1.0 0.5 5.0 10.0 15.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40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히드록시아파타이트 5.0 10.0 10.0 10.0 10.0
질산칼륨 10.0 2.5 5.0 7.5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20.0 20.0 25.0 25.0 25.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45 실시예46 실시예47 실시예48 실시예49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5.0 15.0 15.0 15.0 20.0
질산칼륨 2.5 5.0 7.5 10.0 2.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20.0 10.0 5.0 0.5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57 비교예58 비교예59 비교예60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 5.0 10.0 20.0
질산칼륨 - - - -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 - -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61 비교예62 비교예63 비교예64
히드록시아파타이트 - - - -
질산칼륨 2.5 5.0 7.5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 - -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65 비교예66 비교예67 비교예68 비교예69 비교예70 비교예71
히드록시아파타이트 - - - - - - -
질산칼륨 - - - - - - -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0.5 1.0 5.0 10.0 15.0 20.0 25.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72 비교예73 비교예74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 1.0 -
질산칼륨 2.5 - 2.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1.0 1.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75 비교예76 비교예77 비교예78 비교예79 비교예80
히드록시아파타이트 5.0 5.0 - 5.0 5.0 -
질산칼륨 5.0 - 5.0 10.0 -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15.0 15.0 - 20.0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81 비교예82 비교예83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0.0 10.0 -
질산칼륨 10.0 -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25.0 25.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84 비교예85 비교예86 비교예87 비교예88 비교예89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5.0 15.0 - 15.0 15.0 -
질산칼륨 2.5 - 2.5 - 5.0 5.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20.0 20.0 10.0 - 1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90 비교예91 비교예92 비교예93 비교예94 비교예95
히드록시아파타이트 15.0 15.0 - 15.0 15.0 -
질산칼륨 7.5 - 7.5 - 10.0 10.0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 5.0 5.0 0.5 - 0.5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96 비교예97 비교예98
히드록시아파타이트 20.0 20.0 -
질산칼륨 - 2.5 2.5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20.0 - 20.0
폴리에틸렌글리콜 5.0 5.0 5.0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합계 100.0 100.0 100.0
[상아질세관 봉쇄성 시험]
건강한 사람에서 발치한 치아를 이용하여 상아질과 상아세관이 노출되도록 절편을 잘라내, 두께 약 500μm로 연마하고 초음파 세척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제, 구강 세척제, 상아세관 봉쇄제 각각 25g을 증류수로 40mL로 조정한 것을 테스트 용액으로 했다. 시험면 외 부분을 마스킹한 절편을 테스트 용액에 37℃에서 1일 9분간 침투시키고, 5일간 침지 처리를 실시했다.
침지 종료 후, 상아질 처리면의 표면을 전계 방출형 주사전자현미경 FE-SEM(S-4500, HITACHI제품)으로 관찰했다(1,500배, 2,000배). 도1~도7에 미처리 및 침지 시험 종료 후의 치아 상아질 처리면의 표면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냈다. 도1~도7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해 처리한 것은 치아 상아질세관의 봉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아세관내 통액 시험을 실시했다. 상아세관내 통액 시험은, 'O.W. Reeder et al, J.Dent.Res., 57, (2);187-193, 1978'에 나오는 파슐레(Pashley et al)의 방법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스플릿 챔버(분할 세공) 장치를 제작하여 실시했다. 상기 장치의 입구 챔버와 출구 챔버 사이에 상아질 절편을 끼우고, 입구 챔버에 테스트 용액을 넣어 상아질 표면을 처리했다. 또한, 처리 전과 처리 후 그 입구 챔버에 링거액을 압력으로 넣고, 출구 챔버로의 통과량을 통해 상아세관 통액성을 확인했다.
아울러, 지각과민 억제 효과를 주장하며 판매되고 있는 시판품 치약제(치아 상아세관의 봉쇄성이 알려져 있는 젖산 알루미늄을 배합)를 치약제의 비교예로 사용했다(비교예 1).
각각의 테스트 용액의 상아질세관 통액 억제 효과는, 처리 전의 링거액 통과량과 처리 후의 통과량의 차이를 구하고 상아세관의 통액 억제율을 퍼센트로 하기 계산식에 따라 계산했다.
봉쇄율(%) = (처리 전의 통과량-처리 후의 통과량)/(처리 전의 통과량)×100
그 결과를 표 28에 나타냈다.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상아세관 봉쇄율(%) 29.6 49 39.7 48.9 34.5 53.7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상아세관 봉쇄율(%) 40.5 59.9 51.3 55.1 46.4 65.1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상아세관 봉쇄율(%) 51.9 71 65.1 67.8 56.3 75.2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상아세관 봉쇄율(%) 63.6 83 70.6 85.7 69.2 87.7
페이스트 치약제 실시예25 실시예26 실시예27 실시예28 실시예29 실시예30
상아세관 봉쇄율(%) 90.6 100 100 100 95.8 10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상아세관 봉쇄율(%) 51.4 0 6.4 12.6 18.1 25.6 42.3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상아세관 봉쇄율(%) 0 0 0 0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12 비교예13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상아세관 봉쇄율(%) 3.5 6.5 10.7 14 19.3 22.1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18 비교예19 비교예20 비교예21 비교예22 비교예23
상아세관 봉쇄율(%) 9.3 6.4 3.1 28.7 6.4 21.9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24 비교예25 비교예26 비교예27 비교예28 비교예29
상아세관 봉쇄율(%) 23.9 12.8 10.8 34.6 12.2 22.5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30 비교예31 비교예32 비교예33 비교예34 비교예35
상아세관 봉쇄율(%) 32.6 18.2 14.4 21.9 18.7 3.2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36 비교예37 비교예38 비교예39 비교예40 비교예41
상아세관 봉쇄율(%) 45.7 25.8 19.2 32.4 25.5 6.8
페이스트 치약제 비교예42 비교예43 비교예44 비교예45 비교예46
상아세관 봉쇄율(%) 64.6 42 53.4 42.6 10.1
구강 세척제 실시예31 실시예32 실시예33 비교예47 비교예48 비교예49
상아세관 봉쇄율(%) 30.4 33.3 35.3 6.5 0 3.3
구강 세척제 비교예50 비교예51 비교예52 비교예53 비교예54 비교예55 비교예56
상아세관 봉쇄율(%) 6.6 7.1 6.9 10.6 3.8 3 3.9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34 실시예35 실시예36 실시예37 실시예38 실시예39
상아세관 봉쇄율(%) 46.5 56.3 66 63.7 69.9 74.8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40 실시예41 실시예42 실시예43 실시예44
상아세관 봉쇄율(%) 75 82.3 87.5 89.9 90
상아세관 봉쇄제 실시예45 실시예46 실시예47 실시예48 실시예49
상아세관 봉쇄율(%) 95.6 93.2 91.2 84.1 10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57 비교예58 비교예59 비교예60
상아세관 봉쇄율(%) 14.3 19.2 26 43.7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61 비교예62 비교예63 비교예64
상아세관 봉쇄율(%) 0 0 0 0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65 비교예66 비교예67 비교예68 비교예69 비교예70 비교예71
상아세관 봉쇄율(%) 4.5 7.8 11.5 15.1 18.7 20.1 23.2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72 비교예73 비교예74
상아세관 봉쇄율(%) 14.6 20.5 7.6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75 비교예76 비교예77 비교예78 비교예79 비교예80
상아세관 봉쇄율(%) 19.4 37.5 18.7 18.7 39.5 20.8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81 비교예82 비교예83
상아세관 봉쇄율(%) 27.3 49.4 23.6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84 비교예85 비교예86 비교예87 비교예88 비교예89
상아세관 봉쇄율(%) 35.4 54.2 21.4 49.9 34.2 14.9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90 비교예91 비교예92 비교예93 비교예94 비교예95
상아세관 봉쇄율(%) 34.9 46 11.8 38.2 35.9 3.4
상아세관 봉쇄제 비교예96 비교예97 비교예98
상아세관 봉쇄율(%) 63.6 42.7 20.1
비교예 3~7 및 비교예 12~17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은 단독으로 치아 상아세관 봉쇄능을 가지고 있으며, 배합량이 많아짐에 따라 봉쇄율이 높아진다. 한편, 비교예 8~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질산칼륨은 단독으로는 치아 상아세관 봉쇄능을 갖고 있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3과 비교예 19 및 22, 비교예 4와 비교예 25 및 28, 비교예 5와 비교예 31 및 34, 비교예 6과 비교예 37 및 40, 비교예 7과 비교예 43 및 45 등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히드록시아파타이트에 질산칼륨을 배합해도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단독인 경우와 봉쇄율에 변화가 없어 봉쇄성의 향상을 보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비교예 12와 비교예 20, 비교예 13과 비교예 41, 비교예 14와 비교예 26, 비교예 15와 비교예 32, 비교예 16과 비교예 38, 비교예 17과 비교예 23 등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에 질산칼륨을 배합해도,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단독인 경우와 봉쇄율에 변화가 없어 봉쇄성의 향상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비교예 18과 비교예 3 및 12, 비교예 21과 비교예 3 및 17, 비교예 24와 비교예 4 및 14, 비교예 27과 비교예 4 및 17, 비교예 30과 비교예 5 및 15, 비교예 33과 비교예 5 및 12, 비교예 36과 비교예 6 및 16, 비교예 39와 비교예 6 및 13, 비교예 42와 비교예 7 및 17, 비교예 44와 비교예 7 및 14 등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및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의 2 성분을 배합한 경우, 히드록시아파타이트 또는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을 각각 단독으로 배합한 경우의 봉쇄율의 합과 거의 유사하며, 이들의 병용에 따른 상승적인 봉쇄 촉진 효과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반해, 히드록시아파타이트, 질산칼륨 및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의 3성분을 배합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우에는 상승적인 봉쇄율 향상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실시예 1(봉쇄율: 29.6%) 또는 실시예 5(봉쇄율: 34.5%)와 비교예 18(봉쇄율: 9.3%), 실시예 2(봉쇄율: 49.0%) 또는 실시예 6(봉쇄율: 53.7%)과 비교예 21(봉쇄율: 28.7%), 실시예 9(봉쇄율: 51.3%)와 비교예 24(봉쇄율: 23.9%), 실시예 8(봉쇄율: 59.9%) 또는 실시예 12(봉쇄율: 65.1%)와 비교예 27(봉쇄율: 34.6%), 실시예 13(봉쇄율: 51.9%) 또는 실시예 17(봉쇄율: 56.3%)과 비교예 33(봉쇄율: 21.9%), 실시예 21(봉쇄율: 70.6%)과 비교예 39(봉쇄율: 32.4%), 실시예 22(봉쇄율: 85.7%)와 비교예 36(봉쇄율: 45.7%), 실시예 28(봉쇄율: 100%)과 비교예 44(봉쇄율: 53.4%), 실시예 26(봉쇄율: 100%) 또는 실시예 30(봉쇄율: 100%)과 비교예 42(봉쇄율: 64.6%) 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성분 병용으로 인한 상승효과가 명백하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지각과민증의 억제에 매우 뛰어나며 산업상 유용성이 높다.

Claims (5)

  1. 평균 입경이 0.01~10㎛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를 0.5~20 중량%, 질산칼륨을 2.5~10 중량% 및 인산일수소칼슘을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 환산으로 0.5~2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상아질세관 봉쇄능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인산일수소칼슘이 인산일수소칼슘·2수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7004119A 2012-09-05 2013-09-04 구강용 조성물 KR101703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95044 2012-09-05
JP2012195044 2012-09-05
PCT/JP2013/005231 WO2014038195A1 (ja) 2012-09-05 2013-09-04 口腔用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270A KR20150034270A (ko) 2015-04-02
KR101703800B1 true KR101703800B1 (ko) 2017-02-07

Family

ID=5023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119A KR101703800B1 (ko) 2012-09-05 2013-09-04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68593B2 (ko)
EP (1) EP2893918B1 (ko)
JP (1) JP6199871B2 (ko)
KR (1) KR101703800B1 (ko)
CN (1) CN104736127B (ko)
CA (1) CA2881621C (ko)
HK (1) HK1207819A1 (ko)
RU (1) RU2587054C1 (ko)
WO (1) WO20140381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0B1 (ko) * 2020-02-13 2020-07-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의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 청결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422B2 (en) * 2014-05-13 2018-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dentin permeability
JP6377998B2 (ja) * 2014-08-20 2018-08-22 学校法人近畿大学 歯科治療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133840A (ko) * 2015-05-13 2016-11-23 김성태 연어의 뼈를 이용한 나노 수산화인회석의 제조방법
WO2017081725A1 (ja) * 2015-11-09 2017-05-18 花王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N113226984A (zh) * 2018-12-27 2021-08-06 盛势达(瑞士)有限公司 口腔用组合物
JP2021008415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EP4212478A1 (en) * 2018-12-27 2023-07-19 Shiraishi Kogyo Kaisha, Ltd. Method for producing hydroxyapatite particles
JP2021008418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17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0105106A (ja) * 2018-12-27 2020-07-09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16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 スイス エスエー 口腔用組成物
JP7341748B2 (ja) * 2019-06-28 2023-09-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46104B2 (ja) * 2019-06-28 2023-09-19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24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7341749B2 (ja) * 2019-06-28 2023-09-11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2021008428A (ja) * 2019-06-28 2021-01-2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7829A1 (en) * 2009-03-30 2012-02-02 Kuraray Medical Inc. Dentin mineraliz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7339A (en) * 1975-11-07 1977-05-11 Kao Corp Tooth paste composition
GB8811830D0 (en) * 1988-05-19 1988-06-22 Unilever Plc Oral compositions
JP3389719B2 (ja) 1994-12-22 2003-03-24 ライオン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3615860B2 (ja) * 1995-03-22 2005-02-0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H09249515A (ja) 1996-03-15 1997-09-22 Taihei Kagaku Sangyo Kk 歯科用知覚過敏治療剤
JPH1017449A (ja) 1996-07-05 1998-01-20 Sangi Co Ltd 知覚過敏症用組成物
JP3636566B2 (ja) * 1997-03-26 2005-04-06 秀希 青木 複合歯磨きペースト製品
JPH10316547A (ja) 1997-05-20 1998-12-02 Kao Corp 歯磨剤組成物
US6464963B1 (en) 1998-04-23 2002-10-15 Colgate Palmolive Company Desensitizing dentifrice containing potassium and tin salts
JP3753868B2 (ja) * 1998-08-07 2006-03-08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3170250B2 (ja) 1998-11-18 2001-05-28 花王株式会社 歯磨剤組成物
JP2001172146A (ja) 1999-12-21 2001-06-26 Kobayashi Pharmaceut Co Ltd 口腔用組成物
JP2001247456A (ja) 2000-03-08 2001-09-11 Kunio Ishikawa シュウ酸系象牙質知覚過敏症治療剤
JP2003073246A (ja) 2001-08-31 2003-03-12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PL214004B1 (pl) * 2002-08-05 2013-06-28 Colgate Palmolive Co Dwuskladnikowa kompozycja dentystyczna
JP2005325102A (ja) 2004-04-13 2005-11-2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象牙細管封鎖材
US20090186090A1 (en) * 2007-04-30 2009-07-23 Colgate-Palmolive Oral Care Composition to Reduce or Eliminate Dental Sensitivity
US20080268001A1 (en) * 2007-04-30 2008-10-30 Lynette Zaidel Oral care composition to reduce or eliminate dental sensitivity
US20120067748A1 (en) 2010-09-17 2012-03-22 Peter Jung Prophylaxis Paste Holder Dispenser with Multiple Prophylaxis Pastes
EP2626058B1 (en) * 2010-10-06 2019-05-01 Kuraray Noritake Dental Inc. Dentinal tubule seala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262293B1 (ko) * 2011-01-18 2013-05-0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중성에서 안정한 고농도 인산칼슘 수용액의 제조방법
CN103120623B (zh) * 2012-12-01 2014-10-01 云南白药集团股份有限公司 抗牙本质敏感口腔清洁护理制剂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7829A1 (en) * 2009-03-30 2012-02-02 Kuraray Medical Inc. Dentin mineralizing agent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30B1 (ko) * 2020-02-13 2020-07-2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충치의 자가 진단 기능을 갖는 구강 청결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7819A1 (en) 2016-02-12
CA2881621C (en) 2016-10-11
US9468593B2 (en) 2016-10-18
EP2893918A1 (en) 2015-07-15
JP6199871B2 (ja) 2017-09-20
US20150202128A1 (en) 2015-07-23
CA2881621A1 (en) 2014-03-13
JPWO2014038195A1 (ja) 2016-08-08
RU2587054C1 (ru) 2016-06-10
EP2893918A4 (en) 2016-06-15
KR20150034270A (ko) 2015-04-02
CN104736127B (zh) 2017-06-13
CN104736127A (zh) 2015-06-24
WO2014038195A1 (ja) 2014-03-13
EP2893918B1 (en) 2017-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800B1 (ko) 구강용 조성물
EP3541346B1 (en) Oral care compositions
JP2010538074A (ja) 口腔乾燥症を治療するための歯磨剤組成物
JP2008260702A (ja) 再石灰化促進剤及び口腔用組成物
JP6755453B2 (ja) 歯磨用組成物
EP2349187B1 (en) Oral care composition
EP3538056B1 (en) Oral care compositions
AU2024202181A1 (en) Viscosity stable SLS free toothpastes containing zinc compounds and arginine
WO2017085927A1 (ja) 口腔用組成物
WO2014054257A1 (ja) 歯磨用組成物
JPH0629171B2 (ja) 口腔用組成物
JP2002255773A (ja) 口腔用組成物
CN109953897B (zh) 口腔用组合物及其变色抑制方法
WO2022264811A1 (ja) 歯磨剤組成物
JPH0840858A (ja) 口腔用組成物
JPH0539213A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076421A (ko) 폴리크레줄렌 및 불화화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