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583B1 - 유리판 적층체 - Google Patents

유리판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583B1
KR101650583B1 KR1020100128058A KR20100128058A KR101650583B1 KR 101650583 B1 KR101650583 B1 KR 101650583B1 KR 1020100128058 A KR1020100128058 A KR 1020100128058A KR 20100128058 A KR20100128058 A KR 20100128058A KR 101650583 B1 KR101650583 B1 KR 10165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glass plate
glass
laminated
corru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921A (ko
Inventor
겐따로 다쯔꼬시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매의 유리판이 합지를 개재하여 적층됨과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상기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소정량 밀려나오도록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합지는, 상기 합지의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판 적층체 {GLASS PLATE LAMINATE}
본 발명은 유리판 적층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매의 유리판을 합지를 개재하여 적층한 유리판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유리판으로서, 건축용 유리판, 자동차용 유리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 및 액정용 유리 기판 등의 FPD(Flat Panel Display)용 유리 기판은, 보관 중이나 반송 중에 표면에 흠집이나 오염이 생겨 제품 결함으로 되기 쉽다.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으로 사용되는 무알칼리 유리 기판과 같이, 그의 표면에 전기 회로를 내장하는 유리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의 표면에 약간의 흠집이나 오염이 있어도 단선이나 패터닝 불량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리 기판에는 극히 높은 표면 특성이 요구된다.
유리판의 표면의 흠집은, 유리판을 적층하여 보관 또는 반송할 때에, 인접하는 유리판과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김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유리판의 표면의 오염은, 반송 분위기 중의 유기물(오염 물질)이 유리판의 표면에 부착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유기물은 수세만으로는 유리판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 유기물은, 예를 들어 산이나 알칼리를 사용하여 세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은 세정시의 작업 환경을 악화시킴과 함께 세정 및 폐액 처리 비용도 증대시킨다. 또한, 이러한 세정을 행하여도 유기물을 유리판의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유리판의 보관 중이나 반송 중의 흠집이나 오염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적층하는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종이를 개재시켜 인접하는 유리판의 표면끼리를 분리하는, 소위 합지를 개재 장착한 유리판 적층체가 하기 특허문헌 1,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합지는, 강성이 강한 합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걸리 강도(Gurley stiffness)를 규정한 제안이다. 또한, 특허문헌 2의 합지는, 종이 황변의 발생 및 종이가루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 종이 찢김을 억제하는 것, 및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평균 섬유 길이 등을 규정한 제안이다.
합지가 개재된 유리판 적층체는, 상자 또는 팔레트에 곤포되어 유리판 메이커로부터 유리판의 가공 및 조립 등을 행하는 유리판 사용 메이커로 반송된다. 그리고, 유리판은 유리판 사용 메이커에 의해 이 상자 또는 팔레트로부터, 하기 특허문헌 3 등에 개시된 취출 장치에 의해 1매씩 취출된다. 이때, 취출 장치의 유리 파지부에 의해 유리판을 흡착 파지하여 취출하고, 다음에 합지 파지부에 의해 합지를 취출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하게 된다. 합지를 취출할 때에는, 유리판의 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의 테두리 부분을 흡착이나 척킹 등의 합지 파지부에서 파지하여 취출하는 경우가 많다.
WO 2009/00841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484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76232호 공보
그러나, 합지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유리판의 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테두리 부분의 합지가 아래로 처져, 그 처진 합지를 합지 파지부가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합지 파지부는 로봇에 의해 흡착 위치가 미리 안내되어 있으며, 그 흡착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흡착 위치에 합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즉 합지가 아래로 처져 있는 경우에는 합지 파지부에 의해 합지를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다.
유리판의 적층 형태로서는, 유리판을 비스듬하게 세운 상태에서 상자 또는 팔레트에 적층하는 세로 쌓기의 형태와, 평평하게 하여 상자 또는 팔레트에 적층하는 가로 쌓기의 형태가 있다. 세로 쌓기의 경우에는,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합지가 밀려나온 부분이라고도 함)이 배면측으로 아래로 처져, 이 합지를 취출할 때에 합지 파지부가 합지를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FPD용 유리 기판의 크기는 대형화 경향에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합지도 FPD용 유리 기판의 크기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이로부터, 예를 들어 제6세대의 FPD용 유리 기판의 곤포에 사용되는 합지의 크기는 1600mm×1900mm 정도의 크기가 된다. 이와 같이 합지 크기가 커지면, 합지의 파지 실수에 의해 합지를 취출할 수 없는 트러블의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합지 파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파지하여, 상자 또는 팔레트로부터 합지를 양호하게 취출할 수 있는 유리판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매의 유리판이 합지를 개재하여 적층됨과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상기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소정량 밀려나오도록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합지는, 상기 합지의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판 적층체를 제공한다.
합지는 종이의 결에 따라서 선의 모양, 즉 주름이 들어간 종이이다. 또한, 합지는 주름의 방향으로 강성이 강한 성질을 갖고 있다. 즉, 합지는 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에, 그 굽힘 축의 주위로 만곡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합지의 특성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한 합지를 개재시켜 유리판 적층체를 구성하였다.
이에 의해,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은, 그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로 처지기 어렵다(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하여 만곡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을 합지 파지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으므로, 상자 또는 팔레트로부터 합지를 양호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 적층체는, 상기 합지의 상기 상부 테두리 부분의 밀려나옴량이 50mm 이상 2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의 밀려나옴량이 50mm 미만이면, 합지 파지부에 의한 파지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지게 되므로 밀려나옴량은 50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려나옴량이 200mm를 초과하면, 밀려나온 상부 테두리 부분의 자중에 의해 상부 테두리 부분이 아래로 처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밀려나옴량은 2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 적층체는, 상기 합지의 상기 주름의 방향의 걸리 강도(Gurley stiffness)가 0.3 내지 1.0mN이고, 상기 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m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의 합지의 저항력(강성도)을 0.3mN 이상 1.0mN 이하로 규정하고, 상기 주름의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의 합지의 저항력을 0.3mN 미만으로 규정하였다.
합지의 JAPAN TAPPI No40에 준거한 걸리 강도(본 발명에 있어서, 간단히 걸리 강도라고도 함)가 낮은 경우, 즉 합지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합지가 아래로 처짐으로써, 그 처진 부분을 합지 파지부에 의해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세로 쌓기의 경우, 유리판을 적층할 때에 합지의 강성이 약하면,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아래로 처져, 합지를 취출할 때에 합지 파지부에 의해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합지를 취출할 때의 취급에서 발생하는 파지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합지의 주름의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m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본원 발명자는 실험에 의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합지의 주름의 방향의 걸리 강도를 0.3 내지 1.0mN으로 함으로써, 합지를 취출할 때의 파지 실수를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0.3mN 이상의 걸리 강도는 합지의 주름의 방향에만 있으면 되고, 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불필요하다.
합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로 (1) 합지를 두껍게 한다, (2) 합지의 섬유 그 자체에 강성이 있는 것을 사용한다, (3) 합지를 압축 처리(캘린더 처리)하여 고밀도로 한다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방법에 의해 주름 방향의 걸리 강도가 1.0mN을 초과한 합지를 사용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1)의 방법에 의해 강도를 높인 합지의 경우, 두께 불균일이 커져, 그 결과 유리판 적층체의 두께 불균일이 커진다. 특히 합지가 수분을 흡수한 경우에 그 영향이 크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리판을 로봇으로 취출할 수 없을 정도로 유리판 적층체의 두께 불균일이 커진다.
상기 (2)의 방법에 의해 합지의 강도를 높이는 경우, 애당초 종이뜨기가 곤란하며, 나아가 섬유 그 자체의 강성을 높이면서 고밀도로 마무리할 필요가 생기므로, 합지의 쿠션성이 손상되어, 유리판에의 흠집 등의 발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 (3)의 방법에 의해 강도를 높인 합지의 경우, 쿠션성이 손상되어 유리판에의 흠집 등의 발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표면이 지나치게 평활해지기 때문에 합지를 취출할 때에, 합지와 밀착되어 있는 유리판이 움직이거나 넘어지는 등, 유리판 취출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합지의 주름 방향의 걸리 강도는 1.0mN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합지가 200㎛보다 큰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한 합지를 개재시켜 유리판 적층체를 구성하였으므로,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와 있는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은 아래로 처지지 않는다. 따라서,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은 합지 파지부에 의해 확실하게 파지되므로, 상자 또는 팔레트로부터 합지를 양호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가 곤포된 유리판 곤포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리판 적층체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유리판 적층체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방이란 연직 상방을 의미한다. 유리판의 상변이란 유리판의 변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변을 의미하며,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란 합지의 주변부 중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에는 직사각 형상의 복수매의 유리판(G)이 직사각 형상의 합지(10, 10 …)를 개재하여 세로 배치로 적층된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1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 유리판 적층체(12)가 유리판 곤포용 팔레트(14)에 곤포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팔레트(14)는, 측면에서 보아 쐐기 형상의 베이스(16)와, 이 베이스(16)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경사대(18)로 구성되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6)의 경사진 상면(16A)과 경사대(18)의 경사면(18A)이 이루는 각도 θ1은 약 90°이다. 베이스(16)의 상면(16A)에 유리판(G)의 하부 테두리부가 적재됨과 함께, 유리판(G)의 면이 경사대(18)의 경사면(18A)으로 경사져 기대어 세워지며, 유리판(G)과 유리판(G)의 사이에 합지(10)가 개재 장착된다. 경사대(18)의 경사면(18A)의 경사 각도 θ2는, 적층된 유리판(G)을 안정하게 적재, 보관 및 반송할 수 있으면 되며, 수평에 대하여 85도 이하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대(18)의 경사 각도 θ2는 약 72도로 설정되어 있다.
합지(10)는 유리판(G)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리판(G)보다 큰 크기의 종이이다. 따라서, 합지(10)의 일부는 유리판(G)으로부터 밀려나오게 된다. 합지를 취출할 때에는 이 합지(10)의 밀려나온 부분 중 유리판(G)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가늘고 긴 상부 테두리 부분(10a)이, 도 2에 도시한 팩 해제기의 흡착 패드(합지 파지부)(20)에 흡착 파지되어, 합지(10)가 팔레트(14)로부터 취출된다.
또한, 팔레트(14)와 같이 유리판(G)을 세로 쌓기로 하는 경우, 유리판(G)의 하변부로부터 합지(10)가 밀려나오면, 유리판(G)을 간극없이 적재할 수 없어 곤포나 반송시에 유리판(G)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합지(10)는 유리판(G)의 상변부와 좌우의 변부로부터만 밀려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서는 1개의 흡착 패드(20)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흡착 패드(20)는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수평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 병렬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로봇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부호 22는 유리판(G)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흡착 패드이며, 이 흡착 패드(22)는 유리판(G)의 면내에 있어서 복수개 배치되어, 도시하지 않은 로봇에 의해 동작되는 것이다.
그런데, 합지(10)는 제지 메이커에서 제조된 롤지로부터 소정의 크기로 재단된 것이다. 또한, 이 합지(10)에는 제지 메이커에서의 제조 공정(종이뜨기 공정)에 있어서, 종이의 길이 방향(종이의 결)을 따라서 선의 모양, 즉 주름(10b, 10b…)이 다수개 들어가 있다. 종이는 주름(10b)의 방향으로 강성이 강한 성질을 갖고 있다. 즉, 종이는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에, 그 굽힘 축의 주위로 만곡하기 어려운 성질을 갖고 있다.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12)는, 이러한 종이의 특성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주름(10b)이 세로 방향을 향한 합지(10)를 유리판(G)과 유리판(G)의 사이에 개재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리판(G)의 상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10)의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주름(10b)은 세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이로 인해,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강성은 강하고, 상부 테두리 부분(10a)은 배면측으로 아래로 처지기 어렵다. 즉,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하여 상부 테두리 부분(10a)은 만곡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12)에 따르면, 흡착 위치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흡착 패드(20)에 의해, 합지(10)의 상부 테두리 부분(10a)이 확실하게 파지되므로, 팔레트(14)로부터 합지(10)가 양호하게 취출된다. 또한, 도 1, 도 2에서는 주름(10b)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주름(10b)을 과장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주름(10b)의 폭, 간격은 도 1, 도 2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모든 합지(10)의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지 전체 수의 적어도 90% 이상의 합지(10)의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미만의 합지(10)의 주름이 가로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그 합지(10)는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하고 있는 합지(10)에 의해 지지되어, 아래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한편으로, 합지(10)의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밀려나옴량 a는 50mm 이상 2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합지(10)의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밀려나옴량 a가 50mm 미만이면, 흡착 패드(20)에 의한 파지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지게 되므로 밀려나옴량 a는 50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려나옴량 a가 200mm를 초과하면, 밀려나온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자중에 의해 상부 테두리 부분(10a)이 아래로 처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밀려나옴량 a는 20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밀려나옴량 a를 50mm 이상 200mm 이하로 규정함으로써, 흡착 패드(20)에 의한 합지(10)의 취출이 한층 더 양호해진다.
또한, 밀려나옴량 a의 하한값(50mm)은, 전술한 것과 같이 흡착 패드(20)의 크기에 의존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합지(10)를 안정하게 흡착 보유 지지하기 위한 흡착 패드(20)의 크기는 대략 결정되어 있다. 또한, 흡착 패드는 로봇에 의해 동작되기 때문에, 로봇에 의한 흡착 패드(20)의 이동 궤적에 유리판(G)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밀려나옴량 a의 하한값은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려나옴량 a의 상한값(200mm)은,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처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설정하고 있지만, 그 상한값을 약간 초과한 경우라도 상부 테두리 부분(10a)에 처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언급하면, 상한값을 크게 하여도 되지만, 지나치게 크게 하면 합지(10)를 낭비하게 된다. 따라서, 상한값(200mm)은, 상부 테두리 부분(10a)의 처짐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관점과, 합지(10)를 절약하는 관점에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팔레트(14)에 적재되는 유리판(G) 및 합지(10)의 매수는, 예를 들어 제6세대의 유리판의 경우에는 300매 이상, 제7세대의 유리판의 경우에는 250매 이상이다. 이와 같이 합지(10)는 1대의 팔레트(14)에 대하여 다수매 사용되기 때문에, 상한값을 200mm로 설정하는 것은 합지(10)를 절약하는 관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또한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12)에 따르면, 합지(10)의 주름(10b)의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 내지 1.0mN이고,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m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의 합지(10)의 저항력(강성도)을 0.3 내지 1.0m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름(10b)의 방향을 굽힘 축으로 한 경우의 합지(10)의 저항력을 0.3mN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지(10)의 걸리 강도가 낮은 경우, 즉 합지(10)의 강성이 약한 경우에는, 합지(10)가 아래로 처짐으로써, 그 처진 부분을 흡착 패드(20)에 의해 양호하게 파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도 1과 같이 유리판(G)을 비스듬하게 세워서 적층한 세로 쌓기의 경우, 유리판(G)을 적층할 때에 합지(10)의 강성이 약하면, 합지(10)의 상부 테두리 부분(10a)이 아래로 처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합지(10)를 취출할 때의 취급에서 발생하는 합지 파지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합지(10)의 주름(10b)의 방향의 걸리 강도를 0.3 내지 1.0m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합지(10)를 취출할 때에, 취급에서 발생하는 합지 파지 실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흠집의 발생이나 유리판 적층체의 두께의 불균일을 해소하고, 유리판의 취출시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0.3mN 이상의 걸리 강도는 합지(10)의 주름(10b)의 방향에만 있으면 되며,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불필요하다.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를 0.3mN 이상으로 하면, 합지(10) 전체에 강도를 갖게 하게 되므로 합지(10)의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유리판(G)의 좌우 변부로부터 밀려나온 합지(10)의 양측부(10c)는,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mN 미만이기 때문에, 배면측으로 만곡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합지(10)의 양측부(10c)는, 흡착 패드(20)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은 아니므로, 만곡하여도 합지(10)의 취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름(10b)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는 0.3mN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의 유리판 적층체(12)에 있어서, 합지(10)의 크기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제6세대의 FPD용 유리 기판(예를 들어 1500mm×1850mm) 크기에 대응하는 합지 크기 이상인 경우 및 두께가 0.01mm 내지 0.2mm인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합지(10)의 원료는 오래된 종이, 버진 펄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셀룰로오스 등을 함유하고 있는 원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합지(10)는 200㎛보다 큰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물질의 크기(최대 직경)가 200㎛ 이하이면 유리판(G)의 보관 중 및 반송 중에 발생하기 쉬운 유리판(G)의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임계값으로 되는 이물질의 크기는, 합지(10)의 두께나 유리판(G)의 재질에 따라서 상이하므로, 이물질의 크기는 대상이 되는 유리판(G)의 재질이나 합지(10)의 두께에 따라서 그 때마다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합지(10)의 두께는 0.06 내지 0.1mm이고, 유리판(G)의 두께는 0.2 내지 0.7mm이고, FPD용 유리 기판(상품명 AN100,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또한 특정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9년 12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84193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G: 유리판
10: 합지
10a: 상부 테두리 부분
10b: 주름
12: 유리판 적층체
14: 유리판 곤포용 팔레트
16: 베이스
18: 경사대
20: 흡착 패드
22: 흡착 패드

Claims (7)

  1. 복수매의 유리판이 합지를 개재하여 적층됨과 함께, 상기 유리판의 상변부로부터 상기 합지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소정량 밀려나오도록 적층된 유리판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합지는, 상기 합지의 주름이 세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판과 유리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합지의 상기 상부 테두리 부분의 밀려나옴량이 50mm 이상 200mm 이하이고,
    상기 합지의 상기 주름의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 내지 1.0mN이며,
    상기 합지의 주름은 상기 합지의 종이뜨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합지에 들어가는 선의 모양인 유리판 적층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걸리 강도가 0.3mN 미만인 유리판 적층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합지가 200㎛보다 큰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유리판 적층체.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인 유리판 적층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이 액정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인 유리판 적층체.


KR1020100128058A 2009-12-15 2010-12-15 유리판 적층체 KR101650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4193A JP5610261B2 (ja) 2009-12-15 2009-12-15 ガラス板積層体
JPJP-P-2009-284193 200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21A KR20110068921A (ko) 2011-06-22
KR101650583B1 true KR101650583B1 (ko) 2016-08-23

Family

ID=4421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058A KR101650583B1 (ko) 2009-12-15 2010-12-15 유리판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10261B2 (ko)
KR (1) KR101650583B1 (ko)
CN (1) CN102114938B (ko)
TW (1) TWI508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2892B (zh) * 2011-02-25 2016-01-20 旭硝子株式会社 玻璃板层叠体及玻璃板的取出方法
JP2013256315A (ja) * 2012-06-12 2013-12-26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積層体の積層方法及びガラス板積層体並びにガラス板梱包体
US10246365B2 (en) 2013-10-09 2019-04-02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thin glass articles
JP6127319B2 (ja) * 2014-03-13 2017-05-17 特種東海製紙株式会社 ガラス合紙
JP2017066576A (ja) * 2015-10-02 2017-04-0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合紙、ガラス板積層体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
CN106927151B (zh) * 2017-05-16 2019-04-2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面板运输装置
JP2019218114A (ja) * 2018-06-21 2019-12-26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積層体パレット一体品、及びパレット
JP7012942B2 (ja) * 2018-07-17 2022-01-3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積層体パレット一体品、及びパレット
JP7323864B2 (ja) * 2019-11-26 2023-08-0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271A (ja) * 2004-12-02 2006-06-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梱包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梱包ユニット
JP2007051386A (ja) 2005-08-17 2007-03-01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JP2007131965A (ja) 2005-11-09 2007-05-31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WO2009008413A1 (ja) * 2007-07-11 2009-01-1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用合紙及びガラス板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8409A (ja) 2004-03-08 2005-09-15 Daifuku Paper Mfg Co Ltd ガラス用合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002030A (ja) * 2004-06-17 2006-01-05 Futamura Chemical Co Ltd ガラス状板材の合紙
JP4304673B2 (ja) 2004-12-21 2009-07-2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合紙把持装置、及び搬送装置
JP4924982B2 (ja) * 2006-12-07 2012-04-2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梱包方法及びガラス板梱包体
JP5048543B2 (ja) * 2007-12-27 2012-10-17 ユニチカ株式会社 ガラス板の緩衝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0271A (ja) * 2004-12-02 2006-06-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梱包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梱包ユニット
JP2007051386A (ja) 2005-08-17 2007-03-01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JP2007131965A (ja) 2005-11-09 2007-05-31 Oji Paper Co Ltd ガラス合紙
WO2009008413A1 (ja) * 2007-07-11 2009-01-15 Asahi Glass Co., Ltd. ガラス板用合紙及びガラス板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921A (ko) 2011-06-22
CN102114938B (zh) 2015-05-27
TWI508853B (zh) 2015-11-21
JP5610261B2 (ja) 2014-10-22
CN102114938A (zh) 2011-07-06
TW201129467A (en) 2011-09-01
JP2011126724A (ja)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583B1 (ko) 유리판 적층체
TWI400204B (zh) Glass plate with paper and glass plate laminated body
KR101849817B1 (ko) 유리판 적층체 및 유리판의 취출 방법
TWI572572B (zh) Glass spaced paper and glass plate bundles
JP4797561B2 (ja) 基板収納体
WO2011108315A1 (ja) 板状体積層体
JP5630599B2 (ja) 板状体積層体
TW201406550A (zh) 玻璃板積層體之積層方法及玻璃板積層體與玻璃板捆包體
WO2015012095A1 (ja) ガラス板への合紙の積層方法およびガラス板積層体からの合紙の除去方法
JP6897000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ガラス板、その製造方法、及び梱包体
JP2010036948A (ja) ガラス板梱包体
CN103313913A (zh) 包装方法及包装体
KR200438921Y1 (ko) 디스플레이용 평판유리 포장 컨테이너
US20050109651A1 (en) Wrapping member for a glass substrate for FPD and a method of transferring a glass substrate for FPD
JP4228326B2 (ja) ガラス板の収納方法
KR101931818B1 (ko) 곤포 용기, 곤포체 및 곤포 방법
WO2013031908A1 (ja) 板ガラス物品の分離装置
JP7453622B2 (ja) ガラス板梱包体およびガラス板梱包体の作製方法
CN117917321A (zh) 复合体层叠物
TWM634345U (zh) 玻璃板捆包體及玻璃板疊層體
KR20240046047A (ko) 유리판용 합지, 유리판 적층체 및 유리판 곤포체
JP2010052836A (ja) 樹脂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該装置を用いる樹脂シートの搬送方法
TW202122320A (zh) 玻璃板捆包體
WO2012002281A1 (ja) 基板積重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