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8083A -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8083A
KR20210038083A KR1020190120774A KR20190120774A KR20210038083A KR 20210038083 A KR20210038083 A KR 20210038083A KR 1020190120774 A KR1020190120774 A KR 1020190120774A KR 20190120774 A KR20190120774 A KR 20190120774A KR 20210038083 A KR20210038083 A KR 2021003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mber
plate
tension spring
lif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577B1 (ko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강태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2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판의 승강동작시 디스플레이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의 하단부와 지지브라켓이 접촉되면서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을 지지하여 웨이트부재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POSITION CONTROL APPARATUS OF DISPLAY}
본 발명은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판의 승강동작시 디스플레이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의 하단부와 지지브라켓이 접촉되면서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을 지지하여 웨이트부재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시청은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 행위 및 정보원 중의 하나인 반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신체가 불편하게 되고,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요통, 척추증, 및 좌골신경통과 같은 질병에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들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TV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은 TV 세트를 최적의 시각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눕거나 앉아 있는 자신의 위치에서의 시야각에 따라 TV 세트의 높이 및 시각을 원격 또는 수동 조정함으로써 편안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질환자 및 병원 침상 환자들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기존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등록일자 ; 2005.10.0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청자가 시청자세에 따라 TV수상기를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위와 같은 장치는 스크류 구동모터 및 회전모터의 정역구동에 의해서 TV수상기의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원격제어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 TV수상기의 상,하 틸팅 각도만을 조절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TV수상기의 회동동작시 TV수상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제품 내구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TV수상기의 회동동작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TV수상기의 자중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TV수상기의 복귀동작에서 모터의 구동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등록일자 ; 2005.10.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619호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등록일자 : 2018.04.09)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002호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위치조절장치"(등록일자 : 2011.01.25)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판의 상방향 승강동작시 디스플레이와 고정판의 중량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의 하단부와 지지브라켓이 접촉되면서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을 지지하여 웨이트부재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는,
베이스판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승강판의 이동시 상기 승강수단의 동작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밸런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승강판과 연동체인으로 연결되고 승강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웨이트부재와,
일단이 상기 웨이트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된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과,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쌍의 지지브라켓을 구비하여서,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브라켓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브라켓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인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각도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의 하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경사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부와 경사부가 접촉될 경우 상기 경사부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부하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외통과, 상기 연동체인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통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와, 상기 외통의 중공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외통과는 다른 이종 소재로 구성된 내통과, 상기 외통의 상부와 내통의 상부가 연동되도록 관통결합되며 상기 인장스프링의 상단부가 걸려지도록 후크 결합되는 연결볼트로 구성되어서, 상기 웨이트부재의 승강동작에 따른 상기 인장스프링의 신장 및 수축 복원동작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인장스프링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인장스프링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구가 마련되는 원통체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베이스판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된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력이 연결체인을 통해 전달되고 내부에 기어가 치합된 기어박스와,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웨이트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의 기어 축과 치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승강판과 웨이트부재에 전달하는 연동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위치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승강판의 상부 좌,우 양측을 연동체인으로 연결하는 좌측 웨이트부재와 우측 웨이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의 캡부재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연결편이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판의 상승동작시 고정판과 디스플레이의 무게로 인한 동적 부하를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경감시킴과 아울러, 외통과 내통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웨이트부재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의 하단부와 지지브라켓의 경사부가 접촉되면서 웨이트부재의 하강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웨이트부재의 작동소음을 경감시키고 웨이트부재의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에 해당하는 일 실시 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커버가 생략된 하우징과 받침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웨이트부재와 인장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웨이트부재와 인장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지지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승강판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웨이트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승강판이 상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 웨이트부재의 움직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의 하단부가 좌,우측 지지브라켓의 사이로 진입되기 전과 진입된 후의 지지브라켓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대(100)와, 상기 받침대(100)의 상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판(220)을 가지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수단(30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판(310)과, 상기 승강판(310)의 하부에 틸팅브라켓(50)으로 틸팅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고정판(60) 및 상기 승강수단(300)의 동작 부하를 경감시키는 밸런싱수단을 구비한다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10)는 TV 모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100)는 지면으로부터 하우징(200)을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0) 내부공간에는 한쌍의 프레임(210)이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프레임(210)은 상기 베이스판(220)에 상호 이격되어 수직으로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마련된 승강모터(320)와, 상기 승강모터(320)의 회전력이 연결체인(330)을 통해 전달되고 내부에 기어가 치합된 기어박스(350)와,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3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웨이트부재(400)의 상부에 마련된 캡부재(430)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350)의 기어 축과 치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승강판(310)과 웨이트부재(400)에 전달하는 연동체인(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판(310)에 연결된 고정판(60) 및 디스플레이(10)를 상,하로 승강시킨다.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승강판(3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판(3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환봉 형태의 가이드봉(360)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모터(320)는 회전력이 연결체인(330)을 통해 기어박스(350)의 기어에 전달된다.
상기 기어박스(350)의 기어는 연동체인(340)과 치합되어 상기 승강모터(320)의 회전력을 연동체인(340)측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동체인(340)은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310)의 상부 좌,우측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상단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승강판(310)과 웨이트부재(40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 이동되게 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0)의 상승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00)가 하강동작되고, 이와 반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0)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00)가 상승동작된다.
상기 승강판(310)의 전면 방향에는 틸팅브라켓(50)에 의해 전면방향을 향해 틸팅 회전되는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된 고정판(60)이 배치된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승강판(3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승강수단(300)의 동작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웨이트부재(400) 및 인장스프링(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상기 승강판(310)과 연동체인(340)으로 연결되는 좌측 웨이트부재(400A)와 우측 웨이트부재(400B)를 구비한다.
상기 연동체인(340)은 상기 승강판(310)의 좌,우 양측에 각각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각 타단부가 캡부재(430)를 매개로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와 연결된다.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0)이 하측으로 이동될 때 상승 동작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310)이 상측으로 이동될 때 하강동작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일단(상단)이 웨이트부재(400)에 연결되고 타단(하단)이 받침대(100)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웨이트부재(40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 신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400)가 하측으로 이동될 때 수축 복원된다.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복원력은 상기 승강판(310)의 상승동작시 상기 승강판(310)의 상승력으로 작용하도록 보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판(310)이 하강 이동되면, 연동체인(340)에 연결된 웨이트부재(400)는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40)이 신장된다.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중량과 인장스프링(4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승강판(310)에 매달린 고정판(60)과 디스플레이(10)의 무게에 대한 승강모터(320)의 부하를 경감시키게 한다.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외통(410)과, 상기 연동체인(34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통(4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430)와, 상기 외통(410)의 중공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부가 수용되고 상기 외통(410)과는 다른 소재로 구성된 내통(420)과, 상기 외통(410)의 상부와 내통(420)의 상부가 연동되도록 관통결합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단부가 걸려지도록 후크 결합되는 연결볼트(415)로 각각 구성된다.
본 발명의 웨이트부재(400)는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의 승강동작에 따른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신장 및 수축 복원동작이 상기 내통(42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웨이트부재(400)의 승강 동작시 중공형성으로 인한 흔들림을 상기 인장스프링(440)이 가이드역활을 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음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외통(410)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통(420) 및 인장스프링(44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통(420)은 상대적으로 상기 외통(410)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신축시 진동흡수가 우수한 합성수지계열(예를 들어 PVC)소재를 채택한다.
상기 외통(410)의 상부와 상기 내통(420)의 상부는 연결볼트(415)에 의해 연동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외통(41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볼트(415)가 관통되도록 제1연결공(412)이 형성되고, 상기 내통(420)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볼트(415)가 관통되도록 제2연결공(422)이 형성된다.
상기 외통(410)과 내통(420)의 상부를 관통한 연결볼트(415)의 단부에는 고정너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웨이트부재(400)는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의 캡부재(430)들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연결편이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460,470)은 좌측 지지브라켓(460)과 우측 지지브라켓(470)을 구비한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은 상기 베이스판(220)에 고정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부(468,478)와, 상기 고정부(468,478)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부(466,476)와, 상기 수직부(466,476)의 상단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인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64,474)와, 상기 수평부(464,474)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각도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경사부(462,472)를 각각 구비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브라켓(460,470)은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부와 경사부(462,472)가 접촉될 경우 상기 경사부(462,472)가 수평부(464,474)를 기준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로부터 전달되는 부하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은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 사이로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가 진입됨에 따라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의 경사부(462,472)가 서로간의 간격이 멀어지는 외측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부하를 감쇠시킴으로써,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저감시키고 충격으로 인한 부품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450)은 상기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판(220)의 상측면에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450)은 중앙 상면에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타단부(하단부)가 후크 결합되도록 연결고리(452a)를 갖는 고리부(45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450)은 고리부(452)가 형성된 상면의 좌,우 양측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가 상기 베이스판(220)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는 단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 일측단과 타측단이 볼트로 베이스판(2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승강판(310)의 상승동작시 고정판(60)과 디스플레이(10)의 무게로 인한 동적 부하를 웨이트부재(400)를 이용하여 경감시킴과 아울러, 외통(410)과 내통(420)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웨이트부재(400)를 이용하여 인장스프링(440)의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와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의 경사부(462,472)가 접촉되면서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웨이트부재(400)의 작동시 충격 소음을 저감시키고 웨이트부재(400)의 충격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1은 본 발명 웨이트부재(40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인장스프링(44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구(414)가 마련되는 원통체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414)에는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일단부가 후크 결합되도록 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일단부가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는 달리 연결구(414)에 걸려져 후크 결합되고, 타단부가 고정브라켓(450)의 고리부(452)에 걸려지도록 후크 결합된다.
이 경우에는 웨이트부재(400)의 구조를 이중관 구조가 아닌 단일관 형태로 구성되고, 단일관 형태의 웨이트부재(400)의 하측에 인장스프링(440)의 일단부(상단부)가 걸려지는 연결구(414)를 구비함으로써, 단일체 형태의 웨이트부재(400)가 하강동작되는 중에 좌,우측 지지브라켓(460,470)의 사이로 진입하면서 경사부(462,472)에 접촉되어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작동시 충격 소음을 저감시키고 웨이트부재(400)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10 : 디스플레이 50 : 틸팅브라켓
60 : 고정판 100 : 받침대
200 : 하우징 210 : 프레임
220 : 베이스판 230 : 커버
300 : 승강수단 310 : 승강판
320 : 승강모터 330 : 연결체인
340 : 연동체인 350 : 기어박스
360 : 가이드봉 400A,400B : (좌,우측)웨이트부재
405 : 연결편 410 : 외통
412,422 : 제1,2연결공 414 : 연결구

Claims (6)

  1. 베이스판(220)을 가지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승강수단(30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판(310)과;
    상기 승강판(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면에 디스플레이(10)가 고정되는 고정판(60)과;
    상기 승강판(310)의 이동시 상기 승강수단(300)의 동작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한 밸런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밸런싱수단은;
    상기 승강판(310)과 연동체인(340)으로 연결되고 승강판(31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웨이트부재(400)와,
    일단이 상기 웨이트부재(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판(22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450)에 연결되는 인장스프링(440)과,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판(220)의 상측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450)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로 갈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지는 한쌍의 지지브라켓(460,470)을 구비하여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를 상기 지지브라켓(460,470)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브라켓(460,470)은 상기 베이스판(220)에 고정되는 고정부(468,478)와,
    상기 각 고정부(468,478)에서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수직부(466,476)와,
    상기 각 수직부(466,476)의 상단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인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64,474)와,
    상기 각 수평부(464,474)의 단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각도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웨이트부재(400)의 하단부가 접촉됨에 따라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휘어짐이 가능한 경사부(462,472)를 구비하여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강동작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하부와 경사부(462,472)가 접촉될 경우 상기 경사부(462,472)가 탄력적으로 휘어지면서 부하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구조의 외통(410)과,
    상기 연동체인(34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외통(4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부재(430)와,
    상기 외통(410)의 중공 내부에 수용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부가 수용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내통(420)과,
    상기 외통(410)의 상부와 내통(420)의 상부가 연동되도록 관통결합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상단부가 걸려지도록 후크 결합되는 연결볼트(415)로 구성되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승강동작에 따른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신장 및 수축 복원동작이 상기 내통(420)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인장스프링(440)의 작동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 상기 인장스프링(440)이 연결되는 연결구(414)가 마련되는 원통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300)은 상기 베이스판(220)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쌍의 프레임(210)과,
    상기 프레임(210)의 상부에 마련된 승강모터(320)와,
    상기 승강모터(320)의 회전력이 연결체인(330)을 통해 전달되고 내부에 기어가 치합된 기어박스(350)와,
    일단부가 상기 승강판(3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웨이트부재(400)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박스(350)의 기어 축과 치합되어 상기 기어의 회전력을 승강판(310)과 웨이트부재(400)에 전달하는 연동체인(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400)는 상기 승강판(310)의 상부 좌,우 양측을 연동체인(340)으로 연결하는 좌측 웨이트부재(400A)와 우측 웨이트부재(400B)를 구비하고,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의 캡부재(430)들을 연결하는 연결편(405)을 더 구비하여서,
    상기 연결편(405)이 상기 좌,우측 웨이트부재(400A,400B)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KR1020190120774A 2019-09-30 2019-09-30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KR102288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74A KR102288577B1 (ko) 2019-09-30 2019-09-30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774A KR102288577B1 (ko) 2019-09-30 2019-09-30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8083A true KR20210038083A (ko) 2021-04-07
KR102288577B1 KR102288577B1 (ko) 2021-08-11

Family

ID=7546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774A KR102288577B1 (ko) 2019-09-30 2019-09-30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545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탑시스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59B1 (ko) 2002-12-03 2005-10-14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20070026216A (ko) * 2005-09-02 2007-03-0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승강 기구 및 반송 장치
KR101012002B1 (ko) 2009-06-05 2011-01-31 주식회사 이피텍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140135407A (ko) * 2013-05-16 2014-11-26 (주) 스카이미디어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180006106A (ko) * 2016-07-08 2018-01-17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KR101848619B1 (ko) 2017-02-23 2018-05-24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180097238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59B1 (ko) 2002-12-03 2005-10-14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20070026216A (ko) * 2005-09-02 2007-03-08 동경 엘렉트론 주식회사 승강 기구 및 반송 장치
KR101012002B1 (ko) 2009-06-05 2011-01-31 주식회사 이피텍 벽걸이 평판 디스플레이장치용 위치조절장치
KR20140135407A (ko) * 2013-05-16 2014-11-26 (주) 스카이미디어 다용도 평판디스플레이 거치대
KR20180006106A (ko) * 2016-07-08 2018-01-17 경도비젼테크주식회사 래치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링크형 도어락장치
KR101848619B1 (ko) 2017-02-23 2018-05-24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180097238A (ko) * 2017-02-23 2018-08-31 주식회사 탑시스템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545A (ko) * 2021-05-21 2022-11-29 주식회사 탑시스템 벨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577B1 (ko)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6679B1 (ko)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US4690362A (en) Adjustable stand for a visual display unit
US78740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ising and lowering a bed
CN101487560B (zh) 平板电视壁挂架
CN106704779A (zh) 一种升降式显示屏挂架
KR20210038083A (ko)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KR101969635B1 (ko)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803722B1 (ko)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20210016239A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의 틸팅장치
CN204764092U (zh) 电动升降装置
KR20030020642A (ko)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CN201232835Y (zh) 一种平板显示屏壁挂装置
CN101897523B (zh) 多功能床的电视升降机构
KR10123578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4235570A (zh) 一体式显示设备专用升降支架
CN212430391U (zh) 一种可调式电视机挂架
KR200348706Y1 (ko) 마루판의 신축성 받침다리
CN211154353U (zh) 一种显示屏升降设备
CN209688428U (zh) 一种轻型摇臂平板显示器支架
KR102294929B1 (ko) 높이 조절용 브라켓
JP2018152689A (ja) テレビ及び高さ調整スタンド
NZ547244A (en) Retractable television mounting
KR200237688Y1 (ko)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KR200358014Y1 (ko) Tv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 tv
KR20090097066A (ko)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