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613B1 -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 Google Patents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613B1
KR102375613B1 KR1020220008905A KR20220008905A KR102375613B1 KR 102375613 B1 KR102375613 B1 KR 102375613B1 KR 1020220008905 A KR1020220008905 A KR 1020220008905A KR 20220008905 A KR20220008905 A KR 20220008905A KR 102375613 B1 KR102375613 B1 KR 102375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dge
electric vehicle
vehicle charg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캐스트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스트프로 filed Critical (주)캐스트프로
Priority to KR102022000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613B1/ko
Priority to PCT/KR2022/005478 priority patent/WO20231404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 충전기 덮개(100)는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충전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내장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제1테두리(111)와 제2테두리(112)가 마련되는 고정부(110)와, 고정부(110)에 열고 닫힐 수 있게 결합되고, 제1테두리(111) 및 제2테두리(112)와 대응하는 제1'테두리(153) 및 제2'테두리(154)가 마련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제1테두리(111)는 길이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 좁은 간격을 두고 보강재(115)가 각각 마련되고, 덮개부(150)가 고정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서 제1'테두리(153)는 제1테두리(111)와 보강재(115) 사이에 끼워져서 제1테두리(111)의 안쪽과 보강재(115)의 바깥쪽에 밀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ELECTRIC VEHICLE CHARGER COVER ENHANCED WITH EDGE BINDING FORC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벽면에 거치되는 형태로 장시간의 거치에도 결합 부위에 벌어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충전기는 실내 또는 야외의 지정된 장소에 전기차의 충전을 위하여 입식형, 천정형, 거치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다. 입식형과 천정형은 주로 야외에 많이 설치되고 있는 반면, 거치형은 주로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건물 내에 설치되는 거치형의 경우, 건물 내부의 벽면에 다양한 고정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거치형 전기차 충전기에 적용되는 본 출원인의 기존 전기차 충전기 덮개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 덮개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정부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기 덮개(10)는 고정부(11)와 덮개부(15)로 되어 있다.
고정부(11)는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예를 들어 나사 결합 형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충전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고정되게 내장될 수 있게 충분한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15)는 열고 닫을 수 있게 고정부(11)의 옆 테두리 한쪽에 경첩 구조로 결합되어 있고, 반대쪽에는 잠금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충전기 덮개(10)는 내장되는 부품들의 배열 구조로 인하여, 길이방향이 폭방향의 2배 정도 크게 설계되었고, 덮개부(15)가 고정부(11)에 결합되는 테두리 부위가 전체적으로 같게 설계되어, 전체적으로 덮개(10)의 길이방향으로의 결합력이 폭방향으로의 결합력 보다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 때문에, 충전기가 벽면에 장시간 설치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작은 길이방향으로의 결합 부위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고, 외부 이물질 또는 물기 등의 침투를 방지하는 결합 부위 주변의 밀폐력이 떨어지는 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충전기 덮개의 길이방향으로의 테두리 결합 부위를 보강재를 사용하여 강화하여 장시간의 설치에도 결합 부위의 결합력과 결합 부위 주변의 밀폐력이 처음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충전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내장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제1테두리와 제2테두리가 마련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열고 닫힐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제1테두리 및 상기 제2테두리와 대응하는 제1'테두리 및 제2'테두리가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두리는 길이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 좁은 간격을 두고 보강재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단부위와 상기 하단부위에서 상기 제1'테두리는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테두리의 안쪽과 상기 보강재의 바깥쪽에 밀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테두리는 상기 제1테두리에 바깥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재에는 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여 상기 상단부위와 상기 하단부위에서의 결합력이 커지는 것과, 상기 하단부위에서 상기 제1테두리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테두리가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얻게 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테두리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물기 등의 침투되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재가 끼워지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밀폐재의 밀폐부는 상기 제2'테두리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덮개부는 충전을 위한 여러 기능을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조작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공간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결재를 위한 카드삽입기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장착홈은 좌우 측면과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드삽입기가 장착되었을 때 카드삽입구가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공간을 덮어 주는 덮개판이 분리 가능하게 더 마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덮개판은 안쪽면에 상기 카드삽입기를 안쪽으로 눌러 주는 누름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충전기 덮개는 길이방향으로의 테두리 결합 부위를 보강재를 사용하여 강화하였기 때문에, 장시간의 설치에도 결합 부위의 결합력이 처음 수준으로 잘 유지될 수 있어 결합 부위가 벌어져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위는 제1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얻으면서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 부위의 결합력이 다른 부위 보다 더욱 커질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위 주변의 밀폐력 또한 처음 수준으로 장시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의 설치에도 외부 이물질이나 물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장되어 있는 부속품을 정상적으로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기 덮개는 카드삽입기의 장착홈의 하면이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카드삽입기가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어 카드삽입기에 있는 카드삽입구 안쪽으로 외부 이물질 또는 물방울 등이 침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덮개판은 카드삽입기를 안쪽으로 눌러주는 누름돌기들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나 카드를 넣고 빼는 반복되는 작업에 의해 카드삽입기가 탈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차 충전기 덮개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고정부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덮개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고정부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고정부의 세로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밀폐재의 가로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덮개부의 카드삽입기가 설치되는 삽입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삽입홈에 카드삽입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삽입홈에 장착된 카드삽입기를 눌러주는 누름돌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덮개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고정부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고정부의 세로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의 밀폐재의 가로방향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3의 덮개부의 카드삽입기가 설치되는 삽입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삽입홈에 카드삽입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나타내는 도면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삽입홈에 장착된 카드삽입기를 눌러주는 누름돌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차 충전기 덮개(100)는 고정부(110)와 덮개부(15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예를 들어 나사 결합 형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충전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고정되게 내장될 수 있게 충분한 깊이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여러 부품들의 구성은 이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부(1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형성되는 제1테두리(111)와 제2테두리(112)가 마련된다.
제1테두리(111)는 도면에서 좌측에 수경첩(113)이 마련되고, 우측에는 수잠금(114)이 마련된다.
도 6에 고정부(110)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처럼, 제1테두리(111)는 길이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도면에서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 좁은 간격을 두고 얇은 보강재(115)가 각각 마련된다. 또한, 하단부위의 제1테두리(111)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구체적으로 바깥쪽으로 8°경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제2테두리(112)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물기 등의 침투되는 것을 막아주는 고무재질의 탄성을 갖는 밀폐재(116)가 끼워지게 된다.
밀폐재(116)는 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만들어지고, 도 7과 같이, 제2테두리(112)에 끼워지는 끼움부(116a)와 제2테두리(112)로부터 수직하게 위로 돌출되어 밀폐 기능을 하는 밀폐부(116b)가 일체로 형성된다.
덮개부(150)는 한쪽에 제1테두리(111)에 있는 수경첩(113)과 대응하는 암경첩(151)가 마련되고, 다른 한쪽에는 수잠금(114)과 대응하는 암잠금(152)이 마련된다. 덮개부(150)는 고정부(110)에 결합된 후 경첩 구조에 의해 열고 닫힐 수 있고 잠금구조에 의해 잠금이 가능하게 된다. 경첩 구조와 잠금 구조는 이 발명을 이해하는데 중요하게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덮개부(150)는 제1테두리(111)에 대응하는 제1'테두리(153)와 제2테두리(112)에 대응하는 제2'테두리(154)가 마련된다. 덮개부(150)가 고정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제1'테두리(153)는 제1테두리(111)의 안쪽에 밀착되게 되고, 제2'테두리(154)는 제2테두리(112)에 끼워진 밀폐재(116)의 밀폐부(116b)를 누르게 된다.
한편, 덮개부(150)가 고정부(110)에 결합되었을 때,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서, 제1'테두리(153)는 제1테두리(111)와 보강재(115) 사이에 끼워져서 제1테두리(111)의 안쪽과 보강재(115)의 바깥쪽에 밀착되게 되어, 제1'테두리(153)는 제1테두리(111)에 바깥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보강재(115)에는 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게 된다. 또한, 하단부위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제1테두리(111)가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얻게 된다. 이런 구조로 인하여, 충전기 덮개(100)의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서 테두리 결합력이 종래 보다 매우 커지게 된다.
덮개부(150)는 충전을 위한 여러 기능을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조작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공간(155)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결재를 위한 카드삽입기가 장착되는 장착홈(156)이 형성된다.
장착홈(156)은, 도 8에 확대한 것처럼, 납작한 직육각형태의 카드삽입기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장착홈(156)의 좌우 측면(156a)은 카드삽입기가 밀착될 수 있게 카드삽입기의 폭과 같은 크기를 갖게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면(156b)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153c)은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하면(153c)이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게 되어 있어, 이 하면(153c)에 밀착되게 장착되는 카드삽입기에 있는 카드삽입구도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어 카드삽입구 안쪽으로 외부 이물질 또는 물방울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장착홈(156)에 카드삽입기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모습을 도 9a 및 도 9b에 예를 들어 나타내었다. 도 9a와 같이, 카드삽입기(C/I)가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장착홈(156)에 안쪽으로 밀어서 완전히 삽입한 후, 도 9b와 같이, 카드삽입기(C/I)를 아래로 눌러 경사진 하면(153c)에 밀착시킨다. 이렇게 카드삽입기(C/I)가 하면(153c)에 밀착되게 장착홈(156)에 장착되면, 장착홈(156)의 상면(156b)과 카드삽입기(C/I) 사이에 틈(G)이 생기게 되어, 외부 충격이나 카드를 넣고 빼는 작업을 많이 하게 되면 카드삽입기(C/I)가 탈락될 우려가 생긴다.
덮개부(150)는 개방공간(155)을 덮어 주는 덮개판(157)이 더 마련된다. 이 덮개판(157)은 덮개부(1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카드삽입기(C/I)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0과 같이, 안쪽면에는 카드삽입기(C/I)를 안쪽으로 눌러 주는 누름돌기들(158)이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의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는 상가 주차장, 아파트 주차장과 같은 건물 실내 주차장에 쉽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 주차장에서도 큰 공간의 확보 없어 쉽게 설치될 수 있다.
100 : 전기차 충전기 덮개
110 : 고정부 111 : 제1테두리
112 : 제2테두리 115 : 보강재
116 : 밀폐재 116a : 끼움부
116b : 밀폐부 150 : 덮개부
153 : 제1'테두리 154 : 제2'테두리
155 : 개방공간 156 : 장착홈
157 : 덮개판 158 : 누름돌기들

Claims (9)

  1. 벽면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충전에 필요한 여러 부품들이 내장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지게 제1테두리와 제2테두리가 마련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열고 닫힐 수 있게 결합되고, 상기 제1테두리 및 상기 제2테두리와 대응하는 제1'테두리 및 제2'테두리가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테두리는 길이방향으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단부위와 하단부위에 좁은 간격을 두고 보강재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상단부위와 상기 하단부위에서 상기 제1'테두리는 상기 제1테두리와 상기 보강재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제1테두리의 안쪽과 상기 보강재의 바깥쪽에 밀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는 상기 제1테두리에 바깥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동시에 상기 보강재에는 안쪽으로 미는 힘을 가하여 상기 상단부위와 상기 하단부위에서의 결합력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위에서 상기 제1테두리는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테두리가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탄성을 얻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테두리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물기 등의 침투되는 것을 막아주는 밀폐재가 끼워지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밀폐재의 밀폐부는 상기 제2'테두리에 의해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충전을 위한 여러 기능을 외부에서 조작 가능하게 조작부의 외부 노출을 위한 개방공간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결재를 위한 카드삽입기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좌우 측면과 상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은 바깥쪽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카드삽입기가 장착되었을 때 카드삽입구가 바깥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방공간을 덮어 주는 덮개판이 분리 가능하게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은 안쪽면에 상기 카드삽입기를 안쪽으로 눌러 주는 누름돌기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기 덮개.
KR1020220008905A 2022-01-21 2022-01-21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KR102375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05A KR102375613B1 (ko) 2022-01-21 2022-01-21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PCT/KR2022/005478 WO2023140431A1 (ko) 2022-01-21 2022-04-15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905A KR102375613B1 (ko) 2022-01-21 2022-01-21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613B1 true KR102375613B1 (ko) 2022-03-18

Family

ID=8093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05A KR102375613B1 (ko) 2022-01-21 2022-01-21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75613B1 (ko)
WO (1) WO20231404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31A1 (ko) * 2022-01-21 2023-07-27 (주)캐스트프로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724A (ko) * 2009-05-08 2012-03-1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KR20140033961A (ko) * 2012-09-11 2014-03-19 한국과학기술원 방수 및 밀폐 문제를 해결한 모듈형 비접촉 급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5172A (ja) * 2016-11-21 2018-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充電用インレット
KR102093597B1 (ko) * 2019-04-26 2020-03-26 (주)경신전선 전기차량용 아웃렛 충전기
KR102307654B1 (ko) * 2020-05-28 2021-10-05 한국전력공사 전기차용 커넥터 단자구조
KR102375613B1 (ko) * 2022-01-21 2022-03-18 (주)캐스트프로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724A (ko) * 2009-05-08 2012-03-1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기기 케이스의 개폐 부분의 방수 구조
KR20140033961A (ko) * 2012-09-11 2014-03-19 한국과학기술원 방수 및 밀폐 문제를 해결한 모듈형 비접촉 급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431A1 (ko) * 2022-01-21 2023-07-27 (주)캐스트프로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431A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5654A (en) Weather-tight switchboard cabinet
US5105593A (en) Weatherproof curtain wall unit
KR102375613B1 (ko) 테두리 결합력이 강화된 전기차 충전기 덮개
JP5281813B2 (ja) 基礎点検口
EP1533436B1 (en) Covering sealing element for roof window
US20190353984A1 (en) Sliding Cover with Inclined-Plane Seal for Weather Sealed Consumer Electronics Device
JPS6113672Y2 (ko)
JP4092181B2 (ja) 目地シール構造
JPS6220633Y2 (ko)
JP2537076Y2 (ja) サッシ枠用コーナーピース
JPS6220632Y2 (ko)
JP2001065091A (ja) 縦枠に対する追加アタッチメントの取付け方法
JPS6224708Y2 (ko)
JPS60242242A (ja) 建物の外壁板下縁部水密装置
JPH0512468Y2 (ko)
JPH0130540Y2 (ko)
JPH0744658Y2 (ja) 外壁パネルの防水構造
JPS5831976Y2 (ja) サッシ枠
JPS5846211Y2 (ja) 枠材連結部の水密構造
JPH07640Y2 (ja) 後付ブラインド内蔵サッシ
JPH0415914Y2 (ko)
JP4244950B2 (ja) 出窓
JPS5911578Y2 (ja) 嵌殺しパネル付窓
JP2941153B2 (ja) 外壁目地のシール構造
JPS61181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