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72B1 -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72B1
KR101696272B1 KR1020130036256A KR20130036256A KR101696272B1 KR 101696272 B1 KR101696272 B1 KR 101696272B1 KR 1020130036256 A KR1020130036256 A KR 1020130036256A KR 20130036256 A KR20130036256 A KR 20130036256A KR 101696272 B1 KR101696272 B1 KR 101696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riginal
reading
documen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246A (ko
Inventor
도모히로 다니가와
고스케 구보타
오사무 고토
류지 후지키
다케시 가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2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transp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7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for detecting size, presence or position of orig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02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16Determining the reading area, e.g. eliminating reading of marg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1Digital copier; digital 'photocop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14Scanning an image in a series of overlapping z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3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using the scanning elements as detectors, e.g. by performing a pre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7Detection, control or error compensa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01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 H04N2201/04715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 H04N2201/04717Detection of scanning velocity or position by detecting marks or the like, e.g. slits on the scanned sheet, e.g. a reference sheet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를 화상 판독 장치에 배치해서 판독함으로써 원고에 대한 화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측정의 실패를 억제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고에 있어서, 제1 면에 본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형성됨과 함께, 제2 면에는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당해 원고를 배치할 때의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고,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배치함으로써,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측정하기 위한 화상은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DOCUMENT, IMAGE FORMING APPARATUS, COVER PLAT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원고 판독면측의 면 위에 모양이 기재된 원고 누름판을 사용하여, 원고 누름판으로 원고를 덮어서 판독을 행할 때에는, 원고 누름판의 모양이 원고에 의해 가려진 부분을 인식함으로써, 원고의 사이즈나 위치, 기울기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한쪽의 면에 화상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용 화상이 출력되고, 그 반대측의 면에 원고대에서의 배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지정 화상 및 위치 검출용 화상이 출력된 차트를 사용함으로써, 플랫 베드형 화상 판독 장치 등에 수작업에 의해 기록지를 재치(載置)하는 경우에, 재치하는 기록지의 천지(天地) 방향이 반대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및 판독 화상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5-217509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6-293213호 공보
그런데, 원고에 대한 화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계조(階調) 보정을 행하는 경우나, 용지의 사이즈를 측정하는 경우, 판독한 화상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경우와 달리, 용지의 단부(端部)를 검지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판독 수단의 단부에 용지를 맞대서 판독을 행하면, 용지의 단부를 잘 측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원고에 대한 화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다른 측정의 경우와 달리, 원고를 판독 수단의 단부로부터 떼어놓고, 환언하면 극간을 두고 원고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원고를 단부로부터 지나치게 떼어놓게 되면, 측정용 화상이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화상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원고를 화상 판독 장치에 배치해서 판독함으로써 원고에 대한 화상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측정 실패를 억제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는,
제1 면에 본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형성됨과 함께, 제2 면에는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당해 원고를 배치할 때의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이다.
제2 양태는, 제1 양태의 원고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화상은 4변으로 둘러싸인 판독 영역에 있어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당해 원고를 배치할 때의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4변 중, 적어도 3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양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의 원고에 있어서,
원고를 덮는 덮개판을 원고 위에 더 배치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배경 수단의 단부 또는 당해 배경 수단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킴으로써, 당해 원고가 상기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양태는,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 기재된 원고에 있어서,
위치 맞춤을 위한 화상을,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단부 또는 판독 수단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킴으로써, 당해 원고가 상기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양태는,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원고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은, 적어도 제1, 제2, 제3 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제1 면을 복수 회 판독함과 함께, 1회째의 판독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을 판독하고, 그 이후의 판독에서 제2 및 제3 화상이 판독하는 것이고,
상기 위치 맞춤을 위한 화상을 사용해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제2 화상이 상기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3 화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양태는, 제5 양태에 기재된 원고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할 때의 판독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양태는, 제5 양태에 기재된 원고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할 때의 판독 순번을 나타내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9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0 양태는, 제8 양태 또는 제9 양태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배경 수단의 단부 또는 당해 배경 수단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양태는, 제10 양태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적어도 제1, 제2, 제3 화상이 형성된 원고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제1 면을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함과 함께, 1회째의 판독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을 판독하고, 그 이후의 판독에서 제2 및 제3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고,
상기 위치 맞춤을 위한 화상을 사용해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제2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3 화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복수 회 판독된 상기 제2 화상에 의거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3 화상의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양태는,
원고대 위에 본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된 원고에 대해서, 당해 원고가 배치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원고를 판독할 때에, 상기 원고대 위에 상기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로서 지정되어 있는 위치에 본 덮개판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시하는 화상과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대응시켜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원고가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시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판이다.
제13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대에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이다.
제14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대에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는 화상 판독 장치이다.
제15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6 양태는,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이다.
제1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위치 맞춤을 위한 화상을 형성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비해, 측정의 실패를 억제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기 쉽도록, 원고를 배치할 수 있다.
제3 양태에 기재된 원고에 의하면, 원고 위에 배경 수단을 배치하는 경우에, 배경 수단에 의해 원고를 배치한 위치가 가려지는 경우이더라도,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원고의 측정이 실패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4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본 발명의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 원고의 측정이 실패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원고의 크기가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이더라도,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원고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는 위치에 원고를 배치할 수 있다.
제6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복수 회로 나눠서 원고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를 판독하는 원고에 있어서,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판독을 행한 영역을 구별하기 쉬워진다.
제7 양태의 원고에 의하면, 복수 회로 나눠서 원고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를 판독하는 원고에 있어서,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판독을 행하는 순번을 판단하기 쉬워진다.
제8, 15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제13 양태의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하면, 위치 맞춤을 위한 화상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원고를 사용해서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비해, 측정의 실패를 억제할 수 있다.
제9, 16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제14 양태의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하면, 원고 위에 배경 수단을 배치하는 경우에, 배경 수단에 의해 원고를 배치한 위치가 가려지는 경우이더라도, 본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측정의 실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0 양태 및 제11 양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크기의 원고를 사용해서 판독 동작을 행하는 경우이더라도, 본 구성을 갖지 않는 경우에 비해, 측정의 실패를 억제할 수 있다.
제12 양태의 덮개판에 의하면, 배경 수단에 의해 원고가 덮이는 경우이더라도, 원고에 형성된 화상의 측정 실패가 억제되는 위치에 원고를 배치하도록,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출력된 차트 화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도 1의 투명 글래스와 상부 커버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의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도 3의 이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 시의 판독 영역을, 도 3의 표면 및 이면에 겹쳐서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투명 글래스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투명 글래스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투명 글래스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흑색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 화상 형성 장치로 출력된 흑색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투명 글래스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투명 글래스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편면(片面) 출력 기능에 부가해서 양면 출력 기능도 구비한 복사기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용지 위의 화상의 판독을 행해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판독부(200), 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판독한 화상을 다른 용지 위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100), 유저로부터, 출력 매수의 지정이나, 양면/편면 출력의 선택이나, 화상 출력 전의 용지를 수용해 두는 트레이의 지정 등, 다양한 화상 형성 정보의 입력을 받는 조작부(270)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부(270)에는, 터치 패널식의 표시 화면(2701)과, 화상 판독·화상 형성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타트 버튼, 출력 매수 등을 지정할 때의 수치 입력을 위한 수치 버튼,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용 버튼 등의 각종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버튼군(2702)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버튼군(2702)에는, 용지 위에 화상을 형성함에 있어서, 용지에 대한 화상 형성 위치의 보정량이나 용지 위에 있어서의 화상의 배율에 대한 보정량 등의 다양한 보정량의 산출을 행하는 보정량 산출 모드를 화상 형성 장치(10)에 설정하기 위한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도 포함되어 있다. 이 보정량 산출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화상 판독부(200)는, 유저에 의해 개폐되는 상부 커버(260)와, 그 상부 커버(26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투명 글래스(25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화상 판독부(200)는 그 투명 글래스(250) 아래에 용지 위의 화상 판독을 실행하기 위한 요소를 더 구비하고 있다.
화상 판독부(200)는, 화상의 판독을 실행하기 위한 요소로서, 제1 캐리지(210), 제2 캐리지(220), 렌즈부(230), 및 CCD 라인 센서(240)를 갖고 있다. 제1 캐리지(210)는, 제1 미러(212)와 램프(211)를 가지며 도 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이다. 이 제1 캐리지(210)는 램프(211)에 의해 판독 대상인 화상에 광을 조사하여 그 반사광을 받는 역할을 맡고 있다. 제2 캐리지(220)는, 제2 미러(221)와 제3 미러(222)를 가지며 제1 캐리지(210)와 마찬가지로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요소이다. 이 제2 캐리지(220) 및 렌즈부(230)는, 제1 캐리지(210)가 받은 반사광을 CCD 라인 센서(240)에 유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CCD 라인 센서(240)는, 이 반사광을 받아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여기에서, 이 화상 판독부(200)는, 용지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모드로서, 반송 판독 모드와 정지 판독 모드를 갖는다. 반송 판독 모드에서는, 원고 트레이(261) 위에 배치된 용지(300')가 1매씩 급지구(260a)로부터 인입되어, 일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반송로를 통과해서 배출구(260b)까지 도시하지 않은 기구에 의해 반송된다. 이 반송 판독 모드는, 반송 중인 용지 위의 화상을, 정지한 상태의 제1 캐리지(210)를 사용해서 판독하여 배지대(排紙臺)(262) 위에 송출하는 판독 모드이다. 또한, 정지 판독 모드는, 용지를 투명 글래스(250) 위에 정지시키고, 도면의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캐리지(210)를 사용해서 판독하는 판독 모드이다. 이 정지 판독 모드에서는, 투명 글래스(250)의, 상부 커버(260)측을 향한 면이, 판독 대상인 화상을 갖는 용지(300)가 배치되는 용지대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부 커버(260)를 열어, 용지(300)의 판독 대상인 화상을 갖는 면을 도 1의 아래 방향을 향해서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하고, 상부 커버(260)를 닫음으로써 이 용지(300)가 위로부터 눌린다. 정지 판독 모드에서는, 이 상태에서 제1 캐리지(210)가 이동하면서 투명 글래스(250) 위의 용지(300)를 조사(照射)하여, 용지(300) 위의 화상이 판독된다. 이 제1 캐리지(210)의 이동 시에는 용지로부터의 반사광이 CCD 라인 센서(240)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의 광로(光路) 길이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제2 캐리지(220)도 같은 방향으로 제1 캐리지(210)의 반분의 속도로 이동한다.
화상 형성부(100)에는, 블랙(K), 시안(C), 마젠타(M), 옐로(Y)의 각 색용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유닛(1K, 1C, 1M, 1Y)이나,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노광부(5)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화상 형성 유닛(1K, 1C, 1M, 1Y)에는, 도 1의 화살표(Bk) 방향, 화살표(Bc) 방향, 화살표(Bm) 방향, 화살표(By)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전자 사진 방식용의 적층형 현상제 유지체(11K, 11C, 11M, 11Y)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화상 형성 유닛에는, 상술한 현상제 유지체 외에도, 도시하지 않은 대전기 및 현상기가 설치되어 있다. 각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제 유지체는, 도시하지 않은 대전기에 의해, 미리 정해진 전위에 표면 전위가 도달하도록 대전되며, 이 대전된 현상제 유지체에 노광부(5)가, 레이저광에 의해, 회전하는 현상제 유지체(11K, 11C, 11M, 11Y)의 회전축을 따른 방향에 대하여 래스터 주사를 행함으로써, 전위 분포에 의한 정전 잠상이 현상제 유지체 위에 형성된다. 이 정전 잠상에 대해, 대전한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 중의 토너를 도시하지 않은 현상기가 정전적으로 부착시킴으로써 정전 잠상이 현상되고, 이에 따라 현상제 유지체 위에 토너에 의한 현상상이 형성된다.
또한, 도 1의 각 화상 형성 유닛(1)의 하측에는, 각 현상제 유지체에 접해서 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 전사 벨트(2)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간 전사 벨트(2)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제 유지체(11K, 11C, 11M, 11Y)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 1차 전사 롤(110K, 110C, 110M, 110Y)이 구비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2)는, 각 현상제 유지체 위에 형성된 현상상의 전사(1차 전사)를 받아서 1차 전사상을 운반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100)에는, 상술한, 화상 형성 유닛(1K, 1C, 1M, 1Y), 중간 전사 벨트(2), 및 노광부(5)에 부가해서, 중간 전사 벨트(2) 위의 1차 전사상의, 용지에의 2차 전사를 행하는 2차 전사 롤(3a)과, 용지 위에 전사된 미정착의 2차 전사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4)가 더 구비되어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2)의 근방에는, 각 현상제 유지체로부터의 1차 전사상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나 배율의 조정 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닛으로 형성되며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전사된 각 색의 검사용 화상을 검출하는 센서(2a)가 구비되어 있다. 이 상대적인 위치나 배율의 조정에서는,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전사된 각 색의 검사용 화상을 센서(2a)가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각 색의 검사용 화상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나 배율이 적정한 위치나 배율로 되도록 화상 형성 유닛(1K, 1C, 1M, 1Y)의 조정이 행해진다.
또한, 화상 형성부(100)에는, 각각, 용지를 수용하는 제1 트레이(70A), 제2 트레이(70B), 제3 트레이(70C)의 3개의 트레이나, 중간 전사 벨트(2)를 구동하는 구동 롤(30)도 구비되어 있다. 중간 전사 벨트(2)는, 구동 롤(30)이나 그 외의 복수의 롤에 가설된 상태에서 구동 롤(30)로부터 구동력을 받으면서 도 1의 화살표(A) 방향으로 순환 이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2)는, 백업 롤(3b)에 의해 2차 전사 롤(3a)에 밀어붙여져 있다. 중간 전사 벨트(2) 위의 1차 전사상은, 2차 전사 롤(3a)의 작용에 의해, 제1 트레이(70A), 제2 트레이(70B), 제3 트레이(70C) 중 어느 하나로부터 취출되어 그 2차 전사 롤(3a)까지 반송되어온 용지 위에 2차 전사된다. 그 2차 전사를 받은 용지는 더 반송되어, 정착 장치(4)에 의해 그 용지 위의 2차 전사상이 그 용지 위에 정착되어 배지 트레이(10a) 위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중간 전사 벨트(2)의 근방에는 클리닝 장치(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용지에의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잔류된 토너는 이 클리닝 장치(2b)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상술한, 각 현상제 유지체로부터의 1차 전사상 사이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위치나 배율의 조정 시에 형성된 중간 전사 벨트(2) 위의 각 색의 검사용 화상은, 2차 전사 롤(3a)로 2차 전사되지 않고 이 클리닝 장치(2b)에 의해 제거된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화상 형성부(100) 내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6)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6)에는, 상술한 화상 판독부(200)의 CCD 라인 센서(240)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판독 화상용 메모리(6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용지의 반송이나 화상 형성 유닛(1K, 1C, 1M, 1Y)의 치수/위치의 오차 등에 기인해서 용지 위의 화상 형성 위치의 어긋남이나 화상의 배율 변화 등이 발생한다. 그래서,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용지 위에 차트 화상을 형성하고, 그 용지 위의 차트 화상을 화상 판독부(200)로 판독해서, 용지에 대한 화상 형성 위치의 보정량이나 용지 위에 있어서의 화상의 배율에 대한 보정량 등의 다양한 보정량을 산출하는 것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이 컨트롤러(6)에는, 상술한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의 외에도, 후술하는 보정량의 산출에서 사용되는 차트 화상을 나타내는 차트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차트 화상용 메모리(6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산출된 보정량을 기억하는 제1 트레이용 메모리(61), 제2 트레이용 메모리(62), 제3 트레이용 메모리(63)도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술한 제1 트레이(70A), 제2 트레이(70B), 제3 트레이(70C)에 각각 대응하는 메모리이다. 이렇게 보정량을 기억하는 메모리가 트레이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용지가 트레이로부터 취출되는 경로에 따라 용지 위에서의 화상 형성 위치의 어긋남이나 화상의 배율 변화의 정도에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각 트레이(70A, 70B, 70C)에는, 어떠한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할지를 미리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원을 온/오프해도 다시 설정하지 않는 한 전회의 설정이 유효하다. 한편, 본 발명은, 사이즈를 자동 검지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을 용지 위에 형성할 때에는, 컨트롤러(6)는, 조작부(270)를 통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트레이에 대응하는 메모리로부터 보정량을 판독해서, 그 판독한 보정량에 의거하여,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의 형성 위치의 보정 처리나 화상의 배율의 보정 처리 등의 다양한 보정 처리를 실시하고, 그 보정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의 형성을 상술한 노광부(5)에 행하게 한다. 여기에서, 보정량은, 양면 출력에 있어서의 표면에서의 화상 형성 시의 표면용 보정량과, 양면 출력에 있어서의 이면에서의 화상 형성 시의 이면용 보정량의 2종류의 보정량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면 출력이 지정되어 있을 때의 화상 형성에서는, 용지 양면 중 1번째로 화상의 출력이 행해지는 면인 표면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표면용 보정량에 의거하여 보정 처리가 실시되고, 2번째로 화상의 출력이 행해지는 면인 이면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이면용 보정량에 의거하여 보정 처리가 실시된다. 한편, 편면 출력이 지정되어 있을 때의 화상 형성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표면용 보정량에 의거하여 보정 처리가 실시된다.
다음으로,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화상의 판독으로부터 용지 위에의 화상 형성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정지 판독 모드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유저에 의해, 판독 대상인 화상을 갖는 면을 도 1의 아래 방향을 향해서 용지가 투명 글래스(250)와 상부 커버(260)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조작부(270)를 통해서,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용지를 수용하는 트레이의 지정, 양면/편면 출력의 선택, 출력 매수의 지정 등이 이루어져서 버튼군(2702) 중의, 화상 판독·화상 형성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타트 버튼(도시 생략)이 눌리면, 제1 캐리지(210) 중의 램프(211)로부터 광이 조사되며, 그 램프에서 조사된 광은, 투명 글래스(250)를 거쳐서 용지(300) 위에서 반사하고, 그 반사광은, 제1 캐리지(210)의 제1 미러(212), 제2 캐리지(220)의 제2 미러(221) 및 제3 미러(222)을 거쳐서, 렌즈부(230)에 의해 CCD 라인 센서(240) 위에 결상된다. 도 1에서는, 화상 판독부(200) 내의 점선 화살표에 의해 이 광의 경로가 나타나 있다. 제1 캐리지(210)는, 이러한 램프에 의한 광의 조사를 행하면서 화상 판독부(200) 내의 실선 화살표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제2 캐리지(220)도 이 제1 캐리지(210)의 이동 속도의 반분의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용지(300) 위의 화상 전체가 조사됨과 함께, 화상의 어느 개소에서 반사된 반사광도 그 광로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CCD 라인 센서(240)에 결상된다. 이렇게 해서, 화상 전체의 반사광에 의거한 화상 데이터가 CCD 라인 센서(240)에 의해 생성된다. 생성된 각 화상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처리 회로에 의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의 다양한 신호 처리가 실시된 후, 컨트롤러(6)에 보내져, 컨트롤러(6) 중의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유저가, 용지(300)의 반대측의 면, 혹은 새로운 용지의 새로운 화상을 갖는 면을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해서 스타트 버튼을 누를 때마다 이러한 화상 데이터의 생성과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의 기억이 반복된다.
컨트롤러(6)는, 제1 트레이용 메모리(61), 제2 트레이용 메모리(62), 제3 트레이용 메모리(63) 중, 지정된 트레이에 대응하는 메모리로부터 보정량을 판독해서, 그 판독한 보정량에 의거하여,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화상의 형성 위치의 보정 처리나 화상의 배율의 보정 처리 등의 다양한 보정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컨트롤러(6)는, 노광부(5)에 대하여, 그 보정 처리가 실시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을, 대전한 현상제 유지체(11K, 11C, 11M, 11Y) 위에 형성시킨다. 형성된 정전 잠상은, 각 화상 형성 유닛 내의 현상기에 의해, 각 화상 형성 유닛에 대응한 색의 토너를 포함하는 현상제 중의 토너로 현상되어 각 색의 현상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해서 각 화상 형성 유닛마다 형성된 각 색의 현상상은, 각 현상제 유지체에 대응한 1차 전사 롤(110K, 110C, 110M, 110Y)에 있어서,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순차 전사(1차 전사)되어 중첩되어 가며, 다색의 1차 전사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다색의 1차 전사상은, 중간 전사 벨트(2)에 의해 2차 전사 롤(3a)까지 운반되어 간다. 한편, 제1 트레이(70A), 제2 트레이(70B), 제3 트레이(70C) 중 지정된 트레이 중의 용지가, 상기한 다색의 1차 전사상의 형성과 호응해서 취출되어, 제1 반송 롤 쌍(41a) 및 제2 반송 롤 쌍(41b)에 의해 반송되며, 또한 위치 맞춤 롤 쌍(40)에 의해 용지의 태세가 조정된다. 또한 이 위치 맞춤 롤 쌍(40)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 위의 1차 전사상이 2차 전사 롤(3a)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에 타이밍을 맞춰서 그 위치로 용지가 보내지도록 용지가 송출되며, 이 송출된 용지에 대하여, 2차 전사 롤(3a)에 의해, 상술한 다색의 1차 전사상이 전사(2차 전사)된다. 그 2차 전사를 받은 용지는, 또한 반송 벨트(31)로 반송되어, 정착 장치(4)에 의해 용지 위의 2차 전사상에 정착 처리가 실시된다. 도 1에 있어서는, 이때의 용지 반송로가, 화상 형성부(100) 내의 우향(右向)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경로로 나타나 있다. 한편, 용지에의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장치(2b)에 의해 제거된다.
편면 출력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지는 이 용지 반송로를 1회만 통과해서 정착 장치(4)에 있어서 2차 전사상의 정착이 행해진 후, 송출 롤 쌍(40a)을 통과해서, 그대로 배지 트레이(10a) 위로 배출된다.
한편, 양면 출력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향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상술한 용지 반송로를 통과함으로써 용지의 편면에 2차 전사상의 전사 및 정착이 행해진 후, 송출 롤 쌍(40a)을 향하지 않고 제1 양면용 반송 롤 쌍(40b) 사이를 통과하여, 하향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경로를 통과해서 아래쪽으로 반송된다. 그 후, 제2 양면용 반송 롤 쌍(40c)의 회전 방향이 반전해서 용지의 반송 방향이 위쪽으로 회전하고, 또한 좌향의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경로를 통과해서, 제3 양면용 반송 롤 쌍(40d) 및 제4 양면용 반송 롤 쌍(40e)을 통과해서, 제1 반송 롤 쌍(41a), 제2 반송 롤 쌍(41b), 및 위치 맞춤 롤 쌍(40)을 거쳐, 다시 2차 전사 롤(3a)을 향한다. 여기에서, 용지가 최초에 2차 전사 롤(3a)에서 전사를 받고나서 다시 2차 전사 롤(3a)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있어서는, 상술한 방식으로 새로운 다색의 1차 전사상의 형성이 행해져 있다. 그리고, 용지가 2회째에 2차 전사 롤(3a)에 도달했을 때에, 그 새로운 다색의 1차 전사상이, 용지가 1회째에 2차 전사를 받았을 때와는 반대측의 면에 2차 전사된다. 그리고, 그 반대측의 면 위의 새로운 2차 전사상에 대해서 정착 장치(4)에 의해 정착 처리가 실시되어, 양면에 정착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지 트레이(10a) 위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용지의 반대측의 면에의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2) 위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장치(2b)에 의해 제거된다.
이상이, 이 화상 형성 장치(10)의 동작에 관한 설명이며,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이렇게 해서 판독한 화상의 용지에의 화상 형성이 행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정지 판독 모드가 채용된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반송 판독 모드가 채용된 경우에는, 반송 중인 용지 위의 화상을, 정지한 상태의 제1 캐리지(210)를 사용해서 판독하는 점이 다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화상 판독·화상 형성과 동일하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용지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형성 위치의 보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의 형성 위치의 보정 처리가 행해져 있지만,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에 대한 이러한 보정 처리 대신에, 용지 내에 있어서의 화상의 형성 위치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용지 내에 있어서의 용지 반송 방향에 대한 화상 전체의 위치 보정에 대해서는, 위치 맞춤 롤 쌍(40)을 제어해서 2차 전사 롤(3a)을 향해서 용지를 송출하는 타이밍을 변경함으로써 보정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용지 내에 있어서의 용지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 대한 화상 전체의 위치 보정에 대해서는, 노광부(5)를 제어해서 용지 반송 방향과 수직인 방향(각 현상제 유지체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서 각 현상제 유지체 위에서의 정전 잠상의 기입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보정을 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화상 판독부(200)가 판독할 수 있는 사이즈보다 큰 용지에 대해 화상 형성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 판독부(200)의 판독 범위는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즉, 용지대의 넓이)와 일치한다. 이렇게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즉, 용지대의 넓이)보다 사이즈가 큰 용지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보다 사이즈가 작은 용지에 화상을 출력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용지 중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미리 정해진 크기(배율)로 화상이 정확하게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용지 위에 형성되는 화상의 위치나 배율 등의 보정량 산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블랙(K)용의 화상 형성 유닛(1K)을 사용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화상의 위치나 배율 등의 보정량 산출이 행해진다. 한편, 그 외의 시안(C), 마젠타(M), 옐로(Y)의 각 색의 화상 형성 유닛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의 보정량에 대해서는, 블랙(K)용의 화상 형성 유닛(1K)을 포함한 4색의 각 화상 형성 유닛에서 형성된 1차 전사상 사이에 있어서의 상술한 상대적인 위치나 배율의 조정을 통해서, 블랙(K)용의 화상 형성 유닛(1K)을 사용해서 산출된 보정량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도 1의 조작부(270)에 있어서의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이 눌림으로써, 보정량을 산출하는 모드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설정된다. 여기에서,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보정량 산출은 용지의 사이즈마다 행해지며,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이 눌릴 때마다 용지의 사이즈마다의 보정량 산출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이 눌리지 않는 한, 상술한 방식으로 화상 판독·화상 형성을 행하는 통상 모드가 설정되며, 이 통상 모드가 화상 형성 장치(10)의 전원 투입 시에 있어서의 디폴트의 모드이다.
여기에서,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는,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용지대의 넓이)보다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서의 화상 형성 위치나 화상의 배율 등에 대한 보정량 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안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보다 큰 사이즈의 용지를 「큰 사이즈의 용지」라 부르는 것으로 하며, 간단히 하기 위해서, 투명 글래스(250)는, 큰 사이즈의 용지의 반분의 사이즈보다는 넓지만 큰 사이즈의 용지보다 좁은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의 제1 트레이(70A)에 큰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며, 제2 트레이(70B) 및 제3 트레이(70C)에는, 큰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의 용지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제1 트레이(70A)의 큰 사이즈의 용지를 사용해서 보정량 산출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보정량 산출은 용지의 사이즈마다 행해지며,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이 눌릴 때마다 용지의 사이즈마다의 보정량 산출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도 1의 조작부(270)에 있어서의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2702a)이,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눌림으로써,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서의 화상 형성 위치에 대한 보정량을 산출하는 모드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설정된다.
도 2는,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서의 화상의 형성 위치나 화상의 배율 등에 대한 보정량을 산출하는 모드가 설정될 때에, 도 1의 터치 패널식의 표시 화면(2701)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화면에서는, 차트 화상의 출력이 행해지는 용지를, 그 용지를 수용하는 트레이의 지정을 통해서 지정하기 위한, 제1 트레이란(2701e), 제2 트레이란(2701f), 제3 트레이란(2701g)의 3개의 트레이란, 차트 화상의 출력을 지시하기 위한 차트 화상 출력란(2701a), 앞으로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차트 화상의 판독을 행하게 하는 취지를 화상 형성 장치(10)측에 전달하기 위한 판독 개시란(2701b), 화상 형성 장치(10)에 차트 화상의 판독을 행하게 하는 작업을 유저가 완료한 취지를 화상 형성 장치(10)측에 전달하기 위한 판독 완료란(2701c), 보정량 산출 모드로부터 통상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ESC란(2701d)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는 란으로써 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서의 보정량을 산출하는 모드에서는, 큰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고 있는 트레이에 대응하는 트레이란만이 선택 가능하며, 큰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트레이에 대응하는 트레이란에 대해서는 선택할 수 없다. 이 도면에서는, 큰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제2 트레이(70B) 및 제3 트레이(70C)에 각각 대응하는 제2 트레이란(2701f) 및 제3 트레이란(2701g)의 주위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음으로써, 유저가 손가락으로 접촉해도 선택할 수 없는 것이 나타나 있다.
큰 사이즈의 용지에 대한 보정량 산출을 행하기 위해, 큰 사이즈의 용지를 수용하고 있는 도 1의 제1 트레이(70A)에 대응한 제1 트레이란(2701e)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고, 다음으로 차트 화상의 출력 실행을 위한 차트 화상 출력란(2701a)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는다. 제1 트레이란(2701e)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음으로써, 차트 화상 출력의 때에 사용되는 보정량으로서 도 1의 제1 트레이용 메모리(61)에 기억되어 있는 보정량이 사용되는 것이 결정된다. 차트 화상 출력란(2701a)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으면, 도 1의 화상 형성부(100)에 있어서, 차트 화상을 나타내는 차트 화상 데이터가 도 1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로부터 판독되어, 제1 트레이용 메모리(61)에 이 시점에서 기억되어 있는 보정량을 사용해서 화상의 형성 위치나 화상의 배율 등에 관한 보정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그 보정 처리 후의 차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큰 사이즈의 용지의 양면에 차트 화상이 출력된다. 이때의 화상 형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양면 출력이 선택되어 있을 때의 화상 형성과 동일하다.
도 3은, 출력된 차트 화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는,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과 이면(501B)이 각각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이면(501B)은, 표면(501A)을, 큰 사이즈의 용지의 장척(長尺) 방향을 회전축으로 해서 180도 회전시켰을 때에 나타나는 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과 이면(501B)의 모두에, 상단 수평 라인(601), 중앙 수평 라인(602), 하단 수평 라인(603), 좌단 수직 라인(604), 중앙 수직 라인(605), 우단 수직 라인(606)의 6개의 라인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은, 화상 형성 위치 등의 화상의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용 화상이다.
또한,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과 이면(501B)에는, 이 큰 사이즈의 용지(400)가 도 1의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되어 판독이 실행될 때의 용지의 위치 맞춤에 사용되는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8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의 역할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과 이면(501B)의 각각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질 때에는, 표면(501A)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으로 나눠서 판독이 행해진다. 이것에 대응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의 표면(501A)과 이면(501B)에는, 표면(501A)의 상측의 부분, 표면(501A)의 하측의 부분,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 및 이면(501B)의 하측의 부분을, 각각 식별하기 위한 4개의 식별 화상(801, 802, 803, 804)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들 4개의 식별 화상(801, 802, 803, 804)은, 이러한 식별을 위한 식별 정보의 외에도, 이 큰 사이즈의 용지(400)가 취출된 트레이(이 설명의 예에서는 도 1의 제1 트레이(70A))를 특정하는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되는 차트 화상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표면(501A)과 이면(501B)의 각각에 있어서의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표면(501A)과 이면(501B)의 각각에 있어서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과, 표면(501A)에 있어서의 2개의 식별 화상(801, 802) 및 이면(501B)에 있어서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의 4개의 식별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트 화상 중, 표면(501A)에 있어서의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표면(501A)에 있어서의 2개의 식별 화상(801, 802)을 맞춘 것이 본 발명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의 일례에 상당하며, 이면(501B)에 있어서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이, 이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의 일례에 대한 본 발명의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차트 화상 중, 이면(501B)이 있어서의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이면(501B)에 있어서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을 맞춘 것은 본 발명의 다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의 일례에 상당하며, 표면(501A)에 있어서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이, 이 다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의 일례에 대한 본 발명의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의 일례에 상당한다.
차트 화상이 출력되면, 다음으로, 그 출력된 차트 화상의 판독이 행해진다. 출력된 차트 화상의 판독에 있어서는, 우선 도 2의 판독 개시란(2701b)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고, 이에 따라 앞으로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0)에 차트 화상의 판독을 행하게 하는 취지를 화상 형성 장치(10)측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하에 설명하는 절차로 차트 화상의 판독이 행해진다.
도 4는,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가, 도 1의 투명 글래스(250)와 상부 커버(260) 사이에 배치될 때까지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최종적으로, 표면(501A)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하고, 이면(501B)의 상측 부분이 상부 커버(260)측을 향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의 상측 부분을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0)가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 위에 배치된다. 이 배치 시에는, 이면(501B)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803A, 804A) 중, 도면의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의 삼각 마크의, 중앙 수직 라인(60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 정점이, 도 4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의 라인 위에 놓이도록,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한 큰 사이즈의 용지(400)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 위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 위에, 양면의 전역(全域)이 흑일색으로 되어 있는 흑색지(400a)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 상측의 부분은 흑색지(400a)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이 흑색지(400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에지 부분이 판독에 의해 명확히 인식되도록,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대해 검은 배경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흑색지(400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와 투명 글래스(250)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극간을 적어도 일부 덮는 것이다. 이 흑색지(400a)는, 덮개판의 일례로서의 배경 부재의 일종이다.
다음으로, 도 4의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 및 흑색지(400a) 위를 상부 커버(260)가 덮고, 이 상태에서 도 1의 화상 판독부(200)에 의해 판독이 실행된다. 이때의 화상 판독부(2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으며, 판독한 차트 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판독 데이터가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단, 통상 모드 시와 달리, 보정량 산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이 판독 데이터에 의거한 화상 형성은 행해지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와 같은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의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지고, 또한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도 3 참조)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501A)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을 위해서 이 표면(501A)의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1B)의 상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마찬가지로, 이면(501B)의 상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는, 표면(501A)의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고, 이면(501B)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는, 표면(501A)의 상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혹은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해서,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 큰 사이즈의 용지(400)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501A)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1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도 5는, 도 3의 표면(501A)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도 3의 이면(501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 시의 판독 영역을, 도 3의 표면(501A) 및 이면(501B)에 겹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과 이면(501B)의 각각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을, 도 4에서 설명한 배치 방식에 따라 배치해서 판독을 차례로 행했을 때의 각 판독 영역이 점선에서 나타내는, 1회째 판독 영역(701), 2회째 판독 영역(702), 3회째 판독 영역(703), 4회째 판독 영역(704)의 4개의 판독 영역으로서 나타나 있으며, 각 판독 영역의 넓이는,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즉 원고대의 넓이)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501A)에서는, 1회째 판독 영역(701)과 2회째 판독 영역(702)은, 중앙 수평 라인(602) 부근의 영역에서 서로 겹쳐 있으며, 1매째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에 있어서의, 1회째 판독 영역(701) 내의 상측의 부분을 나타내는 판독 데이터와, 2회째 판독 영역(702) 내의 하측의 부분을 나타내는 판독 데이터가, 모두,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게 되어 있다. 이 점은, 이면(501B)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는, 3회째 판독 영역(703) 내의 상측의 부분을 나타내는 판독 데이터와, 4회째 판독 영역(704) 내의 하측의 부분을 나타내는 판독 데이터 사이에서, 각각 서로 공통의 것으로 되어 있다.
표면(501A)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1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이 완료되어 각각의 판독 데이터가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되면, 도 2의 판독 완료란(2701c)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는다. 판독 완료란(2701c)이 유저의 손가락 접촉을 받으면, 도 1의 컨트롤러(6)는, 지금까지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되어 있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표면(501A)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이면(501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 각각 대응하는, 2×2=4개의 판독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4개의 판독 데이터 각각에서 나타나는 검출 화상의 위치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도 5의 표면(501A)의 상측 부분을 예로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판독한 화상 중에 있어서, 도 4의 (a)의 흑색지(400a)에 기인하는 흑색 부분이, 용지에 대응하는 백색 부분으로 변화하는 개소를 구함으로써 용지의 에지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에지의 1개의 교점(交點)인 용지의 코너의 위치를 원점(O)(도 5의 표면(501A) 참조)으로서 결정한다. 다음으로, 상단 수평 라인(601), 중앙 수평 라인(602), 좌단 수직 라인(604), 중앙 수직 라인(605), 우단 수직 라인(606)을 각각 검출하여, 6개의 교점(A1, A2, A3, A4, A5, A6)의 각 좌표를 구한다. 이 6개의 좌표의 좌표값이 상술한 검출 화상의 위치 파라미터이다. 표면(501A)의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1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서 6개의 좌표의 좌표값으로 이루어지는 위치 파라미터가 추출된다.
다음으로, 도 1의 컨트롤러(6)는, 표면(501A) 및 이면(501B) 각각에 대하여, 차트 화상(도 5 참조)에 있어서의, 상단 수평 라인(601)과 하단 수평 라인(603) 사이의 거리, 좌단 수직 라인(604)과 우단 수직 라인(606) 사이의 거리, 상측의 에지와 상단 수평 라인(601)의 거리, 좌측의 에지와 좌단 수직 라인(604) 사이의 거리 등의 다양한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표면(501A)에 있어서의 상단 수평 라인(601)과 하단 수평 라인(603)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는, 우선 표면(501A) 상측 부분을 특정하는 도 3의 식별 화상(801)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발견함으로써 4개의 판독 데이터 중에서 표면(501A) 상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가 특정되며, 특정된 표면(501A) 상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단 수평 라인(601)과 중앙 수직 라인(605)의 교점(A2)의 좌표와, 중앙 수평 라인(602)과 중앙 수직 라인(605)의 교점(A5)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표면(501A) 하측 부분을 특정하는 도 3의 식별 화상(802)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발견함으로써, 4개의 판독 데이터 중에서 표면(501A) 하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가 특정되며, 특정된 표면(501A) 하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측 부분과 마찬가지로, 하단 수평 라인(603)과 중앙 수직 라인(605)의 교점의 좌표와, 중앙 수평 라인(602)과 중앙 수직 라인(605)의 교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상측 부분에서 산출된 상기한 거리와 하측 부분에서 산출된 상기한 거리의 합으로서, 상단 수평 라인(601)과 하단 수평 라인(603) 사이의 거리가 구해진다.
또한, 표면(501A)에 있어서의 좌단 수직 라인(604)과 우단 수직 라인(606)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표면(501A) 상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에 의거하여, 우선 중앙 수평 라인(602)과 좌단 수직 라인(604)의 교점(A4)의 좌표와, 중앙 수평 라인(602)과 우단 수직 라인(606)의 교점(A6)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표면(501A) 하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측 부분과 마찬가지로, 중앙 수평 라인(602)과 좌단 수직 라인(604)의 교점의 좌표와, 중앙 수평 라인(602)과 우단 수직 라인(606)의 교점의 좌표 사이의 거리가 산출된다. 그리고, 상측 부분에서 산출된 상기한 거리와 하측 부분에서 산출된 상기한 거리의 평균으로서, 표면(501A)에 있어서의 좌단 수직 라인(604)과 우단 수직 라인(606) 사이의 거리가 구해진다.
또한, 표면(501A)에 있어서의, 상측의 에지와 상단 수평 라인(601)의 거리, 및 좌측의 에지와 좌단 수직 라인(604) 사이의 거리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된 표면(501A) 상측 부분의 판독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단 수평 라인(601)과 좌단 수직 라인(604)의 교점의 좌표의, 좌단 수직 라인(604)에 따른 방향의 좌표 성분, 및 상단 수평 라인(601)에 따른 방향의 좌표 성분으로서 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단 수평 라인(601)과 하단 수평 라인(603) 사이의 거리는, 도 5의 용지의 장척 방향에 대한 차트 화상의 배율을 결정하는 것이며, 좌단 수직 라인(604)과 우단 수직 라인(606) 사이의 거리는, 도 5의 용지의 단척(短尺) 방향에 대한 차트 화상의 배율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측의 에지와 상단 수평 라인(601)의 거리, 및 좌측의 에지와 좌단 수직 라인(604) 사이의 거리는, 큰 사이즈의 용지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 1의 컨트롤러(6)는, 이들 2종류의 배율과, 큰 사이즈의 용지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의 위치가 적정한 값으로 되기 위해서 필요한 화상 형성 위치 및 배율의 보정량을 산출한다.
이상의 위치 정보의 산출 및 보정량의 산출이, 이면(501B)에 대해서도 표면(501A)과 마찬가지로 해서 행해지며, 최종적으로, 큰 사이즈의 용지에 있어서의 표면용 보정량과 이면용 보정량이 산출되게 된다.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지면, 다음으로 도 1의 컨트롤러(6)는, 식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큰 사이즈의 용지가 취출된 트레이(이 설명의 예에서는 도 1의 제1 트레이(70A))를 특정하여, 그 특정된 트레이에 대응하는 메모리에 보정량(표면용 보정량과 이면용 보정량)을 기억시킨다. 여기에서, 이 보정량의 기억 시에는, 메모리에 원래 기억되어 있던 보정량에 대하여,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산출된 새로운 보정량이 덮어써진다.
이상이,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 있어서의, 투명 글래스(250)의 넓이(용지대의 넓이)보다 큰 사이즈의 용지 위에서의 화상 형성 위치 등에 대한 보정량 산출의 설명이다.
이렇게, 이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사용되는 차트 화상에서는, 표면(501A) 및 이면(501B) 상측 부분을 투명 글래스(250)에 배치할 때에는, 이면(501B) 및 표면(501A)의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위치 맞춤시키고, 표면(501A) 및 이면(501B) 하측 부분을 투명 글래스(250)에 배치할 때에는, 이면(501B) 및 표면(501A)의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을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위치 맞춤함으로써,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501A) 및 이면(501B)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0)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250a)가 표지(標識)로서 이용됨으로써 위치 맞춤을 위한 부가적인 표지가 불필요하여,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상이 제1 실시형태의 설명이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큰 사이즈의 용지를 사용해서 복수 회의 분할된 판독을 행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한번에 판독 가능한 것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덮개판의 일례인 배경 부재로서 흑색지가 채용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흑색 이외의 색의 종이 을 사용해도 되며, 또한 특정한 모양이나 화상이 형성된 종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종이가 아닌 플라스틱이나 아크릴 등의 재질의 배경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덮개판으로서 요구되는 기능으로서는, 용지의 에지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적절히 변경 가능하며, 즉 용지와 덮개판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1매의 용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눠, 복수 회로 분할해서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는, 판독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영역을 구별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역을 구별할 수 있는 화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문자나 기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문자나 기호이어도, 화상의 농도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영역을 구별시키는 화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은 위치 맞춤 화상과 겸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판독에 순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영역을 구별할 수 있는 화상을 순번이 인식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숫자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위치 맞춤 화상은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지만, 위치 맞춤 화상으로서는, 측정 대상으로 되는 검출용 화상(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이 판독 영역 밖에 배치되지 않고, 또한 용지의 단부와 판독 영역의 경계 사이에 극간이 생기는 위치에 용지를 위치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경 부재나 상부 커버 위에 형성된 표지가 되는 화상과의 경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위치 맞춤 화상으로서 마크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마크 외에도 선 등의 다양한 식별 도형이나 식별 기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한 용지를 이 범위에 배치하도록 범위를 지정하는 위치 맞춤 화상 을 사용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차트 화상 데이터가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점이며, 이 점을 제외하고,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 데이터로 나타나는 차트 화상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는 다른 위치 맞춤 화상을 갖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 동일하다. 이렇게 차트 화상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지만, 제2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의 절차로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초점을 좁혀서 설명을 행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2)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402)가 투명 글래스(250)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6에서는, 예로서, 큰 사이즈의 용지(402)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2)의 이면(502B)이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도 6의 큰 사이즈의 용지(402)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은,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에 있어서, 삼각 마크로 나타나는,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및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으로서 나타나는 위치 맞춤 화상(801B),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으로서 나타나는 위치 맞춤 화상(802B)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도 6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6의 이면(502B)과 반대측인 표면에도, 마찬가지의 위치 맞춤 화상(801B, 802B)이,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면(502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그 반대측인 표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4개의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도 3과 같은 4개의 식별 화상이 각각 기재되어 있으며, 도 6에서는, 그 중 이면(502B) 위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만이 도시되어 있다.
큰 사이즈의 용지(402)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2B)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 화상(801B, 802B) 중, 도면의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2B)의 라인이,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의 라인 위에 놓이도록,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2B)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 상하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2)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후, 도 4의 (b) 및 도 4의 (c)와 마찬가지로, 도 4의 (b)에서 나타내는 흑색지(400a)나 상부 커버(260)로 덮여서 판독이 실행되어, 그 판독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2)의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지며, 또한 이면(502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 이 표면의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2B)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B)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면(502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의 판독에서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을 사용해서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위치 맞춤 화상(801B, 802B)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2)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2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그 후의 보정량 산출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2)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250a)가 표지로서 이용됨으로써 위치 맞춤을 위한 부가적인 표지가 불필요하며,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차트 화상 데이터가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점이며, 이 점을 제외하고, 제3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차트 화상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는 다른 위치 맞춤 화상을 갖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 동일하다. 이렇게 차트 화상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지만, 제3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의 절차로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초점을 좁혀서 설명을 행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은,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3)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403)가 투명 글래스(250)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7에서는, 예로서,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이면(503B)이 외측으로부터 시인(視認) 가능해진다. 도 7의 (a)의 큰 사이즈의 용지(403)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은,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에 있어서,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이며 용지(400)의 에지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이며 용지(400)의 에지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이며 수직 라인(605)에 더 치우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C, 802C),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이며 수직 라인(605)에 더 치우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C, 804C)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도 7의 (a)에서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도 7의 (a)의 이면(503B)과 반대측인 표면에도, 마찬가지의 위치 맞춤 화상(801C, 802C, 803C, 804C)이,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면(503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그 반대측인 표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4개의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도 3과 같은 4개의 식별 화상이 각각 기재되어 있으며, 도 7의 (a)에서는, 그 중 이면(503B) 위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 상의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이면(503B)의 상측의 부분 위에 흑색지(403a)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 상측의 부분은, 흑색지(403a)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여기에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0a)와 마찬가지로, 도 7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3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에지 부분이 판독에 의해 명확히 인식되도록, 큰 사이즈의 용지(403)에 대해 검은 배경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흑색지(403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3)와 투명 글래스(250)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극간을 적어도 일부 덮는 것이다. 단, 도 4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0a)와 달리, 도 7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3a)는, 용지(403)의 이면(503B)의 상측의 부분을 덮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삼각 형상의 백색의 표지 화상(811C, 812C)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흑색지(403a)는, 한쪽의 면에 있어서의 이 표지 화상(811C, 812C)을 제외하고, 양면의 전역이 흑일색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투명 글래스(250)는, 투명 글래스(250) 주위의 면보다 조금 오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와 그 주위의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의 판독 시에는, 흑색지(403a)는, 투명 글래스(250)의 상측의 가장자리(250c)에 있어서의 단차, 및 좌측의 가장자리(250b)에 있어서의 단차의 양쪽에 맞닿으며, 이에 따라 흑색지(403a)가 투명 글래스(25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렇게 위치 맞춤된 흑색지(403a)의 표지 화상(811C, 812C)에 대하여, 도 7의 (a)의 이면(503B)의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C, 804C)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3)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후, 도 4의 (c)와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60)로 덮여서 판독이 실행되어, 그 판독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지며, 또한 이면(503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 이 표면의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3B)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C, 802C)이, 도 7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맞춤된 흑색지(403a)의 표지 화상(811C, 812C)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면(503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의 판독에서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을 사용해서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C, 802C) 혹은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C, 804C)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3)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3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그 후의 보정량 산출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3)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3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위치 맞춤된 흑색지(403a)의 표지 화상(811C, 812C)을 표지로서 이용하는 것만으로 용지의 위치 맞춤을 실행할 수 있어,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큰 사이즈의 용지(403)가 위치 맞춤되기 때문에,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큰 사이즈의 용지(403)가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등의 사태도 회피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차트 화상 데이터가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점이며, 이 점을 제외하고, 제4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 데이터로 나타나는 차트 화상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는 다른 위치 맞춤 화상을 갖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 동일하다. 이렇게 차트 화상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지만, 제4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의 절차로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초점을 좁혀서 설명을 행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4)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404)가 투명 글래스(250)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8에서는, 예로서,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이면(504B)이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큰 사이즈의 용지(404)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은,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에 있어서, 삼각 마크로 나타나는,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및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1D)과 화살표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2D),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3D)과 화살표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4D)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도 8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8의 이면(504B)과 반대측인 표면에도, 마찬가지의 위치 맞춤 화상(801D, 802D, 803D, 804D)이,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면(504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그 반대측인 표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4개의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도 3과 동일한 4개의 식별 화상이 각각 기재되어 있으며, 도 8의 (a)에서는, 그 중의 이면(504B) 위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만이 도시되어 있다.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에 배치될 때에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504B)에 있어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1D, 803D) 중 도면의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D)의 라인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의 라인 위에 놓이도록,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D)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4)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 위의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이면(504B)의 상측의 부분 위에 흑색지(404a)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 상측의 부분은, 흑색지(404a)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여기에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0a)와 마찬가지로, 도 8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4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에지 부분이 판독에 의해 명확히 인식되도록, 큰 사이즈의 용지(404)에 대해 검은 배경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흑색지(404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4)와 투명 글래스(250)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극간을 적어도 일부 덮는 것이다. 단, 도 4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0a)와 달리, 도 8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4a)는, 용지(404)의 이면(504B)의 상측의 부분을 덮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의 가장자리 부근에, 화살표 형상의 백색의 표지 화상(811D)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 흑색지(404a)는, 한쪽의 면의 이 표지 화상(811D)을 제외하고, 양면의 전역이 흑일색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투명 글래스(250)는, 투명 글래스(250) 주위의 면보다 조금 오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와 그 주위의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이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의 판독 시에는, 흑색지(404a)는, 투명 글래스(250)의 상측의 가장자리(250c)에 있어서의 단차, 및 좌측의 가장자리(250b)에 있어서의 단차의 양쪽에 맞닿으며, 이에 따라, 흑색지(404a)가 투명 글래스(25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렇게 위치 맞춤된 흑색지(404a)의 표지 화상(811D)에 대하여, 도 8의 (a)의 이면(504B)의 하측의 화살표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4D)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4)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후, 도 4의 (c)와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60)로 덮여서 판독이 실행되어, 그 판독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지며, 또한 이면(504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 이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4B)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D, 802D)이, 도 8의 (a)에서 설명한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 및 도 8의 (b)에서 설명한 위치 맞춤된 흑색지(404a)의 표지 화상(811D)에 대해서 각각 위치 맞춤된다. 이면(504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의 판독에서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을 사용해서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D, 802D) 혹은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D, 804D)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4)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4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그 후의 보정량 산출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4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4)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 및 위치 맞춤된 흑색지(404a)의 표지 화상(811D)을 표지로서 이용하는 것만으로 용지의 위치 맞춤을 실행할 수 있어,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이 제4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큰 사이즈의 용지(404)가 위치 맞춤되기 때문에,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큰 사이즈의 용지(404)가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등의 사태도 회피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차트 화상 데이터가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음과 함께, 큰 사이즈의 용지(404)에 대해 검은 배경을 부여하기 위한 흑색지에 출력되어 있는 흑색 화상을 나타내는 흑색 화상 데이터도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점이며, 이 점을 제외하고,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차트 화상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는 다른 위치 맞춤 화상을 갖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 동일하다. 이렇게 차트 화상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지만,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의 절차로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초점을 좁혀서 설명을 행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흑색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 화상 형성 장치로 출력된 흑색 화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흑색 화상은, 주위의 여백 부분을 제외하고 흑일색인 표면(4051A) 위의 화상과, 주위의 여백 부분 및 백색의 표지 화상(811E)을 제외하고 흑일색인 이면(4051B) 위의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저에 의해 차트 화상의 출력이 지시될 때에(즉, 도 3의 차트 화상 출력란(2701a)에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미리 결정된 사이즈의 용지 위에 양면 출력되는 화상이다. 제5 실시형태에서는 이 흑색 화상을 갖는 흑색지(405a)를 사용해서 차트 화상의 판독이 행해진다.
도 10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5)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405)가 투명 글래스(250)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0에서는, 예로서,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이면(505B)이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큰 사이즈의 용지(405)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은,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에 있어서, 삼각 마크로 나타나는,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및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1E)과 사각 마크로 나타나는 위치 맞춤 화상(802E),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3E)과 사각 마크로 나타나는 위치 맞춤 화상(804E)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도 10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0의 이면(505B)과 반대측인 표면에도, 마찬가지의 위치 맞춤 화상(801E, 802E, 803E, 804E)이,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면(505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그 반대측인 표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4개의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도 3과 같은 4개의 식별 화상이 각각 기재되어 있으며, 도 10의 (a)에서는, 그 중의 이면(505B) 위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만이 도시되어 있다.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에 배치될 때에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면(505B)에 있어서의 라인 형상의 위치 맞춤 화상(801E, 803E) 중, 도면의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E)의 라인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의 라인 위에 놓이도록,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B)이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5)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0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 위의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이면(505B)의 상측의 부분 위에 흑색지(405a)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 상측의 부분은, 흑색지(405a)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여기에서, 투명 글래스(250)는, 투명 글래스(250) 주위의 면보다 조금 오목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투명 글래스(250)의 가장자리와 그 주위의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이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의 판독 시에는, 흑색지(405a)는, 투명 글래스(250)의 상측의 가장자리(250c)에 있어서의 단차, 및 좌측의 가장자리(250b)에 있어서의 단차의 양쪽에 맞닿으며, 이에 따라 흑색지(405a)가 투명 글래스(250)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렇게 위치 맞춤된 흑색지(405a)의 표지 화상(811E)에 대하여, 도 10의 (a)의 이면(505B)의 하측의 사각 마크로 나타나는 위치 맞춤 화상(804E)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흑색지(405a)의 하부의 여백 부분을 사이에 두고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5)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여기에서, 흑색지(405a)의 주위의 여백 부분이, 흑색지(405a)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작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는, 이면(505B)의 상측의 부분과는 반대측의, 판독 대상으로 되는 표면의 상측의 부분의 주위는, 흑색지(405a)의 흑일색의 부분에 덮인다. 이 때문에, 흑색지(405a)의 여백 부분의 존재가 표면의 상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에지 검출에 영향을 주는 것은 피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후, 도 4의 (c)와 마찬가지로, 상부 커버(260)로 덮여서 판독이 실행되어, 그 판독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와 같은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지며, 또한 이면(505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 이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5B)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E, 802E)가, 도 10의 (a)에서 설명한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 및 도 10의 (b)에서 설명한 위치 맞춤된 흑색지(405a)의 표지 화상(811E)에 대해서 각각 위치 맞춤된다. 이면(505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의 판독에서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을 사용해서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E, 802E) 혹은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E, 804E)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5)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5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그 후의 보정량 산출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5)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투명 글래스(250)의 하측의 가장자리(250a), 및 위치 맞춤된 흑색지(405a)의 표지 화상(811E)을 표지로서 이용하는 것만으로 용지의 위치 맞춤을 실행할 수 있어,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큰 사이즈의 용지(405)가 위치 맞춤되기 때문에,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큰 사이즈의 용지(405)가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등의 사태도 회피되어 있다.
또한, 이 제5 실시형태에서는 흑색지(405a)는, 제5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흑색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출력되는 것이기 때문에, 흑색지(405a)가 분실 혹은 파손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새로운 흑색지(405a)를 입수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다른 점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의 차트 화상용 메모리(65)에 기억되어 있는 차트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차트 화상 데이터가 차트 화상용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 커버에, 차트 화상을 위치 맞춤하기 위한 표지 화상이 기재되어 있는 점이며, 이 점을 제외하고, 제6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이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10)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이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 데이터에서 나타나는 차트 화상은,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는 다른 위치 맞춤 화상을 갖고 있는 점만이 다르며, 그 이외의 점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과 동일하다. 이렇게 차트 화상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차이가 있지만, 제6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제1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의 절차로 보정량의 산출이 행해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초점을 좁혀서 설명을 행하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은,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을 갖는 큰 사이즈의 용지(406)에 대해서 판독이 행해질 때에, 용지(406)가 투명 글래스(250) 위에 위치 맞춤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도 11에서는, 예로서,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표면의 상측 부분의 판독을 위해서, 표면의 상측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측을 향해서 배치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이 경우, 도 1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이면(506B)이 외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해진다. 도 11의 (a)의 큰 사이즈의 용지(406)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은, 도 3의 큰 사이즈의 용지(400)에 있어서의 차트 화상에 있어서,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이며 용지(400)의 에지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A, 802A),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이며 용지(400)의 에지 부근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A, 804A)을, 중앙 수평 라인(602)의 상측이며 수직 라인(605)에 더 치우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1F, 802F), 및 중앙 수평 라인(602)의 하측이며 수직 라인(605)에 더 치우친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F, 804F)으로 치환한 것이다. 즉, 도 11의 (a)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1의 (a)의 이면(506B)과 반대측인 표면에도, 마찬가지의 위치 맞춤 화상(801F, 802F, 803F, 804F)이, 6개의 라인(601, 602, 603, 604, 605, 606)으로 이루어지는 검출용 화상과 함께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면(506B)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 및 그 반대측인 표면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의 4개의 부분에는, 이들을 서로 식별하기 위한, 도 3과 같은 4개의 식별 화상이 각각 기재되어 있으며, 도 11의 (a)에서는, 그 중의 이면(506B) 위의 2개의 식별 화상(803, 804)만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글래스(250) 위의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이면(506B)의 상측의 부분 위에, 양면의 전역이 흑일색으로 되어 있는 흑색지(406a)가 배치되며, 이에 따라, 이 상측의 부분은, 흑색지(406a)에 의해 완전히 덮인다. 여기에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0a)와 마찬가지로, 도 11의 (b)에 나타내는 흑색지(406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에지 부분이 판독에 의해 명확히 인식되도록, 큰 사이즈의 용지(406)에 대해 검은 배경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즉, 흑색지(406a)는 큰 사이즈의 용지(406)와 투명 글래스(250)의 단부 사이에 발생하는 극간을 적어도 일부 덮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1의 (c)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이면(506B)의 상측의 부분 및 흑색지(406a)가 상부 커버(260')로 덮인다. 여기에서, 상부 커버(260')의 도 11의 (c)에서 나타내는 하측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표지 화상(2601F, 2602F)가 기재되어 있으며, 덮여 있는 상태의 상부 커버(260')의 2개의 표지 화상(2601F, 2602F)에 대해서, 도 11의 (a)의 이면(506B)의 하측의 2개의 위치 맞춤 화상(803F, 804F)이, 도 1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6)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렇게 배치된 후, 판독이 실행되어, 그 판독 데이터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를 밟아서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하여 판독이 행해지며, 또한 이면(506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에 대해서도 각각 판독이 행해진다. 여기에서, 표면의 하측의 부분에 대한 판독에서 이 하측의 부분이 투명 글래스(250) 위에 배치될 때에는, 이면(506B)의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F, 802F)이, 도 11의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커버(260')의 2개의 표지 화상(2601F, 2602F)에 대해서 위치 맞춤된다. 이면(506B)의 상측의 부분 및 하측의 부분의 판독에서도, 표면과 마찬가지로, 표면의 4개의 위치 맞춤 화상을 사용해서 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렇게, 어느 판독에 있어서도, 상측의 위치 맞춤 화상(801F, 802F) 혹은 하측의 위치 맞춤 화상(803F, 804F)을 사용함으로써, 도면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에 대하여,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에 대해서 큰 사이즈의 용지(406)가 위치 맞춤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표면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 및 이면(506B)의 상측과 하측의 부분의 각각의 판독마다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판독 화상용 메모리(64)에 기억된다. 그 후의 보정량 산출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6 실시형태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판독 데이터에 대해서도 확실히 중앙 수평 라인(602)의 위치 정보가 포함됨과 함께, 용지의 코너가 투명 글래스의 가장자리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결과, 표면 및 이면의 각각에 있어서의 상측의 부분과 하측의 부분의 판독 시에, 유저에 의한 큰 사이즈의 용지(406)의 배치 실수에 의해 공통 부분(예를 들면 중앙 수평 라인(602))에 관한 데이터가 없는 판독 데이터가 생성되어 보정량을 산출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나, 판독 화상 해석 시에 용지 에지 위치 검지를 할 수 없는 등의 판독 실패는, 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한, 상부 커버(260')의 표지 화상(2601F, 2602F)을 표지로서 이용하는 것만으로 용지의 위치 맞춤을 실행할 수 있어, 용지의 위치 맞춤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특히, 이 제6 실시형태에서는 도면의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큰 사이즈의 용지(406)가 위치 맞춤되기 때문에,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큰 사이즈의 용지(406)가 투명 글래스(250)(즉 원고대)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등의 사태도 회피되어 있다.
1Y, 1M, 1C, 1K : 화상 형성 유닛
10 : 화상 형성 장치
10a : 배지 트레이
11K, 11C, 11M, 11Y : 현상제 유지체
100 : 화상 형성부
110K, 110C, 110M, 110Y : 1차 전사 롤
2 : 중간 전사 벨트
2a : 센서
2b : 클리닝 장치
200 : 화상 판독부
210 : 제1 캐리지
211 : 램프
212 : 제1 미러
220 : 제2 캐리지
221 : 제2 미러
222 : 제3 미러
230 : 렌즈부
240 : CCD 라인 센서
250 : 투명 글래스
260 : 상부 커버
260a : 급지구
260b : 배출구
261 : 원고 트레이
262 : 배지대
270 : 조작부
2701 : 표시 화면
2701a : 차트 화상 출력란
2701b : 판독 개시란
2701c : 판독 완료란
2701d : ESC란
2701e : 제1 트레이란
2701f : 제2 트레이란
2701g : 제3 트레이란
2702 : 버튼군
2702a : 보정량 산출 모드 버튼
3a : 2차 전사 롤
3b : 백업 롤
30 : 구동 롤
31 : 반송 벨트
300, 300' : 용지
4 : 정착 장치
40 : 위치 맞춤 롤 쌍
40a : 송출 롤 쌍
40b : 제1 양면용 반송 롤 쌍
40c : 제2 양면용 반송 롤 쌍
40d : 제3 양면용 반송 롤 쌍
40e : 제4 양면용 반송 롤 쌍
41a : 제1 반송 롤 쌍
41b : 제2 반송 롤 쌍
400, 402, 403, 404, 405, 406 : 큰 사이즈의 용지
400a, 403a, 404a, 405a, 406a : 흑색지
4051A : 표면
4051B : 이면
5 : 노광부
501A : 표면
501B, 502B, 503B, 504B, 505B, 506B : 이면
6 : 컨트롤러
61 : 제1 트레이용 메모리
62 : 제2 트레이용 메모리
63 : 제3 트레이용 메모리
64 : 판독 화상용 메모리
65 : 차트 화상용 메모리
601 : 상단 수평 라인
602 : 중앙 수평 라인
603 : 하단 수평 라인
604 : 좌단 수직 라인
605 : 중앙 수직 라인
606 : 우단 수직 라인
701 : 1회째 판독 영역
702 : 2회째 판독 영역
703 : 3회째 판독 영역
704 : 4회째 판독 영역
801, 802, 803, 804 : 식별 화상
801A, 802A, 803A, 804A : 위치 맞춤 화상
801B, 802B : 위치 맞춤 화상
801C, 802C, 803C, 804C : 위치 맞춤 화상
801D, 802D, 803D, 804D : 위치 맞춤 화상
801E, 802E, 803E, 804E : 위치 맞춤 화상
801F, 802F, 803F, 804F : 위치 맞춤 화상
811E, 2601F, 2602F : 표지 화상
O : 원점
A1, A2, A3, A4, A5, A6 : 교점

Claims (16)

  1. 제1 면에 본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형성됨과 함께, 제2 면에는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당해 원고를 배치할 때의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단부(端部)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은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고를 덮는 덮개판을 원고 위에 더 배치해서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을 행하는 경우에,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상기 덮개판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판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킴으로써,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화상은 4변으로 둘러싸인 판독 영역에 있어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 당해 원고를 배치할 때의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으로서 사용되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4변 중, 적어도 3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단부 또는 판독 수단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킴으로써, 당해 원고가 상기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은, 적어도 제1, 제2, 제3 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제1 면을 복수 회 판독함과 함께, 1회째의 판독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을 판독하고, 그 이후의 판독에서 제2 및 제3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사용해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제2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3 화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할 때의 판독의 영역을 구별하기 위한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할 때의 판독의 순번을 나타내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8.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며,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紙)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고,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삭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으로서 적어도 제1, 제2, 제3 화상이 형성된 원고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할 때에는, 상기 원고의 제1 면을 복수 회의 판독을 행함과 함께, 1회째의 판독에서는, 제1 및 제2 화상을 판독하고, 그 이후의 판독에서 제2 및 제3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고,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사용해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제2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포함되는 위치에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제1 또는 제3 화상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판독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원고가 배치됨과 함께,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복수 회 판독된 상기 제2 화상에 의거해서,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3 화상의 거리를 계산하는 계산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원고대 위에 본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이 형성된 원고에 대하여, 당해 원고가 배치되는 위치를 지시하는 화상이 형성되고,
    상기 원고를 판독할 때에, 상기 원고대 위에 상기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로서 지정되어 있는 위치에 본 덮개판을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지시하는 화상과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대응시켜서 원고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원고가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갖고 배치되도록 상기 지시하는 화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판.
  13.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대에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며,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4.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대에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고,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15.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의 단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및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된 단부에 의해, 원고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갖고,
    상기 원고는,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상기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되며,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용지 위에 당해 용지에 대한 화상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상과, 원고를 배치할 때의 당해 원고를 배치하는 위치를 지정하는 화상을 용지의 다른 면에 각각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용지 위에 화상이 형성된 원고가 배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가 상기 지정하는 화상의 지정에 맞춰서 상기 원고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원고대의 단부에 대해서 극간을 가지며, 또한 상기 측정하기 위한 화상이 본 화상 판독 수단의 판독 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원고대에 배치된 원고 위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한 판독 결과에 따라 원고 내에 형성된 화상과 당해 원고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갖고,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상기 원고를 덮기 위해 사용되는 덮개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화상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원고대 위의 원고를 판독할 때에는 당해 원고 위에 덮개지를 더 배치함과 함께 상기 지정하는 화상을 덮개지의 단부 또는 당해 덮개지에 형성된 화상과 대응시켜서 당해 원고가 상기 판독 영역의 단부에 대하여 극간을 갖고 배치된 상태에서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30036256A 2012-07-18 2013-04-03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 KR101696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59478A JP5974699B2 (ja) 2012-07-18 2012-07-18 原稿、画像形成装置、および覆い板
JPJP-P-2012-159478 2012-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246A KR20140011246A (ko) 2014-01-28
KR101696272B1 true KR101696272B1 (ko) 2017-01-13

Family

ID=49946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56A KR101696272B1 (ko) 2012-07-18 2013-04-03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25217B2 (ko)
JP (1) JP5974699B2 (ko)
KR (1) KR101696272B1 (ko)
CN (1) CN103581463B (ko)
AU (1) AU2013201908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927B1 (ko) * 2015-03-31 2018-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 소자
CN107850801B (zh) 2015-07-16 2021-04-16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调节透光的装置
JP6287995B2 (ja) * 2015-08-06 2018-03-0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14006B2 (ja) * 2015-10-14 2018-10-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6661377B2 (ja) 2016-01-12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2017170758A (ja) * 2016-03-24 2017-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4240A (ko) 2017-01-16 2018-07-2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사이즈가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들을 출력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2087856A (ja) 2020-12-02 2022-06-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733A (ja) 2003-05-28 2005-01-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調整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の調整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調整方法
JP2006303920A (ja) * 2005-04-20 2006-11-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3880544B2 (ja) 2003-05-21 2007-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補正方法、画像補正用治具、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13282A (ja) * 2007-11-05 2009-05-28 Canon Inc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8148B (en) * 2000-05-17 2002-05-21 Avision Inc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of the scanning start point of scanning image device
JP4157832B2 (ja) * 2003-11-20 2008-10-01 株式会社リコー 原稿サイズ検知方法及び原稿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17509A (ja) 2004-01-27 2005-08-11 Sharp Corp 原稿読み取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写機
JP2006293213A (ja) 2005-04-14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665681B2 (ja) * 2005-09-15 2011-04-0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92926B2 (ja) * 2005-11-08 2011-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5228749B2 (ja) * 2008-03-28 2013-07-03 株式会社リコー 原稿サイズ検知機能を有する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0544B2 (ja) 2003-05-21 2007-02-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補正方法、画像補正用治具、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10733A (ja) 2003-05-28 2005-01-13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の調整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の調整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読取装置の調整方法
JP2006303920A (ja) * 2005-04-20 2006-11-02 Sharp Corp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2009113282A (ja) * 2007-11-05 2009-05-28 Canon Inc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22919A (ja) 2014-02-03
CN103581463B (zh) 2018-12-28
AU2013201908A1 (en) 2014-02-06
JP5974699B2 (ja) 2016-08-23
US9025217B2 (en) 2015-05-05
KR20140011246A (ko) 2014-01-28
CN103581463A (zh) 2014-02-12
US20140022609A1 (en) 2014-01-23
AU2013201908B2 (en)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272B1 (ko) 원고, 화상 형성 장치, 덮개판, 및 화상 판독 장치
JP6287180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CN1321823C (zh) 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系统、图像读取装置及调整方法
CN102314116B (zh) 图像形成设备及片材给进控制方法
JP589575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試験データ
US6118950A (en) Duplex image alignment
JP7363035B2 (ja) 画像検査装置、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8812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image forming method
JP4661385B2 (ja) 画像形成装置
US9202147B2 (e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an image reading unit in a paper conveying path downstream from an image forming unit
JP5906972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11133771A (ja) 画像形成装置
US113750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forming an image for measuring a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a paper
US2014036317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adjustment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djustment pattern image
JP2020038483A (ja) 画像検査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JP7156564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
JP7456267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検査方法および画像検査プログラム
JP3665541B2 (ja) 画像形成装置
JP7434020B2 (ja) 検品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253306B2 (ja) 色ずれ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色ずれ制御方法
JP200509160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71535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パンチ穴位置調整方法
US95540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ing image selection method
JP2020080499A (ja) 画像形成装置、修正用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102737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