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679B1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679B1 KR101556679B1 KR1020150079693A KR20150079693A KR101556679B1 KR 101556679 B1 KR101556679 B1 KR 101556679B1 KR 1020150079693 A KR1020150079693 A KR 1020150079693A KR 20150079693 A KR20150079693 A KR 20150079693A KR 101556679 B1 KR101556679 B1 KR 101556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link
- display
- guide
- link
- slide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도 일측으로 하중이 편심되지 않게 하여 승강블럭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고, 구리스 등의 오일이 도포 된 리드스크루를 외부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원활한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도 일측으로 하중이 편심되지 않게 하여 승강블럭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고, 구리스 등의 오일이 도포 된 리드스크루를 외부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원활한 회전구동이 가능하도록 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시청은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 행위 및 정보원 중의 하나인 반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신체가 불편하게 되고,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요통, 척추증, 및 좌골신경통과 같은 질병에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람들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TV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은 TV 세트를 최적의 시각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눕거나 앉아 있는 자신의 위치에서의 시야각에 따라 TV 세트의 높이 및 시각을 원격 또는 수동 조정함으로써 편안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고, 위와 같은 질병을 가진자 및 병원 침상 환자들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등록 제10-0521359호에 개시되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를 특허등록한 바 있다.
이는 시청자가 시청자세에 따라 TV수상기를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벽면(1)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TV수상기(200)가 고정되는 이동블럭(20)과, 이 이동블럭(20)을 상기 프레임(10)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이동블럭(20)에 대하여 TV수상기(200)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조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프레임(10)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이동블럭(20)이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축(11)과, 상기 스크류축(11)과 나란하게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블럭(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봉(12)(13)과, 상기 스크류축(11)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각도조정수단은, 상기 TV수상기(200)의 후면 하측부와 이와 대응되는 상기 이동블럭(20)의 하측부는 상호 힌지편(201)(21)의 결합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이동블럭(20)의 상측부에 회전모터(500)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며 단부에 수직돌부(31)가 형성된 회전중심체(30)와, 일단이 상기 수직돌부(31)의 단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크부재(32)와,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32)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TV수상기(200)의 상측부에 고정된 레버부재(33)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각도조정수단은, 회전모터(500)의 정역방향 구동에 의해서 상기 회전중심체(30), 링크부재(32) 및 레버부재(33)들의 관절작용에 의해서 힌지편(201)(21)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이 회전모터(500)는 수광센서 및 발광센서를 채용하는 리모트콘트롤러(310)에 의해서 원격제어된다. 따라서 시청자(300)가 시청위치에서 원하는 각도로 TV수상기(200)의 각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스크류 구동모터 및 회전모터(500)의 정역구동에 의해서 TV수상기(200)의 시청자의 눈높이에 맞도록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각도를 조절하여 적당한 각도로 시청할 수 있게 원격제어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스크류(11)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고 TV수상기(200)에 의한 정전기로 인하여 스크류(11)에 도포 된 구리스 등의 오일에 먼지 등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어 승강작동이 원활하지 않고 청소주기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블럭(20)의 일측에는 스크류축(11)과 가이드봉(12)(13)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이동블럭(20)의 타측에는 TV수상기(200)가 지지됨으로써, 이동블럭(20)에 TV수상기(200)에 의한 편심하중이 작용하여서 스크류축(11)과 가이드봉(12)(13)에 마찰부하가 크게 작용하게 되므로 스크류축(11)을 구동하는 모터의 부하를 가중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 밸런싱부재가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하중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블럭에 의한 구동을 원활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리스 등의 오일이 도포 되는 승강블럭 및 각도조절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먼지 등의 오염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브라켓트와; 하단부가 상기 메인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스크루와; 상기 메인브라켓트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루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가 삽입되며 좌우 양측으로 제1슬라이드공이 형성된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 내부에 삽입되며 좌우 양측으로 상기 제1슬라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리드스크루에 의해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럭과;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관의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보조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대에 제1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며 전단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메인링크와; 상기 보조브라켓트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링크를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시키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메인링크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밸런싱부재와; 전방에는 상기 메인링크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런싱부재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브라켓트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중량부재와;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에 장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상기 중량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봉과;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의 후단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량부재의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로프와; 상기 보조브라켓트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로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 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연결로프를 안내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기 중량부재의 상하 이동시, 상기 중량부재의 전 후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승강블럭에 의해 상기 중량부재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관의 외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라켓트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회전하는 제1안내롤러와; 상기 승강블럭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안내롤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블럭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제1안내롤러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는 상기 안내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블럭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상기 보조브라켓트에 장착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원판과; 일단은 상기 회전원판의 편심위치에 제2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링크의 상기 제1힌지와 후단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크;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링크는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운동을 전후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제1힌지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슬라이드공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을 막아주는 차폐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폐수단은,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1태엽부와; 상기 제1태엽부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차폐막과;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태엽부와; 상기 제2태엽부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막폐막;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블럭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의 상승시, 상기 제1차폐막은 상기 제1태엽부에 감기고, 상기 제2차폐막은 상기 제2태엽부에서 풀리며, 상기 승강블럭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의 하강시, 상기 제1차폐막은 상기 제1태엽부에서 풀리고, 제2차폐막은 상기 제2태엽부에 감기면서 상기 제2슬라이드공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링크의 전단에는 상기 메인링크와 상하방향으로 직교 되는 결합되는 보조링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링크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 스피커가 배치되게 스피커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에 화상카메라가 배치되게 화상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치 및 각도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둘째,
셋째,
네째,
다섯째,
여섯째,
일곱째,
여덟째,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 승강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주요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도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메인링크, 보조브라켓트,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상태에 절단한 평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차폐수단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일부 절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도조정 상태를 설명하는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의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정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하우징을 제외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메인링크, 보조브라켓트,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구성을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각도조절수단 및 밸런싱부재를 제외한 상태에 절단한 평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에서 차폐수단의 구성 및 작동과정을 나타낸 일부 절개 측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일측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상태에서도 일측으로 하중이 편심되지 않게 하여 승강블럭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고, 구리스 등의 오일이 도포 된 승강블럭을 외부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원활한 회전구동이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받침대(101), 메인브라켓트(102), 리드스크루(200), 제1모터(210), 안내관(220), 승강블럭(300), 보조브라켓트(400), 메인링크(500), 각도조절수단(600), 밸런싱부재(700), 하우징(100), 제1안내롤러(410), 제2안내롤러(310), 차폐수단(800), 보조링크(510) 및 표시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대(1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본 발명을 지면 등에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받침대(101)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하여 지면 등에 지지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달리 상기 받침대(101)를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에 장착하여 벽면 등에 장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1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과 결합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메인브라켓트(102)는 도 6 내지 도 9,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1)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메인브라켓트(102)는 다른 구성요소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물 역할을 하기에 상기 받침대(101)의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리드스크루(20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상단은 후술하는 상기 안내관(22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리드스크루(20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블럭(300)이 승강 운동하게 한다.
상기 제1모터(210)는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루(20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220)은 상기 승강블럭(30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도 6 내지 도 9, 도 12,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으로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제1슬라이드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기 승강블럭(300)의 돌출부(30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승강블럭(300)과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블럭(300)과 함께 상기 보조브라켓트(400)가 승강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승강블럭(3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관(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나사산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블럭(300)은 상기 리드스크루(200)의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승강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럭(300)의 좌우 양측으로는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따라 슬라이딩 하는 돌출부(30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01)는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안내관(220)의 외부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와 상기 승강블럭(300)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승강블럭(300)의 승강운동시, 상기 보조브라켓도 함께 승강운동을 하게 한다.
즉, 상기 돌출부(301)는 상기 안내관(220) 내부의 상기 승강블럭(300)이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할 때, 후술하는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도 함께 승강 운동하게 상호 결합시키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블럭(300)이 상기 안내관(220) 내부에서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하면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을 승강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안내관(220)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장착된 상기 승강블럭(300) 등에 도포 된 구리스 등의 오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면서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1차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을 하면서 함께 승강운동을 하는 구성요소들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안내관(220)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상기 승강블럭(300)의 상기 돌출부(301)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브라켓트(40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통해 상기 승강블럭(300)의 돌출부(301)와 결합되게 상기 안내관(22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40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401)는 후술하는 상기 메인링크(500)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링크(500)가 시소운동을 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메인링크(50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401)에 제1힌지(5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T)가 장착된다.
즉, 상기 메인링크(500)는 상기 지지대(401)에 시소 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방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T)를 후술하는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시청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링크(500)를 상기 제1힌지(50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시킨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501)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메인링크(5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방에 결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터(610), 회전원판(620), 회전링크(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모터(6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판(620)은 상기 제2모터(6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원판(620)은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된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크(630)는 일단이 상기 회전원판(620)의 편심위치에 제2힌지(6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기 제1힌지(501)와 후단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링크(630)는 상기 회전원판(620)의 회전 운동을 전후 운동을 변환시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원판(620)의 회전운동을 상기 메인링크(500)의 시소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630)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가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맞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 균형을 잡아준다.
즉,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T)의 무게의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가 상기 제1힌지(501)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쏠리면서 하중이 전방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준다.
이와 같이 상기 밸런싱부재(700)를 장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T)의 무게에 의해 전방으로 무게중심이 쏠리지 않도록 균형을 잡아 줌으로써, 안정적으로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재(710), 가이드봉(720), 연결로프(730) 및 가이드롤러(740)를 포함한다.
상기 중량부재(7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711)이 형성되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중량부재(710)는 상기 디스플레이(T) 중량에 대응되는 무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711)은 후술하는 상기 가이드봉(720)이 삽입되어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승강운동을 할 때, 상기 중량부재(710)를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봉(72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101)에 장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봉(720)은 상기 가이드공(711)에 통해 상기 중량부재(710)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블럭(300)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로프(730)는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부에 장착된다.
즉, 상기 연결로프(730)는 상기 중량부재(710)와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7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시소운동 시,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중량부재(7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여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 시킨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에 직접결합하게 되면 전후방향으로 폭이 증가 되지만,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의 후단에 배치되게 상기 연결로프(730)로 연결하여 전후방향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도 8,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로프(730)를 가이드 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730)를 안내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도 11(a)같이 상기 메인링크(500)가 수평에 위치할 때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시소운동에 따라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할 때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하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740)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730)를 가이드하여 상기 중량부재(7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은 하지만,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로프(730)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74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500)의 시소운동에 의한 상기 중량부재(710)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여 중량부재(710)와 다른 구성요소 간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여 전후 폭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중량부재(710)가 상기 가이드봉(720)을 따라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봉(720)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중량부재(710)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가 전후 좌우로 유동 되지 않고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우징(100)은 외부 케이스로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면서 내부가 보이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을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를 감싸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각각의 구성요소에 쌓이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가 돌출되어 슬라이딩하는 제2슬라이드공(11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측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에 상기 디스플레이(T)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차폐수단(800)은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막아준다.
즉, 상기 차폐수단(800)은 상기 메인링크(500)가 배치된 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제2슬라이드공(110)을 막아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통해 먼지 등이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가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통해 보이지 않게 하여 미간을 좋게 한다.
이러한 상기 차폐수단(800)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태엽부(810), 제1차폐막(820), 제2태엽부(830) 및 제2차폐막(8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태엽부(810)는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의 상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어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태엽부(830)는 상기 제1태엽부(810)와 같이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의 하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1차폐막(820)과 같이 상기 제2태엽부(830)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렇게 장착된 상기 차폐수단(800)은,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승시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 감기고,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서 풀리면서 상기 메인링크(500)가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막아준다.
그리고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강시,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서 풀리고, 상기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 감기면서 상기 메인링크(500)가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막아준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차폐막(820)과 상기 제2차폐막(840)이 상기 제1태엽부(810)와 상기 제2태엽부(830)에서 풀리고 감기면서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승강 운동시, 상기 메인링크(500)가 돌출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통해 먼지 등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가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통해 보이지 않게 하여 미간을 좋게 한다.
한편, 도 7, 도 8,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관(220)의 외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2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레일홈(222)은 후술하는 상기 제1안내롤러(410)의 회전을 안내한다.
상기 제1안내롤러(41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전방과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22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레일홈(222)을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롤러(3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한다.
즉, 상기 제1안내롤러(410)는 상기 승강블럭(300)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레일홈(222)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310)는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연을 따라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안내롤러(410)와 상기 제2안내롤러(310)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승강몸체가 유동 되지 않게 상기 안내관(220)의 내부에 승강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할 뿐더러, 상기 안내관(220)을 상호 안팎에서 잡아줌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중에 의해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수월하게 승강 운동하도록 도와 준다.
상기 보조링크(510)는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500)와 상하방향으로 직교 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링크(5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부에 스피커(S)가 배치되게 스피커(S)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상부에 화상카메라(H)가 배치되게 화상카메라(H)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조링크(51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부에 상부에 각각 스피커(S)와 화상카메라(H)를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적이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회의실과 같은 장소에서 화상회의 등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표시부(9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디스플레이(T)의 위치 및 각도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900)는 천장으로 빛을 쏘아 천장에 상기 디스플레이(T)의 각도 및 위치를 표시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표시부(900)를 장착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각도 및 높이를 손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의실에서 다수의 디스플레이(T)를 통해 화상회의를 할 경우, 각각의 디스플레이(T)의 높이와 각도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 표시부(900)를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공지의 기술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210)와 상기 제2모터(61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장착하여 쉽고 간단하게 상기 디스플레이(T)의 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하우징 101: 받침대 102: 메인브라켓트
110: 제2슬라이드공 200: 리드스크루 210: 제1모터
220: 안내관 221: 제1슬라이드공 222: 레일홈
300: 승강블럭 301: 돌출부 310: 제2안내롤러
400: 보조브라켓트 401: 지지대 410: 제1안내롤러
500: 메인링크 501: 제1힌지 510: 보조링크
600: 각도조절수단 610: 제2모터 620: 회전원판
630: 회전링크 631: 제2힌지 700: 밸런싱부재
710: 중량부재 711: 가이드공 720: 가이드봉
730: 연결로프 740: 가이드롤러 800: 차폐수단
810: 제1태엽부 820: 제1차폐막 830: 제2태엽부
840: 제2차폐막 900: 표시부
T: 디스플레이 H: 화상카메라 S: 스피커
110: 제2슬라이드공 200: 리드스크루 210: 제1모터
220: 안내관 221: 제1슬라이드공 222: 레일홈
300: 승강블럭 301: 돌출부 310: 제2안내롤러
400: 보조브라켓트 401: 지지대 410: 제1안내롤러
500: 메인링크 501: 제1힌지 510: 보조링크
600: 각도조절수단 610: 제2모터 620: 회전원판
630: 회전링크 631: 제2힌지 700: 밸런싱부재
710: 중량부재 711: 가이드공 720: 가이드봉
730: 연결로프 740: 가이드롤러 800: 차폐수단
810: 제1태엽부 820: 제1차폐막 830: 제2태엽부
840: 제2차폐막 900: 표시부
T: 디스플레이 H: 화상카메라 S: 스피커
Claims (8)
- 받침대(101)와;
상기 받침대(101)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브라켓트(102)와;
하단부가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드스크루(200)와;
상기 메인브라켓트(102)에 장착되어 상기 리드스크루(20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210)와;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리드스크루(200)가 위치되며 좌우 양측으로 제1슬라이드공(221)이 형성된 안내관(220)과;
상기 안내관(220) 내부에 위치되고 좌우 양측으로 상기 제1슬라이드공(221)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301)가 형성되며 상기 리드스크루(200)에 나사결합되어 승강 운동하는 승강블럭(300)과;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대(401)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220)의 상기 돌출부(301)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블럭(300)과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보조브라켓트(400)와;
상기 지지대(401)에 제1힌지(5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며 전단에는 디스플레이(T)가 장착되는 메인링크(500)와;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메인링크(500)를 상기 제1힌지(501)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시키는 각도조절수단(600)과;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밸런싱부재(700)와;
전방에는 상기 메인링크(500)가 돌출되는 제2슬라이드공(110)이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받침대(101)에 고정되는 하우징(1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부재(7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7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는 중량부재(710)와;
하단부는 상기 받침대(101)에 장착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공(711)에 삽입되어 상기 중량부재(710)를 안내하는 가이드봉(720)과;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500)의 후단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연결로프(730)와;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로프(73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740); 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롤러(740)는 상기 연결로프(730)를 안내하여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각도조절에 따른 상기 중량부재(71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의 전 후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가이드봉(720)은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중량부재(710)의 승강 운동시, 상기 중량부재(710)를 상하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220)의 외주연에는 상하방향으로 레일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의 전방과 후방에는 상기 레일홈(222)을 따라 회전하는 제1안내롤러(410)와;
상기 승강블럭(300)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제2안내롤러(31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블럭(300)의 승강운동에 의해 상기 제1안내롤러(410)는 상기 레일홈(222)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제2안내롤러(310)는 상기 안내관(2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블럭(300)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수단(600)은,
상기 보조브라켓트(400)에 장착되는 제2모터(610)와;
상기 제2모터(6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원판(620)과;
일단은 상기 회전원판(620)의 편심위치에 제2힌지(6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기 제1힌지(501)와 후단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크(630); 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링크(630)는 상기 회전원판(620)의 회전운동을 전후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메인링크(500)가 상기 제1힌지(501)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게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T)의 시청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에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막아주는 차폐수단(8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차폐수단(800)은,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제1태엽부(810)와;
상기 제1태엽부(810)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차폐막(820)과;
내부에 태엽장치가 장착되어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태엽부(830)와;
상기 제2태엽부(830)의 태엽장치에 의해 감기도록 장착되고, 끝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차폐막(840); 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승시,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 감기고, 상기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서 풀리며,
상기 승강블럭(300)에 의해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강시,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서 풀리고,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 감기면서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막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링크(500)의 전단에는 상기 메인링크(500)와 상하방향으로 직교 되는 결합되는 보조링크(51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링크(510)의 하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하부에 스피커(S)가 배치되게 스피커(S)가 장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디스플레이(T)의 상부에 화상카메라(H)가 배치되게 화상카메라(H)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위치 및 각도를 표시하는 표시부(9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693A KR101556679B1 (ko) | 2015-06-05 | 2015-06-05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PCT/KR2016/005910 WO2016195416A1 (ko) | 2015-06-05 | 2016-06-03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9693A KR101556679B1 (ko) | 2015-06-05 | 2015-06-05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6679B1 true KR101556679B1 (ko) | 2015-10-01 |
Family
ID=5433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9693A KR101556679B1 (ko) | 2015-06-05 | 2015-06-05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679B1 (ko) |
WO (1) | WO2016195416A1 (ko)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0931B1 (ko) * | 2015-11-09 | 2016-03-0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
KR101600927B1 (ko) * | 2015-11-09 | 2016-03-0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05041B1 (ko) * | 2015-11-09 | 2016-03-21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13920B1 (ko) * | 2015-11-09 | 2016-04-2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13929B1 (ko) | 2015-11-09 | 2016-04-2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44801B1 (ko) * | 2015-11-09 | 2016-08-03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회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164442A1 (ko)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
CN107366807A (zh) * | 2017-08-24 | 2017-11-21 | 南通信通智能工程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led屏幕 |
WO2018139717A1 (ko) * | 2017-01-24 | 2018-08-02 | 주식회사 탑시스템 |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
WO2018139716A1 (ko) * | 2017-01-24 | 2018-08-02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9225999A1 (ko) * | 2018-05-23 | 2019-11-2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
KR102154933B1 (ko) | 2019-08-03 | 2020-09-1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시스템 |
KR20210096773A (ko) | 2020-01-29 | 2021-08-06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
KR20210119011A (ko)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
KR20210119012A (ko)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동력전달 및 안전장치 |
CN113739021A (zh) * | 2021-09-09 | 2021-12-03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崇左凭祥供电局 | 一种民生综合信息自助查询一体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6626B (zh) * | 2019-07-16 | 2024-08-30 | 照彰实业(东莞)有限公司 | 智能控制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4171B1 (ko) * | 2001-09-04 | 2004-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제품의 기둥형 고정장치 |
JP2003330571A (ja) * | 2002-05-09 | 2003-11-21 | Sbs Joho System:Kk | ベッドサイド端末 |
JP2007036192A (ja) * | 2005-06-24 | 2007-02-08 | Sony Corp | 昇降装置 |
KR20080064647A (ko) * | 2007-01-05 | 2008-07-09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수직이동장치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
KR20090079474A (ko) * | 2008-01-17 | 2009-07-22 | 임차성 | 사용자 맞춤형 자동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2015
- 2015-06-05 KR KR1020150079693A patent/KR10155667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6-03 WO PCT/KR2016/005910 patent/WO201619541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82598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00931B1 (ko) * | 2015-11-09 | 2016-03-0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치 |
KR101605041B1 (ko) * | 2015-11-09 | 2016-03-21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13920B1 (ko) * | 2015-11-09 | 2016-04-2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13929B1 (ko) | 2015-11-09 | 2016-04-2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44801B1 (ko) * | 2015-11-09 | 2016-08-03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회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KR101600927B1 (ko) * | 2015-11-09 | 2016-03-0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082602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082600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082572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회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082601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WO2017082599A1 (ko) * | 2015-11-09 | 2017-05-1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스프라켓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JP2018538564A (ja) * | 2015-11-09 | 2018-12-27 | トップ システム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Top System Co., Ltd. | スプロケット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位置調節装置 |
WO2017164442A1 (ko) * | 2016-03-24 | 2017-09-2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
WO2018139717A1 (ko) * | 2017-01-24 | 2018-08-02 | 주식회사 탑시스템 |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
US10927997B2 (en) | 2017-01-24 | 2021-02-23 | Top System Co., Ltd | Ceiling-typ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link employing gear structure |
CN110199516A (zh) * | 2017-01-24 | 2019-09-03 | Top系统株式会社 | 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
WO2018139716A1 (ko) * | 2017-01-24 | 2018-08-02 | 주식회사 탑시스템 |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CN110199516B (zh) * | 2017-01-24 | 2021-11-05 | Top系统株式会社 | 吊顶型显示器位置调整装置 |
US11089257B2 (en) | 2017-01-24 | 2021-08-10 | Tae Wook Kang | Ceiling-typ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
CN107366807A (zh) * | 2017-08-24 | 2017-11-21 | 南通信通智能工程有限公司 | 一种可升降的led屏幕 |
WO2019225999A1 (ko) * | 2018-05-23 | 2019-11-28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
KR102159860B1 (ko) * | 2018-05-23 | 2020-09-24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
KR20190133343A (ko) | 2018-05-23 | 2019-12-03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
KR102154933B1 (ko) | 2019-08-03 | 2020-09-10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시스템 |
KR20210096773A (ko) | 2020-01-29 | 2021-08-06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
KR102481644B1 (ko) * | 2020-01-29 | 2022-12-27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
KR20210119011A (ko)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
KR20210119012A (ko) | 2020-03-24 | 2021-10-05 | 주식회사 탑시스템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동력전달 및 안전장치 |
CN113739021A (zh) * | 2021-09-09 | 2021-12-03 |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崇左凭祥供电局 | 一种民生综合信息自助查询一体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95416A1 (ko) | 2016-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6679B1 (ko) |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13920B1 (ko) | 힌지축 구동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848619B1 (ko) |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13929B1 (ko) | 섹터기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803722B1 (ko) | 스탠드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00925B1 (ko) | 체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JP6605135B2 (ja) | スプロケットを利用したディスプレイ位置調節装置 | |
KR101725118B1 (ko) | 기어 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링크 | |
KR101600927B1 (ko) | 랙과 피니언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05041B1 (ko) | 이동형 스피커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CN211289445U (zh) | 一种影视拍摄用可调式摄像机支架 | |
KR101729484B1 (ko) | 링크구조를 채용한 천장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CN101487560A (zh) | 平板电视壁挂架 | |
KR101969635B1 (ko) |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CA2904405A1 (en) | Inverted motion base with suspended seating | |
KR101691951B1 (ko) | 탄성복원 밸런싱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KR101607917B1 (ko) | 디스플레이 위치 안내장치 | |
KR20150112557A (ko) | 촬영용 직선구동장치 | |
CN203583935U (zh) | 一种225°观影系统 | |
KR101783640B1 (ko) | 웜기어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 |
WO2011126331A2 (ko) | 이동형 벽걸이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 |
WO2010058179A1 (en) | Body mountable camera support apparatus | |
KR200428025Y1 (ko) | 카메라용 크레인 | |
KR20070009360A (ko) | 벽걸이형 텔레비젼의 시청각 조절장치 | |
CN210069337U (zh) | 一种思政理论课用的投影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