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45U - 도어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45U
KR20180000145U KR2020160003865U KR20160003865U KR20180000145U KR 20180000145 U KR20180000145 U KR 20180000145U KR 2020160003865 U KR2020160003865 U KR 2020160003865U KR 20160003865 U KR20160003865 U KR 20160003865U KR 20180000145 U KR20180000145 U KR 201800001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able
shaft
door
fram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구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구보
Priority to KR2020160003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45U/ko
Publication of KR201800001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2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large commercial vehicles, e.g. trucks, construction vehicles or vehicles for mass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05B85/13Inner door handles with a locking knob forming part of the inside door handle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work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킹장칭 관한 것으로, 도어록킹장치의 구성은, 몸체를 구성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측면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가능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가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며 걸이축이 하면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자물쇠부와, 상기 걸이축에 맞물려 상기 자물쇠부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어록킹장치{A Door Locking Assembly}
본 고안은 중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에 사용되는 도어 또는 트렁크 등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로더, 포크 리프트 등과 같은 중장비 상에는 캡도어, 사이드도어, 본넷후드, 툴박스도어 등과 같은 각종 도어들이 힌지고정되고, 이 도어들 상에는 차체에 대해 도어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고 필요시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킹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도어록킹장치에서는 도어에 도어록킹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판금하고, 도장하고, 도어록킹장치에서 상기 판금의 공간을 채우는 부분을 별개로 도장하고, 여기에 다시 도어록킹장치의 구성부품들을 다시 체결한 후 상기 도어에 설치해야 한다.
종래의 도어록킹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어의 판금시 손잡이 부분의 구조물이 도어의 내측벽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도어에 별개의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제조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 20-0370941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중장비의 도어 등의 손잡이 부분에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도어록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의 구성은, 몸체를 구성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측면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가능한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가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며 걸이축이 하면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자물쇠부와, 상기 걸이축에 맞물려 상기 자물쇠부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슬라이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에 여러개의 돌출된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에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프레임부가 설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설치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홈의 바닥면에 제 1설치공이 상기 나사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의 가장자리에는 제 2설치공이 마련되어, 도어의 프레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어록킹장치를 도어의 판금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제조공정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제 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제 2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가 도어에 적용된 모습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실시예가 도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내부 링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를 구성하는 자물쇠부의 슬라이딩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를 구성하는 설치부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고, 바닥면(12)과, 바닥면(12)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측면부(14)가 형성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측면부(14)의 일단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축부(20)와, 상기 축부(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30)와, 상기 축부(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 레버부(30)의 이동에 의해 회전가능한 걸이부(40)와, 상기 걸이부(40)가 상기 레버부(30)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50)와, 상기 프레임부(10)의 바닥면(12)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며, 걸이축(62)이 하면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자물쇠부(60)와, 상기 걸이축에 맞물려 상기 자물쇠부(60)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측면부(14)에 형성되는 고정홈(16)에 삽입가능한 슬라이딩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에는 프레임부(10)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며, 판상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면(12)과 상기 바닥면(12)의 양측에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측면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측면부(14)의 일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축부(20)가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부(14)의 타단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관통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부(70)가 관통되는 고정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5)에는 축부(20)가 마련된다. 상기 축부(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5)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축부(20)에는 레버부(30)가 마련된다. 상기 레버부(30)는 상기 축부(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레버부(3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축부(20)에는 걸이부(40)가 마련된다. 상기 걸이부(40)는 상기 축부(2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30)의 이동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상기 걸이부(40)와 상기 레버부(30)의 단부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걸이부(40)는 상기 프레임(10)의 바닥면(12)를 관통하여 도어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턱(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걸어지게 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걸이부(40)에는 스프링부(50)가 마련된다. 상기 스프링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걸이부(40)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의 바닥면에는 자물쇠부(60)가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자물쇠부(6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 열쇠가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부(60)가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물쇠부(60)의 타단의 바닥면에는 걸이축(62)이 편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축(6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물쇠부(60)의 회전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부(70)가 이동가능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축(62)이 관통되는 슬라이딩부(70)가 마련된다. 상기 슬라이딩부(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70)에 장방형으로 관통된 연결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홈(72)에는 상기 걸이축이 삽입되어, 상기 자물쇠부(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70)가 상기 프레임부(10)의 측면부(14)의 고정홈(16)에 삽입 또는 이탈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방에는 돌출된 나사부(80)가 마련된다. 상기 나사부(80)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3개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8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 도어 등의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설치공을 관통하여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가 도어 등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에는 설치부(9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설치부(90)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프레임부(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 1설치공(92)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설치공(92)은 상기 나사부(80)에 대응되도록 3개가 마련되어 상기 나사부(80)가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치부의 가장자리에는 제 제 2설치공(94)이 마련되어 상기 도어의 프레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부(9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의 설치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도어록킹장치는 도어 등에 두 가지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다. 첫번째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어에 판금 등에 의해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설치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에 설치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전체를 도장하고,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의 나사부(80)를 상기 설치공에 삽입시켜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은 제작과정에 의하면, 기존에 도어록킹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실시예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방법과 같이 도어 프레임에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판상의 설치부(90)가 마련된다. 상기 설치부(90)에 제 1설치공(92)을 마련하여 본 고안인 도어록킹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설치부(90)를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설치부분에 삽입하고 상기 설치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 2설치부(94)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도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도어록킹장치에서는 종래의 도어프레임 구조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본 고안에서와 같은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프레임부 12: 바닥면
14: 측면부 15: 관통공
16: 고정홈 20: 축부
30: 레버부 40: 걸이부
50: 스프링부 60: 자물쇠부
62: 걸이축 70: 슬라이딩부
72: 연결홈 80: 나사부
90: 설치부 92: 제 1설치공
94: 제 2설치공

Claims (3)

  1. 몸체를 구성하고,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양측면에 절곡되어 측면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측면부의 일단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축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레버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면서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가능한 걸이부;
    상기 걸이부가 상기 레버부의 이동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부;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며 걸이축이 하면에 편심되도록 형성되는 자물쇠부;
    상기 걸이축에 맞물려 상기 자물쇠부가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고정홈에 삽입가능한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에 여러개의 돌출된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프레임부가 설치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설치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설치부에는 홈의 바닥면에 제 1설치공이 상기 나사부의 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나사부가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의 가장자리에는 제 2설치공이 마련되어, 도어의 프레임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록킹장치.
KR2020160003865U 2016-07-05 2016-07-05 도어록킹장치 KR201800001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65U KR20180000145U (ko) 2016-07-05 2016-07-05 도어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865U KR20180000145U (ko) 2016-07-05 2016-07-05 도어록킹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588U Division KR20180001189U (ko) 2018-04-10 2018-04-10 도어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45U true KR20180000145U (ko) 2018-01-15

Family

ID=6127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65U KR20180000145U (ko) 2016-07-05 2016-07-05 도어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14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612A (zh) * 2019-07-29 2019-09-2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闭合式纸币存取款箱及其闭合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41Y1 (ko) 2004-09-21 2004-12-23 이용선 중장비용 도어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41Y1 (ko) 2004-09-21 2004-12-23 이용선 중장비용 도어록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4612A (zh) * 2019-07-29 2019-09-2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闭合式纸币存取款箱及其闭合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61199A3 (en) Locking access box cover
US20160305168A1 (en) Adjustable decklid latch assembly
US20170314299A1 (en) Universal door lock-driving assembly
TW201728821A (zh) 可逆之可左右安裝閂鎖
KR20180000145U (ko) 도어록킹장치
ITMI20012372A1 (it) Armadio di distribuzione
JP5553342B2 (ja) 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扉の片下がり防止構造
KR20180001189U (ko) 도어록킹장치
KR100907464B1 (ko) 도어용 경첩
KR102376294B1 (ko) 모티스 장치
KR101579956B1 (ko) 물탱크용 맨홀
JP4740044B2 (ja)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JP4778572B2 (ja) パネル装置
KR10164058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JP5937051B2 (ja) 施錠装置
DE102015015593A1 (de) Schwenktür und Duschkabine
JP4299097B2 (ja) ゲーム機の施錠装置
JP3189155U (ja) 子扉付きドア
KR200482679Y1 (ko) 조립용 지그를 갖춘 창호용 핸들장치
KR100803425B1 (ko) 자동차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구조
SG191330A1 (en) Mounting assembly for a door actuator for mounting on a mounting plate without the use of connecting means
KR101484717B1 (ko) 도어 체커 일체형 도어 힌지장치
KR20190002949U (ko) 도어 부분 개폐 장치
EP2993294A1 (en) Concealed door operator
CN206205631U (zh) 限位传动器及门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