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144B1 - 온도센서 - Google Patents

온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144B1
KR101620144B1 KR1020130114576A KR20130114576A KR101620144B1 KR 101620144 B1 KR101620144 B1 KR 101620144B1 KR 1020130114576 A KR1020130114576 A KR 1020130114576A KR 20130114576 A KR20130114576 A KR 20130114576A KR 101620144 B1 KR101620144 B1 KR 10162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 direction
welding
electrode line
welded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281A (ko
Inventor
다츠야 스즈키
마사미치 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도꾸슈도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Abstract

(과제) 감온소자의 소자 전극선과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전극선의 용접부의 강도를 향상시킨 온도센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감온부(203)와 상기 감온부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1쌍의 소자 전극선(204)을 가지는 감온소자(202)와; 소자 전극선과는 열팽창 계수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소자 전극선과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각각 용접되어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1쌍의 전극선(208);을 구비한 온도센서(200)로서, 용접에 의해서 소자 전극선과 전극선의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용접부(J1)가 형성되며, 용접부는 적어도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온도센서{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서미스터 소자나 Pt 저항체 소자 등의 감온소자를 구비한 온도센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배기가스 등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로서, 서미스터나 Pt 저항체 등의 저항의 온도 변화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온도센서에 있어서는, 온도를 검지하는 서미스터 소자는 서미스터 소결체와 Pt선 등의 1쌍의 소자 전극선(element electrode wire)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각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sheath core wire)(전극선)을 각각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쳐놓고서 축선 방향을 따라서 이간(離間)되게 2개소에 용접하여 서미스터 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용접 구조체를 금속제 폐관 형상의 보호 튜브(도시생략)의 내부에 수용하고, 보호 튜브 내의 간극에 알루미나 등의 시멘트를 충전함과 아울러, 보호 튜브의 후단에서 시스 심선에 접속된 리드선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함으로써, 온도센서가 완성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9-294107호 공보(도 3)
그런데,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을 축선 방향을 따라서 2개소에 용접할 경우, 양단의 용접부가 겹침 부분의 단부에서부터 이간될수록 겹침 부분의 구속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진동에 의해서 용접부에 걸리는 응력이 커지게 되어 용접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특히, 온도센서를 차량 등에 장착하거나 내연기관의 배기관 등에 장착할 경우에는 온도센서가 진동이나 냉열 사이클을 받기 때문에,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진동이나 열팽창ㆍ열수축의 반복에 의해서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의 용접부가 박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감온소자의 소자 전극선과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전극선의 용접부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한 온도센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도센서는, 감온부와 상기 감온부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1쌍의 소자 전극선을 가지는 감온소자와, 상기 소자 전극선과는 열팽창 계수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자 전극선과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각각 용접되어 상기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1쌍의 전극선을 구비한 온도센서로서, 상기 용접에 의해서 상기 소자 전극선과 상기 전극선의 겹침부의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용접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는 적어도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온도센서에 의하면, 복수의 용접부가 적어도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겹침 부분의 구속력이 강해지게 되어 용접부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는, 상기 전극선의 선단면에서 상기 소자 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자 전극선에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는, 상기 소자 전극선의 후단면에서 상기 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선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선의 선단면 및 소자 전극선의 후단면에서 겹침부로 향해서 각각 용접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측면에 용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양단의 용접부의 용입 깊이가 깊어지게 되어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부가 3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소자 전극선과 전극선은 열팽창 계수가 다른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소자 전극선은 Pt(열팽창 계수가 약 9×10-6/℃)으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으로, 전극선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환선(丸線)(열팽창 계수가 약 15×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자 전극선과 전극선을 축선 방향을 따라서 2개소에 용접하면, 양 용접부에 의해서 구속된 겹침 부분에서 소자 전극선과 전극선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에 기인하여 열응력이 발생함으로써 용접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특히, 용접부의 축선 방향의 간격(스팬)이 길어지게 될수록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커지게 된다.
그래서, 이 온도센서에 의하면, 3개소 이상의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선 방향을 따라서 2개의 용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이 짧아지게 되어 열응력을 한층 더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와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 사이의 중앙위치에 중간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온도센서에 의하면,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이 중간 용접부를 사이에 두고서 균등하게 되어 최소값이 되기 때문에, 상기 열응력을 가장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용접부가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온도센서에 의하면,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이 중간 용접부를 사이에 두고서 균등하게 되어 최소값이 되기 때문에, 상기 열응력을 가장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온소자의 소자 전극선과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전극선의 용접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온도센서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2는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전극선)의 용접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의 용접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의 용접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온도센서(200)의 축선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온도센서(200)는 예를 들면 배기관(도시생략)의 측벽의 개구부에 끼워지게 장착되어,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의 온도를 검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로서의 온도센서(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단면도이다. 온도센서(200)는 선단측이 폐색되고 후단측이 개방되게 이루어지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관 통형상의 금속 튜브(212)와, 금속 튜브(212)의 후단측과 접합된 부착부재(240)와, 부착부재(240)와는 별체로 형성된 육각 너트부(252) 및 나사부(254)를 가지는 너트부재(250)와, 후술하는 시스부재(206)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며, 선단측이 부착부재(240)와 접합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 부재(260)를 구비한다.
또한, '축선 방향'이란 온도센서(200)의 길이 방향이며, 도 1에서는 상하 방향에 상당한다. 또, '선단측'이란 도 1에서의 하측이고, '후단측'이란 도 1에서의 상측이다.
온도센서(200)는 금속 튜브(212)의 내부에 서미스터 소결체(감온부)(203)와 소자 전극선(204)으로 구성되어 있는 서미스터 소자(감온소자)(2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온도센서(200)는 예를 들면 내연기관의 배기관에 장착되며, 서미스터 소자(202)를 배기가스가 흐르는 배기관 내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온도 검출에 사용할 수 있다.
금속 튜브(212), 부착부재(240) 및 통형상 부재(260)의 내측에는 2개의 시스 심선(전극선)(208)을 시스관(207)의 내부에 절연 유지시킨 시스부재(206)가 배치되어 있다. 시스관(207)의 선단에서 연장되는 시스 심선(208)과 서미스터 소자(202)의 소자 전극선(204)은 후술하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서 용접부(J1)(J2)(J3)를 형성함으로써 접합되어 있다. 한편, 시스관(207)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시스 심선(208)은 크림프 단자(272)를 통해서 외부회로{예를 들면,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 등} 접속용의 리드선(273)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스관(207)의 후단에서 연장되는 시스 심선(208) 및 크림프 단자(272)는 각각 절연튜브(271)에 의해서 서로 절연되어 있다. 리드선(273)은 도선을 절연성 피복재로 피복한 것으로서, 내열 고무제의 밀봉부재(274)의 내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부착부재(240)는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칼집부(sheath portion)(243)와, 칼집부(243)의 선단측에 위치하며, 칼집부(243)보다도 큰 외경을 갖도록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2)를 구비하고 있다. 칼집부(243)는 선단측에 위치하는 제 1 단차부(244)와, 후단측에 제 1 단차부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단차부(246)로 이루어지는 2단 형상을 이루고 있다. 통형상 부재(260)와 제 1 단차부(244), 금속 튜브(212)의 외주면과 제 2 단차부(246)는 각각 직경 방향 전 둘레에 걸쳐서 레이저 용접되어 접합되어 있다. 또, 돌출부(242)의 선단측에는 선단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되는 테이퍼 형상의 부착대(245)를 가진다. 부착대(245)는 예를 들면 배기관(도시생략)의 센서부착위치에 형성된 테이퍼 형상부에 부착되는 부재이며, 배기관의 테이퍼 형상부에 직접 밀착시킴으로써 배기가스가 배기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너트부재(250)는 통형상 부재(260)의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 부착부재(240)는 부착대(245)를 센서부착위치의 테이퍼 형상부에 접하도록 배치한 후에, 너트부재(250)의 나사부(254)를 센서부착위치의 주위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센서부착위치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의 용접부(J1)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의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3개소의 용접부(J1)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겹침부(100)를 시인(是認)할 수 있는 방향에서 축선 방향{도 2의 길이(L)를 따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2의 지면측에서 후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레이저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용접부(J1)가 형성되어 있다.
용접부(J1)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 용접부(J12) 및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3 용접부(J13)와, 제 2 용접부(J12)와 제 3 용접부(J13)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용접부(중간 용접부)(J1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접부'란 용접에 의해서 모재가 용융 응고된 영역(도 2의 둥근 원의 영역)을 말하며, 용접을 실시할 때의 용접점(용접 스폿)(S)을 포함하는 확대된 영역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의 용접부(J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로부터 변경된 점만을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의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3개소의 용접부(J2)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접부(J2)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2 용접부(J22) 및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3 용접부(J23)와, 제 2 용접부(J22) 및 제 3 용접부(J23)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용접부(중간 용접부)(J21)로 이루어진다.
제 1 용접부(J21)는 겹침부(100)를 시인할 수 있는 방향에서 축선 방향{도 3의 길이(L)를 따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3의 지면측에서 후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향해서 레이저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용접부(J21)의 용입 방향은, 겹침부(100)를 시인할 수 있는 방향에서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용접부(J21)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용접부(J11)와 동일하다.
한편, 제 2 용접부(J22)는 시스 심선(208)의 선단면에서 소자 전극선(204)으로 향하는 방향(W22)(도 3의 지면 좌하(左下)에서 우상(右上)으로 향하는 경사 방향)에서 용접 레이저를 사출하여 형성된 것이고, 또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소자 전극선(204)에 도달하도록 레이저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용접부(J22)의 용입 방향은 시스 심선(208)의 선단면에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소자 전극선(204)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3 용접부(J23)는 소자 전극선(204)의 후단면에서 시스 심선(208)으로 향하는 방향(W23)(도 3의 지면 우상에서 좌하로 향하는 경사 방향)에서 용접 레이저를 사출하여 형성된 것이고, 또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시스 심선(208)에 도달하도록 레이저 용접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용접부(J23)의 용입 방향은 소자 전극선(204)의 후단면에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시스 심선(208)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은 이종(異種)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소자 전극선(204)이 Pt(열팽창 계수가 약 9×10-6/℃)으로 구성되고, 시스 심선(208)이 스테인리스(SUS-310S, 열팽창 계수가 약 15×10-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을 축선 방향을 따라서 2개소에서 용접하면, 2개소의 용접부의 축선 방향의 간격(스팬)이 길어지기 때문에, 열응력에 의한 변형이 커지게 된다.
그래서,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3개소 이상의 용접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이 짧아지게 되어 열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 및 후단에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겹침 부분의 구속력이 강해지게 되어 용접부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박리의 기점이 되는 겹침부의 양단을 용접함에 의해서 구속력이 강해지게 됨으로써, 상하 진동 등에 의해서 용접부에 걸리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제 2 용접부(J22)는 시스 심선(208)의 선단면에서 소자 전극선(204)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소자 전극선(204)에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제 3 용접부(J23)는 소자 전극선(204)의 후단면에서 시스 심선(208)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겹침부(100)에 있어서의 시스 심선(208)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용접 구조로 하면, 소자 전극선(204)의 선단면 및 시스 심선(208)의 후단면에서 겹침부(100)로 향하는 각각의 방향(W22,W23)에서 용접 레이저를 사출하여 용접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2의 지면측에서 후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용접 레이저를 사출하여 용접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양단의 제 2 및 제 3 용접부(J22,J23)의 용입 깊이가 깊어지게 되어, 용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입부는 도 2, 도 3의 각 용접부에 실선 및 파선으로 나타내며, 제 2 및 제 3 용접부(J22,J23)의 용입부가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및 제 3 용접부(J12,J13)의 용입부보다도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용접부가 3개소에 형성되되, 그 중에서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와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 사이의 중앙위치에 중간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용접부가 3개소에 형성되되, 그 중에서 축선 방향을 따라서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인 제 2 용접부(J12)(J22)와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인 제 3 용접부(J13)(J23) 사이의 중앙위치(Ce)에 중간 용접부인 제 1 용접부(J11)(J21)를 형성하면,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이 제 1 용접부(J11)(J21)를 사이에 두고서 균등하게 되어 최소값이 되기 때문에, 상기 열응력을 가장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위치(Ce)'란, 제 2 용접부(J12)(J22)와 제 3 용접부(J13)(J23) 사이의 용융응고영역을 제외한 축선 방향의 길이(L)의 중점(L/2)이다. 또, '중앙위치(Ce)에 제 1 용접부(J11)(J21)를 형성한다'란, 제 1 용접부(J11)의 용접점(S)이 반드시 중앙위치(Ce)에 일치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용접부(J11)(J21)의 용융응고영역(도 2의 둥근 원의 영역)의 일부가 중앙위치(Ce)에 존재하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 변형 및 균등물에 미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시스 심선(전극선)은 리드 프레임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이 이종(異種) 금속이라면, 상기한 조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용접부는 3개소에 한정하지 않고, 4개소 이상이어도 좋다.
도 4는 5개소에 용접부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소자 전극선과 시스 심선의 용접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부터 변경된 점만을 설명하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것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있어서, 용접에 의해서 소자 전극선(204)과 시스 심선(208)의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5개소에 용접부(J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용접부(J3)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되는 제 5 용접부(J35) 및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되는 제 3 용접부(J33)와, 제 5 용접부(J35)와 제 3 용접부(J33) 사이의 중앙위치(Ce)에 위치하는 제 1 용접부(중간 용접부)(J31)와, 제 4 용접부(J34) 및 제 2 용접부(J32)로 이루어진다. 제 4 용접부(J34)는 제 5 용접부(J35)와 제 1 용접부(J31)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용접부(J32)는 제 3 용접부(J33)와 제 1 용접부(J31) 사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각 용접부(J31∼J35)가 겹침부(100)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등간격(等間隔)'이란, 인접하는 용접부{예를 들면 제 1 용접부(J31)와 제 2 용접부(J32)}의 용융응고영역을 제외한 축선 방향의 간격(스팬)(G)이 모든 인접하는 용접부에 대해서 동일한 것을 말한다. 또한, 용융응고영역의 크기는 용접마다 축선 방향 길이의 1/10정도 편차를 가진다. 그래서, 각 용접부(J31∼J35)의 용융응고영역의 축선 방향 길이 중 최대값(M)의 1/10을 용융응고영역의 오차범위(편차)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용융응고영역의 편차를 고려하여, 모든 인접하는 용접부의 간격(스팬)(G)의 길이의 오차범위(편차)가 최대값(M)의 1/5의 범위에 들어가면 '등간격'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100 - 겹침부 200 - 온도센서
202 - 서미스터 소자(감온소자) 203 - 서미스터 소결체(감온부)
204 - 소자 전극선 204a - 소자 전극선의 후단
208 - 시스 심선(전극선) 208a - 시스 심선(전극선)의 선단
J1,J2,J3 - 용접부
J11,J21,J31 - 제 1 용접부(중간 용접부)
J12,J22,J32 - 제 2 용접부 J13,J23,J33 - 제 3 용접부
J34 - 제 4 용접부 J35 - 제 5 용접부
Ce - 중앙위치
W22 - 시스 심선(전극선)의 선단면에서 소자 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
W23 - 소자 전극선의 후단면에서 시스 심선(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
G - 인접하는 용접부의 용융응고영역을 제외한 축선 방향의 간격(스팬)

Claims (6)

  1. 감온부와 상기 감온부에서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1쌍의 소자 전극선을 가지는 감온소자와,
    상기 소자 전극선과는 열팽창 계수가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자 전극선과 축선 방향으로 서로 겹쳐지고 각각 용접되어 상기 감온소자로부터 전기신호를 도출하는 1쌍의 전극선을 구비한 온도센서로서,
    상기 용접에 의해서 상기 소자 전극선과 상기 전극선의 겹침부의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용접부가 형성되며,
    상기 용접부는 적어도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는, 상기 전극선의 선단면에서 상기 소자 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의 상기 소자 전극선에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는, 상기 소자 전극선의 후단면에서 상기 전극선으로 향하는 방향이고 또한 상기 겹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선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3개소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선단에 형성된 용접부와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의 후단에 형성된 용접부 사이의 중앙위치에 중간 용접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가 상기 겹침부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
KR1020130114576A 2012-10-01 2013-09-26 온도센서 KR1016201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9337 2012-10-01
JPJP-P-2012-219337 2012-10-01
JPJP-P-2013-167256 2013-08-12
JP2013167256A JP5814991B2 (ja) 2012-10-01 2013-08-12 温度セ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281A KR20140043281A (ko) 2014-04-09
KR101620144B1 true KR101620144B1 (ko) 2016-05-12

Family

ID=50276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4576A KR101620144B1 (ko) 2012-10-01 2013-09-26 온도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00536B2 (ko)
JP (1) JP5814991B2 (ko)
KR (1) KR101620144B1 (ko)
DE (1) DE10201321987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8310B1 (ja) * 2014-01-21 2014-11-05 株式会社岡崎製作所 高温用温度センサ
JP6265001B2 (ja) * 2014-03-28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JP6301753B2 (ja) * 2014-06-25 2018-03-2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
JP6296081B2 (ja) 2015-04-03 2018-03-20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EP3415886B1 (en) 2017-03-24 2020-02-26 Shibaura Electronics Co., Ltd. Sensor element and sensor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JP7151369B2 (ja) * 2018-10-22 2022-10-12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781A (ja) 1998-07-24 2000-04-07 Denso Corp 温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3236A (ja) 2003-01-31 2004-08-19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0952A (ja) * 1996-01-08 1997-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度検出装置とそれを用いた自動車
JPH10334956A (ja) * 1997-05-28 1998-12-1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レーザ溶接構造
JP3091843B1 (ja) * 1999-08-03 2000-09-25 株式会社レーザー応用工学研究所 溶融溶接方法
JP4147740B2 (ja) * 2000-11-30 2008-09-10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
JP2004148333A (ja) * 2002-10-29 2004-05-27 Nippon Steel Corp 重ね隅肉継手の疲労強度向上方法
US7121722B2 (en) * 2003-05-02 2006-10-17 Ngk Spark Plug Co., Ltd. Temperature sensor
US7855632B1 (en) * 2005-03-02 2010-12-21 Watlow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Temperatur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2007136489A (ja) * 2005-11-16 2007-06-07 Enshu Ltd 異材の溶接方法
JP2007212195A (ja) * 2006-02-07 2007-08-23 Denso Corp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956397B2 (ja) * 2007-12-04 2012-06-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
JP5252631B2 (ja) * 2007-12-26 2013-07-31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075557B1 (en) * 2007-12-26 2013-02-27 NGK Spark Plug Co., Ltd. Temperature sens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572984B2 (ja) * 2008-05-08 2010-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ーザ溶接構造およびレーザ溶接方法
DE102009013110B4 (de) 2008-03-20 2018-02-08 Denso Corporation Laserschweissstruktur und Laserschweissverfahren
JP5123058B2 (ja) * 2008-06-05 2013-01-16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2010025103A (ja) 2008-06-16 2010-02-04 Daikin Ind Ltd ロータリ圧縮機
JP2010032493A (ja) * 2008-06-25 2010-02-12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
JP4541436B2 (ja) * 2008-11-27 2010-09-0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温度センサ
JP5326854B2 (ja) * 2009-06-19 2013-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19337A (ja) 2011-04-11 2012-11-12 Jfe Steel Corp Rh真空脱ガス装置浸漬管付着スラグの簡易除去装置および簡易除去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7781A (ja) 1998-07-24 2000-04-07 Denso Corp 温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33236A (ja) 2003-01-31 2004-08-19 Ngk Spark Plug Co Ltd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19879B4 (de) 2017-09-28
US20140092940A1 (en) 2014-04-03
KR20140043281A (ko) 2014-04-09
JP5814991B2 (ja) 2015-11-17
US9500536B2 (en) 2016-11-22
JP2014089176A (ja) 2014-05-15
DE102013219879A1 (de)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144B1 (ko) 온도센서
JP4541436B2 (ja) 温度センサ
KR101630452B1 (ko) 온도센서
JP5085398B2 (ja) 温度センサ
JP5556575B2 (ja) 温度測定用熱電対及びその製造方法
EP2141470B1 (en) Temperature sensor
JP6265001B2 (ja) 温度センサ
US8256956B2 (en) Temperature sensor
US10422701B2 (en) Temperature sensor
JP2008026012A (ja) 温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59865A (ja) 温度センサ
WO2015163394A1 (ja) ガスセンサ
JP6219596B2 (ja) ガスセンサ
JP6510405B2 (ja) 温度センサ
JP2017138272A (ja)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300237A (ja) 温度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43450B2 (ja) 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5498438B2 (ja)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4059222B2 (ja) 温度センサ及び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5969413B2 (ja) 温度センサ
JP5651550B2 (ja) 温度センサ及び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2013015397A (ja) 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及び温度センサ
JP5576350B2 (ja) 温度センサ
CN211626740U (zh) 一种热敏电阻传感器结构
JP5123344B2 (ja) 温度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