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224B1 -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 - Google Patents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224B1
KR101656224B1 KR1020147007511A KR20147007511A KR101656224B1 KR 101656224 B1 KR101656224 B1 KR 101656224B1 KR 1020147007511 A KR1020147007511 A KR 1020147007511A KR 20147007511 A KR20147007511 A KR 20147007511A KR 101656224 B1 KR101656224 B1 KR 10165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thione
vitamin
beverage
expression
dh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446A (ko
Inventor
요시키 타카하시
코지 우수미
Original Assignee
포-데이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데이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포-데이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A61K48/0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characterised by an aspect of the 'active' part of the composition delivered, i.e. the nucleic acid deliver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Nucle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61K31/51Thiamines, e.g. 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8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nucleosides or nucleotides
    • A61K31/713Double-stranded nucleic acids or oligonucleo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61K38/063Gluta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 A23V2250/31Glutath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나 스트레스의 예방 효과나 개선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건강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며, 기존의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및 비타민류를 포함하는 음료에 글루타티온을 첨가한 음료를 섭취하면, 회춘의 지표가 되는 DHEA-S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후각 수용체 등의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며, 피부 상태, 종합 감정 장애, 자율 신경 균형, 전신적인 건강도가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

Description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CYSTEINE PEPTIDE-CONTAINING HEALTH DRINK}
본 발명은,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리보핵산(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시스테인 펩티드인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 외에,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DHEA-S)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노화 또는 스트레스를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또한 다가오는 초고령화 사회에서의 질병의 예방을 위해, 일상 생활에서 부족하기 쉬운 특정 영양 성분을 보완하고 건강의 유지 및 증진 작용을 목적으로 하여, 나아가서는 노화 방지, 회춘, 스트레스 해소 등의 구체적인 '생체 조절 기능'의 향상에 주목한 음식품이나 그 성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수용성 핵단백질,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등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가 제안되어(일예로 특허 문헌 1 참조), 이미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글루타티온은 대부분의 생물의 각 조직에 존재하는 생체내 항산화 물질이며,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제(gluthatione peroxidase)와 글루타티온 리덕타제(glutathione reductase)에 의해, 환원형 글루타티온과 산화형 글루타티온의 2 종류가 이른바 레독스 사이클(redox cycle)에 의해 조정되어 항산화 물질로서의 기능을 유지함이 알려져 있다(일예로 특허 문헌 2 참조).
상기와 같은 글루타티온이 갖는 기능을 이용하여, 글루타티온이 항산화 물질로서 스트레스 예방제나 스트레스 개선 식품에 이용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일예로 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글루타티온을 함유하는 수면 유도제나 스트레스성 불면증 개선제(일예로 특허 문헌 5 참조), 음료 내 글루타티온 함량을 0.01~1.0 중량% 함유시킨 음료(일예로 특허 문헌 6 참조), 전체 글루타티온 함량 중 산화형 글루타티온 함량이 적어도 50중량% 이상인 글루타티온 함유 음료(일예로 특허 문헌 7 참조) 등, 다양한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음식품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회춘의 지표로서 주목 받고 있는 호르몬류의 하나로 DHEA-S가 알려져 있다(일예로 비특허 문헌 1 참조). DHEA-S는 남성 호르몬 합성에서의 중간 대사 산물로, 마찬가지로 중간 대사 산물인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ehydroepiandrosterone;DHEA)의 황산 결합체이며, 남녀 모두 청년으로부터 고령자에 걸쳐 연령이 늘어남에 따라 저하됨이 알려져 있으며, DHEA에 비해 혈중 농도의 반감기가 길고, 현저한 변동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일예로 특허 문헌 8 참조), 노화의 정도를 나타내는 객관적인 지표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환자에서 DHEA-S가 감소함이 확인되었다(일예로 비특허 문헌 2 참조).
따라서, 혈중의 DHEA-S를 증가시키면 회춘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평균 연령 59세의 12명의 남성에 대해 실시된 DHEA 투여 실험에서는, 내재성 DHEA-S의 레벨은 상승했지만, 지방 세포, 인슐린,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등의 지표에서 아무런 그 임상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보고되었다(일예로 비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현시점에서는 폐경 후의 여성에 대한 치료 목적의 DHEA 투여는 추천되고 있지 않다(일예로 비특허 문헌 4 참조).
혈중 DHEA-S 레벨을 상승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식품이나 의약 제제로서, 삼칠삼(Panax notoginseng)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울금 및 사담을 배합한 회춘 효과를 갖는 과립상 식품(일예로 특허 문헌 9 참조)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원료는 입수가 쉽다고 할 수 없으며 매우 고가이다. 또한, 내인성 DHEA-S를 증가시키기 위해, 피시험자로부터 채취한 임파구를 고상화한 항CD3 항체 및 인터루킨2를 포함하는 배양액 내에서 배양을 실시함으로써 증식 활성화시킨 자기 유래 임파구를 주성분으로 한 내인성 DHEA-S를 증가시키기 위한 제제(일예로 특허 문헌 8 참조)가 제안되었으나, 제작 방법이 복잡하여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편, 사람은 고령이 되면 후각 기능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Axel와 Buck에 의해 냄새의 수용체에 대해 복잡한 조합의 메커니즘 해명이 이루어짐으로써, 후각 수용체(OR)의 발현 패턴의 해석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우스를 대상으로 in situ 혼성화 (hybridization)를 통해 9개의 대표적인 OR유전자를 검출한 결과,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 피크는 유전자에 따라 달랐지만, 그 중 6개는 연령이 증가함과 더불어 발현이 저하되었음이 보고되었다(일예로 비특허 문헌 5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2514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6-348052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10-03090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1996-275752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2008-056628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1994-078713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1993-146279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2010-077106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공개 2005-204504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Science 2002, Vol. 297 no 5582 p.811 비특허 문헌 2: 일본 노년의학회지 31권 2호 85-94 비특허 문헌 3: The Aging Male, 2003, Vol. 6, No.3, pages 151-156 비특허 문헌 4: Menopause Int 2007;13:75-78 비특허 문헌 5: Chem Senses, Vol. 34, No.8, 695-703, 2009
본 발명의 과제는 노화나 스트레스의 예방 효과 및 개선 효과를 실감할 수 있는 건강 음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효과가 강조되고 있는 기존의 건강 음료보다 뛰어난 효능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특히 핵내에서 작용하는 영양 성분을 보강하는 관점에서 신규한 첨가 성분에 대해 검토를 계속하던 중, 수용성 핵단백질,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등을 포함하는 기존의 건강 음료에 새롭게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엑기스를 첨가한 개량 음료를 피시험자가 섭취한 경우, 피부 상태, 종합 감정 장애, 자율 신경 균형, 전신적인 건강도에 있어서 기존의 건강 음료가 갖는 효과와 글루타티온이 갖는 효과를 더한 상가(相加) 효과에 머무르지 않고, 상승(相乘)적인 개선 효과를 피시험자에게 가져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상승 효과를 뒷받침하는 생화학적인 근거에 대해 검토한 결과, 놀랍게도 상기 개량 음료를 섭취하면, 회춘의 지표가 되는 피시험자의 DHEA-S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함이 확인됨과 더불어, LDL 콜레스테롤이 저하됨이 확인되고, 또한 유전자 레벨에 있어서 후각 수용체 유전자 등의 발현이 촉진됨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발견에 근거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은 [1]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2]비타민류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건강 음료, [3]글루타티온으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의 건강 음료, [4]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이 환원형 글루타티온보다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많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의 건강 음료, [5]글루타티온으로 1000mL 당 6~60mg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의 건강 음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6]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DHEA-S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7]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8]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NFRSF10C 유전자 또는 TNFSF14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9]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또는 스트레스를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 [10]비타민류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9]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1]글루타티온으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6]~[10]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 [12]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이 환원형 글루타티온보다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많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11]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상에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DHEA-S 농도 증강 방법 및/또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촉진 방법,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혈중 DHEA-S 농도 증강제 및/또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촉진제의 조제를 위한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나 조성물을 경구 섭취함으로써, 대상의 피부 상태 향상, 자율 신경 균형 향상, 종합 감정 장애 개선, 건강도 향상 등의 효과를 실감할 수 있으며, 노화 방지/개선이나 스트레스 방지/개선을 야기함과 더불어, DHEA-S 혈중 농도 증가, LDL 콜레스테롤 저하, 및/또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 및 성장 호르몬 유전자의 발현의 촉진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VISIA'를 이용하여, B군의 피시험자의 얼굴의 피부 상태를 기미, 모공, 얼룩, 자외선 기미의 항목에 대해 분석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a)는 b음료를 섭취하기 전의 한 피시험자의 얼굴의 피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같은 피시험자가 b음료를 5주간 섭취한 후의 얼굴의 피부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VISIA'를 이용하여, A, B, C 각 군의 피시험자가 a, b, c 중 어느 한 음료를 섭취하기 전 및 5주간 섭취한 후의 얼굴의 피부 개선에 대해, 모공 감소(개선)와 얼룩 감소(개선)의 상관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A, B, C 각 군의 피시험자가 a, b, c 중 어느 한 음료를 5주간 섭취하기 전과 후의, 'KIRITHU MEIJIN'을 통한 자율 신경 균형 항목의 각 군의 평균값의 향상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A, B, C 각 군의 피시험자가 a, b, c 중 어느 한 음료를 5주간 섭취하기 전과 후의 혈중 DHEA-S 농도의 변동을 나타낸 것이다. 세로축은 혈중 DHEA-S 농도(μg/dL)를 나타낸다.
도 5는 A, B, C 각 군의 피시험자의 각 음료 섭취 전 혈중 DHEA-S 농도 대비 섭취 후 DHEA-S 농도의 평균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A군, B군, C군의 각 피시험자가 a, b, c 중 어느 한 음료를 섭취하기 전후로 유의하게 1.2배 이상 발현 변동이 나타난 프로브에 대해, 각 군에서 어떤 식으로 프로브의 발현 변동이 중복되는지에 대해, 발현 증가 및 발현 감소의 각각에 대해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a)는 1.2배 이상 증가, (b)는 1.2배 이하 감소한 프로브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도 7은 B군에서 특이적인 변동을 나타낸 프로브 중, Gene Ontology(유전자 온톨리지)의 molecular function에서 '수용체 활성(Receptor activity)'에 속하는 유전자를 뽑아 리스트화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B군에서 특이적인 변동을 나타낸 프로브 중, Gene Ontology의 molecular function에서 '수용체 결합(Receptor binding)'에 속하는 유전자를 뽑아 리스트화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다른 패턴으로 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피부 탄력 시험의 비교 해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a)는 a음료를 섭취한 후, 휴지 기간을 두고 b음료를 섭취한 언니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b)는 b음료를 섭취한 후, 휴지 기간을 두고 a음료를 섭취한 여동생의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0은 다른 패턴으로 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시험 기간 중의 크레아티닌의 증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다른 패턴으로 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시험 기간 중의 총 콜레스테롤의 증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다른 패턴으로 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시험 기간 중의 LDL 콜레스테롤의 증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a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섭취 전후의 AMSAT에서의 수치의 증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b음료를 섭취한 일란성 쌍둥이의 섭취 전후의 AMSAT에서의 수치의 증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쌍둥이의 <언니>와 <여동생> 및 B군의 각 피시험자가 b음료를 섭취하기 전후로 유의하게 1.2배 이상 발현 증가가 나타난 프로브의 수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는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음료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 성분을 개별적으로 첨가/혼합할 수도 있고, 성분 전부를 동시에 첨가/혼합할 수도 있으며, 또한 2이상의 성분의 혼합물끼리 따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건강 음료란, 명확한 과학적, 법적인 정의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체질을 개선하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성분을 포함하며, 사회적인 인식에서 다른 음료와 구별되는 일군의 음료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글루타티온은 환원형 글루타티온(GSH)과 산화형 글루타티온(GSSG)으로 크게 나뉘어진다. GSH는 5-L-글루타밀-L-시스테이닐글리신의 구조를 갖는 트리펩티드이고, GSSG는 GSH2 분자가 S-S결합에 의해 결합된 화합물이며, 둘 다 생체내에서 생합성되지만, GSSG는 생체내에서 글루타티온 리덕타제에 의해 GSH로 변환되므로, GSSG를 투여한 경우에도 GSH와 같은 작용이 예상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의 글루타티온으로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글루타티온이면 모두 이용 가능하며, 예를 들면, 크립테코디늄 코니(Crypthecodinium cohnii) 등의 해양성 미세조류 유래의 글루타티온(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1997-292 공보 참조), 과산화물에 내성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 속, 한세눌라(Hansenula) 속, 엔도마이코프시스 속, 사카로마이코데스 속, 네마토스포라 속, 캔디다 속, 토루롭시스 속, 브레타노마이세스 속, 로도토룰라 속에 속하는 효모 유래의 글루타티온, 또는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속, 알칼리게네스(Alcaligenes) 속 또는 프로테우스(Proteus) 속 등에 속하는 미생물 유래의 글루타티온(일예로 특허 공개 1996-70884 공보 참조)등이 있다.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로는, 구체적으로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 등의 사카로마이세스 속의 효모, 캔디다 유틸리스(토룰라 효모)(Candida utilis), 캔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 캔디다 리폴리티카(Candida lipolytica), 캔디다 플라베리(Candida flaveri) 등의 캔디다 속에 속하는 효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글루타티온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의 제조법으로는, 3종의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방법(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1978-94089 공보 참조), 효모의 배양에서 메티오닌과 글루타민산을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효모 내 SAM 함량 및 글루타티온 함량을 함께 높이는 방법(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2009-017849 공보 참조) 등의 방법으로 배양된 효모 등으로 입수하는 방법 외에, 돌연변이 처리를 통해 DOA1 유전자의 적어도 일부 및 MET30 유전자의 적어도 일부를 결손 또는 변이시킨 효모 변이주(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2010-029147 공보 참조), 캔디다 속에 속하며, 폴리엔계 항생 물질의 존재하에서 생육 가능하고 GSSG를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효모 변이주(일본 특허 공개 2003-284547 공보 참조) 등의 효모 변이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효모 변이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GSSG는 수용액 내에서의 안정성이 GSH보다 높다는 점에서, GSSG 산생량(産生量)을 증가시킨 GSSG 고함유 변이 효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GSSG 고함유 효모 변이주로는, 예를 들면, 캔디다 속에 속하며, 폴리엔계 항생 물질의 존재하에서 생육 가능하고 GSSG를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효모 변이주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캔디다 유틸리스 1453B5(FERM P-18789)나 캔디다 유틸리스 1483A6(FERM P-18790) 및 이들의 변이주(일본 특허 공개 2003-284547호 공보 참조)를 바람직하게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등의 미생물은, 음식품에 첨가하기 쉽다는 점에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등의 미생물의 추출물(엑기스)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로는, 글루타티온을 2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12질량% 이상 함유하는 효모 추출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등의 미생물의 추출물의 제조법으로는,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등을 자기 소화, 효소 처리 또는 가열 추출(온수 등의 용매로 추출) 후, 그 수용성 성분을 분취하는 방법 등 공지된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캔디다 속에 속하며, 폴리엔계 항생 물질의 존재하에서 생육 가능하고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다량으로 함유할 수 있는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10중량% 이상 함유한 효모 엑기스의 제조 방법(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2004-283125호 공보 참조)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시판품으로는 Springer Hyp A(Bio Springer SA사), 글루타이스트 엑기스N(KYOWA HAKKO BIO CO. LTD.)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올리고 RNA로는, 리보핵산(RNA)이 저분자화 처리됨으로써 수득된 저분자 RNA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맥주 효모, 토룰라 효모, 유(乳)효모 및 빵 효모 등의 주지의 효모에서 추출/정제한 RNA를, 분자량이 1000~3000인 분획을 20~50%함유하고, 분자량이 1000이하인 분획을 분자량 1000~3000의 분획 양보다 많은 양, 예를 들어 30~50% 함유하는 정도로 저분자화한 RNA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 RNA의 제조법이나 입수 방법으로는, 상기 효모에서 분리/추출/정제한 RNA를 효소 분해 처리 또는 가수분해 처리를 통해 저분자화하는 방법,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시판품을 구입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열 안정성을 갖춘 뉴클레아제를 이용하여 RNA의 3', 5'-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가수분해를 통해 처리함으로써 조제하는 방법(일예로 일본 특허 공개 2007-23024 참조)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리고 RNA원으로 상기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를 이용할 수 있다. 글루타티온 함량이 높은 효모를 이용함으로써, 올리고 RNA와 1% 이상의 글루타티온을 함유하는 글루타티온 함유 올리고 RNA(마터널(등록상표) RNA)라고도 함)로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마터널 RNA를 이용한 경우에는, 상기 글루타티온을 첨가하지 않아도 적당량의 글루타티온을 첨가한 경우와 동등하게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핵단백질로는, 생물 세포의 핵 중에 포함되는 핵단백질을 효소 처리 등을 통해 저분자화한 수용성 핵단백질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자외선 조사나 화학물질에의 노출 등의 부하가 가해진 경우, 유전자의 산화 손상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어류의 이리(milt)로부터의 핵단백질을 뉴클레아제 및 프로테아제로 처리하여 수득된 분자량 1000~3000의 저분자화된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뉴클레오티드 및 올리고 펩티드를 30% 이상 포함하는 수용성 핵단백질(일예로 특허 제 3978716호 참조)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핵단백질의 예로는 슈퍼 누클레겐(SUPER NUCLEGEN)이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에는, 프로테오글리칸의 일종이며, β-D-글루쿠론산의 1 위치와 β-D-N-아세틸-글루코사민의 3 위치가 결합된 이당(二糖) 단위가 연결된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하는 히알루론산, 그 유도체 및 그 염인 히알루론산류, 상기 히알루론산류를 히알루로니다제 등을 이용한 효소 처리 또는 가열 가압 처리하여 수득되는 저분자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 분해물이 포함된다. 상기 히알루론산 유도체로는, 아세틸화된 히알루론산(일본 특허 공개 1996-53501호 공보 참조), 황산화된 히알루론산(일본 특허 공개 1998-195107호 공보 참조), 젖산 등의 생체내 유기산으로 치환된 히알루론산(일본 특허 공개 1994-16702호 공보 참조), 가교된 히알루론산(일본 특허 공개 1995-97401호 공보 참조)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 및 그 유도체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금속염류, 리신염, 알기닌염, 히스티딘염 등의 염기성 아미노산염, 암모늄염, 트리에탄올 아민염, 디이소프로판올 아민염을 예로 들 수 있다.
히알루론산류의 제조법 또는 입수방법으로는, 닭 벼슬, 포유류의 탯줄, 어류, 유산균이나 스트랩토코커스속 균 등의 대사물에서 분리/추출하는 방법,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시판품을 구입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용액은 일반적으로 점도가 높기 때문에, 첨가되는 제품의 종류나 요구되는 점도 등에 따라 히알루론산을 분해 및/또는 정제한 닭 벼슬 추출물, 탯줄 추출물 등의 시판품이 다수 판매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히알루론산HA-F(KEWPIE CORPORATION), 바이오 히알루론산 나트륨(Shiseido Company, Limited), 히알루론산FCH(KIBUN FOOD CHEMIFA CO LTD)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HA-F(KEWPIE CORPORATION)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드로이틴에는, 글리코사미노글리칸(무코다당)의 일종이며 D-글루쿠론산(GlcA)과 N-아세틸-D-갈락토사민(GalNAc)의 이당이 반복되는 당쇄에 황산이 결합된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하는 콘드로이틴, 그 유도체 및 그 염인 콘드로이틴류가 포함된다. 콘드로이틴으로는 콘드로이틴-4-황산(콘드로이틴 황산A), 데르마탄 황산(콘드로이틴 황산B), 콘드로이틴-6-황산(콘드로이틴 황산C), 콘드로이틴 황산D, 콘드로이틴-4, 6-황산(콘드로이틴 황산E)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콘드로이틴 유도체로는, 콘드로이틴과 글루코스, 갈락토스, 말토스, 락토스 등의 환원당과의 축합물, 아릴에스테르, 인산에스테르, 황산에스테르 등의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콘드로이틴 및 그 유도체의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염산염, 황산염, 암모늄염 등의 무기염, 젖산염, 초산염, 트리에탄올 아민염 등의 유기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콘드로이틴류의 제조법 또는 입수방법으로는, 상어 연골, 상어 지느러미 추출물 등의 콘드로이틴을 함유하는 천연물에서 분리/추출하는 방법,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합성하는 방법, 시판품을 구입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으로는 '상어 연골 추출물(70)' (NAKAHARA Co., Ltd.) 등의 콘드로이틴 함유 무코다당 단백 복합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콜라겐에는, '-글리신-아미노산-아미노산-'의 펩티드 단편을 단위로 하는 반복 구조를 갖는, 피부 조직, 연골 조직, 골 조직, 혈관 조직, 장기, 힘줄 등의 조직에서, 세포외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섬유상의 단백질, 그 가수분해물(콜라겐 펩티드) 및 그 유도체가 포함된다. 콜라겐 유도체로는, 콜라겐 및 그 가수분해물의 아텔로(attelo)화물, 아실화물, 숙시닐화물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인 콜라겐의 분자량은 수만~30만 정도이며 통상 불용성이기 때문에, 수용성의 콜라겐 가수분해물(콜라겐 펩티드)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콜라겐의 가수분해물의 제조법 또는 입수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돼지나 소 등의 동물 진피의 세정이나 뼈의 파쇄를 실시한 후, 알칼리 처리, 중화, 탈지, 미네랄 제거 등, 콜라겐을 함유하는 조직에 따른 필요한 전처리를 실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후, 효소 등으로 추출물을 분해하고, 여과 후 살균하고, 분무 건조한 후, 분말화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별도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에스 원 에스'(PS Corporation), 어류 유래의 각종 콜라겐 펩티드(RABJ. CO., LTD.), 'Gelita Sol LDA' (Gelita AG), 'Solugel 5,000' (PB Gelatin)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연으로는, 식품에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첨가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글루콘산 아연, 황산 아연, 식용 아연 효모 등의 형태로 투여할 수 있으나, 체내 흡수율이 보다 높이는 것으로 여겨지는 식용 아연 함유 효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연으로 2질량%, 바람직하게는 3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상 함유하는 효모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아연 이스트(GROW 주식회사), 미네랄 효모-Zn(Oriental Yeast Co.,Ltd.), 아연 이스트(Bio Springer) 등의 식용 효모(아연 함유)를 예로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아연 이스트(GROW 주식회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에 포함되는 비타민류로는, 상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비타민류,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비타민 C(아스코르빈산), 비타민 B1(티아민), 비타민 B2(리보플라빈), 비타민 B6(피리독신), 비타민 B12(코발라민) 등이 있다. 비타민 C의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는, 아스코르빈산 칼슘, 아스코르빈산 나트륨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비타민 B1의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는, 염산 티아민, 초산 티아민, 초산 비스티아민, 티아민디세틸 황산에스테르염, 염산 푸르설티아민(fursultiamine), 옥토티아민(octothiamine), 벤포티아민(benfotiamine)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비타민 B2의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는, 낙산 리보플라빈, 인산 리보플라빈나트륨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비타민 B6의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는, 피리독신 염산염, 피리독살(인산 피리독살), 피리독사민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비타민 B12 또는 그 유도체 또는 그 염으로는, 시아노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초산염, 히드록소코발라민 염산염, 메틸코발라민, 아데노실코발라민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타민은, 2종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종 이상 포함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종 이상 포함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조합으로는, 비타민 C 및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B2, 비타민 C 및 비타민 B6, 비타민 C 및 비타민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2,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6,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2와 B6, 비타민 C 및 비타민 B2와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6와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2와 B6,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6와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6와 B12, 비타민 C 및 비타민 B2와 B6와 B12, 및 비타민 C 및 비타민 B1과 B2와 B6와 B12의 조합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의 상기 각 성분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건강 음료 1000mL 당, 글루타티온 6~60mg(글루타티온 함유 미생물 추출물 0.05~0.5g), 올리고 RNA 0.1~5g, 수용성 핵단백질 0.5~10g, 아연 이스트 0.1~3g, 콜라겐 50~150g, 콘드로이틴 0.01~0.5g, 히알루론산 0.01~0.5g, 비타민 C 5~20g, 바람직하게는 글루타티온 12~42mg(글루타티온 함유 미생물 추출물 0.1~0.35g), 올리고 RNA 0.5~2.0g, 수용성 핵단백질 2~8g, 아연 이스트 0.5~1.5g, 콜라겐 70~120g, 콘드로이틴 0.05~0.3g, 히알루론산 0.02~0.1g, 비타민 C 9~15g,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루타티온 18~36mg(글루타티온 함유 미생물 추출물 0.15~0.30g), 올리고 RNA 1~1.5g, 수용성 핵단백질 4~6g, 아연 이스트 0.9~1.1g, 콜라겐 90~100g, 콘드로이틴 0.08~0.25g, 히알루론산 0.04~0.07g, 비타민 C 11~13g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는, 상기의 처방으로, 1일 3회, 아침, 점심, 저녁 식후에 20mL씩 섭취하는 경우, 5주 후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히 느껴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섭취량이나 빈도를 적절히 증감한 경우에도 장기간 음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음료의 섭취량은, 해당 기술 분야의 약리학자 및 임상의가 주지하고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또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 주관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섭취자의 혈중 DHEA-S 농도의 증가가 나타날 때까지, 또는 총 콜레스테롤 수치, LDL 콜레스테롤 수치의 저하가 나타날 때까지, 스트레스를 느끼는 정도가 적어질 때까지 등, 섭취자의 상황을 보면서 본 발명의 건강 음료의 섭취량이나 빈도를 적절히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소비자의 기호를 고려하여 음료의 미각을 향상시키기 위해, 당, 당 알코올, 감미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당(종류)으로는, 자당, 과당, 포도당, 유당, 액상 과당(high fructose corn syrup)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당 알코올(종류)로는, 자일리톨, 솔비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만니톨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감미료(종류)로는, 아세설팜칼륨, 수크랄로스, 네오탐, 사카린, 아스파탐, 스테비아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당류, 당 알코올류, 감미료류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동물성 원료 제품의 냄새를 막기 위해, 또는 음료의 향미의 향상시키기 위해 향료를 적절히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벌꿀 등의 식품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식감 또는 보존성을 고려하여 보존료나 유화제를 필요에 따라 더 배합할 수 있다. 보존료로는 벤조산나트륨, 소르빈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벤조산나트륨이 바람직하며, 유화제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나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계 유화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보존료 및 유화제는 각각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에는,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해, 또한 삼키는 능력이 낮은 섭취자가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겔화제를 더 배합할 수 있다. 겔화제로는 젤라틴, 펙틴, 한천, 카라기난, 젤란검, 글루코만난, 로커스트빈검 등의 공지의 겔화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겔화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는, 수용성 핵단백질; 올리고 RNA; 아연; 콜라겐; 콘드로이틴; 히알루론산; 비타민류; 및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를 포함하는, 혈중 DHEA-S 농도를 높이기 위한 조성물,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발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노화 또는 스트레스를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의약품과는 달리 섭취 후 부작용이 없는 또는 지극히 적은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및/또는 예방제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음식품이나 음식품 재료에 혈중 DHEA-S 농도를 높이는 작용,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발현 촉진하는 작용 및 성장 호르몬 유전자를 발현 촉진하는 작용을 부여할 수 있는 노화 또는 스트레스 개선 및/또는 예방용 음식품 첨가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노화 또는 스트레스 개선 및/또는 예방제, 스트레스 개선 및/또는 예방용 음식품 첨가제의 제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적절한 담체를 이용하여 고형 제제나 액체 제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음식품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 유효량을 음식품의 제조 원료 단계 및/또는 제조된 제품 단계에서 첨가 및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나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얻어지는 효과로는, 노화 개선/예방 효과, 스트레스 개선/예방 효과를 들 수 있다. 노화 개선/예방 효과로는, 피부 노화 개선, 혈중 DHEA-S 농도 상승, 혈중 LDL 콜레스테롤 저하,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촉진 및/또는 성장 호르몬의 발현 촉진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스트레스 개선/예방 효과로는, 잘 잤다고 느끼는 기분 등의 주관적인 것 외에, 종합 감정 장애, 자율 신경의 균형이나 기능, 및/또는 전신적인 건강도의 개선 효과 등,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피부 노화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생리적 노화든, 자외선 조사를 받음에 따른 광 노화든, 피부의 노화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는, 관찰 가능한 모공, 기미, 피부 얼룩, 자외선 기미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피부의 노화를 예방/개선하는 효과로는, 소정 기간 섭취 후에 피시험자에게서 관찰 가능한 모공 감소, 기미 감소, 피부 얼룩 감소, 자외선 기미 감소나, 종합적인 평가에서의 피부 상태의 향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피시험자의 촬영이 단시간에 완료되고, 해석하고 싶은 부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촬영 포지션의 차이에 따른 해석 오차나 전후 사진의 색조 차이를 조정함으로써 2번째 이후 같은 부위에서 해석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수하다고 여겨지는 피부 이미지 해석 카운셀링 시스템인 'VISIA Complexion Analysis' (이하 'VISIA'라고도 함)(Canfield사)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각 측정 항목에서, 점수화된 수치가 감소한 경우, 및/또는 종합적인 평가에서 수치가 증가한 경우에, 피부의 노화가 예방/개선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스킨 그립 미터AS-GP1(ASAHIBIOMED사)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 시험을 실시하여 평가할 수도 있다.
상기 종합 감정 장애의 개선 효과로는, 소정 기간 섭취 후 피시험자의 가장 최근의 지속적인 기분을 해석한 경우에 기분의 향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McNair(1971)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65개의 질문 항목에 답함으로써 6개의 인자, 즉, 긴장-불안(Tension-Anxiety:T-A), 우울-침체(Depression-Dejection:D), 분노-적의(Anger-Hostility:A-H), 활기(Vigor:V), 피로(Fatigue:F), 혼란(Confusion:C)으로 구성되는 일시적인 감정 또는 기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시험인 '감정 프로파일 시험: POMS(Profile of Mood States)'을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울러, 섭취 시작 전의 피시험자의 수치와 섭취 후의 수치를 비교하여, '긴장-불안:T-A', '우울-침체:D', '분노-적의:A-H', '피로:F', '혼란:C'은 수치가 유의하게 저하된 경우, '활기:V'는 수치가 유의하게 상승한 경우에, '종합 감정 장애'가 개선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자율 신경의 균형이나 기능의 개선 효과로는, 소정 기간 섭취 후 피시험자의 자율 신경의 균형이나 기능의 향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기립에 의한 체위 변환 스트레스를 통해 자율 신경 기능을 진단할 수 있는 자율 신경 반사 실시간 모니터 소프트웨어 'KIRITHU MEIJIN' (CROSSEWLL Co., Ltd.)을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기립에 의한 스트레스에 대해 자율 신경이 잘 대응하지 못할 때 기립성 혈압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는데, 심신이 건강하면 기립 시에 습관적으로 교감신경을 높이고 말초 혈관을 수축시켜 심박수를 상승시킴으로써 뇌의 혈류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앉은 자세에서 안정 시에 자율 신경의 균형을 진단함과 동시에, 능동적 기립 부하에 의해 순간적인 심박을 채취하고, 주파수 영역 해석/시간 영역 해석을 실시하여, 상기 해석을 조합함으로써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평가를 실시하여, 자율 신경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상기 전신적인 건강도의 개선 효과로는, 소정 기간 음료 섭취 후 피시험자의 전신적인 건강도의 향상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효과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단시간에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피시험자의 건강도의 파악이나 치료 효과의 확인 등에 적합하고, 재현성이 높고 정확한 계측이 가능한, AMSAT-HC(Auto Mastic System for Analysis Therapy - Holistic Concept:전자동 피부 저항값 측정 시스템)를 이용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마/양 손/양 다리의 총 6극의 전극으로부터 22 패턴의 전류값을 계측한 후, 계측된 값을 시스템의 데이터 뱅크 정보와 비교하고 알고리즘을 이용해 계산함으로써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파형 해석을 포함한 특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신 67개 부분에 대해, 측정 결과 이상(理想)값으로부터 일탈도를 최대 ±100%로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측정 결과 이상값으로부터 일탈도가 작아진 경우 개선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혈중 DHEA-S 농도의 효과로는, 소정 기간 음료 섭취 후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의 증가를 예로 들 수 있다. 혈중 DHEA-S 농도의 측정 방법으로는, 방사면역 측정법(RIA), 튜브 고상법 등이 있다. 아울러,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가 섭취 시작 전의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와 비교해 유의하게 증가한 경우에, 특정 건강 음료의 섭취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의 효과로는, 소정 기간 음료 섭취 후 피시험자의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러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의 실험 등에서, 피시험자는 시험 시작 전에 시험 내용 및 방법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듣고 문서를 통한 동의를 얻은 후 실시되었다.
[실시예 1]
[이중 맹검 시험(double-blind test)]
(시험 음료)
이하의 3 종류의 시험 음료를 이용하여 이중 맹검 시험을 실시했다. a음료, b음료, c음료의 처방 개요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음료 a음료 b음료 c음료
원재료명 g/1000mL
액상과당(high fructose corn syrup) 105 105 105
에리스리톨 52.5 52.5 52.5
파인애플 과즙 20 20 20
벌꿀 10 10 10
산미료 6 6 6
수용성 핵단백질 5 5 -
올리고 RNA(85%이상 함유) 1.39 1.39 -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글루타티온 12% 함유) - 0.28 0.28
음용 효모(아연 함유) 1 1 -
콜라겐 헵티드(돼지 유래) 95 95 -
액상 덱스트린 - - 107
무코다당 단백 복합체(콘도로이틴 함유) 0.229 0.229 -
닭벼슬 추출물(히알루론산 함유) 0.06 0.06 -
비타민 C 12 12 -
감미료(수크랄로스) 0.02 0.02 -
잔부 잔부 잔부
a음료는 종래품(핵산 드링크:내츄럴 DN 콜라겐:FOR DAYS CO., LTD.)의 처방에 기초해서 조제했다. b음료는 종래품인 a음료에 글루타티온 고함유 효모 추출물을 첨가하여 조제한 본 발명의 음료이다. 올리고 RNA 및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를 각각 혼합한 예를 표 1에 나타냈으나, 동등한 조성의 마터널(등록 상표) RNA를 이용하여 조제할 수도 있다. c음료는 종래품인 a음료에서, 기능성 성분이라고 생각되는 원료 및 유화제를 배제하고, 글루타티온을 첨가한 경우만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음료이며, a음료와 b음료의 식감에 가깝게 하기 위해 액상 덱스트린을 첨가했다. 또한, 콜라겐 펩티드 대신 액상 덱스트린을 첨가하는 경우, a음료나 b음료에 비해 단맛이 증가하기 때문에 감미료(수크랄로스)를 배제한 것이다. 또한, a, b의 각 음료에는 향료, 보존료, 유화제가 첨가되고, c에는 향료, 보존료가 첨가되어 있다.
(대상자)
피시험자는 건강한 남성 60명(연령 53.5±2.5세, 평균 BMI 22.3kg/m2)이었다. 사전 건강진단을 통해, 비흡연 피시험자에서 혈당치(글루코스, HbA1C), 간 기능(GOT, GPT, γ-GTP), 췌장 기능(아밀라아제), 요산치, 신장 기능(크레아티닌)이 정상인 것을 확인한 후, 피시험자를 a음료(종래품)를 섭취하는 피시험자(A군), b음료(본 발명의 음료)를 섭취하는 피시험자(B군), c음료(종래품의 유효 성분을 배제하고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를 첨가한 음료)를 섭취하는 피시험자(C군)의 3군으로 20명씩 무작위로 분류하여 이중 맹검 시험을 실시했다. 피시험자에게 어느 음료를 섭취하는지 공지하지 않고 상기 음료 중 하나를 20mL씩,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회 5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섭취하도록 지시했다. 아울러, 시험 기간 중에는 다른 보충제 등의 섭취를 삼가하도록 지시했으나, 특별히 엄격한 식사 제한은 실시하지 않았고, 평소대로 생활하도록 지도했다.
도중에 섭취를 중지한 A군 1명 및 C군 2명을 제외한 피시험자 57명에 대해, 섭취 시작 5주 후, 피부 상태, POMS(Profile of Mood State:감정 프로파일 검사), 자율 신경 측정 해석, AMSAT를 이용한 전체적인 건강도 스크리닝, 혈중 성분 검사, 유전자 해석 등의 시험을 실시했다. 수득된 데이터의 통계적 처리는, 특별한 규정이 없는 경우, t검정을 이용하여 실시했다. 또한, t검정에서 필요로 하는 가정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에는,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이용했다. 모든 경우에서 P값이 0.05 미만(*), 0.01 미만(**), 0.001 미만(***), 또는 0.0001 미만(****)이면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했다.
(피부 노화의 예방/개선 효과의 검증)
본 발명의 음료가 피부 노화의 예방/개선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 군의 피시험자의 섭취 시작 전과 섭취 5주 후의 얼굴 피부 상태를, 피부 이미지 해석 카운셀링 시스템인 'VISIA'를 이용하여 기미, 모공, 피부 얼룩, 자외선 기미, 포르피린, 주름의 6개 항목에 대해 분석했다. 각 항목과 6개 항목의 종합적인 판정에 대해, 통계 해석 소프트 JMP8을 이용하여,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해석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a) 및(b)에 나타냈다.
VISIA 측정 항목 a(n=19) b(n=20) c(n=18)
주름
포르피린
모공 **↓
자외선 기미 **↓ ****↓ **↓
피부 얼룩 *↓ **↓
기미 **↓ ***↓ *↓
종합 6개 항목의 개선도 **↑ ****↑ *↑
도 1(a)는 b음료를 섭취하기 전의 피시험자의 얼굴 피부 상태를 나타내며, 도 1(b)는 같은 피시험자가 5주간 b음료를 섭취한 후의 얼굴 피부 상태를 나타낸다. 각 항목의 우측의 숫자는 기미, 모공, 자외선 기미, 피부 얼룩의 양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숫자가 감소할 수록 개선됨을 나타낸다. 도 1(a) 및 (b)의 각 항목의 사진으로부터 개선 상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B군의 피시험자에서만 A군이나 C군과 비교해 모공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외선 기미, 피부 얼룩, 기미의 각 항목에서도 A군이나 C군을 섭취한 군과 비교해 수치가 현저히 감소(개선)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주름 및 포르피린의 항목에서는, 통계상 3군 모두에서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으나, 각 항목에 대해, 개선된 경우를 1점, 변화 없음의 경우를 0점, 악화된 경우를 -1점으로 환산하여, 합계점에 대해 종합 6항목의 개선도로 해석을 실시한 결과, b음료를 마신 피시험자군에서는 현저한 개선 효과(****↑)가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또한, b음료를 마신 피시험자군에서만 모공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상기 통계 해석 소프트를 이용한 해석을 통해, 모공의 감소(개선)와 피부 얼룩 감소(개선) 사이에 매우 강한 상관 관계(p=0.0053)가 있음이 확인되었다(도 2 참조).
(POMS를 통한 효과 검증)
본 발명의 음료가 종합 감정 장애에서의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 군의 피시험자는 섭취 시작 전과 섭취 5주일 후에, POMS 일본판 조사표에 답했다.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이용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아울러, B군의 피시험자에서, 일부 항목의 미기입자가 있었기 때문에 n=19가 된 항목이 있다.
A군(n=19) B군(n=20) C군(n=18)
POMS판정(6개 항목)
판정(T-A) *↓
판정(D) *↓
판정(A-H) **(n=19)↓ *↓
판정(V)
판정(F) **↓
판정(C) *↓
b음료를 섭취한 B군의 피시험자에서, 'A-H: 분노-적의(Anger-Hostility)'(p<0.01) 및 'F: 피로(Fatigue)'(p<0.01) 항목에서 유의하게 수치 감소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양호한 감정 프로파일이 된 것을 확인했다. 개개의 질문 항목에 대해 검토하면, B군의 피시험자에서, 섭취 전과 섭취 후를 비교했을 때, '3. 마음 속에서 분개함', '7. 실망하여 의욕을 잃음', '21. 초조함', '44. 나른함', '49. 불안함', '60. 모든 일에 확실을 가지지 못함', '62. 몹시 지침'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43. 타인에게 다정하게 대할 수 있음', '50. 활기가 가득함'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했음이 확인되어, 스트레스 개선 또는 방지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군이나 C군의 피시험자에서는, B군의 피시험자 정도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아울러, 데이터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A군과 C군의 피시험자에서는, DHEA-S의 증가와 'A-H: 분노-적의' 항목의 개선과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자율 신경 기능/균형 시험)
본 발명의 음료가 자율 신경 기능이나 균형에서 개선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 군의 피시험자에 대해 섭취 시작 전과 섭취 5주 후에 'KIRITHU MEIJIN'을 이용해 평가를 실시했다. 'KIRITHU MEIJIN'의 취급 설명서의 지시에 따라,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해 양 손목에 클립을 고정하고, 가슴에 전극을 붙이고,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 팔에 커프를 감고, 펄스 옥시미터(Pulse oxymeter)를 손가락에 장착했다. 각 피시험자는 앉은 자세에서 3분간 안정을 유지한 후, 음성 안내에 따라 기립하도록 지시받았다. 기립 후 약 3분 30초 측정을 계속했다. 오실로 메트릭법에 따른 혈압 측정은, 앉은 자세의 안정 1분 후부터 매분 6회 측정되었으며, 자율 신경은 30초 후부터 1박마다 해석되었다.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의 하측 검정을 실시한 결과, 자율 신경 균형의 항목에서, b음료를 섭취한 피시험자에서 87.4%의 향상이 보여졌으며(도 3 참조), b음료의 섭취가 일상생활에서 쇠약이 문제가 되는 자율 신경 기능이나 균형 감각에서, a음료나 c음료의 상가적 효과를 넘는 상승적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시험자의 전신적인 건강도 평가)
본 발명의 음료가 피시험자의 전신적인 건강도에 개선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각 군의 피시험자에 대해, 섭취 시작 전과 섭취 5주 후, AMSAT-HC(Auto Mastic System for Analysis Therapy - Holistic Concept:전자동 피부 저항값 측정 시스템)를 이용하여 해석을 실시했다. 각 피시험자의 이마/양 손/양 다리의 총 6극의 전극을 연결하고, 22 패턴의 전류 값을 17초로 계측했다. 계측된 값을 시스템의 데이터 뱅크 정보와 비교하여, 파형 해석을 포함한 특수 알고리즘으로 전신의 부위나 척수, 신경계까지 나누어 전신 74개 부분에 대해, 측정 결과 이상값으로부터 일탈도를 최대 ±100%로 표시했는데, 갑상선, 직장, 감각 기관, 인두, 대퇴부, 고관절, 맹장에서, B군에서 A군이나 C군과 비교해 유리한 효과를 보였다.
(혈중 DHEA-S 농도)
본 발명의 음료가 혈액 성분에 대해 어떠한 작용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검사를 실시했다. RIA법을 통해 혈중 DHEA-S 농도를 측정한 결과, b음료를 섭취한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에 변화가 나타났기 때문에 상세히 검토했다. B군은, A군 및 C군과 비교해 b음료를 섭취함으로써 t검정에 의해 유의하게 혈중 DHEA-S 농도가 증가했다(p=0.0001)(도 4 참조). 아울러, 각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는 50대 남성의 정상 범위인 53~342μg/dL였다. 또한, 각 음료 섭취 전의 각 군의 피시험자의 혈중 DHEA-S 농도 대비 섭취 후 DHEA-S 농도의 평균 증가율(세로축)을 도 5에 나타냈다. b음료의 섭취가 DHEA-S 농도의 증가를 현저히 야기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전자 발현 조사)
A군, B군, C군의 각 피시험자의 혈액 시료를 이용하여, 통계 해석을 통한 발현 변동 유전자(프로브) 추출을 실시했다. 마이크로 어레이 분석(micro array assay)을 이용하여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정규화가 완료된 발현 데이터를 대상으로 유의차 검정에 의한 P값의 산출과 발현비에 기초한 컷오프를 실시했다. 2군간의 유의차 검정은, 마이크로 어레이 데이터에서의 2군간의 검정에 이용되는 SAM t-test를 사용했다. 음료 섭취 전후의 비교 조합에서 각각 산출된 P값이 0.05 미만이 된 프로브에 대해, 2군간의 대수 발현비가 log ratio로 0.263 이상(발현비로 1.2배 이상)을 나타내는 프로브를 유의한 발현 상승 프로브로 하고, 2군간의 대수 발현비가 log ratio 로 -0.263 이하(발현비로 0.8333배 이하)를 나타내는 프로브를 유의한 발현 저하 프로브로 하여 컷오프 통과 프로브로 했다.
A군, B군, C군의 각 피시험자가 a, b, c의 각 음료를 섭취하기 전후로 발현 변동이 1.2배 이상 증가 또는 1.2배 이상 감소가 나타난 프로브에 대해, 피시험자가 속하는 군에서 어떤 식으로 프로브의 발현 변동이 중복되는지를, 발현 증가와 감소 각각을 벤 다이어그램으로 표기했다(도 6(a) 및 (b) 참조). B군의 피시험자에서 발현이 증가한 프로브 수는 269(도 6(a)의 밑줄 부분), B군의 피시험자에서 발현이 감소한 프로브 수는 198(도 6(b)의 밑줄 부분)이었다.
상기 B군에서 특이적으로 변동을 나타낸 프로브 중, Gene Ontology(유전자 온톨리지)의 molecular function(분자 기능)에서 '수용체 활성(Receptor activity)'에 속하는 유전자를 뽑아 리스트화한 것을 도 7에 나타냈다. 유전자명에 밑줄이 그어진 것이 발현 증가한 수용체와 관련된 프로브이며,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 것은 발현 감소한 수용체와 관련된 프로브이다. 밑줄이 그어진 프로브 중, MRGPRX3, OR14I1, OR1F1, OR1J1, OR4D11, OR4D9, OR4X1, OR51E2, OR5B21, OR5P3 및 OR8B4는 후각 수용체(olfactory receptor)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이며, 후각 수용체 단백질에 대해 발현이 촉진됨이 확인되었다. 후각 수용체에 관한 유전자가 다수 활성화된 것은, 상기 AMSAT를 이용한 전신적인 건강도 평가에서 감각 기관에 대한 수치에서 유리한 효과가 보여진 것과도 일치하며, 본 발명의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감각 기관에서 노화를 방지/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TNF 수용체인 TNFRSF10C나 TNF 리간드인 TNFSF14가 억제되었으나, TNFRSF10C나 TNFSF14는 관절염 등의 염증성 질병에서, 또한 치주병이나 심장병 환자에서 발현이 증가함이 알려져 있으며(Journal of Dental Research 89 (1), 2010, 29-33, Molecular Immunology 47, 2010, 666-670,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10, 2008, 352-35 등), 본 발명의 음료나 조성물의 섭취에 의해 염증성 스트레스가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B군에서 특이적으로 변동을 나타낸 프로브 중, 유전자 온톨리지의 분자 기능에서 '수용체 결합(Receptor binding)'에 속하는 유전자를 뽑아 리스트화한 것을 도 8에 나타냈다. 유전자명에 밑줄이 그어진 것이 발현 증가한 리간드와 관련된 프로브이며, 밑줄이 그어져 있지 않은 것은 발현 감소한 리간드와 관련된 프로브이다. GH1 성장 호르몬 유전자에 대해 발현이 촉진됨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료를 섭취함으로써 노화 방지/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요약)
b음료를 섭취한 B군의 피시험자에서, 피부 상태, 종합 감정 장애, 자율 신경 균형, 전신적인 건강도의 시험에서, 또한 DHEA-S의 혈중 농도, 후각 수용체 유전자 발현 등의 생화학적 지표에서, a음료의 효과와 c음료의 효과를 더한 효과에 그치지 않고 상승적인 개선 효과가 피시험자에게 야기됨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일란성 쌍둥이(여성)의 이중 맹검 교차 시험>
일란성 쌍둥이인 여성 2명 <언니>(the first twin sister: FTS)와 <여동생>(the second twin sister: STS)(언니 BMI 34.9, 여동생 BMI 33.6)을 피시험자로 하여 시험을 실시했다. <언니>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a음료를 20mL씩,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회 5주간 섭취하고, 31일의 휴지 기간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한 b음료를 20mL씩,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회 5주간 섭취하도록 지시했다. <여동생>은 b음료를 20mL씩,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회 5주간 섭취하고, 31일간의 휴지 기간 후, a음료를 20mL씩, 아침, 점심, 저녁 하루 3회 5주간 섭취하도록 지시했다. 전기 5주간 + 31일의 휴지 기간 + 후기 5주간의 총 101일간을 시험 기간으로 했다.
(피부 탄력성)
상기 일란성 쌍둥이의 <언니>와 <여동생>은, 시험 기간 중에 왼쪽과 오른쪽의 뺨 각각에 대해, 스킨 그립 미터 AS-GP1(ASAHIBIOMED)를 이용하여 제조자가 작성한 취급 설명서에 기초해서 복수회에 걸쳐 피부 탄력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도 9(a) 및 (b)에 나타냈다. <언니>는 a음료를 섭취한 기간 및 그 후의 31일간의 휴지 기간 중에는, 피부 탄력성의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나, 휴지 기간 후 b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 왼쪽 뺨(실선), 오른쪽 뺨(점선) 모두 피부 탄력성이 현저히 증가했다(도 9 (a) 참조). <여동생>은 b음료를 섭취한 전기 5주간 피부 탄력성이 증가했으나, 31일간의 휴지 기간에 탄력성이 감소하고, a음료를 섭취한 5주간에는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도 9 (b) 참조).
(크레아티닌 농도)
상기 <언니> 와 <여동생>은, 시험 기간 중에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mg/dL)를 효소법(creatinase-sarcosine oxidase-peroxidase법)(Mitsubishi Chemical Medience Corporation에서 위탁 측정)을 통해 복수회에 걸쳐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냈다. <언니>는 점선, <여동생>은 실선으로 나타냈다. <언니>는 a음료를 섭취한 전기 5주간 및 그 후의 31일간의 휴지 기간 중에는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의 감소가 보이지 않았으나, 휴지 기간 후 b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는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도 10의 점선→ 부분 참조). <여동생>은 b음료를 섭취한 전기 5주간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가 감소했지만(도 10의 실선→ 부분 참조), 31일간의 휴지 기간에는 증가했고, a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는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도 10의 실선 참조). 만성 신장병이나 고혈압 환자에서 크레아티닌의 농도가 높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 141 No. 12, 929-937 및 Arch. Intern. Med. Vol 161, 2001, 1207-1216), 본 발명의 음료가 고혈압의 개선이나 만성 신장병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
상기 <언니>와 <여동생>은 시험 기간 중에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mg/dL)를 효소법(Mitsubishi Chemical Medience Corporation에서 위탁 측정)을 통해 복수회에 걸쳐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언니>는 a음료를 섭취한 기간 및 그 후의 31일간의 휴지 기간 중에는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가 보이지 않았으나, 휴지 기간 후 b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현저하게 감소했다(도 11의 점선→ 부분 참조). <여동생>은 b음료를 섭취한 전기 5주간에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했고(도 11의 실선→ 부분 참조), 31일간의 휴지 기간에도 증가하지 않았으며, a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도 감소 경향을 보였다.
(LDL 콜레스테롤 농도)
상기 <언니>와 <여동생>은 시험 기간 중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mg/dL)를 효소법(Mitsubishi Chemical Medience Corporation에서 위탁 측정)을 통해 복수회에 걸쳐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냈다. <언니>는 a음료를 섭취한 기간 및 그 후의 31일간의 휴지 기간 중에는 혈중 LDL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가 보이지 않았으나, 휴지 기간 후 b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했다(도 12의 점선→ 부분 참조). <여동생>은 b음료를 섭취한 전기 5주간에는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감소했으며(도 12의 실선→ 부분 참조), 31일간의 휴지 기간에도 증가하지 않았으나, a음료를 섭취한 후기 5주간에는 약간의 증가 경향을 보였다. 상기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결과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음료는 이른바 대사(metabolic) 증상에 대해 효과를 갖는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수면 상황)
상기 <여동생>에게 수면 상황에 대해 문진한 결과, <여동생>이 b음료를 섭취했을 때, <여동생>만이 원래 가지고 있던 수면 상황의 문제가 개선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야간에 기침이 나오거나 코를 크게 골거나 하는 일이 적어졌다고 답했다. 이 문제는, 일란성 쌍둥이면서 여동생에게 특이적이었지만, a음료를 섭취했을 때에는 개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AMSAT을 통한 검토)
본 발명의 음료가 피시험자의 전신적인 건강도에 대해 개선 효과를 갖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언니>와 <여동생>에 대해, 섭취 시작 전과 섭취 5주 후, AMSAT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순서와 같은 순서로 해석을 실시했다. a음료를 섭취하기 전과 후에 해석을 실시한 경우, <언니>와 <여동생> 모두 현저한 수치 변화가 보이지 않았으나(도 13 (a) 및 (b) 참조), b음료를 섭취하기 전과 기간 후에 해석을 실시한 경우, <언니>와 <여동생> 모두 74개의 검사 항목 대부분에서 섭취 후에 현저한 수치 감소를 나타냈으며, 이상적인 상태로 여겨지는 0에 가까운 숫자가 되었다(도 14 (a) 및 (b) 참조). 이것은, AMSAT를 이용한 전신적인 건강도의 평가에 있어서, 세포간질의 연화가 억제되어 염증성의 개선 효과를 보인 것을 나타낸다.
(유전자 발현 조사)
b음료를 섭취한 상기 쌍둥이의 <언니>와 <여동생> 및 실시예 1에서 b음료를 섭취한 B군의 피검사자 남성군의 혈액 시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유전자 발현 조사에서 실시한 것과 같은 순서로 통계 해석을 통한 발현 변동 유전자(프로브)의 추출을 실시했다. b음료의 섭취 전후로 발현 변동이 1.2배 이상 증가 또는 1.2배 이상 감소를 나타낸 프로브에 대해, 피시험자가 속하는 군에서 어떤 식으로 프로브의 발현 변동이 중복되는지를, 발현 증가와 감소의 각각에 대해 벤 다이어그램으로 표기했다(도 15 (a) 및 (b) 참조). 쌍둥이 피시험자와 남성 피시험자 모두에서 발현이 증가한 프로브 수는 9였다. 유의하게 증가한 9 종류의 프로브에는(도 15 (중앙의 중첩 부분) 참조), 후각 수용체(olfactory receptor)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OR14I1가 포함되어 있으며, 후각 수용체에 관한 유전자가 활성화된 것은, 상기 AMSAT를 이용한 전신적인 건강도의 평가에서 감각 기관에서의 수치도 포함하여 유리한 효과를 보인 것과도 일치한다.
상기 b음료를 섭취한 상기 쌍둥이의 <언니>와 <여동생> 및 실시예 1에서 b음료를 섭취한 B군의 피검사자 남성군에 대해, Gene Ontology(유전자 온톨리지)의 molecular function(분자 기능) 해석을 실시했다. '대사 활성'에 속하는 유전자 중, 발현이 증가한 프로브에 대해 특히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펜토즈 포스페이트 경로와 TCA 회로의 경로 레벨에서의 발현 변동 해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4027280952-pct00001
펜토즈 포스페이트 경로(pentose phosphate fundamental pathway)는 글루코스 대사 경로의 하나로, 글루코스를 대사하고, 지방산의 생합성 반응에 필수 환원력인 NADPH의 공급을 주된 역할로 하는 중요한 경로이다. 상기 표 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펜토즈 포스페이트 경로에서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상승함이 확인되어, b음료의 섭취에 의해 펜토즈 포스페이트 경로의 활성에 유리하게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TCA 회로는 당, 지방산, 아미노산 등의 대사 회로로서 중요한 회로이다. 상기 표 4에서 명확한 바와 같이, TCA 회로에서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상승함이 확인되어, b음료의 섭취에 의해 에너지 산생에 유리하게 작용함이 확인되었다.
(요약)
비만 경향이 있는 쌍둥이의 a음료와 b음료의 섭취량은, 체중 1kg 당 언니 0.63mL/kg/일, 여동생 0.68mL/kg/일이며, 실시예 1의 남자의 섭취량보다도 적다. 적은 섭취량으로도, 본 발명의 b음료를 5주간 섭취함으로써,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의 감소, 총 콜레스테롤의 감소, LDL 콜레스테롤의 감소, 수면 상황 개선 등, 노화 또는 스트레스의 예방/개선 효과를 가져옴이 확인되었다. 또한, 발현 유전자 해석에서도, b음료의 섭취가 건강 상태의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음료의 섭취는 비만 경향이 있는 체질에서 일어나는 염증 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의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기초 대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비만 경향의 개선에 효과가 있다.

Claims (12)

1000mL 당, 수용성 핵단백질 0.5 ~ 10g, 올리고 RNA 0.1 ~ 5g, 아연 이스트 0.1 ~ 3g, 콜라겐 50 ~ 150g, 콘드로이틴 0.01 ~ 0.5g, 히알루론산 0.01 ~ 0. 5g, 비타민 C 5 ~ 20g 및 글루타티온 6 ~ 6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 B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으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
제 3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이 환원형 글루타티온보다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많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음료.
삭제
1000mL 당, 수용성 핵단백질 0.5 ~ 10g, 올리고 RNA 0.1 ~ 5g, 아연 이스트 0.1 ~ 3g, 콜라겐 50 ~ 150g, 콘드로이틴 0.01 ~ 0.5g, 히알루론산 0.01 ~ 0. 5g, 비타민 C 5 ~ 20g 및 글루타티온 6 ~ 6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중 디하이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설페이트(DHEA-S)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
1000mL 당, 수용성 핵단백질 0.5 ~ 10g, 올리고 RNA 0.1 ~ 5g, 아연 이스트 0.1 ~ 3g, 콜라겐 50 ~ 150g, 콘드로이틴 0.01 ~ 0.5g, 히알루론산 0.01 ~ 0. 5g, 비타민 C 5 ~ 20g 및 글루타티온 6 ~ 6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각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
1000mL 당, 수용성 핵단백질 0.5 ~ 10g, 올리고 RNA 0.1 ~ 5g, 아연 이스트 0.1 ~ 3g, 콜라겐 50 ~ 150g, 콘드로이틴 0.01 ~ 0.5g, 히알루론산 0.01 ~ 0. 5g, 비타민 C 5 ~ 20g 및 글루타티온 6 ~ 60m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NFRSF10C 유전자 또는 TNFSF14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조성물.
삭제
제 6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종 이상의 비타민 B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6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으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제 11항에 있어서,
글루타티온 함유 효모 추출물이 환원형 글루타티온보다 산화형 글루타티온을 많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7007511A 2011-10-12 2012-10-11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 KR101656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5356 2011-10-12
JPJP-P-2011-225356 2011-10-12
PCT/JP2012/006525 WO2013054525A1 (ja) 2011-10-12 2012-10-11 グルタチオン含有健康飲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446A KR20140051446A (ko) 2014-04-30
KR101656224B1 true KR101656224B1 (ko) 2016-09-09

Family

ID=4808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511A KR101656224B1 (ko) 2011-10-12 2012-10-11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40302171A1 (ko)
JP (1) JP6138048B2 (ko)
KR (1) KR101656224B1 (ko)
CN (2) CN108354102A (ko)
HK (1) HK1254518A1 (ko)
WO (1) WO2013054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5821A (zh) * 2014-06-27 2016-02-17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健康功能型饮料及其制备方法
JP6530646B2 (ja) * 2015-06-22 2019-06-12 株式会社ファンケル 頭皮の圧縮応力の評価方法
ES2638195B1 (es) 2016-04-18 2018-08-02 Bioiberica, S.A. Composiciones para la piel
JP6729895B2 (ja) * 2017-06-20 2020-07-29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脂質吸収抑制用剤
CN107183457A (zh) * 2017-06-27 2017-09-22 厦门友和邦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益生菌果汁饮料及其制备方法
JP7057150B2 (ja) * 2018-02-01 2022-04-19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内服液
WO2020027012A1 (ja) * 2018-07-30 2020-02-06 味の素株式会社 大豆蛋白質飲料
CN109988686A (zh) * 2019-04-10 2019-07-09 陕西杨凌长生生态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燕麦甜胚及饮料的制作方法
CN110140839A (zh) * 2019-06-28 2019-08-20 益倍(武汉)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谷胱甘肽的美白饮制备的方法
US20230096583A1 (en) * 2020-03-12 2023-03-30 Fordays Co., Ltd Health drink containing water-soluble nucleoprotein
CN112868953B (zh) * 2021-02-26 2023-07-21 玉林师范学院 一种激光辐照联合磁场酶解制备百香果果汁的方法
KR102456854B1 (ko) * 2021-05-26 2022-10-24 이용화 기능성 식품 제조용 원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 방법
CN113295802A (zh) * 2021-07-12 2021-08-24 千世泰生物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含透明质酸钠的液体饮料及其中透明质酸钠含量检测方法
JP7180935B1 (ja) * 2021-09-14 2022-11-30 プラス・レイ株式会社 液状飲料組成物
CN117076958A (zh) * 2023-10-17 2023-11-17 湖南半岛医疗科技有限公司 治疗参数推荐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867B1 (ko) * 2005-03-30 2007-03-02 포-데이즈 가부시키가이샤 건강 드링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9C (zh) * 1989-07-11 1994-01-05 杨振华 一种营养液的生产方法
JP3053900B2 (ja) 1991-02-27 2000-06-19 オリエンタル酵母工業株式会社 グルタチオンの安定化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飲料
JP3160335B2 (ja) 1991-11-26 2001-04-25 協和醗酵工業株式会社 グルタチオン含有飲料
JPH07177896A (ja) * 1993-12-22 1995-07-18 Kohjin Co Ltd アスコルビン酸を酸化する酵素を用いた酸化型グルタチオ ンの製法。
JPH08275752A (ja) 1995-04-07 1996-10-22 Riken Vitamin Co Ltd ストレス改善食品
JPH09224607A (ja) * 1996-02-21 1997-09-02 Soken:Kk ダイエット補助食品
WO1998030228A1 (en) * 1997-01-13 1998-07-16 Emory University Compounds and their combinations for the treatment of influenza infection
CN1381558A (zh) * 2002-04-26 2002-11-27 徐铁龙 营养保健饮品
JP3899436B2 (ja) * 2002-05-10 2007-03-28 フォーデイズ株式会社 水溶性核蛋白入り健康ドリンク
US6946551B2 (en) * 2003-03-12 2005-09-20 New Life Resources, Llc Preparation of hyaluronic acid from eggshell membrane
JP2005204504A (ja) 2004-01-20 2005-08-04 Fiburo Seiyaku Kk 田七人参、鬱金および蛇胆を原料とした若返り効果を有する顆粒状食品の製造方法
JPWO2006070453A1 (ja) * 2004-12-28 2008-06-12 フォーデイズ株式会社 健康ドリンク
TWM269318U (en) * 2004-12-28 2005-07-01 Winnie Steel Co Ltd Connection/snap-on structure for flat steel plate
JP2008056628A (ja) 2006-09-01 2008-03-13 Fancl Corp 睡眠誘導剤、ストレス性不眠症改善剤
JP2006348052A (ja) 2006-09-22 2006-12-28 Fancl Corp グルタチオン増強用組成物
JP2010030901A (ja) 2006-11-17 2010-02-12 Kaneka Corp ストレス症状の緩和または予防剤
CN101278736B (zh) * 2008-03-28 2014-05-07 西安力邦制药有限公司 一种适合亚洲人群营养支持的均衡肠内全营养制剂
JP5561845B2 (ja) 2008-09-25 2014-07-30 株式会社リンフォテック 内因性dhea−sを増加させるための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内因性dhea−sを増加させるための方法
CN102038262A (zh) * 2010-12-30 2011-05-04 东莞市德亨饮料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美容功能的玉米汁饮料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867B1 (ko) * 2005-03-30 2007-03-02 포-데이즈 가부시키가이샤 건강 드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54518A1 (zh) 2019-07-19
CN108354102A (zh) 2018-08-03
WO2013054525A1 (ja) 2013-04-18
JPWO2013054525A1 (ja) 2015-03-30
US20140302171A1 (en) 2014-10-09
CN103874431A (zh) 2014-06-18
JP6138048B2 (ja) 2017-06-07
KR20140051446A (ko) 2014-04-30
US20180344874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224B1 (ko) 시스테인 펩티드 함유 건강 음료
Bo et al. A high whey protein, vitamin D and E supplement preserves muscle mass,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in sarcopenic older adults: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alaguarnera et al. L-Carnitine treatment reduces severity of physical and mental fatigue and increases cognitive functions in centenarians: a randomized and controlled clinical trial
CN102209523B (zh) 抗妊娠纹活性剂以及包含其的组合物
US20160346266A1 (en) Reduction or prevention of alcohol reaction with dietary supplements
CN110913847A (zh) 用于延长寿命和健康期的制剂
EP2785420B1 (de) Kosmetische verwendung von kollagenhydrolysat
Gougeon et al. Effect of exogenous insulin on protein metabolism with differing nonprotein energy intake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P6482930B2 (ja) 皮膚化粧料および飲食品
Tsuchiya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oral intake of ceramide-containing acetic acid bacteria for improving the stratum corneum hydration: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ver 12 weeks
RU2657824C1 (ru) Способ биокоррекции преждевременного старения организма и кожи
Preuss et al. Fraction SX of maitake mushroom favorably influences blood glucose levels and blood pressur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EP3290041B1 (en) Oral care composition
EP2989903A1 (en) Food supplement for people with down syndrome, autism spectrum disorder and/or attention deficit disorder with or without hyperactivity
JP6096964B2 (ja) セラミド合成促進用飲食品
JP6858986B2 (ja) 美容組成物
JP2007500208A (ja) 慢性創傷の治療方法又は予防方法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ためのグリシン及び/又はロイシンを含む完全栄養組成物
US20120231071A1 (en) Natural product inhibitors of 3dg
Tsuchiya et al. Safety evaluation of the excessive intake of ceramide-containing acetic acid bacteria-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ver a 4-week period
JP4698983B2 (ja) ヒアルロン酸蓄積促進用組成物
Uekaji et al. Coenzyme Q10–gamma cyclodextrin complex is a powerful nutraceutical for anti-aging and health improvements
DK3006027T3 (en) Compositions comprising amino aci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ystemic inflammation associated with stroke in dysphagia patients
WO2014143192A1 (en) Reduction or prevention of alcohol reaction with dietary supplements
McNeal et al. The role of arginine for treating obese youth
RU2377009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способствующая снижению массы те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