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306B1 -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306B1
KR101651306B1 KR1020117012602A KR20117012602A KR101651306B1 KR 101651306 B1 KR101651306 B1 KR 101651306B1 KR 1020117012602 A KR1020117012602 A KR 1020117012602A KR 20117012602 A KR20117012602 A KR 20117012602A KR 101651306 B1 KR101651306 B1 KR 10165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rts
copolycarbonate
retard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841A (ko
Inventor
데츠야 모토요시
마사토시 안도
아키코 와시즈
Original Assignee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1073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3423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7641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06071B2/ja
Application filed by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3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6Aliphatic-aromatic or ar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1608Aliphatic-aromatic or ar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3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7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disper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광탄성이 낮고, 용융 가공성이 우수한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25 ∼ 90 몰% 의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58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이다.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이다. p 및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정수이다.] 로 나타내는 단위 (A) 및 10 ∼ 75 몰% 의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59

[식 중, Ra 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단고리 혹은 다고리의 지환 탄화수소기이고, 그 지환 탄화수소기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또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q 는 0 또는 1 이다.] 로 나타내는 단위 (B) 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하기 식 (1) R(450) < R(550) < R(650) (1) [단, R(450), R(550) 및 R(650) 은 각각 파장 450 ㎚, 550 ㎚, 6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Description

광학 필름{OPTICAL FILMS}
본 발명은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하는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광탄성 상수가 낮고, 내열성이 높고, 용융 가공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광학 필름은 위상차 필름,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위상차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사용되며, 색 보상, 시야각 확대, 반사 방지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λ/4 판, λ/2 판이 알려져 있으며, 그 재료로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재료로부터의 λ/4 판, λ/2 판은, 단파장일수록 위상차가 커진다는 성질이 있다. 그 때문에, λ/4 판, λ/2 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파장이 특정 파장에 한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광대역에서 파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위상차의 파장 의존성이 상이한 2 장 이상의 복굴절 필름을 특정 각도에서 적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이 방법은 복수의 위상차 필름을 첩합(貼合)시키는 공정, 첩합시키는 각도를 조정하는 공정 등이 필요해져 생산성에 문제가 있다. 또, 위상차 필름 전체의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어두워진다는 문제도 있다.
최근, 이와 같은 적층을 하지 않고, 1 장의 필름에 의해 광대역에서 파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이것은 정(正)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단위와, 부(負)의 굴절률 이방성을 갖는 단위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는, 플루오렌계 비스페놀 유래의 단위를 함유하기 때문에 용융 온도가 높아, 용융 가공할 때에 분해에 의한 겔물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높아, 필름의 연신 가공에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여, 종래와 다른 특별한 가공 설비를 필요로 한다. 또, 광탄성 상수가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커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광섬유, 광디스크 등에 사용하는, 지방족 디올을 사용한 광탄성 상수가 낮은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이미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그러나, 이 문헌에는 필름의 연신이나 파장 분산성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 이 문헌에 기재된 코폴리카보네이트의 광탄성 상수는, 위상차 필름이나 편광판의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추가적인 저감이 필요하다.
또, 플루오렌 성분 및 이소소르비드 성분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광탄성 상수가 낮은 위상차 필름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4).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는 3 원 공중합체이기 때문에, 파장 분산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3 성분의 조성 비율을 정밀하게 컨트롤할 필요가 있어,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또, 열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용융 가공시에 분자량이 저하되기 쉽다는 결점이 있다.
플루오렌계 비스페놀 골격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특허문헌 6). 또, 플루오렌계 비스페놀 골격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편광판 보호 필름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7). 그러나, 모두, 유리 전이 온도 (Tg) 가 높아 필름의 연신 가공에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하여, 종래와 다른 특별한 가공 설비를 필요로 한다. 또, 광탄성 상수가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커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120804호 일본 특허공보 제332556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67990호 국제 공개 제06/041190호 팜플렛 국제 공개 제01/009649호 팜플렛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23254호 일본 특허공보 제39953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광탄성이 낮고, 용융 가공성이 우수한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예의 검토한 결과, 측사슬에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디올과 특정 지방족 디올과의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위상차가 단파장이 될수록 작아지는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내고, 또한 광탄성 상수가 낮고, 또 용융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에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25 ∼ 90 몰% 의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1
[식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이다.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이다. p 및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정수이다.]
으로 나타내는 단위 (A) 및 10 ∼ 75 몰% 의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2
[식 중, Ra 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단고리 혹은 다고리의 지환 탄화수소기이고, 그 지환 탄화수소기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또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q 는 0 또는 1 이다.]
으로 나타내는 단위 (B) 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고, 하기 식 (1)
R(450) < R(550) < R(650) (1)
[단, R(450), R(550) 및 R(650) 은 각각 파장 450 ㎚, 550 ㎚, 6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위상차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그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단위 (A) 및 단위 (B) 로 이루어지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단위 (A))
단위 (A)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3
단위 (A)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탄화수소기로서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 10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 원자수 6 ∼ 10 의 아릴기, 탄소 원자수 7 ∼ 10 의 아르알킬기,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서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수 1 ∼ 10 의 탄화수소기이다. 탄화수소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 10 의 알킬렌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수 1 ∼ 4 의 알킬렌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이다.
p 및 q 는 각각 -(R3-O)- 및 -(O-R4)- 의 반복의 수를 나타낸다. p 및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 20 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 12 의 정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 ∼ 8 의 정수, 특히 바람직하게는 0 ∼ 4 의 정수,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 이다.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 4 의 정수이다.
(단위 (A1))
단위 (A) 로서, p 및 q 가 0 인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A1) 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4
식 중, R1, R2, m, n 은 단위 (A) 와 동일하다.
단위 (A1) 로서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sec-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tert-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플루오렌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 단위 (A1) 을 유도하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단위 (A2))
단위 (A) 로서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으로부터 유도되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A2) 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5
단위 (A2) 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그 10 g 을 에탄올 50 ㎖ 에 용해시킨 용액을 광로 길이 30 ㎜ 에서 측정한 b 값이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이 b 값이 상기 범위 내이면, 코폴리카보네이트로 형성되는 광학 필름은 색상이 양호하고 강도가 높다.
단위 (A2) 의 원료인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은, o-크레졸과 플루오레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b 값이 작은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은, 불순물을 제거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o-크레졸과 플루오레논의 반응 후에, 미반응 o-크레졸을 증류 제거한 후, 잔사를 알코올계, 케톤계 또는 벤젠 유도체계 용매에 용해시키고, 이것에 활성 백토 또는 활성탄을 첨가하여 여과 후, 여과액으로부터 결정화시킨 생성물을 여과하여, 정제된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을 얻을 수 있다. 제거되는 불순물으로는, 2,4'-디하이드록시체, 2,2'-디하이드록시체 및 구조가 불분명한 불순물 등이다. 이러한 정제에 사용하는 알코올계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케톤계 용매로는,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저급 지방족 케톤류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벤젠 유도체계 용매로는, 톨루엔, 자일렌, 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사용량은 플루오렌 화합물이 충분히 용해되는 양이면 충분하고, 통상적으로 플루오렌 화합물에 대해 2 ∼ 10 배량 정도이다. 활성 백토로는 시판되고 있는 분말 형상 또는 입상의 실리카-알루미나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사용된다. 또, 활성탄으로는 시판되고 있는 분말 형상 또는 입상인 것이 사용된다.
(단위 (A3))
단위 (A) 로서 p 및 q 가 1 이상의 정수인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A3) 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6
식 중, R1, R2, m, n, R3, R4 는, 단위 (A) 와 동일하다. p 및 q 는 각각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1 ∼ 20 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2 의 정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 ∼ 8 의 정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4 의 정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이다.
단위 (A3) 으로서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4-하이드록시부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2-(2-하이드록시에톡시)-5-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1-메틸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하이드록시프로폭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4-하이드록시부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2,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에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이소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n-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이소부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비스(1-메틸프로필)페닐]플루오렌, 9,9-비스[4-(3-하이드록시프로폭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4-하이드록시부톡시)-3,5-디메틸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시클로헥실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벤질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5-디벤질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프로페닐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플루오로페닐]플루오렌, 및 이들의 9,9-비스(하이드록시알콕시페닐)플루오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또, p 및 q 가 2 이상인 9,9-비스[하이드록시폴리(알킬렌옥시)페닐]플루오렌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3-메틸페닐]플루오렌}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단위 (A3) 을 유도하는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단위 (A3) 을 유도하는 화합물은, 9,9-비스(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류와, 기 R3 및 R4 에 대응하는 화합물 (알킬렌옥사이드, 할로알칸올 등) 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예를 들어,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은,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에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함으로써 얻어진다. 9,9-비스[4-(3-하이드록시프로폭시)페닐]플루오렌은, 예를 들어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과 3-클로로프로판올을 알칼리 조건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9,9-비스(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은, 플루오레논(9-플루오레논 등) 과 대응하는 페놀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은, 예를 들어 페놀과 9-플루오레논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단위 (A4))
단위 (A3) 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BPEF) 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A4) 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7
단위 (A1) 또는 단위 (A2) 를 함유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단위 (A3) 또는 단위 (A4) 를 함유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비해 내열성이 우수하고, 광탄성 상수도 낮기 때문에, 열에 의한 얼룩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단위 (B))
단위 (B)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8
식 중, Ra 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단고리 혹은 다고리의 지환 탄화수소기이고, 그 지환 탄화수소기는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또 가교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q 는 0 또는 1 이다.
Ra 로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알킬렌기를 들 수 있다. 시클로알킬렌기로서, 시클로부틸렌기,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시클로헥실렌기, 시클로옥틸렌기, 시클로데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09
[식 중, R7 은 탄소 원자수 1 ∼ 12 의 알킬기,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Ra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0
Ra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시클로데칸-디일기, 펜타시클로데칸-디일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1
[식 중, r 은 0 또는 1 이다.]
Ra 로서 데칼린-디일기 등의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2
[식 중, s 는 0 또는 1 이다.]
Ra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가교 구조를 갖는 노르보르넨-디일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3
Ra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가교 구조를 갖는 아다만탄-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4
Ra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헤테로 원자를 갖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5
헤테로 원자로는, 산소, 질소, 인, 황 원자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헤테로 원자로는, 산소, 질소 및 황 원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소 원자이다.
단위 (B) 의 Ra 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시클로알킬렌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시클로알콕실렌기,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6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 (식 중, r 및 s 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이다.)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시클로알킬렌기로서, 시클로부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시클로옥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 3 의 알킬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4 ∼ 20 의 시클로알콕실렌기로서, 시클로부톡실렌기, 시클로헥실옥실렌기, 시클로옥틸옥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 3 의 알킬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단위 (B) 로서 q 가 1 인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a), 및 q 가 0 인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b) 가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7
(Ra 는 단위 (B) 와 동일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8
[Ra 는 단위 (B) 와 동일하다.]
(단위 (B1))
단위 (B)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1) 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19
단위 (B1) 은 에테르 디올 유래의 단위이고, 그 에테르 디올로서, 구체적으로는 각각 입체 이성체의 관계에 있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이소소르비드 유래의 단위 (B1-1), 이소만니드 유래의 단위 (B1-2), 이소이디드 유래의 단위 (B1-3) 이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0
이들 당질 유래의 에테르 디올은, 자연계의 바이오매스로부터도 얻어지는 물질로서, 재생 가능 자원이라고 불리는 것 중의 1 개이다. 이소소르비드는, 전분으로부터 얻어지는 D-글루코오스에 수첨한 후, 탈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그 밖의 에테르 디올에 대해서도, 출발 물질을 제외하고 동일한 반응에 의해 얻어진다.
특히, 단위가 이소소르비드(1,4ㆍ3,6-디안하이드로-D-소르비톨) 유래의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소르비드는 전분 등으로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에테르 디올로서, 자원으로서 풍부하게 입수할 수 있는 데다가, 이소만니드나 이소이디드와 비교해도 제조의 용이함, 성질, 용도의 폭이 넓은 등 모두에 있어서 우수하다.
(단위 (B2))
단위 (B)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2) 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1
(단위 (B3))
단위 (B)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3) 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2
(단위 (B4))
단위 (B) 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B4) 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3
따라서, 코폴리카보네이트가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4
으로 나타내는 단위 (A2) 및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5
으로 나타내는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폴리카보네이트가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6
으로 나타내는 단위 (A4) 및 하기 식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7
으로 나타내는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비)
코폴리카보네이트 중의 단위 (A) 의 함유량은 25 ∼ 90 몰%, 바람직하게는 30 ∼ 90 몰% 이다. 단위 (B) 의 함유량은 10 ∼ 75 몰%, 바람직하게는 10 ∼ 70 몰% 이다.
단위 (A) 의 함유량이 25 몰% 미만인 경우, 코폴리카보네이트의 파장 분산성이 역분산성은 아니게 되어, 광학 특성에 문제가 있다. 단위 (A) 의 함유량이 90 몰% 를 초과하면,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가공성에 문제가 있다. 또, 광탄성 상수가 30 × 10-12-1 을 초과한다. 또, 조성비는 주입비와 중합 후의 조성비의 차를 0.5 몰% 이내, 바람직하게는 0.3 몰% 이내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0.5 몰% 를 초과하는 경우, 파장 분산성이 크게 변화하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있다. 단위 (A) 및 단위 (B) 의 함유량은, 닛폰 전자사 제조의 JNM-AL400 의 프로톤 NMR 로 측정하여 산출한다.
단위 (A) 및 단위 (B) 의 함유량의 조정은, 단위 (A) 및 단위 (B) 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에, 단위 (A) 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나 단위 (B) 만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블렌드하는 것에 의해서도 실시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 : Tg)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바람직하게는 100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 ∼ 2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 180 ℃ 의 범위이다.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00 ℃ 보다 낮으면 내열 안정성이 떨어져, 위상차값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여 표시 품위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또, 유리 전이 온도 (Tg) 가 200 ℃ 보다 높으면, 용융 중합할 때에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곤란해진다. 유리 전이 온도 (Tg) 는 TA 인스트루먼트 재팬 (주) 제조의 2910 형 DSC 를 사용하여, 승온 속도 20 ℃/분에서 측정한다.
(광탄성 상수)
코폴리카보네이트의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30 × 10-12-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 10-12-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10-12-1 이하이다. 절대값이 30 × 10-12-1 보다 크면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커서,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광탄성 상수는 필름으로부터 길이 50 ㎜, 폭 1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닛폰 분광 (주) 제조의 Spectroellipsometer M-220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코폴리카보네이트는 플루오렌디하이드록시 성분, 지방족 디올 성분 및 탄산디에스테르를 용융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플루오렌디하이드록시 성분은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8
[식 중, R1, R2, R3, R4, m, n, p, q 는 단위 (A) 와 동일하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29
[식 중, R7 은 탄소 원자수 1 ∼ 12 의 알킬기,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펜타시클로데칸디메탄올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0
[식 중, r 은 0 또는 1 이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6-데칼린디메탄올, 1,5-데칼린디메탄올, 2,3-데칼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1
[식 중, s 는 0 또는 1 이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3-노르보르난디메탄올, 2,5-노르보르난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2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3-아다만탄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3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2-시클로헥산디올, 1,3-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4
[식 중, R8 은 탄소 원자수 1 ∼ 12 의 알킬기, 수소 원자를 나타낸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시클로데칸디올, 펜타시클로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5
[식 중, r 은 0 또는 1 이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6-데칼린디올, 1,5-데칼린디올, 2,3-데칼린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6
[식 중, s 는 0 또는 1 이다.]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2,3-노르보르난디올, 2,5-노르보르난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7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3-아다만탄디올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8
지방족 디올 성분으로서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헤테로 원자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39
탄산디에스테르로서 치환되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6 ∼ 12 의 아릴기, 아르알킬기 등의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페닐카보네이트, 디톨릴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및 비스(m-크레실)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특히 디페닐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디페닐카보네이트의 사용량은,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합계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97 ∼ 1.1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6 몰이다.
또, 용융 중합법에 있어서는 중합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중합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 촉매로는,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 함질소 화합물,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는,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의, 유기산염, 무기염, 산화물, 수산화물, 수소화물, 알콕사이드, 4 급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화합물은 단독 혹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세슘, 수산화리튬,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리튬,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륨, 아세트산세슘, 아세트산리튬,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칼륨, 스테아르산세슘, 스테아르산리튬, 수소화붕소나트륨,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벤조산세슘, 벤조산리튬, 인산수소2나트륨, 인산수소2칼륨, 인산수소2리튬, 페닐인산2나트륨을 들 수 있다. 또, 비스페놀 A 의 2나트륨염, 2칼륨염, 2세슘염, 2리튬염을 들 수 있다. 또, 페놀의 나트륨염, 칼륨염, 세슘염, 리튬염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스트론튬, 수산화바륨,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스트론튬, 탄산발륨, 2아세트산마그네슘, 2아세트산칼슘, 2아세트산스트론튬, 2아세트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함질소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트리메틸벤질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등의 알킬, 아릴기 등을 갖는 4 급 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류를 들 수 있다. 또, 트리에틸아민, 디메틸벤질아민, 트리페닐아민 등의 3 급 아민류, 2-메틸이미다졸, 2-페닐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등의 이미다졸류를 들 수 있다. 또, 암모니아, 테트라메틸암모늄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테트라페닐암모늄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의 염기 혹은 염기성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화합물로는 아연알루미늄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망간 화합물, 티탄 화합물, 지르코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1 종 또는 2 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합 촉매의 사용량은, 디올 성분 1 몰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 10-9 ∼ 1 × 10-2 당량, 바람직하게는 1 × 10-8 ∼ 1 × 10-3 당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10-7 ∼ 1 × 10-3 당량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용융 중축합 반응은, 종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 및 감압하에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생성되는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유출(留出)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120 ∼ 350 ℃ 의 범위이고, 반응 후기에는 계(系)의 감압도를 10 ∼ 0.1 Torr 로 높여 생성되는 모노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여 반응을 완결시킨다. 필요에 따라 말단 정지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또, 반응 후기에 촉매 실활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촉매 실활제로는 공지된 촉매 실활제가 유효하게 사용되지만, 이 중에서도 술폰산의 암모늄염, 포스포늄염이 바람직하다.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 등의 도데실벤젠술폰산의 염류, 파라톨루엔술폰산테트라부틸암모늄염 등의 파라톨루엔술폰산의 염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술폰산의 에스테르로서, 벤젠술폰산메틸, 벤젠술폰산에틸, 벤젠술폰산부틸, 벤젠술폰산옥틸, 벤젠술폰산페닐, 파라톨루엔술폰산메틸, 파라톨루엔술폰산에틸, 파라톨루엔술폰산부틸, 파라톨루엔술폰산옥틸, 파라톨루엔술폰산페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촉매 실활제의 사용량은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또는 알칼리 토금속 화합물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중합 촉매를 사용한 경우, 그 촉매 1 몰당 바람직하게는 0.5 ∼ 50 몰의 비율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몰의 비율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 5 몰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용도나 필요에 따라 열안정제, 가소제, 광안정제, 중합 금속 불활성화제, 난연제, 활제, 대전 방지제, 계면 활성제, 항균제, 자외선 흡수제, 이형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용액 캐스트법, 용융 압출법, 열 프레스법, 캘린더법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융 압출법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법에 있어서는, T 다이를 사용하여 수지를 압출 냉각 롤로 보내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때의 온도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Tg, 용융 유동 특성 등으로부터 결정되지만 180 ∼ 350 ℃ 의 범위이고, 200 ℃ ∼ 320 ℃ 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180 ℃ 보다 낮으면 점도가 높아져, 폴리머의 배향, 응력 변형이 남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또, 350 ℃ 보다 높으면, 열 열화, 착색, T 다이로부터의 다이 라인 (줄무늬)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는,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용액 캐스트법도 적용할 수 있다. 용액 캐스트법의 경우에는, 용매로는 염화메틸렌, 1,2-디클로로에탄, 1,1,2,2-테트라클로로에탄, 디옥솔란, 디옥산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용액 캐스트법에서 사용되는 필름 중의 잔류 용매량은 2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하이다. 2 중량% 를 초과하면 잔류 용매가 많아지는 것과,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의 저하가 현저해져 내열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미연신 필름의 두께로는 30 ∼ 400 ㎛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300 ㎛ 의 범위이다. 이러한 필름을 더욱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으로 하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의 원하는 위상차값, 두께를 감안하여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미연신 필름은 연신 배향되어 위상차 필름이 된다. 연신 방법은 세로 1 축 연신, 텐터 등을 사용하는 가로 1 축 연신, 혹은 그것들을 조합한 동시 2 축 연신, 축차 2 축 연신 등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연속으로 실시하는 것이 생산성 면에서 바람직하지만, 배치식으로 실시해도 된다. 연신 온도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유리 전이 온도 (Tg)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Tg - 20 ℃) ∼ (Tg + 50 ℃) 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Tg - 10 ℃) ∼ (Tg + 30 ℃) 의 범위이다. 이 온도 범위이면, 폴리머의 분자 운동이 적당하고, 연신에 의한 완화가 잘 일어나지 않고, 배향 억제가 용이해져 원하는 면내 위상차가 얻어지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값에 따라 결정되지만, 세로, 가로 각각 1.05 ∼ 5 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 4 배이다. 이 연신은 1 단으로 실시해도 되고, 다단으로 실시해도 된다. 또한, 용액 캐스트법에 의해 얻은 필름을 연신하는 경우의 상기 Tg 란, 그 필름 중의 미량의 용매를 함유하는 유리 전이 온도를 말한다.
(파장 분산성)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파장 400 ∼ 800 ㎚ 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 필름면내의 위상차가 단파장이 될수록 작아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즉, 하기 식 (1)
R(450) < R(550) < R(650) (1)
을 만족한다. 단, R(450), R(550) 및 R(650) 은 각각 파장 450 ㎚, 550 ㎚, 6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여기서 면내의 위상차값 (R) 이란 하기 식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필름에 수직 방향으로 투과하는 광의 X 방향과 그것과 수직인 Y 방향의 위상의 지연을 나타내는 특성이다.
R = (nx - ny) × d
단, nx 는 필름면내의 주(主)연신 방향의 굴절률이고, ny 는 필름면내의 주연신 방향과 수직 방향의 굴절률이며, d 는 필름의 두께이다. 여기서, 주연신 방향이란 1 축 연신의 경우에는 연신 방향, 2 축 연신의 경우에는 보다 배향도가 높아지도록 연신한 방향을 의미하고 있으며, 화학 구조적으로는 고분자 주사슬의 배향 방향을 가리킨다.
(두께 등)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2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150 ㎛ 의 범위이다. 이 범위이면, 연신에 의한 원하는 위상차값이 얻어지기 쉽고, 제막도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이것을 구성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의 광탄성 상수가 낮다. 따라서, 응력에 대한 위상차의 변화가 적어, 이러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는 표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투명성이 높다. 두께 100 ㎛ 의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전광선 투과율이, 바람직하게는 8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8 % 이상이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헤이즈값은,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위상차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름과 편광층으로 이루어지는 원 편광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원 편광 필름을 반사 방지 필름으로서 사용한 표시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
본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양태로서 이하의 필름 (Ⅰ) ∼ 필름 (Ⅵ) 을 들 수 있다.
(필름 (Ⅰ), (Ⅲ) 및 (Ⅴ))
필름 (Ⅰ), (Ⅲ) 및 (Ⅴ)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A2) 및 하기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0
(필름 (Ⅰ))
(조성비)
필름 (Ⅰ)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25 몰% 이상 40 몰% 미만의 단위 (A2) 및 60 몰% 를 초과하고 75 몰% 이하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25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30 몰% 이상 40 몰% 미만의 단위 (A2) 및 60 몰% 를 초과하고 70 몰% 이하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30 몰% 를 초과하고 40 몰% 미만인 단위 (A2) 및 60 몰% 를 초과하고 70 몰% 미만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
필름 (Ⅰ) 은, 하기 식 (2) 및 (3)
0 < R(450)/R(550) < 1 (2)
1.01 < R(650)/R(550) < 2 (3)
을 만족하는, 이른바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필름이다. 필름 (Ⅰ) 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위상차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름 (Ⅰ)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6 < R(450)/R(550) < 1 (2-1)
1.01 < R(650)/R(550) < 1.40 (3-1)
필름 (Ⅰ) 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65 < R(450)/R(550) < 0.92 (2-2)
1.01 < R(650)/R(550) < 1.30 (3-2)
필름 (Ⅰ) 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7 < R(450)/R(550) < 0.91 (2-3)
1.03 < R(650)/R(550) < 1.20 (3-3)
필름 (Ⅰ) 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 (R(550)) 은, R(55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Ⅰ) 은 적층하지 않고 1 장으로 광대역의 λ/4 판 또는 λ/2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λ/4 판의 경우에는 100 ㎚ < R(550) < 180 ㎚, λ/2 판의 경우에는 220 ㎚ < R(550) < 3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 (Ⅰ) 은, 하기 식 (8) ∼ (1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15 (8)
|R(700)/R(550) - 700/550| < 0.25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5 (10)
[단, R(400), R(550) 및 R(700) 은 각각 파장 400 ㎚, 550 ㎚, 70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필름 (Ⅰ) 은, 하기 식 (8)', (9)' 및 (10)'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10 (8)'
|R(700)/R(550) - 700/550| < 0.23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47 (10)'
필름 (Ⅰ) 은, 하기 식 (8)", (9)" 및 (10)" 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05 (8)"
|R(700)/R(550) - 700/550| < 0.21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45 (10)"
상기 식 (8), (9), (10) 은 위상차 필름을 광대역화하기 위한 식이다. 보다 광대역화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의 넓은 범위에서 하기 식
R(λ) = cλ
(여기서, R(λ) 는 측정 파장 λ (㎚) 에 있어서의 위상차값 (㎚), c 는 c > 0 인 상수이다. λ 의 범위는 400 ㎚ ≤ λ ≤ 800 ㎚ 이다.)
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단파장측에서는 파장 400 ㎚, 장파장측에서는 파장 700 ㎚ 의 값을 지표로 하였다.
필름 (Ⅰ) 은, 식 (8), (9) 및 (10) 을 만족할 때에, 반사 모드에 있어서의 크로스 니콜화에서의 흑색이 뚜렷해져서, 시인성이 우수하다.
|R(400)/R(550) - 400/550| 이 0.15 이상인 경우에는, 단파장측에서 광 누설이 발생하여 문제이다. 또, |R(700)/R(550) - 700/550| 이 0.25 이상인 경우에는, 장파장측에서 광 누설이 발생하여 문제이다. 또한,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가 0.05 이상인 경우에는, 가시광의 범위 내에서 광 누설이 발생한다.
그 필름의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 (R(550)) 은, R(550) > 5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필름은 적층하지 않고 1 장으로 광대역의 λ/4 판 또는 λ/2 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λ/4 판의 경우에는 100 ㎚ < R(550) < 180 ㎚, λ/2 판의 경우에는 220 ㎚ < R(550) < 330 ㎚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은, 필름으로부터 길이 100 ㎜, 폭 7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Tg + 10 ℃ 의 연신 온도에서 2.0 배 세로 연신하고, 얻어진 필름을 닛폰 분광 (주) 제조의 Spectroellipsometer M-220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위상차 발현성)
또, 필름 (Ⅰ) 은, 위상차 발현성 (Δn) 이 하기 식 (11)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 Δn > 0.003 (11)
(Δn = R(550) (㎚)/두께 (㎚))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 를 만족한다.
0.1 > Δn > 0.0033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 를 만족한다.
0.05 > Δn ≥ 0.0037 (11)"
위상차 발현성 (Δn) 이 0.0037 이상이면, λ/4 판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필름 (Ⅲ))
(조성비)
필름 (Ⅲ)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40 몰% 이상 60 몰% 미만의 단위 (A2) 및 40 몰% 를 초과하고 60 몰% 이하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25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45 ∼ 55 몰% 의 단위 (A2) 및 55 ∼ 45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
필름 (Ⅲ) 은 이하의 (4) ∼ (6) 의 조건을 만족한다.
-30 < R(450) < 0 (4)
-10 < R(550) < 10 (5)
0 < R(650) < 30 (6)
필름 (Ⅲ) 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20 < R(450) < 0 (4-1)
-5 < R(550) < 5 (5-1)
0 < R(650) < 20 (6-1)
필름 (Ⅲ) 은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 필름 (Ⅲ) 은 낮은 광학 이방성을 갖는다. 즉, 필름 (Ⅲ) 은 파장 400 ∼ 800 ㎚ 에 있어서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값이 제로에 가깝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의 보호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필름 (Ⅴ))
(조성비)
필름 (Ⅴ)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60 ∼ 90 몰% 의 단위 (A2) 및 10 ∼ 40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30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65 ∼ 90 몰% 의 단위 (A2) 및 10 ∼ 35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
필름 (Ⅴ) 는,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R(450) < R(550) < R(650) < 0 (7)
(위상차 발현성)
필름 (Ⅴ) 는, 위상차 발현성 (Δn) 이 하기 식 (1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 Δn > -0.3 (12)
(Δn = R(550) (㎚)/두께 (㎚))
또한,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5 > Δn > -0.05 (12)'
필름 (Ⅴ) 는 부의 복굴절성을 갖기 때문에, 인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위상차 필름에 적합하다.
(필름 (Ⅱ), (Ⅳ) 및 (Ⅵ))
필름 (Ⅱ), (Ⅳ) 및 (Ⅵ) 은,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단위 (A4) 및 하기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필름이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1
(필름 (Ⅱ))
(조성비)
필름 (Ⅱ)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25 몰% 이상 65 몰% 미만의 단위 (A4) 및 35 몰% 를 초과하고 75 몰% 이하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25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30 ∼ 60 몰% 의 단위 (A4) 및 40 ∼ 70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위상차 발현성)
필름 (Ⅱ) 는, 하기 식 (2) 및 (3)
0 < R(450)/R(550) < 1 (2)
1.01 < R(650)/R(550) < 2 (3)
을 만족하는, 이른바 역파장 분산성을 나타내는 필름이다. 필름 (Ⅱ) 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위상차 필름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필름 (Ⅱ)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6 < R(450)/R(550) < 1 (2-1)
1.01 < R(650)/R(550) < 1.40 (3-1)
필름 (Ⅱ) 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65 < R(450)/R(550) < 0.92 (2-2)
1.01 < R(650)/R(550) < 1.30 (3-2)
필름 (Ⅱ) 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0.7 < R(450)/R(550) < 0.91 (2-3)
1.03 < R(650)/R(550) < 1.20 (3-3)
필름 (Ⅱ) 는, 하기 식 (8) ∼ (10) 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15 (8)
|R(700)/R(550) - 700/550| < 0.25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5 (10)
[단, R(400), R(550) 및 R(700) 은 각각 파장 400 ㎚, 550 ㎚, 70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필름 (Ⅱ) 는, 하기 식 (8)', (9)' 및 (10)' 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10 (8)'
|R(700)/R(550) - 700/550| < 0.23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47 (10)'
필름 (Ⅱ) 는, 하기 식 (8)", (9)" 및 (10)" 를 만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400)/R(550) - 400/550| < 0.05 (8)"
|R(700)/R(550) - 700/550| < 0.21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45 (10)"
(위상차 발현성)
필름 (Ⅱ) 는, 위상차 발현성 (Δn) 이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 Δn > 0.002
(Δn = R(550) (㎚)/두께 (㎚))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 를 만족한다.
0.1 > Δn > 0.002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11)" 를 만족한다.
0.05 > Δn > 0.0023
(필름 (Ⅳ))
(조성비)
필름 (Ⅳ)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65 몰% 이상 82 몰% 미만의 단위 (A4) 및 18 몰% 를 초과하고 35 몰% 이하인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25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폴리카보네이트는 65 ∼ 80 몰% 의 단위 (A4) 및 20 ∼ 35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
필름 (Ⅳ) 는 이하의 (4) ∼ (6) 의 조건을 만족한다.
-30 < R(450) < 0 (4)
-10 < R(550) < 10 (5)
0 < R(650) < 30 (6)
필름 (Ⅳ)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20 < R(450) < 0 (4-1)
-5 < R(550) < 5 (5-1)
0 < R(650) < 20 (6-1)
필름 (Ⅳ) 는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 필름 (Ⅳ) 는 낮은 광학 이방성을 갖는다. 즉, 필름 (Ⅳ) 는, 파장 400 ∼ 800 ㎚ 에 있어서 필름의 면내의 위상차값이 제로에 가깝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의 편광판의 보호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필름 (Ⅵ))
(조성비)
필름 (Ⅵ) 의 코폴리카보네이트는 82 ∼ 90 몰% 의 단위 (A4) 및 10 ∼ 18 몰% 의 식 (B1) ∼ (B4) 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단위 (Bi) 를 포함하고, 광탄성 상수의 절대값이 30 × 10-12-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 분산성)
필름 (Ⅵ) 은, 바람직하게는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R(450) < R(550) < R(650) < 0 (7)
(위상차 발현성)
필름 (Ⅵ) 은, 위상차 발현성 (Δn) 이 하기 식 (12) 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 Δn > -0.3 (12)
(Δn = R(550) (㎚)/두께 (㎚))
필름 (Ⅵ) 은 부의 복굴절성을 갖기 때문에, 인플레인 스위칭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위상차 필름에 적합하다.
(용도)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위상차 필름, 플라스틱 셀 기판 필름, 편광판 보호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휘도 상승 필름, 광디스크의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등에 사용된다. 특히, 위상차 필름, 편광판 보호 필름, 반사 방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란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사용 수지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1. 광탄성 상수 측정
필름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길이 50 ㎜, 폭 1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닛폰 분광 (주) 제조의 Spectroellipsometer M-220 을 사용하여 광탄성 상수를 측정하였다.
2. 위상차, 파장 분산성 측정
필름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길이 100 ㎜, 폭 7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Tg + 10 ℃ 의 연신 온도에서 2.0 배 세로 연신하고, 얻어진 필름을 닛폰 분광 (주) 제조의 Spectroellipsometer M-220 을 사용하여 위상차,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3. Tg (유리 전이 온도) 측정
TA 인스트루먼트 재팬 (주) 제조의 2910 형 DSC 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승온 속도 20 ℃/분에서 측정하였다.
4. 폴리머 조성비 (NMR)
닛폰 전자사 제조의 JNM-AL400 의 프로톤 NMR 로 측정하여 폴리머 조성비를 산출하였다.
5. 점도 평균 분자량
점도 평균 분자량은 염화메틸렌 100 ㎖ 에 코폴리카보네이트 0.7 g 을 용해시켜 20 ℃ 의 용액에서 측정하였다. 구한 비점도 (ηsp) 를 다음 식에 삽입하여 구하였다.
ηsp/c = [η] + 0.45 × [η]2c (단, [η] 는 극한 점도)
[η] = 1.23 × 10-4M0 .83
c = 0.7
6. 콘트라스트 평가
시판되고 있는 반사형 VA 액정 패널의 양측의 편광판을 박리하여, 제작한 필름에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이방층을 형성하고, 편광판과 적층한 것을 제작한 필름의 광학 이방층이 패널측이 되도록 점착제를 사용하여 첩합하여 액정 패널을 얻었다. 이 액정 패널의 반사시의 표시 화면의 콘트라트가 양호한 순으로 ○,△, × 로 하였다.
실시예 1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이소소르비드 (이하, ISS 라고 약기한다) 72.32 부,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이하, BCF 라고 약기한다) 80.2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 및 촉매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1.8 × 10-2 부와 수산화나트륨 1.6 × 10-4 부를 질소 분위기하 18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켰다. 그 후, 30 분에 걸쳐 감압도를 13.4 ㎪ 로 조정하였다. 그 후, 60 ℃/시간의 속도로 260 ℃ 까지 승온시키고, 10 분간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1 시간에 걸쳐 감압도를 133 ㎩ 이하로 하였다. 합계 6 시간 교반하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촉매량의 4 배몰의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을 첨가하여 촉매를 실활시킨 후,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질소 가압하에서 토출시키고, 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펠릿타이저로 커팅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600 이었다.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CF/ISS = 29.8/70.2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2 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주) 테크노벨 제조의 15 ㎜φ 2 축 압출기에 폭 150 ㎜, 립 폭 500 ㎛ 의 T 다이와 필름 인취 장치를 장착하여, 얻어진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필름 성형함으로써 투명한 압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의 두께 68 ± 0.8 ㎛ 인 부분으로부터 50 ㎜ × 10 ㎜ 사이즈의 샘플을 잘라내고, 그 샘플을 사용하여 광탄성 상수 (Tg) 를 측정하였다. 또, 동일하게 하여 잘라낸 길이 100 ㎜ × 폭 70 ㎜ 사이즈의 샘플을 196 ℃ (Tg + 10 ℃) 에서 길이 방향으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6 ㎜, 두께 49 ㎛ 의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연신 필름의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68.19 부, BCF 90.9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2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CF/ISS = 33.7/67.3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3 으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9 중량% 인 도프를 제작하였다. 이 도프 용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캐스트 필름 (두께 68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의 두께 80 ± 0.8 ㎛ 인 부분으로부터 50 ㎜ × 10 ㎜ 사이즈의 샘플을 잘라내고, 그 샘플을 사용하여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48 ㎛ 의 연신 필름을 얻었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72.32 부,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이하, BPEF 라고 약기한다) 93.09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6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PEF/ISS = 29.8/70.2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2 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3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4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61.99 부, BPEF 124.12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4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PEF/ISS = 39.8/60.2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2 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4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4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51.66 부, BPEF 155.15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0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PEF/ISS = 49.8/50.2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2 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2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2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41.33 부, BPEF 186.18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2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PEF/ISS = 59.7/40.3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3 으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3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3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3 으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51.66 부, BCF 133.7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8,9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9 중량% 의 도프를 제작하였다. 이 도프 용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캐스트 필름 (두께 81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2 ㎛ 의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30.99 부, BPEF 217.21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0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3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3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20.66 부, BPEF 248.2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2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1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2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15.5 부, BCF 227.36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6,5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9 중량% 의 도프를 제작하였다. 이 도프 용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캐스트 필름 (두께 80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3 ㎛ 의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10.33 부, BPEF 279.27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지방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9,2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85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65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BPA) 1,775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3.5 부를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7,925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52.6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파우더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5,5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얻어진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15 ㎜φ 2 축 압출기에 의해 펠릿화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58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6 ㎜, 두께 41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표 2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계수가 80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 파장 분산성이 정분산이기 때문에, 광대역에서 λ/4 가 되지 않아, 탈색 등이 문제가 된다.
비교예 2
<방향족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BPA) 585 부,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1,969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4.5 부를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6,604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70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파우더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38,2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BPA/BCF = 32.8/67.2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2 로 작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141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계수, Tg 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6 ㎜, 두께 100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2 로 작기 때문에, 파장 분산에는 영향이 나오지 않았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계수가 44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비교예 3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ISS 7.67 부, 스피로글리콜 (이하, SPG 라고 약기한다) 24.2 부, BCF 6.81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32.45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펠릿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16,300 이었다. 또,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조성비는 ISS/SPG/BCF = 34.6/52.6/12.8 이고, 주입비와의 차는 0.8 로 컸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78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상수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7 ㎜, 두께 48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콘트라스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성비와 주입비의 차가 0.8 로 크기 때문에, 파장 분산을 제어하기 곤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방향족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BPA) 461 부,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2,175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4.5 부를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6,604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70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방향족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파우더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38,200 이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164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상수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6 ㎜, 두께 100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상수가 42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비교예 5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BPA) 337 부,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2,280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4.5 부를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6,604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70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NMR 로부터 조성비를 측정하였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 (두께 164 (± 0.8) ㎛) 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광탄성 상수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필름에 대해서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길이 200 ㎜ × 폭 56 ㎜, 두께 100 ㎛ 의 연신 필름을 얻어,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상수가 38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2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3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4
참고예 1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이하, CHDM 이라고 약기한다) 103.31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 및 촉매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1.8 × 10-2 부와 수산화나트륨 1.6 × 10-4 부를 질소 분위기하 18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켰다. 그 후, 30 분에 걸쳐 감압도를 13.4 ㎪ 로 조정하였다. 그 후, 60 ℃/시간의 속도로 240 ℃ 까지 승온시키고, 10 분간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1 시간에 걸쳐 감압도를 133 ㎩ 이하로 하였다. 합계 6 시간 교반하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촉매량의 4 배몰의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을 첨가하여 촉매를 실활시킨 후,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질소 가압하에서 토출시키고, 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펠릿타이저로 커팅하여 펠릿을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주) 테크노벨 제조의 15 ㎜φ 2 축 압출기에 폭 150 ㎜, 립 폭 500 ㎛ 의 T 다이와 필름 인취 장치를 장착하여, 얻어진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필름 성형함으로써 투명한 압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잘라낸 샘플의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마찬가지로 잘라낸 샘플을 51 ℃ (Tg + 10 ℃) 에서 길이 방향으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연신 필름의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고예 2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탄올 (이하, TCDDM 이라고 약기한다) 138.9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고예 3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디옥산글리콜 (이하, DOG 라고 약기한다) 154.47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고예 4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비스페놀 A (이하, BPA 라고 약기한다) 161.55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하여 중합 온도를 280 ℃ 로 높인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고예 5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이하, BCF 라고 약기한다) 2,939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4.5 부를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 6,604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70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9 중량% 의 도프를 제작하였다. 이 도프 용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캐스트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잘라낸 샘플을 사용하여 광탄성 계수, 점도 평균 분자량, Tg 를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참고예 6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이하, BPEF 라고 약기한다) 310.3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CHDM 67.35 부, BCF 90.9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 및 촉매로서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1.8 × 10-2 부와 수산화나트륨 1.6 × 10-4 부를 질소 분위기하 180 ℃ 로 가열하여 용융시켰다. 그 후, 30 분에 걸쳐 감압도를 13.4 ㎪ 로 조정하였다. 그 후, 60 ℃/시간의 속도로 260 ℃ 까지 승온시키고, 10 분간 그 온도에서 유지한 후, 1 시간에 걸쳐 감압도를 133 ㎩ 이하로 하였다. 합계 6 시간 교반하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촉매량의 4 배몰의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염을 첨가하여 촉매를 실활시킨 후,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질소 가압하에서 토출시키고, 수조에서 냉각시키면서, 펠릿타이저로 커팅하여 펠릿을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주) 테크노벨 제조의 15 ㎜φ 2 축 압출기에 폭 150 ㎜, 립 폭 500 ㎛ 의 T 다이와 필름 인취 장치를 장착하여, 얻어진 코폴리카보네이트를 필름 성형함으로써 투명한 압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잘라낸 샘플의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마찬가지로 잘라낸 샘플을 126 ℃ (Tg + 10 ℃) 에서 길이 방향으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연신 필름을 얻었다. 이 연신 필름의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TCDDM 91.68 부, BCF 90.9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실시예 12 와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TCDDM 69.45 부, BPEF 155.15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실시예 12 와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DOG 101.95 부, BCF 90.94 부, 디페닐카보네이트 154.6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다음으로, 실시예 12 와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실시예 12 와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온도계, 교반기,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이온 교환수 9,809 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71 부를 첨가하여, BPA 585 부, BCF 1,969 부 및 나트륨하이드로술파이트 4.5 부를 용해시키고, 염화메틸렌 6,604 부를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6 ∼ 20 ℃ 에서 포스겐 1,000 부를 60 분에 걸쳐 불어넣었다. 포스겐을 다 불어넣은 후, p-tert-부틸페놀 70 부와 48 %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27 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1.57 부를 첨가하고, 20 ∼ 27 ℃ 에서 40 분간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염화메틸렌층을 묽은 염산, 순수로 세정 후, 염화메틸렌을 증발시켜 플루오렌 골격을 갖는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19 중량% 의 도프를 제작하였다. 이 도프 용액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캐스트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중앙부 부근으로부터 잘라낸 샘플을 사용하여 광탄성 계수, 점도 평균 분자량, Tg 를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평가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계수가 42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또, 파장 분산성이 단파장역에서 λ/4 가 되지 않아, 탈색 등이 문제가 된다.
비교예 7
<코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BPA 639 부, BCF 1,881 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6 와 완전히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코폴리카보네이트를 얻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이 코폴리카보네이트를 비교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광탄성 상수, 점도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또, 참고예 1 과 마찬가지로 Tg + 10 ℃ 에서 2.0 배로 1 축 연신하여, 위상차 측정, 파장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본 필름은 광탄성 계수가 45 × 10-12- 1 로 높고, 응력에 의한 복굴절이 크다. 그 때문에, 위상차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광 누설이 일어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 파장 분산성이 장파장역에서 λ/4 가 되지 않아, 탈색 등이 문제가 된다.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5
Figure 112011041339893-pct00046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원하는 파장 분산 특성을 갖고, 광탄성 상수가 낮고, 고도의 투명성, 가공성이 우수한 코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고, 연신 처리에 의해 원하는 파장 분산성을 갖고, 1 장으로 광대역화 가능하여, 액정 표시 장치용, 유기 EL 디스플레이용 등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기록 장치에 사용되는 광 픽업, 광기록 매체 등의 광학 장치, 발광 소자, 광연산 소자, 광통신 소자,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21)

  1. 25 몰% 이상 65 몰% 미만의 하기 식
    Figure 112016045019471-pct00060

    로 나타내는 단위 (A4) 및 35 몰% 를 초과하고 75 몰% 이하인 하기 식
    Figure 112016045019471-pct00061

    로 나타내는 단위 (B1) 을 포함하는 코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고, 하기 식 (2) 및 (3)
    0 < R(450)/R(550) < 1 (2)
    1.01 < R(650)/R(550) < 2 (3)
    [단, R(450), R(550) 및 R(650) 은 각각 파장 450 ㎚, 550 ㎚, 6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을 만족하고,
    위상차 발현성 (Δn) 이 하기 식
    0.3 > Δn > 0.002
    (Δn = R(550) (㎚)/두께 (㎚))
    [단, R(550) 은, 파장 55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을 만족하는 광학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8) ∼ (10) 을 만족하는 필름.
    |R(400)/R(550) - 400/550| < 0.15 (8)
    |R(700)/R(550) - 700/550| < 0.25 (9)
    |R(400)/R(550) - 400/550|2 + |R(700)/R(550) - 700/550|2 < 0.05 (10)
    [단, R(400), R(550) 및 R(700) 은 각각 파장 400 ㎚, 550 ㎚, 700 ㎚ 에 있어서의 필름면내의 위상차값이다.]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위상차 필름인 필름.
  5. 제 4 항에 기재된 위상차 필름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17012602A 2008-12-05 2009-12-01 광학 필름 KR101651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10734 2008-12-05
JP2008310734A JP2010134232A (ja) 2008-12-05 2008-12-05 光学フィルム
JP2009076412A JP5706071B2 (ja) 2009-03-26 2009-03-26 位相差フィルム
JPJP-P-2009-076412 2009-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841A KR20110106841A (ko) 2011-09-29
KR101651306B1 true KR101651306B1 (ko) 2016-08-25

Family

ID=42233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602A KR101651306B1 (ko) 2008-12-05 2009-12-01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293861B2 (ko)
EP (1) EP2354816B1 (ko)
KR (1) KR101651306B1 (ko)
CN (1) CN102227657B (ko)
TW (1) TWI466920B (ko)
WO (1) WO2010064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7432B2 (ja) * 2009-04-16 2014-02-12 帝人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03349B (zh) 2010-05-27 2015-10-11 Mitsubishi Chem Corp 聚碳酸酯樹脂及由其所構成之透明薄膜
JP5674802B2 (ja) 2010-10-05 2015-02-25 帝人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からなる成形品
CN103250077B (zh) * 2010-12-06 2015-12-09 日东电工株式会社 有机el显示器用防反射圆偏振片及有机el显示器
KR101380522B1 (ko) * 2011-03-31 2014-04-01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 그리고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펠릿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930108B1 (ko) * 2011-05-09 2018-12-17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필름
TW201307080A (zh) * 2011-07-28 2013-02-16 Mitsubishi Chem Corp 薄膜積層體、薄膜卷層體及該薄膜卷層體之製造方法
JP2013076981A (ja) 2011-09-14 2013-04-25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076982A (ja) * 2011-09-14 2013-04-25 Mitsubishi Chemicals Corp 位相差フィル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3164501A (ja) * 2012-02-10 2013-08-22 Teijin Ltd 光学フィルム
JP5995160B2 (ja) 2012-02-27 2016-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14044394A (ja) 2012-03-30 2014-03-13 Nitto Denko Corp 長尺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板及び有機elパネル
JP6335422B2 (ja) 2012-06-29 2018-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KR20150040875A (ko) 2012-08-01 2015-04-15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투명 필름
KR102278717B1 (ko) * 2014-02-27 2021-07-16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중축합계 수지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CN106489085B (zh) * 2014-04-16 2020-06-30 日东电工株式会社 相位差膜、圆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WO2015159929A1 (ja) * 2014-04-16 2015-10-22 三菱化学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CN110799870B (zh) * 2017-06-28 2021-05-07 富士胶片株式会社 相位差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501A (ja) 2000-07-11 2002-03-27 Teijin Chem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03090917A (ja) 2001-07-09 2003-03-28 Teijin Chem Ltd 位相差フィルム
JP2005146140A (ja) * 2003-11-17 2005-06-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41190A1 (ja) * 2004-10-14 2006-04-20 Teijin Limited 光弾性定数の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649A (en) 1987-07-01 1989-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Semiconductor device
JP2609139B2 (ja) 1988-10-31 1997-05-14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位相差板
JPH0641190A (ja) 1992-07-16 1994-02-15 Mitsui Toatsu Chem Inc L−α−アスパルチル−L−フェニルアラニンメチルエステルの製造法
JP4178350B2 (ja) * 1998-09-29 2008-11-12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新規な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EP1045261B1 (en) 1998-10-30 2005-02-02 Teijin Limited Phase difference film and optical device using it
CN1192256C (zh) * 1999-07-29 2005-03-09 帝人株式会社 相位差薄膜、层压相位差薄膜和使用该材料的液晶显示装置
US6355768B1 (en) * 1999-10-29 2002-03-12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olycarbonate resi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995387B2 (ja) 2000-04-13 2007-10-24 帝人株式会社 偏光板保護用透明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偏光板
ES2311018T3 (es) * 2000-07-11 2009-02-01 Teijin Chemicals, Ltd. Lente plastica.
JP4712211B2 (ja) * 2001-03-28 2011-06-29 帝人化成株式会社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JP2002308978A (ja) * 2001-04-17 2002-10-23 Mitsubishi Gas Chem Co Inc 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
JP4568462B2 (ja) * 2001-07-09 2010-10-27 帝人化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03128609A (ja) * 2001-10-25 2003-05-08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ルオレニリデンジフェノール類の精製方法
JP4196326B2 (ja) 2002-06-12 2008-12-1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
JP2005031610A (ja) * 2003-06-16 2005-02-03 Mitsubishi Gas Chem Co Inc 偏光板
JP2006323254A (ja) 2005-05-20 2006-11-30 Teijin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光学フィルム
JP2009271094A (ja) * 2006-08-23 2009-11-19 Mgc Filsheet Co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5119250B2 (ja) 2007-06-19 2013-01-16 帝人化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
EP2223951A4 (en) * 2007-12-12 2013-08-21 Mitsubishi Chem Corp PROCESS FOR PRODUCTION OF POLYCARBONATE AND MOLDINGS IN POLYCARBONATE
JP5875747B2 (ja) 2008-11-28 2016-03-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原料用ジヒドロキシ化合物の保存方法
KR20110087278A (ko) 2008-11-28 2011-08-02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 및 투명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0501A (ja) 2000-07-11 2002-03-27 Teijin Chem Ltd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003090917A (ja) 2001-07-09 2003-03-28 Teijin Chem Ltd 位相差フィルム
JP2005146140A (ja) * 2003-11-17 2005-06-09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6041190A1 (ja) * 2004-10-14 2006-04-20 Teijin Limited 光弾性定数の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及び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05939A1 (en) 2013-01-03
TWI466920B (zh) 2015-01-01
TW201030053A (en) 2010-08-16
US20110288261A1 (en) 2011-11-24
EP2354816B1 (en) 2015-05-06
WO2010064721A1 (ja) 2010-06-10
US8293861B2 (en) 2012-10-23
EP2354816A4 (en) 2013-01-23
KR20110106841A (ko) 2011-09-29
EP2354816A1 (en) 2011-08-10
CN102227657B (zh) 2013-11-13
CN102227657A (zh) 2011-10-26
US8455611B2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306B1 (ko) 광학 필름
KR101513317B1 (ko) 광학 필름
KR101693056B1 (ko) 광학 필름
JP5587617B2 (ja) 光弾性定数の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フィルム
JP2010134232A (ja) 光学フィルム
EP3121212B1 (en) Polycarbonate resin and optical film
JP5079150B2 (ja) 位相差フィルム
JP5706071B2 (ja) 位相差フィルム
JP5583987B2 (ja)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11079897A (ja)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20090677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5580017B2 (ja)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JP2012256061A (ja) 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1079898A (ja) 光弾性定数が低い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光学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