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072B1 - 차량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072B1
KR101673072B1 KR1020150025414A KR20150025414A KR101673072B1 KR 101673072 B1 KR101673072 B1 KR 101673072B1 KR 1020150025414 A KR1020150025414 A KR 1020150025414A KR 20150025414 A KR20150025414 A KR 20150025414A KR 101673072 B1 KR101673072 B1 KR 10167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on
rotary
locking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2832A (ko
Inventor
박현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07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힌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힌지장치는: 회전대상물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부 및 고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에 걸려서 회전지지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힌지장치{HING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 마련된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는 후드힌지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방유지장치로는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와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가 있다.
지지대를 이용하는 장치는 후드 스테이 로드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후드 스테이 로드를 후드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워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스리프트를 이용하는 장치는 실린더부재를 사용해서 후드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장치로, 후드의 개방 시에 실린더부재가 개방력을 보조하게 되어 후드의 개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후드의 개방시 별도의 조작감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후드의 개폐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31770호(1999.07.26. 공개, 고안의 명칭 : 자동차의 후드힌지)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드를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조작감을 발생시키는 차량용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는: 회전대상물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와, 차체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부 및 고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에 걸려서 회전지지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지지부는, 회전대상물에 체결되는 연결지지부 및 연결지지부에서 연장되어 회전축에 연결되며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회전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지지부는,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회전지지부와 마주하며 회전축이 연결되는 고정지지몸체 및 고정지지몸체에서 돌출되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부에 접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기어부는, 고정지지몸체와 회전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이 관통되는 연결공을 구비하는 회전기어몸체와, 회전기어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돌기 및 연장돌기의 일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을 복수개 형성하는 걸림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부는, 고정지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와, 잠금몸체에서 연장되어 연장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걸림기어에 걸려서 회전기어부와 회전지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돌기 및 잠금몸체의 외측에 권선되며 일측은 잠금돌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몸체에 걸리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돌기가 걸림기어에 걸려서 회전지지부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부를 상측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탄성지지부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기어와 이격된 잠금돌기가 초기 위치로 회전되면서 회전지지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대상물은 후드, 테일게이트 및 트렁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는, 후드와 같은 회전대상물을 개방할 때 회전기어부가 잠금부에 걸려서 사용자가 확실한 걸림음 및 걸림감을 느낄수 있으므로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연결부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기어부와 잠금부의 위치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잠금돌기가 회전기어부의 측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걸림기어에 잠금돌기가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가 상측으로 추가 회전되어 스토퍼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기어부와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가 닫히는 상태로 회전할 때 회전기어부가 잠금돌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잠금돌기를 밀어내며 잠금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용 후드를 차체에 힌지 연결하는 차량용 힌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와 고정지지부의 연결부위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닫힌 상태에서 회전기어부와 잠금부의 위치를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열리기 시작하면서 잠금돌기가 회전기어부의 측면에 접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가 열린 상태에서 걸림기어에 잠금돌기가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가 상측으로 추가 회전되어 스토퍼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기어부와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가 닫히는 상태로 회전할 때 회전기어부가 잠금돌기의 측면을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잠금돌기를 밀어내며 잠금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1)는, 회전대상물(10)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20)와, 차체(12)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부(20)를 관통하는 회전축(14)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부(30)와, 회전축(14)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부(40)와, 고정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40)에 걸려서 회전지지부(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용 힌지장치(1)는 회전대상물(10)을 차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회전대상물(10)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회전대상물(10)을 개방된 상태로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상물(10)은 후드, 테일게이트 및 트렁크 중 어느 하나이며, 이외에도 차량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다른 부재에도 차량용 힌지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회전대상물(10)로 차량용 후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회전지지부(20)는 회전대상물(10)에 결합되어 회전대상물(10)을 지지하며, 회전대상물(10)과 함께 회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20)는, 연결지지부(22)와 회전몸체(24)를 포함한다.
연결지지부(22)는 회전대상물(10)에 체결되어 회전대상물(10)을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지지부(22)는 회전대상물(10)의 하측(도 4기준)에 위치하며, 회전대상물(10)에 체결되기 위한 볼트는 연결지지부(22)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회전대상물(10)에 체결된다.
회전몸체(24)는 연결지지부(22)에서 연장되어 회전축(14)에 연결되며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몸체(24)는, 제1몸체(25), 제2몸체(26), 보강돌기(27) 및 테두리보강부(28)를 포함한다.
제1몸체(25)의 일측은 회전축(14)에 연결되어 회전축(14)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1몸체(25)의 타측은 제1몸체(25)의 타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몸체(25)와 제2몸체(26)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몸체(26)의 내측에는 제2몸체(26)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보강돌기(27)가 돌출되므로 제2몸체(26)의 구조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테두리보강부(28)는 제1몸체(25)와 제2몸체(26)의 양측에 굽혀진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회전몸체(24)의 구조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몸체(24)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지지부(30)는 차체(12)에 고정되며, 회전지지부(20)를 관통하는 회전축(14)과 연결되어 회전지지부(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지지부(30)는, 고정플레이트(32)와 고정지지몸체(34)와 스토퍼(38)를 포함한다.
고정플레이트(32)는 차체(12)에 고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체(12)의 외측에 고정플레이트(32)가 접한 상태에서 볼트가 고정플레이트(32)를 관통하여 차체(12)에 고정되므로 고정플레이트(32)는 차체(12)에 고정된다.
고정지지몸체(34)는 고정플레이트(32)에서 연장되어 회전지지부(20)와 마주하며, 회전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고정플레이트(32)와 수직을 이루며 고정플레이트(32)의 상측으로 굽어진 고정지지몸체(34)의 상측에는 회전축(1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토퍼(38)는 고정지지몸체(34)에서 돌출되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회전지지부(20)에 접하므로 회전지지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스토퍼(38)는 고정지지몸체(34)의 상측에 연결되며, 고정지지몸체(34)와 직각을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지지몸체(34)의 측면에 구비된 탄성지지돌기(36)에는 잠금부(50)의 탄성지지부(56)가 걸리므로 탄성지지부(56)의 일측을 지지한다.
회전대상물(10)과 함께 회전지지부(20)가 회전되며, 회전지지부(20)에 연결된 회전축(14)은 회전기어부(40)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대상물(10)과 회전기어부(40)는 같이 회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40)는 회전기어몸체(42), 연장돌기(46), 걸림기어(48)를 포함한다.
회전기어몸체(42)는 고정지지몸체(34)와 회전지지부(20)의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축(14)이 관통되는 연결공(44)을 구비한다. 회전축(14)과 회전지지부(20)와 회전기어몸체(42)는 같이 회전되며, 이를 위하여 회전축(14)과 회전기어몸체(42)는 핀 연결을 포함한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의 외측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축(14)이 삽입되는 회전지지부(20)와 회전기어부(40)의 구멍도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돌기(46)는 회전기어몸체(42)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며, 잠금부(50)의 상측(이하 도 3기준)에 위치한다. 연장돌기(46)는 회전기어몸체(42)에서 연장되며, 연장돌기(46)의 하측에 걸림기어(48)가 형성된다.
걸림기어(48)는 연장돌기(46)의 일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을 복수개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기어(48)는 연결돌기의 하단면에 형성되며, 나사산의 방향은 연결지지부(22)와 멀어지는 일측(도 3기준 좌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잠금부(50)는 고정지지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40)에 걸려서 회전지지부(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50)는, 잠금몸체(52)와 잠금돌기(54)와 탄성지지부(56)와 지지축(58)을 포함한다.
잠금몸체(52)는 회전지지부(20)와 고정지지부(30)의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지지몸체(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몸체(52)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잠금몸체(52)의 일측(도 3기준 좌측)에 잠금돌기(54)가 연결된다.
잠금돌기(54)는 잠금몸체(52)에서 연장되어 연장돌기(46)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걸림기어(48)에 걸려서 회전기어부(40)와 회전지지부(20)의 회전을 구속한다. 잠금돌기(54)의 측면은 곡면을 형성하며, 걸림기어(48)와 잠금돌기(54)는 같은 방향(도 3기준 좌측)으로 휘어지므로 방향성을 갖는다.
탄성지지부(56)는 잠금몸체(52)의 외측에 권선되며, 일측은 잠금돌기(54)에 연결되고 타측은 고정지지몸체(34)의 탄성지지돌기(36)에 걸려서 잠금돌기(54)를 탄성 지지한다. 지지축(58)은 잠금돌기(54)와 잠금몸체(52)를 관통하여 고정지지몸체(34)에 연결되므로, 잠금돌기(54)는 지지축(58)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잠금돌기(54)가 걸림기어(48)에 걸려서 회전지지부(20)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회전지지부(20)를 상측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탄성지지부(56)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기어(48)와 이격된 잠금돌기(54)가 초기 위치로 회전되면서 회전지지부(20)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힌지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힌지장치(1)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대상물(10)이 닫힌 상태에서는 잠금돌기(54)의 좌측에 걸림기어(48)가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상물(1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회전대상물(10)과 함께 회전지지부(20)가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지지부(20)와 함께 회전기어부(40)도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서 잠금돌기(54)의 일단이 연장돌기(46)의 측면에 접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기어(48)에 걸린 잠금돌기(54)는 탄성지지부(56)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므로, 잠금돌기(54)가 걸림기어(48)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기어(48)가 추가 회전되면, 잠금돌기(54)는 걸림기어(48)를 타고 넘어가면서 걸림감과 함께 작동음을 발생시킨다.
회전대상물(10)이 계속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열림 위치에 위치하면, 회전대상물(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지지부(2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기어(48)는 잠금돌기(54)에 걸려서 연결지지부(22)의 하강을 구속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상물(10)을 반시계 방향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회전대상물(1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지지부(20)가 스토퍼(38)에 걸려서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됨이 구속된다. 이때, 걸림기어(48)와 잠금돌기(54)는 서로 이격되며, 잠금돌기(54)는 탄성지지부(56)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회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기어(48)에서 잠금돌기(54)가 이격되어 회전지지부(20)의 하강을 구속하는 잠금장치가 없으므로, 회전지지부(20)는 회전대상물(10)과 함께 자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하강한다.
회전지지부(20)와 함께 회전하는 걸림기어(48)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잠금돌기(54)의 측면에 접하면서, 잠금돌기(5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지지부(20)의 추가 하강으로 걸림기어(48)는 일측을 휘어진 잠금돌기(54)의 측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회전한다. 회전대상물(10)이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걸림기어(48)가 잠금돌기(54)와 이격되므로, 잠금돌기(54)는 탄성지지부(56)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후드와 같은 회전대상물(10)을 개방할 때 회전기어부(40)가 잠금부(50)에 걸려서 사용자가 확실한 걸림음 및 걸림감을 느낄수 있으므로 작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차량용 후드를 차체에 힌지 연결하는 차량용 힌지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차량용 후드가 아닌 테일게이트나 트렁크 등 다른 차량용 회전부재에도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힌지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힌지장치
10: 회전대상물 12: 차체 14: 회전축
20: 회전지지부 22: 연결지지부 24: 회전몸체 25: 제1몸체 26: 제2몸체 27: 보강돌기 28: 테두리보강부
30: 고정지지부 32: 고정플레이트 34: 고정지지몸체 36: 탄성지지돌기 38: 스토퍼
40: 회전기어부 42: 회전기어몸체 44: 연결공 46: 연장돌기 48: 걸림기어
50: 잠금부 52: 잠금몸체 54: 잠금돌기 56: 탄성지지부 58: 지지축

Claims (7)

  1. 회전대상물에 결합되는 회전지지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지지부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지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지지부;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부; 및
    상기 고정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에 걸려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지지부는, 상기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와 마주하며, 상기 회전축이 연결되는 고정지지몸체; 및
    상기 고정지지몸체에서 돌출되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지지부에 접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고정지지몸체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연결공을 구비하는 회전기어몸체;
    상기 회전기어몸체의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돌기; 및
    상기 연장돌기의 일단에 일방향으로 경사진 나사산을 복수개 형성하는 걸림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상기 고정지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몸체;
    상기 잠금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돌기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기어에 걸려서 상기 회전기어부와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돌기; 및
    상기 잠금몸체의 외측에 권선되며, 일측은 상기 잠금돌기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지지몸체에 걸리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돌기의 측면은 곡면을 형성하며,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걸림기어에 걸려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부를 상측으로 추가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지지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기어와 이격된 상기 잠금돌기가 초기 위치로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잠금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회전대상물에 체결되는 연결지지부; 및
    상기 연결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ㄴ"자 형상으로 굽어지는 회전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몸체는, 제1몸체와 제2몸체와 보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와 상기 제2몸체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제2몸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강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힌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상물은 후드, 테일게이트 및 트렁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힌지장치.
KR1020150025414A 2015-02-23 2015-02-23 차량용 힌지장치 KR10167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14A KR101673072B1 (ko) 2015-02-23 2015-02-23 차량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414A KR101673072B1 (ko) 2015-02-23 2015-02-23 차량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32A KR20160102832A (ko) 2016-08-31
KR101673072B1 true KR101673072B1 (ko) 2016-11-04

Family

ID=5687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414A KR101673072B1 (ko) 2015-02-23 2015-02-23 차량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40B1 (ko) * 2018-12-27 2020-04-28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차량 트렁크용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283A (ja) * 2009-04-07 2010-10-28 Kanto Auto Works Ltd 開閉体の開閉機構
JP2011084153A (ja) * 2009-10-15 2011-04-28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フード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1283A (ja) * 2009-04-07 2010-10-28 Kanto Auto Works Ltd 開閉体の開閉機構
JP2011084153A (ja) * 2009-10-15 2011-04-28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フード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832A (ko) 201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7679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3192731U (ja) ドアガード装置
CN110017074B (zh) 铰链机构
KR101709094B1 (ko) 소선회식 건설기계의 후드 개폐장치
US9567781B2 (en) Latch structure of tail gate
KR101673072B1 (ko) 차량용 힌지장치
KR20200085583A (ko) 차량의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의 홀드 오픈 래치 구조
CN102052001A (zh) 手柄装置
JP6477035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200476811Y1 (ko) 도어용 핸들 잠금장치
KR20180006106A (ko)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US2758863A (en) Gate latch
KR102237918B1 (ko) 차량용 후드힌지 장치
JP200532556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710775B1 (ko) 도어용 경첩
KR20110120023A (ko) 볼 조인트를 이용한 도어 보조 잠금장치
US1407755A (en) Lock
JP4615739B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2003286787A (ja) 扉の緩衝装置
KR101195925B1 (ko) 도어 보조 잠금장치
JP2010120526A (ja) 車両用ヒンジ構造
JP5785220B2 (ja) ドア装置
JP2014136862A (ja) オープンストッパー取付構造
JP2012167447A (ja) レバーハンドル錠
KR20180000145U (ko) 도어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