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6106A -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 Google Patents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6106A KR20180006106A KR1020160086794A KR20160086794A KR20180006106A KR 20180006106 A KR20180006106 A KR 20180006106A KR 1020160086794 A KR1020160086794 A KR 1020160086794A KR 20160086794 A KR20160086794 A KR 20160086794A KR 20180006106 A KR20180006106 A KR 201800061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fixed end
- opening
- latch assembly
- kno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8—Details of fastening means or of fixed retaining means for the ends of bars
- E05C9/1825—Fastening means
- E05C9/1875—Fastening means performing pivoting movements
- E05C9/1891—Fastening means performing pivoting movements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ba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는, 도어에 설치된 노브의 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하는 제1 작동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단이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틀에 설치된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도어가 닫힐 때 신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제1 고정단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1 고정단을 내측의 잠금홈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홈에 상기 제1 고정단이 위치하게 되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탄성지지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으로 벌어지는 구조의 제1,2 걸림체를 통해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고도 신장된 상태의 제1 고정단이 잠금홈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순히 도어를 닫는 작동만으로 도어를 손쉽게 잠금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형 도어락장치의 노브를 당겨 링크, 즉 작동로드를 수축시키지 않고도 도어의 잠금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고, 도어의 잠금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재 캐비넷이나 대형 사물함 등에 사용되는 도어락장치는, 일반적으로 캐비넷 도어에 회전식 노브나 평판형 노브가 설치되어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당기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수축되는 작동로드가 캐비넷 본체에 형성된 잠금공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잠금해제되면서 개방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반대로 이러한 종래의 도어락장치를 통한 도어의 잠금은,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당겨 작동로드가 수축되도록 한 후 도어를 닫고 노브를 원위치시켜 작동로드가 잠금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어를 잠그게 된다.
이러한 전통적인 도어락장치에 관한 선행기술 중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16755호(공고일:2007년 05월 14일)는 도어 잠금구조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보관공간을 포함하는 대상체, 보관공간을 개폐 가능하게 대상체에 결합되는 도어, 도어의 내측에 장착되며 도어의 내면에 의해서 한정되는 도어 영역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도어로킹부, 대상체에 장착되며 도어의 닫힘 시 도어 영역 내에서 고정핀과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결속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선행기술은 도어와 대상체의 간극 사이로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고정핀이 보호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도어핸들 및 그 샤프트가 파손될 경우에도 회전편이 회전래치와 분리되며 도어의 잠금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침입자가 단시간 내에 대상체를 개방할 수 없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고정핀이 삽입되어 도어를 잠그게 되는 결속공(잠금홈)의 구조나 도어 잠금 방식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고정핀이 수축되도록 도어핸들을 회전시킨 후 도어를 닫고 다시 도어핸들을 원위치시켜야 도어가 잠긴다는 점에서 여전히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고도 신장된 상태의 고정단이 잠금홈에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단순히 도어를 닫는 작동만으로도 도어가 손쉽게 잠금 고정될 수 있고, 견고한 도어 고정을 이룰 수 있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도어에 설치된 노브의 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하는 제1 작동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단이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틀에 설치된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도어가 닫힐 때 신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제1 고정단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1 고정단을 내측의 잠금홈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홈에 상기 제1 고정단이 위치하게 되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탄성지지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래치조립체는, 도어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단과 마주하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상기 잠금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홈의 후방에 축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일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걸림체;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타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타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걸림체; 및 상기 제1,2 걸림체를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결합되고, 상기 제1,2 걸림체가 각각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체가 외주면에 개재되는 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체는,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일측을 둘러싸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공과, 상기 제1 절곡부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공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체는,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타측을 둘러싸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회동공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동공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타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크부 및 제2 후크부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에서 상기 개구부 쪽으로 단부가 교차되도록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고정단을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잠금홈으로 상기 제1 고정단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안내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잠금홈에 위치한 상기 제1 고정단이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교차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단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단은, 폴리아세탈수지 또는 불소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2 걸림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형상을 이루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걸림체 사이와, 상기 제1 걸림체와 상기 제2 걸림체 사이에는, 와셔형태의 부싱 및 베어링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되어, 상호 간의 상대회전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조립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설치된 노브; 상기 노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의 작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고, 단부에 제1,2 고정단이 각각 형성된 제1,2 작동로드; 및 도어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고정단이 각각 삽입 또는 인출되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 쌍의 상기 래치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형 도어락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양측으로 벌어지는 구조의 제1,2 걸림체를 통해 노브를 회전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고도 신장된 상태의 제1 고정단이 잠금홈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단순히 도어를 닫는 작동만으로 도어를 손쉽게 잠금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대향된 배치형태로 설치되어 축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2 걸림체를 통해 제1 고정단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잠금홈으로 정확하고 용이하게 안내됨에 따라 적은 힘으로 도어를 잠금 고정할 수 있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로 교차하도록 각각 돌출형성된 제1,2 후크부의 지지부를 통해 잠금홈에 위치한 제1 고정단이 각각 접촉지지되어 도어의 열림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됨에 따라 도어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래치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의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앞쪽), 후(뒤쪽) 등은 권리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또는 구성 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100)는, 일반적인 금속재 캐비넷 또는 사물함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링크형 도어락장치(200)의 일구성요소로서, 링크형 도어락장치(200)의 회전식 노브(10)나 편판형 노브(10)의 회전이나 당김 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하는 제1 작동로드(20)(그 단부의 제1 고정단(21))가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도어틀(6)에 설치되어 도어(5)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5 참조)
이러한 래치조립체(100)는, 도어틀(6)에 형성되는 종래의 단순한 구멍형태의 잠금홈(112) 등과는 달리 도어(5)가 닫힐 때 노브(10)를 회전시키거나 당김 작동(제1,2 작동로드(20,30)를 수축)시키지 않고도 신장된 상태 그대로의 제1 고정단(21)(및 제2 고정단(31))이 잠금홈(112)으로 안내되면서 삽입 및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벌어지면서도 내측으로 오므려 지게 탄성지지되는 이중걸쇠(dual-latch)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단순히 도어(5)를 닫는 작동만으로도 도어(5)를 손쉽게 잠금 고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100)는, 작동로드의 작동 위치 및 개수에 각각 대응하도록 도어틀(6)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2개의 제1,2 작동로드(20,30)에 대응하여 도어틀(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 작동로드(20,30)는 작동로드의 위치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구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100)에 대하여 동일한 작동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작동로드(20)(그 단부의 제1 고정단(21))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 제1 걸림체(120), 제2 걸림체(130) 및 축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0)은, 도어틀(6)에 결합되는 판재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도어(5)에 설치되어 함께 이동하는 제1 고정단(21)과 마주하는 전방에 개구부(112a)가 마련된 잠금홈(112)이 일측에 형성되며, 잠금홈(112)의 후방에 축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0)과 도어틀(6) 간의 결합은 용접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110)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도어틀(6)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개구부(112a), 잠금홈(112) 및 축공(114)은 도어(5)의 개폐작동시 함께 이동하는 제1 고정단(21)의 작동궤적과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 고정단(21)이 잠금홈(112)에 대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걸림체(120)는, 잠금홈(112)의 가장자리 일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고정브라켓(110)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축공(114)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개구부(112a)를 일방향(좌측방향)으로 개폐하는 판재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곡부(122), 제1 회동공(124) 및 제1 후크부(126)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절곡부(122)는 잠금홈(112)의 가장자리 일측(도 1의 제1 고정단(21)의 좌측)을 둘러싸는 구성요소이고, 제1 회동공(124)은 제1 절곡부(12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축공(114)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성요소이고, 제1 후크부(126)는 제1 절곡부(122)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제1 회동공(124)의 회동에 따라 개구부(112a)를 일방향(도 1의 제1 고정단(21)의 좌측)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1 후크부(126)는 후술할 제2 후크부(136)의 단부와 교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 절곡부(122)에서 개구부(112a) 쪽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단(21)을 마주보는 제1 후크부(126)의 일면(전방면)에는, 잠금홈(112)으로 제1 고정단(21)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안내면(12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잠금홈(112) 쪽으로 이동하는 제1 고정단(21)이 원호형상의 안내면(126a)을 타고 자연스럽게 잠금홈(112)으로 안내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 걸림체(120)의 좌측방향 회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안내면(126a)의 반대면에는 후술할 제2 후크부(136)의 단부와 교차된 상태로 제1 고정단(21)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부(126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후크부(126)의 지지부(126b)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114)의 중심축(C1)과 잠금홈(112)에 위치한 제1 고정단(21)의 중심축(C2)을 연결한 가상선(IL)보다 우측에 위치한 상태로 제1 고정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5)의 열림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제1 걸림체(120)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잠금홈(112)으로부터 제1 고정단(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 후크부(126)의 지지부(126b)와 제1 고정단(21) 간의 접촉영역이 제1 걸림체(120)의 회동의 중심인 축공(114)의 중심축(C1 또는 가상선(IL)) 보다 우측까지 확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 걸림체(130)는, 잠금홈(112)의 가장자리 타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제1 걸림체(12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축공(114)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개구부(112a)를 타방향(우측방향)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곡부(132), 제2 회동공(134) 및 제2 후크부(136) 등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갈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2 걸림체(130)는 상술한 가상선(IL)을 기준으로 제1 걸림체(120)와 단부가 겹치면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고, 제1 걸림체(12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2 절곡부(132)는 잠금홈(112)의 가장자리 타측(도 1의 제1 고정단(21)의 우측)을 둘러싸는 구성요소이고, 제2 회동공(134)은 제2 절곡부(132)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축공(114)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성요소이고, 제2 후크부(136)는 제2 절곡부(132)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제2 회동공(134)의 회동에 따라 개구부(112a)를 타방향(도 1의 제1 고정단(21)의 우측)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제2 후크부(136) 또한, 제1 후크부(126)의 단부와 교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2 절곡부(132)에서 개구부(112a) 쪽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단(21)을 마주보는 제2 후크부(136)의 일면(전방면)에는, 잠금홈(112)으로 제1 고정단(21)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안내면(13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잠금홈(112) 쪽으로 이동하는 제1 고정단(21)이 원호형상의 안내면(136a)을 타고 자연스럽게 잠금홈(112)으로 안내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걸림체(130)의 우측방향 회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안내면(136a)의 반대면에는 제1 후크부(126)의 단부와 교차된 상태로 제1 고정단(21)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부(136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후크부(136)의 지지부(136b)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114)의 중심축(C1)과 잠금홈(112)에 위치한 제1 고정단(21)의 중심축(C2)을 연결한 가상선(IL)보다 좌측에 위치한 상태로 제1 고정단(21)의 외주면을 접촉지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어(5)의 열림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대하여 제2 걸림체(130)의 회동을 억제함으로써, 잠금홈(112)으로부터 제1 고정단(2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 후크부(136)의 지지부(136b)와 제1 고정단(21) 간의 접촉영역이 제2 걸림체(130)의 회동의 중심인 축공(114)의 중심축(C1 또는 가상선(IL)) 보다 좌측까지 확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대로, 제1 후크부(126) 지지부(126b,136b)와 제2 후크부(136)의 지지부(126b,136b)가 상술한 가상선(IL)을 지나는 위치까지 서로 교차하면서 제1 고정단(21)을 중첩적으로 접촉지지함에 따라 도어(5)의 열림 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도 제1 고정단(21)은 잠금홈(112)으로부터 견고하게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잠금홈(112)의 관통방향을 따라 제1 고정단(21)이 수축되도록 노브(10)를 회전시키거나 당긴 다음 도어(5)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축부(140)는, 제1,2 걸림체(120,130)가 고정브라켓(110)에 대하여 상대회동할 수 있도록 제1,2 걸림체(120,130)를 관통하여 고정브라켓(110)의 축공(114)과 결합하는 막대형상의 구성요소로서, 제1,2 걸림체(120,130)가 각각 개구부(112a)를 폐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체(142)가 외주면에 개재된다.
이러한 축부(140)는 제1,2 걸림체(120,130)를 관통한 상태로 고정브라켓(110)의 축공(114)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결합구조라도 무방하므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축부재(140a)의 내측 공간으로 억지끼움되는 하단 축부재(140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상단 축부재(140a)의 내측 공간과 나사결합되는 하단 축부재(14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42)는 축부(140)의 외주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1,2 걸림체(120,130)가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각각 비틀림 탄성력을 제공하는 링형상의 토크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제1 고정단(21)은, 폴리아세탈수지 또는 불소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EP)이란, 경량이면서도 우수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계, 항공, 전기, 전자, 자동차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말한다.
특히, 폴리아세탈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금속 기계부품의 대체소재로서 활발하게 이용되는 플라스틱으로서, 피로수명이 길고, 강도, 치수안정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뛰어나 각종 기어, 볼트, 너트 등의 기계부품, 자동차부품, 배관부품 등에 이용된다.
따라서 상술한 폴리아세탈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제1 고정단(21)을 제작한 후 제1 작동로드(20)에 결합시키게 되면, 경량이면서도 견고한 내구성을 갖는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불소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주로 구조재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플라스틱으로서, 내식성, 내약품성, 내열성, 윤활성 등의 물성이 특히 우수하여 내식성이 요구되는 화학분야, 윤활성이 요구되는 건물의 지붕재나 스키플레이트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그 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불소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제1 고정단(21)을 제작한 후 제1 작동로드(20)에 결합시켜 사용하게 되면,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확보된 상태에서 래치조립체(100)에 용이하고 원활하게 잠금 또는 잠금해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작동로드(20)는 제1 고정단(21)과 함께 일체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다른 재질인 금속재 봉재로 제작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래치조립체(100) 구성 중 선택적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단(21)은, 제1,2 걸림체(120,130)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부(21a)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래치조립체(100) 쪽으로 제1 고정단(21)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 고정단(21)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형상을 이루는 확장부(21b)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작동로드(2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제1 고정단(21)이 래치조립체(100)의 잠금홈(112)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브(10)의 딸깍거리는 레버 감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노브(10)의 레버 감은, 노브(10)를 당기거나 회전시켜 도어(5)를 잠금해제할 때 확장부(21b)로 인해 제1,2 걸림체(120,130)가 양측으로 어느 정도 벌어지면서 제1 고정단(21)이 잠금홈(112)으로부터 인출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도어(5)의 잠금해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 내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10)과 제1 걸림체(120) 사이와, 제1 걸림체(120)와 제2 걸림체(130) 사이에는, 와셔형태의 부싱(150a) 및 베어링(150b)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는데, 이는 이들 상호 간의 상대회전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원활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조립체(100)는, 도 2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걸림체(120,130)의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오므림방지부(128,138)와, 고정브라켓(110)의 후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오므림방지부(128,138)와 면접촉하며 제1,2 걸림체(120,130)의 회동을 억제하는 절곡체(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2 걸림체(120,130)는 탄성체(142)의 탄성력에 의해 과도하게 개구부(112a) 쪽으로 오므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제1 고정단(21)은 제1,2 걸림체(120,130)를 안정적으로 벌리며 잠금홈(112) 쪽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래치조립체(100)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5)락 장치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200)는, 노브(10), 제1,2 작동로드(20,30) 및 한 쌍의 래치조립체(1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브(10)는 도어(5)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당김(또는 회전) 작동에 따라 후술할 제1,2 작동로드(20,30)를 수축시키고, 당김(또는 회전) 작동의 해제시 제1,2 작동로드(20,30)를 신장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2 작동로드(20,30)는, 노브(10)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노브(10)의 작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는 봉재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단부에 제1,2 고정단(21,31)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도 5에서는 제1,2 작동로드(20,30)가 노브(10)를 중심으로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하로 신장 또는 수축하며 상,하단부의 래치조립체(100)에 각각 삽입 또는 인출되는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래치조립체(100)는 도어틀(6)에 설치되어 제1,2 고정단(21,31)이 각각 삽입 또는 인출되며 도어(5)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200)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틀(6)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1개의 래치조립체(1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래치조립체(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 도어
6: 도어틀
10: 노브 20: 제1 작동로드
21: 제1 고정단 21a: 오목부
21b: 확장부 30: 제2 작동로드
31: 제2 고정단
100: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
200: 본 발명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
110: 고정브라켓 112a: 개구부
112: 잠금홈 114: 축공
116: 절곡체 120: 제1 걸림체
122: 제1 절곡부 124: 제1 회동공
126: 제1 후크부 126a,136a: 안내면
126b,136b: 지지부 128,138: 오므림방지부
130: 제2 걸림체 132: 제2 절곡부
134: 제2 회동공 136: 제2 후크부
140: 축부 140a: 상단 축부재
140b: 하단 축부재 142: 탄성체
150a: 부싱 150b: 베어링
10: 노브 20: 제1 작동로드
21: 제1 고정단 21a: 오목부
21b: 확장부 30: 제2 작동로드
31: 제2 고정단
100: 본 발명에 따른 래치조립체
200: 본 발명에 따른 링크형 도어락장치
110: 고정브라켓 112a: 개구부
112: 잠금홈 114: 축공
116: 절곡체 120: 제1 걸림체
122: 제1 절곡부 124: 제1 회동공
126: 제1 후크부 126a,136a: 안내면
126b,136b: 지지부 128,138: 오므림방지부
130: 제2 걸림체 132: 제2 절곡부
134: 제2 회동공 136: 제2 후크부
140: 축부 140a: 상단 축부재
140b: 하단 축부재 142: 탄성체
150a: 부싱 150b: 베어링
Claims (7)
- 도어에 설치된 노브의 작동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하는 제1 작동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제1 고정단이 삽입 또는 인출되면서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틀에 설치된 래치조립체에 있어서,
도어가 닫힐 때 신장된 상태로 이동하는 상기 제1 고정단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제1 고정단을 내측의 잠금홈으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홈에 상기 제1 고정단이 위치하게 되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탄성지지되어 도어의 잠금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조립체는,
도어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고정단과 마주하는 전방에 개구부가 마련된 상기 잠금홈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홈의 후방에 축공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일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과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걸림체;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타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 걸림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상기 개구부를 타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걸림체; 및
상기 제1,2 걸림체를 관통하여 상기 축공과 결합되고, 상기 제1,2 걸림체가 각각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체가 외주면에 개재되는 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체는,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일측을 둘러싸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1 회동공과, 상기 제1 절곡부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동공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일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걸림체는,
상기 잠금홈의 가장자리 타측을 둘러싸는 제2 절곡부와, 상기 제2 절곡부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축공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제2 회동공과, 상기 제2 절곡부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회동공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타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 및 제2 후크부는,
상기 제1 절곡부 및 제2 절곡부에서 상기 개구부 쪽으로 단부가 교차되도록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제1 고정단을 마주보는 일면에는 상기 잠금홈으로 상기 제1 고정단을 안내하는 원호형상의 안내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잠금홈에 위치한 상기 제1 고정단이 도어의 열림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교차된 상태로 상기 제1 고정단을 접촉지지하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단은,
폴리아세탈수지 또는 불소수지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2 걸림체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에는 안쪽으로 들어간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단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형상을 이루는 확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걸림체 사이와, 상기 제1 걸림체와 상기 제2 걸림체 사이에는,
와셔형태의 부싱 및 베어링 중 어느 하나가 개재되어,
상호 간의 상대회전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조립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래치조립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도어에 설치된 노브;
상기 노브를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노브의 작동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하고, 단부에 제1,2 고정단이 각각 형성된 제1,2 작동로드; 및
도어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고정단이 각각 삽입 또는 인출되며 도어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한 쌍의 상기 래치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형 도어락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794A KR101842184B1 (ko) | 2016-07-08 | 2016-07-08 |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6794A KR101842184B1 (ko) | 2016-07-08 | 2016-07-08 |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6106A true KR20180006106A (ko) | 2018-01-17 |
KR101842184B1 KR101842184B1 (ko) | 2018-03-26 |
Family
ID=61025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6794A KR101842184B1 (ko) | 2016-07-08 | 2016-07-08 |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218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75210A (zh) * | 2019-08-09 | 2019-10-25 |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 安全锁组件及具有其的led模组组件 |
KR20200092054A (ko) * | 2019-01-24 | 2020-08-03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항공기 도어 잠금 장치 |
KR20210038083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탑시스템 |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683B1 (ko) * | 2008-05-28 | 2008-09-04 |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 도어 잠금장치의 이중 안전장치 |
DE102008051832A1 (de) * | 2008-10-17 | 2010-04-22 | Johnson Controls Gmbh | Verriegelungselement für einen Fahrzeugsitz |
KR101335672B1 (ko) * | 2011-11-21 | 2013-12-03 | 김병진 | 2중 잠금 구조를 갖는 방폭도어 |
-
2016
- 2016-07-08 KR KR1020160086794A patent/KR101842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92054A (ko) * | 2019-01-24 | 2020-08-03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항공기 도어 잠금 장치 |
CN110375210A (zh) * | 2019-08-09 | 2019-10-25 | 利亚德光电股份有限公司 | 安全锁组件及具有其的led模组组件 |
KR20210038083A (ko) * | 2019-09-30 | 2021-04-07 | 주식회사 탑시스템 |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2184B1 (ko) | 2018-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71662B2 (en) | Hinge unit of console armrest for vehicle | |
KR101842184B1 (ko) |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 |
US8584402B2 (en) |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 |
US20070216173A1 (en) | Rotary Pawl Glove Box Latch | |
EP2909407B1 (en) | Locking hinge with spherical bearing assemblies | |
JP4751258B2 (ja) | 可動レバーの付勢装置 | |
US8752247B2 (en) | Hinge with defined halt positions | |
EP3066279B1 (en) | Appliance latch striker | |
US6059326A (en) | Tamper resistant rotational locking mechanism for an enclosure | |
JP2017066683A (ja) |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装置 | |
US11299917B2 (en) | Vehicle door latch device | |
DE102013007819B4 (de) | Türgriffstruktur für ein Fahrzeug | |
KR101831246B1 (ko) | 도어 록킹장치 | |
CN113227593A (zh) | 用于装配至车身的车辆内部部件 | |
KR101710775B1 (ko) | 도어용 경첩 | |
JP5174131B2 (ja) | 車両用開閉扉の開閉操作装置 | |
RU2562032C2 (ru) | Поворотный язычок и замок для открывающейся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101866305B1 (ko) |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 |
KR102702858B1 (ko) | 푸시 풀 방식의 도어 락 | |
CN111315950B (zh) | 家用器具的门锁装置、具体地洗碗机的门锁装置 | |
KR101673072B1 (ko) | 차량용 힌지장치 | |
CN110938972B (zh) | 辅助开关门装置 | |
KR20140041987A (ko) | 창호용 경첩 | |
JP2013238088A (ja) | ドアロック装置のカウンタウェイト取付構造 | |
US20230175295A1 (en) | Rotary latch with spring gui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