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068B1 -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 Google Patents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068B1
KR101682068B1 KR1020117021791A KR20117021791A KR101682068B1 KR 101682068 B1 KR101682068 B1 KR 101682068B1 KR 1020117021791 A KR1020117021791 A KR 1020117021791A KR 20117021791 A KR20117021791 A KR 20117021791A KR 101682068 B1 KR101682068 B1 KR 10168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opening
mounting groove
cov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2724A (ko
Inventor
히데토 나메키
코타 헨미
Original Assignee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positio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06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asket Se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패킹이 개구부의 내면과 장착 홈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로서, 장착 홈 내에서의 패킹의 비틀림에 의한 방수성의 저하나 장착 불량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패킹은,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이 평탄 형상으로 되며, 폭 방향의 단면지름이 높이 방향의 단면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패킹은 그 단면 형상이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면에서 평탄형상으로 되고,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원호형상의 볼록면으로 되며, 전체로서 단면 D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WATER-PROOF STRUCTURE FOR OPENING OF CASE OF APPLIANCE}
본 발명은, 기기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커넥터 커버부나 배터리 커버부 등과 같은 개폐 부분의 방수를 도모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는, 데이타 입출력이나 충전 등을 위한 커넥터 접속부나, 배터리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이 있으며, 이들 커넥터 접속부나 배터리 삽입부로서 기기 케이스에 형성(開設)된 개구부에는 커버가 탈부착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 개구부와 커버 간의 틈새는, 종래에는 O링에 의해 밀봉되어, 방수가 도모되고 있다.
도 26은, 이러한 종래의 방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참조 부호 100은 소형 전자기기의 케이스, 참조 부호 101은 케이스(100)에 형성된 개구부, 참조 부호 200은 개구부(101)에 탈부착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커버이다. 커버(200)의 외주면에는 장착 홈(201)이 둘레에 형성되고, 이 장착 홈(201)에는 O링(202)이 장착되어 있다. 이 O링(202)은, 단면이 원형인 고무상(rubber-like)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패킹(packing)이며, 케이스(100)의 개구부(101)에 커버(200)를 끼워 넣은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101)의 내면(내주면)과 커버(200)의 장착 홈(201)의 바닥면 사이에 압축 상태로 개재시킴으로써 방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참조).
그러나, 종래의 방수 구조에 따르면, 도 26의 (A)와 같이 커버(200)를 떼어내어 개구부(101)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도 26의 (B)와 같이 커버(200)를 개구부(101)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O링(202)이, 개구부(101)의 내면 및 장착 홈(201)의 바닥면 간의 마찰에 의해 비틀려, O링(202)에 의한 밀봉성(sealing performance)(방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O링(202)을 커버(200)의 장착 홈(201)에 감아서 장착할 때에도, O링(202)에 비틀림(torsion)이 생기기 쉬워, 장착 불량에 의해 밀봉성(방수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8-289103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7-73269호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기술적 과제는, 장착 홈 내에서의 패킹의 비틀림에 의한 방수성의 저하나 장착 불량을 방지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유효하게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방수 구조는,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킹은,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密接面)이 평탄형상이며, 폭 방향의 단면지름을 높이 방향의 단면지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방수 구조는,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상기 패킹은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內周)면에서 평탄형상이고,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원호형상의 볼록면이며, 전체로서 단면 D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한 방수 구조는,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에, 상기 장착 홈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움결합홈(fitting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패킹에, 상기 끼움결합홈과 끼움결합가능한 끼움결합돌기(fitting projection)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한 방수 구조는, 상기한 청구항 3 기재의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상기 패킹은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면에서 평탄형상이며,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원호형상의 볼록면이고, 전체로서 단면 D자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단면 D자형으로 형성된 패킹의 내주면에 상기 끼움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한 방수 구조는, 상기한 청구항 3 기재의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상기 패킹은, 상기 끼움결합홈에 끼움결합하는 내주측의 끼움결합돌기와, 상기 개구부의 내면에 밀착접촉하는 외주측의 시일 돌기와, 폭방향 양측의 시일 돌기(seal projection)를 가지고, 단면이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방수 구조는,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킹은,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이 평탄형상이며,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봉우리부(峰部, peak portion)와 그 양측의 경사면(斜面)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방수 구조는, 커버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상기 패킹은 그 단면 형상이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면에서 평탄형상이고,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봉우리부와 그 양측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이며, 전체로서 단면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한 방수 구조는, 상기한 청구항 6 또는 7 기재의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패킹의 봉우리부의 양측의 경사면 중, 커버 삽입방향 측의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緩勾配),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급경사(急勾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한 방수 구조는, 상기한 청구항 6 또는 7 기재의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패킹의 봉우리부의 양측의 경사면 중, 커버 삽입방향 측의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경사면이 상대적으로 급경사이고, 또한 상기 패킹의 봉우리부가, 패킹의 폭방향 중앙부보다도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에 편재(偏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패킹이,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에서 평탄형상으로 되며, 폭방향의 단면지름이 높이 방향의 단면지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롤링(rolling)되기 쉬운 O링과 비교하여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seating)이 안정되고, 비틀림 방향(twisting direction)의 하중을 받아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waterproof performance)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패킹의 단면 형상이 홈의 바닥면(底面)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면에서 평탄형상으로 되고,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원호형상의 볼록면으로 되며, 전체로서 단면 D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롤링되기 쉬운 O링과 비교하여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이 안정되고, 비틀림 방향의 하중을 받아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 4 또는 5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패킹에 형성된 끼움결합돌기가, 장착 홈의 바닥면에 형성된 끼움결합홈에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결합에 의해 패킹이 장착 홈 내에서 구속되어, 비틀림 방향의 하중을 받아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구성에 따르면, 패킹의 내주면이 단면 평탄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이 안정된다. 청구항 5의 구성에 따르면,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시일 돌기가 장착 홈의 바닥면에 밀착접촉함으로써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이 안정된다. 또한, 개구부의 내면에 밀착접촉하는 외주측의 시일 돌기의 축방향 폭이 패킹 전체의 축방향 폭보다도 작게 설정되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 있어서의 압축 반력(壓縮反力)이 작게 설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패킹에 있어서의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이 평탄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롤링되기 쉬운 O링과 비교해서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이 안정되고, 비틀림 방향의 하중을 받아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봉우리부와 그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찌그러짐 여유(collapsing margin)의 설정이 동일한 경우, 압축 반력이 작아져, 케이스의 개구부에 커버를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press-fit resistance)이나, 패킹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의 장착 불량이나, 커버의 반복 개폐 동작 등에 의한 홈 내에서의 패킹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게다가 케이스의 개구부에 커버를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마모에 의한 방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장착 홈의 단면 형상이 그 바닥면에서 평탄형상임에 따라서, 패킹의 단면 형상이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 즉 내주면에서 평탄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롤링되기 쉬운 O링과 비교해서 장착 홈의 바닥면에 대한 시팅이 안정되고, 비틀림 방향의 하중을 받아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따라서 방수성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의 단면 형상이 내주면과 반대측의 외주면에서 봉우리부와 그 양측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형상으로 되며, 전체로서 단면 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형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찌그러짐 여유의 설정이 동일한 경우, 압축 반력이 작아져, 케이스의 개구부에 커버를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이나, 패킹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킹의 장착 불량이나, 커버의 반복 개폐 동작 등에 의한 홈 내에서의 패킹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게다가 케이스의 개구부에 커버를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마모에 의한 방수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발명의 청구항 8 또는 9에 의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는, 케이스의 개구부의 내면과의 패킹의 마찰 저항이, 커버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작고, 그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커진다. 또한, 케이스의 개구부의 내면에 대한 패킹의 면압(面壓)이, 봉우리부보다도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에서 급격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물의 침입 압력에 대한 저항력(抗力, resistance)이 증대한다. 따라서 케이스의 개구부로 커버를 끼워 넣기가 한층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커버가 탈락하기 어렵게 확실히 끼워 넣어져, 방수 성능을 한층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1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패킹의 일부를 파단(破斷)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패킹의 일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은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제1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패킹의 일부를 파단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제2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패킹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3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마찬가지로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와 패킹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마찬가지로 제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패킹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4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패킹이 장착된 커버의 1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패킹이 장착된 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배면도, (C)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마찬가지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마찬가지로 제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마찬가지로 제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3은, 마찬가지로 제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의 면압 분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제6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홈에 패킹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마찬가지로 제6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패킹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종래의 기술에 관한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에 있어서, 커버를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기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의 실시의 형태 ···
우선 도 1의 사시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소형 전자기기의 케이스, 참조 부호 2는 케이스(1)에 형성(開設)된 개구부(11)에 탈부착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커버이다.
케이스(1)에 형성된 개구부(11)는, 개구 형상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즉 그 내주면은, 평면부와 만곡면(彎曲面)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진다.
커버(2)는 전체로서 판형상(板狀)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5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삽입가능한 삽입부(21)와, 이 삽입부(21)의 외측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의 외측면(1a)과 대향하는 칼라부(collar portion, 22)를 가진다.
커버(2)의 삽입부(21)의 외주면(21a)은, 삽입방향에 대한 투영(投影) 형상이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개구 형상과 거의 유사,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형상을 나타내며,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것으로서, 개구부(11) 사이즈보다 조금 작다. 그리고 이 삽입부(21)의 외주면(21a)에는 장착 홈(단지 「홈」이라고도 칭하며, 또한 「패킹 장착 홈」이라고도 칭함)(23)이 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 홈(23)은, 거의 コ자형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즉 삽입부(21)의 외주면(21a)과 평행한 평탄면 형상의 바닥면(23a)과, 그 양측으로부터 직각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내측면(23b)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장착 홈(23)에는 고무상 탄성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패킹(3)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3)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둥근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동 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D자형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단면 형상에 있어서,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a)이 평탄형상이며, 장착 홈(23)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면에 적당한 변형 상태로 압접(壓接)되는 외주면(3b)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패킹(3)의 내주면(3a)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밀착접촉면에 상당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3)의 폭방향의 단면지름(L1)은, 높이 방향의 단면지름(L2)보다 크고, 즉 L2/L1<1로 되어 있다. 한편, L2는, 장착 홈(23)의 깊이보다 크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커버(2)는 그 삽입부(21)가,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패킹(3)을 통하여 압입되어 끼움부착되고, 패킹(3)이,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개구부(11)의 내주면(11a)의 사이에서 적당히 압축된 상태로 끼워짐으로써, 개구부(11)를 밀폐 상태로 폐쇄하여 방수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3)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a)이 평탄하고, 또한 L2/L1<1이기 때문에, 롤링(rolling)(비틀림)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의 저항이 크며, 따라서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패킹(3)이, 개구부(11)의 내주면(11a) 및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의 마찰에 의해 비틀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으며, 패킹(3)에 의한 뛰어난 밀봉성(방수성)이 확보된다.
또한, 패킹(3)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둥근 고리형상(annular shape)으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비(非)원형의 커버(2)의 삽입부(21)에 외부에서 삽입하여 홈(23)에 감아서 장착할 때, 종래와 같은 O링에서는 비틀리기 쉬웠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킹(3)을 도 4와 같은 단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쉽게 비틀리지 않아, 장착 불량에 의해 밀봉성(방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2의 실시의 형태 ···
다음으로, 도 7∼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중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휴대전화기 등 소형 전자기기의 케이스, 참조 부호 2는 케이스(1)에 커넥터 삽입부 등으로서 형성된 개구부(11)에 탈부착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커버이다. 케이스(1)의 개구부(11)는, 개구 형상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즉 그 내주면(11a)은,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진다. 커버(2)는 전체로서 판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삽입가능한 삽입부(21)와, 이 삽입부(21)의 외측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의 외측면(12)과 대향하는 칼라부(22)를 가진다.
커버(2)의 삽입부(21)의 외주면(21a)은, 삽입방향에 대한 투영 형상이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개구 형상과 거의 유사,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 형상을 나타내며,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것으로서, 개구부(11)보다 사이즈가 조금 작다. 커버(2)의 삽입부(21)의 외주면(21a)에는 장착 홈(23)이 둘레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장착 홈(23)에는 패킹(3)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홈(23)은, 커버(2)의 삽입부(21)의 외주면(21a)과 평행한 단면 평탄면 형상의 바닥면(23a)과, 그 양측에서 거의 수직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내측면(23b)으로 이루어지며, 바닥면(23a)의 폭방향 중간위치에는, 이 장착 홈(23)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 コ자형의 끼움결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3)은, 고무상 탄성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재료)에 의해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둥근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것이며, 동 도 (B)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이 D자형을 나타내는 본체부(31)와, 그 내주면(31a)에 형성된 끼움결합돌기(32)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이 패킹(3)의 본체부(31)는 장착 홈(23) 내에 유지되는 것으로서,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1a)이 단면 평탄형상이며, 장착 홈(23)의 외측으로 돌출해서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주면(11a)에 적당한 변형 상태로 압접되는 외주면(31b)이 단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이루고,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개구부(11)의 내주면(11a)과의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라도 장착 홈(23) 내에 있어서의 본체부(31)의 충전율이 100% 이상이 되지 않도록, 장착 홈(23)의 내측면(23b)에 대하여 근소한 틈새를 가진다. 또한, 끼움결합돌기(32)는,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에 형성된 끼움결합홈(24)에 밀착접촉하여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는, 그 삽입부(21)가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패킹(3)을 통하여 압입되어 끼움부착되고, 이 패킹(3)의 본체부(31)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 및 끼움결합홈(24)과 상기 개구부(11)의 내주면(11a)과의 사이에서 적당히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개구부(11)를 밀폐 상태로 폐쇄하여 방수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3)은, 끼움결합돌기(32)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에 형성된 끼움결합홈(24)에 밀착접촉하여 끼움결합됨으로써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롤링(비틀림)방향의 힘(F)이 작용했을 때의 저항이 크며, 따라서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패킹(3)(본체부(31))이, 개구부(11)의 내주면(11a) 및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의 마찰에 의해 비틀리는 것 같은 일이 없으며, 뛰어난 밀봉성(방수성)이 확보된다.
또한, 패킹(3)을 비원형의 커버(2)의 삽입부(21)에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장착 홈(23)에 감아서 장착할 때, 본체부(31)를 가볍게 누르면서 끼움결합돌기(32)를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의 끼움결합홈(24)으로 밀어 넣도록 하면, 끼움결합돌기(32)가 끼움결합홈(24)에 순차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패킹(3)(본체부(31))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불량에 의해 밀봉성(방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3의 실시의 형태 ···
다음으로, 도 11∼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먼저 설명한 제 2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것은, 끼움결합홈(24) 및 패킹(3)의 단면 형상이다.
상세하게는,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의 폭방향 중간위치에 형성된 끼움결합홈(24)은,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거의 U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패킹(3)은, 끼움결합홈(24)과 대응하는 단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이루는 내주측의 끼움결합돌기(32)와, 이 끼움결합돌기(32)와 180도 대칭인 단면 형상을 이루는 외주측의 시일 돌기(33)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이들 끼움결합돌기(32) 및 시일 돌기(33)와 90도 다른 방향으로 상기 끼움결합돌기(32)와 90도 대칭인 단면 형상을 이루는 폭방향 양측의 시일 돌기(34,35)를 가지고, 즉 거의 십자형의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패킹(3)의 끼움결합돌기(32)는,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에 형성된 끼움결합홈(24)에 밀착접촉하여 끼움결합되고, 외주측의 시일 돌기(33)는, 장착 홈(23)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주면(11a)에 적당한 변형 상태로 압접(pressure contact)되는 것이다. 또한, 폭방향 양측의 시일 돌기(34,35)는 장착 홈(23) 내에 유지되는 동시에 선단이 장착 홈(23)의 내측면(23b,23b)에 밀착접촉하고, 내주부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에 밀착접촉되는 것으로, 단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이루기 때문에, 장착 홈(23)의 바닥면(23a) 및 내측면(23b)에 대하여 근소한 틈새가 형성되며, 장착 홈(23) 내에 있어서의 패킹(3)의 충전율이 100% 이상이 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방수 구조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는, 그 삽입부(21)가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패킹(3)을 통하여 압입되어 끼움부착되고, 이 패킹(3)이, 장착 홈(23)의 바닥면(23a) 및 끼움결합홈(24)과 상기 개구부(11)의 내주면(11a)과의 사이에서 적당히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개구부(11)를 밀폐 상태로 폐쇄해서 방수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3)은, 내주측의 끼움결합돌기(32)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에 형성된 끼움결합홈(24)에 밀착접촉하여 끼움결합되는 동시에, 폭방향 양측의 시일 돌기(34,35)의 선단이 장착 홈(23)의 내측면(23b,23b)에 밀착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롤링(비틀림)방향의 힘(F)이 작용했을 때의 저항이 크고, 따라서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패킹(3)이, 개구부(11)의 내주면(11a) 및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의 마찰에 의해 비틀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으며, 뛰어난 밀봉성(방수성)이 확보된다.
또한, 패킹(3)을 비원형의 커버(2)의 삽입부(21)에 외부로부터 삽입하여 장착 홈(23)에 감아서 장착할 때, 시일 돌기(33∼35)를 가볍게 누르면서 끼움결합돌기(32)를 장착 홈(23)의 바닥면(23a)의 끼움결합홈(24)에 밀어넣어 가도록 하면, 끼움결합돌기(32)가 끼움결합홈(24)에 순차 끼움결합되기 때문에, 패킹(3)(본체부(31))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장착 불량에 의해 밀봉성(방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끼움결합돌기(32)는 패킹(3)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반드시 무단 형상(endless shape)으로 연속된 것이 아니어도 되며, 단속(斷續)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패킹(3)의 장착시에 끼움결합돌기(32)를 끼움결합홈(24)에 끼워 넣는 작업을 전체 둘레에서 행할 필요가 없고, 또한 끼움결합홈(24)으로 공기가 함유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 4의 실시의 형태 ···
그 다음에, 도 14∼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 중 도 14의 사시도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소형 전자기기의 케이스, 참조 부호 2는 케이스(1)에 형성된 배터리 삽입 혹은 커넥터 접속을 위한 개구부(11)에 탈부착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커버이다.
케이스(1)에 형성된 개구부(11)는, 도 14의 예와 같이 개구 형상이 예를 들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 형상의 것이나, 타원형상의 것(미도시) 등이 있으며, 즉 그 내면(11a)은,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커버(2)는 전체로서 판형상(板狀)을 이루는 것이며,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삽입가능한 삽입부(21)와, 이 삽입부(21)의 외측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의 외측면(1a)과 대향하는 칼라부(22)를 가진다.
커버(2)의 삽입부(21)는, 삽입방향에 대한 투영 형상이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개구 형상과 거의 유사하며, 도 16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사각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나, 도 17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타원형상의 것 등이 있으며, 즉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고, 상기 개구부(11)보다 사이즈가 조금 작다. 그리고 이 삽입부(21)의 외주면(21a)에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홈(23)이 둘레에 설치되어 있고, 이 장착 홈(23)은, 거의 コ자형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며, 즉 삽입부(21)의 외주면(21a)과 평행한 평탄형상의 바닥면(23a)과, 그 양측으로부터 직각으로 기립하는 한 쌍의 내측면(23b)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의 장착 홈(23)에는, 고무상 탄성재료(고무 재료 또는 고무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패킹(3)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3)은 둥근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서 단면 오각형상을 나타내며,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방향의 높이(h)가 장착 홈(23)의 깊이(d)보다도 높고, 장착 홈(23)의 바닥면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a)이 평탄형상이며, 그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기립하는 양측면(3c,3d)이 내주면(3a)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형상을 이루며, 장착 홈(23)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면에 적당한 변형 상태로 압접되는 외주면이, 봉우리부(3e)와, 이 봉우리부(3e)로부터 양측면(3c,3d)을 향해서 연장되는 경사면(3f,3g)으로 이루어진다. 봉우리부(3e)는 패킹(3)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봉우리부(3e)의 양측의 경사면(3f,3g)의 경사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내주면(3a)은,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에 상당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구체예에 있어서는, 이 패킹(3)은, 폭(w)이 약 1.1mm, 높이(h)가 약 1.0mm이며, 즉 h/w<1이다. 또한, 경사면(3f,3g)이 서로 이루는 각도(θ)는 약74도이며, 봉우리부(3e)는 곡률반경이 0.3mm정도의 R면(rounded surfaces)을 이루도록 모따기되며, 내주면(3a)과 측면(3c,3d)과의 모서리부 및 측면(3c,3d)과 경사면(3f,3g)과의 모서리부도 각각 곡률반경이 0.2mm 정도의 R면을 이루도록 모따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커버(2)는, 그 삽입부(21)가, 케이스(1)의 개구부(11)에 패킹(3)을 통하여 압입되어 끼움부착되고, 패킹(3)이,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개구부(11)의 내면(11a)과의 사이에서 적당히 압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짐으로써, 개구부(11)를 밀폐 상태로 폐쇄해서 방수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3)은,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a)이 평탄형상이기 때문에, 롤링(비틀림)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의 저항이 크고, 게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축 반력에 의한 개구부(11)의 내면(11a)과의 마찰 저항이 작다. 따라서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패킹(3)이 비틀리는 것과 같은 일이 없고, 이 때문에 패킹(3)에 의한 뛰어난 밀봉성(방수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시된 형태에서는 h/w<1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도 패킹(3)의 비틀림 방지에 유효하게 기여한다.
게다가 이 패킹(3)은, 먼저 설명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면 D자형, 즉 외주면(3b)이 단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이루는 패킹(3)에 비교하여, 압축 반력이 작아진다. 이것은, 높이(h)가 동일한 경우, 도 18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면이 원호형상의 볼록면을 이루는 패킹(3)에 비교하여, 외주면이 봉우리부(3e)와 그 양측의 경사면(3f,3g)으로 이루어지는 본 형태의 패킹(3)은 외주부의 체적이 작으므로, 찌그러짐 여유(δ)가 동일하면, 단면 D자형의 패킹(3)에 비교하여 압축량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개구부(11)의 내면(11a)에 대한 패킹(3)의 마찰 저항이 작아져,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이나, 패킹(3)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패킹(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홈(23)의 바닥면(23a)과 밀착접촉되는 내주면(3a)이 평탄형상이기 때문에, 장착 홈(23)에 대한 장착 과정에서도 쉽게 비틀리지 않으며, 이 때문에 장착 불량에 의해 밀봉성(방수성)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5의 실시의 형태 ···
다음으로, 도 20∼도 23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5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4의 실시의 형태와 다른 것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3)의 봉우리부(3e)가 폭방향 중앙보다도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커버의 칼라부(22)측)에 편재되어 있으며, 즉 봉우리부(3e)와 커버 삽입방향 측의 측면(3c)과의 축방향 거리(L3)의 쪽이 봉우리부(3e)와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측면(3d)과의 축방향 거리(L4)보다 크고, 봉우리부(3e)의 양측 경사면(3f,3g) 중, 커버 삽입방향 측의 경사면(3f)의 경사(α)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경사면(3g)의 경사(β)가 상대적으로 급경사, 즉 α<β로 되어 있는 것에 있다. 그 밖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제 4의 실시의 형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제 4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킹(3)의 비틀림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동시에, 패킹(3)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α<β인 것에 의해,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면(11a)에 대한 패킹(3)의 마찰 저항이 커버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작아지기 때문에, 도 2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개구부(11)를 개방한 상태로부터, 도 2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11)에 커버(2)를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이 한층 저감되며, 게다가 상기 마찰 저항이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커지기 때문에, 커버(2)가 개구부(11)로부터 부주의하게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패킹(3)의 봉우리부(3e)가 폭방향 중앙보다도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으로 편재됨으로써,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면(11a)에 대한 면압(P)이,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에서 급격하게 상승하도록 분포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물 등의 침입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하며, 방수 성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한편, 패킹(3)의 봉우리부(3e)의 오프셋 량(offset amount)은, 지나치게 크면 반대로 시일성(sealing performance)이 저하하고, 커버(2)의 원활한 개폐도 곤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L3:L4은 1:1∼5:1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의 실시의 형태 ···
다음에,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제6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봉우리부(3e)가 패킹(3)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봉우리부(3e)의 양측의 경사면(3f,3g) 중, 커버 삽입방향 측의 경사면(3f)의 경사(α)가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경사면(3g)의 경사(β)가 상대적으로 급경사, 즉 α<β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사(α,β)의 차이에 의해,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의 경사면(3g)의 스커트부(skirt portion, 3h)는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부분은, 기본적으로 제5의 형태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으로도, 제 5의 실시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패킹(3)의 비틀림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동시에, 패킹(3)의 마모를 저감할 수 있고, 게다가 α<β인 것에 의해, 제5의 실시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즉 케이스(1)의 개구부(11)의 내면(11a)에 대한 패킹(3)의 마찰 저항이 커버 삽입방향에 대해서는 작고,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 방향에 대해서는 커지며, 게다가, 케이스의 개구부(11)의 내면(11a)에 대한 면압이, 커버 삽입방향과 반대측에서 급격하게 상승하도록 분포되며, 외부로부터의 물 등의 침입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한다.
또한, 이 제6의 실시의 형태에 따르면, 도 25에 나타내는 패킹(3)의 폭(w)이나 높이(h), 찌그러짐 여유(δ) 등이 먼저 설명한 도 18에 나타내는 패킹(3)과 동일한 경우, 도 18의 패킹(3)에 비교해서 압축량(압축 반력)이 더욱 작아지기 때문에, 커버(2)를 개구부(11)에 끼워 넣을 때의 압입 저항이나, 패킹(3)의 마모를 한층 저감할 수 있다.
1 케이스
11 개구부
2 커버
21 삽입부
22 칼라부
23 장착 홈
23a 바닥면
24 끼움결합홈
3 패킹
3a 내주면(밀착접촉면)
3b 외주면
3c,3d 측면
3e 봉우리부
3f,3g 경사면
3h 스커트부
31 본체부
32 끼움결합돌기
33,34,35 시일 돌기

Claims (9)

  1. 커버의 삽입부의 외주면의 둘레에 설치한 장착 홈에 패킹이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삽입부를 기기의 케이스의 개구부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패킹이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로서,
    상기 개구부는, 그 개구 형상이 평면부와 만곡면(彎曲面)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삽입부는, 그 외주면의 삽입방향에 대한 투영(投影) 형상이 평면부와 만곡면부를 둘레방향 교대로 가지는 사각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패킹은, 둥근 고리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둥근 고리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패킹이 상기 사각형상을 나타내는 삽입부에 외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장착 홈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장착 홈의 바닥면과의 밀착접촉면이 단면(斷面) 평탄형상으로 되며, 폭방향의 단면지름이 높이 방향의 단면지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단면 원호형상의 볼록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상기 개구부의 내면과의 밀착접촉면이 봉우리부와 그 양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17021791A 2009-05-08 2010-03-09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KR101682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3544 2009-05-08
JP2009113544 2009-05-08
JPJP-P-2009-155269 2009-06-30
JP2009155269 2009-06-30
PCT/JP2010/053825 WO2010128606A1 (ja) 2009-05-08 2010-03-09 機器ケースの開閉部分の防水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724A KR20120022724A (ko) 2012-03-12
KR101682068B1 true KR101682068B1 (ko) 2016-12-02

Family

ID=43050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791A KR101682068B1 (ko) 2009-05-08 2010-03-09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21865B2 (ko)
KR (1) KR101682068B1 (ko)
CN (2) CN202971892U (ko)
FI (1) FI126852B (ko)
WO (1) WO2010128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3921B2 (ja) * 2010-02-01 2014-12-0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ライド蓋の防水装置、及び電子機器
ES2912110T3 (es) * 2011-09-02 2022-05-24 Nanoh2O Inc Dispositivo de separación de membranas con placa de sellado
JP5667677B1 (ja) * 2013-09-13 2015-02-12 化成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ル材
JP6015679B2 (ja) * 2014-01-14 2016-10-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バポリークチェックシステム
US20170211703A1 (en) * 2014-05-29 2017-07-27 Nok Corporation Sealing structure and sealing device
CN104015997A (zh) * 2014-06-19 2014-09-03 上海英宇塑料制品有限公司 气密粉罐改良结构
FR3031174A1 (fr) * 2014-12-31 2016-07-01 Atlantic Industrie Sas Joint d'etancheite pour radiateur a fluide caloporteur et radiateur correspondant
JP6721415B2 (ja) * 2016-05-27 2020-07-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放射線測定装置
KR101719465B1 (ko) * 2016-08-01 2017-03-24 유양산전 주식회사 매립 항공등화의 응력 감소 구조
KR101884236B1 (ko) * 2017-02-03 2018-08-0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텐션 너트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낚시 릴
CN106907538A (zh) * 2017-04-06 2017-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管接头装置及汽车空调器
CN108302202B (zh) * 2018-03-13 2023-09-22 山东临工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可调向接头及其密封装置
CN110278678B (zh) * 2018-03-15 2024-04-02 深圳市三诺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密封结构
EP3851720A4 (en) * 2018-09-10 2022-06-22 Eagle Industry Co., Ltd. SOLENOID VALVE UNIT
JP7056525B2 (ja) * 2018-11-15 2022-04-19 株式会社デンソー 防水筐体
JP7233297B2 (ja) * 2019-05-08 2023-03-06 日立Astemo株式会社 伝動装置、及びこの伝動装置を備えた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7336943B2 (ja) * 2019-08-08 2023-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器具
KR102375613B1 (ko) * 2022-01-21 2022-03-18 (주)캐스트프로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WO2023233995A1 (ja) * 2022-06-03 2023-12-07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38A (ja) * 2000-06-05 2001-12-21 Nok Corp 密封装置
JP2005003181A (ja) * 2003-06-16 2005-01-06 Nok Corp ガス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7260U (ko) * 1978-12-27 1980-07-05
JP3131797B2 (ja) * 1992-02-28 2001-02-05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容器状構造体のシール方法
JPH06213326A (ja) * 1993-01-21 1994-08-02 Seiko Epson Corp 小型携帯機器用防水パッキン
JPH06241148A (ja) * 1993-02-12 1994-08-30 Suzuki Motor Corp シール用リングによるシール構造
JPH0861507A (ja) * 1994-08-23 1996-03-08 Daihatsu Motor Co Ltd 管継ぎ手装置
JP2006029367A (ja) * 2004-07-12 2006-02-02 Hirotaka Engineering:Kk 油空圧アクチュエータ摺動部のシール構造
JP2006316947A (ja) * 2005-05-16 2006-11-24 Mitsubishi Cable Ind Ltd 塗装機用ピストンパッキン
JP4508213B2 (ja) * 2007-05-21 2010-07-21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38A (ja) * 2000-06-05 2001-12-21 Nok Corp 密封装置
JP2005003181A (ja) * 2003-06-16 2005-01-06 Nok Corp ガス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126852B (fi) 2017-06-30
FI20116224A (fi) 2011-12-02
WO2010128606A1 (ja) 2010-11-11
JP5321865B2 (ja) 2013-10-23
KR20120022724A (ko) 2012-03-12
CN202971892U (zh) 2013-06-05
JPWO2010128606A1 (ja) 2012-11-01
CN203115093U (zh) 201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2068B1 (ko)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US20120043331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opening of case of appliance
KR101012871B1 (ko) 방수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전자기기
CN106133413B (zh) 垫片
WO2012056768A1 (ja) ガスケット
ATE440235T1 (de) Flexible kupplung mit einem federbelasteten l- fírmigen dichtungsring
JP2006261210A (ja) 機器ケースの防水構造
JP2011149526A (ja) ガスケットのシール構造
KR20120018809A (ko) 소형 전자기기용 방수 개스킷
CN109640567A (zh) 周界密封件
KR101947589B1 (ko) 개스킷
JP2004180824A (ja) ミシン用ガスケッ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ミシン
JP2011256885A (ja) 固定密封構造
JP6180713B2 (ja) 機器ケースの開閉部分の防水構造
JP5408105B2 (ja) ガスケットのシール構造
JP2010067838A (ja) 電子機器
JP2014040847A (ja) 防水用パッキン
RU201036U1 (ru) Водонепроницаемый узел
JP2009257459A (ja) ガスケット
JP2015021516A (ja) リングパッキン
JP2003343727A (ja) 耐プラズマ性シール
JP3968559B2 (ja) ガスケット
JP2004332864A (ja) ガスケット
JP2005243762A (ja) 電子機器の防水型筐体
WO2017154651A1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