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624Y1 -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 Google Patents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624Y1
KR200244624Y1 KR2020010015871U KR20010015871U KR200244624Y1 KR 200244624 Y1 KR200244624 Y1 KR 200244624Y1 KR 2020010015871 U KR2020010015871 U KR 2020010015871U KR 20010015871 U KR20010015871 U KR 20010015871U KR 200244624 Y1 KR200244624 Y1 KR 200244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eight
button
stoppe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홍식
Original Assignee
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홍식 filed Critical 임홍식
Priority to KR2020010015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62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볼트에 이송너트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볼트의 양측에 수직으로 보조기둥이 세워지며 상기 이송너트의 일측에 수평으로 TV 받침대가 부착되고 상기 TV 받침대의 양측에 부착된 보조암이 상기 보조기둥에 미끄럼 접촉으로 지지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이송볼트의 하단이 베어링으로 하부고정대 위에 지지되고 일측에 기어가 끼움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둥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핀이 상하작동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작동부와; 상기 이송볼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측에 상부고정대를 구비하고 높낮이조절나사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구동모터 및 스토퍼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 및 스토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하버튼과 자동버튼 및 후퇴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 및/또는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Adjust The Height And The Angle Of TV Support}
본 고안은 TV가 지지되는 TV 받침대를 승강 및 하강 시켜 TV의 높이조정 작업을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용이한 TV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마다 TV가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점점 TV 앞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졌다. 이제는 저녁식사 후 온 가족이 TV에 둘러앉아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 뿐만 아니라, 각 방 마다 따로 TV를 구비하여 취향따라 개인적으로 시청하는 가정이 적지않다.
더구나 요즘은 24시간 시청이 가능한 케이블 TV와 같은 유선방송이 각 가정마다 보급되어 TV를 시청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TV의 시청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중요시 되는 것은 TV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자세인데 자세를 좌우하는 요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받침대에 놓여진 TV의 높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TV 받침대는, 반침대의 하측으로 수납구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받침판이 구비되어 그 위에 단순히 TV를 올려놓은 후 TV를 시청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TV 받침대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TV 받침대(900)의 구조에 있어서는 TV 받침대(900)의 본체부(910) 하측으로 물품 수납구(920)가 마련되며, 상기 물품 수납구(920) 상측에는 받침판(930)을 개재하여 TV(940)가 위치되어, 일정한 높이에 고정된 TV(940)를 시청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TV 받침대(900)는, 본체부(910)의 받침판(930) 상측으로 단순히 TV(940)를 올려놓은 형태로 위치시킨 후 이를 시청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TV 받침대(900)가 지나치게 높거나, 또는 낮을 경우, TV(940)를 시청하는 시청자가 목을 들거나, 허리를 굽혀야 하는 불편이 가중되며, 이와 같은 경우 노약자 및 어린이등에게는 과중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경우에 따라 TV(940)를 누워서 시청을 하는 경우에는, 받침대(900)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TV(940)와 시청자의 시청높이가 서로 틀리게 되어 편안한 자세로 TV(940)를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종래의 TV 받침대(900)는 높은 위치이든 낮은 위치이든 막론하고 고정되어 있었다. TV(940)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자세가 고정되고 눈의 초점도 고정되게 되었다. 따라서 장시간 TV(940)를 시청할 경우 자세의 변화나 눈동자의 움직임이 없어 몸의 피로와 함께 눈의 피로도 가져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TV 받침대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TV 받침대위에 놓여진 TV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이송볼트를 바닥과 천정사이에 수직으로 세워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부착된 버튼부와 원격조정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TV를 시청하면서도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이송모터의 동작을 컨트롤러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TV의 상하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시청중에 자연스럽게 시청자의 목과 눈동자의 움직임을 유발시킴으로써, 목운동과 눈운동을 하면서 TV 시청을 할 수 있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볼트에 이송너트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볼트의 양측에 수직으로 보조기둥이 세워지며 상기 이송너트의 일측에 수평으로 TV 받침대가 부착되고 상기 TV 받침대의 양측에 부착된 보조암이 상기 보조기둥에 미끄럼 접촉으로 지지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이송볼트의 하단이 베어링으로 하부고정대 위에 지지되고 일측에 기어가 끼움되어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둥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회전판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의 하측에 설치되어 핀이 상하작동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작동부와;
상기 이송볼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측에 상부고정대를 구비하고 높낮이조절나사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와;
상기 구동모터 및 스토퍼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 및 스토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하버튼과 자동버튼 및 후퇴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 및/또는 리모콘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기둥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TV 받침대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고 상기 스토퍼는 전진상태에서 상기 버튼부 및/또는 리모콘의 후퇴버튼을 누르면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하여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대에는 천정 및/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나사못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TV 받침대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과 스토퍼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TV 받침대가 상하로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TV 받침대가 좌우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높이조절부 110 : TV 받침대
115 : 수납구 120 : 이송볼트
125 : 이송너트 130 : 보조기둥
135 : 보조암 140 : 회전판
145 : 구멍 150 : 리미트 스위치
200 : 높이조절작동부 210 : 구동모터
215 : 기어 220 : 스토퍼
225 : 핀 230 : 컨트롤러
240 : 버튼부 241 : 상하버튼
242 : 자동버튼 243 : 후퇴버튼
250 : 조작수단 260 : 하부고정대
270 : 리모콘 275 : 수신창
300 : 길이조절부 310 : 높낮이조절나사
320 : 나사못 360 : 상부고정대
400 : TV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는 TV 받침대(110)가 이송볼트(120)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높이조절부(100)와 천정에 지지하기 위해 수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300)와 구동모터(210)가 작동하여 상기 TV 받침대(110)를 상하로 움직이게하는 높이조절작동부(2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TV 받침대(110)의 좌우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220)와 상기 구동모터(210) 및 스토퍼(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 및 상기 컨트롤러(230)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240) 및/또는 리모콘(270)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2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100)는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볼트(120)에 이송너트(125)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너트(125)에 TV 받침대(110)가 부착되어 상기 이송볼트(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TV 받침대(110)가 상하로 움직인다. 즉, 상기 이송볼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이송볼트(120)에 끼워진 상기 이송너트(125)가 상하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이송너트(125)에 부착된 상기 TV 받침대(110)가 상하로 이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볼트(120)가 회전할 때 상기 이송너트(125)가 상기 이송볼트(120)를 따라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상기 이송볼트(120)의 양측에 수직으로 보조기둥(130)이 세워진다. 상기 보조기둥(130)은 이송볼트(120)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며, 특히 하부는 이송볼트(120)에 끼워진 회전판(140)의 양측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판(140)에는 다수개의 구멍(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220)의 핀(225)이 상기 구멍(145)에 끼움되어 상기 회전판(14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TV 받침대(110)는 상기 보조기둥(130)에 보조암(135)으로 지지되며 상기 보조암(135)의 일측은 상기 TV 받침대(110)에 부착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기둥(130)에 끼움되어 미끄럼 접촉을 한다.
이상과 같은 상기 높이조절부(100)는 높이조절작동부(200)에 의하여 동작하는데 상기 높이조절작동부(200)는 상기 이송볼트(120)와 기어(215)로 연결된 구동모터(21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볼트(120)의 회전저항을 감소시키는 베어링(미도시)이 상기 이송볼트(120)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작동부(200)에 구비된 상기 스토퍼(220)는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하여 핀(225)이 상하로 작동한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작동부(200)는 하부고정대(260) 위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볼트(120)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이송볼트(120)의 상단은 길이조절부(300)에 연결되어 상부고정대(360)로 천정이나 벽에 고정된다. 상기 길이조절부(300)는 상단에 상부고정대(360)를 구비한 높낮이조절나사(310)의 형태로 되어 상기 높낮이조절나사(310)를 돌리면 회전방향에 따라 상하로 연장되거나 줄어든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대(360)에는 천정 및/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나사못(320)이 구비되어 상기 이송볼트(120)가 넘어지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방향으로 구비된 나사못(320)은 천정에 고정시키기 위함이고, 측방향으로 구비된 나사못(320)은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작은 컨트롤러(23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거나 수동조작하는 사용자의 컨트롤에 따라 동작하는데, 상기 버튼부(240)나 리모콘(270)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250)에서 버튼을 조작함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210)의 회전은 상기 컨트롤러(230)에서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230)에는 상하버튼(241) 및 자동버튼(242)으로 구성된 버튼부(240)와 리모콘(270)으로 부터 동작명령을 수신하는 수신창(275)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버튼부(240)와 리모콘(270)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키는 조작수단(250)으로서 상기 버튼부(240)의 역할과 마찬가지로 상기 리모콘(270)에도 상하버튼(241) 및 자동버튼(242)이 구비되어 상기 버튼부(240)와 리모콘(270)은 동일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작수단(250)에 구비된 상하버튼(241)중에서 상버튼을 누르면 구동모터(210)에 의한 이송볼트(120)의 회전으로 상기 TV 받침대(110)에 놓인 TV(400)의 위치를 높인다. 그리고 하버튼을 누르면 이송볼트(120)가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TV 받침대(110)에 놓인 TV(400)의 위치를 낮춘다.
또한 자동버튼(242)을 누르면 상기 컨트롤러(23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0)에 의한 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여 TV(400)의 위치가 높아짐과 낮아짐을 자동으로 반복한다. 이러한 이유는 고정된 자세로 장시간 TV(400)를 시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따라 TV(400)가 움직이는 대로 시선이 따라 움직이게 하기 위함이다.
이 때, 상기 보조기둥(130)의 하측과 상측에는 상기 TV 받침대(11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15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150)는 최소높이 또는 최대높이에 상기 TV 받침대(110)가 도달 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210)의 동작을 멈추게하여 장치를 보호하고 상기 TV 받침대(110)의 유동거리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판과 스토퍼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20)의 핀(225)이 회전판(140)의 구멍(145)에 끼움되면 상기 회전판(14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고 스토퍼(220)의 핀(225)이 상기 회전판(140)의 구멍(145)에서 빠지면 상기 회전판(140)은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이다. 상기 스토퍼(220)는 중심부에 핀(225)이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회전판(140)의 구멍(145)에 끼움되도록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핀(225)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는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해 상기 핀(225)이 후퇴하여 스토퍼(22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 스토퍼(220)는 컨트롤러(230)와 연결되어 있어, 버튼부(240)의 후퇴버튼(243)을 누르면 상기 컨트롤러(230)에서 상기 스토퍼(2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핀(225)이 후퇴한다. 또한 리모콘(270)의 후퇴버튼(243)을 눌러도 상기 핀(225)이 후퇴하는 동일한 작용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TV 받침대가 상하로 움직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TV 받침대가 좌우로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TV 받침대의 상하좌우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 받침대(110) 위에 놓여진 TV(400)는 상하로 움직이며 좌우로 회동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도 5와 같이 TV(400)의 상하작동은 이송볼트(120)가 회동함에 따라 이송너트(125)가 상기 이송볼트(120)의 나선을 따라 상 또는 하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송너트(125)는 보조암(135)을 통하여 양측의 보조기둥(13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는 못하지만 보조기둥(130)과 미끄럼접촉이므로 상하 움직임은 가능하다. 따라서 이송볼트(120)가 회전하면 이에 대한 상대운동으로 이송볼트(120)의 나선을 따라 이송너트(125)가 상 또는 하로 움직인다. 상기 이송너트(125)에 TV 받침대(11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TV 받침대(110)와 상기 이송너트(125)의 움직임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TV 받침대(110)는 이송너트(125)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하는데 이 때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버튼부(240)의 후퇴버튼(243)이나 리모콘(270)의 후퇴버튼(243)을 누른 상태에서 상버튼이나 하버튼을 눌러서 조작한다.
즉, 후퇴버튼(243)을 누르면 스토퍼(220)의 핀(225)이 후퇴하여 회전판(140)의 구멍(145)에서 빠지고, 이 상태로 이송볼트(12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판(140)의 구속력이 사라져서 이송너트(125)와 보조기둥(13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TV 받침대(110)에 놓인 TV(400)의 좌우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시말하면, 상버튼을 누르면 상기 이송볼트(120)가 우회전하여 상기 TV 받침대(110)가 우측으로 회동하고, 하버튼을 누르면 상기 이송볼트(120)가 좌회전하여 상기 TV 받침대(110)가 좌측으로 회동한다.
이상과 같이 TV(400)의 높이와 좌우각도를 조절할 때 사용자는 컨트롤러(230)에 부착된 버튼부(240)를 누르거나 리모콘(270)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조절한다.
아울러, 상기 TV 받침대(110) 하단에는 수납구(115)가 구비되어 VTR등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110)에 의하면, TV 받침대(11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TV 받침대(110)위에 놓여진 TV(400)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송볼트(120)를 바닥과 천정사이에 수직으로 세우므로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상기 컨트롤러(230)에 부착된 버튼부(240)와 원격조정할 수 있는 리모콘(270)으로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TV(400)를 시청하면서도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송모터의 동작을 컨트롤러(230)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 TV(400)의 상하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시청중에 자연스럽게 시청자의 목과 눈동자의 움직임을 유발시킴으로써, 목운동과 눈운동을 하면서 TV(400) 시청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4)

  1. 수직으로 세워진 이송볼트(120)에 이송너트(125)가 끼워지고 상기 이송볼트(120)의 양측에 수직으로 보조기둥(130)이 세워지며 상기 이송너트(125)의 일측에 수평으로 TV 받침대(110)가 부착되고 상기 TV 받침대(110)의 양측에 부착된 보조암(135)이 상기 보조기둥(130)에 미끄럼 접촉으로 지지되는 높이조절부(100)와;
    상기 이송볼트(120)의 하단이 베어링으로 하부고정대(260) 위에 지지되고 일측에 기어(215)가 끼움되어 구동모터(210)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기둥(13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구멍(145)이 형성된 회전판(140)이 부착되며, 상기 회전판(140)의 하측에 설치되어 핀(225)이 상하작동하는 스토퍼(220)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작동부(200)와;
    상기 이송볼트(1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일측에 상부고정대(360)를 구비하고 높낮이조절나사(310)로 상하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300)와;
    상기 구동모터(210) 및 스토퍼(220)와 연결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0) 및 스토퍼(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30)와;
    상하버튼(241)과 자동버튼(242) 및 후퇴버튼(243)이 구비되어 상기 컨트롤러(230)로 동작 명령을 보내는 버튼부(240) 및/또는 리모콘(270)으로 이루어진 조작수단(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둥(13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TV 받침대(110)의 작동거리를 제한하는 리미트 스위치(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0)는 전진상태에서 상기 버튼부(240) 및/또는 리모콘(270)의 후퇴버튼(243)을 누르면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하여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360)에는 천정 및/또는 벽에 고정시키는 나사못(32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KR2020010015871U 2001-05-29 2001-05-29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KR200244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71U KR200244624Y1 (ko) 2001-05-29 2001-05-29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71U KR200244624Y1 (ko) 2001-05-29 2001-05-29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624Y1 true KR200244624Y1 (ko) 2001-10-17

Family

ID=7310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71U KR200244624Y1 (ko) 2001-05-29 2001-05-29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62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62B1 (ko) * 2002-10-11 2005-08-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모니터 각도 자동 조절장치
KR100564401B1 (ko) * 2003-12-10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 승강장치
KR101400618B1 (ko) 2008-06-16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561119B1 (ko) * 2015-02-27 2015-10-19 (주)삼경이엔씨 나사구동형 자동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측량용 스마트 표척 장치
KR101607917B1 (ko)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KR101673012B1 (ko) *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CN109386707A (zh) * 2018-12-08 2019-02-26 江门市朗达锂电池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通讯机架
KR102231502B1 (ko) * 2020-09-21 2021-03-2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정보통신망 구축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462B1 (ko) * 2002-10-11 2005-08-03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모니터 각도 자동 조절장치
KR100564401B1 (ko) * 2003-12-10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 승강장치
KR101400618B1 (ko) 2008-06-16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지지장치
KR101607917B1 (ko) 2014-09-25 2016-03-31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KR101561119B1 (ko) * 2015-02-27 2015-10-19 (주)삼경이엔씨 나사구동형 자동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측량용 스마트 표척 장치
KR101673012B1 (ko) * 2015-07-14 2016-11-04 주식회사 하우앳 상하좌우 회동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CN109386707A (zh) * 2018-12-08 2019-02-26 江门市朗达锂电池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的通讯机架
KR102231502B1 (ko) * 2020-09-21 2021-03-24 주식회사 동도이엔씨 공동주택용 건축물의 정보통신망 구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4805A (en) Remote control operated moving television receiver
KR200244624Y1 (ko) 높이 및 각도가 조절되는 tv 받침대
US20050110911A1 (en) Remotely controlled wall-mounted television bracket
US2002016323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trolling adjustments of a chair
US20070053151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KR200473097Y1 (ko) 영상의 회전 및 각도가 조절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스마트테이블
KR100570115B1 (ko) 원격제어용 승강 테이블 및 그 제어방법
KR200237688Y1 (ko) 높이 조절용 텔레비젼 받침대
US111789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ulated storage
CN112869432A (zh) 一种自动调整电视方向的电视柜
CN108577310B (zh) 防近视驼背用椅子
KR940002694Y1 (ko) Tv방향조절받침대
KR101874000B1 (ko) Tv 시청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탠드
KR19990020755U (ko) 텔레비젼의 받침 겸용 높낮이 조정장치
KR101674473B1 (ko) 책상높이 조절 장치
JP2007295497A (ja) 前後チルト機能付電動リフト式テレビ設置台
CN210800528U (zh) 室内设计电视墙
JP2006106487A (ja) アジャスタ装置及び家電機器
KR100805368B1 (ko) 영상표시기 조정장치
CN210271710U (zh) 一种可投影的多功能机体
KR200389542Y1 (ko) 테이블 승강장치
KR102243612B1 (ko) 높낮이 및 각도 조절구조를 갖는 스니즈가드
KR101947612B1 (ko) 상판 승강형 기능성 책상
CN214012041U (zh) 一种防倾倒的人脸支付装置
KR100557033B1 (ko) 높이 조절 나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