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688Y1 -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688Y1
KR200237688Y1 KR2020010012102U KR20010012102U KR200237688Y1 KR 200237688 Y1 KR200237688 Y1 KR 200237688Y1 KR 2020010012102 U KR2020010012102 U KR 2020010012102U KR 20010012102 U KR20010012102 U KR 20010012102U KR 200237688 Y1 KR200237688 Y1 KR 200237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pe
panel
height
pipe
driv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식
Original Assignee
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식 filed Critical 임홍식
Priority to KR2020010012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6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688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차부가 힌지 결합된 'X'형 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X'형 파이프의 상하부가 각각 가이드 파이프로 연결된 높이 조절부와; 사각 형상인 상부패널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상부 가이드 파이프가 끼움되고, 사각의 형상인 하부패널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하부 가이드 파이프가 끼움되어 이루어진 받침부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볼트가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의 중간 영역에 나사 끼움되고 양단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패널에 회전 지지되며 중심부에 기어가 장착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된 이송부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하버튼 및 자동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 및/또는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상부패널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패널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평 주름이 형성된 보호막이 부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Adjust The Height Of Television Support}
본 고안은 텔레비젼이 지지되는 텔레비젼 받침대를 승강 및 하강 시켜 텔레비젼의 높이조정 작업을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용이한 텔레비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마다 텔레비젼이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점점 텔레비젼 앞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졌다. 이제는 저녁식사 후 온 가족이 텔레비젼에 둘러앉아 텔레비젼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방 마다 따로 텔레비젼을 구비하여 취향따라 개인적으로 시청하는 가정이 적지않다.
더구나 요즘은 24시간 시청이 가능한 케이블 TV와 같은 유선방송이 각 가정마다 보급되어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텔레비젼의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시 되는 것은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시청자의 자세인데 자세를 좌우하는 요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받침대에 놓여진 텔레비젼의 높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는, 반침대의 하측으로 수납구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받침판이 구비되어 그 위에 단순히 텔레비젼을 올려놓은후 텔레비젼을 시청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900)의 구조에 있어서는 텔레비젼 받침대(900)의 본체부(910) 하측으로 물품 수납구(920)가 마련되며, 상기 물품 수납구(920) 상측에는 받침판(930)을 개재하여 텔레비젼(940)이 위치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텔레비젼(940)을 시청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900)는, 본체부(910)의 받침판(930) 상측으로 단순히 텔레비젼(940)을 올려놓은 형태로 위치시킨후 이를 시청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텔레비젼 받침대(900)가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낮을 경우, 텔레비젼(940)을 시청하는 시청자가 목을 들거나, 허리를 굽혀야하는 불편이 가중되며, 이와 같은 경우 노약자 및 어린이등에게는 과중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경우에 따라 텔레비젼(940)을 누워서 시청을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900)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텔레비젼(940)과 시청자의 시청높이가 서로 틀리게 되어 편안한 자세로 텔레비젼(940)을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900)는 높은 위치이든 낮은 위치이든 막론하고 고정되어 있었다. 텔레비젼(940)이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자세가 고정되고 눈의 초점도 고정되게 되었다. 따라서 장시간 텔레비젼(940)을 시청할 경우 자세의 변화나 눈동자의 움직임이 없어 몸의 피로와 함께 눈의 피로도 가져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을 'X'형 파이프로 연결하고 상기 'X'형 파이프에 이송볼트와 이송모터를 장착하여 상기 상부패널에 놓여진 텔레비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이송모터의 동작을 컨트롤러로 조정하여 텔레비젼의 상하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시청중에 자연스럽게 시청자의 목과 눈동자의 움직임을 유발시킴으로써, 목운동과 눈운동이 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교차부가 힌지 결합된 'X'형 파이프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X'형 파이프의 상하부가 각각 가이드 파이프로 연결된 높이 조절부와;
사각 형상인 상부패널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상부 가이드 파이프가 끼움되고, 사각의 형상인 하부패널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하부 가이드 파이프가 끼움되어 이루어진 받침부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볼트가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의 중간 영역에나사 끼움되고 양단에 베어링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패널에 회전 지지되며 중심부에 기어가 장착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된 이송부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하버튼 및 자동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 및/또는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상부패널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패널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평 주름이 형성된 보호막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볼트의 나선방향은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텔레비젼 받침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패널위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가 최대 높이로 높아진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가 최소 높이로 낮아진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비젼 100 :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200 : 높이 조절부 210 : 'X'형 파이프
220 : 상부 가이드 파이프 230 : 하부 가이드 파이프
235 : 나사구멍 240 : 힌지
300 : 받침부 310 : 상부패널
320 : 하부패널 330 : 가이드 레일
335 : 가이드 레일의 홈 390 : 보호막
400 : 이송부 410 : 이송볼트
420 : 구동모터 430 : 기어
450 : 베어링 460 : 리미트 스위치
500 : 조작수단 510 : 컨트롤러
520 : 버튼부 522 : 상하버튼
524 : 자동버튼 530 : 리모콘
535 : 수신창 900 : 텔레비젼 받침대
910 : 본체부 920 : 물품 수납구
930 : 받침판 940 : 텔레비젼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패널위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100)는 두개의 파이프가 'X'형으로 교차하고 교차부가 힌지(240) 결합되어 높이가 변화하는 높이 조절부(200)와,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패널(310) 및 하부패널(320)로 결합되는 받침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패널(310)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패널(320)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평 주름이 형성된 보호막(390)이 부착되어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역할과 함께 미관상으로도 좋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310) 위에는 텔레비젼(10)이 놓이고, 상기 하부패널(320) 위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200)의 'X'형 파이프(210)를 넓히거나 좁혀서 높이를 조절하는 이송볼트(410)와 구동모터(420)로 이루어진 이송부(4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모터(420)의 동작은 컨트롤러(51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수동조작하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동작하는데, 버튼부(520)나 리모콘(530)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500)에서 버튼을 조작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부(200)는 두개의 파이프가 'X'형으로 교차되고 교차부가 힌지(240) 결합되어 있다. 상기 'X'형 파이프(210)는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X'형 파이프(210)의 상부는 상부 가이드 파이프(220)로, 하부는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로 마주하는 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힌지(24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파이프(220)에는 상부패널(310)이 연결되고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에는 하부패널(320)이 연결되는바, 상기 상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각 단이 상기 상하부패널(310, 320)에 부착된 가이드 레일(330)에 끼움되어 연결된다.
즉, 상기 가이드 레일(330)은 긴 막대 형상으로 일측에 길게 홈(3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330)은 상기 상부패널(310) 하면의 네 지점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패널(320) 상면의 네 지점에 부착되며, 상기 상하부 가이드 파이프(220, 230)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330)의 홈(335)에 끼움되어 높이 조절시에 상기 홈(335)을 따라 미끄러진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중간 부분에는 나사구멍(235)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235)을 통하여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가 이송볼트(410)의 양측에 각각 끼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볼트(410)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의 방향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이송볼트(410)의 중심부에는 기어(430)가 끼움되어 상기 기어(430)와 구동모터(420)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하여 상기 이송볼트(410)가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이송볼트(410)의 회전을 용이하게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볼트(410)의 양단에는 베어링(450)이 장착되고 상기 하부패널(320)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볼트(410)의 회전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20)의 회전은 컨트롤러(510)에서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510)에는 상하버튼(522) 및 자동버튼(524)으로 구성된 버튼부(520)와 리모콘(530)으로 부터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수신창(535)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버튼부(520)와 리모콘(53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는 조작수단(500)으로서 상기버튼부(520)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상기 리모콘(530)에도 상하버튼(522) 및 자동버튼(524)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520)와 리모콘(530)은 동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500)에 구비된 상하버튼(522)을 누르면 상기 'X'형 파이프(210)를 넓히거나 좁혀서 상기 상부패널(310)위에 놓인 텔레비젼(10)을 높히거나 낮아지게 한다. 즉, 상하버튼(522)에서 상버튼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한 이송볼트(410)의 회전으로 상기 'X'형 파이프(210)를 좁혀서 상기 상부패널(310)위에 놓인 텔레비젼(10)의 위치를 높아지게 한다. 그리고 상하버튼(522)에서 하버튼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한 이송볼트(410)의 역회전으로 상기 'X'형 파이프(210)를 넓혀서 상기 상부패널(310)위에 놓인 텔레비젼(10)의 위치를 낮아지게 한다.
또한 자동버튼(524)을 누르면 상기 컨트롤러(51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0)에 의한 이송볼트(410)의 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텔레비젼(10)의 위치가 높아짐과 낮아짐을 자동으로 반복한다.
이 때 상기 하부패널(320)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460)가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양측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하부패널(320)의 안쪽에 부착된 리미트 스위치(460)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가 좁아지는 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상부패널(310)위에 놓인 텔레비젼(10)의 최대 높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패널(320)의 보다 외측에 부착된 리미트 스위치(460)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가 넓혀지는 거리을 제한하여 상기 상부패널(310)위에 놓인 텔레비젼(10)의 최소 높이를 제한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가 최대 높이로 높아진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가 최소 높이로 낮아진 상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100)는 'X'형 파이프(210)가 힌지(240)를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도 4와 같이 최대 높이로 되어 텔레비젼(10)의 높이가 최대로 되거나 도 5와 같이 최소 높이로 된다.
도 4와 같이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10)의 높이가 최대로 된 경우에는 'X'형 파이프(210)의 폭이 좁아져서 세로로 길어진 상태이고, 이 때 상부패널(310)이 높아짐에 따라 보호막(390)의 주름부분이 펼쳐진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100)의 높이가 최소로 된 경우에는 'X'형 파이프(210)의 폭이 넓어져서 세로로 낮아진 상태이고, 이 때 상부패널(310)이 낮아짐에 따라 보호막(390)의 주름부분이 접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자는 컨트롤러(510)에 부착된 버튼부(520)를 누르거나 리모콘(530)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100)에 의하면 상부패널(3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패널(310)위에놓여진 텔레비젼(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상부패널(310)과 하부패널(320) 사이를 'X'형 파이프(210)로 연결하고 상기 'X'형 파이프(210)에 이송볼트(410)와 이송모터를 장착하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이송모터는 컨트롤러(510)를 이용하여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510)에 부착된 버튼부(520)와 원격조정할 수 있는 리모콘(530)으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텔레비젼(10)을 시청하면서도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송모터의 동작을 컨트롤러(510)의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텔레비젼(10)의 상하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시청중에 자연스럽게 시청자의 목과 눈동자의 움직임을 유발시킴으로써, 목운동과 눈운동을 하면서 텔레비젼(10) 시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교차부가 힌지(240) 결합된 'X'형 파이프(210)가 소정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X'형 파이프(210)의 상하부가 각각 상하부 가이드 파이프(220, 230)로 연결된 높이 조절부(200)와;
    사각 형상인 상부패널(310)의 하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30)에 상부 가이드 파이프(220)가 끼움되고, 사각의 형상인 하부패널(320)의 상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330)에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가 끼움되어 이루어진 받침부(300)와;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된 이송볼트(410)가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중간 영역에 나사 끼움되고 양단에 베어링(450)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패널(320)에 회전 지지되며 중심부에 기어(430)가 장착되어 구동모터(420)와 연결된 이송부(400)와;
    상기 구동모터(420)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510)와;
    상하버튼(522) 및 자동버튼(524)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510)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520) 및/또는 리모콘(530)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320)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 파이프(23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4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310)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패널(320)의 테두리 사이에는 수평 주름이 형성된 보호막(390)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볼트(410)의 나선방향은 양측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KR2020010012102U 2001-04-26 2001-04-26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KR2002376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02U KR200237688Y1 (ko) 2001-04-26 2001-04-26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102U KR200237688Y1 (ko) 2001-04-26 2001-04-26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688Y1 true KR200237688Y1 (ko) 2001-10-12

Family

ID=7310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102U KR200237688Y1 (ko) 2001-04-26 2001-04-26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6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19B1 (ko) * 2002-05-31 2005-04-18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입형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기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30052B1 (ko) 2008-11-07 2011-04-21 박용창 휴대용 변기
KR101156206B1 (ko) 2010-02-01 2012-06-18 박상빈 연속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탁자
KR101941268B1 (ko) * 2017-08-21 2019-01-22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용 싱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19B1 (ko) * 2002-05-31 2005-04-18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입형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기 높낮이 조절장치
KR101030052B1 (ko) 2008-11-07 2011-04-21 박용창 휴대용 변기
KR101156206B1 (ko) 2010-02-01 2012-06-18 박상빈 연속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탁자
KR101941268B1 (ko) * 2017-08-21 2019-01-22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용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260B1 (ko) 높이 조절 베개
US20050110911A1 (en) Remotely controlled wall-mounted television bracket
KR200473097Y1 (ko)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20040027246A (ko) 모니터장치
KR200237688Y1 (ko)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KR200244624Y1 (ko)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11352B1 (ko) 전동력을 이용한 책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235787B1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KR940002694Y1 (ko) Tv방향조절받침대
KR102288577B1 (ko) 고효율 밸런싱 디스플레이 위치조절장치
JP2007295497A (ja) 前後チルト機能付電動リフト式テレビ設置台
KR200335288Y1 (ko) 높이 조절의 기능을 가진 tv 측면 받침대
CN218588613U (zh) 一种组合式椅子
CN218105382U (zh) 一种坐垫可变形的沙发
CN111557569A (zh) 一种可调整姿态的床
CN206651540U (zh) 一种多功能茶几
KR20090097066A (ko) 탁상형 디스플레이 각도 조절장치
KR101674473B1 (ko) 책상높이 조절 장치
KR200234082Y1 (ko) 스탠드형 확대경
CN108903379A (zh) 一种方便移动的多功能床头柜
KR102562073B1 (ko) Tv용 슬라이드 틸팅 벽걸이 장치
KR930002111B1 (ko) Tv 받침대
US20220192388A1 (en) Bed foundation adustment controls
CN218205939U (zh) 一种可以躺在床上看星星的玻璃屋民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