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052B1 -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052B1
KR101659052B1 KR1020147007138A KR20147007138A KR101659052B1 KR 101659052 B1 KR101659052 B1 KR 101659052B1 KR 1020147007138 A KR1020147007138 A KR 1020147007138A KR 20147007138 A KR20147007138 A KR 20147007138A KR 101659052 B1 KR101659052 B1 KR 101659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leaning
cover plate
washing
clea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3345A (ko
Inventor
마사토시 우치노
마사히데 우치노
Original Assignee
쟈판휘루도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판휘루도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판휘루도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Abstract

세정증기를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피복판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세정증기는 유출구에서 작업실로 유출되고, 작업실의 내경 전면으로 세정증기를 유출시키지 않기 때문에, 작업실의 공기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작업실 밖으로 배출하는 일이 지극히 적어진다.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하는 경우는, 피복판의 상면에서 유출구의 외주에 통상의 세정통을 배치하여, 세정증기를 머무르게 할 수 있어 작업실의 공기의 밀어냄을 지극히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세정증기(5)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8)로 유출시키는 유출구(10)를 피복판(2)에 설치하고, 이 유출시킨 증기를 상용압력의 작업실(8)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부(11)에 의해 응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피복판(2)의 상면에서 유출구(10)의 외주에 통상의 세정통(12)을 배치하는 것으로 인해, 세정통(12) 내에 세정증기를 가동시키고, 이 세정통(12) 내로 피세정물(11)을 수납하여 증기세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VAPOR-CLEANING OBJECT TO BE CLEANED AND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상용압력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에 있어서 세정용제의 대기로의 확산을 방지하고, 환경부하를 낮추는 동시에 세정용제의 소모를 줄이는 것으로 인해,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 피세정물의 상용압력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증기세정방법으로써는, 특허문헌 1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상용압력형의 증기발생부의 내부에 충전한 세정용제를 가열하여 세정증기를 상부의 작업실 가득 발생시켜, 이 작업실의 세정증기가 피세정물과 접촉하여 증기세정을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래 방법에서는, 증기세정을 하는 작업실의 상단방향에 응축부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생한 세정증기는 작업실내를 상방으로 치솟아, 상단방향에 설치한 응축부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작업실 가득 세정증기를 충만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평 6-73580호 공보
그러나, 세정용제의 증기는 일반적으로 증기밀도가 공기보다도 3~6배 정도 크기 때문에 공기보다도 무겁고, 증기가 솟으면 그 위치에 존재한 공기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세정탱크의 상부에 설치한 작업실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밀어내 확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세정용제를 함유한 공기가 외부로 확산하여 환경부하를 높이는 동시에 세정용제의 소모를 많게 하고 세정비용을 높이게 되어 있었다. 또 세정증기가 가득 찬 작업실 내로 피세정물을 투입하면, 세정증기는 피세정물에 의해 응축되어 증기레벨을 급속하게 하강시킨다. 이 하강한 만큼 외부의 공기가 세정탱크 내로 유입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반복으로, 환경부하를 높이거나, 세정용제의 소모를 많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 오존층 파괴물질인 1.1.1트리클로로에탄이나 프레온113의 사용이 금지되어, 그 대체세정용제가 종래 사용한 세정용제에 비해 고가이기 때문에 세정용제의 소모는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또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밀폐된 진공탱크 내에서 증기세정을 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지만, 장치가 고가가 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처럼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낮은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상용압력형의 증기세정장치를 사용하면서 세정용제유출에 따른 환경에 주는 영향을 줄이는 동시에 세정용제의 유실을 줄이고, 낮은 비용으로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건 명세서에서 통이란, 단면이 원형인 통, 사각형인 통, 삼각형, 다각형 등의 통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상술한 것처럼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정증기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피복판에 설치하여, 이 유출시킨 세정증기를 상용압력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부로 인해 응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피복판의 상면에서 유출구의 외주에 통상의 세정통을 배치하는 것으로 인해, 세정통 내로 세정증기를 가동시키고, 이 세정통 내로 피세정물을 수납하여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의 발명을 구체화하는 장치로써는, 세정증기를 외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설치한 피복판과, 이 피복판의 유출구로부터 상부의 작업실로 유출하는 세정증기를 상용압력의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하는 응축부와, 이 응축부와 유출구의 간격에 배치하여 내부로 세정증기를 가동시켜, 내부로 수납하는 피세정물에 세정증기를 접촉하여 증기세정을 가능토록 한 통상의 세정통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처럼 세정증기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피복판에 설치한 것이기 때문에, 세정증기는 유출구에서만 작업실로 유출하고, 작업실의 내경 전면에 세정증기를 유출시키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세정증기의 관리가 지극히 쉬워지게 된다. 즉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유출구로부터 유출시킨 증기를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부로 인해 응축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실의 공기를 상방으로 밀어올려 작업실 밖으로 배출하는 일이 지극히 적어지게 된다.
또한,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하는 경우는, 피복판의 상면에서 유출구의 외주에 통상의 세정통을 배치하는 것으로 인해, 이 통상의 세정통 내로 세정증기를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세정증기로 인해 밀어 올려진 공기는 이 세정통의 용적과 근사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이 세정통을 피세정물의 세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용적으로 하는 일로 인해, 종래 작업실의 공기 전체가 외부로 밀려 있던 것이, 세정통의 용적대응분만이 되며, 종래와 비교하여 지극히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피세정물을 세정통 내로 삽입하여 증기세정을 하는 경우도, 피세정물에 응축하여 용적을 감소하는 세정증기는, 세정통의 용적대응분이 되며, 외부에서의 작업실내로의 공기 유입도 적은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세정통에서 넘친 세정증기는,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부로 인해 응축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며, 작업실의 공기의 아래쪽으로의 밀어올림에 영향을 주는 일이 지극히 적어지게 된다.
도 1은 실시예 1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2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2의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실시예 3을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6은 실시예 3의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 도 2에서 설명하면, (1)은 증기세정탱크로서, 상용압력상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내부를 피복판(2)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하부를 세정용제(3)를 히터(4)에서 가열하여 세정증기(5)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6)로 하고, 상부를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을 하는 작업실(8)로 하고 있다. 세정용제(3)로써는 불소계용제로써 HFC, HFE 등. 브롬계용제. 불소계 불활성액으로서 PFC, PFPE 등. 알코올류로써 IPA, 에틸알코올, 메탄올 등. 친수성용제으로써 아세톤 등. 염소계용제 등의 일종 또는 복수종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피복판(2)에는 증기발생부(6)에서 발생한 세정증기(5)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8)에 유출시키는 유출구(10)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증기세정탱크(1)의 작업실(8)의 내주에는, 냉수를 유통한 냉각파이프를 작업실(8)의 상단에서 피복판(2) 근방까지 감아올려 각각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의해 응축부(11)로 하고 있다. 이렇게, 응축부(11)를 작업실(8)의 내면에서 피복판(2)의 상면에 연통하여 설치하는 일로 인해, 유출구(10)에서부터 유출하는 세정증기(5)가 작업실(8)의 피복판(2)의 근방에서 응축되는 것으로부터, 작업실(8) 내를 상방으로 상승시키지 않고, 작업실(8) 내의 공기를 밀어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응축부(11)와 유출구(10)의 간격에 배치하여 통상의 세정통(12)을 배치한다. 이 세정통(12)은, 내부에 유출구(10)로부터 세정증기(5)를 가동시켜, 내부에 수납하는 피세정물(7)에 세정증기(5)를 응축하여 증기세정을 가능토록 한다. 이 세정통(12)의 외주벽(13)은, 세정증기(5)가 통과하는 일 없는 금속판, 수지판 등의 재질로 구멍 등을 설치하지 않고 형성하는 동시에, 상단을, 개방상태로 하거나, 세정증기(5)가 통과하는 철망 등의 재질로 형성한 뚜껑체(도시하지 않음)로 피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세정통(12)은, 하단도 세정증기(5)가 통과 가능하고 피세정물(7)이 탈착하지 않는 철망 등의 재질로 형성한 밑판(14)을 설치하고 있다. 또 증기발생부(6)에는, 온도센서(9) 및 수위계(26)를 갖추고 있다.
또한, 이 세정통(12)은, 피복판(2)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이어도 좋고, 피복판(2)의 상면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어도 좋다. 또 세정통(12)은 증기세정을 하는 피세정물(7)의 용적에 대응한 최소한의 용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정통(12)을 왕래 바구니로써 사용할 경우에는, 세정통(12)에 임의의 손잡이(도시하지 않음) 등을 접속해도 좋다. 또 상기의 응축부(11)는, 세정통(12)의 상단보다도 하측의 피복판(2)의 방향에 그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구성한 것에 있어서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을 하기 위해, 증기발생부(6)의 세정용제(3)를 히터(4)로 가열하여 세정증기(5)를 발생시킨다. 이 세정증기(5)는, 피복판(2)에 설치한 유출구(10)에서만 작업실(8)로 유출한다. 이 유출한 세정증기(5)는,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작업실(8)의 내면에서 피복판(2)의 상면과 연통하여 설치한 응축부(11)에서 응축되어 소실하고, 증기세정작업의 대기중에 있어서도 작업실(8)의 공기를 밀어올려 외부로 유출시키는 일이 지극히 적은 것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통상의 세정통(12)을 유출구(10)의 외주에서, 응축부(11)와의 간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세정증기(5)가 응축부(11)측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고, 세정통(12)의 내부로 세정증기(5)를 가동시켜, 내부에 수납하는 피세정물(7)에 세정증기(5)를 응축하여 증기세정을 가능케 한다. 이 통상의 세정통(12)으로의 세정증기(5) 도입에 따라, 세정통(12)의 용적분의 공기는 외부로 밀리는 것으로 이루어 지지만, 이 공기의 외부로의 밀림은, 세정통(12)의 용적분에 한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작업실(8)의 공기 전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배출량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 세정통(12)은 세정할 피세정물(7)에 대응할 필요 최소한의 용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기나 쓸데없는 증기배출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증기세정 시에는 세정통(12) 내에서 세정증기(5)가 피세정물(7)로 응축되어 감소하기 때문에, 바깥 공기를 세정통(12) 내로 도입하게는 되지만, 최대로도 세정통(12)의 용적에 한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작업실(8) 내의 큰 용적의 증기를 응축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바깥 공기의 도입량은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게 된다. 또 세정통(12)은 세정할 피세정물(7)에 대응할 필요 최소한의 용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깥 공기의 도입량을 최소한으로 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증기세정작업중에 세정통(12)에서 넘친 세정증기(5)는 작업실(8)의 내면에서 피복판(2)의 상면과 연통하게 설치하여 응축부(11)에 의해, 유출구(10)로부터 유출하는 세정증기(5)가 작업실(8)의 피복판(2)의 근방에서 응축되어, 작업실(8) 내를 상방으로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실(8) 내의 공기를 밀어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대폭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세정통(12)은 피복판(2)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배치한 것이어도 좋고, 피세정물(7)의 세정목적에 따라 임의의 치수의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세정통(12)은 손잡이(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하여, 피세정물(7)의 왕래 바구니로써 사용하면, 왕래 바구니가 필요하지 않게 되며 세정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상기의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응축부(11)를 작업실(8)의 내면에서 피복판(2)의 상면과 연통하게 설치하고, 세정통(12)의 상단보다도 하측의 피복판(2)의 방향에 그 일부가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 2에 있어서 응축부(11)는, 도 3,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판(2)의 상면과 수평방향의 측부에 설치한 연통구(15)를 거쳐 작업실(8)과 연통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 2에 있어서 응축부(11)는, 냉각액을 유통한 냉각파이프(16)를 내주에 배치한 냉각탱크(17) 내에, 냉각한 세정용제(3)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증기세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유출구(10)에서 유출하는 세정증기(5)를 연통구(15)에서 도입하여 응축하는 것에 의해, 작업실(8) 내의 공기의 밀림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응축부(11)는 세정증기(5)를 응축하여 생긴 오버플로액을, 오버플로관(18)을 거쳐 증기발생부(6)로 복원하고 있다. 또 응축부(11)의 세정용제(3)를, 샤워펌프(20)에 의해 노즐(21)에서 피세정물(7)로 분사하여, 피세정물(7)의 샤워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이 샤워펌프(20)는 냉각탱크(17)의 세정용제(3)와 제 1 개폐밸브(22)를 거쳐 도입배관(24)에 의해 접속하는 동시에, 노즐(21)과는 제 2 개폐밸브(23)를 거쳐 도출배관(25)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또 냉각탱크(17)에는 상하의 수위계(26)(27)를 배치하고, 작업실(8)의 상방에는 냉각파이프(16)를 감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형성한 실시예 2에 있어서,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을 하기 위해, 증기발생부(6)의 히터(4)에 의해 세정용제(3)를 가열하여 세정증기(5)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통상의 세정통(12)을 유출구(10)의 외주에서, 응축부(11)와 유출구(10)의 간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세정증기(5)가 응축부(11)측으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세정통(12)의 내부로 세정증기(5)를 가동하여, 내부로 수납하는 피세정물(7)에 세정증기(5)를 응축하여 증기세정을 가능토록 한다. 이 증기세정의 전, 또는 증기세정과 동시에 샤워펌프(20)를 작동하여, 노즐(21)로부터 냉각한 세정용제(3)를 피세정물(7)에 분사하여 피세정물(7)의 샤워세정을 한다, 이 샤워세정에 의해 냉각된 피세정물(7)은, 샤워세정의 완료 후에 세정증기(5)의 응축이 양호하게 이루어져, 피세정물(7)의 정밀세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 작업실(8) 내의 공기의 밀어냄, 도입 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세정용제(3)의 유출을 최소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세정증기(5)의 응축부(11)에서 응축재생액을 저류하여 샤워세정액으로써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증기세정기능에 한정하는 것으로 인해 세정비용을 줄이고 염가인 증기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상기의 실시예 1, 2에 있어서는 증기발생부(6)를, 피복판(2)에 의해 상하로 구획한 증기세정탱크(1)의 하부에 증기발생부(6)를 설치하고, 이 증기발생부(6)에 세정용제(3)를 충전하여, 이 세정용제(3)를 히터(4)로 가열하여 세정증기(5)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도 5,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5)를 증기세정탱크(1)와는 완전히 별개로 형성하고 있다. 이 증기발생부(6)는, 하부에 세정용제(3)를 충전하고, 이 세정용제(3)를 히터(4)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세정증기(5)를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용제(3)의 상부에는 세정증기(5)의 저장부(28)를 설치하고, 그 저장부(28)의 상부로 구획판(30)을 거쳐 응축실(31)을 배치하고 있다. 이 응축실(31)은 내주에, 냉각수를 유통한 냉각파이프(16)를 상단에서 구획판(30)까지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응축실(31)과 저장부(28)를 구획판(30)에 설치한 연통구(15)를 거쳐 연통하고, 연통구(15)에서 응축실(31)로 유입한 세정증기(5)는, 상승하지 않고 구획판(30)의 근방에서 응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여기서 응축한 응축액은 수분분리기(32)를 거쳐 세정용제(3) 부분에 환류하고 있다.
또 세정증기(5)의 저장부(28)는, 증기배관(33), 제 3 개폐밸브(34)를 거쳐, 증기세정탱크(1)의 피복판(2)의 하부에 설치한 도입실(35)에 접속하고 있다. 또 이 도입실(35)은 피복판(2)에 설치한 유출구(10)를 거쳐 작업실(8)과 연통하고 있는 동시에, 응축액을 환류하는 환류배관(36)을 세정용제(3)의 충전부에 접속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와 동일하다.
상술한 것처럼 형성한 실시예 3에 있어서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을 하기 위해, 증기발생부(6)의 히터(4)에 의해 세정용제(3)를 가열하여 세정증기(5)를 발생한다. 그리고 제 3 개폐밸브(34)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세정증기(5)는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증기배관(33)을 거쳐 도입실(35)로 도입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세정통(12)에서 유출구(10)의 외주를 둘러싸는 것에 의해, 세정통(12) 내에 세정증기(5)가 가득 차, 피세정물(7)의 증기세정이 가능해진다. 이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증기발생부(6)를 증기세정탱크(1)와는 완전히 별개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증기발생부(6)와 증기세정탱크(1)를 접속하는 제 3 개폐밸브(34)를 개폐하는 것에 의해 작업실(8)로의 세정증기(5)의 공급 및 정지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증기세정을 하지 않는 경우는, 세정용제(3)를 증기발생부(6)에 회수밀봉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의 세정용제(3)의 소모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2 : 피복판
3 : 세정용제
5 : 세정증기
6 : 증기발생부
7 : 피세정물
8 : 작업실
10 : 유출구
11 : 응축부
12 : 세정통
15 : 연통구

Claims (14)

  1. 세정증기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피복판에 설치하고, 이 유출시킨 세정증기를 상용압력의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부에 의해 응축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피복판의 상면에서 유출구의 외주에 통상(筒狀)에서 증기세정을 하는 피세정물에 대응한 용적의 세정통을 배치하는 것으로 인해, 세정통 내에 세정증기를 가동시키고, 이 세정통 내에 피세정물을 수납하여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2. 세정증기를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시키는 유출구를 설치한 피복판과, 이 피복판의 유출구에서 상부의 상용압력의 작업실로 유출하는 세정증기를 작업실의 하방 위치에서 응축하는 응축부와, 이 응축부와 유출구의 간격에 배치하여 내부로 세정증기를 가동시키고, 내부로 수납하는 피세정물에 세정증기를 접촉하여 증기세정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증기세정을 하는 피세정물에 대응한 용적의 통상(筒狀)의 세정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응축부는, 작업실의 내면에서 피복판의 상면에 연통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응축부는, 작업실의 내면에서 피복판의 상면에 연통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응축부는, 피복판의 상면과 수평방향의 측부에 설치한 연통구를 거쳐 작업실과 연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응축부는, 피복판의 상면과 수평방향의 측면에 설치한 연통구를 거쳐 작업실과 연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세정통은, 피복판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세정통은, 피복판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세정통은, 피복판의 상면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세정통은, 피복판의 상면에 교환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피복판의 하측에, 세정용제를 가열하여 세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를 설치하고, 이 증기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세정증기를 작업실 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피복판의 하측에, 세정용제를 가열하여 세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부를 설치하고, 이 증기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세정증기를 작업실 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피복판이나 작업실과는 별개로 설치한 증기발생부에서 세정증기의 공급을 받아 세정증기를 작업실 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14. 제 2항에 있어서, 유출구는, 피복판이나 작업실과는 별개로 설치한 증기발생부에서 세정증기의 공급을 받아 세정증기를 작업실 측으로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장치.
KR1020147007138A 2012-06-08 2012-08-27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 KR101659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0415A JP5076033B1 (ja) 2012-06-08 2012-06-08 被洗浄物の蒸気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JP-P-2012-130415 2012-06-08
PCT/JP2012/005349 WO2013183092A1 (ja) 2012-06-08 2012-08-27 被洗浄物の蒸気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3345A KR20140053345A (ko) 2014-05-07
KR101659052B1 true KR101659052B1 (ko) 2016-09-22

Family

ID=47435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138A KR101659052B1 (ko) 2012-06-08 2012-08-27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32035A1 (ko)
JP (1) JP5076033B1 (ko)
KR (1) KR101659052B1 (ko)
CN (1) CN104039467B (ko)
TW (1) TWI495519B (ko)
WO (1) WO20131830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221B1 (ko) * 2015-12-03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증기 응축 방식 고형물 세척 및 건조 장치
JP6309118B1 (ja) * 2017-01-10 2018-04-11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洗浄物の蒸気洗浄装置
JP6352519B1 (ja) * 2017-12-28 2018-07-04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SE1900201A1 (sv) * 2019-11-25 2021-05-26 Fettavskiljaren Sverige Ab Rengöringsanordn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378A (ja) * 1998-11-26 2000-06-13 Japan Field Kk 洗浄装置
JP2006167711A (ja) * 2004-11-19 2006-06-29 Japan Field Kk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2593A (en) * 1953-05-25 1955-11-01 Ben W Sager Vapor degreasing apparatus
US3923541A (en) * 1973-06-20 1975-12-02 Litton Systems Inc Vapor degreasing system
JPS5939508Y2 (ja) * 1981-04-30 1984-11-05 ジヤパン・フイ−ルド株式会社 蒸気洗滌装置
JPS5951064U (ja) * 1982-09-27 1984-04-04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トリクロルエチレン蒸気発生用パイプヒ−タ
US4800362A (en) * 1986-02-10 1989-0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rganic solvent cleaning apparatus
JPS62201685A (ja) * 1986-02-28 1987-09-05 ジヤパン・フイ−ルド株式会社 洗浄装置
JPS63111987A (ja) * 1986-10-31 1988-05-17 ソニツク・フエロ−株式会社 蒸気洗浄方法及び装置
JPS63184335A (ja) * 1987-01-26 1988-07-29 Nec Corp 洗浄装置
JPH0389985A (ja) * 1989-05-29 1991-04-15 Japan Fuirudo Kk 被洗浄物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US5246024A (en) * 1989-09-19 1993-09-21 Japan Field Company, Ltd. Cleaning device with a combustible solvent
JPH03293073A (ja) * 1990-04-12 1991-12-24 Tanaka Kikinzoku Kogyo Kk 部品洗浄後の水切り方法
US5593507A (en) * 1990-08-22 1997-01-14 Kabushiki Kaisha Toshiba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JP2913564B2 (ja) * 1990-12-27 1999-06-28 株式会社ダン科学 蒸気洗浄乾燥装置
JPH0550045A (ja) * 1991-06-13 1993-03-02 Nippon Kakoki Kogyo Kk 蒸気利用の洗浄・乾燥方法
JPH0673580A (ja) * 1992-08-28 1994-03-15 Showa Alum Corp 蒸気洗浄機
JPH078926A (ja) * 1993-06-29 1995-01-13 Oogawara Kakoki Kk 洗浄乾燥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洗浄乾燥方法
JP3186926B2 (ja) * 1994-08-30 2001-07-11 光機熱工業株式会社 丸型洗浄装置
JPH0871515A (ja) * 1994-09-07 1996-03-19 Shimada Phys & Chem Ind Co Ltd 蒸気洗浄乾燥装置
US5520204A (en) * 1995-01-26 1996-05-28 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Vapor degreasing apparatus
JPH0982671A (ja) * 1995-09-18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基板の保管方法及び半導体基板の保管装置
JP2003024885A (ja) * 2001-07-17 2003-01-28 Mitsubishi Heavy Ind Ltd 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136831A (ja) * 2004-11-12 2006-06-01 Keiji Nakaya 密封溶剤処理装置および密封溶剤処理方法
JP5574092B2 (ja) * 2010-04-13 2014-08-20 三浦工業株式会社 洗浄装置
JP4737700B1 (ja) * 2010-10-21 2011-08-03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洗浄物の蒸気洗浄方法
CN201815513U (zh) * 2010-10-27 2011-05-04 上海核工程研究设计院 螺母超声去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378A (ja) * 1998-11-26 2000-06-13 Japan Field Kk 洗浄装置
JP2006167711A (ja) * 2004-11-19 2006-06-29 Japan Field Kk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95519B (zh) 2015-08-11
KR20140053345A (ko) 2014-05-07
US20140332035A1 (en) 2014-11-13
JP5076033B1 (ja) 2012-11-21
TW201350218A (zh) 2013-12-16
CN104039467A (zh) 2014-09-10
WO2013183092A1 (ja) 2013-12-12
CN104039467B (zh) 2015-11-25
JP2013252500A (ja)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9052B1 (ko)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방법 및 그 장치
US7434587B2 (en) Water guide for dishwasher
KR20180079311A (ko) 세탁기의 스프레이 시스템 및 세탁기
KR2014010163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957928B (zh) 一种自动投放装置及控制方法
KR20170139804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480074Y1 (ko) 양변기용 세정액 자동 배출장치
JP4382686B2 (ja) 洗濯機の仕上げ剤投入装置
JP6309118B1 (ja) 被洗浄物の蒸気洗浄装置
JP2007215873A (ja) 石鹸液の補給装置
CN109957927B (zh) 一种自动投放装置及洗衣机
ITMI941078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per il carico di volumi differenziati di liquido di lavaggio in una lavastoviglie
KR101816175B1 (ko) 식기 세척기
CN101173449B (zh) 洗衣机的防止蒸汽逆流的控制方法
CN207987555U (zh) 一种干洗机的蒸馏装置
KR101460190B1 (ko) 세척 도구 수납형 세제 용기
KR200441600Y1 (ko) 안전형 헹굼 수조를 갖는 업소용 식기 세척기
CN208441162U (zh) 一种便于排污及减小热量损耗的蓄水箱
CN109957933B (zh) 一种自动投放装置及洗衣机
CN112657978B (zh) 奶瓶清洗机
KR101577445B1 (ko) 드럼세탁기용 세제투입장치
KR200457057Y1 (ko) 세탁볼의 세제 공급장치
RU2499092C2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устройством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тного потока
KR20230035926A (ko) 텀블러식 샤워기 수채화물통
KR20150083079A (ko) 세척 도구 수납형 세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