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25999A1 -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25999A1
WO2019225999A1 PCT/KR2019/006228 KR2019006228W WO2019225999A1 WO 2019225999 A1 WO2019225999 A1 WO 2019225999A1 KR 2019006228 W KR2019006228 W KR 2019006228W WO 2019225999 A1 WO2019225999 A1 WO 201922599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main
plate
main lin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622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시스템
Publication of WO201922599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2599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of the display elevator, in particular, the shield member for shielding the main hole of the housing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the external force, such as children and foreign matter of the display elevato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It relates to a blocking device.
  • While watching TV is one of the main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sources for people, watching TV for a long time in a fixed position causes discomfort and causes diseases such as periarthritis of the scapula, low back pain, spondylosis, and sciatica. You ca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gistered a patent for a "display upper control device" that satisfies the above requirements, such as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556679.
  •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means of Korean Patent No. 10-1556679 invented by the inventor.
  • the shielding means includes: a first spring portion 810 mounted at an upper end side of the second slide hole 110 of the housing 60; A first shielding film 820 having one end wound on the mainspring device of the first spring part 8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link 500; A second spring portion 830 mounted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slide hole 110; One end is wound on the second winding part 830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second shielding film 84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ink 500.
  • the first shielding film 820 is wound around the first winding part 810,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840 is wound on the second winding part 830. While the pulley to shield the second slide long hole (110).
  • the first shielding film 820 is released from the first winding part 810,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840 is wound around the second winding part 830.
  • the second slide hole 110 is shielded.
  • the first shielding film 820 and the second shielding film 840 are formed of a flexible and thin metal material to be well wound and unwound on the first winding part 810 and the second winding part 830.
  • the second slide hole 110 and the first shielding film 820 or the second shielding film are bent while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films 820 and 840 are exerted by an external force with a finger. If a finger is caught between the 840, there wa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 the shielding film is accidentally missed during the operation of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films from the winding parts and connecting them to the main link 500,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films are wound around the springs quickly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Safety accidents can occur.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of the display elevator to prevent the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the sliding long hole of the housing to bend inside the housing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children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 the purpose is to provide.
  •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of the display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body is moun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 elevating plate mounted to the body and configured to elevate the up and down directions
  • Lifting means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plate along the body in a vertical direction
  • a main link that is lifted up and down with the lifting plate and is mounted to protrude on the lifting plate so that a display is mounted on the front end;
  • a housing having a main long hole formed at a front surface thereof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so as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rrounding the body, the lifting plate and the lifting means;
  • a first shielding member for shielding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hole based on the main link when the main link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ain hole;
  • a second shielding member that shields a lower portion of the main hole based on the main link when the main link is moved up and down along the main hole.
  •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first shielding member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along the main hole.
  • the guide means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grooves so that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protrude from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shielding plates,
  • Slide guide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rresponding to the main long hole is formed, and the guide member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which is guided by the end of the hinge shaft is slidab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slide long hole. do.
  • an arc-shaped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shielding plate in which the hing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an arc shape.
  •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circular arc of the shielding plate is rotatably guided in one direction to the step of the adjacent shielding plate and is prevented from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 a balancing member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dy to be interlocked with the lifting plate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display, and guide rollers are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body,
  • One end of the first shield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adjacent to the main hole of the upper part of the main link,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behind the body by the guide roller and connected to the balancing member.
  • One end of the second shield member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adjacent to the main long hol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link,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dy.
  • the hinge shafts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members, so that the hinge shafts are slid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s of the guide member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reby shielding the main hole of the housing.
  • the first shielding member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are prevented from being bent into the housing by external force caused by curiosity of a child,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 the first shield member shielding the upper side of the main long hole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lancing member, so as to reciprocate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as in the conventional art Does not require.
  • an arc-shaped stepped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each shielding plate in which the hinge coupling groove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arc-shaped arc of the shielding plate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to the stepped adjacent shielding plate.
  •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hielding means of Korean Patent No. 10-1556679 invented by the inventor.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employing a shie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sid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in FIG.
  • FIG. 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ousing is removed from FIG. 2;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 Figure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link is raised.
  •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link is lowered.
  • Figure 8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hield member and the second shield member.
  • FIG. 8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of FIG. 8A;
  • FIG. 9 is a plan view and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ield member and the second shield member are guided to the guide member;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guide member of FIG.
  • the first shield member and the second shield member for shielding the main hole is not bent into the housing by the external force, such as the fingers of the user and the child in the main hole This prevents safety accidents occurring while being pinched.
  • the display position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 elevating plate 20, elevating means 30, the main link 40, the housing 60 ),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and the balancing member 70.
  • the body 10, the elevating plate 20, the elevating means 30, the main link 40 and the housing 60 is made of a known technique will be briefly described.
  • the body 10 is mount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s.
  • the body 10 serves to guide the lifting plate 20 during the lifting move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fting means 30 for lifting the lifting plate 20 is provided at the top.
  • the lifting plate 20 is slidably mounted to the body 10 as shown in FIGS. 3 to 7 to move up and down.
  • the elevating plate 20 is mounted to the main link 40 to be slid and is slid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means 30 to be described later.
  • the lifting means 30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ures 3 to 7 to move the lifting plate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body 10.
  • the main link 40 is mounted to the lifting plate 20 to move up and down along with the lifting plate 20 as shown in FIGS. 2 to 7 and 9.
  • a known angle adjusting means 50 is form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40 has an ang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also be adjust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display (T).
  • the housing 60 surrounds the body 10, the lifting plate 20, the lifting means 30, and the balancing member 7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 the main long hole 6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60 so that the main link 40 protruding forward is moved up and down.
  • Display (T)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main link 40 protruding to the main hole 61, the lifting plate 20 by the elevating means (30)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display (T) Will be adjusted.
  •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shaft 140.
  • Hinge coupling grooves 131 are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each shielding plate 130.
  • One side of each of the shielding plate 130 is concav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be convex so that adjacent shielding plate 130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 the hinge shaft 140 is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groove 131 to connect the adjacent shielding plate 130 to each other.
  • the blocking devic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along the main hole 61.
  • the guide means is configured as follows.
  • both ends of the hinge shaft 140 are coupled to the hinge coupling groove 131 so as to protrude from side surfaces of the respective shielding plates 130.
  • the guide member 160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60 by a fixing bolt 165.
  • the guide member 160 has a slide long hole 162 corresponding to the main long hole 61 is formed, the end of the hinge shaft 140 to the edge of the slide long hole 162 is guided to be slidably coupled Grooves 161 are formed.
  • the hinge shaft 140 is guided to the guide member 160,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shielding members 110 and 120, it is prevented from bending inside the housing 60.
  • one step 132 is form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hielding plate 13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shaft 140.
  • the step 132 prevents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from being bent into the housing 60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main shielding hole 61 is shielded.
  • the balancing member 70 is mount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10 in conjunction with the lifting plate 20 to balance the weight of the display (T).
  • the balancing member 70 is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in the rear of the body 10, 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lifting plate 20 by the chain 71 and the sprocket 72 ) Is slid in the opposite direction during the elevating motion by the elevating means 30.
  • guide rollers 150 are provided in the upper front and rear of the body (10).
  • one end of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is mounted to the elevating plate 20 adjacent to the main long hole 61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link 40, the other end is guided by the guide roller 150 It is disposed behind the body 10 and coupled to the balancing member 70.
  •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is connected to the elevating plate 20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rises and shields the upper side of the main hole 61 while traveling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
  • the first shield member 110 is reciprocated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dy 10 in accordance with the lifting of the elevating plate 20 and the balancing member 70, separate spring as in the prior art Does not require a device
  • One end of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is mounted to the elevating plate 20 adjacent to the main hole 61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link 4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at the front of the body 10. Is mounted.
  • the second shield member 120 is towed by the main link 40 to shield the main hole 61 at the lower side of the main link 40.
  • the first shielding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balancing member 70,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body 10, thereby lifting and lowering the main link 40.
  • the main long hole 61 of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link 40 is shielded from being exposed.
  • the foreign matter blocking device of the display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hielding member shielding the main hole of the housing from being bent inside the housing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hild and prevents a safety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의 메인장공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가 어린이등의 외력에 의해서 하우징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의 메인장공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가 어린이등의 외력에 의해서 하우징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TV 시청은 사람들에게 주요한 오락 행위 및 정보원 중의 하나인 반면에, 고정된 위치에서 장시간 TV를 시청하면, 신체가 불편하게 되고, 견갑상완골의 관절주위염, 요통, 척추증, 및 좌골신경통과 같은 질병에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람들이 풍부하고 다채로운 TV 프로그램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사람들은 TV 세트를 최적의 시각 내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눕거나 앉아 있는 자신의 위치에서의 시야각에 따라 TV 세트의 높이 및 시각을 원격 또는 수동 조정함으로써 편안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고, 위와 같은 질병을 가진자 및 병원 침상 환자들도 이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556679호와 같이 상기 와 같은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위조절장치"를 특허등록한 바 있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발명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56679호의 차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차폐수단은 하우징(60)의 제2슬라이드공(110) 상단측에 장착되는 제1태엽부(810)와; 일단이 상기 제1태엽부(810)의 태엽장치에 감기고 타단이 메인링크(500)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차폐막(820)과;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의 하단에 장착되는 제2태엽부(830)와; 일단이 상기 제2태엽부(830)에 감기고 타단이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차폐막(840)을 구비한다.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메인링크(500)의 상승시,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 감기고, 상기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서 풀리ㅁ면서 제2슬라이드장공(110)을 차폐시킨다.
또한, 상기 메인링크(500)의 하강시, 상기 제1차폐막(820)은 상기 제1태엽부(810)에서 풀리고,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2태엽부(830)에 감기면서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을 차폐시킨다.
상기 제1차폐막(820)과 상기 제2차폐막(840)은 상기 제1태엽부(810)와 상기 제2태엽부(830)에 잘 감기고 풀리도록 유연하고 얇은 금속재로 형성된다.
이에따라서 제1,2차폐막(820)(840)을 작업자나 어린아이들이 호기심으로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휘어지면서 상기 제2슬라이드공(110)과 상기 제1차폐막(820) 또는 상기 제2차폐막(840)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행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태엽부로부터 제1,2차폐막을 인출하여 메인링크(500)에 연결시키는 작업중에 실수로 차폐막을 놓치게 되는 경우, 제1,2차폐막이 탄성복원력으로 신속하게 태엽부에 감기게되는 과정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하우징의 슬라이딩장공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가 어린이등의 외력에 의해서 하우징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몸체를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전단이 돌출되게 장착되어 전단에 디스플레이어가 장착되는 메인링크와;
전면에는 상기 메인링크의 전단이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메인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수단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메인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때 상기 메인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장공의 상부를 차폐시키는 제1차폐부재와;
상기 메인링크가 상기 메인장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때 상기 메인링크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장공의 하부를 차폐시키는 제2차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와 상기 제2차폐부재는 각각 판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오목하게 타측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결함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차폐판과; 상기 힌지결합홈에 결합되어 인접하는 상기 차폐판들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차폐부재와 상기 제2차폐부재를 상기 메인장공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힌지축의 양단부는 상기 각 차폐판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장공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장공의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축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홈이 형성된 상기 각 차폐판의 일측 단부에는 원호형상의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차폐판의 원호형상의 타측 단부가 인접하는 차폐판의 상기 단턱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내되고 타방향으로 회동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연동되게 상기 몸체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밸런싱부재와, 상기 몸체 상부 전방과 후방에 안내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제1차폐부재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 상부의 상기 메인장공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롤러에 의해 몸체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밸런싱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제2차폐부재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의 하부의 상기 메인장공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제1,2차폐부재의 양측으로 힌지축이 돌출되도록 하여서, 힌지축들이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된 가이드부재의 안내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되면서 하우징의 메인장공을 차폐하게 되므로, 먼지등의 이물질이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등의 호기심에 의한 외력에 의해서도 제1차폐부재와 제2차폐부재가 하우징의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메인장공의 상부측을 차폐시키는 제1차폐부재는 일단이 승강플레이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밸런싱부재에 연결되어서, 몸체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왕복 주행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태엽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세째, 힌지결합홈이 형성된 각 차폐판의 일측 단부에는 원호형상의 단턱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차폐판의 원호형상의 타측 단부가 인접하는 차폐판의 단턱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내되고 타방향으로 회동방지되도록 됨으로써, 제1,2차폐부재 자체만으로도 외력에 의해서 하우징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자가 발명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56679호의 차폐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폐장치가 채용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일측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타측 사시도.
도 5는 하우징 내부가 보이도록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메인링크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7은 메인링크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도 8a는 제1차페부재와 제2차폐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제1차페부재와 제2차폐부재가 가이드부재에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가이드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는, 메인장공을 차폐시키는 제1차폐부재와 제2차폐부재가 외력에 의해 하우징 내측으로 휘어지지 않게하여 메인장공에 사용자 및 어린아이의 손가락 등이 끼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는, 몸체(10), 승강플레이트(20), 승강수단(30), 메인링크(40), 하우징(60), 제1차폐부재(110), 제2차폐부재(120) 및 밸런싱부재(7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 승강플레이트(20), 승강수단(30), 메인링크(40) 및 하우징(60)은 공지의 기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몸체(10)는 도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을 길게 장착된다.
상기 몸체(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20)가 승강운동 시,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에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를 승강운동시키는 상기 승강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2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슬라이딩되게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20)는 수훌하는 메인링크(40)가 장착되어 후술하는 승강수단(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승강수단(30)은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20)를 상기 몸체(1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킨다.
상기 메인링크(40)는 도 2 내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60)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메인링크(40)의 전단에는 디스플레이(T)가 장착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함께 상하운동을 하면서 디스플레이(T)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상기 메인링크(40)를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장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각도조절수단(50)을 구성하여 상기 메인링크(40)의 전단이 상하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게 하여 디스플레이(T)의 각도를 조절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60)은 전술한 상기 몸체(10), 상기 승강플레이트(20), 상기 승강수단(30) 및 후술하는 밸런싱부재(70)를 감싸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60)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메인링크(40)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메인장공(6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장공(61)으로 돌출된 상기 메인링크(40)의 전단에 디스플레이(T)가 장착되어 상기 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20)가 승강운동을 하면서 디스플레이(T)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는 상기 하우징(60)에서 돌출된 상기 메인링크(40)가 상기 승강수단(30)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와 함께 승강운동할때, 상기 메인링크(40)의 상부측과 하부측의 메인장공(61)을 차폐시킨다.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폐판(130)들이 힌지축(140)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차폐판(130)의 일측과 타측에는 힌지결합홈(131)이 형성된다.
상기 각 차폐판(130)의 일측은 오목하게 타측은 볼록하게 형성되어서 인접하는 차폐판(130)들이 상호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40)은 상기 힌지결합홈(131)에 결합되어 인접하는 차폐판(130)들을 상호 연결 결합시킨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차단장치는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를 상기 메인장공(61)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축(140)의 양단부는 상기 각 차폐판(1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홈(131)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60)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부재(160)가 고정볼트(165)로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60)는 상기 메인장공(61)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장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장공(162)의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축(14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안내홈(16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안내수단은 힌지축(140)들이 상기 가이드부재(160)에 안내되므로 외력이 제1,2차폐부재(110)(120)에 가해지더라도 하우징(60)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축(140)에 의해 상호 연결 결합되는 상기 차폐판(130)의 일측과 타측에는 단턱(132)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32)은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가 상기 메인장공(61)을 차폐했을 때, 외력에 의해 하우징(60)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시킨다.
즉, 도 6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홈(131)이 형성된 상기 각 차폐판(130)의 일측 단부에는 원호형상의 단턱(13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차폐판(130)의 원호형상의 타측 단부가 인접하는 차폐판의 상기 단턱(132)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내되고 타방향으로 회동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차폐판(130)을 A방향으로 외력을 가할때 단턱(132)에 의해서 하우징(60)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 및 어린아이들이 손가락 등으로 제1,2차폐부재(110)(120)를 밀었을 때, 휘어지지 않게 되면서 상기 메인장공(61)에 손가락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밸런싱부재(7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연동되게 상기 몸체(10)의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준다.
즉, 상기 밸런싱부재(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게 구성되어 체인(71) 및 스프라켓(72)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20)가 상기 승강수단(30)에 의해 승강운동시,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는 안내롤러(15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차폐부재(110)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40) 상부의 상기 메인장공(61)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롤러(150)에 의해 몸체(10)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밸런싱부재(70)에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40)가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함께 상승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연동되게 반대방향으로 하강하는 상기 밸런싱부재(70)가 하강하면서 상기 제1차폐부재(110)는 몸체(1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주행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차폐부재(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40)가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함께 하강하면,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연결된 상기 밸런싱부재(70)가 상승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110)는 몸체(10)의 전방측으로 주행하면서 메인장공(61)의 상부측을 차폐시킨다.
즉, 상기 제1차폐부재(11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0) 및 밸런싱부재(70)의 승강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전방측과 후방측으로 왕복 주행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태엽장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차폐부재(120)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40)의 하부에 상기 메인장공(61)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10)의 전방에 장착된다.
상기 제2차폐부재(1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링크(40)에 견인되어서 상기 메인링크(40) 하부측의 상기 메인장공(61)을 차폐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차폐부재(110)는 상기 밸런싱부재(70)에 결합되고, 상기 제2차폐부재(120)는 상기 몸체(1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링크(40)의 승강운동시, 상기 메인링크(40)의 상부측과 하부측의 상기 메인장공(61)이 노출되지 않게 차폐시킨다.
한편, 상기 제1차폐부재(110)의 타단에 별로로 무게추를 장착하여 상기 제1차폐부재(110)에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메인링크(40)의 승강시 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주행하여 상기 메인장공(61)을 차폐시키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는 하우징의 메인장공을 차폐시키는 차폐부재가 어린이등의 외력에 의해서 하우징 내측으로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장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을 하는 승강플레이트(20)와;
    상기 몸체(10)를 따라 상기 승강플레이트(2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키는 승강수단(30)과;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고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전단이 돌출되게 장착되어 전단에 디스플레이어(T)가 장착되는 메인링크(40)와;
    전면에는 상기 메인링크(40)의 전단이 돌출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메인장공(6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 상기 승강플레이트(20) 및 상기 승강수단(30)을 감싸는 하우징(60)과;
    상기 메인링크(40)가 상기 메인장공(6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때 상기 메인링크(40)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장공(61)의 상부를 차폐시키는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메인링크(40)가 상기 메인장공(6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때 상기 메인링크(40)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장공(61)의 하부를 차폐시키는 제2차폐부재(120);를 구비하고,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는 각각 판재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오목하게 타측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에 각각 힌지결함홈(131)이 형성된 복수개의 차폐판(130)과; 상기 힌지결합홈(131)에 결합되어 인접하는 상기 차폐판(130)들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14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차폐부재(110)와 상기 제2차폐부재(120)를 상기 메인장공(61)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힌지축(140)의 양단부는 상기 각 차폐판(13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결합홈(131)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60)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장공(61)에 대응되는 슬라이드장공(162)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장공(162)의 가장자리에 상기 힌지축(140)의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안내되는 안내홈(161)이 형성된 가이드부재(16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힌지결합홈(131)이 형성된 상기 각 차폐판(130)의 일측 단부에는 원호형상의 단턱(132)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차폐판(130)의 원호형상의 타측 단부가 인접하는 차폐판의 상기 단턱(132)에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안내되고 타방향으로 회동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20)와 연동되게 상기 몸체(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T)의 중량에 대하여 밸런스를 맞추어주는 밸런싱부재(7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 전방과 후방에 안내롤러(1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차폐부재(110)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40) 상부의 상기 메인장공(61)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롤러(150)에 의해 몸체(10) 후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밸런싱부재(70)에 연결되며,
    상기 제2차폐부재(120)의 일단은 상기 메인링크(40)의 하부의 상기 메인장공(61)에 인접하게 상기 승강플레이트(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1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PCT/KR2019/006228 2018-05-23 2019-05-23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WO201922599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135A KR102159860B1 (ko) 2018-05-23 2018-05-23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KR10-2018-0058135 2018-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999A1 true WO2019225999A1 (ko) 2019-11-28

Family

ID=6861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6228 WO2019225999A1 (ko) 2018-05-23 2019-05-23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860B1 (ko)
WO (1) WO20192259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644B1 (ko) * 2020-01-29 2022-12-27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KR102359386B1 (ko) * 2020-03-24 2022-02-08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동력전달 및 안전장치
KR102359385B1 (ko) * 2020-03-24 2022-02-07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223A (ko) * 1998-07-21 1999-03-25 한상관 수 문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40048472A (ko) * 2002-12-03 2004-06-10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20090079474A (ko)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사용자 맞춤형 자동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556679B1 (ko) * 2015-06-05 2015-10-01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223U (ko) * 1997-12-04 1999-07-05 전주범 카오디오의 도난방지용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223A (ko) * 1998-07-21 1999-03-25 한상관 수 문
JP2003330571A (ja) * 2002-05-09 2003-11-21 Sbs Joho System:Kk ベッドサイド端末
KR20040048472A (ko) * 2002-12-03 2004-06-10 강태욱 Tv수상기 위치제어장치
KR20090079474A (ko) * 2008-01-17 2009-07-22 임차성 사용자 맞춤형 자동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KR101556679B1 (ko) * 2015-06-05 2015-10-01 주식회사 탑시스템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343A (ko) 2019-12-03
KR102159860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5999A1 (ko)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이물질 차단장치
WO2019225930A1 (ko) 양방향으로 접히는 단말기용 힌지구조
WO2010117147A2 (ko)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WO2011099689A2 (ko) 회전 가능한 베드부가 구비된 이동용 리프트 장치
WO2011052953A2 (ko) 전동식 루버 시스템
WO2020153692A1 (ko) 엑스레이용 디텍터 홀더 스탠드
WO2013039326A1 (ko) 3중 연동 도어의 연동장치
WO2020231025A1 (ko) 촬영용 거치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WO2011046299A2 (ko) 승강구동모듈이 힌지 결합된 승강의자
WO2019190213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20138988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WO2015111799A1 (ko) 치열교정용 셀프 라이게이팅 브래킷
WO2018012733A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WO2019151839A1 (ko) 탄성구동체
WO2013035905A1 (ko) 운동기구
WO2014065528A1 (ko) 고글
WO2017222188A1 (ko) 카메라 모듈의 볼 가이드 구조
WO2009145421A2 (ko) 웨이트 운동기구의 중량 조절 장치
WO2020022525A1 (ko) 윈치형 디스플레이 위치 조절장치
WO2017082644A1 (ko)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WO2021141393A1 (ko) 가변 운동기구
WO2010024538A2 (ko) 디스플레이 유닛 승·하강장치
WO2011010802A2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휴대형 전자기기
KR102481644B1 (ko) 디스플레이 승강기의 안전장치
WO2018159893A1 (ko) 이동통신 단말기 장착용 압설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7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7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